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인의 대학교육 환경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모델에 관한 연구

        임진이 (林眞伊)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necessity of college education of disabled people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at of non-disabled people. The college education of disabled people is too indispensible for non-disabled people to recognize, which enabled them to realize their dreams in the realm difficult for them to access physically. It also endowed them with the means of promoting the quality of life. Nowadays, however, the current situations of colleges have such limited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availability and mobility of convenience facilities that disabled people have difficulty in managing successful campus life. The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for guaranteeing the learning right of disabled people is insufficient, which made it difficult expanding the opportunity of high education and securing the equal right to receive an education corresponding to their abilities. Some colleges are supporting learning and improving facilities for disabled people, but don't practically help them because of the lack of fundamental data.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se college education space and the use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mode according to the types of disabilities within the framework of universal design in order to secure the right of learning for the disabled people and improve the environment of college education ensuring mobility and accessibility, and to present universal design model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dequate to college education for disabled people based on analysed data.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article research, field research, data analysis, and questionnaire analysis were conducted. The criteria of testing items in the questionnaire are the education space for disabled people and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research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i.e., equitable use, flexibility in use, simple and intuitive use, perceptible information, tolerance for error, low physical effort, size and space for approach and use. The questionnaire for education space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modes were executed respectively. The former was executed from October 4 to 14 in 2005. One-hundred-twenty-one subjects including forty-three physical handicapped, seventeen cerebal palsy, thirteen visual impairment, forty-two hearing impairment, eighteen communication disorder, participated in the former questionnaire. The latter was executed from June 1 to 15 in 2005. One-hundred-ninety-one subjects including forty-two physical handicapped, twenty-six cerebal palsy, twenty-three visual impairment, eighty-two hearing impairment, eighteen communication disorder, participated in the latter questionnair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vious studies on education environment were very complex and enormous, but were carried out without involvement of disabled people. The results can be analysed in terms of non-disabled people, and has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results effectively due to its complexity. Thus "the report on education environment assessment" of this study was developed to improve this problems. Second, in the assessment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disabled students of Korea National College of Rehabilitation and Welfare were high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Particularly physical handicapped students are very high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t is shown that good space for disabled students can be established if facilities are designed based on the regulations. On the contrary, visual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ment students are relatively low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Thus, it is necessary that systematic support system and a variety of design development should be established. Third, information communication media devices such as computer, supplementary instrument, cellular phone were used in order to upgrad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learning for disabled people. The results of assessment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were different corresponding to the types of disabilities, but generally the degree of satisfaction was not high. In the access to computer, visual impairment students are low while cerebal palsy students are high. Thus universal design should be inclusive in accepting the mistakes of visual impairment students. The technical improvement and study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advance of design. In the usage of cellular phone, visual impairment students are relatively high. In this vein, supplementary devices for education will be developed with the high technology and universal design if a lot of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impairment students are done. Fourth, educational support system for disabled students should be done in the national level. Based on the right understanding disabled students, the educational space for disabled students should be reconstructed within the framwork of universal design. Furthermore, the organization of the systematic support for disabled students should be established to provid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note-taking, stenography, braille service etc. Establishing the environment of universal design in educational space is only in the initial stage. This study focused on analysing college educational space and the usage type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mode and on presenting universal design model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disabled people based on analysed data. It is expected that the environment of college education can be organised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gives high priority to establishing the model of inclusive education adequate to educational circumstances, assessing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this model and providing the revised model of inclusive education. 장애인에게 있어서 대학교육은 비장애인들이 가지는 필요성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장애인의 대학교육은 비장애인이 느낄 수 없을 만큼 매우 절실한 부분으로, 지금까지 장애인이 신체적으로 접근하지 못했던 영역으로의 진출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 장애인에게 있어서 대학교육은 허락되지 않았던 그들에게 삶의 질을 보장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대학교육 환경은 장애인들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누릴 기회를 제한하고 있다. 현재 대학에서 장애인이 학습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체제가 미흡하여 그들에게 고등교육기회 확대와 학습권 보장이 어려운 실정이다. 일부대학에서 장애학생들을 위한 시설개선과 학습지원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나, 교육환경 개선에 도움이 될 만한 기본적인 자료가 빈약하여 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들의 대학교육 학습권 보장과 보다나은 대학교육 환경조성을 위하여,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대학교육 공간과 정보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사용 행태를 장애유형별로 분석한다. 분석된 것을 근거로 장애인을 위한 대학교육 환경에 유니버설디자인 모델을 제시하여 적용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 조사연구, 자료 분석, 설문지 분석 등 네 가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설문지 평가항목의 준거들은 장애인들의 교육공간과 정보커뮤니케이션을 탐색하는데 기초가 되는 유니버설디자인의 7가지 원칙인 공평한사용, 사용상의 융통성, 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 인지할 수 있는 정보, 실수에 대한 포용력, 적은 신체적인 노력, 접근과 사용을 위한 크기와 공간을 기본으로 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는 두 차례에 걸쳐 진행하였는데 교육공간에 대한 설문조사는 한국재활복지대학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2005년 10월4일부터 10월 14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지체장애43명, 뇌병변장애 17명, 시각장애 13명, 청각장애 42명, 언어장애6명으로 총12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두 번째 정보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설문조사는 2005년 6월 1일부터 2005년 6월 15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지체장애 42명, 뇌병변장애 26명, 시각장애 23명, 청각장애 82명, 언어장애 18명으로 총 1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서는 SPSS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카이스퀘어(χ2) 검증과 ANOVA (F검증)을 실시하였고, 유의도 검증은 P<.05 수준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는 장애영역에 따라 분석하였는데 대학에서 수학이 가능하고 현재 가장 많이 재학 중인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환경을 조사하는 기존의 평가는 매우 복잡하고 방대하였으나, 장애인 당사자들을 배제한 상태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가 비장애인 관점에서 이루어질 가능성이 많고, 복잡하여 효과적으로 이해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환경평가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최대한 보완하여 개발하였고, 만족도 평가를 실행하여 결론을 도출하였으므로 의미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인 ‘한국재활복지대학’은 국내의 ‘장애인, 노인, 임산부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을 철저히 준수하여 설립되었다. 이러한 기준에 의해 설립되어진 교육기관에 대한 만족도 평가에서 장애학생들의 만족도는 높았다. 특히 지체장애 학생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았다. 이것은 규정을 정확히 준수하여 시설이 디자인된다면 장애인 교육을 위한 좋은 공간이 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그러나 시각장애학생과 청각장애학생들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다. 따라서 장애 유형에 따른 기술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지원과 다양한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장애학생들의 학습효과를 높이기기 위해 정보커뮤니케이션 미디어 기기인 컴퓨터, 보조기기, 이동전화가 사용되었다. 만족도 평가결과에서는 장애영역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대체적으로 만족도가 높지 않았다. 컴퓨터사용에 대하여 시각장애학생의 만족도가 낮고, 뇌병변장애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다. 따라서 컴퓨터사용 시각장애인들의 실수에 대한 포용력과 비교적 적은 신체적 노력에 대한 유니버설디자인이 적용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시각장애학생들에게는 보조기기 사용 효과에 대한 부분이 문제화되므로, 디자인적인 측면에 앞서 기술적인 보완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시각장애학생들은 대체로 이동전화 사용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동전화의 기능이 첨단화되고, 디자인이 계속 개발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시각장애학생들을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보다 편리한 교육용 보조기기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으리라 본다. 넷째, 장애학생들을 위한 교육지원은 민간차원에서 이루어지기를 기대하기 보다는 보다 강력한 규정과 지원이 따라야 한다. 현재의 법을 최대한 준수하도록 하는 것은 당연하며, 장애학생들을 정확히 이해하여 그들의 교육지원을 위한 공간이 구성되어야 하므로, 유니버설디자인 차원에서 재조명 해보아야 한다. 또한 학습을 위한 수화통역, 문자지원, 대필, 점역 서비스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해줄 수 있는 장애인지원 조직을 구성하여야 한다. 장애학생들을 위한 지원이 한시적 시혜차원이 아니라, 당연한 제도로 인식되어야 한다. 교육공간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 환경의 조성은 시작단계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들의 만족도 평가를 통해 현재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들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교육환경 모델을 제시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시작 단계인 우리나라의 장애학생들을 위한 대학교육 환경 조성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또 장애학생들에 대한 사회적인 편견이 바뀌고 책임감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어진다면, 이러한 문제는 적극적으로 개선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긍정적인 사회통합도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본다.

