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차전지 전극물질 합성 및 분석

        임진섭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Finding new ways to power the future by making safer energy without creating extra CO2 in the atmosphere has become a crucial. The growing importance of environmental issues and security of supply has accelerated energy-related materials research efforts. As an alternative for solving the environmental problems, in recent, rechargeable lithium ion batteries have intensively been attracted because they have become the power source of cho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due to higher energy density compared to other rechargeable battery systems. They are also intensely pursued for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nd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applications. However, high cost, safety concerns, and limited energy and power densities of currently used materials demand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materials. Olivine LiMPO4 (M=Fe, Mn, Ni, Co) has been identified as an excellent candidate for cathodes in rechargeable Li-ion batteries when compared to its counterparts as LiCoO2, LiNiO2 and LiMn2O4 because of its environmental benignity, relatively high capacity of 170 mAh/g, cost-effectiveness, non-toxicity, electrochemical and thermal stability. In particular, LiFePO4 has a strong thermal stability at high temperatures, because of its robust structure in which there are strong covalent bonds between the oxygen and P5+ ions forming the (PO4)3- units, resulting in higher structure stabilization. In chapter 3, olivine structure LiMPO4 (M=Fe, Mn, Co) cathode materials have been synthesized by solvothermal routes using polyol medium as a solvent at low temperatures. Specifically, the synthesis of LiFePO4 nanoparticles as various polyols such as EG, DEG, TEG, and TTEG and its morphology variations of plate, rod, and multi-morphous depending on the different preparation of solutions have been investigated. Further, during the solvothermal reaction, the crystal formation mechanism of LiFePO4 nanocrystals based on the results as reaction times has been suggested and high crystalline LiFePO4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using low-cost Fe3+ precursor because the cost of the materials such as the precursors is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in terms of the cost of Li-ion batteries. In last, LiFePO4/graphene nanocomposite, in which LiFePO4 nanoparticles were well-dispersed on the graphene sheets, was prepared by one-step microwave-assisted polyol process and its improved electrochemical properties have been investigated by galvanostatic measurements. As a new chemical lithiation method, polyol process has been introduced in chaper 4, since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of the polyol can be favor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due to decreasing the oxidation potential of the polyol. The new cathode material of “Spinel+Layered” nanocomposite was synthesized by chemical lithiation method in polyol medium of tetraethylene glycol, showing that the new nanocomposite can be produced by direct lithium insertion with Mn reduction during polyol reaction. The lithiated sample has showed pulverized nanoparticles having spherical shapes and it consisted of two phases, namely, “Spinel LiMn2O4+Layered Li1.5Mn0.97O2” nanocomposite. In chaper 5, layered a Li-excess manganese-nickel-cobalt oxide nanocomposite, formulated as 0.3Li[Li0.33Mn0.67]O2•0.7Li[Ni0.5Co0.2Mn0.3]O2 and then Mo doped designated as 0.3Li[Li0.33Mn0.67]O2•0.7Li[Ni0.486Co0.20Mn0.286Mo0.028]O2 was prepared using the co-precipitation method. From the observed results, it was evident that partial substitution of Ni and Mn with Mo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hence affect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Li[Li1/3Mn2/3]O2 is electrochemically inactive since the entire Mn ions exist in the 4+ oxidation state so that no lithium can be deintercalated from the Li[Li1/3Mn2/3]O2 phase. However, the Li[Li1/3Mn2/3]O2 tends to become electrochemically activated above ~4.5 V and further, it can be fully activated as the particle sizes decrease. In chapter 6, synthesis of fully activated Li2MnO3 nanoparticles by chemical based oxidation reaction which is useful for approaching nanoscale materials has been introduced. In particular, when the molar ratio of Li:Mn is 6:5, multi-phases lithium manganese oxide with high capacity of almost 250 mAh/g was synthesized and it was suggested by ex-situ synchrotron XRD experiment that the multi-phases lithium manganese oxide is composed of “Li4+xMn5O12+Li2MnO3”.

