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신재 연세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사회복지사의 가장 중요한 과업은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문제나 어려움을 스스로 해결하도록 하고, 자신의 안녕상태를 증진하도록 원조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개입의 초점은 문제를 해결하는 과업 중심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잠재적 능력과 자원을 규명하고 최대화하는 클라이언트 중심 혹은 인간 중심적이어야 한다. 이러한 사회복지의 개입 목표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변화매개체인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즉, 사회복지사가 자신의 잠재적인 능력을 현실화하고, 자원을 규명하여 최대화시켜야 클라이언트의 임파워먼트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궁극적으로 임파워먼트는 클라이언트, 사회복지사, 서비스 전달체계 등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사회복지 분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임파워먼트의 개념을 정리하고, 공공복지 실천현장에서 공적부조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직무특성, 조직풍토, 전문적 능력, 내외통제성 등의 요인들이 임파워먼트 수준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임파워먼트와 관련 요인들에 대한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연구모형과 연구가설들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 정도와 관련요인들을 측정할 수 있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 소재 12개 자치구에 근무하고 있는 395명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었으며, 응답자료 중 총 315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5점 만점에 3.4점 수준으로 중간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별로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 가운데 자기 임파워먼트와 조직구성원 임파워먼트는 3.5점 수준이지만 클라이언트 관계변화 임파워먼트는 3.2점으로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하였다. 전담공무원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특성, 조직풍토 및 전문적 능력에 있어서도 중간 수준을 약간 상회하는 정도였다. 그 가운데 직무특성이 3.8점으로 다소 높았고, 전문적 능력과 조직풍토는 각각 3.2점과 3.1점으로 중간 수준에 가까웠다. 둘째, 임파워먼트에 있어서 직무특성과 조직풍토 및 전문적 능력은 모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요인을 보다 세분화해서 보면 직무특성 차원 중 직무의 정체성과 권력성 차원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의 중요성은 조직구성원 임파워먼트에만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다. 그러나 기능 다양성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아 민간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조직풍토는 자율성과 직원 상호관계 차원이 전반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상체계(수준)는 자기 임파워먼트에만 영향을 미쳤고, 클라이언트 관계변화 임파워먼트에 대해서는 자율성만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전문적 능력에서 있어서는 전체 임파워먼트에는 보유 및 활용능력 모두가 영향을 미쳤다. 세부적으로는 자기, 조직구성원 임파워먼트에 활용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데 반해 클라이언트 관계변화 임파워먼트에는 보유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제변수 가운데 주요 통제변수인 내외통제성을 통제하였을 때 독립변수들의 영향력이 나타났는데, 통제소재에 따라서 다소 차이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보면 직무특성, 조직풍토, 전문적 능력이 임파워먼트의 각 하위차원에 대하여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졌다. 다만, 조직풍토는 클라이언트 관계변화 임파워먼트에서 내적통제집단의 경우에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독립변수 각각의 세부차원에서 역시 내외통제성을 통제하였을 때 독립변수들의 영향력이 나타났는데, 통제소재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먼저, 자기 임파워먼트 차원을 보면, 외적통제집단에서는 직무특성 가운데 권력성, 조직풍토 가운데 자율성, 전문적 능력 가운데 활용능력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내적통제집단에서는 직무특성 가운데 정체성과 권력성이, 조직풍토는 세 차원 모두가, 그리고 전문적 능력에서 보유 및 활용능력 두 차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자기 임파워먼트에 있어서 직무특성 가운데 권력성 요인과 조직풍토 가운데 자율성은 개인의 내외통제성을 통제한 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다음, 조직구성원 임파워먼트의 차원을 보면, 조직풍토 중 직원 상호관계가 외적통제집단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특성 가운데 정체성, 조직풍토 가운데 자율성, 직원 상호관계, 전문적 능력 가운데 활용능력이 내적통제집단에서만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조직구성원 임파워먼트는 개인의 성향을 통제한 후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유일하게 조직풍토 중에서 직원 상호관계 차원이었다. 마지막으로, 클라이언트 관계변화 임파워먼트 차원을 보면, 외적통제집단에서는 전문적 능력 가운데 보유능력과 활용능력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내적통제집단에서는 직무특성 중 정체성, 조직풍토 중 자율성, 그리고 전문적 능력 가운데 보유능력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각 요인들 가운데 활용능력은 외적통제집단에서만 클라이언트 관계변화 임파워먼트에 영향력을 가졌으며, 직무특성에서 정체성, 조직풍토에서 자율성은 내적통제집단에서만 영향력을 가졌다. 그리고 내․외통제집단과 관계없이 두 집단에서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보유능력이었다. 따라서 내외통제성을 통제한 후에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체와 클라이언트 관계변화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친 보유 능력이었다. 