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포스트모더니즘 성향을 내재한 패러디 발레 <호두까기 인형> 작품 구성에 따른 상호 교차적 연구 : 마크 모리스와 모리스 베자르를 중심으로

        장소정 한양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공연 문화가 대중화 된 21세기 한국 사회에서는 창작 발레의 형태가 더욱 다양화 되는 추세를 보인다. 이러한 창작 발레는 어린이의 건강과 문화적 소양을 향상하는데 긍정적 효과를 준다. 대중에게 익숙하고 참신한 클래식 발레를 재해석한 형태의 공연은 가족 단위의 관객을 증가시키는 등 공연 문화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원전 클래식 발레를 패러디한 발레는 동시대의 시대상을 반영하여 대중에게 재미와 흥미를 유발한다. 전통성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려는 의미론적 가치도 내재하여 무용 공연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공연 기획자 및 전반적인 공연의 부가 가치를 창출한다는 장점을 지닌다. 패러디 되고 있는 수많은 발레 작품 중 <호두까기 인형>은 남녀노소를 만족시킬만한 요소들을 가지고 있는 대중 발레이다. 친숙한 클래식 발레 작품인 <호두까기 인형>은 안무학적 해석과 표현 방법이 음악의 완성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끊임없이 다양하게 패러디 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모더니즘 성향을 내재한 패러디 발레 <호두까기 인형>의 작품 구성을 상호교차적인 방법으로 연구한 것으로 마크모리스와 모리스 베자르의 두 작품 비교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마크 모리스와 모리스 베자르에 의한 패러디 발레 <호두까기 인형>에 나타난 유사점을 두 안무가의 안무 접근 방법의 유사점과 포스트모던댄스에 나타나는 유사점인 움직임의 확장, 미니멀리즘의 반영, 예술 장르간의 경계 해체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마크 모리스와 모리스 베자르는 유년기 시절 겪었던 사회적 환경이 그들의 성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두 안무가는 그들의 안무 작품을 제작하기 전에 안무의 외적 요소를 접근하는 데 있어 음악과 의상의 해석에 시대성을 반영한 연출을 하였다. 마크 모리스와 모리스 베자르는 현대에 맞게 음악적 형태를 변화시키거나 음악과 연관되는 움직임을 재창조하였고 의상에 있어서도 과거의 ‘튜튜’ 사용을 부정하여 시대성을 반영하는 의상을 사용하였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작품의 상이점으로는 패러디 발레 <호두까기 인형>에서의 1막의 하이라이트 장면인 눈송이 춤 장면을 선정하여 안무가의 내적, 외적, 미적 특성으로 나누어 안무가의 안무 성향에 따른 작품 구성을 살펴보았다. 패러디 발레 <호두까기 인형>의 눈송이 춤의 내적 요소별 미적 특성의 상이점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스토리텔링의 현대적 변화로 인해 장면을 해석하는 데 있어 색다른 안무 구성을 나타냈음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점으로 음악을 사용하는 데 있어 마크 모리스는 원곡 그대로의 음악을 사용했지만 모리스 베자르는 자신만의 음악적 해석으로 <호두까기 인형>에서 차별적인 해석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무대 장치, 무대 의상, 움직임의 구성을 외적인 요소로 나누어 미적 특성의 상이점을 살펴본 결과 안무가의 가치관과 철학의 차이로 인한 해석이 작품을 통해 각기 다르게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해석의 차이가 눈송이 춤의 스토리텔링을 변화 시켰고, 이는 미국과 유럽의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석과 안무 접근 방법의 차이점과도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의 포스트모더니즘을 내재한 마크 모리스와 모리스 베자르의 패러디 발레 <호두까기 인형>의 작품 구성에 따른 상호 교차적 연구를 통해 시대적 상황과 안무 접근법을 동시에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시대를 반영하는 안무의 변화와 역동성을 알아보는 것도 가능하였다. 패러디 발레 <호두까기 인형>은 시대가 변함에 따라 변화를 반영하는 외적 요소들을 활용하여 융·복합적인 형태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친숙한 소재를 변화 시킨 작품 <호두까기 인형>은 관객에게 호기심을 불러 일으켜 관객의 공연 관람에도 긍정적 영향을 끼쳐 발전적인 공연문화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국내 패러디 발레의 활성화와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는 이러한 연구는 특정 안무가의 안무법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을 통해 교육자, 안무가 등에게 심미적이고 철학적 안무 접근법을 제시하기에 지속되어야 한다. 본 연구와 향후 계속적인 안무가의 작품 구성을 통한 이해와 해석은 안무가들에게 독자적인 안무법을 개발하기 위한 하나의 지침서로 활용되어져 독창적인 안무법을 완성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된다. 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패러디 발레 <호두까기 인형>이 등장하여 양적으로만 확산된 공연이 아닌, 질적으로 완성도 있는 공연으로 제작되길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패러디의 방법을 통해 발레 작품들이 발전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형태로 수준 높게 재탄생되길 바란다.