      •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이 사회통합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임진섭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ffects the social inclusion orientation, assessing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means the percentage of the programs carried out by professionals among all the programs in the social service organization. The social inclusion orientation implies what a social service organization makes effort to improve social inclusion for clients. It was measured with two dimensions of 'client-centered' and 'community-centered', consisting of the total 40 composite Likert-typed items.For this study, the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n Korea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of 'Children·youth centers', 'organizations for disabled', 'organizations for the aged', and 'community social service centers', and the surveys were carried out on one manager of mid-level or higher.The Social Inclusion Team of the Social Welfare Center of Yonsei University has performed a research on 'Dynamics of Community Social Service Providers and Social Inclusion in the Era of Localization' in 2006. The team has collected data from 809 institutions which includes centers for Children&Youth, for disabled, for the aged and community social service centers. The data collected in the first year research was used in this study for secondary data analysis. The analysis method of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12.0 was applied.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has effects on both CTSI and COSI. Second, the hierarchical culture has a mediating effect on CTSI while both the group culture and the development culture has effect on COSIThis study provides an important guidelines on future social policy to make the social service providers understand what they should concern for the social inclusion. Also, it presents the conseq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providing social services more effectively to the excluded people. 오늘날처럼 사회복지시설의 역할이 과거 시설보호를 통한 처우개선과 같은 협소한 수준을 넘어서 사회적으로 배제된 집단의 사회통합(sicial inclusion)이란 광범위하고 거시적인 수준으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사회복지시설의 노력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사회복지시설에서 다루어지는 인간문제들의 성격과 복잡성 때문에 과학적이고 이론적인 실천지식이 필요한 것도 이유이지만(최성재 외, 1997), 무엇보다도 사회통합이 갖는 속성 자체가 지금까지 사회복지조직에서 논의된 어떤 사회적 과제보다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시설의 사회통합을 위한 노력은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이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조직의 가치관, 신조, 및 조직이 나아가야 행동패턴을 규정하는 조직문화의 성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본 연구는 사회복지지설의 전문성이 사회통합지향성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동시에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통합재제연구단(2006)이 「지방화시대의 사회통합화 지역복지서비스 공급체계의 역동성에관한 연구(이하 사회통합배제연구)」의 수행을 위해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내에 구성된 연구팀이 2006년 5월부터 7월까지 수집한 1차년도 데이터(아동·청소년시설, 노인시설, 장애인시설, 종합사회복지관)에 관한 자료(총 809개소)를 2차분석(secondary data analysis)의 목적으로 사용하였다.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 수준을 측정한 결과 전체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은 62.4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시설의 대상유형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종합사회복지관(72.5점)의 전문성 수준이 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시설과 이용시설로 구분하여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 수준을 살펴본 결과 생활시설(52.7점)에 비해 이용시설(74.9점)의 수준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사회복지시설의 조직문화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체 사회복지시설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조직문화 성향은 집단문화(16.1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개발문화(15.9점), 합리문화(14.8점), 위계문화(11.5점)의 순으로 조직문화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상유형과 이용형태에 따른 시설구분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셋째, 전체 사회복지시설의 사회통합지향성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체 사회복지시설의 CTSI 수준은 평균 79.6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사회복지시설의 COSI 수준은 평균 76.1점으로 나타났으며 4개의 시설유형 모두 75~77점으로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이 사회통합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CTSI의 경우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과 COSI와의 영향관계 역시 p<.001 수준에서 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다섯째,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과 사회통합지향성과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집단문화(p<.05)와 개발문화(p<.05)가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과 COSI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과 CTSI의 관계에서는 위계문화(p<.05)만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2-3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과 CTSI와의 관계에서 위계문화는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다.‘와 가설 3-1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과 COSI와의 관계에서 집단문화는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그리고 가설 3-2 ‘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과 COSI와의 관계에서 개발문화는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다.’란 가설은 지지되었다. 하지만 연구가설에서 제시했던 나머지 가설은 모두 기각되었다.본 연구에서 논의된 내용은 지금까지 크게 부각되지 못했던 사회복지시설의 사회통합지향성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의 성향이 강하며 사회통합지향성을 위해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의 토대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사회적으로 심각해지는 양극화 현상과 다양한 사회적 문제로 인한 사회적 배제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시설뿐 만 아니라 개인, 민간, 국가가 모두 사회통합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 노인장기요양시설의 거주자중심케어(resident-centered care)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경로에 관한 연구

