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orecasting stock market returns : application of the Sum-of-the-Parts method in Korean stock market

        장세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is paper, I undertake an extensive analysis of out-of-sample tests of stock return predictability in an effort to identify predictive approaches that best forecast stock return in Korean stock market. Following approaches of Goyal and Welch (2008) and Ferreira and Santa-Clara (2011), I compare out-of-sample R-squares for traditional predictive regressions with macroeconomic and financial variables that are known to exhibit return predictability in extant literature, and the sum-of-the-parts method. I forecast separately the three components of stock market returns – dividend-price ratio, equity growth, and price-to-book ratio growth – the sum of the parts (SOP) method. Modifying the original SOP method from Ferreira and Santa-Clara (2011) by substituting earnings to equity and price-earnings ratio to price-to-book ratio, I show that the new method produces annual out-of-sample R-squares (compared with the historical mean) of more than 12% with 5-year horizon and 7% with 10-year horizon at an index level. This has a significant comparability with most negative R-squares obtained in the predictive regressions. The SOP method, on the other hand, produces negative out-of-sample R-squares of -3% and -1% with 5-year and 10-year horizon respectively at individual stock level. Constructing portfolios by individual firms’ market capitalization size and book-to-market ratio, I find that the SOP approach predicts annual returns for relatively small and undervalued firms. The use of SOP method as a trading strategy also generates yearly economic profits of 9.53% using return estimates at 5-year horizon and 9.49% with 10-year horizon measured by certainty equivalent. This also compares with most negative returns of trading strategies using various factors of the predictive regressions. Given that I obtain evidence of predictability in Korean stock market, my out-of-sample results strengthen the superiority of the sum-of-the-parts (SOP) method in stock return predictability to the case of Korea.

      • 분무 가능한 천연고분자 나노섬유 강화 투명 수분산 폴리우레탄 복합소재

        장세연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 문제는 다양한 환경 규제로 이어지고 있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폴리우레탄 (polyurethane, PU)은 매우 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유기 용매를 분산 매체로 하기 때문에 합성 또는 작업장 사용 시 휘발성 유기 화합물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방출 등과 같은 환경적인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각국에서는 점차 대기 중 VOC 배출량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어 수성 제품 개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유기 용매 기반의 폴리우레탄의 대안으로 제시된 수분산 폴리우레탄 (waterborne polyurethane, WPU)은 합성 과정에서 유화제 및 중화제를 도입하여 폴리우레탄 입자를 수계에 분산시킨 것이다. 이는 합성 과정에서 사용되는 유기 용매의 양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VOC 방출량을 줄일 수 있어 친환경적인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수분산 폴리우레탄은 기존의 유기 용매 기반 폴리우레탄에 비해 열적·기계적 성능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열적·기계적 성능을 개선하고 응용 분야를 넓히기 위해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강화재로써 셀룰로오스 및 키틴을 도입하고자 한다. 셀룰로오스 및 키틴은 자연계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천연고분자로써 친환경적이며 지속 가능하고, 무독성, 우수한 기계적 특성 등의 장점을 갖는 재료이다. 이들은 자연계에서 안정화된 마이크로 섬유 다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물리화학적 처리를 통해서 나노섬유화하여 사용된다. 준비된 셀룰로오스 및 키틴 나노섬유는 수분산 폴리우레탄과 복합화하여 복합소재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수분산 폴리우레탄 복합소재의 분석을 통해 천연고분자 나노섬유에 의한 수분산 폴리우레탄 복합소재의 강화 효과를 파악하고 구조-물성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친환경 에어로졸 추진제로 주목받고 있는 DME (dimethyl ether)를 이용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 복합소재의 에어로졸 스프레이 코팅 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더 넓은 범위로의 활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 초공동 수중운동체 캐비테이터의 항력과 양력특성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장세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초공동 수중 운동체는 초공동 현상과 해수 흡입형 로켓추진기관을 이용하여 평균 100m/s의 속도로 진행하는 어뢰의 한 종류이다. 운동체 두부에 위치하는 캐비테이터는 운동체가 만드는 양력의 절반가량을 생성하며, 대부분의 항력을 받는다. 