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자체 출연기관 경영효율화를 위한 경영평가제도 개선방안 연구 : 전라북도 출연기관을 중심으로

        장성권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 약 지방공기업 및 지자체 출연기관 등 공공기관에 대한 경영평가는 자율적 기관운영을 보장하되 결과에 책임을 묻는 제도적 장치로 경영분석과 컨설팅을 통한 지속적인 경영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더불어 궁극적으로는 설립주체인 국가 및 지자체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대국민 서비스를 증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지난 1991년 지방공기업에 대한 경영평가가 실시된 이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영평가제도 개선에 관한 노력이 이루어졌으나 아직도 개선해야 할 부분이 많으며, 여전히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실제 지자체 출연기관의 경영성과평가제도가 각 기관의 고유 업무와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실제 성과와 배치되는 평가결과를 제시하는 등 경영평가방법 및 지표에 대한 개선의견이 제기 되고 있다. 전라북도로부터 경영평가를 받는 A기관의 경우 2013년 산업부 경영평가에서는 B등급으로 평정되었으나, 전라북도 경영평가에서는 C등급으로 평정되는 등 평가주체에 따라 경영평가 결과가 달라지는 등 객관성 확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출연기관의 경영평가제도 운영 현황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산하 24개 시설관리공단에 대한 연구와 대전도시철도공사 등 대전시 산하출연기관에 관한 연구 등 타 지방공기업 및 출연기관과 해외연구(일본 이바라키현)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선행연구와 해외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기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전라북도 출연기관 경영평가 담당자에 대한 면담조사와 델파이 설문을 통해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제3의 독립된 경영평가기관에 평가위탁을 통한 신뢰도 확보가 필요하다. 현재 전라북도는 서울시나 경기도 등의 타지자체와 달리 지자체 평가담당부서에서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피평가기관으로부터 지원 사업을 수혜 받은 교수 등을 평가위원으로 구성하고, 지역인사를 평가위원으로 구성하는 등 상피제가 적용되지 않아 신뢰도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신뢰도 문제를 불식시키기 위해 전라북도에서도 타 지자체와 같이 ‘지방공기업평가원’ 등 제3의 독립된 평가기관에 위탁을 통한 경영평가 추진으로 경영평가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자체외에 개별법령에 근거해 정부부처로부터 경영평가를 받는 기관의 경우 지자체 별도 평가 없이 중앙부처 평가결과를 준용하는 것을 검토 할 필요가 있다. 전라북도 산하 출연기관중 일부 기관은 산업부와 전라북도의 공동출연으로 설립된 기관으로 ‘산업기술단지 지원에 관한 특례법’을 적용받아 매년 산업부로부터 경영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지자체에서도 별도로 경영평가를 실시함에 따라 해당기관에서는 업무중복과 상이한 평가결과에 따라 업무차질과 혼선을 빚고 있다. 실제로 A기관의 경우 2008년 이후 산업부와 전라북도의 경영평가결과가 일치한 것은 단 한차례뿐으로 경영평가 단일화를 통한 경영효율화를 대국민서비스 증진을 추진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경영평가 결과를 차년도 경영계획에 수립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상반기중에 평가가 마무리 되고 7~8월에는 평가결과가 해당 기관에 통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라북도의 경우 통상 10월 이후에나 각 기관에 통보됨에 따라 각 기관이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고 차년도 경영계획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계량지표의 경우 해당기관에서 활용하는 내부 BSC시스템을 활용해 평가하고 11월~12월초에 경영실적보고서를 작성하면, 1~2월에 현장실사를 통한 검증을 통해 4월이면 경영평가 결과를 해당기관에 통보 할 수 있다. 