      • 유아기 자녀를 둔 일반가정과 중국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양육참여에 대한 어머니 인식 비교

        장소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반가정과 중국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양육참여 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을 비교해보고 인구사회학적 변인별 차이를 분석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 일반가정 아버지와 중국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하며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일반가정 아버지와 중국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하며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일반가정 어머니 150명과 중국 다문화가정 어머니 127명이다. 연구도구는 송수길, 윤창영, 이종일(1998)의 어머니가 인식한 아버지 양육태도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에서 아버지의 양육태도 설문지를 수정, 보완한 것과 Hawkins, Bradford, Palkovitz, Christiansen, Day와 Call(2002)의 아버지 참여 도구를 연구자가 번역하여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해 SPSS 18.0 Program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행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Cronbach's 계수를 산출하였고 일반가정과 중국 다문화가정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어머니가 인식한 일반가정과 중국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양육참여의 전반적인 분포와 경향을 비교해보기 위하여 기술 통계 및 t-검증, 이원분산분석(two-way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정방법으로 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대하여 어머니는 아버지가 평균 이상의 양육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였고 민주적 태도가 가장 높으며 상대적으로 능동적 태도가 낮다고 인식하였다. 일반가정의 아버지에 비해 다문화가정 아버지는 상대적으로 낮은 양육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였고,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자녀 연령, 가정의 총 수입, 어머니 직업 유무, 어머니 학력, 아버지 학력에서 어머니의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대하여 어머니는 아버지가 평균 이상의 양육참여를 하고 있다고 인식하였고 칭찬과 애정이 높으며 상대적으로 훈육적 참여수준이 낮다고 인식하였다. 일반가정의 아버지에 비해 다문화가정 아버지는 낮은 양육참여를 하고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자녀 연령, 자녀 수, 가정의 총 수입, 어머니 직업 유무, 아버지 학력에서 어머니의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가 다문화가정 부모의 특성 및 자녀의 발달 특성을 이해하여 양육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을 줄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others' perceptions on child-rearing attitudes and parent involvement levels of fathers between ordinary and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For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Question 1. How are the mothers' perceptions on child-rearing attitudes of fathers between ordinary and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having young children? Question 2. How are the mothers' perceptions on parent involvement levels of fathers between ordinary and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having young children? To conduct this research,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150 mothers of young children in ordinary and 127 mothers of young children in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wo instruments were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mothers' perceptions on child-rearing attitudes and parent involvement levels of fathers. The child-rearing attitude questionnaire which was made by Song, Yoon, and Lee(1998) was readjusted and complemented. The parent involvement questionnaire which was made by Hawkins, Bradford, Palkovitz, Christiansen, Day, and Call(2002) was also readjusted and complement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by SPSS 18.0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data analysis and t-test to compare mothers' perceptions on child-rearing attitudes and parent involvement levels of fathers between ordinary and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as utilized to detect group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o-democratic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perceptions on child-rearing attitudes of fathers between ordinary and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average. In terms of child-rearing attitudes of fathers, mothers had higher perceptions on democratic guidance than active participation. Mothers in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had relatively lower perceptions on child-rearing attitudes of fathers than those in ordinary families.