그 외에도 자기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친 권력성 차원, 조직구성원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친 직원 상호관계 차원 등은 개인의 통제소재라는 성향을 넘어서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공적부조 영역에서 클라이언트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를 강화하는 접근이 유용하다고 제안할 수 있겠다. 이를 위하여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인적자원개발의 측면에서 전담공무원들의 능력을 개발하는 일이다. 현재 공공복지 영역에서는 보수교육이 제대로 실시되지 않고 있는데, 전문직으로서의 능력개발을 위해 저소득층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기반한 상담기법, 실천기술, 사회복지 이론 적용 등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 및 훈련이 시급히 요청된다. 또한 전담공무원들도 스스로의 전문적 능력을 그리 뛰어나지 못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것은 전문가로서 사회복지사를 인정하려는 사회적 기대와는 상치되는 것으로서 전문직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감을 함양하기 위해서 가장 요청되는 것은 사회복지사 스스로의 능력뿐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제도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도 자신의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또한, 직무특성 및 조직풍토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먼저 직무특성과 관련하여 행정체계에서는 수급자 선정, 급여 지급 등 기존의 단편적인 업무를 지양하고, 전담공무원의 역할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정확한 업무지침의 개발이 필요하며, 복지업무만을 담당할 수 있도록 직무설계가 명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전담공무원이 수행하는 모든 업무는 클라이언트의 삶과 매우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점을 항상 명심하고 그들의 권익을 위해서 항상 최선을 다하는 자세를 견지해야 할 것이다. 조직풍토에서는 보상체계 보다는 지시와 지배의 위계적 구조에서 탈피하여 개인의 자율성을 인정해주며 조직구성원간의 우호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 역점을 두는 체제로 조직구조를 전환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2004년에 실시되는 복지사무소 시범사업은 일선 전달체계의 성공적 전환을 위한 시금석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임파워먼트의 증진요인에 대한 개발은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인의 통제소재에 대한 접근법을 차별화하여 구체적으로 적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로서 임파워먼트의 이론화 작업이 뒤따라야 하며, 임파워먼트와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을 지속적으로 검토하여 검증해 나가는 작업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 외에 클라이언트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해 다양한 분야와 집단을 대상으로 한 실질적인 임파워먼트 접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most important task for social workers is supporting clients to solve their problems by themselves and to improve their own welfare. Social workers must concentrate on not to solve problems but to develope and maximize the clients'' potential capability and resources. This is a client-centered or human-centered approach. In order to achieve these intervention goals, social workers, who are mediating agents, must be empowered before the clients are empowered. When the social workers can develope their own potential capability, it is possible to empower their clients. Therefore, empowerment can be considered as an possible alternative for social workers, clients and service delivery system.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concept of empowerment and to examine the level of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who are dealing with public aid programs in pubic sector. It also tries to prov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s between some factors such as job specification, organizational climate, professional capability and internal external control, and the level of empowerment.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are suggest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f empowerment and other relevant factors. With these model and hypothesis, a survey is developed to measure the level of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and its relationships with the relevant factors. The subjects of survey are 395 social workers in 12 different provinces in Seoul and 315 are included in the research. Major research findings ca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is 3.4 of 5, which is not that high but slightly over the mid-level. More specifically, while the level of self empowerment and worker relationship empowerment is 3.5, the level of worker-client relationship change empowerment is 3.2 representing relative weakness on perceiving the relationship with client positively. The level of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about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limate and professional capability are also a little bit over