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 구개부 측모두부방사선 사진과 3D model의 골두께 비교

        장민국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Management of anchorage is important for orthodontic treatment. Mini-implant is skeletal anchorage which is much stronger and dynamically beneficial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nchorage. So it progressed as an alternative treatment to go over the limits of the conventional orthodontic treatment. For a successful mini implant insertion, complex considerations such as the safety, stability, accessability and irritation of the implant site are required. In the maxilla, the palatal area is the one of the qualified site for a mini implant implantation. To increase the safety, there should be a consideration for the possibility of perforation in the nasal cavity. So it is important to predict the thickness latitudinally from the midpalatal line. Though the use of computed tomograph makes this possible, but it's hard to take a CT from every pati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ne thickness of a lateral cephalometric view and a 3D CT model, finally to measure the bone thickness by using a lateral cephalometric instead of a CT image. A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of the bone thickness measured from the lateral cephalometric view and the 3D CT model bone thicknes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written below. 1. According to the lateral cephalometric view, the measured bone thickness in the male group, 4.21±1.03mm, was thicker than the female group, 2.71±1.62mm,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3D CT model, the mid palatal area was the thickest part, which became tapered laterally and appeared as the thinnest portion in the 6mm lateral portion from the mid palatal line in the male group and 8mm lateral portion in the female group. The male group was significantly thicker than the female group except at the lateral 2mm portion. 2.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ymmetric area in both the male and female group. 3.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bone thickness of a lateral cephalometric view and 3D CT model,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except in the mid palatal area and lateral 2mm area in the male group, whil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in every area in the female group. In both the male and female group, the highest correlation appeared in the lateral 8mm area from the mid palatal area. A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o make an actual prediction of the bone thickness between the measured bone thickness of the lateral cephalometric view and the 3D CT model por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ost similar bone thickness shown in the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is the area 6mm lateral from the mid palatal in the male group and 8mm lateral from the mid palatal in the female group, while all the other portion appeared relatively thicker. Moreover, by using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safety length of the screw according to the lateral distance from the mid palatal area can be predicted. 고정원의 확보는 교정치료에서 매우 중요하다. 미니 임플란트는 골격성 고정원으로서 치아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고정원에 비하여 더 강하고 역학적으로 유리하며, 교정치료의 한계를 넓힐 수 있는 대안으로 발전하였다. 성공적인 미니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서 식립부위의 안전성과 안정성, 접근성, 이물감 등 복합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상악골에서 구개부는 상기조건을 만족시키는 부위중 하나로 미니 임플란트를 고정원으로 활용할 경우 부가적인 장치를 부착하거나 성장기 환자에게서 정중구개부에 식립할 수 없어 비능부 골조직을 활용하기 어려울 수가 있다. 따라서 높은 안정성을 얻기 위하여 충분히 긴 미니 임플란트를 식립할 경우 비강으로 천공될 수 있으므로, 안전성에 대해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골두께를 측정하기 위하여 모든 환자에서 CT를 촬영하기 어려우므로 측모두부방사선 사진과 3D model의 골두께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측모두부방사선 사진만으로도 정중구개부에서 거리에 따른 골두께의 예측이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치료 병력과 악안면 기형이 없는 정상교합자 남녀 30명의 sample을 활용하여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에서 구한 골두께와 3D model에서 횡적으로 2mm 간격으로 총 11개 부위의 골두께를 구한 후 통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에서 측정한 골두께는 남성이 4.21 ± 1.03mm, 여성이 2.71 ± 1.62mm 로 남녀간 유의성의 차이가 있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컸다. 3D model에서 골두께는 남녀 모두 정중구개부위에서 가장 컸고 측방으로 갈수록 작아지다가 남성은 측방 6mm, 여성은 측방 8mm 부위에서 가장 작은 값을 보인 후 다시 커지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정중구개부에서 측방 2mm 떨어진 부위를 제외하고 남녀간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컸다. 2. 