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child age, family income, mother’s occupation,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the mothers' perceptions on parent involvement levels of fathers between ordinary and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average. In terms of parent involvement levels of fathers, mothers had higher perceptions on praise and affection than discipline. Mothers in 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had relatively lower perceptions on parent involvement levels of fathers than those in ordinary families.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child age, child number, family income, mother’s occupation, and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 문학적 참조로 살펴본 레안드로 에를리치(Leandro Erlich) 설치 작업 연구

        장소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s installation works of Leandro Erlich(1973-), a contemporary artist, who is active internationally on the global stage, with his literary reference, considering that he is influenced by the literature of Jorge Luis Borges (1899-1986), a pioneer of Postmodern literature from Argentina. Erlich was born in Buenos Aires, Argentina, and is a representative conceptual artist in Argentina working in various media such as architecture, installation, sculpture, and media art. Thus, his identity is rooted in Latin America, and its influence should not be overlooked. Before diving straight into Erlich's installation works, this thesis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Magical Realism', which is the literary genre of Latin America, his root. Further, this thesis discusses the metafiction characteristics of Borges and the illusion that appears through the symbolic device of a mirror that Borges used in his literature.The thesis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Erlich's works in two separate ways: a illusion image that appears in an ordinary space, and the one in a Heterotopia space that Erlich embodies. First, Erlich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objects and spaces in the context of daily life, and is greatly inspired by that are common and things familiar to us. By applying unfamiliarity to this familiarity, Erlich confuses the audience's perception and maximizes the illusion. In this context, reflective images of water and mirrors are devices used to create the illusions in ordinary spaces, and shake the audience's perceptions through the both presence and absence of reflective features. In particular, a mirror, used as a deception device installed by Erlich, leads the audience to experience a heterogeneous experience in which he/she becomes the subject, gazing through a mirror in his works. This thesis, analyzes this based on the mirror stage and gaze theory of French psychoanalyst, Jacques Lacan (1901-1981). In addition, it further discusses that the same characteristics are seen in Borges' literary works. In summary, the thesis attempts to find a connection between Borges's literature and Erlich's work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m.The concept of 'Heterotopia' was first advocated by the French post-structuralist and philosopher, Michael Faucalt (1926-1984) in his book The Order of Things,(1966) and its origin can be found in the text of Borges. In this thesis, it notes that the concept of Heterotopia was in fact inspired by Borges' literature, and its first introduction was built for a 'literary space', then, the thesis continues to the discussion by describing the concept in a practical space. Erlich's works, The Symbol of Democracy(2015) and Tourism(2000), can be seen as a space of 'Heterotopia' in that the incompatible spaces in reality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works. Even though Erlich, who has been introduced through numerous solo exhibitions in Korea, and is known as a contemporary artist active worldwide, there have not been many academic researches on him and his works. Therefore, the thesis attempts to provide aesthetic analysis by extending Erlich's installation works not only in the field of art, but also in the field of literature. This study can be viewed significant in analyzing the multi-layered world of Erlich's works along with various discourse, and in pointing out that Elrich works are based on Borges' literary reference. 