      • 요양병원 간호제공자의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임진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제공자의 좋은 죽음 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고 각 변수와 임종간호수행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요양병원에 현재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간호조무사 및 요양보호사로 요양병원에서의 근무 경력이 3개월 이상이고 임종간호수행 경험이 있으며,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하기로 서면에 동의한 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K여자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후, G광역시와 J도에 소재한 요양병원 6곳에서 병원 간호부에 협조를 구한 후 승인을 받고 2018년 10월 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199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89부를 수거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판단되는 9부를 제외한 최종 180부를 본 연구의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chwartz 등(2003)이 개발한 도구(The Concept Of Good Death Measure)를 정현숙(2010)이 번안하여 한글로 표준화한 좋은 죽음 인식 도구, 홍선우와 김신미(2013)가 개발한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내용 관련 지식 도구, 박계선(2000)이 개발한 도구를 기초로 하여 변은경 등(2003)이 수정 · 보완한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측정 도구, 박순주(1996)가 개발한 임종간호수행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test, Chronbach’s alpha, KR-20계수,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좋은 죽음 인식은 3.06±0.33점,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0.84±0.15점,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는 3.43±0.39점, 임종간호수행은 2.95±0.37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수행은 직종(t=48.149, ρ<.001), 임상 경력(t=5.448, ρ=.005), 임종간호 교육 경험(t=2.011, ρ=.046)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임종간호수행은 좋은 죽음 인식(r=.374, ρ<.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간호사(β=.592, ρ<.001), 간호조무사(β=.374, ρ<.001)와 좋은 죽음 인식(β=.197, ρ=.003) 순으로 나타났다. 변수들의 설명력은 44.9%였다. 본 연구결과, 요양병원 간호제공자의 좋은 죽음 인식은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직종, 임상 경력, 임종간호 교육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좋은 죽음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임종간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good death, knowledge about advance directive and attitude on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ing staff,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terminal care performance. The study subjects were nurses, nursing assistants, and care workers who are currently working at the long-term care hospital, those who have worked for more than three months and have experience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The subjects are surveyed by those are agreed in writing to understand and participate in the purpose of the study. After collecting the data, it was approved by the K Women's University Bioethics Review Committee, and then it was approved by the long-term care hospital nursing departments in six hospitals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city. The approval was obtained from October 1, 2018 until November 15, 2018. A total of 199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89 copies were collected. The final 180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of this study, except for 9 cases which were deemed unfaithful. In this study, a measure of awareness of good death was the use of 'The Concept Of Good Death Measure' developed by Schwartz et al.(2003), as a standardized Korean version of Jeong, Hyun-Sook(2010). Further, the measure of knowledge about advance directives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Byeon, En-Kyung et al.(2003) based on the development of Park, Gye-sun(2000). The measure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was developed by Park, Soon-Joo(199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s test, Cronbach's alpha, KR-20 coefficien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s. 1. The mean score of the awareness of good death of the subject was 3.06±0.33, the knowledge about advance directive was 0.84±0.15, the attitude on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3.43±0.39, and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was 2.95.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inal care performance, job(t=48.149, ρ<.001), work experience at hospital(t=5.448, ρ=.005), experience of therminal care education(t=2.011, ρ=.046)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3. Terminal care performa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wareness of good death(r=.374, ρ<.001). 4. Influencing factors on terminal care performance are nurse(β=.592, ρ<.001), nurse assistant(β=.374, ρ<.001), and awareness of good death(β=.197, ρ=.003). Analysis result, explaining 44.9% of the 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wareness of good death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ing staff was the factor affecting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and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job, work experience at hospital, and experience of terminal care educ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ful as a basic data to develop a program of terminal care education which can improve the awareness of good death which affects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 Complexity-Performance Tradeoff Analysis of Soft-Output MIMO Detectors

