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두리 해안사구의 생태적 특성과 기능에 관한 연구

        임효상 한서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Sand dune has been known for a geographical feature containing various ecological functions and significances and offering environmental benefit for inhabiting animals and plants. Compare to sand dunes in other area, the ones in Shindu area are intact and the wetland behind the sand dune is well-developed with geological advantages so they function as biological and ecological resources. Despite these importance, many of sand dunes located around the world have been damaged or destroyed with development for local economical purpose and invigorating tourism industry. Since 1990’s, the government and academic communities have realized the lack of proper management protocols and public attention to protect them and convert into sustainable business. There are some of applicable programs that already have been practiced but the needs to improve the programs has been raised. Starting with analysis established programs, the goals in this study is to understand ecological elements and functions of sand dunes in Shindu. These suggested programs scrutinize internal and external energy sources flow and show the energy system diagram with Top-down approaches.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proper ecology experiences program model which can be beneficial for local society and protection of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Further more, educational programs possibly contributes to enlighten the public and lead them to participate in evaluation. Therefore, this study would be a guide line for better understanding of ecological features and functions and also adduce a specialized model in sand dunes in Shidu area. 해안사구는 해양생태계로부터 육상생태계의 경계에 위치한 생태적 추이대로서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나타내는 지역이다. 이 지역은 독특한 자연경관과 희귀 동・식물의 서식지는 물론 해안모래의 저장고, 자연방파제, 지하수 저장고 등의 역할 등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의 구성요소와 기능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생태계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생태자원의 활용방안에 대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스템 생태적 접근법을 이용하여 신두리 해안사구 시스템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신두리 해안사구의 생물환경과 무생물환경의 기능과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생되는 다양한 기능에 대한 설명과 현장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신두리 해안사구의 생태학적 기능은 생산기능으로서 먹이, 유전자원 기능, 서식지 기능으로서 생존지역, 산란·서식지 기능, 조절 기능으로서 토양축적, 영양염 조절, 오염물 처리, 생물학적 조절 기능, 정보 기능으로서 심미적 정보, 연구․교육기능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신두리 해안사구 생태자원의 활용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신두리 해안사구의 생태적 기능 전체를 하나의 프로그램으로서 운영할 수 있도록 신두리 해안사구센터와 두웅습지, 탐방로, 전망대 등 4개 방문 장소를 선정하였다. 또한 각 방문 장소 별 프로그램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시급성, 중요성, 효과성, 비용성, 수용성 등의 항목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급성, 중요성, 효과성 및 수용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비용성 항목에서는 다소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각 기관과 단체에서는 신두리 해안사구의 전체적인 생태학적 내용을 바탕으로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접근 방식에 대해 높은 평가를 하였으며 각 생태학적 기능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음을 높게 평가하였다. 또한 전문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운영되는 프로그램이므로 전문 해설사의 양성에 대한 중요성과 각 기관과의 상호 협조체계 구축에 대해 강조하였다. 그러나 방문객을 위한 지식전달 외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요소의 필요성이 요구된다고 평가하였다. 평가 내용을 바탕으로 신두리 사구센터와 연계 가능한 프로그램을 일부 보완하였으며 추후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통하여 현재 운영 중이거나 차후 문화관광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등에서 우리나라 해안사구에 관한 생태계 관리 및 복원, 보전계획 수립 또는 생태체험활동프로그램 개발 시 모형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스포츠신발의 브랜드 이미지가 대학생소비자 브랜드 태도 및 소비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임효상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스포츠 신발 브랜드 이미지가 대학생소비자 브랜드 태도 및 소비행동특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3년 서울, 수도권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는 개성과 자유를 추구하며 소비성향이 강한 20대를 표본으로 설정 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총 300부였으나 실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응답이 불성실했다고 판단되거나 조사 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42부의 자료를 제외한 총 258부를 사용하였다. 