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usion gene and toxicity analyses based on NGS transcriptomic data

        장예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마이크로어레이와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은 암 게놈 연구나 약물 독성학 연구 등 다양한 유전체 연구와 생물정보학에 전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NGS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은 연구하는 유전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며, 새로운 분석 방법도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퓨전 분석을 수행하였고 독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퓨전 유전자는 두 개의 유전자에서 형성된 혼합 유전자이며 염색체 전좌, 또는 삭제나 역전의 결과물이다. 이를 통해 종양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퓨전은 종양에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기도 한다. 퓨전 유전자는 폐암 환자의 EML4-ALK 유전자를 필두로 암 환자로부터 많이 발견되었으며,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진 일부 퓨전 유전자는 암세포를 치료하는 데 중요한 타겟이 되고 있다. 우리는 여러 암 전사체 데이터로부터 이러한 퓨전 유전자를 찾기 위해 NGS 데이터를 분석했다. 퓨전 유전자 분석을 수행하기 앞서 수집된 표본은 폐암 환자 114명, 위암 환자 80명, 유방암 환자 및 PDX 시료 24건이었다. 폐암 환자 데이터에서 997개의 퓨전을 찾았으며, 이 중 67개의 퓨전 후보가 암의 메커니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인산화효소로 확인되었고, 이 중 14개는 약효가 있는 타겟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선택된 퓨전 유전자가 유의미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일부 목록을 선정하고 PCR 검증 과정을 진행했으며, 이 중 133개가 검증되었다. 다음으로 위암 환자 80명의 전사체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105개의 퓨전 유전자 후보가 필터링 과정을 거쳐 확보되었고, 이 중 11개가 살아있는 인산화효소 영역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TFG-ROS1 퓨전 유전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단백질로 전사체 시퀀스를 번역해 퓨전 유전자 단백질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고, LC-MS/MS 기법을 이용해 전사체 데이터와 단백질 영역에서 동시에 나온 112개의 퓨전을 발견했다. 이 목록에는 인산화효소 영역이 살아 있는 12개의 퓨전이 있었으며, 위암과 관련된 RhoA 경로와 RhoGDI 경로와 관련된 퓨전 유전자가 20개 있음을 확인했다. 이것은 위암의 발생 메커니즘과 연관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또한, 유방암 환자 17명을 대상으로 PDX 데이터를 확보했으며, 분석을 위해 유전체 및 전사체 데이터를 얻었다. 먼저, 돌연변이와 CNV 데이터를 사용하여 환자 샘플과 PDX 샘플 간의 유전적 특성이 일치하는지를 식별했다. 표본 1개를 제외한 나머지 표본의 유전적 특성은 일치했다. 그 다음으로, 퓨전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환자와 PDX 시료에서 공통으로 확인되는 8개의 퓨전 유전자를 발견했으며 이 중에는 약물 치료 타겟으로 추정되는 퓨전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폐암 환자의 PDX 시료와 위암 환자의 PDX 시료를 대상으로 퓨전 유전자 분석을 실시하여 각각 퓨전 후보 리스트를 획득하였다. 우리는 또한 퓨전 유전자 데이터베이스인 ChimerDB 4.0을 업데이트했다.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수작업 큐레이션으로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추가하였으며, 3개 모듈 각각을 개선하고, TCGA 데이터에서 퓨전 유전자를 예측하는 데 새로운 퓨전분석 프로그램이 추가되었다. TCGA 데이터 샘플의 양은 이전보다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예측 유전자 리스트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퓨전 유전자와 관련된 저널 검색에, 이전보다 정확한 딥러닝 기법을 도입하였으며, 신뢰할 만한 퓨전 유전자 후보를 제시하기 위해 수작업 큐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사용자들이 퓨전 유전자의 유용한 정보를 찾는 데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독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간 독성 정보를 수집했다. 간 독성을 중심으로 여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성 평가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LINCS 등 독성 기전 데이터를 활용해 화합물의 간 독성을 예측하는 딥러닝 예측 모델을 구상했다. 독성 평가 데이터의 경우 LiverTox, DILIrank FDA, CompTox 데이터가 통합되었다. 각 데이터는 화학 물질이나 약물에 대한 독성 점수를 갖는데 우리는 그것들을 유해성에 따라 간 독성의 양성 집합과, 음성 집합으로 만드는데 사용했다. 우리는 또한 이 데이터와 LINCS 데이터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데 사용하였다. 향후 독성 평가 데이터와 발현값 프로파일을 추가하여 보다 신뢰도가 향상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다양한 암종의 전사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퓨전 유전자를 분석하였으며, 암 치료에 관한 유용한 퓨전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간 독성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전사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고 교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Microarray and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approaches are commonly used in research to provide information relating to the cancer genome, bioinformatics and drug toxicology. The methods used to analyze NGS data are dependent upon the genetic features that researchers want to identify, and new methods of analysis are continually emerging. Thus, we conducted research focusing on fusion gene analysis and on a toxicity database. A fusion gene is a hybrid gene created from two previously separate genes. It occurs as a result of either a translocation, interstitial deletion, or chromosomal inversion. A fusion gene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umorigenesis because of its oncogenic properties, thus, a fusion gene event is often found in cancers arising in patients. Importantly, some fusions are used as therapeutic targets to treat the cancer. For example, in lung cancer patients, the EML4-ALK fusion gene is targeted using ALK inhibitors, leading to successful treatment of the tumor. Considering these properties, we analyzed NGS samples by focusing on fusion genes. First, fusion analysis using RNA-Seq data was performe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14 patients with lung cancer, 80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nd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nd PDX samples. From the lung cancer patient data, 997 fusions were selected of which 67 were confirmed as having kinase activity, and thus, were expected to play a role in cancer development and progression, and 14 of these candidates were shown to be druggable. To know if these selected fusion genes were significant, some were selected from the list and a PCR verification process was carried out, which validated 133. Following the acquisition of RNA-Seq data from 80 gastric cancer patients, 105 fusion candidates were obtained through the filtering process, and 11 of these were confirmed to have an active kinase domai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TFG-ROS1 fusion was present among these. We also made a fusion protein database by translating fusion transcripts to protein, and found 112 fusions that came out simultaneously with RNA-Seq and protein using the technique of LC-MS/MS. The list confirmed that 12 fusion genes had active kinase activity, and that there were 20 fusion genes related to genes in the RhoA and RhoGDI pathways, which are related to gastric cancer. This led to the discovery of fusion candidates that were considere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mechanism of gastric cancer development and progression. Besides, PDX models were used for 17 breast cancer patients, and whole exome sequencing and RNA-Seq data were obtained for analysis. First, the matching of genetic characteristics between the patient sample and the PDX sample was identified using the mutations and the CNV plot.