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J. A. Comenius의 유아교육 연구 : 감각 활용을 중심으로

        장소연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ㆍ기독교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n J. A. Comenius' Infant Education - With reference using sense - Jang, So Yeun Department of Christian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Women's University The paper is a study on J. A. Comenius' infant education. Comenius was the education scholar who was called the pioneer of modern education. He emphasized infant's Sense Education with deep understanding for infant. Sense Education is to feel and learn sensuously with seeing, hearing, tasting, smelling and touching occasion. The education method using sense is effective for infants, because infants are swayed by more sense than reason. Comenius had infants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things connecting with objects and words in Orbis Sensualium Pictus. Thus sensory stimulation induced the interest of infants and a picture had them read the words naturally. He mentioned health education, religion education, virtue education and knowledge education for infant education. Health education is to have a sound soul and sound body. Religion education is to find God and to serve God with love and obedience. Virtue education is to make people wisely and to have right relations with people. Knowledge education is to know, act and say something. This paper is based on Comenius' infant education theory, and suggests concrete examples. Specially education method makes point of using various infant sense, and infant education emphasizes holistic education including health, religion, virtue and knowledge education. 국문초록 현대 교육의 아버지로 불리는 신학자 코메니우스(J. A. Comenius)는 성경말씀을 준거로 하여 교육 현장에서 실제 적용을 위해 애쓴 실천 신학자였다. 그의 교육관은 기독교 사상을 기반으로 한 기독교 세계관에 있으며, 그의 유아교육 사상은 유아의 온전한 이해에 기초하고 있다. 코메니우스는 학습이 쉽고, 빠르게, 철저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시기에 적절한 교수법이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실제적이고도 유용한 유아교육의 방법으로 감각교육을 강조하였다. 감각교육이란 말 그대로 보고, 듣고, 맛보고, 냄새 맡고, 만질 수 있는 기회를 유아들에게 충분히 제공해 주며 감각적으로 느끼고 배우게 하는 교육이다. 인간은 어린 유아기에 학습이 가장 잘 이루어지며 학습은 일방적으로 지식을 알려주는 획일적 주입식 교육방법이 아니라, 유아가 스스로 흥미를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오감을 활용한 감각교육을 통해서 일어난다. 그러므로 유아교육에 있어서 감각교육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코메니우스는 유아교육의 내용으로 건강교육, 신앙교육, 덕성교육, 지성교육을 언급했다. 건강교육은 건강한 몸과 건전한 영혼을 소유하기 위한 것이며, 신앙교육은 창조주 하나님을 찾고 바라보며, 사랑과 순종으로 섬기기 위한 것이다. 덕성교육은 자기 자신을 지혜롭게 인도하여 세상에 함께 사는 사람들과 올바른 교제의 관계를 위한 것이며, 지성교육은 사물을 알고, 행동하며, 말하기를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은 유아의 균형 있는 성장을 위해 한 몸 안에서 이루어지는 통전적인 개념이며 한 가지라도 경시되거나 제외되어서는 안 된다. 본 논문에서는 코메니우스의 유아교육 이론을 근거로 하여 실제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적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보았다. 이때 중점을 두고자 한 부분은 첫째, 교육방법 면에서 유아의 다양한 감각기관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활동을 고안하는 것이며, 둘째, 유아의 건강교육과 신앙교육, 덕성교육, 지성교육을 지도함에 있어서 전 영역이 통합적으로 연계되는 전인교육에 바탕을 두고자 하였다.

      • 발달장애인의 정서적 상호작용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적용 연구

        장소연 동덕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적용 후, 발달장애인의 정서적 상호작용 변화를 관찰하고 분석하여 나아가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서울시 S구 S장애인종합복지관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자폐성 장애, 지적 장애, 뇌 병변 장애인 혼합집단 8명을 대상으로 2016년 7월부터 10월까지 주 1회 60분씩 14회기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참여관찰과 비구조화 인터뷰를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 과정사진, 연구대상의 작품사진, 연구자 외 2명의 일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인의 정서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오감을 사용할 수 있는 예술매체가 발달장애인의 자기표현 욕구와 감정분출 작업에 용이하였다. 또한 규칙적인 열기·적용하기단계의 인사와 격려활동이 발달장애인의 역할인지와 자존감 향상에 일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합예술치료 IT매뉴얼 중, 시간여행자 모델과 왕의 의자 기법이 연구대상의 자아 존중감과 자기표현 증진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나아가 구성원 간의 긍정적인 상호소통 가능성을 발견하는데 용이하였다. 이 가능성을 바탕으로 역할 모델을 적용하였을 때, 구성원 간의 유대감 형성에 효율적이었다. 그러나 소음이 발생되는 매체의 활용은 연구대상의 심리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연구가 다양하지 않은 상황에서 각기 다른 장애를 가진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설계 및 적용하고 정서적 상호작용에 변화를 이끌어낸 점이며, 또한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낸 데에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sibility to apply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to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order by observing and analyzing the changes of their emotional interaction after applying the program. The study was conducted, 14 sessions, 60 minutes a session, once a week, from July to October, 2016, for 8 people in the mixed group of people with autistic disorder, intellectual disorder, and brain lesions using day care center of S welfare center for disordered people in S-gu, Seoul. This study used the methods of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unstructured interview, and utilized the photographs of the program process, the photographs of the subjects, and the journals of the researcher and the two teammates as analysis data. The study found that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c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interac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order. It showed that art media using five senses were useful in leadi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order to erupt their emotions and desires to express themselves, and also that greeting and encouraging activities of the steps of regular opening and applying were helpful in improving role recognition and self-esteem. Especially of IT manuals of integrative arts therapy, a time-traveler model and a king-chair technique were positive in improving self-esteem and self-expression, and furthermore, were useful in finding the possibility of mutual communication among members. The application of role models based on this possibility was effective in forming connectedness among members. But it was analyzed that using noise-producing media had negative effects on the subjects' mental stat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making changes of emotional interaction by designing and applying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to people with each different kind of developmental disorder in the situation of limited studies of integrative arts therapy, and in finding that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can be applied to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order.

