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북 일부지역 대학생의 커피섭취에 관한 연구

        장보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북 일부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커피의 섭취습관, 커피 및 다른 음료에 대한 기호도, 카페인에 대한 인식도를 설문조사한 후 소비자의 올바른 음료선택과 커피에 대한 지침서 및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연령이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고, BMI도 남성은 과체중범위, 여성은 정상체중범위 안에 속했다. 커피 섭취 여부에 대한 문항에서는 83.9%가 ‘마신다’로 나타났고, 커피를 주로 구입하는 장소는 남성의 경우는 학교 매점(46.4%), 여성의 경우는 커피전문점(54.2%)이 가장 많았다. 커피 섭취 동반자는 ‘친구’가 가장 많았고, 섭취 횟수도 ‘하루에 ’1-2잔씩’로 남녀 모두 많았다. 커피 섭취 시간은 남성은 수시로(60.0%), 여성은 점심식사 후(38.7%)가 가장 많았고, 선호하는 커피종류 조사결과는 남녀 모두 ‘커피전문점 커피’를 가장 선호하였고, 커피전문점 커피 중에서도 남성은 카푸치노(61.8%), 여성은 카페라떼(42.5%)가 가장 많았다. 일반커피 섭취 형태는 남녀 모두 ‘커피+설탕+프림’이 많았고, 동반간식 없이 ‘커피만 단독으로’ 커피를 섭취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커피 및 다른 음료에 대한 기호도에서는 탄산음료와 스포츠 및 이온음료의 기호도 평균점수가 여성보다 남성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우유 및 유제품’, ‘다류’, ‘커피’에 대한 기호도 평균점수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커피 및 다른 음료 중 주로 섭취하는 음료는 ‘커피’였고, 커피의 잦은 섭취 이유는 남성은 공부할 때 졸음을 쫒기 위해서(64.6%)인 반면, 여성은 맛과 향이 좋아서(38.0%)라고 하였다. 커피의 카페인에 대한 인지정도는 남녀 모두 ‘들어본 적이 있다’라는 응답이 각 47.2%, 73.5%로 많았고, 조사대상자 대부분이 커피에는 카페인이 ‘들어있다’고 알고 있었고, 커피의 카페인 성분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또한 성별에 따라서는, 커피 섭취 여부에 따라 모두 ‘적게 마실수록 좋다’라는 응답이 많았다. 하지만 카페인이 남녀 모두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라고 느끼고 있어서, 카페인이 좋지 않다고 할 경우에도 남성은 커피를 ‘계속 마시겠다’로 많이 응답하였고, 남성은 ‘모르겠다’로 많이 응답하였다. 커피에 대한 카페인 함량 표시제 필요성은 ‘상관없다’가 가장 많았고, 카페인 함량 표시로 인한 가격인상 후 제품 구입의사는 성별에 따라서는, 커피 섭취 여부에 따라 모두 ‘모르겠다’가 가장 많게 조사되었다. 우리나라는 커피에 대한 소비가 급격하게 증가해왔고 현재는 다양한 연령층에서 개인의 취향에 따라 커피를 즐길 수 있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지만,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에 비해 커피에 대한 정확한 정보 부족으로 카페인 과잉 및 영양섭취 불균형 등이 우려된다. 따라서 단순한 함량표시제만으로 대학생들의 카페인 섭취 줄이기에 큰 영향을 가져 올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대상별 카페인 섭취량만 제정할 것이 아니라, 카페인에 대한 전반적 교육과 많은 홍보를 통해 대학생을 포함한 성인들까지도 커피에 대한 카페인 지식 및 위험성에 관심도를 높여야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Aim of this research in to conduct a survey on the coffee intake habits, preference of coffee and other beverages, and recognition of caffeine of college students in some areas of Jeollabukdo. As for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males' average ag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emales, and the males' BMI fell into the range of overweight while that of the females was in the range of normal weight. With regard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drank coffee or not, 83.9% of the respondents answered ‘drink’, and the place where they purchased coffee most often has been found to be school store for the males(46.4%), and coffee houses for the females(54.2%). The most frequent company while drinking coffee has been proved to be ‘friends’, and the most frequent number of coffee intake was ‘one to two cups a day’ for both the males and the females. Regarding the time when drinking coffee, the males answered 'often'(60.0%) most, and the females after lunch(38.7%) most. When the type of coffee they preferred was surveyed, both the males and the females have been turned out to prefer ‘coffee sold in coffee houses’ most, among which, the most loved coffee by the males was cappuccino(61.8%), and that by the females was cafe latte(42.5%). The general intake type of common coffee selected most by both the males and the females was ‘coffee+sugar+cream,’ and ‘only coffee' without any accompanied snacks. As for the preference of coffee and other beverages, while the average point of the preference of soft drink and sports drink was higher among the males than among the females, that of 'milk and dairy products’, ‘tea’, and ‘coffee’ was higher among the females than among the males. The most drunk beverage among coffee and other beverages has been found out ‘coffee’, and the reason for the frequent intake of coffee was to shake off sleepiness during study(64.6%) for the males, yet for the females, it was because they liked its taste and smell(38.0%). Regarding their recognition of caffeine in coffee, both the males and the females answered most that ‘I've heard of it’ as 47.2% and 73.5%, and most of the subjects were aware that coffee 'contains' caffeine. Also, as for the impacts of caffeine in coffee on health, all the groups categorized into genders and whether to drink coffee or not answered most that ‘the less intake is better.' However, both the males and the females were thinking that caffeine ‘is somewhat helpful’, so even the males who responded that caffeine was not good answered most that they ‘would continue to drink coffee', and the females answered most that ‘I don't know.’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didn't care' about the necessity for the caffeine labeling on coffee, and that they 'didn't know'. The consumption of coffee has been rapidly surging in Korea, and the culture that individuals in different age groups can enjoy coffee according to their own taste has been settled, yet, it's being feared that the lack of accurate information about coffee compared to the easy chance to drink coffee would cause excessive caffeine and imbalance in nutrition intake. Therefore, as simple labeling of caffeine content is not going to have a big influence on the decrease in college students' caffeine intake, not only the amount of caffeine intake for different targets has to be determined, but also adults including college students need to be encouraged to become more informed of and interested in caffeine in coffee and its potential harms through general education about caffeine and enough promotion.