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remaining samples, excluding one sample, were consistent. Also, the fusion genes were analyzed; eight fusion genes from both patient and PDX samples were identified, and among the fusion candidates obtained from the breast cancer patients, fusions believed to be useful for treatment were found. Besides, fusion analyses were performed on PDX samples from both lung and stomach cancer patients, and significant fusion candidates were identified respectively. We have also updated the ChimerDB 4.0. fusion gene database. In this update, each of the three modules were improved by adding the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by manual curation, and new tools for the prediction of fusion genes were introduced. The number of predicted fusion candidates was increased greatly as the number of samples analyzed from TCGA increased. Additionally, we introduced a more accurate deep-learning technique for searching articles related to fusion genes, and also a more reliable manual curation was performed to identify significant fusion gene candidates. Also, the database page has been changed to a more interactive UI. These changes will be helpful to users to obtain useful information regarding fusion genes. Finally, we collected liver toxicity inform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a toxicity database. We planned a database focusing on liver toxicity to collect toxicity data and to make a deep-learning prediction model, by utilizing toxicity ‘omics’ data such as LINCS, to predict the liver toxicity of compounds. For toxicity assessment data, LiverTox, DILIrank FDA, CompTox data were integrated. Each has a toxicity score for a chemical or drug. We used these to make positive sets of liver toxicity and negative sets by hazard. We also used these data together with the LINCS data to create databases. We plan to identify and integrate more toxicity assessment data, and expression profiles to provide a more reliable database. In summary, gene fusions were analyzed using RNA-Seq, and a database was established to obtain useful information regarding the treatment for cancer. These databases are developed to help analyze and exchange information using RNA-Seq data, and will serve as useful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of novel treatment strategies in cancers involving gene fusions.

      •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the stem of Schisandra chinensis in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induced Parkinson’s disease model

        장예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Whether the stem of schisandra chinensis (SSC) has any beneficial effect on neurological diseases such as Parkinson's diseases (PD) is largely unknown. Thu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water extract of SSC (WESSC) might have protective effects in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 (MPTP)-induced murine model of PD. Pre-treatment with WESSC at 1 or 2 g/kg/day (p.o.) showed significantly mitigating effects on neurological dysfunction (motor coordination and welfare) of mice based on rotarod, pole, and nest building tests. It also showed positive effects on survival rate. These positive effects of WESSC were related to inhibition of the loss of tyrosine hydroxylase-positive neurons, microglia activation in the substantia nigra pars compacta (SNpc) and/or striatum after MPTP intoxication. Interestingly, beneficial effects of WESSC against MPTP-induced neurotoxicity were associated with inhibition of phosphorylation nuclear factor-kappa B signaling pathways along with up-regulation of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pathways in SNpc and/or striatum. Collectively, our findings suggest that WESSC might be able to mitigate MPTP-induced neurotoxicity through it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Thus, WESSC might be useful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PD. 오미자 줄기가 파킨슨병과 같은 신경성질환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잘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 (MPTP)에 의해 유도된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독성모델 (파킨슨 질병모델)을 사용하여 오미자줄기의 항염, 항산화 효과를 검증하였다. MPTP를 투여하기 6일전 행동실험을 하기 위한 적응 훈련을 끝내고, 5일전부터 오미자 줄기 추출물을 구강으로 투여하였다. MPTP 유도 후에 나타나는 행동 장애를 측정하기 위해 rota-rod, ploe test, nesting test를 진행하였다. 오미자 줄기 추출물은 MPTP에 의해 나타나는 행동 장애를 개선시켰고 도파민성 신경세포 사멸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MPTP를 투여한 후 나타나는 흑질과 줄무늬체내의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와 nuclear factor-kappa B (NF-κB) 신경기전의 활성화를 감소시켰으며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Nrf2) 신경기전을 활성화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세아교세포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염증성 신호전달인 NF- κB신경기전 활성화를 저하시키고 항산화 신호전달인 Nrf2 기전을 활성화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오미자 줄기 추출물이 파킨슨 질병모델에서 특히 미세아교세포의 염증신호 활성을 감소시키고 항산화 신호를 활성화 시킴으로서파킨슨 질병의 원인이 되는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사멸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임으로 오미자 줄기 추출물은 파킨슨 질병을 치료전략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귀국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정서인식 명확성을 중심으로