        임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공간다중화는 MIMO기술 중 하나로서, 여러 개의 안테나를 통하여 여러 개의 서브스트림을 전송하는 기법이다. 무선 채널 환경에서 MIMO전송 기법은 높은 주파수 효율을 보여준다. 공간다중화 기법과 OFDM(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전송기법을 함께 사용하면 주파수 선택적 다중경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란현상과 인접채널 간섭에 대해 강인성을 얻을 수 있다. 이는 미래에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부호화된 MIMO-OFDM시스템은 다중화 이득과 부호화 이득을 동시에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추가적인 성능향상에 이르게 된다. MIMO-SM시스템에서 가장 도전적인 과제는 신호처리 기법을 어떻게 설계하느냐 하는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ZF/MMSE기법과 같은 선형 복호 기법과 ML복호기빕, Sphere Decoding(SD)기법, Poly-Diagonalization and trellis decoding(PD)기법을 소개한다. 본 논문은 세부적으로 BER성능과 계산복잡도 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MIMO수신기를 해석하고, 각각의 복호 기법들을 비교 분석한다. 이들의 해석과 비교를 하기 위하여 SNR(Signal to Noise Ratio), 채널 행렬조건, 송-수신 안테나 개수 등 성능에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고려하였다. 특히 최근 MIMO수신기 디자인에서 중점으로 연구되고 있는 것은 Sphere Decoding(SD)기법인데 이는 상황에 따라 ‘radius’나 탐색공간에 포함되는 후보자 수를 결정 함으로서 복잡도와 성능 사이에 trade-off를 제공하여 주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접근법으로서 Poly-Diagonalization and trellis Decoding 기법의 수신기가 있는데 이 수신기 또한 복잡도와 성능간 trade-off 를 파라메터를 통하여 조절할 수 있다. 우리는 이들 MIMO수신기 알고리즘을 성능과 복잡도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특히 수신기 자체에서의 복호 뿐만 아니라, 채널 디코더를 통해 나오는 연판정 정보를 이용하여 다시 PD수신기에서 이용하는 수신기를 설계하였다. PD와 채널 디코더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모든 알고리즘의 성능은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에서 평가하였고, 공통적으로 OFDM과 채널부호기를 사용하였다. 모의실험 결과로서 보면 선형 수신기인 ZF/MMSE 수신기는 낮은 복잡도를 가지고 있지만 성능이 좋지 못하고, ML/MAP수신기는 최적의 성능을 보여주지만 복잡도가 매우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PD 기법과 SD기법의 경우 비슷한 복잡도에서는 비슷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K-best list sphere 수신기(KLSD)와 PD기법을 복잡도와 성능면에서 정밀 분석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비슷한 복잡도를 가지고, 낮은 부호율의 채널부호기를 사용하였을 때 PD기법의 성능이 KLSD기법보다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반복 PD기법은 단 1회의 반복만으로 MAP기법과 거의 유사한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결국 제안된 PD를 기반으로 한 터보수신기 기술이 MAP를 기초로한 MIMO 수신기의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였다. Spatial multiplexing (SM) is a simple transmission technique for multiple-input multiple output (MIMO), in which a bit stream is demultiplexed into multiple sub-streams that are sent over different antennas, allows multiple-input multiple output (MIMO) wireless systems to obtain high spectral efficiency [5]. The combination of the throughput enhancement of SM with the robustness of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against frequency-selective fading caused by severe multipath scattering and narrowband interference is regarded as a very promising basis for future (indoor) high data-rat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13]. A coded MIMO-OFDM system (i.e., with an outer channel coding) can obtain the diversity gain and the coding gain simultaneously, and hence, obtain additional performance improvement [17]. The main challenge of MIMO system resides in designing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herefore, several detection techniques like were introduced, i.e, linear detection (ZF/MMSE), maximum likelihood/maximum a posteriri detection (ML/MAP), sphere detectors (SD) and poly-diagonalization and trellis detection (PD). The BER performance and computational complexity of the optimal and sub-optimal MIMO detection schemes have been analyzed and compared to each other. For ease of understanding and fair comparison, the different aspects of MIMO detection techniques have been considered and discussed in this evaluation such as: signal to noise ratio, channel matrix conditionality, number of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and other performance limiting factors. Especially recent works on MIMO receiver design were mainly focused on sphere decoding, which provides a trade-off between the performance and complexity by suitably choosing the “radius” or the number of candidates in the search space. Meanwhile, another approach, called poly-diagonalization and trellis detection, has been proposed to compromise the complexity and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compare these MIMO receiver algorithms in terms of performance and complexity required not only for detection itself but also the generation of soft decisions and proposing Iterative poly-diagonalization and tail-biting trellis detectors (Iterative PD) which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PD with iteration. All the performances of algorithms are evaluated in a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 environment on the basis of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with channel coding, for which the generation of soft decision values is crucial. The simulations show that Linear detectors (ZF/MMSE) own low complexity but poor performance, maximum likelihood/maximum a posterior detector (ML/MAP) own excellent performance but high complexity, the poly-diagonalization approach matches the performance of the sphere decoding at similar computational complexity in addition we analyzed the trade off behavior of K-best list sphere detection (KLSD) and poly-diagonalization and tail-biting trellis detection (PD). The poly-diagonalization and tail-biting trellis detection (PD) performs better than K-best list sphere detection (KLSD) for given complexity especially with a lower rate channel code. We proposed Iterative poly-diagonalization and tail-biting trellis detectors (Iterative PD) (with only 1 iteration)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poly-diagonalization and tail-biting trellis detectors (PD) with iteration as well as MAP detector (without iteration), showing its suitability for turbo detection with less complexity. Confirmed the proposed receiver scheme, Turbo detector based on poly-diagonalization and tail-biting trellis detection (PD), can be a good alternative to the MAP-based soft-out MIMO detector.