        임진섭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입소시설인 노인장기요양시설을 대상으로 외부환경동태성과 조직특성이 거주자중심케어에 미치는 영향과 경로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노인의료복지시설(입 소시설) 중 노인공동생활가정을 제외한 노인요양시설 360개소(무작위 표본추출)를 대상으로 구 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응답자는 각 기관의 의견을 대표할 수 있는 중간관 리자급 이상 또는 이에 준하는 자로써 현 시설 근무경력이 6개월 이상인 자로 한정하였다. 설 문조시 기간은 10월 12일부터 11월 8일까지 총 26일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최종 회수된 설문지 는 243개소로 회수율은 66.7%였다. 하지만 최종분석 시에는 응답내용이 다소 불성실하거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응답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사례 등 총 20개소를 제외하여 223개소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주요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과 이에 대한 논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으로 ‘거주자중심케어’와 ‘거주자중심케어를 위한 시설환경지원(이하 ’환경지원‘)’의 2가지 차원으로 구성되는 거주자중심케어에 대한 기술분석 결과 국내 노인장기요양시설의 거주자중심 케어의 전체적인 수준은 5점 리커트 척도를 기준으로 봤을 때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평균 3.94). 본 연구와 유사한 차원을 통해 거주자중심케어를 측정한 Edvardsson 외(2010)의 연구에서도 거주자중심케어가 평균 2.55점 이하인 것을 감안하면 국내 노인장기요양시설의 거 주자중심케어 수준이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노인장기요양시설을 둘러싼 외부환경의 동태성의 경우 사회환경격변성의 평균점수 가 4.38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에 따란 사회문제의 심화, 노인수발에 대한 사회적 책임의 증가와 가족부양책임의 감소, 여성의 권익신장에 따른 사회활동 - viii - 의 증가, 가족해체현상의 심화 등과 같이 노인장기요양서비스와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주요 사 회환경의 변화 그리고 이에 따른 불확실성에 대한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인지정도가 상당히 높음 을 의미한다. 또한 시장?기술격변성의 평균점수는 3.93으로 시장 및 기술환경에 대한 변화와 이 에 따른 불확실성 수준에 대한 인식정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불안정성을 의미하는 제도격변성은 평균 3.65점, 노인장기요양시설간 경쟁의 치열함을 의미하는 경쟁의 강도는 평균 3.47로 가장 낮아 표면적으로 나타난 수치로만 봤을 때 노인장기요양시설 이 인지하는 경쟁의 강도는 다소 높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조직특성에 대한 기술분석 결과 외부 환경변화에 대한 시설 최고경영층의 위기대 처수준은 평균 3.29로 보통정도의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외부환경변화에 대한 국내 노인장기요양시설 리더의 강조와 위기 극복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다소 약한 것을 알 수 있 다. 조직구조인 집중화와 보상화에 대한 수준 역시 각각 평균 3.18과 3.41로 보통정도로 나타 나 조직의 위계적인 속성과 보상화 노력정도 역시 높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조직 내 부서 및 부서원간의 연계와 협력에 대한 조화정도를 의미하는 부서간 역학(평균 3.86)은 비교적 높 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외부환경동태성과 조직특성, 거주자중심케어의 인과관계를 검증한 결과 외부환경동태성은 거주 자중심케어와 최고경영층의 위기대처, 보상화, 부서간 역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노인장기요양시설을 둘러싼 시장 및 기술, 사회, 제도의 환경변화가 급진적이 며 불확실 할수록 시설의 리더는 이에 대한 위기의식을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위험감 수성향과 대응노력이 높아지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조직구성원의 기여에 대한 적절한 보 상을 지향하고 행동을 격려하는 보상화의 노력, 부서 간 상호작용과 결집력, 거주노인의 중심의 시설 케어 역시 조직을 둘러싼 외부환경이 급변하고 불확실할수록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처럼 외부환경동태성의 영향을 받았던 조직특성 변수인 부서간 역학과 보상화가 높 을수록 거주자중심케어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시설 내 부서 또는 종사자 간의 유 기적인 협력과 응집력이 높을수록, 조직구성원에 대한 보상과 인정의 정도가 높을수록 조직의 혁신활동인 거주자중심케어 역시 증가함을 의미한다. 반면 외부환경동태성에 영향을 받았던 최 고경영층의 위기대처는 거주자중심케어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외부환경동태성의 구체적인 영향요인을 명확히 살펴보기 위 해 외부환경동태성을 구성하는 4가지 하위차원을 별도의 잠재변수로 구성한 구조모형의 검증을 - ix -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장?기술격변성만이 거주자중심케어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 으며 이외 나머지 외부환경동태성의 하위차원인 경쟁의 강도, 사회환경격변성, 제도격변성은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조직특성에서는 보상화와 부서간 역 학만이 거주자중심케어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록 거주 자중심케어에 대한 영향력은 발견할 수 없었지만 사회환경격변성은 조직특성의 하위차원인 보 상화에 부(-)적인 영향을, 경쟁의 강도는 집중화에 정(+)적인 영향을 반면에, 부서간 역학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시장?기술격변성은 최고경영층의 위기대처와 보상화, 부서간 역학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앞서 검증한 외부환경동태성과 거주자중심케어와의 구조적 관계 가 시설유형(법인 및 개인)과 규모(입소자정원)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기 위 해 다집단 분석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30인 이상의 대규모시설과 30인 미만으로 구분한 소규모 시설에 따라 구조모형의 차이가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규 모시설의 경우 시장?기술격변성이 높을수록 부서간 역학은 증가하지만(B=.610, p<.001) 소규 모 시설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시설유형을 기준 으로 한 시설규모에 따른 다집단 분석결과 대규모 시설과 소규모 시설에 따른 본 연구모형의 집단간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앞서 검증한 구조모형의 영향관계가 법인 시설과 개인시설에 관계없이 모든 시설에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거주자중심케어의 수행을 장려하기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 시하였다.