본 논문은 전 세계를 무대로 국제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동시대 미술가 레안드로 에를리치(Leandro Erlich 1973-)의 설치 작업이 아르헨티나 출신의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선구주자,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Jorge Luis Borges, 1899-1986) 문학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고 에를리치의 설치 작품을 ‘문학적 참조’의 개념으로 바라보며 분석한다. 에를리치는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아이레스(Buenos Aires)에서 태어났으며, 건축, 설치, 조각, 미디어아트 등 다양한 매체로 작업을 하는 아르헨티나의 대표 개념미술가이다. 따라서 그의 정체성은 라틴아메리카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것의 영향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본 논문에서는 본격적인 작품의 분석에 앞서, 그의 자국의 뿌리인 라틴아메리카의 문학적 경향인‘마술적 리얼리즘(Magical Realism)’이 형성된 역사적 배경과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이의 선구 주자였던, 1세대 작가로서 보르헤스의 메타픽션(metafiction)적 특성과 거울의 장치를 통해 발생하는 환상에 집중하여 살펴본다. 본 논문은 에를리치의 작품의 특성을‘일상적 공간에 나타나는 환영적 이미지’와, 에를리치가 구현한‘헤테로토피아 공간’두 가지로 나눠서 분석한다. 먼저 에를리치는 일상의 맥락으로 사물과 공간에 주목하며, 우리에게 익숙한 것들에서 영감을 받는다. 에를리치는 이러한 익숙함에서 낯설게 하기를 통하여 관람자 의식을 혼란스럽게 하고, 환영을 극대화한다. 이때, 물과 거울의 반영적 이미지는 일상적 공간에서 환영을 만들어내는 장치로, 반영적 특성의 존재와 부재를 통해 우리의 인식을 흔들어 놓는다. 특히‘거울’은 에를리치가 설치해 놓은 눈속임 장치로 사용되면서, 관람자들은 작품 안에서 거울로 서로를 응시를 통해 바라보며 서로가 주체가 되기도, 타인이 되기도 하는 이질적 경험을 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프랑스 정신분석학자 자크 라캉(Jaques Lacan, 1901-1981)의 거울단계와 응시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한다. 또한 보르헤스의 문학 작품에서도 이와 같은 특징이 보이는데, 보르헤스의 작품과 에를리치의 작품에서 주체와 타자의 관계 유사점과 다른 점을 비교·분석하며 보르헤스와의 연결점을 찾고자 한다. ‘헤테로토피아’의 개념은 프랑스의 후기구조주의자이자 철학자였던 미셸 푸코(Michael Faucalt, 1926-1984)가 그의 서적『말과 사물(The Order of Things)』(1966)에서 주창한 개념으로, 보르헤스의 텍스트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헤테로토피아의 개념을 보르헤스의 문학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첫 시작은‘문학적 공간’을 위해 지어졌다고 보고 이에 대한 실재적 장소로 논의를 이어가 보도록 한다. 에를리치의 작품, <상징의 민주주의(The Symbol of Democracy)>(2015)와 <여행자(Tourism)>(2000) 는 현실에는 양립할 수 없는 것을 병렬적으로 배치했다는 점에서 ‘헤테로토피아’의 공간이라고 볼 수 있다. 국내에서도 다수의 개인전을 통해 소개된 바 있는 에를리치는 이처럼 국제적으로 왕성히 활동하고 있는 동시대 작가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학술연구는 미진한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에를리치의 작업을 미술의 영역에 그치지 않고 문학의 영역으로 확장하여 미학적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처럼 본 연구는 다층적인 에를리치의 작품세계를 다양한 담론과 함께 분석해 봄과 동시에 이것이 보르헤스의 문학적 참조에 있다는 것으로 방점을 찍는 데서 의의가 있다.

      • Functional Analysis of Candidate Genes Controlling Carotenoid Contents in Capsicum Fruit

        장소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Pepper (Capsicum spp.)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horticultural crops in the world. The diverse fruit colors of peppers (Capsicum spp.) are due to variations in carotenoid composition and content. Mature fruit color in peppers is known to be regulated by three independent loci, C1, C2, and Y, which encode Arabidopsis pseudo response regulator2-like (PRR2), phytoene synthase 1 (PSY1), and capsanthin-capsorubin synthase (CCS), respectively. However, the various pepper fruit color cannot be fully explained by the combination of these three loci. Therefore, the exact mechanisms of carotenoids related genes still need to be studied. In my thesis, two studies were conducted. The first study was the analysis of two F2 pepper populations that fit the three-locus model, focusing on the function of C1. As the identity of C1 locus was only recently reported, two pepper population with different fruit colors and genotypes were used for further study: an F2 population from a cross of Capsicum frutescens ‘AC08-045’ and ‘AC08-201’, and another F2 population derived from C. annuum 'Micropep Red (MR)’ and 'Micropep Yellow (M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virus-induced gene silencing (VIGS) of PRR2 showed that C1 controls overall carotenoid content by regulating the plastid compartment. The aim of the second chapter was to identify the gene controlling yellow color. In this study, orange fruit cultivar C. annuum ‘SNU-mini Orange (SO)’ and yellow fruit cultivar ‘SNU-mini Yellow (SY)’ were crossed and the locus controlling yellow color was mapped using genotyping by sequencing (GBS). Zeaxanthin epoxidase (ZEP) was located in this area, thus selected as a candidate gene. To show ZEP is involved in fruit color formation, VIGS was conducted in pepper with red and yellow mature fruit color. Both fruit colors were affected by ZEP silencing. HPLC analysis showed the contents of zeaxanthin were increased in these fruits, which demonstrated that ZEP is essential in yellow and red color. In summary, I revealed the role of PRR2 and verification of the three-locus model, and the role of ZEP in red to the yellow color formation. 