      • 경제∙경영서 번역장에 대한 연구 : 번역가 3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임진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ranslation as a social practice and ultimately improve the social visibility of translators by carrying out three-phase analyses on three cases of translators engaging in the field of business books and thus exploring the existence and functioning of the social space where business book translation takes place. In the Korean publishing market, business books have been regarded and treated as a separate genre since around the early 2000s. Hit drastically by the Asian financial crisis in the late 1990s, and other subsequent and less-serious crises, the demand for business books has risen sharply. The sales of business books surpassed literature genre for the first time in 2021. Despite the popularity and the high proportion of translated books in the Korean publishing market, business books and their translators have received little, if not no, attention from Korea’s translation scholars whose primary interest has long been in literature genre and the translated texts themselves rather than other genres and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ranslation is practiced. It is only recently that the research focus began shifting from the texts into what’s outside the texts. Too often, however, those studies fail to see the holistic picture of translation as a social practice, ending up with a limited focus, i.e., using translators’ notes only instead of the whole paratexts, looking at either the texts or the social context instead of both, etc. What’s also evident in domestic literature, however, is the underrepresentation of field theory by French sociologist Pierre Bourdieu which has been pursued most extensively by international translation scholars. Against the backdrop,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broadening the horizon of domestic literature on book translation and translation sociology by tracing the social trajectories of three business book translators (translator A, B, and C) from the perspective of Bourdieu’s field theory and the key concepts put forward by the theory such as habitus, field, capital, hexis, and illusio. For this, the study employed triangulation methodology to cross-validate the results and ensure the reliability and stability of the research findings. Beginning with a preliminary analysis–a ¬mini literature review–on the current shape of the Korean book translation field that is a parent field of the field in question, the main part of analysis consisted of three parts: qualitative coding on paratexts; qualitative analysis on one-on-one interviews; and hexis analysis that includes both move analysis on translators’ notes,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rpus analysis on published translations. All of the data were designed to explore what strategies the research participants employed to acquire capital in the field, how they interacted with the structure and the agents in the field, and how their linguistic products actually reflected what they said about their hexis–the linguistic part of habitu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brought to the fore two ultimate questions. How is Korea’s business book translation field working? Does Korea’s business book translation field constitute a “field” in Bourdieu’s term? Through the abov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regarding the field of business book translation. First, the preliminary analysis on existing literature revealed that the field was directly influenced by events such as economic crises in the economic field, one of the parent fields to the field studied. It was also discovered that the emergence of the business book translation field had been triggered by the Asian financial crisis in two ways. In the wake of the crisis, Korea signed on the IMF rescue package that came with then-unfamiliar Western economic ideas and systems, namely, restructuring, more flexible labor policies, neoliberalism and globalization. First, many large corporations, including those in the financial sector, underwent restructuring and laid off their employees. There was some high-quality labor force with domain knowledge and corporate experience that came to enter the book translation field, and translator B and C were among those. Second, although the sudden influx of Western economic ideologies pushed up the demand for relevant knowledge, Korea then had no sufficient pool of authors who could cater to such demand. It was only natural for business book translators to play a crucial role in Korea’s reception of Western ideologies. With the rise in demand for business book translation, publishers began to favor translators with a degree in business administration to those without one. This was how translator A made a debut as a book translator. Another important finding is that the publishing field, to which the field in question belongs, prioritized commercial success over anything else. Secondly, based on the preliminary findings, the paratexts of the three participants were collected, classified, and coded according to the Bourdieusian framework. The first round of findings was then vigorously cross-verified with one-on-one interview results. It was found that although the three translators followed different processes of capital accumulation through their translation practices in the field studied, they deployed one common strategy¬¬¬¬: the accumulation of objectified cultural capital in two forms–translated books, and paratexts. It was true that each of the three translators entered the field with a different amount and kind of embodied cultural capital–all with a business administration degree, but only B and C with abundant corporate and business experience. Their strategical move to build symbolic capital was found to be starkly different as well: Translator A concentrated on objectified cultural capital–mainly social media, while B started his own translation agency and educational institution to secure social capital and C put much effort to translate renowned books in his attempt to bring to this field the symbolic capital embedded in the original work and the author. Those findings led to an important implication. The previous work of each translator was considered important credentials. Therefore, translators tried to build their reputation in the field by translating books they considered significant. However, because publishers that prioritize commercial success want to mobilize as much symbolic capital as they can muster from the original author, the original book, the proofreader, or the translator. It is not rare for them to invite a celebrity for endorsement. This could be, at least partly, why translators strategically accumulated various paratexts by writing books, giving lectures, appearing on broadcasts, engaging in social media activities, and doing whatever it takes to publicize themselves. Thirdly, the analysis on paratexts and one-one-one interviews also revealed how three translators interacted with the social structure and other entities in the field: It was found that each translator adjusted their stance flexibly with regard to whether to resist or accept norms of the field depending on the degree of capital they accumulated, and the expected reactions from the counterparties of their social interactions.