      • 라이브 스트리밍 시청에 영향을 주는 UX 요소와 시청자 유형 발굴

        임진섭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1인 미디어 가운데 실시간 동영상을 제공하는 라이브 스트리밍이 부각되고 있다. 사용자들은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 영상을 시청하며, 라이브 스트리밍 시청 전부터 시청이 끝나는 시점까지 다양한 내/외부 요인으로 인해 시청에 영향을 받는다. 시청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사용자들의 라이브 스트리밍에 대한 평가 기준이 되며 플랫폼 제작/기획자 등 플랫폼 관계자 입장에서 새로운 시청자 유입과 발굴 그리고 방송의 성패에도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라이브 스트리밍 시청에 영향을 주는 UX 요소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정성적 조사 방법인 심층 인터뷰를 통해 UX 요소를 발굴하고,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통해 UX 요소를 구조화하였다. 또한 정성적 방법으로 발굴 및 구조화된 UX 요소를 정량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진행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후원’, ‘스트리머’, ‘채팅’, ‘콘텐츠’, ‘플랫폼’, ‘취향’, ‘방송’이라는 라이브 스트리밍 시청에 영향을 주는 요인 7가지를 발굴하였다. 또한, 참가자들의 라이브 스트리밍 시청 유형을 ‘취향 추구형’, ‘킬링타임 형’, ‘스트리머 구독형’으로 분류하고 시청 정도를 저/중/고 시청 정도로 구분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발굴하였다. 이는 라이브 스트리밍의 시청 경험에 관련된 내/외부 요인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한 UX 요소의 발굴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Live streaming, which provides real-time videos among one-person media, is highlighted. Users watch various contents through live streaming, and they are influenced by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from the time of live streaming to the time of watch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viewing are the evaluation criteria for users' live streaming and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influx and discovery of new viewers and the success or failure of broadcasting from the platform officials such as platform production/planner.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UX elements that affect the live streaming viewing. UX elements were discove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hich ar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UX elements were structured through the affinity diagram. In addi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to quantitatively verify the UX elements that were excavated and structured by qualitative methods. As a result, seven factors affecting the live streaming viewing of 'sponsor', 'streamer', 'chat', 'content', 'platform', 'taste', and 'broadcast'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live streaming viewing types were classified into 'taste-seeking type', 'killing time type', and 'streamer subscription type', and the level of viewing was classified into low/ middle/ high viewing level,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discovery of UX elements including communication and internal/external factors related to the viewing experience of live streaming.