      • 4개의 e. e. cummings 시에 붙인 John W. Duke의 가곡 분석

        장소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s and research four poems by e. e. cummings which were set to music by John Woods Duke, an American composer in the 20th century. It is rather a peculiar phenomenon that John Duke and his works are not well-known in Korea, despite the fact that he was such a prolific composer with over 260 songs written in his life time while making a huge contribution to the twentieth-century literature in the United States. And one can only hope that more studies on John Duke and his works would help familiarize the Korean public and music academia with the composer and his songs. Not to mention that his music itself is immensely beautiful, he displays a deep affection for the American literature and language by frequently setting American poems to music. He thus becam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composers in the United States in terms of both the music he wrote and the poems he selected. Therefore, it is my wish to demonstrate the uniqueness of four of his songs by studying four poems, which are considered matchless in English literature for experimental techniques by e. e. cummings. First, I would like to look into the trend and origin of American art songs in the 20th century when Duke was working. Then the paper will examine his life, music and works in depth. The paper will also look into cummings' poems, life and works and provide sound analysis of the style of poems and music of Duke's songs by studying the following four poems : ‘in Just-’, ‘hist-whist’, ‘when faces called flowers float out of the ground’ and ‘i carry your heart’. In addition, a few musical suggestions based on the study have been included to help performers with more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to be efficiently sung by the singers who wish to perform his works. 본 논문은 20세기 미국의 작곡가 존 우즈 듀크(John Woods Duke, 1899-1984)가 에드워드 에슬린 커밍스(edward estline cummings, 1894-1962)의 시에 붙인 4곡의 가곡에 대하여 분석, 연구한 것이다. 존 우즈 듀크는 평생에 걸쳐 265곡에 달하는 가곡을 작곡한 작곡가이지만 우리에게는 비교적 친숙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듀크의 가곡들은 20세기의 미국 가곡문헌에 큰 공헌으로 평가되며 그의 음악 그 자체로도 아름답고 훌륭한 작품들이다. 특별히 그는 가곡을 작곡할 때 주로 미국시를 사용함으로 미국 시에 대한 깊은 애정을 드러냈으며 다른 미국작곡가에 비하여 시와 음악의 결합에 집중했던 작곡가이기도 하다. 이에 필자는 실험적인 기법으로 영시분야에서 독보적인 평가를 받는 커밍스의 시에 듀크가 곡을 붙인 4개의 가곡을 연구함으로서, 그의 가곡의 우수함을 증명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더하여 충분히 즐겨 연주 될 만한 곡으로써의 가치를 찾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이론적 이해를 돕고자 듀크가 활동한 20세기 미국 예술가곡의 기원과 흐름에 대해 살펴본 후 그의 생애와 그의 음악 그리고 작품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시인 커밍스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연구하고 그의 시 ‘in Just-’, ‘hist whist’, ‘when faces called flowers float out of the ground’, ‘i carry your heart’에 붙여진 4곡의 가곡을 통하여 듀크 가곡의 시와 음악적인 스타일을 살펴보고 더불어 연주자의 입장에서 효과적인 연주를 위한 해석을 제시하였다.