the mid-level. The level of job characteristics is 3.8, highest among them, and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limate professional capability are 3.2 and 3.1 each. Second,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limate and professional capability make strong influence on empowerment. Among the influencing factors, while job identity and power in the category of job characteristics turn out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overall empowerment, the importance of job in the same category makes significant influence only on the worker relationship empowerment. However, functional difference in the category does not turn out to be significant.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ies which have focused on the social workers in private sector.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is influenced by autonomy and the relationship with coworkers. The compensation system makes influence on self empowerment and autonomy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empowerment for worker-client relationship change empowerment. The demension of professional capability have influence on the social wokers''s empowerment. The level of utilization capability have influence on worker relationship empowerment and capability of retain makes influence on worker-client relationship change empowerment. Finally, the independent variables show up influence with controlling of major control variable of internal external control but i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locus of control. Overall,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limate and professional capability make significant influence on each sub-levels of empowerment. However, the organizational climate significantly influences only on the internal control group in the empowerment for the relationship with clients. With the controlling of locus of control, the individual variables in their sub areas show up some influences although it is differentiated by locus of control. In the category of the self empowerment, power in job characteristics, autonomy in organizational climate and capability of utilization in professional capability in the external control group have influence. In the internal control group, identification on job characteristics, autonomy, the level of compensation and mutual relationship among the employees in organizational climate and the capability of possession and utilization in professional capability have significant influence. As regarding self empowerment, identification of job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compensation and mutual relationship among the employees in organizational climate and the capability of possession have influence only in the internal control group. In the category of worker-client relationship change empowerment, the capability of possession and utilization in professional capability have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external control group. Identification in job characteristics, autonomy in organizational climate, and capability of possession in professional capability have influence in internal control group. Finally, about the worker relationship empowerment level, compensation system and mutual relationship among the employees in organizational climate have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external control group. Based on this study, to empower the clients in public sector, empowering the social workers is an useful strategy. To empower the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there should be some change i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limate in term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First of all, as regarding job characteristics, a clear job description should be developed to confirm the role of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The workers can concentrate on welfare related work instead of doing many fragmented jobs such as selecting recipient and granting aid. As regarding organizational climate, improving the level of autonomy and making positive relationship among members in organizations, instead of compensation system, are important. There should be various practical education and training to improve professional ability of the workers such as counselling skills, various intervention skills, application of social work theory, especially useful for low-income clients. In developing strategies to improve empowerment, individual worker''s characteristics and locus of control should be considered. Finally, researches which are theorizing empowerment and examining various components of empowerment should be continued. In addition, empowering programs for various groups and areas should be developed.

