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宣祖朝 전쟁 체험 한시 연구 : 尹斗壽·鄭文孚·權필·鄭希得을 중심으로

        장미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는 조선 사회를 전후기로 나눌 때 중요한 분기점으로 언급되는 임진왜란 체험이 당시 지배 계층인 사대부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고, 문학적으로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를 한시 작품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동일한 지배계층이면서도 서로 다른 처지에서 전쟁을 체험하였고, 그로 인해 삶의 양태에 커다란 변화를 맞이하게 됨으로써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이나 관점에 변화를 갖게 되고, 그것을 시화하는 데 있어 동시대 작가들과 변별되는 요소를 갖추었다고 생각되는 작가 尹斗壽ㆍ鄭文孚ㆍ권필ㆍ鄭希得을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尹斗壽는 전쟁 중 좌의정으로서 임금을 호종하며 권력의 핵심부에 있었지만, 終戰 후 당쟁으로 인해 권력의 테두리 밖으로 밀려났고, 鄭文孚는 함경도 일대에서 北道兵馬評事라는 현직 관료로 의병을 일으켜 혁혁한 戰果를 올렸지만, 상관의 무고로 공로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변방 수비로 전전했으며, 권필은 일반 백성과 다름없는 피난 체험을 통해 민생고에 통감하면서 사대부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했지만 布衣라는 신분적 제약으로 현실 참여 기회를 가질 수 없었다. 이렇게 전쟁이라는 역사적 상황뿐 아니라 정치적 상황에서 비롯된 입지와 피해 의식의 공통점이 이들로 하여금 동시대의 한시 작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시를 창작하게 했고, 시작 태도에 있어서도 변별적 요소를 갖추게 하였다. 이들과 달리 정치적 상황과는 무관하게 온전히 전쟁으로 인해 인생이 비극적으로 전환된 인물로 鄭希得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전쟁이란 작자 개인이나 특정한 소수의 사람만이 경험한 사건이 아니라 동시대인 모두가 경험한 보편적 사건이므로 공통적인 주제와 소재가 시화되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먼저 'Ⅱ. 宣祖朝 전쟁 체험 한시의 유형'에서 전쟁 체험이 실려 있는 작품들을 일반론적으로 유형화하여 그 공통된 방식들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Ⅲ. 전쟁 체험의 작가별 형상화 양상'에서는 각기 다른 처지와 상황에서 전쟁을 체험한 작가 尹斗壽ㆍ鄭文孚ㆍ권필ㆍ鄭希得을 대상으로 그 처지와 상황에 따른 특수한 체험들이 어떤 방식으로 형상화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 장에서는 이 작업을 토대로 전쟁 체험을 바탕으로 형성된 시세계가 보여주는 특징들이 戰後 조선 사회에 나타나는 사상적ㆍ문화적 양상과 어떠한 영향 관계에 있으며, 문학사적으로는 어떠한 위치를 점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시민권의 정치'와 여성노동운동(1987-1999)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장미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국 사회에서 여성 노동자들이 '여성 노동자'로서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면서 집단적인 목소리를 표출하기 시작한 87년 이래, 지난 10여년간 여성 노동자들과 여성노동 단체, 여성 노동조합은 권리 확보와 요구쟁취를 위해 적극적인 투쟁을 전개해왔다. 저임금 철폐와 생존권 확보를 위한 임금투쟁, 동일노동동일임금 투쟁, 조기정년제·결혼 퇴직제 폐지운동, 모집·채용·임금·배치·직업훈련·승진·복지혜택 등에서의 차별철폐 운동, 모성보호조치 쟁취 운동, 직장내 성폭력 근절운동, 90년대 후반의 고용권 확보운동에 이르기까지, 여성노동계는 지속적인 운동을 전개해왔다. 이러한 노력들을 통해서 점차 여성 노동자의 권리주장과 요구들이 사회적 인정을 받기 시작했고, 여성 노동자의 차별적 노동조건과 열악한 지위들이 개선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여성노동운동이 '시민권의 정치'인지를 확인하고자 했다. 이처럼 운동을 '시민권 패러다임'으로 재해석하는 것은 특정 집단의 이슈를 사회 보편적 정의로 정당화함으로써 사회 전체의 동의를 이끌어내는 효과를 가진다. 이런 점에서 여성노동운동을 시민권의 정치로 재해석하는 것은 여성 노동자들의 당면과제를 사회의 보편적 과제로 전환시키는 토대를 마련하는 의의를 가질 것이다. 이를 위해서 여성노동운동을 노동권 확보운동, 재생산권 확보운동, 성적 자기결정권 확보운동, 참여권 확보운동으로 구분한 후, 각 운동들이 '시민권의 정치'의 구성요건을 충족시키는지를 확인하였다. 여기에서 '시민권의 정치'를 구성하는 요건은 시민권자(주체)의 형성, 시민적 공공성의 인정운동, 권리개념의 창출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각 운동이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대체로 이들 요건을 충족시켰고, 지난 10여년의 여성노동운동이 '시민권의 정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두 번째로, 여성노동운동 내의 각각의 '시민권의 정치', 즉 4가지 운동들 사이의 세부 특성을 비교해 보려 했다. 여기에서 비교기준은 주체의 성격과 시민적 공공성의 인정운동 과정상의 차이로 설정하였다. 각 운동들을 비교한 결과, 재생산권 확보운동의 경우 주체의 성격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다른 운동들의 경우 주체가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주체'의 성격을 띠고 있었던 반면, 재생산권 확보 운동에서 주체는 '모성적 존재'나 '취업주부'라는, 직장과 가정을 매개하는 '관계적인 주체'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다음으로 시민적 공공성의 인정운동 과정을 보면, 노동권이나 참여권 확보운동의 이슈들은 원래 '공적 문제'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이슈들을 공적 문제로 인정받기 위한 별도의 실천이 필요하지는 않았다. 반면, 재생산권 확보운동이나 성적 자기결정권 확보운동의 경우에는 '사적인 것'으로 취급되는 문제들을 '공적 문제'로 인정받기 위한 별도의 실천이 필요했다. 또한 각 운동들에서는 모두 기회의 평등뿐만이 아니라 결과의 평등이 강조되었는데, 노동권 확보운동의 경우에는 간접차별 금지가, 재생산권 확보운동에서는 '보호 조치'가, 성적 자기결정권 확보운동의 경우에는 '다름'에 기초한 평등이, 참여권 확보운동의 경우에는 '할당제'가 강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운동'을 '시민권 패러다임'으로 분석하는 새로운 분석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시민권 개념을 기존의 법적이고 형식적인, 위로부터의 권리 개념에서 실질적인 아래로부터의 동학적 개념으로 재정의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이 연구는 '남성 중심적인 시민권' 개념을 수정, 확장해내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는 기혼 여성 노동자의 독특한 삶으로부터 추출해낸 '관계적 주체'에 기초한 시민권 개념과 공/사 이분틀의 극복 및 여성주의적 공공성 개념의 창출을 통해 시민권의 지평을 확장시킨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이 연구는 페미니즘과 시민권의 만남을 통해 급진 민주주의적 시민권의 가능성을 열어보이고 있다. Since 1987 Women workers have expressed their collective voices in Korean society, defining their identities as 'women workers'. For more than 10 years, 'women workers,' women's labor organizations, and women's trade-unions have struggled to achieve their due rights and demands. Continuously, 'women workers' have made