고추는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원예작물 중 하나이다. 고추의 다양한 색은 카로티노이드 조성 및 함량 차이에 의해 나타난다. 고추 성숙과색은 세 독립적 유전자좌인 C1, C2, Y에 의해 조절된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각각 Arabidopsis pseudo response regulator2-like (PRR2), phytoene synthase 1 (PSY1), capsanthin-capsorubin synthase (CCS)를 암호화하고 있다. 하지만 고추의 다양한 과색은 위의 세 가지 유전자좌의 조합으로 나타나는 여덟 유전형 만으로 나뉠 수 없다. 따라서 각 카로티노이드 관련 유전자들이 어떠한 기작으로 과색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는 두 가지 연구가 진행되었다. 첫번째는 C1의 기능 연구를 중심으로 세 유전자좌 모델에 적합한 두가지 F2 집단이 사용하였다. C1의 경우 매우 최근에 그 정체가 보고되었기에 추가 연구를 위해 서로 다른 색상과 유전형을 가지는 두 집단으로 PRR2 유전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Capsicum frutescens ‘AC08-045’과 ‘AC08-201’의 교배 집단과 세 유전자좌 모두에서 유전형 분리가 일어나는 C. annuum 'Micropep Red (MR)’ 과 'Micropep Yellow (MY)’의 교배집단을 사용하였다. 투과전자전자현미경과 바이러스를 사용한 PRR2의 유전자 발현 억제 실험 결과 C1이 색소체 구조를 조절하면서 전반적인 카로티노이드 함량을 결정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의 목적은 세 유전자좌 모델로 설명할 수 없는 노란색이 주황색에 대해 우성으로 나타나는 유전자를 밝히는 것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주황색 품종인 C. annuum ‘SNU-mini Orange’ (SO)과 노란색 과색 품종인 ‘SNU-mini Yellow’ (SY)을 교배하고, GBS 방법을 사용하여 주황색 표현형과 연관된 유전자좌를 찾았다. Zeaxanthin epoxidase (ZEP)가 해당 범위에 있다는 것을 찾아 이를 후보 유전자로 선정하였다. ZEP가 과색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빨간색과 노란색의 성숙과색을 가지는 고추에서 VIGS 실험을 진행한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색 변화가 나타났다. 기질인 zeaxanthin의 비율 변화를 보여준 HPLC 분석 결과와 종합해보았을 때 ZEP가 특정 색상을 결정하는데 필수적임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PRR2

      • 전과정평가기법을 활용한 수소도시 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탄소중립 기여도 평가 연구

        장소정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파리협정 시행으로 세계는 보다 강화된 목표인 2050년 탄소중립이라는 새로운 지향점으로 전환 중이며 인류 생존을 위한 지구 평균 온도 상승 최소화를 위해 전 지구적인 노력을 기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장기 저탄소발전전략과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안,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안을 수립하여 탄소중립을 위한 중장기적 전략 및 계획을 수립하여 탄소중립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대응하고 2050년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정량적 감축량을 제시하기 위하여 탄소중립 정책 중 일환인 수소도시를 대상으로 건물·수송 부문별로 탄소 저감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탄소중립의 기여도를 평가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소시범도시의 탄소중립 기여도 평가 모델은 선행연구 분석 및 이론 고찰을 통하여 시범도시에 도입된 계획요소 선별하였다. 탄소중립형 수소도시 기본 모델 개발은 수소시범도시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U'도시를 연구대상지로 설정하여 전과정평가기법을 활용하여 탄소배출량을 산정을 하였으며, 계획요소별 탄소감축량에 대한 탄소중립 기여도 평가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계획요소는 건물 부문인 경우 'U'도시 내 건물 전체를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수송 부문은 'U'도시 내 운행 중인 시내버스와 승용차량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수소도시 내 탄소 배출량을 평가한 결과 건물부문은 기존 대비 평균 3,373,354.4 tCO₂eq. 저감 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수송부문은 기존 대비 평균 533,091.4 tCO₂eq. 저감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국내 온실가스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탄소중립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 건물 부문은 2030년 목표 달성치에 평균 0.3 % 기여가 가능하고, 2050년 목표 달성치에 1.5 % 기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송부문은 2030년 목표 달성치에 평균 1.6 % 기여가 가능하고, 2050년 목표 달성치에 10.8 % 기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수소도시 조성 시 추가적인 탄소감축이 가능함에 따라 도시 단위의 탄소중립 모델로써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소 제품 활용 기술에 대한 지속적 개발 및 확산 시 탄소중립 기여도 정량화의 기초연구로써 활용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 현대발레에서 나타난 패러디 성향 연구 :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를 중심으로