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common process of cultural capital accumulation pursued by the three translators was a result of various interactions. In the business book translation field, celebrity endorsements are generally preferred over translators’ notes. But the interaction with that norm varied across translators: B who is a translation agency CEO acting as an intermediary between publishers and translators and A who usually finds translation work from A’s agency instead of directly from clients were more receptive to the practice without much disagreement. This however is not the case for translator C. Despite his expertise in business, he initially accepted the norm upon entering the field, but later strongly demanded publishers or editors to include his translators’ notes as he acquired symbolic capital little by little in the field. Notably, translator A who was often not invited to write translator’s notes was found to actively utilize the translator biography to express his voice as a translator. Also found in this part of analysis was the implicit assumption shared by all three translators, in other words, illusio–a common belief that a good translator is someone who translates good business books. It is according to the illusio that they appeared to struggle in order to translate the books they desired. In the early stages when none of the three translators had established themselves as translators, they had passively received translation requests from agencies or publishers and had little say about what to translate. But as they gained recognition in the field, translator A started bidding on translation work, while B established his own agency to freely choose books to translate. It was also in that stage when translator C began looking for publishers that would allow him to translate books of his choice, while also proposing a publicity plan with celebrity endorsement based on his social capital in the field studied. What is noteworthy is his social capital became effective only after he had proved his translation skills in the field. Fourth, according to the hexis analysis which was divided into two parts––a move analysis on a total of 58 translators’ notes, and a corpus analysis on the 595,897-token samples from the first chapters of 60 original works and 60 translated books, three translators showed different levels of source orientation. Their tendency was partly consistent with the results from paratexts analysis and interviews. Two translators (A and B) appeared to regard source texts as so important that they tried to write mostly about source texts in translators’ notes and to maintain the structure and form of source texts in their translation. By contrast, translator C stressed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the translator's voice in the translator's notes, and shifting the form and structure of source by splitting or rearranging sentences, and deleting or adding information if necessary for the sake of enhanced readability in the target culture. The corpus analysis found that C’s translations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shifts such as deletion, sentence splitting, and domestication strategies, while A and B adopted foreignization and addition strategies with their overall frequency of shifts statistically lower than C. In the case of translator's notes, the moves related to translation or the translator's voice appeared rarely in B's notes, while they accounted for 31% in C's. It was found that their different hexis was related to their translator training. According to C, his tendency to prioritize the target language was influenced by the book he read for self-learning translation skills. Translator A learned source-oriented translation during his enrollment in a Master’s degree translation program. Presumably, the foreignization tendency shown in the translations of A and B could be shaped by the social setting of the field that saw a massive, abrupt influx of Western economic theories and ideologies in the wave of neoliberal globalization. In aggregate, the field of business book translation is a social arena where translators with expertise in business vie for more latitude to choose books they desire to translate based on their translation skills. Such struggles occur because translators practicing in the field share common illusio that translating good books leads to success as a translator. Then, can we say that the field of business book translation in Korea is a space of struggle over the appropriation of capital as defined by Bourdieu? Even in the sociology of translation literature which considers translation as a social practice, there are quite a few studies questioning the existence of translation field, citing translation’s peripheral and non-institutional aspects, and lack of clear entry barriers.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the field of business book translation does constitute a field in Bourdieu’s term, as it is an autonomous arena where agents with domain knowledge share common illusio and struggle for symbolic capital and power to choose books they want to translate based on the field’s unique interest–translation skills. This study is a sociological translation study that tracks down the life trajectories of three individual translators for exploring the existence and functioning of the business book translation field. It holds significance in terms of its subject and analytical methodology as follows. First, the study adopted systematic triangulation combining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n translation texts and translators’ notes as well as the social context and background in which these texts are produced with detailed description on analysis techniques and procedures. By presenting a research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translators in various fields, it can contribute to fill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aps in existing literature and broadening the horizons of Korea’s sociological translation research.