      • 분위수 회귀분석 모형에 대한 새로운 추정방법 연구

        장보미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분위수 회귀분석은 Koenker(1978)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분위수 회귀분석은 미분불가능한 손실함수를 최소화하는 해로부터 추정량을 구해야 하기 때문에 미분가능한 함수의 최적화를 통한 최소제곱법(least squares method)이나 기울기하강법(gradient descent method)과는 상이한 선형프로그래밍(linear programming) 기법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추정량에 대한 규제화기법(regularization method)을 분위수회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벌점함수 형태에 따라 새로운 알고리즘 개발이 수반되는 번거로움이 상존한다. 본 논문에서는 미분불가능한 손실함수의 직접적 최적화 대신, 최소제곱법을 순차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최적화를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최소제곱법에 기반한 새로운 알고리즘은 규제화 분위수회귀에 대한 추정에 대하여 기본에 개발되어 이쓴 벌점화 회귀분석 추정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편의를 제공한다. 따라서, 다양한 규제화 기법을 분위수회귀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위한 부가적인 알고리즘 개발을 요구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모의실험을 통해 실증하였다.

      • 장례서비스 도우미의 근로가치에 관한 고찰

        장보미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report, we will demonstrate and seek to verify and explore the working value of the services of hospitality workers who support funeral services in the modern culture of commercial and funeral services. Korea does not have a case in the home due to changes in the living space, the spatial change of the funeral home has been made. As the space changed, the business facilities were separated into physical and human services. The physical service of the funeral home of the burial facility is the facility rent, funeral supplies, canteen and food sales, and human services can be divided into funeral directors who preside over funeral ceremonies, kitchen hygiene and food management in the hospital room, and funeral assistants to entertain food to the doorman. In the modern funeral service culture, hospitality services are an indispensable part. Funeral assistants who provide hospitality services manage and provide cooked food, so food hygiene and environmental hygiene education should be received as mandatory education, but there are no proper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re left in the blind spot of health and public health. Accordingly, bongo began this study to verify the education, job skills, services, and worker values of funeral assistants through the study of working value related to the service of funeral service service workers.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nsure that the education of funeral service hospitality workers, such as systematic commercial culture, service, food hygiene education, etc., to improve the education and capacity to create their own valu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establishing a hypothesis that the quality of service of funeral service hospitality practitioners, education, job skills, and services will affect the working value of the funeral service through the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For workers who provide hospitality services to analyze and validate research theory, and do not set up specific areas, and workers belonging to hospital funeral halls, specialty funeral halls, charities, religious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were also not established, and about 301 funeral assistants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Using the Likert 5-point scale, the survey was distributed and recovered by visiting the hospital and specialty funeral halls in person over a 42-day period from June 19, 2019 to July 30, 2019. It was recovered 296 portions of the questionnaire 301 parts, the final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of 289 parts, except for the non-insincere response questionnaire 7 portions found. The collected survey data utiliz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o perform the demographic analysis, the reliability and feasibility between the metrics were carried out factor analysis, in order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ment variables, and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 of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surveys showed that the education of hospitality workers in funeral services affected job skills, job skills affected services, and education affected servic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funeral services have been verified that the education of hospitality workers affects the value of the work, and the service has been shown to affect the value of the work. On the other hand, the hypothesis that the job skills of hospitality workers in funeral services affects the value of work has been dismi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presented research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In