efforts to abolish sex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and to improve heir status: struggles to root out low-paid wages to maintain women's minimum right to survive, to establish equal pay for equal work, to terminate early retirement and wedding retirement measures working toward life-long employment, and to set up protective measures for working mothers, and to stop sexual harassment on the job, to gain equality in employment (recruiting, hiring, wages, assignment, training, promotion) throughout IMF period in the late 1990s. By these efforts the rights and demands of 'women workers' have gained social recognition, and gradually discriminating work conditions and low status of women workers started to be improved. This study intends to testify whether this Korean women's labor movement was the politics of citizenship. To interpret a certain movement as the politics of citizenship means that the movement gains consents of the society by justifying the fact that a certain group's interests are universal justices of the society. In this respect, to interpret women's labor movement as the politics of citizenship is meaningful in that current assignments of women's labor movement develop into universal assignments of our Korean society. Here Korean women's labor movement is examined into four different areas: first, movement for the right to work, second, movement for the reproductive right (concerning pregnancy or maternity leave, and etc.), third, movement for the sexual self-determined right (concerning being protected against various sexual harassment or assaults on the job, and finally, movement for the participatory right (concerning having voices in policy-making process). And then, each women's labor movement is examined, one by one, to determine whether each movement has all the necessary components of the politics of citizenship, which are the formation of citizen(subject), the process of practices to be recognized as civic public, and the creation of citizenship rights. While each movement differs a little from one another in nature, each movement satisfies the components of the politics of citizenship, and consequently it is confirmed that Korean women's labor movement in the past decade have been the politics of citizenship. Furthermore, this study intends to compare detailed features of those four women's labor movements in the past decade. Comparing the features of women's labor movements leads to the study of comparisons on nature of the subject (a women worker as citizen) and differences in movements to be recognized as civic public. In general, the nature of the subject was different in movement for the reproductive right from other three movements. In other movements the nature of subject seemed to be 'independent and individual', but in movements for the reproductive right it seemed to be 'relational', as mothering or working housewife who accommodate job and home. Looking back the movements to be recognized as civic public, the issues of movements for the right to work and movements for the participatory right were considered as public matters and, therefore, any special efforts were not required to be recognized as public matters. However, in movements of the reproductive right and the sexual self-determined right, those issues 'were considered as private ones, so that special practices to recognize them as pubic matters were required. Also, in every movement not only equality of opportunity but also equality of result was emphasized. Especially, the ban on indirect discrimination was stressed in movements for the right to work, and in each movement protective measures for the reproductive right, equality based on sexual differences for the sexual self-determined right, and quota measures for the participatory right were emphasiz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s a new analyzing model for Korean women's labor movements in terms of the paradigm of citizenship. And also this study redefines the concept of citizenship from the practical, dynamic, and upward perspective, differently from the old existing perspective which sees the citizenship from the formal, lawful, and topdown viewpoint. Furthermore, the concept of citizenship is viewed on a new, wider level by demonstrating the concept of 'relational subjects' which draw upon the unique life of married women workers, by overcoming the distinc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and by creating the feministic-public concept. Finally, this study designs the radical democratic politics of citizenship through the merger of feminism and citizenship.