추진기관의 설계에 앞서 캐비테이터 상에 존재하는 해수 흡입구를 통해 펌프로 유입되는 해수의 압력 및 수두를 계산해야 한다. 본 연구는 수치 해석적 방법을 이용해 해수흡입구를 고려한 초공동 수중운동체 캐비테이터의 항력과 양력특성 및 흡입구의 압력손실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흡입구 직경과 캐비테이터의 직경의 비, 흡입 유로에서의 속도와 프리 스트림 속도의 비, 흡입구의 곡률반경을 흡입구 직경에 대한 비로 나타낸 무차원 수 및 캐비테이터의 받음각의 조건을 변경하며, 그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직경비가 커지면 항력계수와 흡입구의 압력 손실계수는 감소한다. 속도비가 증가할 때, 항력계수와 양력계수는 감소하며 흡입구의 압력 손실계수는 증가한다. 흡입구에 곡률이 존재할 때, 흡입 유로내부에는 흡입구에 의한 유동의 박리 및 재부착이 발생하지 않으며, 흡입구 압력 손실계수는 감소한다. 그러나 항력계수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작다. 캐비테이터의 받음각이 0°≤ α ≤ 10°의 범위일 때, α가 증가해도 항력계수와 압력 손실계수의 변화는 미미하다. 반면에, 양력계수는 α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 디지털 게임의 포스트 아포칼립스 담론 연구

        장세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ost-apocalyptic worldview which have been frequently used in the recent digital games and to analyze how players experience such post-apocalyptic world as a player character within a game. Moreover, it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contemporary discourses and ideologies enjoyed by players while making the behaviors as dynamics based on the mechanics of the games and having interactive relationships with the worldview of games through a humanistic perspective. Digital game is a genre of artwork in which the human imagination and future vision is realized in a virtual space in a basis of computer technology. The existing artworks used a one-way method of delivering their messages to their receptors. In contrary, digital game allows a player to directly pseudo-experience its worldview to embody the values and ideologies of the game.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d how a digital game player in the background of world-end world understood and realized its post-apocalypse discourse. For this purpose, the mechanic factors were classified, and the features occurred by a player encountering the mechanics within a game directly or indirectly were examined. 154 games using the post-apocalypse worldview were selected as the targets of the study among a variety of digital games. The second chapter of this study classified the spaces of the post-apocalyptic world by applying the space classification standard by Yuri Lotman with his standard of the externality and internality of a space. Among the four classification based on the visual and experiential externality and internality of a game space, it was revealed that the third type corresponding the visual internality/experiential internality did not exist in post-apocalypse games. Also, among game characters, NPC(Non-player character) except for player characters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4 types including civil militias, governmental leftover forces, isolate individuals, and vagabonds. Furthermore, it was fund that a player character functioning as a persona of a specific player could not achieve the stage of ‘returning with the elixer’, which was the 12th phase in a lifestory structure of a hero in a game narrative. The third chapter analyzed how a game space classified in the second chapter and NPC interacted with a player character. In this context, the play dynamics within a post-apocalypse game was analyzed by using the principle of casualty model by Raymond R. Lang. In the space of doom, a player experienced the mechanics of game under the form of combining visual images and verbs. It was shown that the player character in a post-apocalypse game reached the ending with a single identical verb form at the last phase of a game narrative. At that time, the doom space referred to a combination of non-spaces in which the function of passage could be performed only by the verbal behaviors of a player. Eventually, it was considered that the player could acquire the practicality of the doom space through the behavior of paseo to enjoy the space itself. The fourth chapter investigated the contemporary discourses and ideologies implied by post-apocalypse games based on the analysis findings of the third chapter. The post-apocalypse games describing the present and near future with vividness provided the disjunctive viewpoint on the contemporary real world to their players. In addition, they also revealed the desire as Homo Deus to destroy the existing world and orders and become a god of creation and immortality in an entirely new scene. A player in a digital game gets actual connotations of a game world through play behaviors. Post-apocalypse games are artworks to cast contemporary humanistic questions and investigations as vivid reasoning fictions. Therefore, they are significant mediators to demonstrate that the contemporary technologies and science already embed their collapses and stimulate the desire for a new scene. 