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중 형상성 분류사의 범주 확장에 대한 대조 연구

        장미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si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mbining referent's category expansion for configurational classifier which has clear categorical function in Korean and Chinese. Classifier is used to linguistically express the ability of categorizing world by human race and reflect cultural characteristics of relevant linguistics community and world view. specially due to the Significant categorized function of configurational classifier, it can be an opportunity to insight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and the aspect of two countries’ culture differences through observing how to expand categories of the relevant and what kind of factor act in the mechanism. Chapter 2 is focused on defining the definition and the contents of classification and configurational classifier. Specially, previous study discussed coexistence of two function at the same time an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extent appears of two functions by the different sub-classification for which one is the most fundamental function of classifier in categorical and individualized functions. Chapter 3 comparatively analysis configurational classifier with one dimension in Chinese and Korean and all of them categorize the relevant by thin and long properties, but when considering overall number and extended range of categories. Chinese configurational classifier with one dimension is extended to further more categories and combining the referent classified in more detail. Also since both languages categorize the same noun by using different classifier, it can be seen that both language speakers have different ways of thinking about the same object. Chapter 4 comparatively analysis two-dimensional classifiers and specially we can see that "zhang" existing in both languages extends categories to the different direction. "zhang" measures objects which are wide and flat objects in both languages. But when use "zhang" to modify three dimensional objects with wide and uneven shape, we can see that Chinese focuses on functional aspect while Korean focuses on whether two dimensional plan is flat and wide or not and does not consider height of three dimensional object. Chapter5 comparatively analysis three dimensional configurational classifier but both languages categorized three-dimensional objects by “round” properties. Chinese classifiers “ke” can measure not only small and round objects but also big and generally roundish objects. However, Korean three dimensional classifiers can only measure small sized objects. In addition, both languages have the classifiers which are mainly used in liquids. Though the frequency of use is low, Korean uses classifier which can measure solid, gas and liquids while Chinese uses classifier can only categorize liquids Also all of classifier extends categories by effecting mechanism of metaphor, metonymy and schematic picture of the transition through recognizing visualization noun. In conclusion, generally arrange categories’s expansion patterns of configurational classifiers in both languages and presume the reason with such reflection as follows. First, classifier which is not essential in the sentence is the same reason that it is possible to express meaning by omitting postposition in Korean. Secondly, if you want to foil it as subject when express noun, any of grammatical devices is required, but there is no classifiers as Korean particle so that indicate its markedness by cover of classifier or demonstrative pronoun. Thirdly,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classifiers which can express similar meaning in Chinese and it relates to the nation's way of thinking that Chinese people are intend to specifically express. As this feature is also present in the word, it seems to represent various aspect of one object by many kinds of classifiers.