        장예은 한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flow of a rapid globalizatio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experiences diverse multiculturalism through an active international exchanges. Recently, the number of teenagers returning to their homelands after spending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growing period, due to the parent’s working overseas, or early studying abroad, has increased. Interest about their adaptation back into the homeland culture is also growing. Those who spend their developmental period overseas, experiencing various cultures, are called “Third Culture Kids: TCK.” (Pollock& Van Reken, 2008). However, most of the researches on these subjects are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returnee college students in Korea. For thi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in this study. First, it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grade, age, total period of overseas residence, first departure age) of returnee college students on college life adjustment. Second, it is to confirm how self-concept clarity, resilience, social support, emotional clarity, and cultural homelessness of returnee college students affect their college life adjustment. The subject of the research is students returning to homeland, who has experiences of living overseas for more than two years before reaching the age eighteen. The 263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off-line and on-line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6. Among these, 9 individuals were excluded because of ineligibility. Therefore, collected 254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multiple response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ing SPSS 21.0. Major procedure and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mographic factors on college life adjustment of returnee college student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grade, total period of overseas residence, and the first departure age wer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is suggests that the adaptation of returnee college students to their college life is better as the grade increases, the shorter the total period of overseas residence and the older the first departure age, the better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fter return to Korea. Second, the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clarity wer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ub-types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it was found that resilience, self-concept clarity, and family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daptation’. Also, friend support, self-concept clarity, and resil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adaptation’. Last, self-concept clarity, resilience, absence of cultural home, and emotional clar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sonal-emotional adap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s various variables that can affect returnee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by referring to previous researches. Though there are some researche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of returnee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at can recognize their function in real life.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self-concept clarity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ir psycho-social adjustment. In the previous researches,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 aspect of self-concept, such as the cultural identity influence their psycho-social adjustment.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suggesting that self-concept clarity which is the structural aspect of self-concept can influence their psycho-social adjustment can give new implication. In other words, their self-concept should not be confined to any local or cultural space, but if they have a ‘third cultural identity’, it can help them to adjust themselves psychologically if they are stable and clear. The study of TCK’s self-concept clarity should be proceed more in the future.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resili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sycho-social adjustment. In particular, the resilience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academic adaptation. This results show that resilience can positively affect the returnee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adapting to the study due to language limitations and Korean learning atmosphere. Therefore, even though they are in a difficult situation, the approach to look for a positive life and find a solution on their own and achieve difficult things can be helpful not only for their psycho-social adaptation but also for their academic adaptation. Fourth,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social suppor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sycho-social adjustment. Especially, the result that friend supports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social adaptation shows that they need an approach to make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peers. In the case of TCKs, it is known that it is very effective to have emotional bond or positive psychological support in TCK group with similar experiences. In addition to helping to make good relations with friends of theses group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lationship with non-TCK friends. Fifth,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emotional clarit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psycho-social adjustment. In Korea, which is characterized by a strong collectivist culture, the returnee college students who are strengthened to live as Hidden immigrants may not express their feelings or thoughts. As this results show that the more clearly they perceive emotions, the more they are able to adapt to college life, psychological counseling interventions are needed to help them become aware of their emotions. The positive impact of self-concept clarity,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clarity on returnee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is valuable in that they can be used to develop programs that help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hat can provide such help, and a validation study on it later.