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트 프로펠에 입각한 미술 교수-학습 지도방안 연구

        임지훈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21세기의 지식기반사회에서는 학습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스스로 구성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력을 가진 인간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사가 지식을 주입시켜주는 전통적인 교수-학습방법에서 벗어나 학생이 주체적으로 자신의 경험을 재구성하는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으로 바뀌어야한다. 그리고 제 7차 교육과정의 선택교과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인해 고등학교 1학년까지만 미술 교육을 받는 학생들도 학교를 졸업한 이후에 미적 안목을 지니고, 미술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문화 소비자로 길러내기 위해서는 지금처럼 표현과 감상이 균형을 이루지 못한 미술 교육은 달라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아트 프로펠의 미술 수업방법을 우리의 미술 교수-학습 방법에 도입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 및 각 자료를 분석하여 아트 프로펠의 연구 기반인 다중지능 이론과 하버드 프로젝트 제로에 대해서 살펴보고, 아트 프로펠의 미술 학습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것을 바탕으로 아트 프로펠에 입각한 미술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지도안을 실행해 보고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여 아트 프로펠에 입각한 미술 교수 학습 지도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지능을 활용하는 수업은 미술에 흥미가 없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켜 적극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탐색한 자료를 바탕으로 자신의 표현 의도에 따라 재료와 표현기법을 학생 자신이 직접 선택하고, 자신의 작품에 반영하는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인 학습활동으로 문제 해결능력과 분석력,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표현, 이해, 감상의 순환적인 활동의 경험과 자기 작품과 다른 작품과의 비교를 통해 표현능력의 신장과 탐색한 내용의 전이를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고 미술 작품을 존중하는 태도를 길러줄 것이다. 넷째, 여럿이 토론하고 조사, 비평하는 활동을 통해 미술 비평 능력을 기를 수 있고, 민주적인 사고력과 공동체 의식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프로세스폴리오의 활용 방법에 대해 충분히 안내하여 활용한다면 표현력과 인지변화 등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어 교사의 평가 자료로서 만이 아니라 학생 자신의 발전 과정을 파악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학교 미술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기존의 표현 중심 또는 이론 중심의 감상수업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다양한 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표현과 이해, 감상을 통합한 미술 교수-학습 방법으로의 변화를 기대해 본다.

      • 고립된 전력계통에 풍력발전기 연계운전 시 전압변동 해석 및 보상

        임지훈 光云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향후 계통에 연결 될 풍력발전기의 투입으로 인한 고립계통의 전력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분석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 전압변동 해석을 쉽게 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삽시도의 10[kW] 풍력발전기를 포함하여 디젤발전기를 주발전원으로 활용하는 고립계통인 삽시도 계통을 연구대상으로 모델링하였다. 풍력발전기가 계통에 연계되어 유효전력이 출력되면 PCC의 전압이 변동하며, 이러한 전압변동은 풍력발전기 출력에 비례한다. 전압변동의 발생요인은 전원에서 PCC지점까지의 선로등가 임피던스의 크기와 풍력발전기 출력 전류의 곱의 형태로 표현 된다. 이러한 전압변동은 무효전력의 공급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필요로 하는 무효전력량은 풍력발전기 출력량에 비례한다. 본 논문의 10[kW]의 풍력발전기는 계통연계 시 문제가 발생할 정도는 아니다. 하지만 풍력발전기의 침투율이 증가한다면 전압변동을 줄이기 위해 풍력발전기는 고압에 연결하여 임피던스를 최소화 해야 한다. 이를 검증하는 방안으로 삽시도의 계통을 바탕으로 PSCAD/EMTDC 시뮬레이션과 실측데이터를 활용하여 제안된 전압변동 계산 방법과 무효전력을 이용한 보상방법이 타당함을 검증하였다. This paper proposed a simple and helpful analysis model of voltage variation in order to analyze data for improvement of power quality in an isolated grid, when a wind turbine connect in an isolated grid. To investigate the proposed analysis method, this paper modeled an isolated grid in Sapsi-Island in Korea. There has been installed a 10kW wind turbine and its output is connected to an isolated power grid, which is supplied by a local power plant with diesel generators. PCC voltage flucuate when the wind turbine outputs active power to an isolated grid. This voltage variation is proportional to the wind turbine output power. The voltage variation is the product of line impedance from diesel generator to PCC terminal and the wind turbine output current. One of the method to solve the problem of voltage variation is the reactive power control. The required reactive power is proportional to the wind turbine output power. There isn't any problem of voltage variation in terms of domestic standard for grid connection when a 10kW wind turbine is connected to an isolated grid in Sapsi-Island. But if the rated power of wind turbine increase, to mitigate the voltage variation problem which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for the application of high penetration wind farm in an isolated grid, the connection of the wind turbine to a high voltage side of an isolated grid for the reduction of voltage variation. To verify the proposed analysis model, this paper utilized and evaluated a simplified simulation model using PSCAD/EMTDC and the field measurement data of the voltage variation during the wind power generation.

