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 v. Beethoven Symphony No. 1과 No. 5의 비교 분석

        장린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루드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은 음악가들 중에서도 그의 작곡 기법의 변화가 시기에 따라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작곡가 중 한명이다. 베토벤이 삶을 영위하던 시점의 시대적 배경, 청력 상실로 인한 고통과 번뇌, 그의 고집불통인 성격들이 조화를 이루어 역사에 길이 남을 만한 대작들을 쏟아 내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의 작곡 기법이 고전주의 양식에서 낭만주의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시기의 발판을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으며, 특히 그가 이루어 놓은 9개의 교향곡들은 교향곡 역사에서 중요한 구심점 역할을 하였고, 베토벤 이후의 교향곡들의 초석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교향곡 제 1번부터 제 9번까지 살펴보면 베토벤의 생애에 걸쳐 완성이 되었고, 여러가지 음악적 어법이나 작곡 기법들이 그의 삶 전체를 대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베토벤의 생애와 맞물려 그의 교향곡을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이에 따라 각자 다른 특성과 작곡 기법을 관찰 할 수 있다. 베토벤의 교향곡은 초기에는 하이든이나 모차르트 같은 전형적인 고전주의 양식을 따르는 선배 음악가들의 기법과 음악적 어법을 모방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중기에는 베토벤 고유의 색깔을 찾아 개성이 드러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후기에 쓰여진 베토벤 제 9번 교향곡을 살펴보면 이전의 형식과 스타일에서 완전히 벗어나 베토벤만의 색깔을 온전히 정립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베토벤의 초기와 중기의 작곡 기법과 음악적 어법의 차이점을 연구하기 위하여 교향곡 제 1번과 제 5번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 蕭紅 小說에 나타난 悲劇意識 硏究

        장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蕭紅是20世紀三、四十年代中國文壇倍受矚目的女性作家之一。蕭紅的一生短促而多難,她像一顆在畫出美麗軌道之後迅速逝去的彗星,雖曾有耀眼的輝煌但更多艱辛與滄桑。關於蕭紅作品的評價一直以來衆說紛纭,特別是受時代政治環境的影響,褒貶不一,幾度沈浮。進入新時期以後,學者們盡量抛開政治偏見,試圖重新挖掘蕭紅小說的文學價值。然而有很長一段時間學界對於她富有傳奇色彩的人生經歷,尤其是感情經歷的過分關注,常常使其作品的文字魅力被忽視。目前,關於蕭紅文學作品的研究論文數量不少,但是重複性過多,主要集中在女性文學、鄉土文學和比較文學等方面。而對於其作品的悲劇意識一直缺乏系統和深入的研究。悲劇意識作爲人類重要的哲學意識之一,在文學上主要通過悲劇性作品來反映。蕭紅的作品大多數是悲劇性的,其中固然有她悲劇性人生經歷的影響,但更重要的是作家自覺的審美選擇。通過對蕭紅作品悲劇意識的研究可以更深刻地了解作者的人格和精神世界,更全面地把握文本的內容,理解作品的內涵。因此,本論文把蕭紅小說的悲劇意識定爲研究主題。研究結果簡述如下。 在考察蕭紅作品的悲劇意識之前,先簡單論述了悲劇意識的概念和蕭紅的悲劇意識。悲劇反映的是現實悲劇性,悲劇性作爲悲劇的核心內容,使悲劇具有最激動人心的、最具持久性、含有最深的文化意義的力量。悲劇性不僅存在於悲劇中,美術、音樂、小說等多種藝術形式都可以表現悲劇性。悲劇意識是對現實悲劇性的一種文化把握。西方的悲劇意識概念二十世紀初辛亥革命前後隨著希臘神話等西方悲劇作品的翻譯引進而傳入中國。中國文化中的悲劇意識和西方文化中的悲劇意識相比較,具有兩大特徵。一是中國文化的悲劇意識是柔性的,二是悲劇意識自身在運行中逐漸弱化。蕭紅因爲其自身悲劇性的人生經歷和魯迅等五四新文學作家的影響,她的悲劇意識具有啓蒙主義的特徵。可細分爲國民性悲劇意識、婚姻悲劇意識、遊子悲劇意識和亡國悲劇意識。 本論文以蕭紅的三部代表作爲研究對象,分析了作品中悲劇意識表現形式。蕭紅小說生動地刻畫了在落後和貧困中掙紮的東北農民的生活。貧困的物質生活和愚昧的精神世界是他們悲劇性人生的兩個主要方面。而其中蕭紅特別關注農村女性的痛苦。因此本論文從以上三個方面分析了蕭紅小說的悲劇性,試把握作者悲劇意識的形成原因和表現形式。 蕭紅在小說中真實地表現了農民們與動物相似的生存方式和對農作物與家畜的畸形的愛。二十世紀二、三十年代中國東北農村的經濟與生産極其落後。在貧困的生活環境中農民們只能默默地背負著生活的重擔,以動物式的生存本能維持著生命。對於農村的貧困惡循環,一開始蕭紅把批判的矛頭指向地主階級對農民的剝削,在《生死場》中蕭紅又認識到日軍的侵略使農民的處境更加悲慘。這種認識正是亡國悲劇意識的具體表現。 麻木的生命意識、守舊思想和非理性的迷信觀念構成了農民愚昧的精神世界。蕭紅提出了關於生命的悲劇性和生存意義的哲學思考。蕭紅小說的背景是貧困落後的東北農村,這裏的農民缺乏自覺的主體意識和理性的思考方式,他們無視生命的尊嚴。精神上的愚昧、無知和麻木導致了因循守舊的生活方式。對鬼神和來世的幻想也使他們更加漠視現實世界。蕭紅從國民性悲劇意識的觀點出發一方面批判了他們落後的生活方式和保守的人生觀,另一方面也對他們寄予了無限的同情。同時蕭紅也從遊子悲劇意識的觀點出發對他們頑強的生命力給予了積極的肯定。 蕭紅從外部的壓迫和內部的壓迫兩方面表現了女性主人公的悲劇性人生。如果說東北農民不分男女都是自然和地主,以及日本侵略軍的奴隸的話,那麽農村女性同時還是農村男性的奴隸。她們在和農村男性承擔著同樣沈重的體力勞動的同時,還是男性們發泄怒火和性欲的對象。造成女性悲劇的另一個原因來自女性自身。她们對痛苦無條件地忍耐,絲毫沒有反抗意識。更嚴重的是在封建傳統思想的毒害下,不自覺地壓迫同性,充當男性暴力的幫凶。蕭紅的婚姻悲劇意識着重表現了女性的悲慘命運和造成她們悲劇人生的原因。 