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s rich data that can be of practical help to translation pedagogy in two aspects. Firstly, by presenting in detail the career trajectories of translators from entry into the high-demand field of business book translation to gaining recognition as a translator in the field, it can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not only to translation learners who want to enter this field but also to instructors who desire to shape relevant courses with more real practice cases. Secondly, by providing concrete examples of translation strategies utilized in actual translations with the cultural and social contexts that led to the selection of these strategies, it can be used as valuable material in translator training. Lastly, this study placed translators at its center, ultimately contributing to enhancing the social visibility of translators and expanding the perception that translation is a significant social practice.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lead to further research on various translation fields and translators.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출판시장에서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경제·경영서 번역가 세 명의 번역실천 사례 분석을 통해 경제·경영서 번역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적 공간인 장의 존재 여부와 작동 방식을 탐색함으로써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번역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궁극적으로 번역가의 사회적 가시성을 개선하는 데 일조하는 것이다. 한국 출판시장에서 경제·경영서가 독립된 분야로 취급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초반 이후이다. 앞서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를 거치며 급격한 세계화와 함께 신자유주의 사상이 유입되었고, 잇따른 경제위기로 경제·경영 지식 수요가 증가했으나 국내에는 이를 충족할 저자층이 충분치 않았다. 이에 경제·경영서 번역을 통한 지식 유입이 이루어졌고 번역가들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불확실성 증대로 출판시장에서 경제·경영서는 전통적 강자인 문학을 뛰어넘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출판번역에 대한 국내 번역학 연구는 연구분야, 연구자료, 접근법 면에서 전반적으로 문학 번역에 편중되어 있다. 게다가 기존 문학번역 연구는 번역결과물 텍스트와 역자 후기 중심으로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번역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공간이나 번역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번역학의 사회학적 전환이 시작된지 20년 가까이 흘렀지만 번역사회학 연구 중 국제적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진척된 부르디외의 장 이론 기반 실증적 연구가 유독 국내에서는 미미하게 이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장 이론의 핵심 개념인 장, 아비투스, 자본, 일루시오, 헥시스라는 틀을 바탕으로 경제·경영서 번역에 종사하는 번역가 A, B, C 세 명의 번역실천 및 번역결과물을 모두 분석하여 번역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공간의 작동 방식을 탐색하고, 이 공간이 부르디외가 정의하는 장의 정의에 부합하는지 고찰함으로써 기존 국내 번역사회학 연구의 지평을 양적, 질적으로 확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한국 출판번역장의 현황을 조사하고, 둘째 연구대상 번역가들이 번역 실천을 영위해 나가는 전략, 셋째 그 과정에서 타 주체 및 사회구조와 주고받는 상호작용, 넷째 이들의 전략과 상호작용이 실제 이들이 생산한 텍스트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섯째 장의 작동 기제를 파악하고, 마지막으로 한국 경제·경영서 번역장이 사회적 실천을 위해 주체가 경합하는 부르디외 장 개념에 해당되는지를 논의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 텍스트의 질적·양적 분석, 심층면접 세 가지를 모두 활용하였다. 텍스트 분석을 위해 질적코딩, 무브 분석, 코퍼스 분석 절차를 도입함으로써 연구방법을 체계화하였으며, 다각적인 분석 방법을 동원하여 분석 결과를 상호검증하고 필요한 경우 통계검정을 실시하여 연구결과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상기 연구방법을 통해 본 연구는 경제·경영서 번역장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본 분석을 위한 예비조사의 일환으로 경제·경영서 번역장의 현황에 대한 문헌조사를 실시한 결과, 경제·경영서 번역장은 경제장에서 발생하는 경제위기 등의 사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외환위기 이후 한국이 처했던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경제·경영서 번역장의 태동이 촉발되었고 이는 본 연구에 참여한 번역가들이 경제·경영서 번역가가 된 직접적 계기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경영서 번역장이 속하는 출판번역장의 경우 번역서의 상업적 성공을 최우선으로 삼는 분위기가 팽배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이 외환위기 극복을 위해 IMF 관리체제에 들어간 직후인 2000년대 초 이후, 급격한 세계화가 이루어지면서 서구 경제사상에 대한 지식 수요가 급증하였다. 그러나 국내에는 이를 충족할 수 있는 국내 저자진이 부족한 상태였고, 이로 인해 경제·경영 분야의 번역서 비중이 높아지고 번역 수요 또한 늘어났다. 이러한 가운데 IMF 관리체제에서 요구되는 유연한 고용정책으로 인해 금융분야를 포함한 많은 대기업이 구조조정에 들어갔고, 경제·경영 분야의 지식과 기업활동 경험을 겸비한 고급 인력이 번역장에 유입되는 결과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번역가 세 명 중 두 명은 구조조정으로 각각 대기업 및 금융기관에서 퇴사한 뒤 여러 경로를 거쳐 결국 번역에 종사하게 되었고, 나머지 한 명은 경제·경영에 대한 지식 수요 급증으로 경제·경영 전공자를 선호하는 관행 덕분에 장에 입문할 수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세 번역가가 번역실천에 종사하게 된 과정에는 사회구조 및 타 주체와의 다양한 상호작용이 존재했다. 둘째,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세 번역가의 곁텍스트를 수집하여 질적코딩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심층면접을 통해 보강한 결과 경제·경영서 번역장에서 세 번역가가 번역실천을 통해 상이한 자본 축적 과정을 거치지만, 공통적으로 문화자본 축적이라는 전략을 동원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경영학 전공지식이라는 문화자본을 바탕으로 장에 입문한 세 번역가는 모두 장에서 번역가로서의 상징자본을 획득하기 위해 각자의 강점을 발휘하여 상이한 자본 축적 과정을 거쳤다. 대기업 근무 경력과 사업 경험이 있던 B는 직접 번역 에이전시와 교육기관을 창업하여 사회자본을 확보하였고, 투자 관련 요직을 거쳐 높은 수준의 전문지식을 보유하고 있었던 C는 자신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해당 분야에서 이미 성공을 거둬 상징자본을 확보하고 있는 원전을 번역하고자 고군분투했다. 여타의 경험이 없는 A의 경우 SNS 활동을 통해 번역가로서 자신의 브랜드를 구축해 나갔다. 세 번역가의 자본축적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것은 경제·경영서 번역장에서 중시되는 문화자본인 번역서 및 곁텍스트 축적이었다. 기존에 어떠한 책을 번역했는지는 번역가에게 주요한 이력이기에, 각 번역가는 자신이 양서라고 간주하는 책의 번역을 맡기 위하여 번역가로서 명성을 쌓아갔다. 한편 상업성을 최우선으로 삼는 출판사는 번역서 출간에 관련되는 원작자, 원서, 감수자, 추천사 작성자 등 모든 요소의 상징자본을 총동원하여 번역서의 성공을 꾀하려 하고, 번역가 역시 여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따라서 번역가 역시 저술 및 강연, 방송 출연, SNS 활동 등의 다양한 곁텍스트 축적을 통해 전략적으로 자신을 홍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세 번역가가 자본획득 과정에서 장의 사회구조 및 장 내 주체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곁텍스트 분석 및 심층면접을 실시한 결과, 각 번역가는 자신이 축적한 자본의 정도에 따라, 상호작용의 대상에 따라 유연하게 관행의 수용여부를 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역가가 공통적으로 지향하는 문화자본 축적 과정 역시 다양한 상호작용의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경제·경영서의 경우 상업적 성공을 위하여 번역가의 역자후기보다는 유명인의 추천사가 선호되며, 번역가가 역자후기를 작성하는 경우에도 출판사는 역자후기에 번역가의 목소리보다는 원전에 대한 내용을 담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이전시 운영자로 출판사와 번역가의 중간 입장인 B, 그리고 에이전시를 통해 번역을 수주 받는 A의 경우 이를 별다른 이견 없이 수용하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해당 분야에 전문성을 보유한 C의 경우 경제·경영서 번역장 입문 초기에는 이를 수용했지만, 번역가로 어느 정도 명성을 쌓은 후에는 이에 적극적으로 저항하고 자신의 역자후기를 수록해줄 것을 강력하게 요구하였다. A의 경우 역자후기 지면을 제공받지 못하는 대신, 번역가에게 주어지는 역자 약력 지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번역가의 목소리를 수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세 번역가는 좋은 원전을 번역하는 것이 좋은 번역가라는 공통된 전제를 바탕으로, 자신이 원하는 번역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장 내 입지를 구축하기 위하여 분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역가 모두 번역가로 자리잡지 못한 장 진입 초기에는 에이전시 또는 출판사에서 수동적으로 번역서 의뢰를 받으며 마음에 들지 않는 작품도 거절하지 못하고 다 번역하지만, 장에서 입지를 확보함에 따라 샘플 번역에 지원하거나(A), 아예 자신이 에이전시를 차려 번역서를 고르거나(B), 자신이 원하는 원전을 번역할 수 있는 출판사를 찾고 번역 기획을 통해 새로운 출판 관행을 구축해 나갔다(C). 