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turnee college students are varie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research data, and it is somewhat difficult to see them as one group. As the standard deviation of total period of overseas residence and the first departure age was large, so in the follow-up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research should be divided in detail based on demographic information. Second,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fact that those independent variables accounted for only 42.1% of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addition to these variables, it is suggested a study to explore the multidimensional variables that may affect the returnee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such as parent attachment, language fluency. Third, this study only included returnee college students’ data and identified factors influencing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refore, it is suggested a study to compare returnee college students and general college students in the future. Fourth,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is distorted because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is study to.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find way to obtain objective data such as observational studies and evaluation of family members and others. Fifth,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cross-sectional studies can not be followed to track change over time. It is suggested that a study to clarify the specific changes affecting their college life adaptation through longitudinal studies such as follow-up studies. 최근 한국 사회는 급속한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활발한 국제 교류를 통해 다양한 다문화적 현상을 경험하고 있다. 최근에는 부모의 해외 근무 및 조기유학 등의 사유로 성장기의 상당기간을 해외에서 보내고 귀국하는 청소년들이 증가하면서 이들의 적응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처럼 어릴 적 출국하여 해외에서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며 성장기를 보내게 되는 이들을 ‘제 3문화 아이들(Third Culture Kids: TCK)’이라고 한다(Pollock & Van Reken, 2008). 그런데 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대부분 초등학생,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귀국 대학생에 대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해 많지 않으므로, 본 연구는 귀국 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는 귀국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학년, 나이, 총 해외거주기간, 최초 출국 나이)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며, 두 번째는 귀국 대학생의 자기개념 명확성,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정서인식 명확성,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가 이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만 18세 이전에 해외에서 거주했던 총 기간이 2년 이상이며 현재 대학에 재학 또는 휴학 중인 귀국 대학생으로, 2016년 9~11월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 조사를 통하여 총 264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중에서 연구 대상자에 해당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한 9부를 제외한 254부를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 분석, 다중응답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절차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귀국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후 사후검증을 실시하고 단순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귀국 대학생의 학년과 총 해외 거주기간, 최초 출국 나이가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이는 귀국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이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나아지는 양상을 보이고 총 해외 거주 기간이 짧을수록, 최초 출국 나이가 많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을 잘하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통제하고 주요 연구변인이 귀국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 분석을 통해 실시한 결과, 자기개념 명확성과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정서인식 명확성이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 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학업 적응’에는 회복탄력성, 자기개념 명확성, 가족지지가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사회 적응’에는 친구지지와, 자개개념 명확성, 회복탄력성이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개인-정서 적응’에는 자기개념 명확성과 회복탄력성, 문화적 고향의 부재, 정서인식 명확성이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귀국 대학생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여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변인들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선행연구에서 귀국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들은 다수 되어 왔었지만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연구는 적었는데 이들의 실제 생활에서의 기능을 알아볼 수 있는 대학생활 적응을 연구하는 것은 이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더 필요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 결과는 귀국 대학생들의 심리 사회적 적응에 ‘자기개념 명확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동안 귀국 대학생의 문화 정체성과 같은 자기개념의 내용적 측면이 이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선행연구에서 더 나아가 자기개념의 구조적 측면인 자기개념 명확성이 이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은 새로운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즉, 이들의 자기개념이 어떤 지역적, 문화적 공간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제 3문화 정체감’을 가지고 있더라도 그것이 안정적이고 명확하다면 이들의 심리 사회적 적응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TCK의 자기개념 명확성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더 많이 진행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셋째, 본 연구 결과는 귀국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회복탄력성이 귀국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중 ‘학업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는데, 입학 후 언어적인 한계와 한국식의 학습 분위기로 인해 학업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귀국 대학생들에게 회복탄력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귀국 후, 이들이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음에도 삶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아 어려운 일을 성취해나갈 수 있도록 하는 접근은 이들의 심리 사회적 적응뿐만 아니라 학업 적응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 결과는 귀국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이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사회적지지 중 ‘친구지지’가 귀국대학생들의 ‘사회적응’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또래인 친구들과 관계를 잘 맺을 수 있도록 하는 접근이 필요함 보여준다. TCK의 경우 자신과 비슷한 경험을 한 동질 집단에서 정서적 유대감이나 긍정적인 심리적 지지를 받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동질 집단의 친구들과 관계를 잘 맺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에서 더 나아가 TCK가 아닌 친구들과의 관계까지 확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다섯째, 본 연구 결과는 귀국대학생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이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강한 집단주의 문화가 특징인 한국사회 속에서 Hidden immigrants로 살도록 강화 되는 귀국 대학생들은 자신의 감정이나 사고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할 수 있는데, 정서를 명확히 인식할수록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이들에게 자신의 정서를 알아차릴 수 있도록 하는 심리 상담적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렇게 귀국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자기개념 명확성과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정서인식 명확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앞으로 귀국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돕는 프로그램 