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素月詩와 朱湘詩의 비교 연구 : 시의 모티프를 중심으로

        장문연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Korea and China have been geographically and historically close for a long time, and have maintained constant exchange and influence in the field of literature. Both Korea and China showed an intrinsic rebirth as the Westerns’ modern capitalism of the 19th century intertwined with imperialism. However, the two countries failed to achieve autonomous liberalization and rather experienced modernization due to the pressure of foreign powers. This has caused a great shock to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has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literature of both countries which brought about a great transformation in the old and the new literature.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of the historical background’s similarity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Korean and Chinese modern literature. Korean poet Kim So-wol and Chinese poet Zhu Xiang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for their similar biographic and literary life as well as their poetic thoughts. Both of their poetry was compared based on the motif that aris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s centered on the motifs common to the poems of Kim So-wol and Zhu Xiang the poetic ethos of their works was derived and compared. Based on this, judging from the aspect of modernity in which both poets implicate tradition and innovation in their poetry, the researcher tried to evaluate the current values and status of the two poets’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tradition and innovation. The study is divided into five chapters. In chapter I Introduction, purpose of this study,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research method, scope and contents of the research were identified. In chapter Ⅱ, the researcher examined the poetic background and motifs of Kim So-wol and Zhu Xiang’s poems. Also,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time period and literary activities of poets,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ir poetic thoughts, as well as the problem of poetic motifs and variations. Chapter 3 compares the motifs of Kim So-wol and Zhu Xiang’s poetry. As a result of examining ‘Nim / Death / Narrative’ motifs, the characteristic of Kim So-wol’s motif is ‘mixed,’ while the characteristic of Zhu Xiang’s motif is ‘disconnection.’ In the case of the ‘Nim’ motif, the ‘nim’ revealed in the poems of the two poets are all objects to which the poetic speaker hopes and yearns and is absent from reality. Also, due to the absence of the ‘Nim’, the object of love, both poets seem to be suffering from despair which eventually created a death consciousness in the end. In the case of the ‘death’ motif, the two poets reveal their intimacy without rejecting ‘death’. The ‘death’ according Kim So-wol implie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is life and the afterlife. On the other hand, the ‘death’ according to Zhu Xiang implies the absolute disconnected aspect of life and death. In the case of the ‘narrative’ motif, there are many traditional tales in both poets’ works. Although both Kim So-wol and Zhu Xiang borrowed a story plot of a local folklore or even borrow the same narrative motif, each person’s individuality and sense of reality is reflected in their own work. In Chapter Ⅳ, the researcher explicat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uggestive meaning on the motif and the status in literary history of Kim So-wol and Zhu Xiang’s poetr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oetic motifs derived from Chapter III, the researcher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poetry revealed in the poems of Kim So-wol and Zhu Xiang in the perspective of ‘tradition’ and ‘innovation.’ While they inherited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s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Korea and China, they introduced poetic contents and phenomena that can express moder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imes. For the conclusion shown in Chapter Ⅴ, the above-mentioned contents and the meaning and value of Kim So-wol and Zhu Xiang’s poetri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the poetry tradition of Korea and China in the early days was not handed down by generation and the crisis of “severance” was imminent, Kim So-wol and Zhu Xiang suggested the direction of poetry to have a mixed modern character applying both traditional and modern characteristics. Second, Kim So-wol and Zhu Xiang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rise of poetry in the modern era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radition and innovation. Third, the two poets are not only limited to the modern views of both countries but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history of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 At present, their works also lead to a generational relationship that can cater from the classics, to the present, and to the far future. Both Korea and China have a long tradition of unique poetry in their own countries. The poetry of both poets inherits the unique culture of their country and shows the changes that have been adapted to the trend of the times. It has an important aspect in terms of the tradition and inheriting the inherent elements of the national poetry tradition of the two countries.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역사적으로도 오랫동안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으며 문학의 영역에서도 지속적인 교류와 영향관계를 유지해왔다. 19세기 서양의 근대 자본주의가 제국주의와 맞물리면서 한중 두 나라는 내재적으로 개화의 맹아를 보였다. 하지만 양국은 자주적 개방을 이루지 못한 채, 외세의 압력에 의한 타율적 개방으로 근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는 당대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충격을 던져줌과 동시에 양국의 문학 영역에 있어서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신구(新舊) 문학에 커다란 변혁을 가져왔다. 당대 유학파들에 의해 선도된 ‘새로운 내용과 창의적인 내용을 추구하고자’ 하는 신문학의 형태는 점차 주류를 점하게 되었으며, 상호적 영향관계를 이루던 한중의 근대문학도 각자의 영역에서 차별화되고 다양화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한중 근대문학의 발달과 전개에 있어 시대적인 배경의 유사성을 전제로, 서로 직접적인 큰 영향관계는 없으나, 유사한 전기적ㆍ문학적 삶과 시학사상을 지닌 각국의 대표 근대시인 한국 시인 김소월과 중국 시인 주상(朱湘)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김소월시전집󰡕(2015, 문학사상)과 󰡔朱湘全集․詩歌卷󰡕(2017, 안휘문예출판사)을 기본 자료로 사용하여 평형비교를 통한 그들의 작품에 내재된 모티프의 양상 및 특징을 비교에 역점을 두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모티프(Motif, 母题)는 모든 문학작품에서 반복적으로 동일하게 등장하는 전형적이고 항구적인 낱말, 문구, 내용을 일컫는다. 이는 한 작품에서 나타날 수도 있고 한 작가 또는 한 시대 또는 한 장르에서 나타날 수도 있으며, 저자의 심미적 역량에 따라 일정한 주제와 의미의 전달이 가능하다. 모티프는 다소 이질적인 세계문학 간의 비교연구에 있어 공통된 바탕을 제공함으로써 연구의 객관성, 동등성, 정당성을 뒷받침한다. 본 연구는 소월 시와 주상 시에 공통적으로 발현된 모티프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작품분석을 통하여 두 시인의 작품에 깃든 시적정신을 도출하고 비교하였다. 이를 토대로 두 시인의 시에 내포된 전통성과 근대성이 혼재하는 근대성의 면모를 판단, 전승(傳承)과 혁신(革新)이라는 시각에서 그들의 시가 지니는 시사적 가치와 위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총 다섯 장으로 나뉜다. 제Ⅰ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목적,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 연구방법, 연구범위와 내용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연구의 가치성과 정당성 확보를 위하여 시적 배경과 모티프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인 두 시인의 시대적 배경과 문학 활동, 불변의 시학관과 그 차이, 그리고 시적 모티프와 변주의 문제를 세부적으로 검토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소월 시와 주상 시의 모티프를 비교하였다. ‘님/죽음/설화’ 모티프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소월 시에 나타나는 모티프 특징은 ‘혼재’인 반면, 주상 시의 모티프 특징은 ‘단절’에 있다. ‘님’ 모티프의 경우, 두 시인의 시에 드러난 ‘님’은 모두 시적 화자가 소망하고 연모하는 대상이며 현실에 부재한 존재이다. 소월 시에서의 ‘님’은 현실세계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이며 ‘어스름’에서 자리한다. 두 시인의 ‘님’은 애정의 대상이며, 주상 시에 드러난 ‘님’은 시적 화자에게 성결한 애신(愛神)이자 성스러운 시신(詩神)이다. 따라서 시인이 시신(詩神)으로 화신된 ‘님’을 위하여 헌신적 감정을 드러내기도 한다. 또한 소망하는 사랑의 대상인 ‘님’의 부재로 인하여 두 시인은 모두 절망과 고통을 겪게 되고 끝내 죽음의식을 생성하는 것으로 보인다. ‘죽음’ 모티프의 경우, 두 시인은 ‘죽음’에 대하여 거부하지 않고 친밀감을 드러낸다. 소월 시의 ‘죽음’은 이승과 저승의 소통을 암시한다. 이와 달리 주상 시의 ‘죽음’은 삶과 죽음의 절대적 단절된 양상을 드러낸다. 소월 시에서 삶의 종점이 죽음에로 함몰되는 것과 달리, 주상 시의 경우에는 삶의 종점인 죽음은 영적으로 잠드는 영면(永眠)의식과 회귀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두 시인의 시는 ‘죽음’으로부터 재생을 추구하려는 지향점이 드러난다. 다만, 소월 시에서는 삶과 죽음 간의 ‘원형적 순환양상’을 지향하는 반면, 주상 시에서는 죽은 자의 인자(因子)를 계승하여 새로운 형태를 의존하여 삶을 이어지는 직선적인 재생양상으로 나타난다. ‘설화’ 모티프의 경우, 두 시인의 시에는 여러 전통적 설화가 등장한다. 소월과 주상은 토속적 전설 내용을 빌려서 창작하였거나 심지어 동일한 설화 모티프를 차용하였더라도 각각 개인적인 독창성과 현실적인 감각을 작품에 투영한다. 소월 시에 나타난 ‘설화’ 모티프는 한중 전통적 설화가 혼재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와 달리 주상 시에는 중국 전통적 설화가 독재(獨在)하는 양상을 드러낸다. 또한 소월시의 설화모티프는 시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드러나고 있는 것과 달리 주상 시는 시의 심층에 내재화되어 있다. 제Ⅳ장에서는 소월 시와 주상 시에 나타난 모티프의 특징과 시사적 의미를 근대성의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제Ⅲ장에서 도출된 시적 모티프 특징을 바탕으로 ‘전승(傳承)’과 ‘혁신(革新)’이라는 시각에서 소월 시와 주상 시에 드러난 근대성을 규명하였다. 이들은 한중 양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고전시질(古典詩質)을 계승하면서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근대적 성격도 발현할 수 있는 시적 내용이나 현상을 포섭하고 있다. 