본 논문에서는 최근 디지털 게임의 세계관으로 다수 차용되고 있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의 제 요소를 살펴보고, 플레이어가 게임 내의 플레이어 캐릭터로서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를 경험하는 방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플레이어가 게임의 매커닉을 통해 다이내믹으로서의 행위를 발생시키고 게임의 세계관과 상호적인 관계를 맺으며 향유하게 되는 동시대적 담론과 이데올로기의 의미를 인문학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디지털 게임은 컴퓨터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가상공간에서 인간의 상상력과 미래에 대한 비전을 구현하는 예술작품이다. 기존의 예술작품은 수용자에게 일방향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했으나 디지털 게임은 플레이어로 하여금 직접 해당 세계관을 유사체험 하며 게임 속의 가치와 이데올로기를 체현하도록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종말 이후의 세계를 배경으로 하는 디지털 게임의 플레이어가 게임 안의 포스트 아포칼립스 담론을 이해하고 체현하는 방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게임의 매커닉 요소들을 유형화하고 플레이어 캐릭터가 게임 내의 매커닉과 직,간접적으로 부딪히며 발생시키는 특성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는 디지털 게임 중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을 차용하는 154개 게임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해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의 2장에서는 유리 로트만의 공간 분류 기준을 활용해 종말 세계의 공간을 유형화한다. 유리 로트만은 공간의 외재성과 내재성이라는 분류 기준을 근간으로 게임 공간을 분류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 게임 공간의 시각적, 경험적 외재성/내재성을 근간으로 하는 4가지 유형 중, 포스트 아포칼립스 게임에는 시각적 내재/경험적 내재에 해당하는 제 3 유형이 부재함 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캐릭터 중 플레이어 캐릭터를 제외한 NPC(Non-player character)는 그 특성을 토대로 자경단, 정부 잔존세력, 고립된 개인, 방랑자의 총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나아가 플레이어의 페르소나로 기능하는 플레이어 캐릭터가 게임 서사의 영웅의 일대기 구조에서 제 12단계인 ‘영약을 가지고 귀환’하는 단계를 성취할 수 없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3장에서는 2장에서 유형화한 게임의 공간과 NPC가 플레이어 캐릭터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레이먼드 랭의 인과율 모델을사용해 포스트 아포칼립스 게임에서의 플레이 다이내믹을 분석한다. 파국의 공간에서 플레이어 캐릭터는 시각적 이미지와 동사를 결합한 형태로 게임의 매커닉을 경험한다. 포스트 아포칼립스 게임의 플레이어 캐릭터는 게임 서사의 마지막에서 동일한 하나의 동사 형태로 귀결하는 엔딩에 도달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때 파국 공간은 플레이어의 동사적 행위를 통해서만 통과의 기능을 지니는 비장소들의 집합이다. 결국 플레이어는 공간 자체를 향유하는 걷기(paseo) 행위를 통해 파국 공간에서의 실천성을 획득한다고 볼 수 있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포스트 아포칼립스 게임이 함의하고 있는 동시대의 담론과 이데올로기를 고찰하고자 한다. 현재와 핍진한 근미래를 그리고 있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게임은 플레이어로 하여금 동시대의 현실 세계를 이접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을 제공한다. 또한 기존의 세계와 질서를 무너뜨리고 완전히 새로운 판국에서 신으로서의 창조와 불멸을 누리고자 하는 호모 데우스로서의 욕망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디지털 게임의 플레이어는 플레이 행위를 통해 게임 세계의 실제적인 의미들을 확보한다. 포스트 아포칼립스 게임은 핍진적인 추론 픽션으로서 동시대에 인문학적인 문제와 고찰을 던지는 예술 작품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포스트 아포칼립스 게임은 동시대의 기술과 과학이 이미 자신의 몰락을 내재하고 새로운 판국의 욕망을 자극하고 있음을 보이는 유의미한 매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정신질환자가 지각하는 가족지지 및 가족기능

        장세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부분의 정신질환자들은 장기간의 치료와 잔존 증상으로 지역 사회로 복귀한 후에도 사회적 위축이나 대인 관계의 문제로 인해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퇴원 후에도 가정과 사회에서 그대로 방치되어 그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여러 복합적인 스트레스 등에 취약해 재발의 가능성이 클 뿐 아니라 재발할수록 인격의 황폐화 위험성이 높아져 생활에 적응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이로 인해 다시 재입원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재입원으로 인한 경제적, 심리적 부담은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대인관계의 위축이나 사회 적응 능력에 많은 어려움을 안겨줄 수 있으며, 또한 병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져 정신질환자의 가족들이 져야 하는 경제적, 심리적, 정서적 부담감은 클 수밖에 없다. 