        장소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새 천년 문명사적 대 전환기인 요즘 우리는 패러다임(Paradigm)이란 용어를 대중매체나 문학, 예술 등에서 흔히 접하고 있다. 그 중 패러디(Parody)는 주제적, 형식적 구조화에 있어서 하나의 중요한 양상을 띠는 것으로, 우리시대 텍스트의 자아반영(Sellf-Reflexivity)으로 나타나는 흔한 형식들 가운데 하나이며 창조와 재창조, 창작과 비평의 교차라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패러디 기법은 문학에서부터 시작하여 음악, 무용, 미술, 건축, 연극, 영화, 광고 등 여러 예술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 속에 발레 또한 20C를 걸쳐 21C에 들어오면서 더욱 많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여 새로운 표현주의와 기법들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현대 무용의 도전으로 다소 위축되었던 고전 발레는 그 생명의 연장과 존속의 차원에서 지금까지의 경직되고 고착화된 형식을 깨뜨리고 재해석하여 새로운 발레의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또한 현대의 발레는 나름대로의 장르의 구분을 없애고 음악, 문학, 미술이 혼합된 총체적 종합 발레를 지향하며 재즈와 민속 춤, 발레의 혼용 및 현대 무용과의 구분이 불가능한 새로운 춤이 탄생되는 흐름을 맞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흐름에 부응하여 매튜 본(Matthew Bourne)의 「백조의 호수」를 중심으로 현대 발레의 패러디 성향을 살펴봄으로써 21세기 발레의 독창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안무방향을 설정하고 다양한 소재의 선택과 안무적 접근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백조의 호수」는 여러 고전발레 작품들 중에서 가장 많은 안무가들에 의해 개작되고 재해석되어 오고 있다. 그 가운데서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는 가장 최근작이면서 동시에 패러디에서 필수적인 원텍스트와 그 흔적을 가지고 있으며, 패러디 텍스트간의 대화적 문맥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영국 왕실을 배경으로 극중 인물의 외면 세계와 내면적 갈등을 표현함으로써 현시대의 반영과 비판이라는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였다. 둘째, 고전 발레의 형식과 기법을 파괴하고 여러 가지의 무용언어를 사용함으로써 표현의 극대화를 가져왔다. 셋째, 고전 발레가 가지는 성 정체성이라는 한계를 극복하였다. 이상과 같은 현대발레의 패러디 성향은 오늘날 우리 사회의 복잡한 현실과 소재 선택의 자유와 현실 직시를 위한 적극적인 의지 표현임을 알 수 있고, 이는 과거 원전(原典)에 대한 모방 차원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새롭게 재창조함으로써 비평과 평가의 의미까지 함축하고 있다. Nowadays, at a transitional point of time in a new millennium and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we often hear of the word "paradigm" around TV, mass media, literature, and art. Among words that we frequently hear, "parody" is probably the word that consist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in the theme and form constructions and one of the most common forms representing the self-reflexivity in the texts of our time while characteristically crossing over creation and re creation or creation and criticism. Parody is a technique that is now being actively used in the various fields of art such as literature, music, dance, fine art, architecture, drama, film, and advertisement, and concern and study about it are growing everyday. Ballet which had undergone a lot of changes through many centuries introduced new expressionistic ideas and techniques through repeated changes and developments in the 20th C. In particular, classical ballet somehow shrunken from modern dance has opened a new era of ballet by breaking down and reinterpreting rigid and fixed forms in its will to subsist and maintain its life. Meanwhile, modern ballet is now in the pursuit of integrative, composite ballet genre comprising music, literature, and fine art and facing the outpour of a new ballet genre in which all the elements of jazz, folk dance and ballet are mixed in one and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existing genres is impossi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proper approaches to various subject matters and choreography itself by investigating the parodic tendencies in modern ballet mainly around "The Swan Lake" choreographed by Matthew Bourne to meet the demands and streams of the times. "The Swan Lake" is the work of classical ballet that has been most frequently adapted and reinterpreted by numerous choreographers, and Matthew Bourne's adaption is the latest that still holds the essentials and moods of the original text despite of its parodic character and has interactive contexts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the parody text. As a result of analyzing Matthew Bourne's "Swan Lake", a conclusion was drawn as follows: First, the work created a new meaning of dance as a reflection and a criticism of modern times with expressing the complications between the characters` inside and outside setting the Royal family of the United Kingdom. Second, expressional maximization was brought through destruction of classical ballet forms/ techniques and use of various dance languages. Third, the work transcended the limited gender identity in classical ballet. As seen above, the parodic tendencies in modern ballet reflect ballet artists' positive will to choose subject matter freely and face up to the complicated realities of today. This implies that modern ballet does not merely imitate original works but expand its sphere into criticism and evaluation by re-creating them.