      • '좋은 사회과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 Focus Group Interview를 중심으로

        장소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좋은 사회과 수업에 대한 논의의 방향을 교사의 현장의 목소리를 통해서 찾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장에서의 교사들의 좋은 사회과 수업에 대한 인식과 노력을 파악해 보고, ‘사회과 수업’에서 지향하고 있는 방향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수업관을 분류한 뒤, 두 차례에 걸친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좋은 사회과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제 운영 모습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과 과목에 관심과 상대적으로 접해본 경험이 많은 A그룹과 비교적 관심과 경험이 적은 B그룹의 교사등 두 그룹의 초등학교 교사 8명을 선정하여 ‘좋은 사회과 수업’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고, 이를 녹취하여 전사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드러난 초등 교사들의 인식과 구성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좋은 사회과 수업에 대한 관점의 차이는 수업 구성 및 교사의 자질에 관한 인식차이로 이어졌다. A그룹의 경우 교육과정의 내용을 보다 적극적으로 재구성하고 있었으며, B그룹의 경우 교과서의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는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다. 둘째, 두 그룹 모두 교사의 열정과 적극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의지가 수업의 성공을 이루는데 큰 요인 중에 하나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A그룹과 B그룹 모두 내용적인 측면의 접근 보다 교수학습 방법 적인 측면으로 수업에 점근하고 있었다. 넷째, 수업의 운영적인 측면에서 A그룹의 경우 교과서 밖의 시사적, 지역적 자료들을 적극적으로 재구성하고 있었으며, 학습자가 배우는 내용을 자신의 문제로 인식할 때 성공적인 수업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B그룹의 경우는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동을 성공적인 수업에 중요한 요소로 보고 체험학습을 중요한 학습 방법으로 꼽았다. 이러한 다양한 교사들의 인식차이에도 불구하고 사회과를 통해 사회 현상에 대한 관심과 문제 해결력을 길러 주기 위해서 다양한 방해 요인들을 극복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좋은 사회과 수업은 문서화 된 교육과정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에 의해 재구성되어 실제화 된 것이며, 교사에 의해 재구성되어 실행된 교육과정을 통해 교실 상황 속에서 드러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장 교사들의 목소리가 교육과정 개선에 더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직무연수와 제도적 차원의 지원 외에도 교사들의 인식과 개념에 대한 연구와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유동적으로 변하는 교실상황과 학습자의 상황을 파악하고 재구성하여 학습자에게 살아있는 지식을 가르칠 수 있는 교사의 능력을 길러야 할 것이다.