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분류사 중에서 범주화 기능이 뚜렷한 형상성 분류사의 결합 가능한 지시대상의 범주 확장에 있어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대조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분류사는 인간이 세계를 범주화하는 능력이 언어적으로 표현된 것이며, 해당 언어 공동체의 문화적 특성과 세계관을 반영한다. 특히 이 중에서 형상성 분류사에 대해 지시대상을 수량화하는 범주가 어떻게 확장되고 있으며 그 기제에는 어떤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한·중 두 언어뿐만 아니라 두 나라의 문화적인 측면도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2장에서는 분류사 및 형상성 분류사의 정의와 그 목록을 정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특히 선행 연구에서 단위화와 부류화 중에서 어느 것이 분류사의 가장 근본적인 기능인가에 대해서는 두 가지 기능이 동시에 공존하며, 그 하위분류가 다름에 따라 두 가지 기능이 나타나는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논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1차원 형상성 분류사에 대해서 대조 분석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가늘고 긴 속성에 의하여 그 지시대상을 범주화한다. 이 중에서 중국어의 1차원 형상성 분류사가 범주 확장이 더 진행되었고 결합하는 지시대상도 더 세분되었다. 또 두 언어에서 같은 명사에 대하여 상이한 분류사를 사용하여 범주화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는 두 언어의 화자들이 같은 대상에 대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장에서는 2차원 형상성 분류사에 대해서 대조 분석하였는데 특히 두 언어에 모두 존재하는 ‘장(張)’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범주를 확장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두 언어 모두 ‘종이류’와 같이 넓고 평평한 사물을 분류사 ‘장(張)’을 사용하여 헤아린다. 특히 분류사 ‘장(張)’으로 입체적인 사물에 대해서도 헤아릴 수 있는데, 중국어에서는 그 기능적인 면의 ‘넓고 평평함’에 선정기준을 둔 반면, 한국어에서는 단지 2차원적인 면이 평평하고 넓은 특징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5장에서는 3차원 형상성 분류사에 대한 대조 분석인데 두 언어 모두 ‘둥글다’는 속성에 의해 입체적인 사물을 범주화한다. 중국어에서는 분류사 ‘顆(과)’로 작고 둥근 사물뿐만 아니라 크기가 크지만 대체적으로 외형이 둥그스름한 것들도 헤아릴 수 있었고, 한국어 3차원 분류사들은 그 대상이 대부분 크기가 작은 사물들이다. 이 외에 액체류에 주로 사용되는 분류사가 두 언어에 모두 존재하는데, 중국어에서는 단지 액체류에만 그치지만, 한국어에서는 비록 사용빈도는 낮지만 고체나 기체류까지 그것을 은유화하여 액체류를 헤아리는 분류사를 사용한다. 또 전체 형상성 분류사가 명사를 형상화하여 인식하는 과정에서 은유, 환유, 영상도식의 전환 등의 기제가 작용하여 범주 확장을 한다. 결론에서는 총괄적으로 두 언어의 형상성 분류사의 범주 확장 양상을 정리하고 이런 모습을 보이는 원인을 다음과 같이 추정하였다. 첫째, 한국어에서 분류사가 필수적이지 않은 것은 언어사용에 있어서 조사가 생략 가능한 것처럼 의미표현에서의 경제성의 원리에 의해 의미전달이 가능하다면 일부 요소는 생략 가능하다. 둘째, 중국어에서 명사를 표시할 때 주제로 부각시키려면 어떠한 문법적 장치가 와야 하는데, 이런 문법적인 장치로서 중국어에는 한국어 조사와 같은 부류가 존재하지 않기에 분류사나 지시대명사 등의 표지로 그 유표성을 표시해 주려고 한다. 셋째, 두 언어에서 비슷한 의미를 표현하는 분류사가 중국어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존재하는데, 이는 중국인들이 구체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민족의 사고방식과도 연관된다. 이런 특징은 분류사에서도 나타나는바, 풍부한 분류사로 한 사물의 여러 측면을 표현하는 것으로 보인다.

      • 비표본오차 최소화를 위한 무응답 대체기법 연구

        張美蘭 全州大學校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Statistics takes an important place in the so-called information and knowledge society. While the use of statistics in everyday life and demand for a variety of statistical information are increasing, it is difficult to collect statistical data due to the privacy protection and the growth of dual income family. Due to the fact that it is impossible to get responses from all the respondents during a statistical survey, it is hard to avoid item non-responses. Thus, the data have missing values. If the results are analyzed by observed data removing or ignoring the missing values, the deviation occurs to the statistical information.Much research on imputation has been conducted to adjust item non-responses.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methods for missing values imputation using the 2007 occupational employment statistics. The methods used in the study were hot-deck, hierarchical hot-deck and stochastic regression imputation, and adjustment cells were then applied to those methods. To construct complete data, the missing values of row data were eliminated. The missing values were given to average salary from the data under missing at random.Adjustment cells were formed using five variables which is highly related to the average salary: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types of business, length of employment and size of business.The missing values of the average salary were imputed, and an average and a dispersion value were also computed by varying adjustment cells in the process of estimation. It was expected that the estimator will be highly precise if adjustment cells are set up with greatly related variables. When using hot-deck imputation, however, some of the missing values were not earned from imputation value due to the lack of respon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approximate estimate of the average and the dispersion for complete data was obtainedfrom stochastic regression imputation with two adjustment cells (i.e., gender and length of employment). 