넷째 타지표대비 높은 가중치로 전체 평가결과를 좌우하는 고객만족도 지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전라북도 경영평가의 세부지표는 최소 2점에서 최고 11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고객만족도의 경우 20점으로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위그룹과 하위그룹간 편차가 최대 3점에 이르는 등 고객만족도 점수가 각 기관의 평가순위를 결정하는데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어, 고객만족도 배점 하향 등 가중치 조정이 필요하다. 기재부의 공기업평가는 5점, 안행부의 지방공기업 평가는 10~15점으로 전라북도 보다 낮은 편으로 각 기관의 평가결과가 소수점 한자리에서 결정되는 상황에서 과다한 배점의 지표조정을 통한 공정성과 객관성 확보가 필요하다. 다섯째 상대평가제도 시행에 따른 기관 서열화를 회피하기 위해 절대평가제도 도입을 검토 할 필요가 있다. 지난 2008년 전라북도가 처음 출연기관에 대한 경영평가를 실시하였을 경우 대다수 기관의 평균점수는 85점 이하로 낮은 점수분포를 보여 왔으나, 2010년 이후 평균점수가 90점대로 상향평준화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기관의 경영평가점수가 90점에 근접하는 상황에서 소수점 한두자리차이로 각 기관의 등급이 결정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위적인 상대평가제도를 통한 등급 재평정은 경영평가의 본래목적을 훼손시키고 피평가기관의 사기저하 등 역기능을 야기 할 수 있다. 각 기관의 경영평가점수 평균이 해마다 상승세를 보이는 것은 각 기관의 경영개선노력이 반영된 결과이며, 평균 90점에 근접하는 결과는 평가제도가 어느 정도 안정화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영평가를 통해 각 기관의 우열을 판별하기보다는 절대평가제도 도입을 통한 실질적인 기관의 업무개선 및 경영효율화 방향 제시를 통해 경영평가 본연의 목적이 실현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기업 및 지방공기업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와 전라북도 출연기관 경영평가 담당자에 대한 인터뷰와 델파이 설문을 통해 지자체 출연기관의 경영평가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선행연구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 전라북도의 경영평가제도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Group-delay를 고려한 IMT-2000용 Cascode-Resistive 혼합기의 설계

        장성권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HEMT소자를 이용한 2GHz 대역의 위상지연을 고려한 IF단의 출력 필터와 저항성 혼합기의 원리를 이용한 IMT-2000용 Cascode 하향 혼합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작형태는 Hybrid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이 혼합기 RF단은 2110~2170MHz, LO단은 2000MHz로 110~170MHz의 IF단 주파수를 추출해낸다. LO신호의 입력단은 저항성 혼합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드레인 바이어스가 없는 저항성 영역에서 바이어스를 인가하고 RF단의 필터를 통한 분리를 통해 RF단에서 LO신호의 누설이 작아졌다. 또한 RF단에 새로이 적용된 FET는 증폭기 역할을 하며 비선형 영역에서 드레인 바이어스를 인가함에 따라 전체적인 혼합기의 성능, 즉 좋은 상호변조 왜곡, 저전력 소모, 높은 포화 레벨 그리고 증폭기가 필요하지 않게 됨에 따라 작아진 면적 등이 이러한 Cascode 형태의 혼합기의 큰 장접이며 제안, 제작된 혼합기에서 각 단의 임피던스 정합이 잘 이루어졌으며 10dB 이상의 반사계수 손실을 보였다. 또한 출력단인 IF단에서는 RF에 –20dBm, LO에 1dBm이 적용되었을 때 2.42dBm의 이득을 가진다. 또한 Lo-to-RF의 Isolation은 필터의 역할에 의해 –35dB 이상의 특성을 보여주며 RF Power의 P₁dB는 대략 –7dBm 정도이고 38dBc 이상의 IMD₃을 보여준다.