本論文從敍事學的角度分析了蕭紅小說中體現悲劇意識的敍事技法。蕭紅的小說一般被評價爲散文化小說或者抒情詩小說。本論文從敍述結構和敍述視角兩個方面論述了蕭紅散文化小說的特色。蕭紅小說的敍述結構具有忽略時間,重視空間的特點。筆者認爲這種敍述結構上的特點可以更突出地表現作者的悲劇意識。小說以空間爲中心布局,不受時間的限制,可以更具體地展開對各個場景的描寫。蕭紅通過細致的場景描寫體現了作品的悲劇意義和自己的悲劇意識。蕭紅小說的敍述視角主要採用了全知視角和限制視角兩種視角。本論文以《呼蘭河傳》爲文本,分析了蕭紅小說敍述視角的特點。以往的研究結果一般認爲《呼蘭河傳》的第一、二章採用了全知視角,三到七章採用了限制視角。筆者排除了敍述人稱的影響,重新分析,得出了《呼蘭河傳》全篇都採用了限制視角的結論。蕭紅在作品中採用了多重視角的表現技法。即通過成人視角和兒童視角兩種視角進行了敍述。多重視角的運用也有助於作者表現悲劇意識。兒童視角的特徵不僅在於敍述者的年齡是兒童,更重要的是通過兒童的眼光來認識和理解世界。因此可以有效地表現成人視角容易忽略的,或者有意忽略的內容。並通過成人視角和兒童視角的對比渲染了情節的悲劇性。 本論文着眼於对蕭紅小說悲劇意識的考察。通過對蕭紅小說文本的分析,歸納總結了悲劇意識的表現形式,並從敍事學的角度論述了蕭紅小說中體現悲劇意識的敍事技法。雖然對蕭紅小說悲劇意識的研究還不夠全面和完整,但是對於之前沒有受到足夠重視的悲劇意識主題提出了自己的見解,具有一定的價值與意義。 蕭紅은 1930년대부터 1940년대 초까지 활동한, 중국 현대문단에 있어 중요한 여성 작가이다. 蕭紅의 소설작품은 대부분 비극적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비극의식은 인류의 근원적 의식 가운데 하나이다. 작가는 문학작품 창작을 통해 작가 나름의 비극인식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蕭紅 소설에 나타난 비극의식에 대한 연구는 작가의 인격과 사상을 이해함과 동시에, 작품의 창작동기와 텍스트 내용 및 주제 등을 파악함에 있어 주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蕭紅 소설에 나타난 비극의식 연구는 蕭紅 소설을 세밀하게 이해하는데 적합한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蕭紅 관련 기존 연구 성과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새로운 각도로 비극의식을 연구하고자 한다. 蕭紅 소설에 나타난 비극의식을 연구하기 위해 우선 蕭紅의 비극적 생애를 살펴보았다. 본론에서는 張法의 이론에 근거하여 비극일반론과 蕭紅이 갖고 있던 비극의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했다. 蕭紅은 자신의 불우한 인생경험과 魯迅 등의 5·4신문학 작가들의 영향 하에 계몽적인 비극의식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蕭紅의 비극의식은 네 가지 정도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즉, 민족적 비극의식, 婚姻 비극의식, ‘遊子’로서의 비극의식 과 亡國에 대한 비극의식 등이 그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蕭紅 소설에 나타난 비극의식을 고찰하기 위해서 소설 내용 가운데 비극의식이 드러난 양상을 분석해보았다. 蕭紅 소설에는 빈곤을 숙명으로 받아들이고 무기력하게 살아가는 동북 농민의 낙후한 생활이 현실감 있게 그려져 있다. 농민들의 궁핍한 물질생활과 우매한 정신세계는 그들 비극적 삶의 두 가지 기본요소가 된다. 蕭紅은 농민 그 중에서도 농촌 여성의 고통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궁핍한 물질생활과 우매한 정신세계, 그리고 여성에 대한 핍박 세 방면으로 나누어 蕭紅 소설에 나타난 비극성을 파악하고 작가의 비극의식이 형성된 원인과 표출 양상을 분석했다. 蕭紅은 농민들의 비인간적 생존방식과 인간의 존엄보다도 농작물과 가축에 더욱 집착할 수밖에 없는 물질적 빈곤 등을 사실감 있게 드러냈다. 이러한 농촌지역의 빈곤 악순환에 대해 蕭紅의 亡國에 대한 비극의식의 표출로 드러난 것이다. 무감각하고 무기력한 생명의식, 보수적 봉건사상과 비이성적 각종 미신관념 등은 농민들의 무지몽매한 정신세계를 여실히 드러냈다. 蕭紅은 민족적 비극의식의 형태로 그들의 생활방식과 보수적 세계관을 비판하기도 했지만, 이러한 농민들의 성향에 대해 안타까운 동정을 표출하기도 했다. 이와 동시에 蕭紅은 자신의 고향이기도 한 동북지역 농민들의 강한 생명력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견해도 갖고 있었다. 이러한 관점은 蕭紅의 ‘遊子’로서의 비극의식으로 표출되었다. 蕭紅은 소설을 통해 여성에게 가해지는 핍박 양상을 두 가지 관점에서 접근했다. 즉, 외부적 핍박과 내부적 핍박이 그것이다. 외부적 핍박이 여성에게 가해지는 모든 외부적 억압상황을 뜻한다면, 내부적 핍박은 여성이 여성을 구속하는 억압상황을 뜻한다. 본 논문은 敍事學의 관점에서 비극의식을 중심으로 蕭紅 소설의 서사기법을 연구했다. 蕭紅의 소설은 일반적으로 散文化소설, 혹은 詩化소설이라고 평가된다. 蕭紅의 산문화 소설에는 서사 구조의 특징과 서사 시사시점의 특징이 있다. 蕭紅 소설의 서사구조에는 시간보다 공간을 중시하는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簫紅은 전지적 서사시점과 제한적 서사시점을 동시에 활용하고 있다. 본고는 주로《呼蘭河傳》을 텍스트로 삼아 簫紅 소설의 서사시점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蕭紅은 이 작품에서 이중시점이라는 서사기법을 활용했다. 본 논문은 蕭紅 소설에 나타난 비극의식에 대해 서술 분석했다. 필자는 기존 연구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蕭紅 소설의 비극의식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했다는 점에서 나름대로의 의의를 가진다고 생각한다.