오늘날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통계학의 영역이 점점 확대되어가고 있다. 통계 이용횟수는 매년 증가하고, 더욱 다양하고 세분화된 통계자료를 요구하고 있는데 반해 통계자료를 수집하는 환경은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통계조사 과정에서 응답자 모두에게 응답을 얻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어떤 이유로도 무응답은 피할 수 없어 데이터에 결 측 값이 발생한다.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일부 항목이 측정되지 않으면 그 항목에 대한 응답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의미로 무응답이 발생했다고 한다. 또는 그 항목의 값이 관측되지 않고 빠져있다는 의미로 결 측 값이라고 부른다. 이때 결 측 값을 제거 또는 무시하고 완전히 관찰된 자료만을 이용한 통계분석 결과는 편의가 발생하므로 여러 분야에서 무응답 값을 대체할 수 있는 많은 대체방법들을 연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무응답 항목을 대체하는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항목무응답을 대체하는 방법들 중에서 핫 덱 대체, 계층적 핫 덱 대체, 확률 회귀대체방법에 대체 군을 적용해 보았다. 원시데이터의 결 측 값(missing value)을 제거한 완전자료를 구축하고 그 자료에서 월평균임금에 임의 결 측을 사용하여 결 측 값을 부여하였다. 월평균임금의 무응답 값과 연관성이 높을 것 같은 성별, 최종학력, 사업체종류, 근속년수, 사업체 규모 5개 변수를 사용하여 대체 군 유형을 설정하였다. 5개 변수 모두 대체 군으로 사용, 4개 변수를 대체 군으로 사용, 3개 변수, 2개 변수, 1개 변수로 대체군 유형을 달리해가며 월평균임금의 결 측 값을 대체하고 평균과 분산을 추정해 보았다. 연관성이 높은 변수를 많이 사용하여 대체 군을 설정하면 보다 정도 높은 추정 량을 얻을 수 있을 거란 기대와 달리 핫 덱 대체의 경우 기증자(doner)가 충분하지 않아 일부 결 측 값은 대 체 값을 얻지 못하는 결과를 얻었다. 본 논문에서는 실증분석 결과 대체군 유형이 2개 변수(성별, 근속년수)이고 확률 회귀대체 방법을 사용했을 때 완전자료의 평균과 분산에 가장 근사한 추정 값을 얻을 수 있었다.

      • 공간의 유형에 따른 실내 조경 식물의 생육 비교

        장미란 경북대학교 농업개발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describes the planting form through a case of actual construction, and reveals investigation into the state of growth of plants in the building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lso, by comparing and analyz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managing and maintaining plants on a case-by-case basi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it ultimately intends to compare the growth of indoor landscape plants according to the types of spac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prepare optimal growing conditions for indoor plants by adjusting their surroundings properly. As for temperature, indoor plants grow well at the temperature 5 to 9 degrees lower than 20 to 24 degrees C. Also, the plants need warming at dawn between 4 and 6 a.m. because the lobby or commercial space has a wide diurnal range. When it comes to selecting plants, low-temperature-adaptable or native plants will be a good choice. With regards to humidity, the survey revealed that, while plants generally require 35% as a minimum humidity, the humidity in the planter was approximately 13% lower on the average. Therefore, it is considered important to increase the humidity by spraying water frequently and by operating the water's edge facility like a fountain all the time. In case of the intensity of light, while the suitable level of brightness for growing plants is between 1,500 and 2,000 lux, the planter's brightness turned out to be lower by 500 to 900 lux. Hence, it is necessary to keep plants with an excellent vitality even under low-level brightness. Second, it is also important to adjust the depth of the planter, taking the soil depth into account. According to the survey, the apartment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had less than 30cm high outer walls of the indoor planter. This indicates that, although it depends upon the types of plants in case of large-sized ones, the outer walls should be at least 45cm to maintain the minimum soil depth for plants to survive; in case of the current planter, its soil depth needs to be heightened. Thir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reveal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raining for those who manage indoor plants. In other words, they need to understand the surroundings of indoor plant, learn how to conduct watering, top dressing, preventing vermin, pruning, and study additional flowering plants.