      • 한국 탁아정책의 변화요인에 관한 연구

        장미경 강원대학교 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ay care policy in Korea has developed greatly since mid - 80s, when many 88 city day care centers were established and Child Care Act (1990) was legislated. This thesis examines the social and structural cause of such a change, especially focusing on the role of capital, state and class. The poverty of the day care policy in Korea until mid - 80s had been caused by the low demand of married woman labor on the part of capital. Besides the working class movement also had neglected the maternity protection issue. The change of day care policy derives from the increasing demand of cheap labor, which the married women laborers could supply abundantly. The state in the mid 80s was in the critical situation, it had to appease the democratic struggle in 1987. Women's movement which constituted a part of democratic struggle claimed the maternity right. One example of the appeasement policy was the establishment of 88 city day care centers. The legislation of Child Care Act was greatly influenced by day care movement led by the Federation of Community - based Day Care Centers. At first it started from the typical regional movement and became to stand for the interests of Korean women laborers. But Child Care Act has its limittation. The intention of state and capital was realised in Child Care Act ; it made the individual family pay the expenses for the reproduction of labor.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change of day care policy in Korea was the interest of capital ; state also utilized it to justify the regime in the political crisis. But it is very significant that Child Care Act was legislated by the pressure of day care movement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the working class movement.

      • 宣祖朝 전쟁 체험 한시 연구

        장미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는 조선 사회를 전후기로 나눌 때 중요한 분기점으로 언급되는 임진왜란 체험이 당시 지배 계층인 사대부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고, 문학적으로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를 한시 작품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동일한 지배계층이면서도 서로 다른 처지에서 전쟁을 체험하였고, 그로 인해 삶의 양태에 커다란 변화를 맞이하게 됨으로써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이나 관점에 변화를 갖게 되고, 그것을 시화하는 데 있어 동시대 작가들과 변별되는 요소를 갖추었다고 생각되는 작가 尹斗壽ㆍ鄭文孚ㆍ권필ㆍ鄭希得을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尹斗壽는 전쟁 중 좌의정으로서 임금을 호종하며 권력의 핵심부에 있었지만, 終戰 후 당쟁으로 인해 권력의 테두리 밖으로 밀려났고, 鄭文孚는 함경도 일대에서 北道兵馬評事라는 현직 관료로 의병을 일으켜 혁혁한 戰果를 올렸지만, 상관의 무고로 공로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변방 수비로 전전했으며, 권필은 일반 백성과 다름없는 피난 체험을 통해 민생고에 통감하면서 사대부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했지만 布衣라는 신분적 제약으로 현실 참여 기회를 가질 수 없었다. 이렇게 전쟁이라는 역사적 상황뿐 아니라 정치적 상황에서 비롯된 입지와 피해 의식의 공통점이 이들로 하여금 동시대의 한시 작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시를 창작하게 했고, 시작 태도에 있어서도 변별적 요소를 갖추게 하였다. 이들과 달리 정치적 상황과는 무관하게 온전히 전쟁으로 인해 인생이 비극적으로 전환된 인물로 鄭希得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전쟁이란 작자 개인이나 특정한 소수의 사람만이 경험한 사건이 아니라 동시대인 모두가 경험한 보편적 사건이므로 공통적인 주제와 소재가 시화되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먼저 ‘Ⅱ. 宣祖朝 전쟁 체험 한시의 유형’에서 전쟁 체험이 실려 있는 작품들을 일반론적으로 유형화하여 그 공통된 방식들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Ⅲ. 전쟁 체험의 작가별 형상화 양상’에서는 각기 다른 처지와 상황에서 전쟁을 체험한 작가 尹斗壽ㆍ鄭文孚ㆍ권필ㆍ鄭希得을 대상으로 그 처지와 상황에 따른 특수한 체험들이 어떤 방식으로 형상화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 장에서는 이 작업을 토대로 전쟁 체험을 바탕으로 형성된 시세계가 보여주는 특징들이 戰後 조선 사회에 나타나는 사상적ㆍ문화적 양상과 어떠한 영향 관계에 있으며, 문학사적으로는 어떠한 위치를 점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집단미술치료가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시험불안과 스트레스해소에 미치는 영향

        장미경 원광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시험불안과 스트레스해소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의 진행은 2011년 6월 8일부터 2011년 9월 16일에 걸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연구, 대상자 선정, 관찰자 훈련, 사전검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및 적용, 사후검사, 자료처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대상은 전북 N시에 있는 I고등학교 3학년 학생 6명을 대상으로 주1~2회 80분간 총 15회기를 실시하였다. 15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험불안척도, 스트레스척도, 동적학교생활화(KSD)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회기별 고찰을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다음과 같은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시험불안척도(TAK-K)는 시험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Spielberger 외 6인(1980)이 만든 시험불안검사(Test Anxiety Inventory: TAI)를 김문주(1990)가 한국의 문화와 언어, 그리고 한국 학생들에게 적합하도록 개발한 시험불안척도 TAI-K(Test Anxiety Inventory-Korea)를 사용하였다. 스트레스척도는 원효택(1995)이 작성 수정 보완한 것을 김진영(2009)이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고, Knoff와 Prout(1988)이 개발한 동적학교생활화(KSD) 그림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시험불안척도와 스트레스척도에 대해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대응표본 T-test 분석하여 통계 및 질적 분석을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시험불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효과가 있었다. 시험불안척도를 통해 알아 본 결과 하위영역인 정서적요인과 인지적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일반적 시험불안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시험불안척도 평균치로 보았을 때는 사전(M=83.17)보다 사후(M=63.50)에 점수가 감소되어 집단미술치료가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시험불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효과가 있었다. 