      • 소셜 미디어 분석을 통한 미디어 문화연구

        장성권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빌렘 플루서, 피에르 레비, 그리고 폴 비릴리오의 미디어 철학 개념에 의거하여 소셜 미디어의 특성들로 보이는 커뮤니케이션 사회, 그리고 그 바탕을 이루는 집단 지성, 그리고 그 집단 지성이 나타나는 사회현상으로서의 속도 사회가 형성하고 있는 전체적인 미디어 문화, 즉 소셜 미디어가 매개된 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현상을 분석하고, 현대 미디어 문화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해결책을 제시해보고자 시도한 연구이다. 오늘날 현대 사회의 미디어 문화 현상은 크게 인터넷 이전과 인터넷 이후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인터넷 이전의 커뮤니케이션 사회는 일방향적 정보를 제공하여 엘리트 집단만이 정보를 생산하고 제공하는 ‘권력 기구’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대중 매체의 문제점을 빌렘 플루서는 현대사회의 미디어가 대중적 기만의 장치에서 벗어나기 위해 망형구조의 다양한 대화가 오가는 기술적 상상의 텔레마틱 사회를 상상하였다. 인터넷 미디어는 플루서가 말하는 촘촘한 네트워크망을 기반으로 가상세계의 타인과 연결해주고 수많은 정보를 생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가 상호작용하는 텔레마틱 사회가 도래했다고 볼 수 있다. 소셜 미디어는 인터넷 미디어가 진화한 웹2.0을 바탕으로 개방, 참여, 공유 등을 정치, 경제, 문화·예술 사회와 매개해 자율적으로 정보를 생산하고 공유하는 디지털 미디어로 진화하였다.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 미디어와 결합된 소셜 미디어는 현장성, 즉각성, 신속성의 실시간성을 갖춘 개인 미디어로 도약하게 되었다. 1인 미디어를 갖춘 사람들은 인터넷이라는 가상 공간에서 유희하는 시간이 많아 지고, 관계를 맺으며 집단을 형성하는데, 공적 영역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공동체를 이루기도 하였다. 레비는 사이버 공간에서 개개인의 지성들이 모여 지식 집단을 형성하는데, 지식의 집단은 집단지성을 형성해 현대의 복잡한 문제들을 새로운 민주주의 형태로 해결해 나가는 뛰어난 잠재적 공동체를 이룬다고 전한다.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정보통신기술의 보급은 비릴리오가 주장하는 현대 미디어 문화의 특성인 ‘속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속도는 동력기술과 통신기술을 바탕으로 점점 더 가속화 되면서 시공간의 경계를 넘는 원격 통신을 가능케 하고 새로운 세계질서를 만들지만, 이러한 속도의 가속화 과정에서 자본과 권력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한편 이용자의 감각을 마비를 시키는 ‘피크노렙시’ 현상을 초래한다는 비판적 입장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들의 미디어 이론과 개념을 바탕으로 소셜 미디어가 매개된 사회의 문화 현상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최근 소셜 미디어는 사회, 정치 분야에서 두드러진 현상을 나타내는데 먼저 국내사례로 2008년 촛불집회와 해외사례 2011년 아랍의 봄(재스민 혁명, 이집트 혁명)을 살펴보고자 한다. 각각의 문화현상에 나타난 공통점은 인터넷과 디지털 매체를 기반으로 개인의 목소리를 알리기 시작했고, 자유로운 사회 연대를 형성하여 불합리한 제도에 대해 극복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문화현상 분석을 통해 우리는 소셜 미디어가 1인 미디어로써 역량과 사회현상에 매개체로 참여와 직접적 행동을 이끌어 내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치적 차원에서도 소셜 미디어는 젊은 층 및 정치 참여를 원하는 다수를 이끌어 내, 이를테면 인증샷 놀이, 캠페인 도구로 활용되는 등 대중 매체와 결합해 사회구성원 개개인들의 정치적 관심도와 참여를 높이는 심의 민주주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소셜 미디어는 일부의 사용자와 네거티브 선전 도구로 활용하는 등 소셜 미디어의 문제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경제적 차원에서 기업과 고객의 만남을 한 차원 앞으로 나아가는 ‘공감’을 얻어내는 도구로 활용되고, 입소문 마케팅과 다수가 모여 가격을 낮추는 등 소셜 마케팅의 사례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문화적 차원에서 참여와 개방의 수평적 관계의 다양한 문화의 소셜 미디어는 전 세계적으로 공유되어 K-POP의 대표적 사례를 만나 볼 수 있었는데, K-POP의 팬덤 현상과 한류문화를 널리 알리는 미디어 문화 현상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처럼 소셜 미디어는 커뮤니케이션, 집단지성, 속도에 의해 순 기능과 역 기능의 양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소셜미디어의 순 기능으로 소셜 미디어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사이버 공간을 통해 집단지성을 이룰 수 있는 계기가 많아지고, 개인과 개인의 상호교류에서 나아가 더 나은 사회를 상상하기 위한 사회적 도구로 발전 가능성을 비춰주었다. 하지만 소셜 미디어의 역기능으로 왜곡된 이슈 생산과 복제 문제로 사람들 간의 오해를 불러 일으키는 감정적 집단의 ‘군중’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반면에 디지털 공간의 군중은 개인이 타인과 집단을 감시하거나 혹은 공동체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파놉티시즘과 홀롭티시즘의 경험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는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개인이 공동체 형성의 잠재성을 갖는 ‘잠재적 공동체’의 가능성도 엿볼 수 있었다. 결국 소셜 미디어의 다양한 문화 현상은 사이버 공간 속 개인이 감정에 치우쳐 군중 되느냐, 혹은 개개인의 지성을 모아 집단지성을 이루는 노마디즘적 사고의 주체자가 될 것인지는 각자 스스로가 판단해야 할 것이다. 소셜 미디어를 매일 사용하는 우리는 다양한 미디어 환경 속에서 신중한 판단을 위해 ‘깊은 사고’가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디지털 사용 습관의 ‘물리적 거리’, 즉 아날로그와 가까워지는 방법과 삶의 의미를 찾는 과정의 ‘내적 거리’, 이는 결과 중심적 사고가 아닌 스스로 ‘의미’를 찾는 과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삶 습관에서 가장 필요한 ‘긍정적 사고의 습관’을 기르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제 우리의 일상은 아침에 눈을 뜨는 순간 스크린과 함께하는 미디어와 함께하는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다. 소셜 미디어의 환경은 생태환경처럼 진화되고 있고, 디지털 기술 또한 발전하고 있다. 사람은 기술을 통해 윤택한 삶을 꿈꾸고 기술은 이를 이루어준다. 다시 말해 소셜 미디어는 우리의 삶을 행복하게 가꿀 수 있는 상상의 도구로 진화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 Effects of alternative nutritional manipulation on physiology and productivity of weaning pigs and sows