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따라서 추후 이러한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그것에 대한 효과성 검증 연구를 제안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연구자료 분석과정에서 귀국 대학생의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나 이들을 한 집단으로 보기에 다소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총 해외거주 기간과 최초 출국 나이에서 표준편차가 크게 나타나 이들이 비슷한 경험을 공유한 동질 집단으로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귀국 대학생에 대해 연구할 때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연구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본 연구는 귀국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려고 하였음에도 자기개념 명확성과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정서인식 명확성이 대학생활 적응을 42.1% 밖에 설명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변인들 외에도 귀국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변인을 다차원적으로 탐색해 보는 연구를 제안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귀국 대학생들만을 모집하여 이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였는데, 추후 연구에서는 귀국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양상이나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연구변인들을 비교하는 연구를 제안한다. 넷째,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하여 평가함으로써 이들의 주관적인 평가가 사회적 바람직성 등의 요인으로 왜곡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관찰연구나 가족 및 타인의 평가와 같은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하는 것과 같은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횡단적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귀국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서의 어려움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나아진다는 선행연구가 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추적연구와 같은 종단적 연구를 통해 귀국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변화 과정을 밝히는 연구를 제안한다.

      • 유치환 시의 이미지 연구

        장예은 창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마 유치환은 한국을 대표하는 시인 중 한 사람으로 1908년 경상남도 통영에서 태어났다. 청마는 1931년에 문학잡지《문예월간》에 시《정적(靜寂)》이 실리면서 시를 썼다. 그를 기념하는 문학관이 통영에 있는데 그 이름은 청마문학관이다. 1930년대는 모더니즘 시가 유행하던 시기였다. 그는 정지용의 시에서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정지용은 그가 주요한 문예지에 시를 발표하도록 도와주었다. 두 사람의 인간관계는 그 후에도 이어졌는데, 지방에 살던 청마가 서울에 가면 정지용을 만났다고 한다. 이런 인간관계는 청마의 시에도 영향을 주었다. 정지용은 당시 시단에서 주요한 시인이었고 이미지를 중시했던 시인이다. 청마는 기교적인 시를 쓰는 시인은 아니었지만 이미지가 중요한 시적 기교라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그의 시에도 시의 특정으로 인해 시적 장치인 이미지가 필연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청마의 시에는 그의 정신이 담겨 있는 자연의 이미지들이 여러 가지 스타일로 담겨있다. 그는 그가 죽을 때까지 시를 창작했으며, 시는 그가 세상을 대하는 대응이었고 극복의 수단이었다. 한 편의 시는 그 자체가 하나의 이미지이면서 동시에 여러 이미지들의 집합체이다. 이미지들은 서로 결합됨으로써 화자의 생각을 표현하고 정서적 태도를 환기시켜 시적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 논문에서는 유치환 시의 이미지를 시간과 공간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시간의 이미지는 밤과 낮, 봄과 가을의 이미지로 연구했고, 공간의 이미지는 지상과 천상의 이미지로 나누었다. 지상적 이미지는 돌(의지)과 물(서정)을, 천상적 이미지는 바람(감정)과 태양(신념)을 중심적으로 연구했다. 이러한 이미지는 이분법적인 세계를 상징하는 이미지들이며, 유치환 시의 현대성을 나타내는 이미지들이다. 이분법은 근대성을 대표하는 사고의 원리이다. 이러한 생각은 청마시의 특징인 철학적 사유와 관계가 있다. 현대 시인으로서 그가 시에 사용한 이미지들은 그의 이분법적인 세계관, 즉 삶의 양면성을 보여주는 이미지로 나타난다. 즉 시간이 지닌 낮과 밤의 얼굴은 아름다움과 추함, 선과 악의 세계를 의미한다. 순정과 비정 선과 악, 생명의지와 허무의지 등이 이미지를 통해 나타난다. 이러한 이미지를 통해 청마 시가 모더니즘 시론의 통합적 성격과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의 이미지는 시대적 의미와 작가 정신을 포함하는 통합적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이미지의 양상을 통해 시인의 사상과 주제는 물론 세계관을 발견할 수 있다. 이미지는 그 시대의 문화적 패턴을 알 수 있는 메커니즘이며 시인 자신의 존재방식을 알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이러한 이분법적인 사고의식은 청마 시의 이미지에서 그 색깔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우리의 삶은 이미지로 증명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청마 시에서 반복 순환하는 시간과 현실과 이상의 공간은 시인의 상상력이 만들어낸 이미지들의 대립적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청마의 대립적 이미지 구조는 모더니즘 시론의 통합적 성격과 일치되는 것들이다. 이러한 대립적 구조의 목적은 삶의 한계를 극복하고 초월하는 것이다. 청마의 시를 이미지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은 새로운 시도였다. 청마는 강인한 남성적인 목소리를 가진 한국의 시인으로서 앞으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 목통증이 있는 산업 노동자와 목통증이 없는 산업 노동자 간의 목 움직임, 머리-목 운동 감각 비교

        장예은 인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업무 관련 근골격계 질환은 업무 환경에서의 사건이나 노출에 의해 야기된 근골격계 질환 또는 기존에 존재했으나 악화된 근골격계 질환이다. 팔 자세 등의 위험 요소가 많은 직업군에서 목 관련 질병이 높게 보고되었다. 목 통증은 목 관절가동범위를 감소시키고 목 고유수용감각을 변화시켜 재배치 오차를 증가시킨다. 현재 목 통증 환자와 건강한 대조군의 관절 가동 범위와 재배치 오차를 비교한 연구는 많으나 산업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으며, 목 시상면 관절가동범위를 상부 분절과 하부 분절을 구분하여 평가한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목 통증이 있는 산업 노동자와 목 통증이 없는 산업 노동자 간의 시상면 전체 목 관절가동범위, 시상면 움직임 시 목 상부 및 하부 분절의 각도, 시상면 움직임 시 재배치 오차를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목 통증이 있는 산업 노동자 17명, 건강한 산업 노동자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상면 전체 목 관절가동범위와 재배치 오차는 Xsens DOT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목 상부 및 하부 분절 각도는 Kinove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목 통증 그룹과 대조군 간 시상면 목 움직임, 시상면 움직임 시 재배치 오차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 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목 통증 그룹의 목 굽힘 각도와 목 폄 각도가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상부 목 굽힘 각도는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하부 목 굽힘 각도는 대조군보다 목 통증 그룹이 유의하게 낮았다 (p<0.05). 상부/하부 목 폄 각도는 모두 대조군보다 목 통증 그룹이 유의하게 낮았다 (p<0.05). 재배치 오차는 굽힘과 폄 두가지 방향 모두 대조군보다 목 통증 그룹이 높았다 (p<0.05). 본 연구에서 목 통증이 없는 산업 노동자와 비교하여 목 통증이 있는 산업 노동자의 시상면 목 움직임 각도, 하부 목 굽힘 각도, 상부/하부 목 폄 각도가 낮았으며 시상면 움직임 시 재배치 오차가 높았다. 본 연구는 목의 상부 분절과 하부 분절 사이의 생체역학적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는 치료 특이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목 통증이 있는 환자의 목 상부와 하부 움직임 평가에 대한 필요성을 뒷받침할 수 있다.