3D model에서 남녀 모두 좌우측의 대칭되는 부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상 골두께와 3D model에서 부위별 골두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남성은 정중구개부와 측방 2mm 부위의 골두께를 제외한 부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고 여성은 모든 부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남녀 모두 정중구개부에 대하여 측방 8mm 부위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에서 계측한 골두께에 대해 상관관계를 보이는 3D model의 부위별로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구체적으로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에서 측정한 골두께와 가장 근사한 값을 보이는 부위는 남성은 정중구개부에서 측방으로 6mm 떨어진 부위, 여성은 8mm 떨어진 부위이며 나머지 부위는 그보다 두꺼워지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횡적인 위치에 따라 미니 임플란트 식립시 안전한 스크류의 길이를 예측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 프로농구 관람자의 소비행동 결정요인이 관람만족과 재관람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민국 경기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ctors related to spectator attendance of the game spectators on spectating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n professional basketball. For the research object of this study, we used the data 447 spectators who spectated professional basketball league game in Anyang gymnasium from 2014 to 2015 which is 210(47.0)% of men and 237(53.0%) of women for final valid sample of this study. To measure base background of spectators, we measured followed 5 items: sex, age, academic ability, and the game visiting frequency and job. Also, to measure the determination factors related to consumption behavior, we measured followed 18 items consists of 5 types: facility(7 items), service(5 items), team standing(3 items), and basketball player(2 items), and athletic performance(2 items). And to measure spectating satisfaction, we measured followed 4 items: facility in gymnasium, sports performance, fan service and stadium environment. Also, to measure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we measured followed 6 items consists of 2 types: revisit intention(3 items), recommendation intention(3 items). We used SPSS 18.0 for collected data, an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this items only extracted factors which have above Eigenvalue 1 by using Promax method that is one of the Oblique Rotation through Principle Axis Facto ring. And Factor loading with each items selected items that showed above .60 only. Also, through preliminary study and meeting with experts, we examined the construct validity of whole items, and calculate Cronbach’s α coefficient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to examine Item Internal Consistency. In each sub factors, the determination factors related to consumption behavior was in the range of .680~.861, spectating satisfaction was in the range of .800, revisit intention was in the range of .923,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was in the range of .955. By this result, our questionnaire was showed reliability. By way of analyzing data, we performed t-test, and one-way ANOVA, when there was significance, we performed Multiple Comparison by Scheffe for post-hoc comparison. We also performed Correlation by Pearson and Multiple Regressio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termination factors related to consumption behavior, spectating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llowing the characteristic factor of the professional basketball game spectator. After this, we gained followed conclusion. First, for the determination factors related to consumption behavior followi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ctor of the professional basketball game spectator, the factor related to service and players was higher for man than woman by sex. And the factor related to facility and service was higher for teenagers than the twenties and the thirties by age. And for facility, it showed higher for high school graduate than college graduate, also for service, it showed higher for high school graduate than college students than college graduates by academic ability. For the game visiting frequency, it showed more than 30 times higher than above 10 times by service. Also, for facility, it was higher for student than office job and specialized job and for service, it was higher for student than office job, specialized job and sales and service job by job. Second, for spectating satisfaction follow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ctor of the professional basketball game spectator, it was higher for man than woman by sex. And it was higher for teenagers than the twenties and the thirties by age. Also, highschool graduates showed spectating satisfaction higher than college graduates by academic ability. Third, the determination factors related to consumption behavior have positive effect on spectating satisfaction partly, and facility and service has positive effect on spectating satisfaction among the determination factors related to consumption behavior. Fourth, the