      • 한국문화 교육과정 설계 연구

        장린 부산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내 대학교 한국어학과 학생들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한국문화 교육의 목표, 내용과 평가를 모색하는 데 있다. 중국 내 대학교 한국어학과는 개설하기에 급급하던 시기를 거쳐 그 운영이 점차 안정화됨에 따라 한국어 교육의 새로운 발전 방향을 모색할 때가 되었다. 즉,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이제 양적인 성장에서 벗어나 질적으로 향상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한국문화 교육과정의 설계 및 확립은 중국 내 한국어 교육의 질적인 향상에 보탬이 되며 중국 내 한국어 교육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제에 상응하는 해결책이 될 수 있다. Ⅱ장에서는 먼저 본 연구에서 바라보는 한국문화가 무엇인지를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문화 교육과정을 설계하기 위해서 먼저 교육과정의 개념, 설계 원리 및 구성요소에 관한 주요 논의들을 고찰하였다. 한국문화 교육과정의 개념을 정립하고 한국문화 교육과정 구성요소 간의 관계 모형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문화 교육에서 지향하는 목표와 내용이 무엇인지, 이에 따른 평가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 대학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의 목표, 내용 및 평가를 재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한국어 교육에 대해 교육과정과 교재 측면에서 한국문화 교육 실태를 살펴보았다. 중국 대학교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이 지닌 문제점을 밝혀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한국문화 교육의 문제점으로 첫째, 문화 교육에 대한 중요성 인식 부족의 문제, 둘째, 문화 교육에서의 전통과 현대 문화의 비중 문제, 셋째, 한국어 문화 교육 관련 교재 문제, 넷째, 교재 외에 교수𐄁학습 자료나 교사용 지도서의 부재 문제, 다섯째, 문화 교육에 따른 평가 도구의 문제 등을 들었다. 이에 따른 과제로는 첫째, 문화 교육에는 더 명확하고 구체적인 교육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둘째, 문화 교육 내용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대학교 한국문화 교육 관련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 넷째, 문화 교육 평가에 관한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위상을 높일 필요성과 체계적인 문화 교육과정 설계의 필요성을 재검증하였다. Ⅳ장에서는 실질적인 한국문화 교육을 제시하기 위해서 중국 대학교 한국어 전공자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조사 내용은 크게 학습자의 기초 정보, 한국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문화 내용에 대한 요구, 문화 교육 평가에 대한 인식 및 선호하는 평가 도구 등으로 구성하였다. 학습자 기초 정보에 대한 분석으로 중국 대학교에서 거의 절반인 한국어 전공자가 직업 선택, 학문 연구와 연계하여 한국어 학과를 선택하였고, 이에 따라 교육 내용 선정 시 한국 사회, 한국문화, 한국인의 사고방식 등 다양한 영역과 관련 내용을 다루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성별, 학년별, 한국어 수준별과 상관없이 74.8%의 응답자는 한국어 교육에서 보다 체계적인 문화 교육이 필요하다는 높은 공감대를 가짐으로 본 연구의 필요성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하였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요구하는 문화 범주는 일상문화 > 정보문화 > = 정신문화 > 예술문화 > 문화유산 > 언어문화 > 한국문학의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가 문화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하며 문화 교육 내용을 등급화하기 위해 각 범주에 다룬 문화 항목에 대해서도 자세히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울 때 언어 외에도 문화 학습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확인하였다. Ⅴ장에서는 문화 교육과정 설계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먼저 교육 목표를 설계할 때 여러 가지 고려 요소를 제시하면서 한국문화의 교육 목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문화 교육 내용의 선정 및 조직에는 고려해야 할 원리와 기준들을 살펴봄으로 문화 교육의 성격과 학습자의 요구를 부합한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 교육 평가에 있어 Ⅴ.1에서 설정한 교육 목표를 준거로 삼아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모형의 구성요소인 '태도, 지식, 기술, 인식'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문화 교육 평가 모형과 평가 도구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한국어 교육에서 어떻게 문화교육의 위상을 높일 수 있을지, 그리고 보다 효율적인 문화교육을 어떻게 전개할 수 있을지는 우리가 오랫동안 연구해 온 것이며 앞으로 더 심도 있는 연구 성과가 기대된다. 중국 내 한국어 교육에서 기존의 문화 교육은 한국어 숙련도를 높이기 위한 보조 수단일 뿐 진정한 문화 교육이 아니었다. 문화 교육과정에 대한 수요는 끊임없이 요구하며,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체계적인 문화 교육을 구축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더 부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한국문화 교육과정은 향후 중국 내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되어 줄 것이라 기대한다.