      • CMMI와 정보시스템 감리 프로세스의 적합성 비교를 통한 프로세스 개선 : CMMI의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와 정보시스템 감리의 사업관리 중심으로

        장미란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 매김 된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가 국내에 도입 된지도 9년이 지났다. 지속적인 프로세스 개선을 목표(Goal)로 하는 CMMI는 수많은 프랙티스(Practices)를 제공하여 목표(Goal)를 달성토록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생산성, 업무수행능력, 품질, 납기 등 고객과 이해관계자들의 만족도 향상을 제고 한다. 본 논문은 CMMI의 강점(Strength)을 정보시스템 감리에 적용시켜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것이다. 비교 대상 모델로 CMMI의 연속적 표현(Continuous representation) 모델을 선택 하였으며, 프로세스들 중 프로젝트 관리(Project Management) Process의 프로젝트 계획(Project Planning), 프로젝트 감시 및 통제(Project Monitoring and Control), 위험관리(Risk Management), 정량적 프로젝트 관리(Quantitative Project Management) 범위에 한정하여 연구를 수행한 후 이를 정보시스템 감리의 사업관리 Process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발 생산성 측면에서 국제적으로 공인되고 있는 CMMI 모델을 현 정보시스템 감리 프로세스에 적용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성숙된 프로세스가 도출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에서 출발하였다. CMMI의 상대적 강점으로 식별된 정량적, 통계적 관리 및 품질 역량 강화 관점의 프로세스 및 점검항목을 레벨별로 분류하였으며, 현 정보시스템 감리의 사업관리에 개선된 프로세스 및 검토 항목으로 제시함으로써 감리원들에게 다양한 프랙티스(세부 검토항목)를 통해 주관적인 판단을 최소화하여 효과적인 감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번 연구는 정보시스템 감리 사업관리 프로세스에 정량적, 통계적 관리의 기준을 제시하여 글로벌 표준 모델인 CMMI의 강점을 정보시스템 감리 프로세스에 적용한 사례로 향후 경쟁력 있는 국제 표준 모델들과의 비교 연구의 시작점이 될 것이다. Nin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positioned as the global standard was introduced at home. CMMI having the goal of continuous process improvement enables the goal to be achieved by providing numerous practices, which raises the satisfaction of customers and stakeholders in terms of productivity, job-performing ability, quality, period of delivery and the like. This study focused on improving the process by applying the strengths of CMMI to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tinuous representation model of CMMI was selected as the comparison model. This study confined its scope to the project planning, project monitoring and control, risk management, quantitative project management and project management process, and attempted to apply them to the project management process of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relatively matured process could be elicited in which the internationally recognized CMMI model in terms of software process development productivity can be applied to the current information system audit process. An attempt was made to classify the process and inspection items of the perspective of quantitative and statistical management and capability reinforcement identified as the relative strengths of CMMI by level and present them as the item process and inspection items improved in the current project management of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And the auditors could be allowed to carry out the effective audit by minimizing the subjective judgement through diverse practics(detailed inspection items). This study presented the standard for quantitative, statistical management in the project management process of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and applied the strength of CMMI, the global standard model, to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process. It will become a starting point of study to compare with the competitive international standard models in the future.

      • 퍼포먼스를 활용한 아동의 미술활동에 관한 연구 : 취학 전 5~7세 아동을 중심으로

        장미란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정적인 미술 수업 방식이 아닌 동적인 퍼포먼스 미술교육을 제안하여 보다 새롭고 다양한 생동감 넘치는 수업을 통해 아동의 정서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퍼포먼스 미술 활동이 아동의 신체와 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교육적 가치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1세기는 세계화, 정보화시대이면서 문화의 시대이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아동들에게 다양성과 창의력이 요구됨에 따라 미술교육의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미술교육의 일부는 지나친 간섭과 기교의 주입으로 아동들의 미술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잃게 할 뿐 아니라 성인이 되어서도 거부감을 느끼게 한다. 반면 퍼포먼스 미술교육은 자유롭고 개방적인 환경에서 다양한 표현활동으로 그리기중심의 정적이고 획일적인 어떤 정답이란 부담감에서 벗어나게 해준다. 스스로 그리고 만들어가는 표현과정 속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더 새롭고 창의적인 활동을 주도해갈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퍼포먼스의 이론적 배경과 미술교육으로서의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아동의 놀이와 정서, 놀이와 미술과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퍼포먼스 미술수업을 계획하는 데에 중점이 될 내용의 선정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실제로 지도안을 계획하고 참여하여 활동을 분석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유․아동 미술학원의 5∼7세 남녀아동 약 80명을 대상으로 퍼포먼스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아동에게 있어 생활이며 학습의 전제가 되는 놀이를 통해 아동은 생기 넘치는 즐거움을 느끼며 스스로의 세계를 창조하고 문제를 해결해감으로서 미술에 대한 자신감을 보여 주었다. 미술은 단순히 그림을 그리는 것을 넘어 자신의 정신세계를 표출하고 표현하는 예술 활동이며 생활이다. 이제는 미술의 기법과 기교를 배우는 것에서 벗어나 퍼포먼스 미술교육을 통해 오감으로 느끼고 체험하는 경험 속에서 얻어지는 창의적이고 개성 있는 교육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clarify the effect of performance art activity on children's phys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its educational value. For this purpose, it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ewer, more diverse and more vibrant classes on children's emotions and creativity by proposing the dynamic performance art education, not the existing static method of art classes. The 21th century is the age of globalization, informatization and cultures. As children living in this age are required to have diversity and creativity,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is gradually becoming larger. But some of art education not only induce children to lose interest and self-confidence in art because of the presence of excessive intervention and technical skills but also to feel repulsion even when they become adult. On the other hand, performance art education enables children to get away from the repulsion of drawing-centered static and uniform answer through diverse expressive activities in a fee and open environment. And they could take the lead in solving the problem in an expressive process of drawing and making and engage in newer and creative activity.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erformance and its function as art education, and children's play and emotion and play-art relationship. In turn, it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ethod of selecting the content which would become a center in planning performance art class and analyze art activity by actually making the instructional plan and participate in i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apply the performance art education program to about 80 male and female children aged 5 to 7 years enrolled in the art academy for infants and children located in Kyonggi Province. Children showed self-confidence in art by feeling the joy filled with briskness, creating their own world and solving the problem through the play, the prerequisite for their life and learning. Art is the artistic activity and life of expressing one's won spiritual world beyond drawing the picture. Now art education should get away from its technical skills and provide children with creative and individual educational activity obtained in feeling and experiencing through five senses through performance art education.