determination factors related to consumption behavior have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partly, revisit intention has positive effect on facility and service. Also, recommendation intention has positive effect on facility, service and athletic performance. And team standing has nega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ifth, the spectating satisfaction has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본 연구는 프로농구를 관람하는 관중들의 경기관람 결정요인이 관람만족과 재 관람 및 추천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2014∼2015년 프로농구 정규리그 경기 중 안양실내 체육관을 찾아 직접 관람한 447명으로, 남자 210명(47.0%), 여자 237명(53.0%)의 자료를 본 연구의 최종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농구경기 관람자들의 기초배경을 측정하기 위하여 성별, 연령, 학력, 관람빈도, 직업 등 총 5문항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으며, 소비행동 결정요인은 시설(7문항), 서비스(5문항), 팀 순위(3문항), 선수(2문항), 경기력(2문항)등 총 5가지 유형의 1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관람만족은 경기장 시설, 경기내용, 팬 서비스, 경기장 환경여건 등 4개의 문항으로 구성 하였으며, 재 관람 및 추천의사는 재 관람의사(3문항), 추천의사(3문항)등 총 2가지 유형의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였으며, 이들 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위해 주축요인추출법(Principle Axis Factoring)을 통한 사각회전(Oblique Rotation)방식의 하나인 프로맥스(Promax)방법을 이용하여 고유값(Eigenvalue)이 1이상인 요인만을 추출하였으며 각 문항의 요인 부하량(Factor Loading)은 .60이상의 값을 나타내는 문항만을 채택했다. 또한, 예비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거쳐 전체 문항의 구성 타당도를 검정하였으며, 문항의 내적 일관성(Item Internal Consistency)을 검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구하였다. 각 하위요인별로 소비행동 결정요인은 .680∼.861의 범위로, 관람만족은 .800의 범위로, 재관람은 .923의 범위로, 추천의도는 .955의 범위로 나타나 비교적 신뢰할만한 설문지로 나타났다. 자료 분석방법으로,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유의한 경우 사후비교를 위해 Scheffe의 다중범위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농구경기 관람자들의 특성변인에 따른 소비행동 결정요인, 관람만족, 재 관람 및 추천의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Correlation)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프로농구 관람자들의 사회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소비행동 결정요인은 성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서비스와 선수관련 요인이 높았으며, 연령에서는 10대가 20대와 30대 이상보다 시설과 서비스요인이 높았다. 그리고 학력에서는 시설을 고졸이하가 대졸보다 높게, 서비스는 고졸이하와 대학재학이 대졸보다 높았으며, 관람빈도는 서비스에서 10회 미만이 30회 이상보다 높았다. 또한, 직업에서 시설을 학생이 사무직/전문직보다 높게, 서비스는 학생이 사무직/전문직과 판매/서비스직보다 높았다. 둘째 프로농구 관람자들의 사회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관람만족은 성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으며, 연령에서는 10대가 20대와 30대 이상보다 높았다. 그리고 학력은 고졸이하가 대졸보다 관람만족이 높았다. 셋째 소비행동 결정요인은 관람만족에 부분적으로 정적(+)영향을 미치며, 소비행동 결정요인 중 시설과 서비스는 관람만족 간에 정적(+)영향을 미친다. 넷째 소비행동 결정요인은 재 관람 및 추천의도에 부분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며, 재 관람은 시설과 서비스에서, 추천의도는 시설, 서비스, 경기력에서 정적(+)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팀 순위는 재 관람과 추천의도에서 부적(-)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관람만족은 재 관람 및 추천의도에 정적(+)영향을 미친다.

      • 회귀분석을 이용한 선박용 디젤 기관 고장진단에 관한 연구

        장민국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ngine machinery, especially main engine's fault and unplanned stopping cause operational loss and decline the shipping company's reliability in merchant fleet. Therefore, the shipping company invest the facilities for getting qualification for UMA(Unattended Machinery Area) vessel and ship's crew maintain duty system always in order to prevent and minimize loss. The AMS(Alarm Monitoring System) is one of the facility that can grasp operating condition in ECR(Engine Control Room) and getting qualification for UMA Vessel. Sometimes the AMS can combine control function. When the AMS detect abnormal condition, it makes visual-aural alerts and stopping also. Visual-aural alerts are designed for distinguishing abnormal condition and type easily. The method of distinguishing abnormal condition is designated monitoring knowledge of expert without additional sensors. Also I am suppos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The subject and data of study are damaged piston ring and cylinder liner of main engine data that is collected from may 2015 year to february 2016 that was recorded 1 minute interval. The main engine with low speed(Crosshead type) is made by "W" company. Contents of collected data are 133 parameter including fuel pressure filter outlet, main bearing pressure, thrust pad bearing lubricating oil pressure, crosshead lubricating oil pressure, turbocharger speed, scavenge air receiver pressure, each cylinder exhaust gas temperature, engine speed, etc. The result of time series analysis is earlier at least 3 day or at most 1 week than reporting time by vessel's crew. These method of fault diagnosis have to need many case study and accumulated data. Also optimized position of sensor is required for confirming exact engine condition and necessary sensor is verified for fault diagnosis.