      • 1930年代 民族主義 文藝運動 硏究

        장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1930年代的民族主義文藝運動是體現了國民黨政治意識形態的右翼文藝運動。它在國民黨和南京國民政府的政治宣傳及文化統制方面起到了積極的作用。參與和支持該運動的右翼文人以民族主義理論為基礎,以中華民族獨立及全國統一為目標,進行了相關的文藝創作和文藝理論建設。該運動從1920年代中期右翼文人關於民族主義藝術的討論開始萌芽,以1930年6月前鋒社的成立為起點,正式拉開序幕,此後雖然經歷了短暫的停滯,但隨著日本帝國主義侵略引起的民族主義熱潮很快再次興起,並一直持續發展到1937年抗日戰爭全面爆發。前後歷經十餘年,不僅持續時間長,而且社會影響力巨大,是右翼文學中極其重要的部分。 民族主義文藝運動作為1930年代中國文藝運動史上重要的一環,對中國現代文學的發展也產生了巨大的影響。但是由於該運動具有明顯的黨派性,在由中國共產黨主導的現代文學史書寫和研究中,它始終受到批評和埋沒。因此,擺脫政治意識形態的影響,公正客觀地對民族主義文藝運動本身進行有深度的研究是很有必要的。 民族主義文藝運動進行期間,先後成立了前鋒社、草野社、開展文藝社、黃鐘文藝社等文藝團體。這些文藝團體出版了《前鋒週報》、《前鋒月刊》、《開展月刊》、《黃鐘》等文藝雜誌,發表了大量宣揚民族主義精神的作品。本稿以這些文藝團體的創立主旨、人員構成、運營狀況、文藝雜誌的出版和編輯,以及雜誌上刊登的理論文章和創作文章為研究對象,對該運動的發生背景,發展過程,理論和創作實踐及其問題進行分析研究,從而究明該運動的文學意義和文學史意義。 民族和民族主義的概念在十九世紀末從西方傳入中國以後,成為中國近代重要的思潮之一。民族主義文藝運動關於民族主義的定義繼承了孫中山晚年提出的以“五族共和”為基礎的開放型民族主義,提倡中華民族的解放,國內各民族的平等,以及全世界被壓迫民族的解放。然而,在實踐的過程中,民族主義文藝運動的民族主義呈現出明顯的政治民族主義和官方民族主義的特徵。 民族主義文藝運動的發展過程可以分為三個階段。第一個階段是從1925年到1929年的準備期,這期間傅彥長和朱應鵬等右翼文人首先對民族主義藝術進行了討論,在這個基礎上,葉秋原將文化民族主義和政治民族主義相結合,為民族主義文藝運動的登場做好了理論準備。第二個階段是1930年6月到1931年末的飛躍期和停滯期。民族主義文藝運動登上文壇以後短時間內就在文藝理論和創作兩方面都獲得了高度的發展。然而這種高速發展並沒有能維持很長時間,1931年下半年開始,該運動逐漸陷入停滯狀態。第三個階段是1932年到1937年的發展期,這期間政府的政策對民族主義文藝運動的影響力加大,在政府的財政支援下,民族主義文藝團體和雜誌大量出現,該運動的黨派性更加明顯。 對民族主義文藝理論的考察從民族主義文藝的功能,題材和創作方法,文藝批評三個方面進行了整理。《民族主義文藝運動宣言》作為該運動的綱領性文件,提出了文藝必須以民族意識為中心的理論。由於民族主義文藝強調特定的政治意識形態,所以非常重視文藝的宣傳工具機能。部分激進的右翼文人在德國和義大利成功崛起的刺激下,還曾經將法西斯也看作一種救國途徑。 民族主義文藝作家們提倡的題材主要有宣揚民族意識的歷史題材,表現社會黑暗面的社會題材,包括抗日在內的反帝鬪爭題材和表現國家現代化建設的題材。關於創作方法,大部分作家提倡採取反映社會現實的寫實主義,也有部分作家為了提高作品的藝術性提出了以合理的想像與熱烈的感情為基礎的新浪漫主義。如果說左翼文人主要從階級論的觀點進行文學批評的話,民族主義文藝作家則以民族論為尺度對文學進行評價。民族主義文藝不僅對左翼文學提出了強烈的批判,對忽視文學的社會性和政治性的所謂消極文學也進行了批判。 民族主義文藝作品的創作主題主要有以民族獨立為目標的反帝鬪爭,對內戰和共產黨的立場表明,對社會黑暗面的批判等三個方面。關於反帝鬪爭主題的創作,民族主義文藝作家主要通過描寫中國軍人在抗日鬪爭中英勇的面貌和遭到日寇蹂躪的中國民眾覺醒反抗的形象宣揚愛國精神和抗爭精神。有關國內戰爭的創作在民族主義文藝陣營內部也有兩種不同的態度,一部分作家強調內戰的目的在於統一全國,從而強調內戰的必要性與合法性,但也有一部分軍旅作家出於自己的戰爭體驗對內戰的正義性提出了懷疑。反共主題的創作主要針對共產黨階級鬪爭理論和土地革命過程中出現的弊端和問題進行了批判,試圖以此引起民眾對共產主義的反感。民族主義作家和左翼作家都很注重對社會黑暗面的批判這一主題,但是左翼作家的創作目的是通過階級鬪爭推翻國民黨政權,而民族主義文藝作家則試圖通過對社會問題的揭露和批判引起各界民眾與政府的重視,促進問題的改善與解決,其最終目的是推進國家建設和維持國民黨的統治。 1930년대 民族主義 文藝運動은 國民黨의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기초하여 정부 정책의 선전 기능을 담당했던 우익 문예운동으로 그 핵심 취지는 중국 통일과 민족 독립이었다. 