order to provide funeral services, we must first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procedures of the commercial and funeral culture, and improve our capabilities through education such as service procedures and customer response methods. Job skills may seem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discipline to perform the duties, but basically the ability is improved through education. If basic education is the basis for performing the duties, regular worker training suggests that you can improve and improve your job skills by conducting education that has changed in the times. Funeral services serve bereaved families and literary visitors who are grieving the loss of their families, so they can see the value of education more than any other profess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funeral services are improved through education for hospitality workers. Hospitality service is a "direct service" to provide contact services at the close range of the customer, suggesting that the quality of the service varies depending on the competence of the worker's job skills. Hospitality workers need to present and verify the job management system model of the worker according to the competence of the job ability. The education of funeral services has been proven to affect job skills and services, but also affect the working value, institutions and companies that are practically conducting initial education were difficult to find, large hospital funeral directors were receiving training for workers, and other hospital funeral halls and foster companies were investigated as not receiving worker training. Workers' education should be trained in compliance with funeral laws, health hygiene, funeral services, etc., but there is no provision in the burial law that funeral workers who belong to a commercial company should be trained, and service workers at the commercial company are not subject to any restrictions. Education affects job skills, services, and working values, but it appears to be limited in verifying the model. It is necessary to provide future research directions so that funeral service workers working outside the funeral home can receive theoretical education and remuneration training by planning for the provision of services and human resources services. According to the survey, funeral helpers have no systematic education and no related laws, leaving them in the blind spot of the health and public health care center. Therefore, systematic education of funeral helpers and related laws should be newly established to prevent harm to food hygiene. 본 연구에서는 장례서비스 도우미의 근로가치 연구를 위해 장례도우미의 교육, 직무능력, 서비스에 관한 근로가치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또한, 장례서비스 도우미의 체계화된 상⋅장례문화, 고객응대법, 식품⋅환경위생 등의 교육을 장례도우미가 충분히 숙지하여 소양과 역량을 향상시켜 근로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해 실증분석으로 장례서비스 도우미의 교육, 직무능력, 서비스가 근로가치에 영향이 미치는지 6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가설을 분석⋅검증하기 위하여 접객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장례도우미를 대상으로 약 301명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리커트(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여 2019년 6월 19일부터 2019년 7월 30일까지 42일간에 걸쳐 병원⋅전문장례식장을 직접 방문하여 배포 및 회수하였다. 설문지 301부 중 296부를 회수 하였으며, 결측치가 발견된 불성실응답 설문지 7부를 제외하고 289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25.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측정항목간의 신뢰성과 타당성은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변수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독립변수, 종속변수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를 분석⋅검증한 연구 결과, 장례서비스 도우미의 교육이 직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능력이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고, 교육이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례서비스 도우미의 교육이 근로가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검증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서비스가 근로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장례서비스 도우미의 직무능력이 근로가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장례도우미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론과 실무가 필요하며, 교육에 따라 직무수행과 서비스제공에 차이를 보이며, 근로가치에 영향을 미친다. 장례서비스 도우미의 서비스품질, 고객만족에 따라 근로가치가 달라지며, 직무환경과 근로복지 그리고 임금에 따라 근로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장례서비스 도우미의 이론 교육을 받은 접객종사자는 직무능력에 따라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기업의 이미지와 기업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객만족에 따른 서비스가치와 고객가치에 관한 고찰은 향후 연구 과제로 제시하고자 한다. 장례서비스 도우미의 호칭은 소속기관 별 각기 다르게 사용하고 있으며, 종사자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혼돈이 야기되어 통일된 호칭을 사용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장례접객사’로 명명하고자 한다. 장례도우미의 설문조사 결과 장례도우미는 체계화된 교육이 없으며, 관련법규 또한 없어 보건공중위생의 사각지대에 방치되어 있다. 이에, 장례도우미의 체계화된 교육과 관련법규를 신설하여 식품위생상의 위해를 방지하여야 한다.