      • 시간 인터리브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쓰이는 플립플롭을 기반으로 한 타이밍 스큐 교정 방법

        임지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a new method to calibrate the timing skew error that inevitably occurs in time-interleaved ADC is presented. The method presented in this paper calibrates the error with a simple structure, unlike [1], which requires a complex operation in the digital domain. Also, unlike [2] and [3], where hundreds of thousands of output data are collected and statistical values are calculated for calibration, errors are calibrated without separate calculations. The calibration circuit is a simple circuit with only two D flip flops, and it detects the polarity of timing skew and can detect even a small time difference of several hundred femto seconds. It was verified through various simulation methods such as behavior simulation using MATLAB, transient simulation and monte-carlo simulation. 본 논문에서는 Time-Interleaved ADC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timing skew error를 교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 제시된 방법은 디지털 도메인에서의 복잡한 연산이 필요하거나 [1], 교정을 위해 수 십만개의 출력 데이터들을 모아 통계적인 값을 구할 필요 없이 [2], [3]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timing skew error를 교정한다. 해당 교정 회로는 단 두 개의 D flip flop 만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회로로 timing skew의 극성을 탐지해내며, 수 백 펨토의 작은 시간 차이도 탐지해낼 수 있다. 매트랩을 이용한 behavior simulation, transient simulation, monte-carlo simulation 등 다양한 시뮬레이션 방법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일반적인 교정 방법처럼 복잡한 로직이나, 연산 처리 없이 간단하게 회로적으로 timing skew를 교정 해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 백석 시의 문채적 특성 연구

        임지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백석 시의 문채적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특히 벤야민의 알레고리 이론을 원용하여 알레고리⋅파편⋅몽타주⋅멜랑콜리라는 4개의 개념을 중심으로 각 시기의 문채적 특성을 분석하고 그 시학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백석에 대한 기존 연구를 개괄하면 대체로 전통성과 주체의 자기 서사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연구 경향은 백석의 시세계를 제대로 해명하고 이해하는 데 일정한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특히 예술작품으로서의 시학적 특성 즉, 시의 미학성에 대한 연구가 소홀하다는 점을 큰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본고는 기존 연구들이 관심을 갖지 않은 백석 시의 문채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백석 시의 구성 원리는 치환은유보다는 병치와 환유를 중심으로 알레고리를 형성한다. 시적 대상은 상실된 것들이 주종을 이룬다. 그리하여 백석 시는 경험을 알레고리 형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역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 가능성을 보여준다. 둘째, 『사슴』이후의 시에서는 평북 방언의 사용과 알레고리적 표현이 줄어드는 반면 현재성과 직정성(直情性)이 강화된다. 이러한 문채의 변화는 대상을 회상하는 성격이 약화됨으로써 나타나는 어조의 변화를 보여준다. 이런 변화에도 불구하고 백석 시의 바탕에는 멜랑콜리적인 태도가 깔려 있을 뿐만 아니라 대상을 탈취하고 재구성하는 몽타주 기법도 여전히 활용되어 백석 시의 토대로 작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같은 특성을 종합하면, 백석의 시편들은 구조적 차원에서 대체로 몽타주 기법과 유사한 특성을 보여준다. 이는 비매개적 유사성을 통해 시어들을 결합하여 충격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역사에서 소외된 파편들을 재구성하고 망각된 기억을 읽어내고자 하는 백석의 역사적 인식의 소산이기도 하다. 또한 문채적 특성의 변화 과정에서 도출된 유사성과 차별성에 대한 확인을 통해 알 수 있듯, 백석의 시세계는 결과적으로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발전적 성격이기보다 시의 구조적 다양성이 확장되어가는 양상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런 특성이 백석 시의 변별적 자질이자 우리 시사에서 백석 시가 차지하는 개성적 위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 고찰한 백석 시에 대한 문채적 특성은 백석 시의 파장(波長)은 물론이거니와 그 연구 지평도 더 넓히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1980년대 최승자, 이성복, 기형도 시 연구