이 운동은 1920년대 중반 우익문인들의 민족주의예술에 관한 논의를 기점으로 출발하여 1930년 6월 前鋒社 성립으로 본격화되어 1937년 抗日戰爭 발발 때까지, 약 10여 년간 중국 문단 내 우파문학의 구심적 역할을 수행했다. 民族主義 文藝運動은 1930년대 문예운동사의 중요한 축이 되어 중국현대문학 발전과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이 문예운동은 國民黨의 정치 이데올로기와 문화 통제 정책을 반영하는 데 주력하여 뚜렷한 당파성을 보였기 때문에 중국 대륙 중심으로 진행된 현대문학연구에서는 오랜 기간 비판받거나 홀시되어 왔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정치 이데올로기의 틀에서 벗어나 民族主義 文藝運動 그 자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필요성에 입각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民族主義 文藝運動에는 前鋒社를 비롯하여 草野社․開展文藝社․黃鐘文藝社 등 많은 문예단체가 참가했으며, 그들은 《前鋒週報》․《前鋒月刊》․《開展月刊》․《黃鐘》 등의 잡지를 출간하여 민족주의정신을 담은 다양한 형태의 문학작품을 발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문예단체의 創立 취지, 인적 구성, 운영 과정, 잡지의 출간 상황, 이론 및 창작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이 운동의 발전 과정, 이론 및 창작적 성과를 검토 분석함으로써 이 운동의 문학적, 문학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했다. 民族主義 文藝運動의 발전 과정은 세 단계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단계는 1925년부터 1929년까지의 모색기로서, 우익문인이 문화적 민족주의를 제창하다가 정치적 민족주의로 변모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 단계는 1930년 6월부터 1931년 말까지의 도약기이자 침체기로서, 이 기간 동안 민족주의문예는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지만 오래 지속되지 못하고 1931년 후반 들어 침체기를 맞았다. 세 번째 단계는 1932년부터 1937년까지의 발전기로서, 이 시기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 지원 하에 문예단체와 잡지가 양적으로 크게 확장되었다. 문예 이론적 측면에서 민족주의문예는 그 역할, 제재 및 창작 방법, 비평론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 운동의 이론적 초석인 〈民族主義文藝運動宣言〉에서는 민족의식을 문예의 중심축으로 삼아야 한다고 선포했다. 이 운동은 특정 정치 이데올로기가 반영되면서 자연스럽게 문학의 선전 도구적 기능을 강조했다. 심지어 일부에서는 구국의 방편으로 파시즘까지 제창하기도 했다. 제재적 측면에서 볼 때, 그들은 역사 사적, 혼란한 사회상, 반제국주의 투쟁, 근대국가 건설 등을 주로 선호했다. 창작 방법상 그들은 현실을 충실하게 반영하는 사실주의적 방법을 제창하는 동시에 문학의 예술성을 강조하는 신낭만주의적 기법을 중시하기도 했다. 民族主義 文藝運動에 나타난 작품의 주제는 각각 반제 투쟁, 內戰 및 共産黨에 관한 입장, 사회 부조리에 대한 비판 등으로 나타났다. 반제 투쟁에 관한 작품은 주로 항일에 나선 중국군의 활약상과 민중의 각성을 묘사함으로써 중국인의 항전 의식을 고취하는 데 집중했다. 내전에 관해서는 민족주의문예 진영 내부에서 전쟁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측과 내전의 정당성에 회의를 나타내는 측으로 서로 대립되기도 했다. 반공주제의 창작에서는 주로 共産黨의 계급투쟁 이론과 토지 정책을 비판함으로써 반공 이데올로기를 부각하고자 했다. 우익작가들은 또 국가 건설을 위해서 사회적 암흑상을 비판함으로써 민중과 정부의 각성을 촉구하려는 목표를 지향했다.