스트레스척도를 통하여 알아본 결과 하위영역인 공부문제와 대인관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가정생활, 학교생활, 이성/성, 신체/건강, 진로, 가정, 종교, 기타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스트레스척도 평균치로 보았을 때는 사전(M=129.17)보다 사후(M=104.17)에 스트레스 점수가 감소되고 전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집단미술치료가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스트레스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원들이 시험불안과 스트레스해소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집단미술치료가 인문계고등학교 학생들의 시험불안과 스트레스해소에 유용하게 활용되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is aimed to apply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3rd graders of academic high school, with a view to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settlement of their test anxiety and stres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etween June 8, 2011 and September 16, 2011 in the order of investigating group art therapy programs, selecting the subjects, training the observers, conducting prior tests, executing and applying a group art therapy program, conducting a post-fact test, and processing the data. A research was conducted into 6, 3rd graders of I High School in N City of North Jeolla Province, Korea for 80 minutes, once or twice a week, 15 times in all. Test anxiety scale, stress scale, and kinetic school drawing (KSD)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know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research was developed by using the following testing methods. Test Anxiety Inventory (TAI) developed by Spielberger and 6 others (1980) and Test Anxiety Inventory-Korea (TAI-K) developed by Mun-ju Kim (1990) to suit to Korean cultures and language and Korean students were used so as to measure test anxiety scale. And a stress scale developed, amended and complemented by Hyo-taek Won (1995) and re-organized by Jin-yeong Kim (2009) was utilized and a kinetic school drawings (KSD) test developed by Knoff and Prout (1988) was also employ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and average & standard deviations of test anxiety scale and stress scale were calculated, and corresponding samples were T-tested and analyzed for statistical and qualitative analyses. The following are a summary of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First, a group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s on test anxiety of 3rd graders of academic high school. Measuring the test anxiety scale find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ower spheres of emotion factor and recognition factor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normal test anxiety. However, averaging the test anxiety scale finds that stress points are reduced more before applying group art therapy (M=83.17) than after it (M=63.50), which implies that the therapy has positive effects on test anxiety of 3rd graders of academic high school. Second, the therapy has positive effects on stress of 3rd graders of academic high school. Measuring the stress scale find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ower spheres like studies and personal relations but there is no for family life, school life, opposite sex/sex, physical body/health, career, family, religion and others. However, averaging the stress scale finds that stress points are reduced more after applying group art therapy (M=129.17) than before it (M=104.17) a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ideration of all factors, which implies that the therapy has positive effects on stress of 3rd graders of academic high school. In summery, it is conclud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hange in and a positive effect on the settlement of test anxiety and stress of those who have attended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mply that a group art therapy may be utilized to relieve test anxiety and stress from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장미경 경남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Childhood education organizations must offer parent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help parents with young children effectively perform their parenting roles based on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on the improvement of the latter's communication skills with their children. For the pre- and post-tests, the study introduced the communication skill scale developed by Mildard and Bienvenu (1974) and adapted by Shin Du-gyun (1988). Meanwhile, the data analysis involved the use of the SPSS 14.0 program in conjunction with the paired t-test for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The study results and inherent limit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represent an effective means to improv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Items for which higher or lower pre-test scores were recorded at the start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s did not result in an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those items which the average pre-test score was about 3.5 resulted i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skills. As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developed as part of this study was carried in a short term manner that involved short sessions, their actual effect on improving parent-child communication was limited. Despite this point, the significance of the items which showed an effect during short-term parent education programs should not be underscored, as this finding implies that salient communication areas have already to some extent been prepared.