조사방법은 설문지법으로서 국내의 선행연구에서 이미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여 사용하였던 도구 가운데 본 연구의 변인에 맞게 재인용 또는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일반적 특성 4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브랜드이미지(기능적 브랜드이미지, 정서적 브랜드이미지, 브랜드 자아일치성)는 15문항, 브랜드태도(충성도, 인지도, 제품속성)는 14문항, 소비행동특성(계획적 구매, 동조적 구매, 충동적 구매)는 13문항으로 구성하여 총 4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에 대해 응답이 완성된 자료를 회수한 후 이중기입 및 무기입한 자료는 분석대상에서 제외시키고 유효 표본만을 코디의 지침에 따라 부호화(coding)하여 통계프로그램인 SPSS Windows 12.0 Version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빈도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독립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자료처리 방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학생소비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태도, 소비행동특성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소비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의 차이는 선호 브랜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성별, 월수입, 전공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대학생소비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브랜드 태도의 차이는 선호 브랜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성별, 월수입, 전공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대학생소비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비행동특성의 차이는 선호 브랜드, 성별, 월수입, 전공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둘째, 스포츠신발 브랜드 이미지가 대학생소비자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브랜드 충성도, 인지도, 제품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스포츠신발 브랜드 이미지가 대학생소비자 소비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동조적 구매, 계획적 구매, 충동적 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스포츠신발 브랜드 태도가 대학생소비자의 소비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동조적 구매, 계획적 구매, 충동적 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디지털 지형 고도 데이터를 이용한 레이더 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임효상 단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방 감시정찰 분야는 방위력 개선 및 국내 감시정찰 독자 수행능력 확보를 위하여 핵심기술 국산화 사업과 R&D 투자 규모가 증대되고 있으며, 개발기간 단축, 제약사항 극복, 생산성 향상과 신뢰성 보장을 위한 수단으로 모델링&시뮬레이션 기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시정찰 분야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레이더 장비의 핵심모듈인 신호처리모듈의 개발 단계부터 최종 검증 단계까지 성능 시험, 검증에 필요한 레이더 센서 신호의 시뮬레이션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지형 레이더반사면적을 구하기 위하여 DTED(Digital Terrain Elevation Data)을 이용하였으며, 실제 레이더 전용 신호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하여 상용 레이더 출력 카드를 장착한 레이더 시뮬레이터 구성 및 개발을 제안하였다. 레이더 시뮬레이터를 개발하기 위해 기본적인 레이더의 원리 및 관련 기술을 조사 하였으며,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의 대용량 DTED 처리, 지형 레이더 반사면적 계산, 표적 레이더 반사면적 계산, 좌표 변환, 신호 전송 방법 등을 연구 하였다. 개발된 레이더 시뮬레이터에 장착된 레이더 출력 카드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실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레이더 인터페이스 카드가 장착된 기 개발된 레이더 전시기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시뮬레이션된 지형 및 표적 레이더 영상 화면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레이더 시뮬레이터는 향후 개발되는 레이더 신호를 필요로 하는 지휘통제체계 및 전투체계 정보처리장치의 연동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이더 장치의 비디오 신호 처리, 표적 트랙킹, 충돌 경고, 운용 전시기 등 개발 단계의 시험 및 검증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시뮬레이션 방법을 응용하여 레이더의 효율적인 운용 및 실무적응 능력 배양을 위한 교육훈련 장비를 시뮬레이터로 대체 교육함으로써 안전하고 경제적인 군 운용에 기여될 것으로 기대된다. Modelling and simulation techniques are required as a means to shorten development time, overcome constraints, raise productivity and ensure reliability, given that extensive projects for localization of core technology and investment in R&D have been increasing as an effort to improve defensive capacity and secure independent capability of local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in the field of national defenc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The present study delved into a simulation method for radar sensor signals necessary for testing and verification of performance from initial development to final verification of signal processing modules core to radar devices fulfilling integral roles in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DTED(Digital Terrain Elevation Data) was used to yield the terrain radar cross section, whilst the proposed radar simulator fitted with a commercial radar output card was configured and developed to interface with actual radar-specific signals. This study reviewed basic principles and relevant technology to develop the proposed radar simulator in parallel with research on processing the large-volume DTED for simulation software, calculating terrain and target radar cross sections, coordinate conversion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s. The resultant experimenta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radar output card fitted onto the developed radar simulator confirmed the simulated terrain and target on the radar screen display used with the previously developed radar repeater simulator fitted with a radar interface card. The radar simulator developed in this study is applicable to developing interoperable command and control and combat systems calling for radar signals, and also to testing and verification of radar-based video signal processing, target tracking, collision warning and operation repeaters in the course of their development. In addition, the simulator is possibly to replace training and instruction devices by applying simulation methods for efficient operation of radars and enhancement of adaptive capabilities in practice, which is conducive to a safe and economic military operation.