      • ‘그X’ 계열 접속 부사의 통시적 연구

        장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어 ‘그리ᄒᆞ-’, ‘그러ᄒᆞ-’ 계열 접속 부사에 대하여 후기 중세, 근대 및 개화기의 문헌 자료를 통해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이들이 형태적 측면과 의미 기능적 측면에서 통시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제2장에서는 접속 부사의 정의와 대용 용언 ‘그리ᄒᆞ다’, ‘그러ᄒᆞ다’ 등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용 용언에 연결어미가 결합하여 형성된 결합체가 접속 부사인지 혹은 대용 용언의 활용형인지에 대한 판별 기준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언어 내적인 기준으로 ①문장에서 논항을 취하지 않음, ②선어말어미를 취하지 않음, ③대동사 ‘그리ᄒᆞ다’가 상태를 나타내는 선행 서술어 등을 대용함, ④다른 부사로 대체 가능하거나 생략 가능하다면 접속 부사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언어 외적인 기준으로 언해문의 경우, 한문 원문이 연결사(접속 부사)로 기능하는 경우가 해당 한자어가 대응하는 언해문 어형들이 접속 부사로 기능하는 가능성이 높다. 아울러 ‘그X’ 계열 접속 부사는 어휘 형태인 대용 용언에 문법 형태인 연결어미가 통합하여 하나의 어휘 형태로 굳어진다는 관점에서 해당 현상을 어휘화라고 보았다. 제3장에서는 후기 중세 한국어 시기에 ‘그X’ 계열에 속한 접속 부사들의 목록을 확인하고 이들의 선행절과 후행절의 의미 관계에 따라 ‘시간적 관계’, ‘인과 관계’, ‘논리적 관계’로 분류하여 의미·통사적인 특징에 대해 검토하였다. 후기 중세 한국어 시기에 ‘그X’ 계열 접속 부사들이 대부분 대용 용언의 활용형으로 쓰이나 ‘그러니, 그러모로, 그러나, 그러면’ 등과 같이 15세기부터 접속 부사로 기능하는 경우도 발견되었다. 제4장에서는 근대 한국어 시기 자료에서 나타나는 ‘그X’ 계열 접속 부사들의 의미·통사적인 특징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 시기에 접속 부사로 기능하는 용례가 점점 많아지며 ‘그럴ᄉᆡ’와 같이 점차 쇠퇴된 접속 부사도 확인되었다. 제5장에서는 개화기 한국어 시기의 ‘그X’ 계열 접속 부사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시기에 ‘그ᄅᆡ셔, 그러니ᄭᅡ, 그런데’ 등과 같이 새로 등장한 접속 부사들이 확인되며 전체적으로 현대 한국어의 접속 부사과 비슷한 모습을 확인하였다. 제6장에서는 ‘그X’ 계열 접속 부사의 통시적 변화 양상에 대해 형태적 측면과 의미 기능적 측면에서 정리하였다. ‘그X’ 계열 접속 부사의 형태적 측면의 통시적 변화 양상은 다음과 같다. 대용 용언에 연결어미가 결합된 형태에서 동사 ‘ᄒᆞ-’가 탈락한 어형들은 현대 한국어로 오면서 대부분 접속 부사로 어휘화되었다. 또한 전반적으로 [원인·이유]의 의미 기능을 가지는 접속 부사 중 ‘그러ᄒᆞ-’ 계열만 취하고 ‘그리ᄒᆞ-’ 계열을 취하지 않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이들이 ‘이러ᄒᆞ-’ 계열도 공시적으로 접속 부사로서 활발한 쓰임을 보이는데 이것은 한문이나 백화문 원문에 의지한 언해 양상과 관련이 있다고 추정된다. 아울러, 접속 부사의 기본적 의미가 희석되어 담화 표지로 화용화된 현상은 보다 이른 시기인 19세기부터 확인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X’ 계열 접속 부사의 의미 기능적 측면의 통시적 변화 양상은 다음과 같다. 후기 중세 한국어 자료에서부터 문증된 접속 부사들은 개화기까지 동일한 의미 기능으로 유지되는 경우도 있고 새로운 의미 기능을 획득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전자는 ‘그러모로’, ‘그러나’, ‘그려도’ 등이 있으며 후자는 ‘그리코’와 ‘그리ᄒᆞ여’가 있다. 또한, 개화기에 새로 등장한 접속 부사들은 대부분 기본적 의미 기능을 제외하고는 담화 표지의 기능도 수행한 이중적인 의미 기능을 가진다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미해결 문제와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Korean Conjunctive Adverbials of 'ku-X' Paradigms through literature data from the late Middle Ages, modern times, and enlightenment periods, and to review aspect that change diachronically in terms of form and semantic function. In Chapter 2, we looked at the definition of conjunctive adverbia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naphoric verbs such as ‘그리ᄒᆞ다’, ‘그러ᄒᆞ다’. In addition,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njugate formed by combining the connective ending with the anaphoric verbs is the adverb of connection or the inflected form of the anaphoric verbs were set as follows. In internal standard of language, ①Don't take an argument in a sentence, ②Don't take a prefinal endings, ③Pro-verb ‘그리ᄒᆞ다’ substitutes a predicate that indicates the condition, ④Replace the target with another adverb or omit it. If these four conditions are met, we can be identified as conjunctive adverbials. Also, In external standard of language, If the original text of eonhaemun is a connective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 conjunctive adverbials. In addition, conjunctive adverbials of 'ku-X' paradigms are hardened into one by combining anaphoric verbs with a connective ending. Therefore, the phenomenon is a lexicalization. In Chapter 3, the list of conjunctive adverbials of 'ku-X' paradigms in the late Middle Ages Korean period was checked, and meaning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by classifying them into ‘temporal relation’, ‘causal relation’, and ‘logical relation’ according to the semantic relationship of their previous and following clauses. In the late Middle Ages of Korean, conjunctive adverbials of 'ku-X' paradigms were mostly used as a inflected form, but it was also found that they function as conjunctive adverbials from the 15th century, such as ‘그러니, 그러모로, 그러나, 그러면’. In Chapter 4, the meaning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conjunctive adverbials of 'ku-X' paradigms in the data of the modern Korean period were reviewed. During this period, the use of conjunctive adverbials increased, and conjunctive adverbials that gradually declined, such as ‘그럴ᄉᆡ’, were also confirmed. Chapter 5 examines conjunctive adverbials of 'ku-X' paradigms in the Korean language period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During this period, new conjunctive adverbials such as ‘그ᄅᆡ셔, 그러니ᄭᅡ, 그런데’ were identified, and overall, they were similar to modern Korean adverbs. Chapter 6 summarizes the aspects of diachronic changes in conjunctive adverbials of 'ku-X' paradigms in terms of form and semantic function. The pattern of diachronic changes in the morphological aspect of conjunctive adverbials of 'ku-X' paradigms is as follows.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anaphoric verbs with a connective ending, most of the words that a verb ‘ᄒᆞ-’ were eliminated were lexicalized to conjunctive adverbials as they came to modern Korean. In addition, most of the conjunctive adverbials that generally have the meaning function of [cause/reason] take only the ‘그러ᄒᆞ-’ paradigms and do not take the ‘그리ᄒᆞ-’ paradigms. The ‘이러ᄒᆞ-’paradigms is also used synchronically as conjunctive adverbials, which is presumed to be related to the pattern of speech relying on source tex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henomenon of diluting the basic meaning of conjunctive adverbials and pragmaticalizing them into discourse was confirmed from the early 19th century. The diachronic changes in the semantic functional aspect of conjunctive adverbials of 'ku-X' paradigms are as follow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junctive adverbials from the late medieval Korean data to the period of enlightenment were maintained with the same semantic function such as ‘그러모로’, ‘그러나’, ‘그려도’ or acquired new semantic function such as ‘그리코’, ‘그리ᄒᆞ여’. Also, most of the newly appeared adverbs during the period of enlightenment confirmed the dual appearance of performing the function of discourse except for the basic meaning. Finally, open problems and limitations were presented.