이는 곧 정신질환자들의 가족지지체계를 약화시켜 입원의 악순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들이 정신질환자의 재발이나 재입원을 다뤄 왔으며 증상의 호전이나 재발과 관련하여 여러 복합적인 요인들이 관련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존의 연구 경향을 살펴보면 주로 생물학적, 정신병리학적인 관점에서 정신질환자에 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최근에는 정신질환자의 가족들의 역할이 중요시되면서 정신질환자 및 가족들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질환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지각된 가족지지 및 가족기능과의 관계를 조사하고, 기존의 가족 관련 연구 자료를 토대로 가족지지나 가족기능에 어떠한 변수가 관계있는지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가족 치료를 향상시키기 위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와 경기도, 충청지역에 소재하는 대학병원 및 정신병원에서 2회 이상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정신질환자로 총 159명이였다. 연구 도구는 가족지지 척도 11문항, 가족기능 척도 22문항, 일반적 특성 7문항, 가족관련 특성 2문항, 질환/치료적 특성 6문항으로 총 48문항의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수집은 2005년 3월1일부터 4월 30일까지 시행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0.0을 이용하여 기술 분석, 일원분산분석, Duncan' s test, t-test, 상관계수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으로는 총 159명으로 남자 86명, 여자 73명이었고, 연령층은 30대와 40대가 81.7%로 주로 나타났으며, 교육정도는 고등학교 졸업이상이 78%로 대다수 분포되어 있었다. 결혼 상태는 미혼이 57.2%로 과반수이상을 차지하였고, 종교는 78.6%가 어떠한 형태로든지 종교 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은 무직이 50.9%로 높았으며 가족의 전체 월 소득이 200만원 미만이 68.6%로 분포되었고, 대화상대는 모가 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의 질환관련특성으로는 진단에서 정신분열증이 83%, 기분장애가 14.5%, 무응답이 2.5%를 보였으며 유병기간은 10년 이상이 전체 49.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발병연령은 20대가 50.9%로 과반수이상이 분포되어 있었다. 재입원 횟수는 최소 2회에서 최대 14회로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3. 정신질환자가 가족들로부터 받고 있다고 스스로 인식한 가족지지는 55점 만점 척도에서 38.82(평점평균 3.53) 점으로 평균 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만성질환자와 비교해서는 낮은 점수임을 알 수 있었다. 4.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에서는 가족의 총 월수입이 높을수록 가족지지 점수가 유의한 차이로 높게(p<.05) 나타났다. 5. 정신질환자가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가족의 기능에 대해서는 110점 만점 척도에서 평균 62.23(평점평균 2.83) 으로 평균보다 높아 가족기능이 역기능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 평균에서 응집성 영역은 평점평균 2.62로 가족원끼리 서로 분리되어 거리감이 생기고 서로 간에 무관심하게 되는 상호분리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나 정도는 심하지 않다고 해석 할 수 있다. 적응성 영역에서는 평점평균 2.94점, 의사소통 영역에서는 평점평균 2.97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요인보다도 정신질환자 가족 내에서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많음을 알 수 있으며 가족 성원 간에 서로 의견을 존중하거나 명백한 의사소통과 표현을 하기보다는 부정적이고 모순 된 메시지를 보내 빈약한 문제 해결 기술을 지닌다고 알 수 있다. 6.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 정도에서는 교육 정도가 낮을수록 가족 기능에 대해 역기능적(p<.05)이라고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가족지지 정도와 가족기능 정도와의 관계 가족지지 정도와 가족기능정도(r= -.424, p< .01)의 사이에서는 유의한 수준으로 역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기능 점수가 높을수록 가족기능이 역기능 이므로 가족지지 점수가 높을수록 가족 기능이 순기능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족지지 정도와 가족기능을 구성하는 세 개의 하위 영역인 응집성(r= -.513, p< .01), 적응성 (r= -.265, p< .01),의사소통 (r= -.424, p< .01)영역에서 모두 유의한 수순으로 역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 지지가 높을수록 가족 간에 개체성을 상실해 혼돈이 일어나거나 서로 분리되어 거리감이 생기는 정도가 낮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가족교육 프로그램에 정신질환자의 가족이 환자에 대한 지지를 증가시키고 이들의 가족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보완이 필요하다. 특히 가족기능 중에서 가족 내 의사 소통부분이 가장 취약함을 고려할 때, 가족의 의사소통 기술을 교육하는 프로그램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가족지지나 가족기능이 향상됨으로써 가족을 치료에 적극 개입시켜 약물치료의 순응이나 재발을 예방하는데 일차적인 치료의 도움자가 되도록 가족교육을 시행해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family function of the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and general factors, and to compar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nd the established results of studies in this fiel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9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or mood disorder by DSM-IV.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 to April 30, 2005 by using the questionnaire filled in by the subjects themselves. The main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 translated version of the ' Family Support Scale' developed by Kang, Hyun-Sook and translated version of 'Self-report Family instrument' developed by Beav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t-test, duncant' test and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10.