      • 지형특성에 따른 토성(土城)의 공간구조 연구

        장미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토성(土城)은 적을 방어하기 위하여 흙으로 만든 성(城)으로 목책과 함께 성곽 문화의 초기 형태이다. 하지만, 흙의 물리적 성질로 인해 침식과 유실이 쉽게 발생하고, 토루에 수목이 왕성하게 생장하여 토성의 존재유무를 분별하기 힘든 곳도 많이 있다. 또한, 토성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그 주변을 주택, 묘지, 경작지 등으로 사용함에 따라 훼손‧변형이 계속되고 있는 곳도 많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첫째, 석성에 비해 관심이 적고 개별적 연구 위주였던 토성에 대한 자료를 총괄적‧통시적으로 구축하고 현재의 모습과 특징들을 기록으로 남긴다. 둘째, 토성에 대한 인식과 지식 확대를 위해 지형에 따른 토성의 공간구조 즉 입지적‧형태적‧수계 특성을 규명한다. 연구 대상지는 기원전에서부터 고려시대까지 축조되었으며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남한의 토성 37개소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현장조사, 지형자료 분석 방법을 취하였다. 문헌연구는 각종 발굴조사보고서와 고문헌, 기존 연구 자료 등을 구축‧분석하였으며, 현장조사를 통해 토성의 지형, 형태, 수계 및 토지이용 현황 등을 파악하고 사진으로 기록하였다. 이를 최신 지형자료와 중첩 분석하여 지형에 따른 토성의 공간구조 즉, 입지‧형태‧수계 측면에서 그 특성을 도출하였다. 지형 특성에 따른 토성의 공간구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지형 토성은 모두 강이나 천과 같은 수계와 인접하였으며, 단곽성이 많았다. 평면 형태는 정방형, 장방형, 타원형과 같은 정형적 형태가 나타났으며, 단면 형태는 사다리꼴형의 협축식 토루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수계망은 모두 방사형으로 유수는 성 주변의 문지방향으로 분산 유출되었다. 둘째, 구릉지형 토성은 1km내외의 근거리에 수계가 존재하는 곳이 75%이상을 차지했으며, 단곽성이 많았다. 평면형태는 부정형이 정형보다 많았다. 토루 단면은 기존 지형에 의탁한 형태인 테두리형과 산탁형이 80%이상을 차지하였다. 수계망 구조는 수지형, 방사형, 복합형이 모두 고르게 출현하였다. 셋째, 산지형 토성은 근거리 내에 수계가 존재하는 곳이 61%정도로 구릉지형에 비해 외부 수계 의존도가 떨어졌다. 이것은 산지형은 다양한 지형특성상 성 내부에 큰 계곡이나 연못이나 샘 등의 수원공급방법이 별도로 존재했기 때문이다. 평지나 구릉지에 비해 복곽성의 빈도가 6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평면 형태는 부정형이 80%이상으로 주류를 이루었다. 토루 단면 형태는 단일경사방식의 테두리형과 산탁형이 96%이상으로 나타났다. 수계망 구조는 복합형이 가장 많았고, 수지형, 방사형이 거의 비슷한 빈도로 출현하였다. 본 연구는 토성별 입지, 형태, 수계 특성을 분석‧제시하고, 이러한 토성의 공간구조가 토성이 입지한 곳의 지형 특성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받았음을 증명하였다. 이를 통해, 토성에 대한 정보제공과 인식 확대로 토성의 보존과 다각적 활용에 기초자료가 되길 바란다.