      • 현대시의 이미지를 통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 꽃 이미지를 중심으로

        장린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고급단계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 현대시에 나타나는 이미지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다. 자연 이미지‘꽃’을 주제로 현대시 교육 방안을 설계하였다. 현대시 이미지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단순히 언어 이해나 문화 이해 측면에서 연구되어졌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의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와 달리‘꽃’이미지 주제의 여러 시를 비교·분석하여 학습자의 흥미교육, 읽기능력, 언어 표현능력, 상상력과 창의력, 인문 소양 등의 종합 능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대시에 담겨 있는 이미지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은 고급단계 한국어 학습자가 제한된 강의 시간에 정확한 한국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효과적인 교육 방안일 것이다. 1장에서는 외국인 고급 학습자는 한국어 기초가 있지만 한국 토종 문화, 문학 등을 이해하는 데는 많은 장애가 있으며, 특히 정보기술이 발달한 인터넷 시대는 외국인 학습자가 이국문화를 이해하는 데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현대시 이미지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필요성과 목표에 대해 제시하였다. 선행연구는 한국어 문학 교육에서 현대시를 활용한 교육의 현황에 관한 연구와 이미지 중심의 현대시 교육에 관한 연구 등 두 부분으로 나눠 분석하였고, 연구방법은 현대시 이미지 교육을 관련된 문헌, 자료, 책을 활용하여 연구의 방향을 찾고,‘꽃’이라는 자연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한국 현대시를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 교육과 이미지 중심의 현대시 교육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미지의 이론적 고찰과 현대시와 이미지의 연관성과 필요성을 제시하기 위해 시어와 수사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1절은 이미지의 이론적 고찰로서 이미지의 정의 및 개념, 기능, 종류 등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한다. 이미지는 현대시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다. 이미지는 추상적인 사물을 구체화하여, 물상(物象)을 이용하여 시인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고 시인이 감정을 전달하는 목표체이다. 또한 미적 전파, 기(氣)의 결합, 매개, 확장 등 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미지의 유형은 매우 많지만 본 논문은 자연 이미지‘꽃’을 예로 들어 분석하였다. 2절은 이미지와 현대시 교육의 연관성을 논의하기 위해 시어론, 수사법론 및 이미지의 예술적 특징에 대해 분석한다. 일상 언어의 기초적이고 개념적인 의미에 근거해 시인들이 충분한 상상력을 발휘하고 수사법을 활용하여 이미지적인 시어의 복합된 상징의미를 형성하게 된다. 이런 이미지적인 시어는 시인 자신을 스스로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옛 작품이나 설화에서 계승해온 것이다. 그래서 이런 시어들이 강한 전통적, 예술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3장에서는 시의 이미지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1절은 이미지 중심의 현대시 교육의 필요성과 목표 등에 대한 논의이다. 현대시 교육의 필요성은 문화·문학·교류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현대시 교육의 양식은 읽기교육·정서교육·상상력교육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어휘, 문화, 의사소통 등 세 가지 측면에서의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 목표를 제시하였다. 2절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한국어 교재에 있는 한국 현대시 현황과 현대시에 관한 교육 방식의 문제점을 짚어보았다. 즉, 교재에 있는 수업 설계는 단일하게 제시되어 있고 고급학습자에게는 높은 수준의 교육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에 대해 지적하였다. 4장은 꽃 이미지 중심의 현대시 교육 모형 설계로서 꽃 이미지 선정 이유와 상징적 의미 분석, 그리고 꽃 이미지를 활용한 실제 수업 모형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현대시의 이미지를 활용한 학습은 언어 표현력, 상상력과 창의력, 의사소통 능력의 모든 측면에서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꼭 필요한 학습이다. 따라서 현대시의 이미지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 또한 가치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s using images that appear in modern Korean poetry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Modern city education plans were designed under the theme of the natural image 'flower'. There are many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s using modern poetry images, but existing studies have been studied simply in terms of language understanding or cultural understanding. Unlike these existing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design a way to improve learners' comprehensive abilities such as interest education, reading ability, language expression ability, imagination, creativity, and humanit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several poems on the theme of "flower" im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the images contained in modern poetry may be the most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to enable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to understand accurate Korean culture in limited lecture time. The research is divided into five chapters. Learning using images of modern poetry is essential for Korean learners in that it can exert momentum in all aspects of language expression, imagination and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skills. Therefor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using the image of modern poetry will also be a valuable study.