      • 중고등학생의 다차원적인 체육수업 참여요인과 정의적 영역 및 분노표현의 관계

        장민국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2020년 국내 유입된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은 일상적인 학교의 등교수업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학교는 기존 교육방식이 아닌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을 위해 간헐적 등교수업과 원격수업이 병행 실시되었다. 갑작스럽게 도입된 원격 체육수업은 여러 가지 문제들을 양산하였다. 일차적인 문제로 신체활동량 보장성 문제, 제한적 시·공간의 필요성 문제, 온라인 수업에 필요한 체육기구 등이다. 이차적인 문제로 온라인 체육수업은 신체활동을 직접 관찰하거나 학생들과의 즉각적 피드백 및 소통이 어려운 상황임을 부인할 수 없다. 이뿐만 아니라 코로나 19 격상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대인관계 단절, 사회적 교류 문제, 청소년의 정신적 건강문제, 도덕적 인성 문제, 반사회적 행동, 인간관계 문제, 사회적 문제 등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될 개연성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이러한 문제들은 코로나 19로 인해 작금에 생긴 문제를 우려하는 것은 아니다. 아주 오래전부터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왔던 문제들이 팬데믹으로 인해 더욱 선명해졌다고 볼 수 있다. 교육부도 역시 이러한 문제들을 오래전부터 고민하고 해결하기 위한 방책으로 인성교육의 일환인 학교 체육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그 이유는 근래에 와서 스포츠 경기나 훈련을 통해 자연스럽게 양보와 공경, 예의범절 등, 인성적과 정의적 측면에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체육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들의 학교체육 수업참여를 통해 정의적 영역(affective domain)과 정서적·심리적 측면과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대의 학교체육 수업에 참여한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다차원적인 체육수업 참여요인이 정의적 영역 및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더 나아가 정의적 영역이 분노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수도권에 소재한 6곳의 중고등학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하여 얻어진 유효표본 508명의 연구 자료로 배경변인에 대한 차이분석을 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체육수업 참여 학생들의 수업 참여요인, 정의적 영역, 분노표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Correlation)과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행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중고등학생들의 학급에 따라 다차원적인 체육수업 참여요인을 차이분석 한 결과,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주체적 참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면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수업시간에 수업내용에 대한 호기심, 궁금증 등이 더 많이 생기고 또한 수업시간에 더 적극적이면서 자발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제안하거나 건의하는 등 주체적 참여가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훨씬 높다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다차원적인 체육수업 참여요인을 차이분석 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행동참여와 주체적 참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학생과 여학생의 심리·신체적 발달과정의 특수성 때문에 서로 관심 분야가 다를 수 있고, 신체활동에 있어서도 여학생과 남학생이 서로 관심도와 중요도가 다르기 때문으로 유추할 수 있다. 다음은 학급에 따라 정의적 영역을 차이분석 한 결과이다.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정의적 영역의 사회적 측면과 심리적 측면 모두에서 훨씬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체육수업 시간에 협동심, 스포츠맨십, 결속력 등 사회적 측면을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했다. 또한 체육수업 참여에 대한 만족감 자신감 등 심리적 측면도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더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성별에 따른 정의적 영역을 차이분석 한 결과,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정의적 영역의 하위요인인 기본적인 태도, 사회적 측면, 심리적 측면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등학생들의 체육수업 참여의 하위요인인 행동참여는 정의적 영역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측면, 기본적인 태도, 심리적 측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체육 수업 참여의 하위요인인 주체적 참여는 사회적 측면과 심리적 측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체육수업 참여를 통해 중고등학생들은 즐거움, 흥미, 집중력, 열정 등 심리적 측면에 긍정적 영향을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체육수업 참여를 통해 중고등학생들은 원만한 인간관계 형성, 협동심, 이해심, 책임감 등 사회적 측면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체육수업 참여의 하위요인인 체육 수업 참여의 하위요인인 행동참여는 분노표현의 하위요인인 분노억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영향이 미치고 있으며, 주체적 참여 학생은 분노표출에 유의미한 정적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체육수업 시간에 행동참여 학생은 분노를 자신의 내적으로 억압하지 않고, 분노에 대한 감정을 간접적으로 드러내거나 혹은 긍정적으로 분노를 조절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주체적 참여 학생은 분노의 감정을 밖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중고등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측면은 분노표현의 하위요인인 분노억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체육수업 참여를 통해 사회적 측면이 높은 학생은 분노에 대한 감정을 밖으로 드러내지 않고, 화가 나더라도 자신의 내면에 억압하는 경향성이 나타냈다. 그리고 정의적 영역의 하위요인인 기본적인 태도는 분노표현의 하위요인인 분노표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본적인 태도를 지닌 학생은 분노에 대한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상대방의 시선을 피하거나, 부루퉁해지거나, 토라져서 말을 하지 않거나 하는 등 분노표출 방식으로 나타낸다. The COVID-19 pandemic which was introduced in Korea in 2020, made it impossible to go to school every day. So in order to guarantee students 'right to learn', the school conducted intermittent back-to-school and remote classes in parallel with the COVID-19 situation rather than the existing education method. The sudden introduction of remote classroom engagement produced various problems. The primary problems are guaranteeing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limited time and space, and the necessary sports equipment for online classes. As a secondary problem, it cannot be denied that online classroom engagement is difficult to directly observe or provide immediate feedback and communication with students. Not only this, due to social distancing caused by the COVID-19, we cannot help but worry about the probability that social problems will occur like social interaction problems, mental health problems of adolescents, moral personality problems, anti-social behaviors,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etc. Of course, these are not problems that occured due to COVID-19 but rather it can be said that they had already existed as social problems even before and have become clearer due to the pandemic.