        장성권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Overall Summary Effects of Alternative Nutritional Manipulation on Physiology and Productivity of Weaning Pigs and Sows The objectives of these experiments were 1)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nzoic acid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profile and ammonia gas emission in weaning and growing pigs, 2)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fferent energy and dietary lysine levels in gestation diets on reproductive performance, blood composition and growth of gilts and 3)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fat supplementation during gestation on reproductive performance, milk composition and their progeny performance of sows. Experiment I. Effect of VevoVitallⓡ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Profile and Ammonia Gas Emission in Weaning and Growing Pig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VevoVitall® supplementation provided by DSM Nutrition Korea Ltd. was suitable as an antibiotic alternative and would produce a synergistic effect with anti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urine pH, blood profile, nutrient digestibility and ammonia emission in weaning and growing pigs. The experiment consisted of 4 treatments: 1) Ncon (negative control), basal diet (corn-soy bean meal based); 2) Pcon (positive control), basal diet +Colistin sulfate0.12%; 3) NeVe, basal diet + VevoVitall® 0.5%; and 4) PoVe, basal diet + Colistin sulfate 0.12% + VevoVitall® 0.5%. Treatments were applied during weaning (5 weeks) and growing (6 weeks) periods. Crossbred pigs (n = 128; [Landrace x Yorkshire] x Duroc) weaned at 24 ± 3d of age were used. After weaning, body weight (BW), average daily gain (ADG)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were higher in treatment Pcon, NeVe and PoVe than in Ncon (P<0.05). No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NeVe and PoVe with added VevoVitall® supplementation to diet and Pcon. Growth performance during the weaning phase was directly influenced on growth of growing phase. During the growing pha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DG; however, Pcon, NeVe, and PoVe tended to show a more positive effect than Ncon. In this experiment, the results did not reveal an interaction or synergistic effect between antibiotic and VevoVitall® supplementation; however, the growth performance of PoVe was greater than that of other treatm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urea, nitrogen concentration, and nitrogen retention among dietary treatments. In case of urine pH trial, urine pH was lower when VevoVitall® was supplemented (NeVe and PoVe) in weaning pig’s diet(P=0.069). Also, in growing phase, treatment PoVe (antibiotic with VevoVitall® supplementation) showed lower urine pH (P=0.059). The pH in feces tended to be loweredby 9.01% and 4.05% respectively when pigs were fed diets supplemented with benzoic acid (NeVe and PoVe), and ammonia gas emission was also reduced by benzoic acid supplementation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te blood cell, red blood cell, lymphocyte, total protein and albumin level were determined if there were immune responses detected in blood related to VevoVitall® supplementatio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all treatments. In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experiment suggested that VevoVitall® supplementation in weaning pig’s die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growth performance of weaning pigs. Experiment II. Influence of different energy and dietary lysine levels in gestation diets on reproductive performance, blood profiles and growth of gilts The aim of this experiment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different energy andlysine levels of gestating diet on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of