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RMSDs) result from work-related events or exposures and can worsen pre-exis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Neck-related diseases are common in various occupational groups due to risk factors such as arm posture. Neck pain decreases neck range of motion (ROM) and alters neck proprioception, leading to increased repositioning errors. Although numerous studies have compared neck ROM and repositioning errors between individuals with neck pain and healthy controls, no study specifically targets industrial workers. Additionally, there is a lack of studies examining sagittal ROM of the neck by dividing it into upper and lower segme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sagittal ROM of the entire cervical spine, the angles of the upper and lower cervical segments during sagittal movement, and the repositioning errors during sagittal movement between industrial workers with and without neck pai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neck flexion and extension angles of the neck pain group were lower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pper cervical flexion angle between the two groups (p>0.05), and the lower cervical flexion angl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neck pai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5). Both the upper and lower cervical extension angl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neck pai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5). The repositioning error in both the flexion and extension directions was higher in the neck pai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5). In this study, compared to industrial workers without neck pain, the sagittal whole cervical ROM, lower cervical flexion angle, upper/lower cervical extension angle were lower in industrial workers with neck pain, and the repositioning error during sagittal movement was higher. This study can confirm the biomechanical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egments of the neck. Result of this study supports the need for upper and lower cervical motion evaluation in patients with neck pain to improve treatment specificity

      • Development of KASP markers derived from single-locus-unique nuclear genome and chloroplast genome of allotetraploid Panax ginseng

        장예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려인삼은 두릅나무과 Panax 속에 속해있으며, Panax는 만병통치약이라는 의미를 가지는 ‘Panacea’를 어원으로 한다. 그리고 그 이름에 걸맞게 인삼은 진세노사이드라고 불리는 유효성분을 함유함으로써 다양한 약리학적 효능을 가지며 대표적인 기능성 식물로 자리잡았다. 반면에 유전학적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못했는데, 인삼은 재배조건이 까다롭고 복잡한 유전체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인삼은 whole genome duplication에 의해 이질배수체화됨으로써 유전체 내에 파라로그한 서열이 많이 존재하게 되어, 분자마커 개발 및 유전학적 연구를 더디게 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핵 유전체와 엽록체 유전체를 대상으로 인삼의 유전체적 특성을 이해한 KASP마커를 제작하였다. KASP는 FRET 형광을 탐지하여 단시간에 보다 정확한 지노타이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질사배체인 인삼의 GBS 데이터를 가지고 KASP를 개발하고자 할 때, 파라로그한 지역의 SNP는 제거하고 단일 유전자자리의 SNP만을 발굴해낼 수 있는 파이프라인이 필요했다. 따라서 이번 연구 과정을 통해 보완된 파이프라인을 디자인하여 KASP 개발에 이용될 수 있는 SNP 발굴에 성공했고, 그 결과 핵 유전체를 대상으로 10개의 KASP마커를 개발할 수 있었다. 또한 엽록체 유전체를 대상으로도 KASP마커를 개발하였다. 먼저 변이 지역을 탐색하기 위해 국내 및 해외로부터 수집된 인삼 11개를 danLCW를 이용하여 엽록체를 완성하였고, 그 결과 156,355-156,356 bp에 이르는 엽록체 유전체를 완성하였다. 이는 86,128-86,129 bp의 LSC, 18,077 bp의 SSC, 26,075 bp의 IR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유전체 내에 79 개의 CDS, 30 개의 tRNA, 4 개의 rRNA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엽록체 유전체들은 총 6개의 그룹으로 나눠볼 수 있었고, 각 그룹은 서로 완벽히 일치하는 서열을 가진다. 그리고 이들 간의 변이는 6개의 SNP와 1개의 InDel로 확인되었다. 또한 보다 심도깊은 인삼의 엽록체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완성된 12개의 인삼 엽록체와 함께 비교하여 전체 23개의 인삼을 10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이들 간에 9개의 SNP, 6개의 InDel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핵 유전체와 엽록체 유전체의 단일유전자자리의 SNP를 기반으로 KASP마커를 개발하였고, 유전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구에 쓰인 94개의 인삼 개체를 그룹핑하고, 이들간의 근연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정보는 후에 인삼의 유전학적 연구의 기반이 될 것이며,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마커들은 다른 인삼 유전자원에 적용되어 육종 및 분류학적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P. ginseng belonging to the Araliaceae family is a member of Panax genus which has a variety of pharmacological effects. However, genetic studies of P. ginseng haven’t been conducted much due to the complex genome structure. It is arduous process to develop molecular markers without understanding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ginseng. To develop useful markers for ginseng breeding, high-throughput of SNPs were investigated through genotyping by sequencing (GBS) analysis using various ginseng genetic resources. The pipeline for calling out only single-locus-unique SNPs was designed and 10 Kompetitive allele specific PCR (KASP) markers were developed on the nuclear genome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llotetraploid ginseng. The chloroplast genomes of 11 ginseng genetic resources were also completed to detect intra-specific variations. For a deep study of chloroplast genome of ginseng, the sequences were compared with the chloroplast sequences revealed in the previous research. As a result, 9 SNPs and 6 InDels were detected among 23 individuals, and they were divided into 10 groups with the genotype data. Consequently, 14 KASP markers developed from single-locus-unique nuclear genome and chloroplast genome of allotetraploid P. ginseng were applied to 94 ginseng genetic resources and identified to be able to group them well. Also, they could be used for accurate genotypes and classifications and showed that intra-specific diversity of the breeding lines and wild collection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is information will provide valuable source to ginseng genetic diversity study as essential tools for ginseng breeding and classification.

      • August Gottfried Ritter(1811-1885)의 단일 악장 오르간 소나타에 관한 연구

        장예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리터(August Gottfried Ritter, 1811-1885)의 단일 악장 소나타에 대한 연구이다. 리터는 19세기 독일의 유명한 연주자와 교사, 작곡가였고, 음악적 리뷰와 평론지, 음악학 논설, 책의 저자로 명성을 떨쳤다. 리터의 이러한 업적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그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이유는 계몽사조 운동에서 비롯된 그 당시의 심미적인 견해 때문이다. 즉, 종교로부터의 자유를 갈구했던 분위기 속에서 교회 음악의 위치는 자연스럽게 낮아지게 되었고, 이 결과는 교회 음악에 대한 무관심으로 이어졌다. 리터는 이러한 시대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신념을 바탕으로 교회음악, 특히 오르간 음악에 몰두했으며 많은 업적을 남겼다. 리터는 변주곡, 푸가, 자유형식의 프렐류드, 코랄 프렐류드, 코랄 하모니제이션, 소나타, 토카타와 편곡 작품 등 140여개의 오르간 작품을 작곡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리터의 오르간 음악, 그 중에서도 그의 단일 악장 오르간 소나타에 대해 연구하였다. 리터의 오르간 소나타는 총 4곡으로, 그는 당시 정형화된 고전적인 피아노 소나타 양식에서 벗어나 ‘단일 악장’으로 구성된 소나타 양식을 사용하여 ‘오르간’만의 독자적인 색깔을 갖는 소나타 양식을 성립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리터는 헌정을 위해 작곡한 제 4번 소나타(op. 31)를 제외하고는 모두 단일 악장으로 된 소나타 세 곡(op. 11, op. 19, op. 24)을 작곡하였는데, 여기에는 네 가지의 이유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무팟(Georg Muffat, 1653-1704)의 ‘복합양식(multi-sectional)’ 작품에서의 영향이다. 