      • 한국과 미국의 자본이득 과세제도의 비교

        장신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반적인 자본자산에 대한 자본이득에 따른 과세의 개념 및 특징들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선진국인 미국의 자본이득과세에 대하여 분석한 후 현행 우리나라 자본이득과 비교하여 우리나라 자본이득의 문제점에 대하여 시사해 보았다. 현재 우리나라는 비상장주식과 상장주식의 일부분, 특정주식, 부동산 그리고 기타자산을 자본이득 과세대상으로 보고 과세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과세대상 자산별 보유단계와 처분단계로 구분하여 미국의 자본이득에 대한 과세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자본이득 과세제도는 자본이득에 따른 경제적 효율성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발전되어 과세원칙이 제대로 정립되지 못하고, 세재내 또는 세제간의 공평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주식관련세제는 자본시장활성화를 위해 일부 상장주식 및 특정주식을 제외한 상장주식을 비과세 함으로 인하여 조세의 수평적 공평성의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는 자본시장의 활성화 취지로 비과세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장기적으로 살펴 볼 때 현재보다 자본시장이 발달하고 주식매매거래가 늘어나게 되면, 상장주식의 비과세제도는 현재보다도 더 크게 조세의 형평성에 어긋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될 것으로 사료되므로 현재 일부의 상장주식의 양도차익에만 과세하고 있는 자본이득 과세 제도에서 모든 상장주식의 양도차익에 대하여 과세하는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조세의 공평성의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판단된다. 다만, 지금 급진적으로 상장주식의 양도차익을 과세하는 것은 자본시장, 국가재정, 경제에 부정적인 효과를 갖게 될 것이므로 이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식의 양도차익에 대한 과세기반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며, 세율은 현재보다 저세율로 과세하고, 현재 과세하고 있는 증권거래세를 비례적으로 낮추다가 궁극적으로는 폐지해나가 증권거래세보다는 주식양도차익에 따른 과세로 바꾸어 나가는 편이 조세의 공평성 측면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부동산 양도소득세는 현재 보유요건과 거주요건을 충족한 1세대 1주택의 양도차익을 비과세 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1세대 1주택의 비과세 제도는 자본이득과세제도의 취지와는 대치되는 일로 소득세제 전체와 조화를 이루지 못해서 응능부담의 원칙을 저해 할 뿐만 아니라 구별없이 비과세 되는 양도차익의 크기 때문에 조세의 수평적 공평성을 저해하며, 비과세는 양도소득세의 신고 의무가 없으므로 납세당국의 입장에서 거래가액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비과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과세 정책을 특별공제나 장기보유공제 또는 주택공제 등의 충분한 소득공제를 통해 면세하거나 경감하는 제도로 전환하여, 양도소득세를 신고함으로 납세당국은 거래가액을 파악하고, 일정한 조건의 면세로 수평적 공평성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우리나라는 현재 자본자산 중 비상장주식, 일부 상장주식, 토지, 건물, 부동산의 권리 및 기타자산의 양도로 인하여 발생한 소득 등 자본이득 자산 중 일부만을 자본이득에 대한 과세대상으로 보고 과세하고 있다. 이는 조세의 수평적 공평성을 저해 할 뿐 아니라 과세대상의 양도차익을 과세하지 않는 비과세소득으로 전환하므로 인해 조세회피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렇기 때문에 현재의 자본이득의 과세대상을 일부 주식과 부동산 외에 미국과 같이 금, 은 등 보석류와 일반적인 자산의 양도, 골동품 등을 포괄적으로 과세기반에 포함하여 모든 소득의 과세가 동일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여 현재 일부 자본이득과세에 따른 수평적 공평성의 문제점을 개선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다만, 과세기반이 확장됨에 따라 납세자들의 부담이 증가하지 않도록 현재의 세율보다 낮은 세율로 인하하고, 장기보유공제, 특별공제와 같은 공제제도와 면세제도, 경감제도를 두어 납세자의 편의를 고려하는 개선방안이 도입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부동산 양도소득세의 경우 3년 이상 장기 보유한 토지나 건물 등의 양도소득을 산정함에 따라 장기보유특별공제액을 공제하도록 하여 인플레이션에 의한 가공이익의 제거 및 건전한 투자를 장려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제는 현재 부동산 양도소득에만 일어날 뿐, 주식의 양도소득세에 대해서는 적용되지 않고, 부동산 양도소득의 세율에 비하여 낮은 세율로 과세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자본이득 과세 취지에 부합하고, 조세의 수평적 공평성에도 위배되는 일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식의 양도차익에도 일정한 장기보유특별공제를 허용하고 같은 소득종류 간의 형평성 있는 과세를 적용하기 위하여 현재 단기에는 누진세율을 장기에는 비례세율을 적용하는 체제에서 단기와 장기 모두 비례세율을 적용하는 체제로 전환하여 이미 발생하고 있는 이자소득 및 배당소득에 대해 비례세율을 적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만드는 방법으로 개선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위에 언급한 몇가지 개선방향 만으로는 소득세법 본질의 취지에 접근했다고 볼 수 없으나 단지 정부의 수익환수사업과 정부정책으로 경제적 효율성에만 집중하여 발달된 자본이득 과세체계를 공평성 측면 부분에 관심을 가지고 보완하여 소득세법의 원칙인 경제적 효율성 측면과 공평성측면 모두 충실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문헌과 참고자료를 통하여 자본이득에 대한 세제에 대하여 개선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나, 이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개선방법을 