제Ⅴ장 결론에서는 전술한 내용들을 정리하여 소월 시와 주상 시가 지닌 제고 되어야 할 시사적 의미와 가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한중 근대시 초창기 양국의 시가(詩歌) 전통이 세대적으로 전승되지 못하고 ‘단층(斷層)’적인 위기에 임박하였을 때, 소월과 주상은 전통성과 근대성이 혼재하는 근대적 성격을 지니는 시작(詩作)으로 시문학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소월 시와 주상 시는 한 민족의 시사(詩史)에는 근대시가 담당해야 될 승상계하(承上啓下)라는 역할을 충실히 담당하였음으로 전승(傳承)과 혁신(革新)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셋째, 두 시인은 한중 문학사에 있어 한중 양국의 근대시사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고전에서 현재, 또한 머나먼 미래까지 아우를 수 있는 세대적 관계를 이끌어내고 양국의 민족적 시가(詩歌) 전통의 전승(傳承)과 전의(傳義)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위상을 점하고 있다.

      • 중국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취업 활성화 방안

        장문연 한서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aims at drawing the elements obstructing the employment of the aged, finding how to vitalize it, and increasing it. In China, already in 2006, the population of the aged consisted of more than 7% of the total population, making China an aging society, and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expects the future population of the aged in 2026 will be about 14% and China will be an aged society. Like this, since China will be transferred from an aging society to an aged society for a very short period of about 20 years, which is unprecedented in the world, it will face a lot bigger shock than developed countries which have coped with the aging population over a long time. As the rate of the aged among the total population increases gradually, the interest in the welfare for the aged and the ways to make use of aged people’s human power is required. Therefore, using the human power of the aged will be on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aged in terms of the poverty of the aged and by satisfying the labor shortage, and the employment of the aged is also important to cut social security cost and to stabilize the society. However, in the reality, China is still holding the age-limit system of 55 or 60 years, the welfare law for the aged which has been introduced with differences in time has immature aspects of weak regulation, and overlapped or dualistic objects and areas, the programs to help the aged get employed are inefficient, and the understanding on the development of the human power of the aged and related education systems are deficient. Accordingly, as for the task to develop the employment of the aged, the needs are being raised to solve the problems by complementing the laws and the system, improving the age-limit system, establishing an organization which takes full charge of the employment of the aged, enhancing the jobs that the aged have the priority to be employed in, running employment programs, educating them on jobs, and so on.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the ways to vitalize the employment of the aged in the aged society of the 21st century, so that the employment of the aged can be the means to enhance the welfare for the aged, socially lighten families’ burden of the cost to support, and help the aged themselves to lead a stabilized life. The roles and position of the aged has changed from the previous ones in the large family system of an agricultural society, and now the social changes are forcing them to face the reality, to become independent and to meet their own needs by themselves. That’s why the research range of this thesis was limited to examine how to solve the economic problems of the aged, which can be seen to be most urgent in reality, and how to secure labor which has become insufficient because of the lowered birth rate. In addition, their employment problem was discussed in the aspect of how the aged can serve the society with their rich experience and knowledge and overcome their economic poverty, feel rewarded and fulfill self-realization. In Chapter Ⅰ, the purpose, range and methods of the research were described, and in Chapter Ⅱ, the concept and the origination background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necessity, limit and analysis frame of the employment of the aged in the aging society were presented. In Chapter Ⅲ,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the employment of the aged in China were analyzed. In Chapter Ⅳ, the ways to vitalize the employment of the aged in China were suggested. Finally, in Chapter Ⅴ, all discussion was summarized and synthesized as a conclusion, and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was mentioned. 