이 과정에서 C가 장 진입 전 확보하고 있던 명성이나 인맥 등은 그가 경제·경영서 출판장 고유의 이해관계인 번역능력을 인정받아 어느 정도 입지를 구축한 후에야 유효했다. 넷째, 곁텍스트 분석과 심층면접을 통해 파악한 세 번역가의 상이한 원문 중시 헥시스를 코퍼스 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A와 B가 C에 비해 원문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와 B는 원문의 구조와 형태를 유지하는 번역관과 원문 중심의 역자후기를 작성하며, C는 목표어 중심으로 원문의 구조를 변형하는 번역관과 번역가의 목소리를 역자후기에 반영하는 것을 중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세 번역가가 생산한 번역결과물 20편과 원전 20편씩 총 120편(원전 60편, 번역서 60편)의 첫 장을 표본으로 하는 번역결과물 코퍼스와 세 번역가의 역자후기 전편을 수집한 역자후기 코퍼스를 구축하고, 그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C의 전체 원문변형 빈도 및 삭제, 문장분할, 자국화 전략 비중이 A, B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 B의 경우 문장병합 및 이국화 전략 비중이 C보다 높았다. 이는 세 번역가의 진술과 부분적으로 일치했다. 역자후기의 경우 번역에 대한 내용이나 번역가의 목소리가 B의 역자후기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지만 C의 경우 31%를 차지하였고, A의 경우 역자후기 빈도가 적어 의미 있는 비교가 어려웠다. 이 역시 각 번역가들의 진술과 부분적으로 일치했다. C의 목표어 중시 경향은 그가 번역을 습득한 주요 수단인 이론서의 영향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A, B의 원문 중시 헥시스는 번역교육 방향 및 급격한 서구 이론 유입이라는 시대적 배경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경제·경영서 번역장은 경제·경영 전문지식과 번역능력을 갖춘 번역가들이 번역능력을 기반으로 번역서 선택권 확보를 위해 투쟁하는 사회적 공간이다. 이러한 투쟁이 가능한 것은 전적으로 장 내 투쟁에 참여하는 번역가들이 좋은 책을 번역하는 것이 번역가로 성공하는 것이라는 암묵적 전제를 공유하기 때문이다. `````````````````````````````` 그렇다면 한국의 경제·경영서 번역장은 자본을 위한 경합이 벌어지는 장이라는 부르디외의 정의에 부합하는가? 번역을 사회적 행위로 간주하는 번역사회학 내에서조차 번역은 부차적, 비제도적인 실천이며 진입장벽이 뚜렷하지 않다는 점 때문에 장의 요건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지적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경제·경영서 번역장은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을 진입 요건으로 하고, 번역능력이라는 고유의 이해관계에 따라서 장 내 주체들이 양질의 원전을 번역하는 것이 좋은 번역가라는 공통의 일루시오를 공유하는 상징자본 투쟁의 장이라는 점에서, 부르디외의 정의에 부합하는 사회적 실천의 공간이라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개별 번역가의 번역 실천을 상세하게 추적하여 경제·경영서 번역장의 존재와 작동 방식을 규명하는 번역사회학적 연구로, 그 주제 및 분석방법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우선 본 연구는 번역결과물에 대한 체계적 분석과 함께 해당 결과물이 생산되는 사회적 맥락 및 배경에 대한 다각적인 추적을 결합한 번역사회학 연구로, 연구자료를 다양한 곁테스트로 확대하고, 다양한 텍스트 분석 기법과 절차에 대해 상술하고 있다. 이를 하나의 연구 모델로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의 번역가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기존 번역학 연구의 양적, 질적 공백을 해소하고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는 두 가지 측면에서 번역 학습자와 교수자에게 풍부한 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우선 본 연구에는 출판번역의 하위 분야로 그 수요가 높은 경제·경영서 번역장에서 번역가가 장에 입문하여 번역가로 명성을 쌓기까지의 경력 발전 과정이 상세하게 제시된다. 또한 실제 번역결과물에서 활용되는 구체적인 번역 전략의 예와 함께 이들이 해당 번역 전략을 선택하게 된 경위를 제시해 준다. 따라서 해당 분야에 입문하고자 하는 번역 학습자 뿐만 아니라 이들에게 구체적 실례를 통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교육을 설계하고자 하는 교수자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번역가의 번역실천을 연구의 중심에 둠으로써 궁극적으로 번역가의 사회적 가시성을 높이는 데 일조하며, 번역이 주요한 사회적 실천이라는 인식을 확대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본 번역사회학 연구가 부디 다양한 번역 분야와 번역가에 대한 후속연구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 중국 시대극 영화의상의 미적 특징을 활용한 한푸(漢服) 스타일의 현대 패션디자인 연구

        임진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중국 시대극 영화의상과 중국 한족 전통복식인 한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족 전통복식의 모티브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고 중국 시대극 영화의상의 미적 특징을 활용하여 총 6벌의 패션디자인 작품을 제시하였다. 중국 시대극 영화의상의 미적 특징은 첫째, 중국 전통문양과 전통자수를 활용하여 전통적 요소를 재현한다. 둘째, 영화 의상과 배경이 형성한 강렬한 색채 대비이다. 셋째, 현대인의 미적 기준을 맞추기 위해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변형한다. 넷째, 시각적 충격 효과와 전통적 복식미를 표현하는 과장된 복식 형태이다. 다섯째, 이질적인 소재를 복합적으로 사용한다. 중국 한족 전통복식인 한푸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푸의 종류는 크게 ‘상의하상’과 ‘심의’로 나뉘어 있고, 오른쪽 여밈과 끈을 묶는 것이 한푸의 주된 특징이다. 둘째, 한푸의 복종은 주로 면복, 포, 상의, 하상, 장의로 나뉜다. 셋째, 한푸의 구성은 주로 옷섶, 소매, 옷자락, 옷깃, 테두리의 다섯 부분으로 구분된다. 넷째, 한푸의 색채는 오행사상의 영향을 받아 청색, 적색, 황색, 백색, 흑색의 오행색이 많이 사용된다. 다섯째, 한푸의 문양은 식물, 동물, 인물, 사물로 나눌 수 있으며, 한푸에 사용된 소재는 주로 견직물, 삼베, 면직물, 퍼 등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중국 시대극 영화의상의 미적 특징인 전통적 요소의 재현, 강렬한 색채의 대비, 현대적 감각의 디자인 변형, 과장된 복식의 형태, 이질적인 소재의 결합을 반영하여 한푸 스타일의 현대적인 패션디자인 작품을 실물로 제작하였다. 첫째, 원피스 <작품 1>은 전통문양을 변형한 화조 문양 소재를 사용하였다. 한푸의 띠를 두른 형태를 원피스의 오른쪽 앞판을 표현하였고, 한푸의 상의인 반비의 소매 형태를 변형하여 소매 덧장을 달아 현대적인 감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스커트 부분의 오른쪽 옆선에 곡선의 무를 달아 과장된 입체 형태를 만들었다. 둘째, 코트 <작품 2>는 <작품 1>과 같은 화조 문양 소재를 사용하였고, 한푸의 오른쪽 여밈과 끈 여밈을 활용하여 코트의 앞여밈을 끈으로 묶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한푸 소매인 방수의 형태를 적용하여 사각형 면분할로 소매 모양을 현대적으로 표현하였다. 셋째, <작품 3>은 망토와 스트레이트 실루엣의 원피스로 구성하였다. 망토는 한푸의 반비 형태를 참고하여 어깨의 선을 직선의 각진 형태가 되도록 하였으며, 망토의 뒷면에 한푸의 특징인 주름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한푸인 심의의 밑단 라인을 변형한 원피스 앞판의 햄라인은 좌우가 비대칭적인 형태로 표현하였고, 한푸의 끈 형태를 활용하여 원피스의 뒤판에 사용하였다. 넷째, <작품 4>는 박스 핏의 상의와 세미타이트 스커트로 구성되었으며, 전통적인 기하학 문양의 소재를 스커트에 사용하였다. 한푸의 상의인 삼의 형태를 변형하여 소매 모양을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표현하였으며, 주름 효과를 활용하여 상의 앞판에 턱 작업을 하였다. 또한 스커트는 심의의 형태를 활용해서 과장된 입체 형태로 표현하였다. 다섯째, 코트 <작품 5>는 <작품 4>와 같은 전통적인 기하학 문양의 소재를 사용하였다. 한푸에 나타난 곡선 라인을 변형하여 코트 뒤판의 밑단 라인을 곡선으로 제작하였으며, 한푸의 소매인 비파수의 형태를 변형하여 제작하였다. 여섯째, 원피스 <작품 6>은 한푸의 실루엣을 기본으로 하여 다자인을 변형하였고 한푸의 중요한 특징인 주름을 활용하여 원피스의 앞판과 뒤판에서 모두 적용하였다. 또한 한푸의 소매인 광수의 곡선 모양을 참고하여 소매 형태를 나타내었고 소맷부리로 가면서 직선의 형태가 나타나도록 하였다.

      • 초기 재령 콘크리트의 수분관련 노화 점탄성 및 열 팽창 특성 실험 및 해석

        임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초기 재령 콘크리트의 수분확산작용에 의한 내부의 습도변화, 이로 인한 부등건조수축 및 구속받는 슬래브에 부등수축이 발생할 때의 노화 점탄성 거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수분변화로 인한 콘크리트의 열팽창 특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 및 모형화 하였고, 이를 콘크리트 포장 슬래브 구조시스템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자들이 제안한 수분확산계수 및 건조수축모형에 대한 검증을 위해 실내에서 수분손실 시험 및 건조수축시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건조수축을 예측하였다. 그리고 선행 연구자들이 수행한 시험결과와 제안한 방법을 서로 비교 검증하였다. 구속된 콘크리트의 응력이완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구속링 시험을 수행하였고, 이를 선행연구자가 제시한 수정 탄성-점탄성 대응원리에 입각하여 점탄성 물성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실내시험을 유한요소방법으로 모형화 하여 계측 결과와 비교하였다. 수분과 연관되어진 콘크리트의 열팽창계수에 대한 실내시험을 수행하여, 습도에 따른 열팽창계수 변화를 모형화 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재료 물성, 제안된 수치해석 방법 및 선행 연구를 통한 현장 데이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의 온도 및 습도에 의한 거동을 해석하였다.