      • 매체를 활용한 <춘향전>교육 : CF, 드라마에서의 <춘향전>의 현대적 변용과 교육적 활용

        장보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의 언어생활은 문자, 영상, 전파 매체를 거쳐 디지털 매체 환경으로 급속히 바뀌고 있다. 특히 디지털 매체는 문자 텍스트, 이미지, 소리 등이 다양한 형태의 정보로 이루어진 메시지가 하나의 미디어를 통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정보와 지식의 생산과 저장 및 소비와 유통, 소통 방식과 문화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현재 디지털 매체는 우리 언어생활에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고, 단순한 의사소통을 넘어 하나의 문화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사회· 학계· 교육현장에서 이런 언어생활의 변화를 교육에 담아야 한다는 요구가 끊임없이 제기되었고 이를 받아들여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국어과의 선택과목으로 ‘매체 언어’가 신설되었다. 매체는 학습 이해를 돕고 주의집중,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어 수업에서 많이 사용되었으나 대부분이 매체 활용에 그쳤다. 매체 언어는 이런 매체 활용을 보완하여 매체 언어의 성격과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매체 자료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창의적으로 생산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나아가 매체를 통해 형성되는 사회적 의사소통에 주체적으로 참여하고, 문학과 예술을 향유하며, 언어 문화를 반성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창조적인 국어 생활을 하는 데 기여한다. 매체 언어의 교육적 방법은 국어과 모든 영역에 두루 적용 될 수 있으며, 실제 언어사용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고는 매체 언어의 교육내용을 토대로 고전소설 <춘향전>을 교육하는 방법을 구상해 보고 어떤 교육적 가치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오늘날은 고전이 다양하게 수용·변형되고 있다. <춘향전>을 다양하게 재창조한 CF, 드라마 등 멀티미디어매체를 통해 교육을 한다면 그 자체만으로 학생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며, 상상력을 키울 수 있다. 지금까지 교육이 매체를 보조 자료로 보여주는 정도에 그쳤음에 유의하여, 매체를 실제 수업에 활용해 국어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수업을 구상해야한다. 구체적으로 작품을 비판적으로 읽음을 통해 작가와 나의 생각이나 느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고 스스로 자신의 생각을 반영하여 수정해 볼 수 있다. 또 친구들과 작품에 대한 감상내용을 자유롭게 주고받으며 작품이 다양하게 해석됨을 알 수 있다. 비판적으로 수용을 한 후에는 한걸음 나아가 창의적으로 작품을 생산할 수 있다. 창의적인 생산은 글쓰기에 국한하지 말고 다양한 장르를 활용하도록 한다. 모방에서 시작해서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익히고 자연스럽게 작품을 생산하게 된다. 매체를 교육에 활용하는 것에 대한 우려가 많다. 매체 선정 시 학생에게 적합한지, 작품 이해에 악영향을 미치지는 않는지 등 사전의 조사가 필요하다. ‘매체 언어’, ‘매체를 실제 수업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라 미흡한 점이 많다. 하지만 연구가 지속된다면 구성주의 수업, 창의적인 사고력 향상, 실생활의 언어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이장희 시의 시간의식 연구