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of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was 38.82, result was shown higher point than average. It is low point more than other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 2. Considering the capacity of the family support of the mental illness from the population, social special quality point of view, total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has positive correlation(P<.05) with the family support score significantly. 3. The perceived family function of the mental illness was 62.23. And low rank element of family function are as following. Cohesion(M=20.94), Adaptability(M=23.49), Communication(M=17.79),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s the dysfunction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s family function. Specially, trouble appeared by bigger thing in communication area than other area. 4. Considering the capacity of the family function of the mental illness from the population, social special quality point of view, the lower is educational status of the family of the mental illness, the more is perceived family function as dysfunctional(P<.05) by the family of the mental illness. 5.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family support and family function(r= -.424, P<.01). Also, meaning result appeared with family support and cohesion(r= -.513, P<.01), adaptability (r= -.265, P<.01), communication(r= -.424, P<.01). In conclusion,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which can increased the support of the family to the patient and improve the family function are needed in family educational program. Especially, regarding that the communication among the family of mental illness is the most vulnerable in the family function,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 of the family is very important. Also, we will have to help the family of the mental illness to advance family support and family function, subsequently we can lead the family of the mental illness to intervene in the matter of improving the compliance of the patient or prevention of relapse as a primary supporters.

      • Risk factors of delayed intracerebral hemorrhage following ventriculoperitoneal shunt

        장세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Objective A ventriculoperitoneal (VP) shunt is a common neurosurgical procedure for cerebrospinal fluid (CSF) diversion. However, it is associated with many complications. Delayed intracerebral hemorrhage (ICH), which is one of rare type complication following VP shunt had been reported in a few cases. The author investigated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development for delayed ICH following VP shunt. Methods One hundred and sixty-seven patients received a VP shunt for hydrocephalus over 11 years and 138 patients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All medical records and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obtained within 48 hours after operation and 7 days postoperative were reviewed. Brain CT wer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neurological deficits developed. The risk factors of development for delayed ICH (≥ 48 hours after VP shunt)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data including sex and age, original intracranial lesions, co-morbid diseases, and laboratory findings. Results Delayed ICH following VP shunt developed in 34 (24%) of 138 patients. Risk factors of delayed ICH were age (p = 0.037) an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PTT) (p = 0.032). Other clinical parameters were not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delayed ICH statistically.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after VP Shunt was most common in 16 cases. Hemorrhagic volume was less than 1 ㎖ in 28 cases, and more than 1 ㎖ in 6 case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old age and delayed PTT are major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of delayed ICH following VP shunt. In addition, delayed ICH after VP shunt commonly occurs even when most patients are asymptomatic. Therefore, careful observation should be paid attention during the follow-up period to whom underwent a VP shunt.