      • 한반도 주변 4국의 동북아정책 변화와 한국의 외교안보전략에 관한 연구

        임효상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 질서의 흐름은 냉전시대 양극화를 거쳐 미국의 독주를 예상하여 단극체제로 가는 듯하였으나, 유럽통합, 중국의 부상이라는 변수를 통하여 2008년 9월 월스트리트발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재편 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 흐름을 살펴보면 국제금융권력의 변화를 손꼽을 수 있는데, 기존 G7의 힘이 벅차다고 느낀 기존의 국제금융권력이 신흥국가들의 참여를 허용한 것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 한반도 주변 4국은 자국의 군사력 증강과 동북아 주변국간의 외교관계 발전 등을 통하여 동북아권 내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안보전략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 주변 4국의 동북아정책 변화 및 정책을 분석하고, 한국의 외교안보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세계질서의 본질과 저강도 분쟁이라 불리는 탈냉전 이후의 세계질서 변화의 흐름을 살펴보았고, 이러한 흐름 속에 이란, 북한의 핵 확산 증대와 국제테러 및 폭력의 지역화, 그리고 자원 확보를 위한 외교경쟁의 심화 등 현 국제질서의 구성요인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국가안보에서 개인안보로 바뀌는 안보개념의 심화에 대하여도 구성하였고, 외교정책의 국가 신념체계 및 대외인식 등 외교정책에 관하여도 고찰하였다. 세계질서의 변화 속에 APEC, ASEM, ARF, ACD 등 동북아 지역협력체들은 합의사항 이행에 대한 강제성 결여 등으로 추동력을 상실해 사실상 한계를 보이고 있다. 다만 이들 중 APEC은 발전 가능성이 내포되고 있는데, 미국이 아태지역에서 새로운 다자안보 협력 체제를 지속적으로 모색하였기 때문이다. 최근 진행되고 있는 6자회담 또한 향후 북핵문제의 원만한 해결 등 몇 가지 전제 조건이 충족되면 동북아 다자안보 협력체제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 주변 4국의 동북아정책 변화와 한반도 전략을 살펴보면, 먼저 미국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지역 내 최상의 군사력을 유지하면서 동맹관계를 강화할 것이며, 한․미FTA에 대해서는 자동차부분 등의 추가협상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으며, 북핵문제에 대해서는 군사적 수단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지만 당분간 ‘지속적, 직접적, 적극적인 외교’를 펼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중국은 초강대국 미국의 일방적 주도로 동북아 질서가 재편되는 것을 크게 우려하고 있으며, 북․중관계 악화가 자국의 이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인식해 혈맹관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난 8월 민주당이 압승한 일본은 한국과의 신뢰관계 구축을 매니페스토에 명문화할 정도로 한국과의 우애를 강조하고 있으나, 독도문제, 교과서문제 등에서 여전히 다툼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러시아는 과거 초강대국 회귀 미망에서 벗어나 세계강국 가운데 하나로 국제적 위상을 굳혀 나가고 있으며, 남북문제는 직접대화를 통한 평화정착을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보고 남북대화 권장과 북한 개방을 유도하고 있다. 