제시했을 뿐, 실증분석이나 실제 도입된 실행결과에 대해서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앞으로 이러한 자본이득 과세체제에 대한 실증분석이나 또는 다른 국가의 실행결과를 이론과 함께 포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research intended to investigate background of Korean capital gain taxation, and compare and analyze Korean and U.S. capital gains taxation, and inquire into problems caused due to the current tax system. And it aimed at finding measures to make the capital gains tax system effective and equitable. The current U.S. capital gain tax system is faithful to the principle of taxation on a substantial income earner. On the other hand, since Korean has been excessively emphasized economic efficiency of taxation system, the problem relating to tax fairness rears up. So, this research tried to find measures which can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in order to improve the capital gains tax system. First, the scope of taxable objects for capital gains tax in Korea is narrower than that the scope of taxable objects for capital gains tax in the U.S. At present, taxable objects for capital gains tax in Korea include only some items: real estate, specific stocks(unlisted stocks and some specific stocks) and rights concerning real estate. On the other hand, taxable objects for capital gains tax in the U.S. including car, jewelry and all sorts of stocks, are various. Such taxable objects in the U.S. were helpful to find measures to improve Korean taxation system which has the problem relating to tax fairness. Second, almost listed stocks except some listed stocks are currently exempt from taxation in Korea for the purpose of activation of capital market. However, in long-term perspective, such a taxation system will aggravate the equity of tax burden because of development of capital market and increase of stock exchange transactions.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impose tax on all stocks. Third, the policy on exemption of tax for transfer of one house per household satisfying certain conditions concerning capital gains tax doesn't coincide with the object of capital gains tax system, and is not harmonized with overall income tax system, and, finally, hampers the ability-to-pay principle. Besides, since there is no obligation to report the transaction price, it is difficult for tax authority to know precise transaction price.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change such a taxation system to the tax-exemption or tax-cut system through adequate income deduction. And such a new system will conform to the principle of taxation on a substantial income earner. Finally, as for capital gains on real estate, the special deduction for long-term holding is applied to capital gains on real estate including land or building possessed for more than three years, not to all incomes. So, the problem of unfair taxation on incomes caused due to such a fact.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classify incomes into two types, that is, short-term and long-term income, and then apply different tax rates to incomes according to the type of incomes: it will contribute fair and equitable taxation on incomes based on types of incomes. Certainly, it is not enough to take the above-stated measur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essential object of the Income Tax Law. And this paper doesn't suggest the radical change. It suggests to supplement fairness to the current tax laws of Korea which developed capital gains taxation through governmental profit redemption project and policy, and, develop capital gains tax system to satisfy economic efficiency and fairness which are principles of Income Tax Law. This research tried to find measures to improve the tax system relating to capital gains through many literatures and references. It just suggested the solutions on the basis of theoretical content concerning taxation, but couldn't perform empirical analysis or confirm the result of application of taxation system introduced actually. 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on capital gains tax system or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results of practices in other countries based on related theories.