        임지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spects of inner logic in contemporary Korean poetry in the 1980s, focusing on the works of Choi seung ja , Lee Seong bok, and Ki Hyeong do. Studies on works in the 1980s often paid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or the poet's private context, and the meaning of the works was often interpreted based on these foundations. However, specific signifiers appearing in actual works often imply extra meaning that cannot be interpreted with such a reducing stance, and a more detailed examination of the work's internal logic is required to interpret this. This paper unpacks the work of Choi seung ja , Lee seong bok, and Ki hyeong do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and make a close study logics of the meaning of the object in poetry in the 1980s by examining the aspects of 'love', 'salvation', and 'hope'.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the meaning of an object is determined by the speaker's perception. This means that the meaning of an object is not inherent itself in itself, but is composed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the subject. Therefore, even the same object is composed of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 time or point of view,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 and the subject affects such signification. In other words, it is not enough to analyze the meaning and composition of a work by considering the existing symbol system. Also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the process of change that takes place in between that the speaker's self-awareness and perception of reality and the aspect in which it is implemented must be sufficiently considered.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intends to interpret the works of the 1980s through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existing logic that know intuitively the meaning of objects and reality as a priori.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focus on the objects of 'love', 'salvation' and 'hope' that appear in the works of Choi seung ja, Lee seong bok, and Ki hyeong do, separately. These objects are captured in specific meaning that distinguishes the works of the above poets between other poets. In existing studies, it is true that the specificity and change patterns of such meanings were not sufficiently considered by accepting them to the historical context or the poet's private context, or by accepting them as the level of common sense. Considering from the perspective of dialectical reflection, owing to such objects operate in individual and specific meanings according to the time or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s self-awareness and reality perception appearing in the text. Therefore, in this study will examine the meaning of the object and its structure, paying attention to the aspects speaker's self-awareness and reality perception, and the expression patterns of them. In Chapter 2, Choi Seung ja's works, examined the meaning of 'love' and aspects of changes appearing in the poems published in the 1980s, 『Love of this Age』 and 『A Pleasant diary』 and 『The House of Memories』. The speaker's self-awareness and reality embodied through the grotesque style of expression take on different aspects as the works elapses, and in this process, the status of 'love' also changes. 'Love', which was established as a transcendent and absolute object beyond reality, is later transformed into a worthless object in the structure of reality, and finally, its status changed as one of the important objects which influenced the decision of the speaker's reality. change Such a change in the meaning of ‘love’ occurs due to a change in the speaker’s perspective on it, and it appears based on the change in the speaker’s self-awareness and reality perception. Chapter 3 examines Lee seong bok's works, focusing on the meaning and aspects of change of 'salvation'. In the midst of the chaos of reality, ‘salvation’, which expressed hope for order, has since changed its meaning centered on the other ‘mother’. In this process, ‘salvation’ is transformed from being dependent on others to being achieved through a subjective and autonomous attitude. The speaker's attitude toward his mother as an entity that embodies love and commitment soon acts as a mother of epistemological change, and through this, it was attempted to argue that the pattern of change in the poetic structure in Lee Sung-bok's poem should be interpreted through this change in perception. In addition, such a change in the speaker's perception also causes a change in the relationship with reality, suggests an interpretation of the differentiation of the object and its compositional meaning appearing in 『The End of That Summer』. In Chapter 4, It is divided on Ki hyeong do's works by years and examine the aspects of hope captured in them. In the early days, 'Hope' has a similarity to 'Spring day' as an ideal time and space presented by the mother. However, since then, 'hope' is constituted through the denial of the empirical content of 'Spring day', 'the time when all the sick are healed', and it is positioned as a distinct element from 'despair' triggered by the impossibility of the empirical content. Behind this change lies on the process of sharpening the speaker's perception of reality, which means the difference in the speaker's perception that exists between 『The Fog』 and 『Hope at 2 PM』.