      • 임 진의 Two Movements for Orchestra 및 분석

        임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임 진의 Two Movements for Orchestra 및 분석에 관한 논문은 2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부는 분석 부분으로, 제2부는 Two Movements for Orchestra 악보로 되어 있다. 제1부는 한국 음악에 있어서의 악의 개념과 음의 구조에 관하여 서술한 부분과 Two Movements for Orchestra의 분석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제2부는 2악장으로 된 2관 편성의 관현악 곡으로 연주시간은 약 25분 정도이다. Two Movements for Orchestra는 한국의 전통 음악에 바탕을 두고 쓰여진 작품이다. 한국의 전통 음악에서 나타나는 음계들 중 E♭ 3음 계면조(E♭-A♭-B♭)와 C 평조 음계(C-D-F-G-A)를 음 재료로 하였다. 이 3음 계면조와 평조 음계를 구성하고 있는 각 음들을 중심 음으로 하는 이조 방법, 그리고 이조 하여 추출된 음들의 결합에서 나타나는 5음 구성 음계와 이 음들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음들을 중심음으로 하는 이조 방법에서 얻어지는 8음 구성, 9음 구성 음들을 복합 음계로 하여 만들어진 작품이다. 이와 관련된 모든 연구는 한국의 전통 음악에 관한 이해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었으므로 이를 위해, 우선 「악학궤범」 제1권의 음악이론에 관한 분야로부터 시작하게 되었다. 「악학궤범」에 따르면, 한국의 전통 음악에서 음계의 산출방법은 삼분손익법(三分損益法)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것은 위로 완전 5도(2/3) 삼분손일(三分損一)하여 음을 얻고 그 음을 아래로 완전 4도(4/3) 삼분익일(三分益一)하여 음을 얻는 방법을 활용하였고 이를 거듭하면 12律을 모두 얻게 된다. 반음 사이가 각각 100 cent로 균등하게 구분된 서양의 평균율에 비하여 삼분손익법에 의해 얻어진 음들은 114 cent와 90 cent의 음정간격으로 균등하지 않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평균율과는 그 음높이가 동일할 수가 없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인해 오늘날까지 한국 음악에서 사용되고 있는 음계는 서양 음악의 그것과 동일하게 12음 체계로 이루어져 있으나, 오선 위의 12반음과 한국 음악의 12律들의 음고(音高, pitch)는 동일하지 않다. Two Movements for Orchestra에서는 한국 음악의 12律에 얽매이기보다는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인의 기본적인 思考의 한 단면을 표출해 내도록 하였다. Two Movements for Orchestra는 두 개의 악장의 서로 다른 음악적 idea로 구성되었다. 제1악장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의미를 독립된 네 부분으로 구성하여 자연의 4계절과 네 단계로 구분된 인간의 생(生)의 구조를 서로 동일선상에 놓은 반면에, 제2악장은 한국 음의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수제천(壽齊天)의 장고 리듬을 이용하여 생(生), 노(老), 병(病), 사(死)라는 거역할 수 없는 자연적인 현상들을 부정적인 시각이 아니라 긍정적인 시각으로 관조하면서, 수제천(壽齊天)의 장고 리듬처럼 불규칙한 장단의 결합이 생, 노, 병, 사라는 운명적인 상황들이 하나의 둥그런 틀 안에 맞물려 돌아가며 발생하고 있음을 세 부분으로 구성해 놓았다. 이 작품은 한국 음악의 전통적인 음계에서 추출한 음들로 형성되었으면서도, 결코 한국 음악의 음높이를 고수하려고 한 것은 아니고 서양 악기로 연주되는 한국적인 색채를 표현하려는데 주안점을 둔 작품이다. This thesis by Jin Lim on "Two Movements for Orchestra and its Analysis" consists of two parts: the former illustrates the analysis; and the latter the score of "Two Movements for Orchestra." Part 1 explains about the concept and about the construction of the tonal in elements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later analyzes the work "Two Movements for Orchestra" Part 2 is the score of the work, which is for two wind-instrument structure. Performance time is about 25 minutes. This work was composed based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 3 eum Kyemyeonjo (E♭-A♭-B♭) and C Pongjo (C-D-F-G-A) out of normal scale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the main tones. This work has been written by transposition of the notes of trichord and C septachord, and constituted with 8-tone structure and nonachord structure transported by pentachord organization scale and octachord structure and nonachord structure. As research in this regard has not been possible without a full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first step was taken by studying the musical theory of, An Illustrated Text on Traditional Music (Akhak kwebom), Book 1. According to An Illustrated Text on Traditional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depends on "sambunsonikbeop" which attains the upper notes by perfect 5ths (2/3), (sambunsonik) and the lower notes by perfect 4ths (4/3) sambunikil to get all the 12 yul finally by repeating them. Compared to the western equal temperament, in which the scale is separated equally by 100 cent of the scale b chromatic tones, the notes obtained by sambunsonikbeop are irregularly positioned by 114 cent and 90 cent, so that note pitch cannot be equal to equal temperament. For this reason, although the tone scale used in Korean music up to this date is 12 tone just like that of western music, the note pitch of the 12 chromatic notes on the stave and the 12 yul of Korean music are not the same. "Two Movements for Orchestra" was based on the organization of the fundamental way of Korean thinking rather than on the restrictions by 12 yul. The second movement of this work is constitute by different musical ideas. While the first movement was divided into 4 meaningful parts,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in order to put the 4 natural phenomena of human life on the same line, the second movement was grounded on the changgo rhythms of Sujecheo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masterwork of Korean music positively illustrating the irresistible natural flow, birth, aging, sickness, and death. This work contains 3 parts portraying the unchangeable phenomenon of birth, aging, sickness and death harmonized in a round form by irregular combinations of Korean rhythmic patterns. It is true that this work has been composed by notes extracted from Korean traditional music. However, it at no time followed only the pitch of Korean tones but concentrated on presenting Korean colors, even though it is performed with western instruments.

      • 병사의 사회불안과 군 생활적응의 관계 :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

        임진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불안과 군 생활적응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강원도 H군에 소재한 육군00부대에 근무하고 있는 병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301명의 자료에 대해 SPSS/WIN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사회불안을 측정하기 위해서 사회적 불안 및 회피척도(SADS, Watson & Friend, 1969)의 자기보고식 검사지를 최정훈과 이정윤(1997)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다음으로 군 생활적응척도는 김옥란과 김완일(2014)이 개발한 군 생활적응척도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인존재감척도는 Elliott(2004)등이 개발하고, 최한나와 임윤선(2013)이 번안하고 타당화한 한국판 대인존재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간의 상관분석 결과 사회불안과 군 생활적응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사회불안과 대인존재감과도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타나났다. 또한 대인존재감과 군 생활적응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병사의 대인존재감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불안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군 생활적응력이 향상됨을 의미한다 둘째, 사회불안과 군 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이 매개하는 지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유의성의 검증과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불안과 군 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군 생활중 사회불안이 높은 병사들의 대인존재감 수준을 높여줌으로써 군 생활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