      • 광고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5단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장미란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plore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using TV advertisements and help learners adapt to Korean society in the fifth stage of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KIIP). The underlying learning objectives of the KIIP Phase 5 learners are permanent residency and nationality acquisition. Therefore, appropriate training should be conducted by systematically designing training content, tools, and methods appropriate for their particular learning motivation. However, "Korean Social Understanding (basic)" and "Korean Social Understanding (deepening)", which are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are considered in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tools to achieve their learning goals. As their learning tool, we will adopt TV commercials that have a familiarity with our daily lives. Through this, we seek to explore the practical goals of learners: education that helps qualificati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education rather than unilateral education, education that deals with practical and modern cultural topics, and education that motivates learning. For this purpose, Chapter I will review the existing prior research and then present the educational value of this study. TV commercials are recognized for their value in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are used in a variety of ways, but most studies only analyze and select advertisements and suggest educational plans.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o not being able to grasp learners' educational performance or satisfaction due to failure to conduct classes in the actual classroom. In fact, it is regrettable that even if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was verified, the cultural content was not valid, the appropriateness of TV advertisements could not be determined, and the objectivity could not be guaranteed because it did not reflect learners' needs. Through these considerations, we reveal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and present the need for this study. Chapter II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nsistent with the objectives of this work. In this study, we believe that the policies of social integration programs are insufficient in terms of textbooks, subjects, and social integration, and we will look at overseas social integration cases to find ways to improve them. Also, I would like to look at the culture class methodology using advertising and design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Chapter III will select cultural content and advertisements for cultural education and present a class model utilizing them. Cultural content will be cataloged by comparing the cultural categories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iz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ith the themes of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basic) and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deepening). Based on these cultural contents, we conduct pre-requisite surveys and interviews with learners to examine demand and reflect the results on the subject of the class model. It will then design the criteria for selecting advertisements and secure TV commercials based on cultural content. Based on these materials, I will present a guide for Korean culture classes. Chapter IV will examine the result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objectivity of Korean culture classes using TV advertisements may be guaranteed through qualitative surveys, such as results of learners' learning activities, study journals, satisfaction surveys, etc. after classes. 본 연구는 TV 광고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을 탐구하고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5단계 학습자의 한국사회의 적응을 돕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사회통합프로그램 5단계 학습자의 근본적인 학습 목표는 영주권 및 국적 취득이다. 따라서 이들의 특수한 학습 동기에 걸맞은 교육 내용, 도구 및 방법을 체계적으로 설계하여 적절한 교육을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법무부에서 지정한 주교재인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사회 이해(기본)』,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사회 이해(심화)』는 이들의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데 적절하지 않은 교수‧학습 도구라고 본다. 이에 일상생활에서 친근함을 가지는 영상매체 중 하나인 TV 광고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실질적인 목표인 적격심사에 도움이 되는 교육, 일방적 교육이 아닌 상호문화 의사소통 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 실제적이고 현대적인 문화 주제를 다루는 교육, 흥미 및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교육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Ⅰ장에서는 기존 선행 연구를 검토한 뒤 본 연구의 교육적 가치를 제시할 것이다. TV 광고는 한국어 및 한국문화 교육에서 가치를 인정받으며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광고 분석 및 선정, 교육 방안 제시에 그치거나 실제 교실 현장에서 수업을 진행하지 못하여 학습자들의 교육 성과나 만족도 등을 파악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실제로 수업의 효과를 검증했더라도 문화 내용이 타당하지 않거나 TV 광고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할 수 없고,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지 않아 객관성을 담보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밝히며 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표와 부합하는 이론적 배경을 알아본다. 본고에서는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정책이 교재, 대상, 사회통합 측면에서 미흡하다고 보고 해외의 사회통합프로그램 사례를 살펴 개선 방안을 찾을 것이다. 또한 광고를 활용한 문화 수업 방법론을 살펴봄으로써 연구의 방향성을 설계하려고 한다. Ⅲ장에서는 문화 내용과 문화 교육용 광고를 선정하여 이를 활용한 하나의 수업 모형을 제시할 것이다. 문화 내용은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문화 세부기술 범주와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사회 이해(기본)』,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사회 이해(심화)』의 주제를 추출하여 공통되는 문화 내용을 목록화할 것이다. 이러한 문화 내용을 바탕으로 학습자에게 사전 요구 조사 및 인터뷰를 진행하여 수요를 살피고, 결과를 수업 모형의 주제에 반영하려고 한다. 이후 광고 선정 기준을 설계하여 문화 내용에 기반한 TV 광고를 확보할 것이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어 문화 수업 지도안을 제시할 것이다. Ⅳ장에서는 교수‧학습의 결과를 살필 것이다. 수업 후 학습자의 학습활동 및 결과물 관찰, 학습일지 분석, 만족도 조사 등의 질적 조사를 통하여 TV 광고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수업의 효용성을 담보할 수 있다.