      • 당뇨병 환자에서 Acrysofⓡ 인공수정체 삽입술의 임상적 고찰

        임진섭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당뇨병 환자에 있어 Acrysof^� 인공수정체와 Polymethylmethacrylate (PMMA)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백내장 수술에 있어 시력개선 정도 및 합병증등을 비교하여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1996년 1월에서 1999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 안과에서 백내장 수술을 받았고 6개월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당뇨병 환자중 Acrysof^�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18명의 21안과 PMMA인공수정체를 삽입한 58명의 65안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수술 후 6개월째 최대교정시력은 Acrysof^� 인공수정체 삽입군은 14안(66.7%) 에서, PMMA 인공수정체 삽입군은 48안(73.8%)에서 0.5이상이었다. 수술 후 합 병증으로서 후낭혼탁은 Acrysof^� 인공수정체 삽입군이 7안(33.3%), PMMA 인공 수정체 삽입군이 32안(49.2%)에서 발생하여 Acrysof^� 인공수정체 삽입군이 PMMA 인공수정체 삽입군에 비해 적게 발생하였고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1). 수술 후 당뇨망막병증의 진행여부에는 Acrysof^� 인공수정체 삽입군 19.1%, PMMA 인공수정체 삽입군 29.2%에서 관찰되었으나 두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적으로 당뇨병 환자에서 백내장 수술시 Acrysof^�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경우에 PMMA 인공수정체 삽입시와 비교하여 인공수정체 자체에 의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하며, 후낭혼탁이 덜 발생하는 것으로 사료되나, 이에 대하여는 향 후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Acrysof^� intraocular lens(IOL) compared to PMMA IOL about visual acuity & postoperative complications(eg.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in diabetic patients. I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8 patients(21 eyes) which underwent cataract extraction with Acrysof^� IOL implantation and 58 patients(65 eyes) with PMMA (polymethylmethacrylate) IOL implantation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1999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ostoperativ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of above or equal 0.5 was 66.7% in acrysof^� group, 73.9% in PMMA group on 6 months. Postoperative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was 33.3% and 49.2% respectively,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group(p=0.021). The postoperative progression of retinopathy was 19.1% and 29.2% respectively. In conclusion, acrysof^� intraocular lens can be used safely and reduce the rate of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in diabetic patients, therefore it can make the positive effect on the treatment of the diabetic retinopathy after cataract surgery.

      • Solvothermal 합성법을 이용한 리튬이온전지용 양극 활물질 합성

        임진섭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LiM(M=Fe, Mn, Co)PO₄ with olivine structure as very promising electr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because of their energy storage capacity combined with lectrochemical and thermal stability, were synthesized by solvothermal process using various poyol mediums of ethylene glycol (EG), diethylene glycol (DEG), triethylene glycol (TEG) and tetraethylene glycol (TTEG) without any heat treatment of a post step. Especially, the LiFePO₄ nanoparticles synthesized using a polyol medium of diethylene glycol (DEG) at low temperature of 190~240, showed various results of carbon effect, morphology variation according as the conditions of precursor solution, and we could find the metastable phase that it was existed in medium stage during experiments according as reaction time with optimized condition of solution, and had a unique property with overcapacity of 185 mAh/g which exceed the theoretical capacity of LiFePO₄ material.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crystal structure of obtained powders, X-ray diffraction and Rietveld method were used. The particle morphology and crystalline orientation of particle were observed by field emission SEM, TEM. Also, it's electrochem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by 2032 coin cell. 비교적 높은 이론 용량과 우수한 열적 안정성 때문에 리튬 전지용 양극 소재로써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Olivin 구조를 갖는 LiM(M=Fe, Mn, Co)PO₄가 다양한 폴리올(EG, DEG, TEG, TTEG)을 이용하여 별도의 열처리 공정 없이 용매열 합성법에 의해 합성되었다. 특히 190~240 ℃ 온도 범위에서 diethylene glycol (DEG) 용매를 이용하여 합성한 LiFePO₄ nanoparticle 의 경우, 전도성 물질인 carbon 첨가에 따른 효과, 초기 solution 조건에 따른 반응 후 입자들의 morphology 변화 등을 관찰하였고, 그리고 최적화된 solution 조건에서 반응시간에 따른 실험에 의해 이론 용량을 초과하는 방전 용량을 구현하는 metastable phase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Sample들의 결정 구조 분석을 위해 X-ray diffraction과 Rietveld method를 이용하였고, Field emission SEM과 TEM을 이용하여 입자들의 형태와 결정학적 방향등을 관찰하고, 2032 coin cell을 통해 전기화학적인 특성들을 평가하였다.