      • 일본군'위안부'운동을 둘러싼 기억과 정동의 배치 : 평화나비 활동가 경험을 중심으로

        장소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s the experiences of Peace Butterfly activists to situate young women as crucial actors in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movement.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15 Peace Butterfly activists and conducted textual analysis of Peace Butterfly position statements, solidarity speaks, and press releases. This study revealed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movement experience of a generation of young women who accepted the issue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as “my” issu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and diversified media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yeonghwabee generation’s awareness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A large reason for their subsequent entry into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movement was their recollection of their own daily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which they perceived and overlooked in order to recognize the repetition of structures of violence surrounding women’s bodies. Second, in the course of their activities, the Peace Butterfly built a sense of solidarity by holding various events such as Wednesday demonstrations and festivals named FESTA. They also raised issues of social and national violence and joined forces with other movements. One of the reasons why the movement was able to expand was the encounter with a Halmoni who transformed from a victim survivor to a human rights activist and “reached out” to others. Third, the social political landscape surrounding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movement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work of the Peace Butterfly. Arrangement over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the peace statue attacks, and the rise of the extreme-right have had the effect of rallying the movement, but internally, the movement has experienced limitations in mobilization due to the physical nature of each region and camp, conflicts due to the absence of feminism within the progressive movement, and the gateway to employment that university students are expected to perform in their life cycle, making it difficult to sustain the “comfort women” movement.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eace Butterfly Movement continues to function as an important actor for the influx of female youth into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movement, and that they are actively engaged in the movement. It has shown that female youth activists can not be pigeonholed into a flat discussion of Future Generations and are enriching the movement from where they are. We hope that this will enrich our understanding of the actors in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movement. 본 연구는 평화나비 활동가들의 경험을 분석하여 여성 청년을 일본군 '위안부' 운동의 주체로 위치시키고자 했다. 15명의 평화나비 활동가를 심층면접하고, 평화나비 입장문, 연대발언문, 보도자료 등을 텍스트분석했다. 이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나의 문제'로 받아들인 여성 청년 세대의 운동 경험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도출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화비 세대가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인지하게 되는 데에는 교과 과정과 다각화된 미디어가 큰 영향을 미쳤다. 이후 평화나비 활동을 비롯한 일본군‘위안부’운동에 진입하게 된 큰 이유는 여성의 몸을 둘러싼 폭력 구조가 반복되고 있다는 사실을 지각하고 지나쳤던 자신의 일상적 성폭력 경험을 회고했기 때문이다. 둘째, 평화나비는 활동 과정에서 수요시위와 페스타(Festa) 등 여러 행사를 개최하며 연대감을 구축했다. 이외에도 다양한 사회적·국가적 폭력에도 문제를 제기하고 다른 운동과 연대했다. 운동이 확장될 수 있었던 이유는 피해생존자에서 인권운동가로 변모해 다른 이들에게 ‘손내미는’ 할머니와 조우했기 때문이다. 셋째, 일본군‘위안부’운동을 둘러싼 여러 사회·정치적 지형도 평화나비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15 한일합의와 평화비 테러, 극우세력의 등장은 운동이 결집되는 효과를 일으켰다. 그러나 운동 내부적으로는 각 지역과 지부의 물리적 특성으로 인한 동원의 한계, 진보 운동 내에서 부재한 페미니즘으로 인한 갈등을 경험했다. 또한, 대학생 단체라는 특성 때문에 대학생이 생애주기상 수행해야 하는 취업의 관문 등이 운동을 지속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평화나비 운동이 일본군‘위안부’운동에 계속해서 여성 청년이 유입될 수 있는 중요한 경로로 작동하며 운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여성 청년 활동가는 단순히 ‘미래세대’라는 납작한 논의에 갇힐 수 없으며 각자 위치한 곳에서 풍부하게 운동을 만들어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일본군‘위안부’운동의 행위자를 더욱 풍성하게 조명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6자회담의 성공과 실패 원인 분석 : 9.19 공동성명을 중심으로

        장소정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pplies James D. Fearon's "Bargaining Theory" to explain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Six-Party Talks. During the six rounds of the Six-Party Talks from 2003 to 2007, the six parties (South and North Korea, the United States, China, Japan, and Russia) discussed the methods to dismantle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In the course of the six-party talks, the participating countries were able to announce the 9.19 Joint Statement, which was a meaningful step toward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This achievement was possible because the Six-Party Talks seemed to find the way to solve the issues that James D. Fearon suggested on his paper “Rationalist explains for war,” which are incomplete information, commitment problems, and issue indivisibility. However, in the following rounds of meetings, the six parties failed to implement the measures outlined in the Joint Statement, despite announcing the follow-up statem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9.19 Joint Statement was a failure because the Six-Party talks failed to solve the incomplete information, commitment problems, and issue indivisibility. 