리터는 무팟과 같이 서로 다른 성격의 부분들이 합쳐지며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힌 하나의 완성된 구조로 오르간 소나타를 작곡하고자 했으며, 그의 처음 세 개의 오르간 소나타에서 이러한 이상들을 예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북스테후데(Dietrich Buxtehude, 1637-1707)의 다섯이나 일곱 부분으로 이루어진 토카타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바로크 시대 소나타처럼 리터의 처음 세 개의 소나타는 장엄하고 선명한 토카타 부분으로 시작되는데, 이러한 방식은 토카타 장르에서의 북스테후데 작품을 연상시킨다. 셋째, 막데부르크(Magdeburg)의 음악학 교수 바이어(Martin Weyer, 1938-)가 리터의「소나타 3번(Sonata No. 3, op. 23)」의 서문에서 언급하는 것처럼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바이어는 리터의 제 3번 소나타 중 푸가의 테마구조와 악곡기법이 리스트의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넷째, 오르간 작곡스타일이 피아노 작곡스타일과는 분명히 구분되어야 한다는 리터의 견해와 관련이 있다. 리터는 그의『리듬적 코랄노래와 오르간 연주』(Rhythmischer Choralgesang und Orgelspiel op. 33)의 서문에서 “피아노를 상대로 한 작품들에서는 악장들이 아주 분명하게 구분되어야 한다.”라고 말하였는데, 이것은 오르간 음악에서는 부분들이나 단락들이 보다 잘 묶여져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리터의 오르간 소나타는 초기 건반음악으로의 의식적인 회귀를 보여준다. 많은 바로크 시대 작품들처럼 토카타 양식으로 시작되며, 서정적인 성격의 주제들과 즉흥적이며 대위법적인 부분들, 코랄적 요소, 레치타티브, 푸가적 부분들의 모티브적 관계를 통해 하나의 유기적인 전체로서 합쳐진다. 리터는 자신이 닮고자 했던 무팟의 ‘복합 양식’ 작품 경향을 3곡의 소나타를 통해 충실히 재현했으며, 또한 불협화음과 감7도 화음, 이명동음을 통한 전조등으로 오르간 소나타에 색채감을 부여하였다. 리터는 19세기 독일 낭만의 오르간 연주와 오르간 문헌, 더 나아가 교회 음악 전반에서의 ‘뛰어난 인재’였다. 그의 단일악장 소나타는 “한시적인 유행을 따르지 않고 변하지 않는 음악을 하겠다”는 리터의 음악적 신념하에 전통과 낭만을 ‘오르간’이란 악기에 맞게 재정립한 19세기 오르간 문헌에서의 걸작이며, 즉흥 연주에서 비롯된 그의 모든 음악적 기법들이 고스란히 녹아져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This thesis examines the life of August Gottfried Ritter(1811-1885), a noted organ player, as well as a teacher, a composer, and a writer of musicological reviews and books on the organ and its music in the 19 century. As a protestant, Ritter focused his attention on church music, especially on organ music. Ritter has composed about 140 music in his lifetime, including variations, fugue and free preludes, chorale preludes, choral harmonizations, sonatas, toccatas and transcription. The thesis concentrates on Ritter's sonatas that are in single-movement form, which gave organ sonatas a unique style, contrasting to standard classic piano sonatas at the time. Ritter's four sonatas compositions are all in single-movement (op. 11, op. 19 , op. 24), except his two-movement formed sonata No. 4 (op. 31), which is dedicated to Van Eyken. The reasons for Ritter's attention in single-movement form, can be analysed in four ways. First, influenced by Georg Muffat's (1653-1704) multi-sectional form, Ritter attempted to compose balanced sonatas with completed structure, combining Muffat's techniques. Ritter's first three sonata illustrates his ideal attempts. Second, Ritter had a stylistic dichotomy in the composition of sonatas for piano and organ. In his『Rhythmischer Choralgesang und Orgelspiel op. 33』, Ritter emphasized that sections should be well-organized in the structure of organ music. Third, as Martin Weyer indicates Ritter's sonata No. 3 as an example of Franz Liszt's (1811-1886) impact, Ritter's music is influenced by Liszt's fugue's theme structure and composition techniques. Fourth, Dietrich Buxtehude's (1637-1707) toccata formed in five or seven sections has also affected his music, and like the Baroque sonata, Ritter's first three sonata begins with extensive, brilliant toccata sections, which, in a manner recalling Buxtehude's work in this genre. The thesis also looks at various contemporary composers and their work, through investigating the 19 century's German romantic organ sonata.

      • Pre-bid clarification 문서 분석 중심의 공공건설프로젝트 입찰가격 변동성 수준 분류 모델 개발

        장예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lthough it is important to manage risk at the initial stag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that is, at the bid stage, there are many cases where it fails to calculate the appropriate bid price because it is not done properly. In particular, the bid document is one of the important risk factors in the bid phase because it contains many uncertainties in the documen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e - time construction project.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analyze all of the uncertain risk factors affecting the bid price in a short time, in business, it relies on the experience of practitioners or experts in predicting bid prices, and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qualitative solutions to risk management. Quantitative solutions are also based on statistical techniques based on virtual data or expert questionnaires rather than based on actual bid data, which has limitations in verification. In other words,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 between the uncertainty of the bid document and the actual bid price. In order to meet both the need for decision support tools that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final bid price in business and the academics' need for risk management research based on actual bid data, this research has developed a model to classify the bid price volatility level for the project bid data. The bid price volatility to be considered in this paper means the average of the bid price and the range of the bid price over the engineer’s estimate. In order to reflect the uncertainty of bid documents, which were previously regarded as uncontrollable risk, the research sought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classification model by using pre-bid clarification document as a proxy variable. First, variable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bid data were extracted and variables with high contribution were chosen by analyzing 13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risk factors. After that, 14 variables were identified as input variables in the model through the numeralization or categorization of the variable data. Pre-bid clarification document analysis showed that the project with high uncertainty of bid documents formed a relatively higher average of bid prices than those without, and the range of bid prices was relatively broad. This confirms that the uncertainty of the bid document affects the bid price.