      • 가스계소화설비 저장용기 약제량 측정 개선에 관한 연구

        장세연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gas-based fire extinguishing system is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that requires embargo and is used for fire extinguishing in the event of an initial fire. Gas-based fire extinguishing systems have the advantage of preventing secondary water damage compared to water-based fire extinguishing systems, but if there is a resident in the protection area, it is necessary to prevent gas leakage and prevent access to the protection area. In such a gas-based fire extinguishing system, fire extinguishing agent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 design procedure calculates the amount of fire extinguishing agent, which shall not leak due to the airtightness of the cylinder valve. In case of emergency, all fire extinguishing agents stored through the nitrogen pressurized starting gas and feedback system will be transferred to the relevant protection area. The fire extinguishing gas transferred in this way can extinguish a fire due to the formation of conditions in which proper sealing in the protection space and the soaking time are ensured. However, the cylinder valve stor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may become less airtight over time, and natural leakage may occur, and for this reason, the amount of agents fire extinguishing is measured periodically through a legal inspection called self-inspection. Through a survey and survey on the measurement of the amount of digestive gas drugs in Korea,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impossibility to measure digestive gas drugs was approached in detail through engineering theory, and errors in regulations related to drug measurement were found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fire extinguishing agents with low critical temperature, improvement in the temperature standard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torage container room should be mad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ontainer room is maintained below the critical temperature. Second, when using a measuring instrument using a radiation source, it is essential to report the use and appointment of a radiation safety manager. Third, in the case of specific fire-fighting targets installed with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such as water spraying, the area standard must be deleted when selecting the target of comprehensive precision inspection. Fourth, legal inspection equipment should be used when inspecting the operation function of the gas meter fire extinguishing facility. Fifth, the content of the drug loss in the digestive medicine storage container should be added to the NFSC 107A halogen compound and inert gas fire extinguishing facility standard.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safer gas-based fire extinguishing systems by ensuring reliability for measuring the amount of gas-based fire extinguishing agents. 가스계소화설비는 금수(禁水)를 요구하는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초기 화재 시 소화를 위한 시스템이다. 가스계소화설비는 수계소화설비와 비교하였을 때 2차적인 수손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방호구역내 재실자가 있을 경우 가스 방출로 인한 질식 및 소화과정에서 발생된 독성 가스로 인하여 인명 피해가 우려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평상시 가스 누출 방지 및 화재시 방호구역 내 재실자의 빠른 대피와 함께 방호구역 내로의 접근을 금지 시켜야 한다. 이러한 가스계소화설비에 있어서 소화약제는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이다. 설계 절차에서 안전율을 고려하여 소화약제량이 산정되며 이 소화약제는 우선 실린더밸브의 기밀성으로 평상시 누출되지 말아야 하고, 유사시 설비가 작동될 경우 질소로 가압된 기동용가스와 피드백시스템을 통하여 저장되어 있는 모든 소화약제가 집합관을 통하여 해당 방호구역으로 이송될 것이다. 이렇게 이송된 소화가스는 방호공간에서의 적절한 밀폐와 설계농도유지시간이 확보된다는 조건 형성으로 인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소화약제를 저장하고 있는 실린더밸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밀성이 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한 자연 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자체점검이라는 법정 점검을 통하여 소화가스 약제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있다. 국내의 소화가스 약제량 측정에 관한 실태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소화가스 약제량 측정이 불가능한 근본적인 원인을 공학적 이론 방식으로 접근하여 상세히 알아보고 이와 더불어 약제량 측정과 연관된 규정의 오류를 찾아 그에 따른 제도적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임계온도가 낮은 소화약제의 경우 저장용기실의 온도가 임계온도 이하로 유지 되도록 소화약제 저장용기실 온도 기준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방사선원을 이용한 측정기 사용시 사용신고 및 방사선안전관리자 선임신고를 필수적으로 해야 한다. 셋째, 물분무등소화설비 설치된 특정소방대상물의 경우 종합정밀점검 대상 선정시 면적 기준을 삭제해야 한다. 넷째, 가스계소화설비 작동기능점검 시에도 법정 점검 장비를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NFSC 107A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기준에도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약제량 손실 적합여부 내용이 추가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화가스 약제량 측정에 대한 신뢰성 확보로 보다 안전한 가스계소화설비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