primiparous sows. A total of 28 F1 gilts (Yorkshire x Landrace) were allotted to a 2 x 2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7 replicates. Factors evaluated were energy levels (3,050 kcal of ME/kg or 3,140 kcal of ME/kg) and dietary lysine levels (0.64% or 0.74%). The each experimental diet was provided to gilts of 2.1 kg/d during gestation period. Total lysine intake of each treatment gestating gilts was 13.4, 15.5, 13.8 and 15.9 g/day, respectively. There were no treatment effects on the body weight changes from breeding day to 90 d of gestation period ; however, body weight changes during the whole gestation period (0~110d) was affected by dietary energy and lysine levels. When gilts were fed high energy (3,140 kcal of ME/kg) and high dietary lysine (0.74%) diet showed higher body weight gain (increasing 65.75 kg) than other treatments (p<0.05). Backfat thickness of primiparous for gestation period was not affected by energy lever or level of dietary lysine (P>0.10). Higher lysine level (0.74%) in gestation diet did not show more backfat gain of gilts than low lysine level (0.64%). The number of piglet per litter and litter birth weight were numerically higher when gilts were fed low energy intake (6,405 kcal of ME/d) and 0.64 % lysine level diet during gestation period even though it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Also, higher energy (6,594 kcal of ME/d) or higher lysine (15.5g lysine/d) in gestation diet did not show any positiv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gilts. The level of plasma glucose and insulin did not change with high level of energy intake or lysine intake during gestation period. The concentration of blood urea nitrogen at 35 d, 70 d and 90 d in gestation period numerically increased as the dietary lysine level increased (p<0.05). Consequently,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nergy level and dietary lysine level more than 6,400 kcal of ME/day and 13.4 g/day would be enough for gilts to meet theirrequirements without negativ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Experiment III.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Fat Supplementation during Gestation Period on Reproductive Performance, Milk Composition and their Progeny Performance of Sows The aim of this experiment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different levels of fat during gestation period on reproductive performance of sows. A total of 41 F1 multiparous sows (Yorkshire x Landrace) were allotted to 4 treatments by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During gestation, sows were fed different treatments containing either 1, 2, 3 or 4% of soybean oil whereas all sows were fed the same diet containing 1% soybean oil during lact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and backfat thickness of sows at 110 d postcoitum and 21 d postpartum regardless of dietary fat levels during gestation. Although the change in body weight of gestating sows were similar among treatment groups, the lowest backfat thickness change at 110d postcoitum was observed when sows were fed 3% soybean oil treatment diet (P<0.05). The litter size, total born live, birth weight and weight gain of nursing piglets were not influenced by the inclusion level of soybean oil during gestation. Fat content in colostrum had no response to increased fat level of gestation diet. The mortality of nursing pigs tended to be higher as dietary fat level was increased. No effects were observed in weaning to estrus interval by the different supplementation levels of soybean oil. In economic analysis of gestation feed, the difference price of total gestation feed cost (per sow) is 7.92$ between 1% fat level and 4% fat level of gestation diet.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higher levels of fat in sow′s diet did not show any beneficial effect on reproductive performance of sows. Moreover fat concentration of colosturm was not increased by dietary fat supplementation in gestating sow’s di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