      • 미용사의 교육훈련과 전문성 인식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장소연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용사의 교육훈련과 전문성인식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미용사의 교육훈련과 전문성인식을 강화시키고 이 직률에 완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실증조사는 서울·경기 지역에 종사하는 미용사를 대상으로 최종 500부 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20세 이상에서 30세미만 여성이 월 평균 급여는 200만 원 이상에서 300만원 미만이 많았 으며 최종학력은 전문대 재학/졸업, 결혼 상태는 미혼이 많은 것으로 조 사되었다. 자격증 취득이 많았으며 미용경력은 1년 이상에서 4년 미만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근무특성은 1년 이상에서 3년 미만의 근무기간을 가지고 번화가에 위 치한 11인 이상에서 15인 이하 직원이 근무하는 프랜차이즈 미용실에서 근무하는 디자이너로 능력제의 급여 형태와 하루 평균 근무시간은 10시간 이상에서 12시간미만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조사대상의 교육훈련의 인식 조사를 알아본 결과, 미용교육프로 그램은 기술교육을 선호했고 전문성인식에 도움이 많이 되며 기술교육 중 - ii -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커트, 교육 내용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하는 것은 커트교육이 많았으며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개선된 점은 기술 능력과 가장 큰 문제점은 목적의식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효 과적인 교육 방법은 미용실내 직무교육이 많았으며 미용실 자체 교육 시 좋은 시간대는 오후 7시 이후로 월 평균 기술교육을 2회, 직원 교육들은 정기적으로 직무활동에 도움이 되며 매우 필요하였고 동기부여와 목적은 매출의 성장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조사대상의 교육훈련은 교육훈련필요성, 미용기술교육, 서비스교 육의 세 요인이, 전문성인식은 개인인식, 프로인식, 정보인식의 세 요인이, 조직유효성은 직무만족, 이직의도, 직무성과의 세 요인이 도출되었다. 넷째, 교육훈련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문성 인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미용사의 교육훈련에 대한 인식, 교육훈련과 전문 성인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 및 시사점 제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훈련의 통한 직무만족이 충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 훈련이 미용사의 기술향상과 고객과의 친밀감 상승 및 고객관리, 자신감, 매출 향상에 기여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현상은 교육훈련이 조직유효성에 매우 긍정적인 작용을 하고 있는 면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미용 경영자는 교육훈련 중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났듯이 미용사들이 기술 교육을 중요시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커트 교육을 선호하며 오후 7시 이 후로의 자체교육을 원한다는 것을 참작하여 교육시스템 구성에 반영하여 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iii - 둘째, 교육훈련의 미용기술교육과 서비스교육은 직무성과를 향상시켜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만족스러운 임금과 직무에 대한 자율적인 권 한이 교육훈련에 기인하며 그 필요성에 대한 동기의 부여가 되고 있는 것 으로 짐작된다. 교육훈련에 대한 능동적인 참여를 유발시키는 현상이며 이러한 보상을 통한 강화는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의 동료들에게도 긍정적 인 자극을 주어 조직의 분위기를 한 층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연구결과에서 직원교육의 실시 목적은 매출 성장이고 교 육의 동기부여가 되는 것도 매출 성장이라는 결과로 미루어볼 때, 조직과 조직원 모두의 강화 현상을 부추긴다는 근거가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 므로 교육훈련 참여자의 리스트와 매출을 교육훈련 비 참여자와 비교하여 객관적인 차이를 입증함으로써, 교육훈련 비 참여자들이 교육훈련에 참여 할 동기를 부여하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전문성인식은 이직의도를 낮추고 직무만족과 직무성과를 높여주 는 것으로 나타나 전문직에 종사하는 1인으로서의 사명감과 자부심, 긍지 의 함양이 조직유효성 향상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 리고 연구결과에서 교육프로그램은 전문성인식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를 나타내어 교육훈련이 미치는 영향력의 범위가 넓다고 짐작할 수 있다. 하 지만 이러한 전문성인식을 기르기 위해서는 막연한 주입식 교육이나 원치 않는 스케줄에 따른 교육은 의미가 크게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즉 미용 사 자신의 직업에 대한 소명감을 깨우치지 못하면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 려울 것으로 판단되므로 경영자의 끊임없는 관심과 비젼 제시를 통해 내 면적인 변화를 유도하는 노력이 뒷받침 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개선을 통해 미용실이 조직화되고, 미용사가 전문적인 직업으로 사회적 지지를 받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rengthen beauty professionals’ educational training and awareness and to find out mitigation methods for turnover by examining effect of their educational training and awareness about organization effectiveness. Practical survey was taken place by beauty practician in Seoul and Gyeong-gi area using 500 questionnaires as measurement tool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demographic characteristic shows that 20∼30 years old females’ average income is mostly 2,000,000∼3,000,000 won, educational background is college undergraduates/graduates, and marital state is unmarried. Also, they all have licenses and have 1∼4 years of working experiences. Working characteristic shows that they work as a hair designer at a downtown franchise hair salon where has 11∼15 employees and commission payment system as well as 10∼12 working hours. - 76 - Second, after investigating targets’ education training understanding, beauty education program prefers technical education and it helps to enhance professional awareness. Hair cut is the most important part in technical education and it is placed a greater emphasis on education content. Also, improvements through education program is technical ability and lack of a sense of purpose is examined to be the biggest problem. The most effective education method is on the job education in hair salon and effective teaching hours is after 7pm and 2 times a month. Regular employee training not only improves their work and is very necessary but, also their motivation and purpose are linked to sale growth. Third, target’s education training draws three conclusions which are its necessity, technical education and service education. Professionalism awareness drew also three conclusions which are individual cognition, professional awareness, and information recognition. For organization effectiveness, there are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work outcome. Fourth, after search results of influence on education training to organization effectiveness, there are similar difference statistically. Fifth, after search results of influence on professional awareness to organization effectiveness, there are similar differences statistically.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possible to verify that education training and professionalism recognition influences on organization effectiveness. Based on this outcome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and - 77 - are implication suggestion. First, work satisfaction is fulfilled through education training so it contributes to hair dressers’ technical improvements, higher intimacy with customers, confidence, and sales growth. This phenomenon shows that education training gives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 effectiveness. Therefore, as shown in the study result, hair management team needs to pay attention that hair designers put emphasis on technical education especially hair cut and have their own training after 7pm. These aspects are considered to be reflected to education system composition. Second, beauty technical education of education training and service education are appeared to be the factors that improve work outcome. In other words, self-regulating authority about satisfied wage and duty comes from education training and that is assumed that it motivates necessity. This is phenomena that prompts active participation to training and reinforcement through this kind of rewards gives not only oneself a positive effect, but also other co-workers which upgrades work environment. Also, in light of the results for employees education purpose and motivation of education are sales growth, this is at the base of encouraging strengthen organization and all of members. Thus, by proving objective difference between list of training participants and sales and non participants, non participants have chance to be motivated. Third, professional awareness would decrease turnover intention and increase satisfaction and outcome which are interpreted that it plays a - 78 - big role in improving organization effectiveness by sense of duty as a professional worker, self-esteem and developing one’s pride. Besides, because education program from the study shows the results that it helps professional awareness, it is assumed that training effects a large range. However, to increase this kind of awareness, indefinite cramming education or unwanted scheduled education would be less effective. Likewise, since it would be hard to expect a lot from employees when they do not have sense of duty, management should continuously care them and suggest a vision for inner transformation. With this betterment hair salon will be systematized, hair dressers will have better support from the society, there will be satisfaction from training and recognition as well as reducing turnover. The followings are uppermost limits and suggestions for a follow-up study. First, this research is examined with side approach method and proceeded by hair salon employees who need education. Hereafter research, not only educatee, but also educator should be study target so that hopefully there will be deep discussion searching for ideal direction. Second, among other beauty fields, only hair designers who are employed at hair salons are targeted in this research. However, further research should expand its target range embracing all beauty artists such as make-up, nail arts and skin care professionals hoping there will be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each filed’s characteristic