        장보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고월 이장희의 시가 갖고 있는 詩史的 가치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근대의 발견과 함께 찾아온 시의 변화 양상과 그 단면을 고월의 시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논문은 전기주의적 방식에 치중한 기존 연구에서 벗어나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시를 분석한다. 또 시적 화자가 선택한 대상과 갖는 관계의 위치가 어떤 시간에 있는가를 주목한다. 고월 시에서는 일반적으로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 양상이 혼재되어 있다. 먼저 고월 시의 화자는 이상향과의 만남을 위해 과거 지향적 태도를 보이는 동시에 현재 삶과의 거리를 둔다. 과거지향의 태도에서 과거와 현재가 대립되는 반면 현재를 관찰하고 묘사하는 화자의 모습도 드러난다. 여기서는 현실세계를 객관적인 시선으로 탐구함으로써 자아의 내면을 굳게 만드는 과정이 나타난다. 과거와 현재에 대한 두 가지의 시선은 신비롭고 몽환적인 세계로 연결되는데 이 지점에서 고월이 찾고자 한 새로운 이상향이 생성된다. 미래에 대한 구체적인 상상이나 계획은 아니지만 비현실적 시공간에서 과거와 현실에 대한 화자 내면의 합일 지점이 나타난다. 그리고 이 지점에서 시의 자아가 주체적인 모습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통해 고월 시의 감각적이고 낭만적인 시적 양상이 현실에 대한 자아의 태도와 주체의 발견에 구심점을 두고 있음을 이해하게 되었다. 또 이 점이 1920년대 낭만주의 시의 경향으로부터 1930년대 상징주의 시의 경향을 미리 제시한 고월 시 가치의 본령이라고 해석된다.

      • 『창조』 수록 시작의 서술 구조 연구 : 근대 문예 언어의 리듬 형성에 대하여

        장보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1910년대 근대시의 언어 운용 방식을 살피기 위하여 문예지 『창조』를 연구한다. 근대 문학은 서술 내부에 개별 주체의 자아와 감정을 표상화 한다. 이때 문학이 다루는 사건은 계몽으로 환치된 이념의 세계로부터 개인의 생활로 변화한다. 『창조』에 수록된 시의 서술은 서술 주체의 역량과 사례로서의 근대적 주체를 등장하게 한다. 문학의 주체는 개인의 언어와 개별 사건을 통해 자아를 논의의 선상에 올려놓는다. 시적 서술을 통해 개별 주체의 세계관이 드러난다. 문예지 『창조』에 수록된 시는 한국 근대 문학의 정체성을 수립하기 위해 한글 개별 주체와 그의 언어가 무엇인지 논의하고 시도한다. 개별 주체는 문학과 예술적 이상의 실현이라는 목표를 바탕으로 자기 언어 행위로써 시적 서술을 완성하고자 한다. 이 목표가 서술의 진실성과 논리를 뒷받침한다. 주체의 태도와 다양한 서술 방식이 시 언어의 형태-의미 결합과 관계하고, 그 연관으로 시적 맥락이 탄생한다. 시의 언어는 서술 행위의 측면에서 주체의 말을 대변한다. 서술의 연속성과 연쇄의 방식은 주체의 상황과 감정을 구체화한다. 『창조』의 시는 거대 담론이 놓친 관념과 당위에 이입되지 못한 사건, 작은 사물, 집단의 논리에 속하지 못하였거나 생활 자체에 천착하여 갑작스러운 변화에 대비하지 못한 인물의 상태를 보여준다. 시적 서술은 어떤 이미지, 분위기, 말의 함축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서술 양상으로서 비유는 언어 간 유사성을 바탕으로 주체의 세계관을 일관되고 명확하게 한다. 비유의 언어 행위로 사건 또는 단서가 장면화된다. 장면화된 서술은 주체가 의도한 주제를 곧바로 감상자가 인식 가능하게 한다. 다만 주제가 시의 전부가 아닌 것과 같이 서술 전부가 시 내용의 한계를 규정하거나 산문시의 언어 흐름을 일반화하지 않는다. 문장 부호는 부차적인 언어 기능을 하는 기호로써 시에 기입된다. 언어는 의사소통의 기호 역할을 하고 문장 부호는 문맥의 상태와 기능을 지시한다. 서술의 지속과 중단, 연쇄 등을 주체의 발화를 전제하고 지속해 나간다. 서술된 텍스트는 그 자체로 발화를 재현하기 위한 조건과 주체의 호흡, 어조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발현의 단서로 작용하는 부분이 실제 발화의 상황과 일치하거나 일정한 규격으로 통제되는 일은 거의 없다. 서술에 전제된 언어 기제가 실재할 수 있는 발화의 모든 상황과 감상자의 자세 등을 미리 제지할 수 없는 까닭에서다. 언어의 의미와 흐름은 발화 실행자와 감상자의 관계와 문자 언어를 이해하고 실현 당시에 그것을 다루는 방식에 따라 차이를 드러내기도 한다. 시의 리듬은 언어 인지의 문제와 관련한다. 의미와 형식이 결합된 구조와 아울러 ‘통사’는 서술 주체의 논제와 언어 행위를 표면화한다. 리듬의 양상은 시 언어의 규격이나 규칙에 따르기보다 개별 주체의 서술 맥락과 발화 행위, 감상자의 위치에서 인식 가능한 내용과 형식의 결합 구조 또는 그것이 나타내는 비정형의 흐름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개별 언어와 발화는 상황의 복잡성을 바탕으로 하며 서술 주체와 감상자의 언어 인식 과정과 결과는 서로 일치할 수 없다.