      • A quasi-experimental study for a new curriculum model for Korean learners of English in the republic of Korea

        장신재 Univ. of South Carolina 1991 해외박사

        RANK : 247615

        한국 중등교육과정에서 보다 효과적인 영어교육모형을 찾고자 기본적으로 현장실험과 기존연구분석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현장실험은 서울의 네 중고 등학교에서 수행하였고, 기존연구분석은 언어학, 심리학, 교육학 세 분야에서 실행하였다. 이는 영어교육과 연관되는 모든 분야의 통찰을 통하여 통합적으 로 현장적용 가능성을 찾아보기 위함이었다. 현장실험에는 학생 412명, 교사 네명이 동원되었으며 실험기간은 한학기였 다. 실험전후의 성적을 비교하여 t값으로 통계처리하였다. 교수방법을 변수 로 하였고 남녀를 외변수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에 의해 제안된 통합 방법과 구두청각방법을 남녀중학교 이학년에서 비교하였고, 통합방법과 인지 적방법을 남녀고교 일학년에서 비교하였다. 실험결과는 남녀구별없이 중고교 에서 통합방법이 . 05수준에서 유의적 우위성을 보였다. 기존연구분석에서는 언어학, 심리학, 교육학 세 분야에서 각 주장을 세 주 류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고 각 주장의 공통점을 논의하였다. 즉, 언어학의 구조주의, 생성문법주의, 기능주의는, 심리학의 행동주의, 인지주의, 인본주 의심리학과, 그리고 교육학 이론의 분석주의입장, 현상학적입장, 비판적입장 과 각각 공통점을 갖는다는 점을 논술하였다. 세 주장들은 서로 상치되는듯 하나, 현장교육에서는, 특히 영어교육현장에서는 오히려 모두 택하여 적절한 순서로 배열하여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지적하였다. 현장실험결과와 기존연구분석에 더하여 영어교육모형 결정에 주요요인이 될 현실요인으로 학생, 교사, 교육환경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결론으로 제시 되는 새로운 영어교육모형은, 관련되는 모든 분야의 지혜를 모아 이를 현실요 인을 통해 걸러 만들어진 것이며 따라서 무엇을 어떻게에 더하여 왜 영어를 배우고 가르쳐야 하는가를 포함하는 모형이다.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EFL teaching methods in Korean public schools is badly needed. English proficiency is of vital importance in modern Korean society, nevertheless, even after extensive formal training, students are unable to use English effectively. Any EFL teaching method used must suit the unique Korean school situa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overcrowding and exam-orientedness, To find a better EFL teaching method in Korean schools, a quasi-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in four high schools in Seoul. An integrated method w a s compared with the audiolingual method in junior high school classes and with the cognitive method in senior high school classes. 412 students and four teache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which lasted for one semester.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given and t value was applied to evaluate the results statistic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grated method was significantly superior to both the audiolingual method and the cognitive method for Based literature both boys and girls. on the statistical data from the experiment and in the field of ESL/EFL teaching, a teaching EFL for Korean learners of English in was developed. The model is an integrated one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following fields: psychology, and the curriculum paradigms. the new model shows that all the theories The new model of high schools including all linguistics, rationale of are ompatible and all the related fields should be combined to develop a better method of teaching EFL. The model also takes into account reality factors: teachers, students, and teaching circumstances.

      • Do new media substitute for old media? : A panel analysis of daily media use

        장신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개인의 시간대별 미디어 이용행태를 기록한 미디어다이어리 자료를 이용해 미디어 간 이용자 대체 또는 보완관계를 추정한다. 개인 특유의 미디어 이용 경향으로 인한 추정편의를 제거하기 위하여 패널 고정효과 모형을 사용한다. 분석결과 인쇄, TV, 컴퓨터 간에는 유의한 대체관계가 나타난 반면 전화와 컴퓨터 이용 간에는 보완관계가 발견되었다. 미디어(기기)를 보유한 표본만으로 동일한 추정을 한 결과 미디어 간 대체·보완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특정 목적 하에서 대체관계를 분석한 결과 더 적은 종류의 미디어 간에 대체관계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지상파·지상파TV 실시간 시청행위 하에서는 TV와 컴퓨터, 영화·동영상 시청행위 하에서는 컴퓨터·촬영기기와 비디오기기, 신문기사읽기행위 하에서는 종이매체와 컴퓨터, 마지막으로 정보콘텐츠 이용행위 하에서는 컴퓨터와 전화기가 대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estimate the user substitutability and complementarity of media by using media diary data on the media use of individuals over the course of three days. Fixed effects panel data models allow us to eliminate possible bias due to individual-specific media use propensity. We observe significant substitution among paper, television and computer use, while telephone and computer use seem to be complementary in time of use. The magnitudes of substitutability and complementarity become larger if we control for subscriptions or the possession of media devices. For specific actions and purposes of use, there is substitutability within a smaller set of media. Televisions and computers exhibit substitutability for `watching real-time television,' computers and cameras act as substitutes for video devices for `viewing movies/videos,' paper and computers exhibit substitutability for `reading news articles,' and computers and telephones substitute for one another in `using informative co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