한국은 이와 같은 21세기 세계질서 속의 힘의 흐름을 냉철히 주시하면서 FTA 등을 통해 동맹국간 상호 호혜성의 원칙이 적용되도록 4강과 원활한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심각한 북한의 위협에 대처하고, 동북아 주변국의 위협으로부터 우리를 지키면서 평화와 번영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전략적 이해를 같이 하는 나라와 동맹이 필요한데, 미국과의 동맹 강화가 절실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사활적 이익이 침해되었을 때 군사력 사용을 주저해서는 안 되며, 이를 위해 한․미 연합체제에만 의존하는 것을 탈피하여 자주적 안보역량 증대를 통한 독자적인 방위능력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미․중․일 상호 관계 속에서 한국은 국제사회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중견국의 역할을 수행하고, 6자회담의 성공적인 결과 속에 북한 핵문제의 해결에 머무르지 않고 지역 평화와 핵무기 비확산에 대한 공감대 확인과 협력의 가능성을 과시하는 등 균형외교를 모색하여야 한다. 셋째, 남북협력 및 평화체제가 구축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필수적인 것이 대화와 타협의 자세이며, 한국은 통일여건이 조성될 때까지 남북정상회담 정례화, 화해·협력·교류 등의 공존에 전념하여야 한다. 넷째, 동북아 지역의 불안정한 안보상황을 제도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 안보 협력기구가 구성되어야 할 것이며 이에 한국은 중간자적인 입장에서 주도해야만 한다. 이러한 안보대화체제와 함께 쟁점별 협의체 구축도 시도함으로써 북한이 고립감을 갖지 않도록 배려하는 것이 중요하며, 북한은 이 지역의 안보에 가장 중요한 변수로써 북한을 참여시키기 위한 노력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외교안보전략은 한․미 전략동맹을 구현하고, 독자적인 방위능력을 구축함과 동시에 6자회담을 통한 북핵문제를 해결하며, 남북협력 및 평화체제를 구축하고 지역 내 다자안보 협력 체제를 주도하는 등 능동적으로 국제정세에 대처하고 Global Korea의 비전을 실현하는데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 Estudio lexematico contrastivo entre el Espan*ol y el Coreano

        임효상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1989 해외박사

        RANK : 247615

        Humbolt의 cosmovision 이론 이후 구조주의 의미론에 입각한 어휘의 연구의 중요성 을 감안하여 두 언어간의 성분분석 및 의미장의 연결관계에 관한 연구를 주 목적으로 삼고 있다. 변별적 자질이라는 요소가 어휘내에서 어떻게 구분이 되는가는 음성, 음운 학 이론에서 이미 재련된 제반이론이 바탕이 된 것은 사실이다. 두 언어간의 실제적인 접촉이 없는 한국어와 스페인어간의 의미장 비교 연구는 방법론상 기존의 번역작품을 기초로 하였지만 한가지 문제점은 한국어에서 서반어로 번역된 작품이 거의 없는 관계 로 완전한 대비는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특정 어휘발음 현재의 서반 아어와 한국어에 적용시켜 의미분석을 한 후 실제 작품에서 나타나는 번역상의 문제점 , 특히 문법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의미단위의 표현양식의 변이도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 고 본다. 한 언어에 그 언어집단의 문화와 사상이 담겨져 있는 보편성을 감안할 때 실 제로 서술적 의미와 약간 상징적 의미의 전달이 2개의 언어에서 가능한가에 대한 논쟁 은 한 언어내에서 동의어가 존재하느냐 안하느냐의 논쟁의 연장선상에서 검토되어야 할 문제가 아닌가 생각한다. 라틴어에서 서반아어로 변화되어가면서 나타난 전문화와 일반화현상도 의미론 측면에서 보면 한 단어의 의미영역의 확대와 축소현상으로 귀결 될 수 있을 것이다. 친족관계의 단어에서 나타난 한국어의 복잡성은 상대적으로 번역 시에 문맥의 중요성이 다시 강조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동사류의 어휘집단에서는 로 망스언어의 하나인 서반아어에서 세분화현상을 볼 수 있었지만 한국어에서도 유사한 의미구조가 반영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본 논문은 보편문법이론에서 강조되고 있는 ` 보편소'의 문제점등에 접근할 수 있는 기본단계의 연구로서 두언어간에 서로 상충되는 문제점을 현상의 한 부문으로 인식·비교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두 언어의 제반특성을 나타내는데에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