      •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와 혐오의 문화정치 : 일간베스트저장소와 메갈리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장소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한국 사회에는 상상하기 어려운 삶의 행태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삶의 행태들은 고도화된 경쟁의 위기 속에서 생겨난 것으로, 이는 사회의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는 하나의 지표로 나타난다. 이러한 사회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현상은 혐오 표현이다. 혐오의 문제는 한국 사회만 직면하고 있는 문제는 아니며, 미국의 트럼프 현상, 영국의 브렉시트 결정, 유럽지역의 각종 테러 등의 문제 역시 혐오의 문제와 같은 맥락에서 발현된 것이다. 본 연구는 전 세계적인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혐오의 문제에 주목하였다. 특히 한국의 사례로서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인 ‘일간베스트저장소’와 ‘메갈리아’를 중심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신자유주의의 맥락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혐오의 문제는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담고 있는 현상으로 분석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일베와 메갈리아를 중심으로 발화되고 있는 혐오 표현은 단순히 일회적인 표현을 넘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게 된 상황이지만 이에 대한 문화연구적 논의는 아직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늘날 세계적으로 만연해진 혐오의 문제에 주목하여 한국에서 혐오의 문제가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의 이면에서 작동하는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신자유주의가 심화되고 있는 현 시대와 관련하여 혐오 문화의 형성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신자유주의의 기본적 이념에 대해 개념을 살폈으며, 분석을 위해서 일베와 메갈리아의 게시글과 댓글을 대상으로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노만 페어클로우(Norman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 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을 기본 틀을 활용하여 일베와 메갈리아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혐오 담론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베의 경우 정치인, 지역, 여성, 사회적 약자에 대한 유희적인 성격의 혐오 발화를 통해,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사회 대신 권리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자격을 갖추고 있는지에 대해 심판하는 사회를 구성하여 사회적 약자를 사회에서 더욱 소외시키고 분열하게 만드는 현상을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갈리아의 경우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표현과 사회적 약자, 메갈리아의 논리에 부합하지 못하는 여성에 대한 혐오 발화를 통해, 본래 여성의 인권 신장이라는 목적과는 다르게 혐오 표현을 유희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혐오 발화는 한국 사회의 신자유주의의 발전과 관계가 있으며, 사회적 성공이라는 가치를 지닌 돈을 획득해야 사회의 일원으로서 역할을 한다는 의식에 원인이 있다. 신자유주의의 발전으로 사회상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사회 내에서 경제적 지위의 하락과 이로 인한 불안함 속에서 현 시대에 맞는 새로운 정체성을 공고히 하려는 인정투쟁으로 혐오 표현이 나타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혐오 담론은 해소되지 않은 개인의 고통과 불안의 원인을 어딘가로 발산하고 싶은 욕망에 기인하며, 그 대상은 개인이 대항하기 어려운 거시적 층위의 구조적 문제가 아닌, 미시적 층위의 개인과 집단으로 향하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인 혐오에 대해 한국의 사례를 들어 논의를 다루려고 했으며,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와의 연관성을 찾고자 한 점이 있다. 신자유주의의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혐오 담론에 대한 논의는 한국 사회에만 한정 할 수는 없으며, 타인을 비난하는 혐오 담론을 지양하고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문제를 제기하고 권리를 주장하여 사회적 연대를 이끌어 내는 ‘긍정의 분노 담론’ 형성이 필요할 것이다.