      • 냉장고의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임진섭 안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a refrigerator and freezer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The feature include ability to monitor a food storage area on a continuous basis while store and display the result in various form such as graph, table, PDF and excel. Along with display and storing the data, the system was also designed to export the data into HACCP and Custom format. The temperature is measured by attaching the temperature sensor to the refrigerator and stored via XBee communication protocol to the server PC. Our algorithm was implemented successfully on server program, GUI of manager program, output format and communication protocol where temperature manager is Arduino-based and server is processing-based programming. After testing the missing data rate was 0.39% due to missing 3,275 of 832,445 cases. We believe that this missing rate will not affect the performance and operation of this system.

      •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운영 감리 프로세스 정립에 대한 연구

        임진섭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국의 인터넷 업체 아마존이 2006년 7월부터 아마존 웹서비스를 통해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고, 국내에서는 2008년 하반기부터 클라우드 컴퓨팅이 소개되기 시작하여, 최근 관련 서비스와 제품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또한 범정부 차원에서의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계획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도입을 고려하는 기관이 증가하고 있다.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는 기존의 물리적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가상 자원단위로 사용자에게 제공 및 회수하게 되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서비스는 업그레이드 되기도 하고, 더 이상 사용자의 수요가 없는 서비스는 폐기 되기도 하는 서비스 생명주기를 기반으로 운영된다. 이에 클라우드 인프라 환경에 대한 새로운 운영∙관리 방안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운영환경에 대해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도입 후 운영 감리를 위해 정보시스템 감리지침의 시스템운영 감리지침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운영 감리 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생명주기 전반에 대한 고려를 위해, 시스템 운영 감리 시점 보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감리영역에서 시스템 운영 감리 프로세스 개선에 대한 감리 점검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통합적 시스템 운영 관리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정보시스템 감리의 객관성, 편의성, 효율성 확보 및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제시된 감리점검항목에 대한 산출물을 통하여 객관성과 편의성을 부여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도입 이후 정보시스템 운영 감리 사업에 대해 객관적인 시스템 운영 감리 수행에 많은 적용이 예상된다.

      • 임원정보시스템(EIS) 사용자 만족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K社 임원정보시스템을 中心으로

        임진섭 東國大學校 經營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An executive information system(EIS) is a computer-based information system designed to provide executives access to information relevant to their management Activities. With such trends as globalization and intense competition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fast and accurate decision making, the use of EIS by executives may become a particularly important component of their decision-making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ceive the problem through empirical analysis on user satisfaction of EIS at K company, to suggest a course for the effective improvement of EIS at K company. The evaluation framework for analysis on user satisfaction of EIS i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on CSF(Critical Success Factors) and the evaluation item on user satisfaction. To accomplish this study objective,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methods a field survey and interview. Collected samples were total 32 data. The problem of EIS at K company to perceived as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 deficiency of the rapid offer for the impormation and A delay of the system reflection on an amendment items. 2) A deficiency of a variety output. 3) A delay of a reponse time 4) A deficiency of offer a variety external data 5) A deficiency of the plan for the future 6) A deficiency of the EIS expert and manager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EIS at K Company to suggestion as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dispose the EIS exclusive manager. 2) To offer the output of a variety formal. 3) To compose of the effective network system. 4) To offer for the user a variety external data to collected and analyzed. 5) To grope the development method for an elastic use of EIS. 6) To implementation the trust education for the developer of EIS. Recently, our bussiness is raising the concern of EIS and it's development. Well-made system and information can lead to increase frequency of EIS use and executives satisfaction. I think this study will be helpful fucture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EIS. The limi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are not enough sample data. 2) There are not concrete measurement scheme. 3) There are not enough to perceived the problem and improvement. Thus, future research is required to use larger sample size and more concrete measurement sche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