      • 노령층의 도시공원 활동 증진에 적합한 조경식재 지표에 관한 연구 : 중국 산둥성 쯔보시 도시공원을 중심으로

        장린 동국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15

        중국은 세계에서 노인 인구수가 가장 많은 나라이며, 심각한 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노인들의 삶의 질, 건강, 여가활동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에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야외활동을 하는 주 공공시설인 도시공원에 관한 연구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도시공원은 노인들이 야외활동에 필요한 활동공간, 편안한 활동환경, 아름다운 경관을 만족할 수 있고, 노인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공원 내 식물과 조경식재를 가진 기능과 관련되어 공원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현재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노인들의 야외활동에 적합한 조경식재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시공원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야외활동에 적합한 조경식재 지표를 탐색·도출하고 조경식재 지표의 중요도를 분석하고 상대적으로 중요한 지표에 대한 조경식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이 도시공원 활동을 하는데 있어 적합한 조경식재 지표 후보군을 탐색하였다. 문헌고찰, 현장 설문조사, 현장조사를 이용해 노인들의 생리적·심리적 특징, 노인들의 공원 이용특징과 식재경관 의식, 노인 활동공간 내 조경식재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도시공원에서 노인활동에 필요한 조경식재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식물과 조경식재가 가진 기능과 관련된 문헌을 참고하여 노인 활동에 적합한 41개 조경식재 지표 후보군을 선정하였다. 둘째, 도시공원 활동에 적합한 조경식재 지표를 선정하였다. 3차례 전문가 설문조사를 거쳐 전문가의 의견에 근거하여 방향성 식물과 치유식물, 사계절 경관과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식물의 배치, 관과식물과 새를 유인하는 식물, 식물의 공기정화와 높은 산소 방출량을 가진 식물 등 4쌍 지표가 통합되었으며, 교목의 단식 지표를 추가하였다. 그리고 중요도 평균치, 내용 타당도, 수렴도, 합의도를 분석·검정하여 식물의 표지기능, 방충 식물, 친근한 식물, 식물의 방풍·통풍성, 상록식물과 낙엽식물의 비율, 흥미로운 식재 등 6개 지표는 기준에 맞지 않아 제외하여 최종, 타당성과 신뢰성이 있는 32개 조경식재 지표를 선정하였다. 셋째, 조경식재 지표를 유형화하고 지표의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요인분석을 이용해 노인활동에 적합한 생태·환경적 요인, 공간적 요인, 미적 요인, 역사·문화적 요인, 재료적 요인 5개 요인은 유형하였다. 그리고, 5개 요인의 가중치 분석결과, 생태·환경적 요인이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 공간적 요인, 미적 요인, 역사·문화적 요인, 재료적 요인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지표의 가중치 분석결과, 생태·환경적 요인은 소음조절, 공간적 요인은 수직공간, 미적 요인은 호숫가 식재경관, 역사·문화적 요인은 노거수 비율, 재료적 요인은 그늘의 벤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도시공원에서 노인활동에 적합한 조경식재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표 가중치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상대적인 높은 평가를 받은 생태·환경적 요인은 소음조절 등 6개 지표, 공간적 요인은 수직공간 등 6개 지표, 미적 요인은 호숫가 식재경관, 조망경관 2개 지표, 역사·문화적 요인은 노거수 비율, 식물의 상징성, 주제화원, 교목의 단식 4개 지표, 재료적 요인은 그늘의 벤치, 다채로운 식재경관, 나무의 그늘 등 5개 지표에 대하여 조성계획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에 도시공원 내 노인의 활동공간별로 구체적으로 필요한 조경식재에 대한 방법이 미흡한 것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다. 앞으로 노인들의 활동유형별 특성, 활동공간별 분석을 바탕으로 적합한 조경식재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China is the country with the largest number of elderly people in the world. The serious aging phenomenon has caused various problems for the elderly, including their quality of life, health and leisure activities,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urban parks, the main public facilities for outdoor activities, is being highligh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Urban parks can satisfy the elderly with activity space, comfortable activity environment and beautiful scenery needed for outdoor activities. Urban parks provide a variety of functions for the elderly has a positive impact on park activities, related to the functions with plants and landscape planting in the park. However, research on landscaping plants suitable for outdoor activities for the elderly in urban parks has been found to be insu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plored the suitable landscape planting index candidates for the elderly in urban park activities. Using literature review, field surveys, and field surveys,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e characteristics of park use and planting landscape consciousn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ing plants in the elderly activity space were analyzed. Based on this, landscaping plants necessary for elderly activities in urban parks were derived. In addition, 41 candidate groups for landscape planting indicators suitable for elderly activities were selected by referring to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function with landscape planting. Second, landscape planting indicators suitable for urban park activities were selected. After 3 expert surveys the analysis incorporated Aromatic plants and Healing plant, Four seasons landscape and Plants that change with the seasons, Plants that attract birds and Proportion of plants with ornamental fruit, Plants that release high amounts of oxygen and Air purification by plants were incorporated, Added Tall orphan tree plant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ean value of importance, content validity, convergence, and consensus, two indicators, Pest-proof plants, Marker function of plants were excluded due to low mean values of importance. Four indicators, including Wind protection and ventilation of plants, Plant affinity, Interesting planting, Ratio of evergreens to deciduous plants, were removed because they did not meet the standards. Finally, 32 plant landscape creation indicators expressing the function of plants and plant landscapes were selected. Third, appropriate landscape planting indicators were categorized and the index weight was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five factors suitable for elderly activities were identified: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patial factors, aesthetic factors, historical and cultural factors, material factor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eight analysis of the five factors,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spatial factors, aesthetic factors, historical and cultural factors, and material factor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weights of the indicators,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analyzed to be noise control for plants, spatial factors were vertical space, aesthetic factors were lakeside planted landscape, historical and cultural factors were proportion of old trees, and material factors were analyzed to be the bench under the shade. Finally, a landscape planting plan suitable for elderly activities in urban parks was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dex weight analysis, relative high evaluation based on ecological environmental factor such as noise control for plants, etc. six indicators, spatial factors such as vertical space, etc, six indicators, aesthetic factors such as lakeside planted landscape and views from a distance, historical and cultural factors such as proportion of old trees, plant symbolism, thematic flower garden, tall orphan tree planting, material factors such as shade of tree, etc, five indicators, were presented with a plan for creation.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e lack of methods for landscape planting, which are specifically needed for each activity space of the elderly in urban parks. In the future, additional research on suitable landscape planting is need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activity and the analysis of each activity space of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