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FL 교실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의 Wait-time 사용과 인식 연구

        장교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수업 중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사의 질문과 wait-time, 이와 관련된 학생의 영어 응답 특징을 분석하고, 이와 더불어 wait-time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서 궁극적으로 학생의 영어 발화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연구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남 천안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학생 77명과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2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3주간 11회의 영어 말하기 수업을 관찰하고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업 관찰 내용을 모두 전사한 후 교사의 질문 직후부터 교사나 학생의 다음 발화가 발생한 시점까지의 시간에 해당하는 wait-time을 측정하였다. 분석 시에는 교사의 질문 유형에 따라 분포하는 wait-time 길이의 특징과 wait-time 길이에 따라 나타나는 학생의 응답 특징을 응답률, 발화 단어 수, 내용연관성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교사와 학생의 인터뷰 및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wait-time에 대한 교사와 학생 각각의 인식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의 질문에 따라 wait-time의 길이는 다르게 분포하였다. 질문 형태별로는 wh-question에서 가장 길게, tag question에서 가장 짧은 wait-time이 관찰되었다. 기능별로는 referential question에서의 wait-time이 가장 길었으며, echoic question에서 가장 짧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질문 유형에 따라 교사가 학생으로부터 기대하는 응답의 복잡성 차이에서 기인하고 있음을 인터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 또한 질문 유형에 따라 발화해야 할 응답을 구성하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다르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wait-time이 길수록 학생이 발화에 사용하는 어휘 수가 증가하였다. 학생들이 짧은 wait-time을 소비했을 때에는 한 단어 수준의 응답을 여러 차례 발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비하여 응답 구성 시간이 충분히 확보될수록 학생의 응답 횟수는 적고 발화를 구성하는 영어 단어 수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학생이 응답을 바로 하지 않을 경우, 예상되는 응답 내용을 대신 발화하면서 “예”, 혹은 “아니오”와 같은 단순한 응답을 유도하는 질문을 여러 차례 제시하며 짧은 wait-time을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wait-time을 길게 제공하는 경우 교사의 질문과 학생 응답의 교환 횟수는 적지만 학생이 응답할 때에 더 많은 어휘를 사용하여 발화를 구성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wait-time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수업 분위기 혼란과 학생들의 심리적 부담감을 이유로 긴 wait-time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비해 학생들은 55.33%가 응답 구성에 도움이 되는 것을 이유로 긴 wait-time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교사 질문 내용의 이해보다 영어를 사용하여 응답을 구성하는 것에 더욱 어려움을 느끼며, 그로 인하여 많은 시간을 소요한다고 밝혔다. 반면, 교사는 wait-time이 길어질 경우 학생이 질문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하여 질문의 반복이나 발화 속도의 수정과 같은 직․간접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있었다. 따라서 wait-time에 대한 교사와 학생 간의 인식 차이를 토대로 학생이 실제 필요로 하는 도움과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지도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