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ncertainty of the bid documents gives better results in terms of accuracy in classifying the level of volatility of bid prices, a classification model that includes 8 variables related to uncertainty of bid documents and a classification model that does not include those variables were developed and accuracy of both model was compar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del that reflects the uncertainty of the bid documents showed accuracy of 63.9% for the average bid price and 65.8% for the range in bid price volatility level classification, whereas the model that does not reflect the uncertainty of the bid documents showed accuracy of 37.5% for the average bid price and 42.5% for the range in bid price volatility level classification. Consequently, it is confirmed that the result is better whe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ncertainty of the bid document is reflected. This study ultimately has the following contributions. In the bidder 's view, the bid price should be calculated to increase the likelihood of winning the project and to guarantee the profit of the project within the limited bid preparation time. The bidder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fix or strategically change their bid price by comparing their bid price with the bid price average and range of the current project predicted through the cases of the past projects. In other w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ore reasonable decision support tool that bidders can use when determining the bid price based on actual bid data. In addition, from the view of the owner, it can be expected that unnecessary design change and increase of project cost will be reduced by contracting with the bid price which fully reflects the result of the risk analysis including uncertainty of the bid price. Moreover, the bid document is a document that the owner provides to the bidder. The result of this study that the uncertainty of the bid document affects the bid price suggests the positive effect of providing bid document with high quality. Although the actual bid price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actual bid documents containing the contents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on, there has been a limit to the difficulty in analyzing the actual bid data as the risk management research conducted based on the higher level of qualitative risk factor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variables were obtained from the actual bid data, and implies that the level of risk management research has deepened to the detail level based on the actual bid documents by reflecting uncertainty of bid document through pre-bid clarification document as a proxy variable, consequently providing the foundation of research that can make more effective risk management risk studies. 건설프로젝트 수행에 있어 초기단계, 즉 입찰단계의 리스크 관리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적정 입찰가격 산정에 실패하는 사례가 많다. 특히 입찰문서는 입찰가격 산정의 근거가 되는 기본 문서로서, 일회성이라는 건설프로젝트의 특성 상 문서 내 많은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어 입찰단계의 중요한 리스크 관리 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입찰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불확실한 리스크 요인들을 입찰 준비 기간이라는 짧은 시간 내에 모두 분석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현업에서는 입찰가격 예측 시 실무자 또는 전문가의 경험에 의존할 뿐 아니라 또한 학계에서도 리스크 관리에 있어 정성적 해결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정량적 해결책 역시 실제 입찰 결과 데이터 기반이 아닌 가상 데이터, 혹은 전문가 설문 기반의 통계적 기법을 활용한 연구로서 객관성 확보와 검증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즉, 입찰문서의 불확실성과 실제 입찰가격 간 영향에 대한 실증 분석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업에서의 최종 입찰가격 산정 시 활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도구의 필요성과 실제 입찰 결과 데이터 기반의 리스크 관리 연구라는 학계에서의 필요성을 충족하고자, 미국 캘리포니아 주정부 교통부(Caltrans)의 실제 공공건설프로젝트 입찰 결과 데이터를 대상으로 입찰가격 변동성 수준을 분류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입찰가격 변동성이란 예정가격에 대비한 입찰가격의 평균과 입찰가격의 범위(range)를 의미한다. 특히 기존에는 통제 불가능한 리스크(uncontrollable risk)로 간주되었던 입찰문서의 불확실성을 반영하기 위해 Pre-bid clarification 문서라는 대리변수(Proxy variable)를 활용함으로써 분류 모델의 정확도 제고를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입찰 결과 데이터로부터 획득 가능한 변수를 추출하고, 13개의 리스크 요인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설명력 있는 변수를 선별하였다. 이후 해당 변수들을 숫자화하거나 범주화하는 구체화 작업을 통해 총 14개의 변수를 모델의 입력변수로 확정하였다. Pre-bid clarification 문서 분석 결과 입찰문서의 불확실성이 높았던 프로젝트는 그렇지 않은 프로젝트에 비해 입찰가격의 평균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었으며, 입찰가격의 범위는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었다. 이를 통해 입찰문서의 불확실성이 입찰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입찰문서의 불확실성과 관련한 정보가 입찰가격의 변동성 수준을 분류하는 데 있어 정확도 측면에서 더 나은 결과를 제시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입찰문서의 불확실성과 관련한 8개의 변수를 포함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분류 모델을 개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입찰문서의 불확실성을 반영한 모델의 경우 입찰가격 평균 수준 분류 시 63.9%, 범위 수준 분류 시 65.8%의 정확도를 보였고, 반영하지 않은 모델의 경우 입찰가격의 평균 수준 분류 시 37.5%, 범위의 수준 분류 시에 42.5%의 정확도를 나타내어 결과적으로 입찰문서의 불확실성과 관련한 정보를 반영하는 경우가 더 나은 결과를 제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여도를 갖는다. 입찰자의 입장에서는 건설프로젝트 입찰 시 입찰 준비 기간이라는 제한된 시간 내에 프로젝트 수주 가능성을 높임과 동시에 프로젝트 수주에 따른 이윤 또한 보장할 수 있는 입찰가격을 산정해야 한다. 입찰자는 제시하고자 하는 입찰가격을 과거 프로젝트의 사례를 통해 예측된 현재 프로젝트의 입찰가격 평균 및 범위와 비교함으로써, 입찰가격을 확정하거나 전략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즉 본 연구의 결과물은 실제 입찰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입찰자들이 입찰가격 확정 시 활용할 수 있는 보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지원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발주자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입찰가격의 불확실성을 비롯한 리스크 분석의 결과가 충분히 반영된 입찰가격으로 계약을 맺음으로써, 추후 불필요한 설계변경 및 공사비 증가 요인을 다소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입찰문서는 발주자가 입찰자에게 제공하는 문서로, 입찰문서의 불확실성이 입찰가격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입찰문서 품질 제고의 필요를 환기시킴으로써 높은 품질의 입찰문서 제공이라는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입찰가격은 공사목적물의 구현을 위한 내용이 담긴 입찰문서에 기반하여 산정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이루어진 리스크 관리 연구는 보다 상위 레벨의 정성적 리스크 요인에 근거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실제 입찰 결과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이 어려웠다는 한계가 존재했다. 본 연구에서는 입찰 결과 데이터로부터 획득 가능한 변수를 활용하고, 특히 이 중 입찰문서의 불확실성을 Pre-bid clarification 문서라는 대리변수를 통해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리스크 관리의 수준을 실제 입찰문서 기반의 세부 단계까지 확장시켰으며, 보다 더 효과적인 리스크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연구의 기반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