본 연구는 노인취업에 대한 저해요인을 도출하고 노인취업의 활성화 방안을 찾아 노인취업을 증진시키는데 있다. 중국은 이미 2006년도에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7%를 넘어서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에 따르면 2026년에는 14%로 고령사회가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이처럼, 중국은 세계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짧은 기간인 20년 만에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가 될 것이기에 오랜 기간에 걸쳐 인구고령화에 대처해 온 선진국 보다 그 충격이 훨씬 크다. 이와 같이 전체 인구 중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늘어나면서 노인복지와 노인인력활용에 대한 관심은 필수불가결한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노인인력의 활용은 노인빈곤문제나 노동력부족을 충족시킨다는 측면에서 노인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며, 노인취업은 사회보장비용 절감과 사회 안정을 위해서도 중요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중국은 55세나 60세 정년제를 아직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시차적으로 도입된 노인복지법 등은 법과 제도 면에서 미약하고, 대상과 영역에 중첩되거나 이원화 되는 등 성숙되지 못한 양상을 띠고 있고 노인취업 프로그램 운영의 비효율화와 노인인력자원의 개발에 대한 인식과 교육시스템이 부족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고령자고용의 발전 과제는 법과 제도의 보완과 정년제의 개선 및 노인취업 전담기구의 설치 등이 필요하고 고령자 우선 고용 직종의 개선과 취업프로그램 운영을 비롯한 직업에 대한 교육 등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주목적은 21세기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취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것으로, 노인의 취업이 노인복지증진의 수단이 되면서도 사회적으로 가족의 부양 경비부담을 줄일 수 있고, 노인 자신의 생활안정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예전과 같은 농업사회 대가족제도 아래서의 노인의 역할과 위상은 이제 사회변화에 따라 어쩔 수 없이 홀로서기를 통하여 노인 스스로 해결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현실적으로 가장 시급하다고 볼 수 있는 노인들의 경제문제 해결이라는 측면과 출산율 저하에 따라 발생하는 부족한 노동력 확보라는 측면에서 가급적 범위를 한정하여 바람직한 방안을 검토해 보는 한편, 노인들의 풍부한 경륜과 생생한 지식을 사회에 봉사하면서 경제적 빈곤탈출 및 보람과 자아실현을 이룰 수 있는 방안을 통해 취업 문제를 논의코자 하였다. 제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범위와 방법을 기술하고, 제Ⅱ장에서는 고령화 사회의 개념 및 발생배경, 고령화 사회 노인취업의 필요성과 한계 및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중국 노인취업의 실태 및 문제점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중국 노인취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Ⅴ장에서는 결론부분으로서 이상의 논의를 요약·종합하였으며, 본 연구에 대한 한계점을 언급하였다.

      • 중·고등학교 축구선수들의 학습참여 실태에 관한 연구

        장문연 중앙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축구선수들의 학습참여, 학습내용 이해와 흥미, 그리고 장래진로에 대한 관심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중.고등학교 축구선수들의 학습참여 방식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2005년 현재 전국에 소재하고 있는 중.고등학교 축구부에 소속된 학생선수 480명이었다. 조사도구는 이창성(1994)의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교과수업 수행 실태에 관한 연구, 김정애(1996)의 체육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 김석민(2000)의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학습참여 실태에 관한 연구, 강병규(2002)의 중학교 체육특기자들의 학교수업참여 실태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의 문항들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보완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수집된 설문지 중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연구대상의 기초 환경 조사를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성별과 학년에 따른 실태를 비교하기 위하여 χ2(chi-square) 검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도구의 신뢰도 측정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구부에 소속되어 있는 중.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은 일반적으로 정규수업에 부분적으로나마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시합이 있을 시에 학생선수들이 정규수업에 전혀 참여하지 못하는 비율은 51.6%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에 대하여 대부분 흥미를 가지고 있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시간에는 잠을 자거나 소설책 또는 만화책과 같은 책을 읽는 등 수업과는 상관없는 행동을 하고 있는 학생선수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보다는 운동에 전념한다고 응답한 학생선수가 전체의 84.2%에 달했다. 학생선수들은 수업에 참여해야하는 필요성에 대하여 인식하고는 있었지만 수업자체에 대한 관심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과도한 훈련으로 항상 지쳐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선수들은 훈련이나 시합 출전으로 인한 수업결손에 대하여 어떠한 보충수업도 받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학업성적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 최하위권에 처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대부분의 학생이 운동을 시작한 이후 점차적으로 혹은 급격하게 성적이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선수들의 진로의식에 대한 조사 결과 73.6%가 장래희망으로 프로선수와 같은 직업 운동선수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선수 절반 정도는 운동 이외에 자신의 장래를 위한 준비를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선수 대부분은 정규수업 참여의 필요성에 대하여 동의하고 있었으며, 보충수업, 특별수업, 과외수업과 같은 형식으로 자신들의 수업결손을 벌충해 줄 수 있는 제도적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