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 a long tim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chool class engagement as a part of character education and as a way to ponder and solve these problem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 the recent years, interest in sports activities has increased, that it naturally helps develop character and moral aspects such as concession, respect, and etiquette through sports games and training.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ere is a nee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ffective domain, and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aspects through participation in school class engage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dolesc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chool class engagement in the era of COVID-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lass engagement class participation scale factors on affective domain and anger expression. Furthermore, investigate how the affective domain affects anger express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background variables with the study data of 508 valid samples obtained from students enrolled in 6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In addi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participation scale factors, affective domains, and anger expression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lass engagement,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lass participation scale factors in class engage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dolescence, it was found that high school students had higher agentice engagement than middle school students. For example, high school students are more curious about class content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high school students are much more likely to actively and voluntarily propose or suggest their opinions in clas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of class participation scale factors in class engagements according to gender, it was found that male students had higher behavioral and agentice engagment than female students. In other words, it can be inferred that, due to the peculiarities of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development process of male and female students, their interests may be different, and female and male students have different degrees of interest and importance in terms of physical activity.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differential analysis of affective domains by class. It was found that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affective domain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social aspects such as cooperation, sportsmanship, and solidarity more highly than middle school students during class engagement. In addi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psychological aspects such as satisfaction and confidence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affective domain according to gender, Male students perceived basic attitudes, social aspects, and psychological aspects, which are sub-factors of the affective domain more highly than female student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behavioral engagement, a sub-factor of the class engagement class participation scal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ocial, basic attitude, and psychological aspects, which are sub-factors of the affective domain. It was confirmed that agentice engagement, a sub-factor of the class participation scal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These results showed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d posi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aspects such as pleasure, interest, concentration, and passion through participation in class engagement. In addition, it was also found out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aspects such as the formation of smooth human relationships, cooperation, understanding, and responsibility through participation in class engagement. Third, behavioral engagement, a sub-factor of the class engagement class participation scal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nger-in, a sub-factor of anger expression,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lass engage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nger-out. During class engagement, behavioral engagement students do not suppress their anger internally, but indirectly reveal their emotions or positively control and manage their anger. And it was confirmed that agentice engagement students express their feelings of anger-out. Fourth, the social aspect, a sub-factor of the affective domain of adolescen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nger-in, a sub-factor of anger expression. In other words, students with high social aspects, through participation in class engagement did not show their feelings of anger outward and showed a tendency to suppress them internally even when they were angry. And it was confirmed that basic attitude, a sub-factor in the affective domai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nger-out, a sub-factor of anger expression. These results show that students with a basic attitude express their feelings of anger by avoiding the other's gaze, by sulking or by not talking to other individu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