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study also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through the pre-test separate the items in accordance with the preparedness of parents and implement parent education programs designed to improve communication that reflect the pre-test results.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들이 자녀와의 관계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부모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계획적인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향상 기술을 중심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의사소통 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창원시에 소재하는 H어린이집 만3~5세 학부모 13명이며, 부모효율성훈련에 기초한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Mildard와 Bienvenu(1974)가 개발하고 신두균(1988)이 번안한 의사소통 검사도구를 사전 및 사후에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4.0를 이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에 대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t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의사소통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증진에 효과적이다. 의사소통 부모교육프로그램 시작단계에서 사전점수가 높거나 낮은 항목은 유의한 증진을 보이지 않는 반면, 사전검사 평균점수가 3.5정도의 항목에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에 유의한 증진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부모교육을 단기간, 단기 횟수로 준비하였기 때문에 부모들이 원하는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증진 효과를 보는 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고 보인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단기교육을 통해 효과를 보이는 항목 즉, 일정 수준이상 준비되어 있는 의사소통영역을 발견하였다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그리고 본 연구결과는 사전검사를 통해서 부모들의 준비도에 따라 항목을 구별하여 그에 맞는 의사소통 부모교육 내용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토기복제 이형재료 중 녹말풀의 적용에 관한 연구

        장미경 韓瑞大學校 藝術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Cultural assets are cultural outcomes of human life with nature and are worth preserving. As time goes by, the cultural assets are under natural deterioration even if they are kept in ideal preserving facilities. Among cultural assets, earthenware are dug up the mos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e it was made very well, and are exhibited for educational purposes after preservation treatments. Even the earthenwares of highest historic values and scarcity are duplicated in the following instances: 1) If an earthenware is in bad condition and is likely to be damaged during exhibition. 2) If an earthenware is likely to be damaged due to moving from one place to another for multiple exhibitions. 3) Or, if an earthenware has to be exhibited in more than one place at the same time. Duplication is a process, in which an object same as the original object is produced using a cast. There are two ways of duplication: contact duplication and non-contact duplication. In contact duplication, the cast material makes direct contact with the artifact, thus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damage occurrence to the artifact if the separation with the cast goes wrong. Separating material enables the cast to come off the artifact smoothly. If inappropriate seperating material is used, an artifact may be discolored, lose some part of its surface, or be damaged due to adhesion of the cas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eperating materials on earthenware and finds out whether Starchy grass is suitable as an seperating material. We conducted a series of experiments by making an earthenware sample and applied various seperating materials to it, then applied silicon on the seperating material as a cast material. After the experiments, decolorations were evaluated through earth color measurement. Surface loss of the earthenware and penetration of the seperating material were examin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The earth color measurement results showed that the earthen ware was darkened in all experiments except the one using Starchy grass. A close observation of earthenware using an optical microscope revealed that the cast and the earthenware were separated successfully in the experiments using Starchy grass and wax. However, it was impossible to completely wash off the wax with distilled water, leaving remaining wax in the surface of the earthenware. On the other hand, Starchy grass was washed off completely using distilled water first, then amylase to dissolve the remainders. Thus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Starchy grass could be used as an appropriate seperating material in a duplication. A thesis submitted to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Hanseo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Theology in August, 2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