      • 상캬와 요가 철학의 쁘라끄리띠와 독존에 관한 연구

        장소연 원광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상캬와 요가 철학에서 쁘라끄리띠(prakr?ti)와 독존(kaivalya)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상캬와 요가 철학의 형이상학은 이원적 실재론으로 뿌루샤와 쁘라끄리띠라는 두 개의 독립적인 실재를 수용하여 우주 창조를 설명한다. 따라서 상캬와 요가철학에서 우주 창조는 뿌루샤와 쁘라끄리띠의 결합(sam?yoga)에 의해 쁘라끄리띠의 구성요소인 구나(gun?a)의 평형상태(sa?mya?vastha)가 깨지면서 비롯된다. 그러므로 쁘라끄리띠는 세상을 전개하는 실재이며 세상은 쁘라끄리띠의 무수한 현현들로 설명된다. 하지만 본래 평형상태인 쁘라끄리띠가 전변하면서 만들어진 세상은 전변의 속성상 무지(avidya?)로 인해 고통(duh?kha)이 수반된다. 따라서 고통으로부터 완전한 자유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무지를 소멸하고 쁘라끄리띠는 본래 자신의 자리인 평형상태로 되돌아가야 한다. 이러한 되돌아감이 바로 해탈(moks?a)이다. 이처럼 해탈은 쁘라끄리띠의 작용이며 세 구나가 전변 이전의 평형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다. 그러면 뿌루샤는 본래 자신의 자리에 홀로 존재(獨存)하게 된다. 상캬와 요가철학에서 독존이란 무지를 소멸하고 식별지(vivekakhya?ti)를 계발하여 뿌루샤와 쁘라끄리띠가 서로 별개라는 것을 아는 것으로, 이때 뿌루샤는 쁘라끄리띠와 다름을 알며 홀로 존재하는 독존의 상태가 된다. 아울러 쁘라끄리띠도 뿌루샤의 목적(purus??a?rtha)을 마친 구나들이 다시 본래 자리인 물라쁘라끄리띠로 환원(pratiprsava)하여 뿌루샤와는 별개로 홀로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를 획득하기 위해서 상캬철학은 지혜에 의한 고통으로부터의 완전한 자유를 추구하고, 요가철학은 내적기관인 찟따(citta)를 정화하고 순수해진 찟따를 통해 독존을 성취하고자 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캬와 요가 철학의 쁘라끄리띠와 실질적인 전변체인 세 구나 그리고 요가철학에서 강조하는 찟따에 대한 연구를 통해 쁘라끄리띠의 정화와 구나의 초월을 중심으로 독존을 연구하였다. 제 2장에서는 상캬와 요가사상의 기원과 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상캬와 요가 철학은 그 시원을 분명하게 파악하기 어렵지만 상캬는 다양한 사상을 받아들여 그들만의 고유한 철학체계를 구축하였고, 아울러 요가철학도 자신들만의 고유한 사상을 가지며 발전하였다. 그러나 상캬철학이 그들만의 철학체계를 가지고 발전한 반면, 요가철학에서는 자신들만의 고유한 형이상학체계를 가지고 있지 않아 상캬철학의 형이상학 대부분을 수용하였다. 그러한 이유로 쁘라끄리띠나 구나와 같은 공통의 용어를 사용하였고, 구나 전변론과 같은 이론도 그대로 받아들였다. 다만 두 학파는 독존을 성취하는 방법론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였는데, 상캬철학에서는 독존을 성취하기 위한 방편으로 지혜(prajn?a?)를 강조했다면, 요가철학에서는 지혜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쁘라끄리띠와 세 구나를 활용하여 적극적인 해탈의 방법들을 모색하였다. 제 3장에서는 전반적인 쁘라끄리띠에 대해 서술하였다. 쁘라끄리띠는 샹캬철학의 고유어가 아닌 베다시대부터 통용되던 단어로, 여러 분야와 문헌들에서 다양한 의미를 지니며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특히 상캬철학에서 쁘라끄리띠는 두 개의 궁극적 실재중 하나이면서 쁘라끄리띠에서 전변되어 이 세상이 전개된다는 의미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따라서 상캬철학에서는 쁘라끄리띠를 아직 현현되기 전의 미현현(avyakta)의 쁘라끄리띠와 현현(vya kta)된 쁘라끄리띠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미현현과 현현의 쁘라끄리띠는 본질적으로 서로 다른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전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궁극의 실재인 미현현의 쁘라끄리띠와 또 다른 궁극의 실재인 뿌루샤도 많은 공통의 특징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뿌루샤와 쁘라끄리띠는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전반적인 쁘라끄리띠의 고찰을 통해 쁘라끄리띠의 이해를 도왔다. 제 4장에서는 SK와 YS에서 실질적인 행위자인 구나(gun?a)를 중심으로 구나의 특징과 기능 그리고 YS에서 구체적인 구나의 활용까지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삿뜨와(sattva)는 기쁨, 즐거움, 가벼움, 빛, 그리고 조명하는 성질을, 라자스(rajas)는 움직임, 혐오, 자극, 활동하는 성질을, 따마스(tamas)는 낙담, 억제, 무거움, 덮개, 그리고 멈추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구나들은 지배, 의존, 생성, 작용, 동반하여 작용한다. 또한 요가철학에서는 직접적으로 구나에 대해 언급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는데, 구나를 차별(vi?e?a) 무차별(avi?e?a), 표식뿐인 것(li?gam?tra), 표식이 없는 것(ali?ga), 이렇게 네 부분으로 나눠 전변(parin?a?ma)을 설명하고, 다시 역창조(pratisarga)할 때 차별부터 쁘라끄리띠로 귀몰(歸沒)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제 5장에서는 구나들의 집합체이면서 요가철학에서 독존을 위한 도구로 삼았던 찟따(citta)에 대해 정리하였다. 먼저 찟따의 시원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찟따는 R?V때부터 사용되던 용어로 그 의미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마음’을 의미하기도 하고, ‘보다 깊은 내면의 마음’, 또는 ‘의식’을 의미하 In this research paper, I have investigated prakr????ti and kaivalya in Sa?m?khya and Yoga philosophy. Sa?m?khya and Yoga philosophy‘s metaphysics is dualistic realism, a pure consciousness purus?a and a pure substance prakr??ti, two independent principles can be explained the creation. but since purus?a are an inactive and immutable existence, the only prakr????ti is a practical active principle and prakr????ti is composed of 3 gun?as and the world is developed by the works of 3 gun?as. When gun?a’works stop, prakr?ti works no longer. and then gun?as again return to mu?laprak?r??ti(pratiprasava). Like this, apavarga of prakr?ti is that prakr????ti will be alone through gun?as return and then prakr?ti remains a balance state of the three gun?as(sa?mya?vas?t?ha?). so kaivalya is defined as a state of balance or equilibrium of the three gun?as in Sa?m?khya and Yoga philosophy. In Sa?m?khya and Yoga philosophy, kaivalya is an extinction of an ignorance and is developing a discernment knowledge, both schools have the same purpose of liberation, and are similar to the basic approach to the ultimate reality, but another point is the methodology for liberation. Sa?m?khya philosophy emphasized the wisdom to gain complete freedom from pain on the other hand, Yoga philosophy emphasizes