      • 체험경제이론(4Es)을 통한 메타버스 축제 체험요인이 축제 방문객의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구지역 Z세대 방문객을 대상으로

        장보미 안동대학교 행정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fter Corona 19 became popular in Korea, Most of local festivals cannot be held because of the people’s worry of being infected. All the industries found solution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코로나19가 한국에서 유행한 후, 대부분의 지역 축제는 사람들의 감염에 대한 걱정 때문에 열리지 못한다. 모든 산업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해 해결책을 찾았다.

      • 베토벤 소나타 초기, 중기, 후기 작품 비교분석 : 첼로 소나타중심으로

        장보미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고전음악의 양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 소나타 형식을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1770-1827)이 작곡한 첼로 소나타 다섯 작품의 분석을 가지고 연구한다. 고전시대에서 낭만시대의 흐름의 중간에 있던 작곡가의 음악적 특성과 변화하는 작곡기법을 첼로 소나타 작품들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베토벤의 음악 양식을 연구한다. 모차르트와 하이든과 더불어 고전주의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였던 베토벤은 빈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음악과 관련한 거의 모든 장르에 걸쳐 수많은 작품들을 남겼다. 당시 서양은 계몽주의의 영향으로 신이 아닌 인간 중심의 사회로 바뀌어 나가는 과정 중에 있었고, 이는 곧 교회를 중심으로 발전하던 음악이 궁정과 귀족 중심으로 이동하게 되었음을 뜻한다. 즉 교회음악을 대표하는 성악음악에서 바이올린, 첼로 등의 악기로 연주하는 기악음악으로 음악의 장르가 확장되는 시기였다. 다양한 기악작품들을 베토벤은 작곡하였는데 곡의 커다란 틀이 되는 형식에 소나타 형식을 사용하며 그것이 고전음악의 가장 중요한 형식이 된다. 고전시대의 소나타는 빠른 악장과 느린 악장을 이어 미뉴에트 혹은 스케르쵸로 이루어진 춤곡악장과 빠른 악장으로 마무리를 하는데 이는 음악적으로 완벽한 구조를 가진다. 베토벤의 소나타는 이 것을 극한까지 발전시켰는데 그가 작곡한 첼로를 위해 남긴 다섯 소나타 작품들은 더욱 과감하고 독창적인 음악적 기법과 특징을 가진다. 베토벤은 작곡 활동하는 시기를 초기, 중기, 후기의 3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는 각 시기의 작품들의 음악적 양식이 조금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가 작곡한 다섯 작품의 첼로 소나타도 1796년부터 1815년 사이 각각 베토벤 초기, 중기, 후기에 분포하고 있으며 음악적 양식이 시기에 따라 다름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베토벤의 첼로 소나타 다섯 작품들을 통해 시기에 따른 작곡가의 음악 기법을 형식, 리듬, 선율, 화성 적으로 연구하고 비교 분석하여 연주자나 청중들이 베토벤의 시기에 따른 소나타 작품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is study conducts an analysis on five of Ludwig van Beethoven’s cello Sonatas which were an important factor of classical music form.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ing style of music and composing style through the cello sonatas of a composer who was in the middle of classical and romanticism era. With Mozart and Haydn, Beethoven is one of the key figures of the classical era. He was mainly based in Vienna, composing various genres and many piece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Enlightment, the Western society was altering to a humanism-based society from a church based society. This led to the change of emphasis on music from the church to the court and aristocrats. Meaning that the music genre was expanding to instrumental music such as the violin and the cello from choir music which was the main form of church music. Beethoven composed many instrumental music using the form of a sonata which becomes the most important form of classical music. Classical Sonata connects a fast and slow movement and ends with a march movement that is composed as a minuet or scherzo. This has a musically perfect form. The sonatas of Beethoven improved this form to its limit. Especially the five sonatas for the cello have bold and original musical style. The lifetime of Beethoven’s work can be divided into three eras: early, mid, and late. This is because each era has a different music style. The five cello sonatas he composed is spread through 1796 to 1815 therefore each piece shows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ach era. This study aims to help the audience’s or the musicians understanding of Beethoven’s Sonatas from each era by analyzing the five cello sonatas musical style, rhythm, melody and chord.