      • 中國佛敎化 과정에서 본 道家와의 관계연구

        장미란 東國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the close relation between Buddhism and philosophical Taoism(Daojia, 道家) have been discussed by looking into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Buddhism during the period that stretched from the entry of Buddhism to the completion of its localized transformation. The first recognizable influence of philosophical Taoism can be traced back to the Later Han Dynasty(後漢) when the Huang-Lao movement(黃老學) offered a basis for Buddha's deification. Buddha began to be worshiped as a god by his followers who bowed and made offerings to seek fortunes. As a consequence, Buddhism could be easily accepted as one of religions among Chinese people. In the Former Han Dynasty, the Huang-Lao movement had developed as a political philosophy, but in the Later Han, it transformed itself into a religious philosophy by accepting the thought of immortal hermit with supernatural powers. This change provided a theoretical base for the deification of the Yellow Emperor, Huang-ti and Lao-tzu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early religious Taoism(Daojiao, 道敎) which sought to prolong life and achieve immortality. The movement, also, acted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ed the introduction form and timing of Buddhism. To propagate Buddhist doctrines, the sutras should be translated into Chinese in an easily understandable and acceptable way. For this end, Taoist terms were borrowed and certain sutras were selected to satisfy Chinese contemporary interest; that is, ones related with life prolongment and immortality were translated during that time. These Taoism-related translations enabled the Chinese who lived in Han Dynasty to accept Buddha as one of their gods and Buddhism as one of their religions. Buddhism, however, had not been able to spread widely in China due to strong, traditional Confucian culture and Sino-centralism. It was Neo-Taoism in the Wei-tsin period that provided such an opportunity for Buddhism to be disseminated rapidly by drawing attention with its 'domesticated interpretation(格義)'. Neo-Taoism was a metaphysical ontology that studied the source of all creation. It emphasized the 'non-being(無)' in the thought of Lao-tzu and Chuang-tzu as the basic substance -- the source of all creation, increasing the depth of its ontology and cosmology to discuss the true nature of the universe. This ontological thought centered on 'non-being' resonated well with the notion of Buddhist emptiness(空), thus making it easy for Buddhism to explain itself and attract attention from the Chinese society. This is because like non-being, emptiness has meta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s the ultimate noumenon(true nature) in the sarvadharma. This interpretation prevailed in the Wei-tsin period and was clearly seen in the six theories and seven schools, especially from three theories(卽色義, 心無義, and 本無義). Chinese local interpretation of Buddhism was, yet, far from perfection and its fallacy should be corrected to understand the true Buddhist teachings. The correction was made later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by the Kumārajīva's translations of the four famous śāstras--the Mādhyamika-śāstra(中論), the Śata-śāstra(百論), the Dvādaśanikāya(-mukha)-śāstra(十二門論), and the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大智度論). The doctrine on the thought of emptiness was explained accurately by his translations, thus making the fallacy disappear naturally. However, the importance of this fallacy should not be overlooked because it reveals Chinese Buddhism was closely related with Neo-Taoism. Even though only wisdom sutras were translated at that time, it was not 'Wisdom(般若)' but 'Emptiness(空)' that was mainly discussed under the influence of Neo-Taoism. The ontological thought of Neo-Taoists based on the thought of Lao-tzu and Chuang-tzu had continuous effects on Buddhism throughout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and the Sui-Tang period.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systematic translation and compilation works by Kumārajīva enabled the introduction of various Buddhist doctrines. Followers who read his works began to question themselves what was the essential thought expressed in each sutra and which of all the sutras was the closest to the essence. This questioning and pursuit led to the very concept of Zong(宗). Zong means the pursuit of the basic meaning or essence of Buddhism and is a key element that characterizes Chinese Buddhism. This is because Chinese consciousness of Zong played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schools developed theoretically based on the doctrinal classification, but in the foundation of diverse sects of the Sui and Tang period. The Zong-consciousness is indeed the 'pursuit of basic thought', which gives a hint as to where it originated from; the ontological thought of philosophical Taoism that sought