the practical training for purifying the mind in order to suppress the mind’s modifications. Yoga philosophy hoped to gain kaivalya through a constant practice and a detachment heart. Therefore, in this paper, I have wanted to find a way of kaivalya through the study of prakr???ti and a changing substantial reality of three gun?as in Sa?m?khya and Yoga philosophy, 1. I have discussed about the origins and mechanisms of Sa?m?khya and Yoga, Yoga philosophy had a unique practice system, it was also accepted as a means of the performing practice in other schools. However, Sa?m?khya holds the philosophical system of their own. while Yoga philosophy did not have a metaphysics system. so Yoga accepted most of Sa?m?khya metaphysical philosophy. For this reason, they used the common terms, such as prakr??ti or gun?a. also Yoga accepted gun?a transformation theory. But just only two school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thodology to obtain the liberation. The Sa?m?khya philosophy has chosen wisdom as a way to achieve liberation. Yoga philosophy was actively looking for ways of liberation by utilizing prakr??ti and three gun?as 2. I‘ve had the overall consideration on prakr??ti. Etymologically, prakr??ti has a same meanings such as ‘make ahead’, ‘is created’ or ‘produce’. In such an etymological meaning, it is a term derived from a ‘material principle’. later, prakr??ti of such meanings was utilized in various ways. In Sa?m?khya and Yoga philosophy, among these meanings, one of the two ultimate principles was used as a material principle Also, I’ve investigated classifying the non-manifestation and manifestation of prakr??ti in Sa?m?khya and Yoga philosophy, the non-manifestation and manifestation of prakr??ti are not inherently different thing. Yet it can not be considered the same entirely. Also, the non-manifestation of prakr??ti is a lot of common features. that is, non-manifestation of prakr????ti is without beginning and one and without depending and the chief. 3. I have studied the features and functions of gun?as and the use of gun?as as the real actors in Yoga philosophy. Generally, sattva has the property in joy, happy, light, shine, and rajas has the property in activity, movement, disgust, irritation. also tamas has the property in discouragement, depression, heaviness, stopping characteristics and cover, and so on. Like this, gun?a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have the property in dominant, depending, generated, associated and acting. Also, Yoga philosophy was referring to direct and utilize gun?a actively. YS explained gun?as-transformation divided into four sections : difference(vi?e?a), Indifference(avi?e?a), only a mark(li?gam?tra), no a mark(ali?ga), when it is the creation evolution to differences(vi?e?a) from no a mark(ali?g?) in turn, prakr?ti is ubiquitous in the world. when it is the reverse creation to no a mark(ali?g?) from differences(vi?e?a) upside down, prakr?ti has returned to mu?laprak?r?ti. Thus, the utilization of gun?a in Yoga philosophy was used to explore the methods in order to applied to perform directly works through gun?a 4. I have studied the aggregate of gun?a of mind(citta) as a tool for liberation in the Yoga philosophy First, I have investigated the origins of the citta. citta's meanings has varied from the times of ?V. but then citta refers to the universal mind. In Yoga philosophy in order to emphasize the psychological part, including intellect, ego, heart, citta was actively utilized. However, citta is rarely used as the specific internal organs in Sa?m?khya philosophy. Therefore YS has explained that the definition of Sama?dhi is stopping a modification of mind. that is, among various a state of minds, rajas and tamas had stopped, then sattva had become the predominant. Finally sattva has stopped even. then it is the purpose of yoga 5. Focusing on the purification of prakr??ti, I have investigated how to transcend gun?as through the purification of prakr??ti, I’ve studied a ways to purify gun?as through as????tan?ga, purification of mind, identification, sama?dhi, and discrimination wisdom, then the transformation has stopped and liberation has achieved through such a purification gun?a 6. Also, Sa?m?khya and Yoga philosophy have dualistic realism. Each of two independent principles can be explained by kaivalya. One is of apavarga of prakr?i, and the other is kaivalya of purus?a. In terms of purus?a, through a wisdom(prajn?a?), when it obtains the concepts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purus?a and prakr?ti, purus?a achieves a kaivalya.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prakr?ti, prakr?ti completed the purpose of