      • 히스톤 탈아세틸화 저해제인 sodium butyrate (NaB)를 사용한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배양

        장보미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 배아줄기세포(hESC)는 인간배아에서 기원한 세포로 무한히 분열할 수 있는 self renewal한 특성과 인체의 모든 조직(three germ layer)으로 분화할 수 있는 pluripotency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미래 세포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세포치료제로의 이용을 위하여 안정적이며 임상적용 가능한 다량의 미분화 hESC를 배양 할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고, 이 후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방향으로의 분화를 유도 할 수 있는 기술 또한 요구되어진다. hESC를 배양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mouse embryonic fibroblast (MEF)와 같은 동물유래 지지세포를 위에 basic FGF (bFGF, FGF2)를 처리한 배양배지를 사용하여 미분화를 유지하는 방법이 가장 대표적이다. 최근 들어서 많은 연구에선 serum을 제거하고 그를 대체할 수 있는 KnockOut Serum replacer와 함께 bFGF의 농도를 조절하거나 다양한 조건들을 조절하여 animal contamination 없이 hESC와 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배양할 수 있는 배양배지를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표를 가지고 본 연구에서는 hESC의 특성을 유지하는데 histone modifications이나 DNA methylation이 중요한 조절자로 역할 한다는 사실을 필두로 histon deacetyration inhibitor인 sodium butyrate를 처리하여 hESC를 배양할 시 어떠한 영향을 주며 지속적인 계대배양에 있어서도 안전하게 배양이 가능한지 평가하였다. 우리는 0.2mM sodium butyrate 배양배지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hESC를 배양할 수 있었으며 20passage이상 계대 배양이 가능하였으며 동결과 해동 후에도 정상적으로 미분화 상태를 유지하며 배양이 가능하였다. 점착률과 성장속도에 있어서도 큰 이구 없이 배양되어 안정적인 배양조건으로 판단되어지며 배양된 hESC는 단백질 면역형광염색과 유전자발현 수준에서도 다양한 미분화 특이적 요소들을 발현하였다. 또한 지속적으로 계대 배양을 진행한 후에도 hESC의 정상적인 핵형을 확인함으로써 sodium butyrate처리를 이용한 배양이 hESC를 안정적으로 배양하는 방법으로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s) are mostly derived from the inner cell mass of the blastocyst and possess the ability to self-renew and differentiate into all the cells composing our body. These properties make hESCs a promising cell source for future cell replacement therapy. In order to use hESCs for clinical purposes, several issues have to be resolved such as avoidance of the xenogen contamination, prevention of tumor formation and efficient differentiation of the hESCs into a specific cell type of interest. Conventionally, hESCs has been cultured on mouse embryonic fibroblast (MEF) feeder cells in the medium containing knockout serum replacer (KSR) and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Several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 more efficient media that could support undifferentiated growth of hESCs. Most of these developments have been taking advantage of the signaling pathways critically involved in self-renewal of hESCs. In this study, we tried to evaluate a method to culture hESCs by regulating epigenetic status using a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sodium butyrate (NaB). In our study, 0.2 mM of NaB could efficiently support undifferentiated growth of hESCs more than 20 passages. The hESCs cultured in the NaB-based medium were shown to express typical undifferentiated markers when analyzed by immunostaining and RT-PCR experiments. Finally, hESCs maintained for more than 20 passages displayed normal karyotype. Cumulatively, our results indicate that epigenetic regulators such as NaB could be used to culture hESCs by replacing otherwise essential growth factors such as bFGF. This study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which might be translated into culturing hESCs for future clinical applications. Keywords : Human embryonic stem cell, Sodium butyrate, NaB,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