본 논문은 제임스 피어론(James D. Fearon)의 『교섭이론』을 6자회담에 적용하여 9.19 공동성명이 채택될 수 있었던 조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제임스 피어론은 『교섭이론』을 통해 국가 간 갈등의 요소가 발생했을 때 각 국가의 합리적인 결정자는 갈등요소를 해결하기 위해 기대효용의 계산을 통해 자신의 결정에 따라 일어날 수 있는 결과를 미리 예측하고 평가함으로서 자신이 받아들일 수 있는 ‘타협안의 범위’를 설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 타협안의 범위는 세 가지 이유로 무너질 수 있는데 여기서 세 가지 조건은 불확실성, 약속의 문제, 이슈의 불가분성 문제이다. 본 논문은 북핵문제의 해결을 위해 남한,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가 선택한 6자회담의 진행과정에 교섭이론을 적용하여 설명하였다. 6자회담의 과정에서 참가국들은 불확실성, 약속의 문제, 이슈의 불가분성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9.19 공동성명’이라는 ‘타협안의 범위’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그러나 이후 9,19 공동성명을 이행하기 위한 후속 회담에서 참가국은 교섭이론에서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여 타협안을 이행하는데 실패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북핵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선택되었던 6자회담은 교섭이론에서 제기된 조건을 충족시키는데 불충분하였으며 이로 인해 6자회담의 결과가 성공적이지 못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 Pre-service English Teachers’ Views on Teaching Practicum during COVID-19 : A Case Study

        장소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ice secondary English teachers’ views on teaching practicum during COVID-19. As online English Language Teaching can be offered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it was abruptly and inevitably adopted into English classes in secondary schools in the world as well as in Korea due to the pandemic since the first semester in 2020. Accordingly, pre-service English teachers had to conduct their practicum online English classes along with offline classes since then. Such a hybrid format of teaching practicum has been continued for almost two years and is highly likely to expand with the development of online teaching tools and changes in instructional modes even after the pandemic. Given such drastic changes occurred up to now,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views on the hybrid teaching practicum. The existing studies on teaching practicum, however, has mostly focused on offline teaching practicum only. Given the lack of research on the online or hybrid teaching practicum in English language teaching(ELT), this study poses th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views o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hybrid practicum program? Second, what are the pre-service teacher’s views on the usefulness of their hybrid teaching practicum in their future teaching? To examine the two questions above,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5 pre-service English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the hybrid teaching practicum.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2 to 3 rounds of interviews. The first interview was all conducted by phone for about one hour due to the pandemic. The follow-up interviews were carried out via phone, email, or text messages based on the participants’ preference for about 30 minutes.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was transcribed and read numerous times to find participants’ recurring or particular views on their hybrid teaching practicum. In doing so, this study categorized their views through open and thematic coding in terms of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usefulness of the hybrid teaching practicu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found both online and offline teaching practicum we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Firs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online teaching practicum in that it prompted them to have more opportunities to observe and practice multimedia use in language classes while they felt dissatisfaction due to the lack of interaction with student during online classes. However, they could observe more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during offline classes. Second, they pointed out offline teaching practicum was conducted in traditional methods, which they could not see diverse instructional aids including multimedia or other tools in class, but they felt there were more interaction between the head teachers with students,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students, and among students. Third, they also agreed that a hybrid teaching practicum was a useful experience for their future teaching. Therefore, this study has implication given that the hybrid teaching practicum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even if it needs to be supplemented. In addition, the hybrid teaching practicum is worth continuing even after the pandemic, regarding its advantages and usefulness. Thus, more in-depth follow-up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hybrid teaching practicum are required. In sum, it is highly probable that even after the pandemic, the hybrid teaching practicum is necessary in order for pre-service English teachers to prepare for their future online teaching or a hybrid teaching. This is more so online communication tools are increasingly used in all the sectors in society and the world as well as in school. Accordingly, prospective as well as in-service teachers should be geared to cope with such transformations in preparing themselves even after the post new normal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