      • Self in my eyes versus via others' eyes

        장소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examined one's self-concept from two different standpoints: one's own standpoint and others?f standpoint (perception of what others think of oneself). Its primary purpose was to distinguish and compare the impacts of the two self-concepts on subjective well-being of Koreans. Furthermore, the roles of psychological orientations such as individuality and relatedness were investigated in the impacts of the self-concepts. 155 participants completed the individuality-relatedness scale, the self-concept scales from their own standpoint and from others' standpoint, and the index of subjective well-being scale. The analyses included comparison between the two self-concepts for examining accuracy and consistency of the self-concepts,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self-concepts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between the incongruence of the two self-concepts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regression analysis to predict moderating effects of the individuality-relatedness ori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concepts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revealed that Koreans showed overall congruency in self-concept at body, personality, home and capability sub-domains. The personality and capability sub-domai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ognitive subjective well-being. With the emotional subjective well-being, all the scores of six sub-domains in self-concept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Other interpretations and inferences concerning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한 사람의 자기 개념(Self-Concept)을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 관점은 자기가 자기 자신을 바라보는 것이고 또 하나의 관점은 자기가 타인의 입장에 서서 자기 자신을 바라보는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는 후자를 '다른 이들의 관점(Others' Standpoint)'이라고 명명했다. 본 연구는 연구조사가 진행된 한국 사회의 문화적 맥락 속에서, '자신을 잘 안다는 의미'에 대해 역설하고자 하였다. 한국은 높은 집단주의 성향을 가진 사회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관계성 또한 높게 평가된다. 본 연구는 한 개인의 주관성 혹은 관계성 성향으로 바라보는 자기 개념이 개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155명의 피험자들은 자신의 개별성이 혹은 관계성이 높은지 낮은지를 측정하는 설문지에 먼저 응답하고, 그 다음으로 자기 개념을 두 가지 관점에서 측정하도록 요구되었다. 그 후 피험자들 현재의 인지적, 정서적 주관적 안녕감 척도에 답하도록 요구되었다. 결과는 피험자들의 두 가지 관점에서 바라본 자기 개념의 하위 척도 가운데에서도, 신체와 성격, 가족과 능력 부분에서 높은 일치성을 보였다. 특히 성격과 능력 부분의 답변은 인지적, 주관적 안녕감 모두와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주관적 안녕감은 다른 자기 개념의 하위 척도들과도 모두 높은 상관을 보였으나, 인지적 안녕감은 성격과 능력 두 가지 부분에서만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이는 한국의 문화적 맥락에서 사회성과 성격이 관계적, 개별적으로 모두 중요한 특성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이외에, 자기 개념에 대한 해석과 추론들이 논의되었다.

      • 문학 교육과 화자에 관한 연구

        장소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재 문학 교육 내용이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 및 성취 기준을 근거로 하여 만들어진 교과서를 신봉하는 현 교육 제도의 문제점을 전제로 하고 있다. ‘문학’ 영역이 국어 교과에서 독립적인 위상으로 자리 잡기 시작한 ‘제4차 국어과 교육 과정’에서부터 현재 ‘2009 개정 국어과 교육 과정’에 이르기까지 교육과정의 흐름 속에서 ‘화자’ 교육이 올바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점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하고 그 대안을 마련해 보고자 한다. 교육과정에서 언급하고 있는 화자 교육의 수준과 범위 및 통일되지 않는 용어 문제 등을 분석해서 대안을 제시한다면 향후 학교 현장에서 화자 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문학 교육에 있어 화자 교육 개선 방향을 그 연구 대상 및 범위로 한정하고자 한다. 먼저 시와 소설에서 각각 필요한 ‘화자’에 관한 이론을 검토 한 뒤에 중학교에서는 어느 정도까지 ‘화자’에 관한 지식 교육이 이루어져야 학습자들의 문학 감상 능력이 효과적으로 신장될 수 있는지 그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해 보고자 한다. 통일되지 않은 ‘화자’ 용어 문제, 화자 교육의 학년별 위계성과 체계성 문제, 소설에서 화자 교육이 ‘화자’와 ‘시점’을 구별하지 않아 모호한 개념을 정립하고 있는 문제, 중학교 수준에서의 화자 교육의 범위 등을 문제점으로 밝히고, 중학교 수준에서 감상 가능한 구체적인 작품을 예로 들어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그리하여 작품의 수용․생산의 주체자로서 국어과 교육과정 목표인 ‘국어 문화 창조에 이바지’할 수 있는 학습자를 길러낼 수 있도록 현장 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장 실험을 통해 실제 학습자들의 학습 발달 능력을 반영하여 보다 정밀하고 실제적으로 학습 위계를 설정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따라서 중학교 각 학년 학생들의 학습 발달 능력을 반영하여 보다 정밀하고 실제적인 화자 교육의 수준을 마련하는 후속 연구도 요구된다. 이러한 제약들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그동안 학교 현장에서 혼란이 많았던 화자 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인식하고 화자 교육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