for the true nature as the source of all creation. From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Chinese people became an active thinker of Buddhism, not just a passive receiver of the foreign religion. This subjectivity is significant because their own way of thinking could not be immune to their popular traditional thought, Neo-Taoism and it was their choices made from their own thought system that had hug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Buddhism on their soil. As the concept of Zong had been deepened and the doctrinal classification completed, Chinese religious sects of Buddhism were established during the Sui-Tang period. Each sect had its own doctrinal system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others. Under the assumption that Chinese traditional thought was reflected into the creation of those doctrinal systems, the well-known Tiantai and Huayan sects were looked into to substantiate the assumption. To unfold the Buddhist world of enlightenment, the former sect used the three dogmas(三諦) as a medium to achieve the insight into reality while the latter used the universal basis(理) to develop its doctrine of the realm of unimpeded interaction of noumenon and phenomenon or the realm of all beings. These doctrinal explanations of both the sects provided a clue to their origin. In philosophical Taoism, the logic of being and non-being was used to explain the ultimate reality of all creation and 'the universal basis' was termed as the source of all beings by combining 'the Unity' from the Daodejing ("Classic of the Way and Its Virtue") with 'the Great Absolute' from the I Ching ("Classic of Changes"). Once again, Taoism showed its association with Buddhism, especially with two of the highly developed, characteristic forms of Chinese Buddhism, the Tiantai and the Huayan sects. The followings are to sum up the important points of this thesis. Buddhism was provided an golden opportunity by the Huang-Lao movement in the Later Han Dynasty to facilitate its propagation by deifying Buddha.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movement had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philosophy and already made their sages, Huang-ti and Lao-tzu, gods to be worshiped. Sutras were also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contemporary Chinese interest in Taoism and Taoist terms were adopted to unfold the Buddhist world. Through these efforts related to Taoism, Buddhism succeeded in building a nest in the society of China where a foreign religion or thought had been unable to penetrate. As the Wei-tsin period arrived, Neo-Taoism prevailed among the intellectuals and Buddhism was quick to discuss its doctrine of emptiness from the viewpoint of Neo-Taoist ontology focused on non-being. This new form of Taoism offered not only a chance for full-fledged discussion of Buddhist teachings but also a basis for Buddhism to take deep root into the Chinese society by opening up the time of local interpretation of Indian sutras. The prevalence of domesticated interpretation during the Wei-tsin period clearly indicates Chinese increasing interest in Buddhist doctrines. This rising appeal of Buddhism brought state support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enabling the translations of sutras by Kumārajīva and fueling more doctrinal studies in depth in various fields. There was, however, a historical event that Emperor Wu of the Northern Zhou Dynasty tried to eradicate Buddhism against its gaining popularity. Ironically, this unsuccessful try together with profound buddhist studies helped the religion consolidate its bases in all walks of Chinese life and led the way to Buddhist prosperity in the Sui-Tang period. Along the way, the ontological thinking of Taoism deeply rooted in the mind of Chinese people was reflected, making Buddhism more localized and suitable for China. Such Taoist reflection was able to be found in the occurrence of Zong-consciousness and the explanation of the enlightened world by the Tiantai and the Huayan sects. Based on the points mentioned above, this thesis has clarified that Buddhism in China had profound and unbreakable relations with traditional philosophical Taoism form the very beginning. In theory, Buddhism should have had a very hostile and destructive relation with Taoism because the former was a new foreign religion and the latter was a strongly rooted, traditional philosophy. In reality, however, Buddhism was able to develop its doctrines systematically in a more domesticated way by adopting and learning Taoist strong appealing points, terms and thoughts. Later, Buddhism corrected its fallacy from such borrowings and became the most popular religion of China in the Sui and Tang Dynasties. However, in spite of such success of Buddhism, what should be remembered is that it is the trace of philosophical Taoism in Chinese Buddhism that makes it so unique compared to the Buddhism of other n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