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new relationship with reality, urged by the change of perception and perspective, is embodied in the psalms published in 1989, and by this time, the speaker begins to expose the realistic worries about how to live from unconditional pessimism about the reality that cannot escape. As identified in the three poets, the meaning of the object is neither a priori nor fixed, and is constru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ime and point of view. Behind the principle of this composition, there are changes in the speaker's self-awareness and reality perception, and therefore, more careful consideration of these aspects is necessary in order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object. It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can provide an interpretation of the changes of the times in the 1980s and the changes in modern poetry that occurred in them. 본고는 최승자, 이성복, 기형도의 작품 가운데 1980년대에 발표된 작품의 양상을 중심으로 그 속에서 나타나는 사랑, 구원, 희망의 의미를 면밀하게 추적함으로써 이들 작품의 고유한 내적 논리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1980년대 작품에 대한 연구는 시대적 특징이나 시인의 사적 맥락에 주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작품의 의미는 이러한 토대를 바탕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실제 작품에서 등장하는 특정한 시어들은 이와 같은 환원적 태도로는 해석될 수 없는 의미의 여분을 함축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작품의 내적 논리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고는 최승자, 이성복, 기형도의 작품을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여기에서 나타나는 ‘사랑’과 ‘구원’, ‘희망’의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이들의 시에서 나타나는 내적 논리를 면밀하게 추적하고자 한다.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대상의 의미는 화자의 인식에 따라 결정된다. 이는 대상이 갖는 의미가 그 자체에 내속적인 것이 아니라 주체의 관점에 따라 구성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일한 대상도 시기나 관점에 따라 다른 의미로 구성되며, 타자와 주체의 관계가 그러한 의미화 작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작품의 의미와 구성에 대한 분석은 기존의 상징체계에 대한 고려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작품 속에서 구현되는 화자의 자기 인식과 현실에 대한 인식 및 그것이 구현되는 양상에 대한 고려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함을, 그 사이에서 일어나는 변화의 과정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가 주목하는 것은 최승자, 이성복, 기형도의 작품에서 각기 나타나는 ‘사랑’과 ‘구원’, ‘희망’이라는 대상이다. 이러한 대상들은 위의 시인들의 작품 속에서 다른 시인들과 구별되는 특수한 의미로 포착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를 시대적 맥락이나 시인의 사적 맥락으로 환원시키거나 혹은 상식적 의미의 수준으로 받아들임으로써 그와 같은 의미의 특수성 및 변화 양상에 대한 고려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변증법적 반성의 관점에서 고려할 때, 이와 같은 대상은 시기나 관점에 따라 개별적이며 특수한 의미로 작동하므로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속에 나타나는 화자의 자기 인식과 현실 인식의 관계를 면밀하게 검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때문에 본고에서는 화자의 자기 인식과 현실 인식, 그에 대한 표현 양상에 주목하면서 그로부터 대상이 갖는 의미와 그것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장에서는 최승자의 작품 가운데 1980년대에 발표된 시집 󰡔이 時代의 사랑󰡕과 󰡔즐거운 日記󰡕, 󰡔기억의 집󰡕에서 나타나는 ‘사랑’의 의미와 변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로테스크한 표현 양식을 통해 구현되는 화자의 자기 인식과 현실의 모습은 시집이 경과됨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아가며, 이 과정에서 ‘사랑’ 또한 그 위상이 변화한다. 현실 너머의 초월적이며 절대적인 대상으로 정립되어 있던 ‘사랑’은 이후 현실의 구조 속에서 무가치한 대상으로 변모하며, 최종적으로는 화자의 현실을 결정하는 데에 영향을 준 중요한 사물 가운데 하나로 그 위상이 변화한다. 이와 같은 ‘사랑’의 의미 변화는 그것을 대하는 화자의 관점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는 화자의 자기 인식과 현실 인식의 변화를 기반으로 하여 나타난다. 3장에서는 이성복의 작품을 ‘구원’의 의미와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현실의 혼란 속에서 질서에 대한 희구를 나타내던 ‘구원’은 이후 ‘어머니’라는 타자를 중심으로 그 의미가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 과정에서 ‘구원’은 타자의존적인 형태로부터 주체적이며 자율적 태도를 통해 성취되는 것으로 전환된다. 사랑과 헌신을 체현하는 존재로서의 어머니에 대한 화자의 태도는 곧 인식론적 변화의 모체로 작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이성복의 시에서 나타나는 시적 구조의 변화 양상은 이러한 인식의 변화를 통해 해석되어야 함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이와 같은 화자의 인식의 변화는 현실과의 관계에서도 변화를 불러일으키며, 이는 󰡔그 여름의 끝󰡕에서 나타나는 대상의 분화와 구성적 의미에 대한 해석을 제시한다. 4장에서는 기형도의 발표작을 연도별로 나누고 그 안에서 포착되는 희망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초기에 ‘희망’은 어머니에 의해 제시되는 도래할 이상적 시공간으로서의 ‘봄날’과 유사성을 가진다. 하지만 이후 ‘희망’은 ‘모든 아픈 이가 낫는 시간’이라는 ‘봄날’의 실정적 내용에 대한 부정을 통해 구성되는 것으로써, 실정적 내용의 불가능성으로부터 촉발되는 ‘절망’과 대별되는 요소로 자리 잡게 된다. 이와 같은 변화의 이면에는 화자의 현실 인식이 첨예화되는 과정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는 「안개」와 「오후 2시의 희망」 사이에 존재하는 화자의 인식의 차이를 의미한다. 인식과 관점의 전환에 따라 촉구되는 현실과의 새로운 관계 맺기의 가능성은 1989년에 발표되는 시편들에서 전면화되는 양상을 보이며, 이 시기에 이르러 화자는 벗어날 수 없는 현실에 대한 무조건적 비관론으로부터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라는 현실적 고민을 노출하기 시작한다. 세 시인에게서 식별되듯 대상의 의미는 선험적인 것도, 고정적인 것도 아니며 시기와 관점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원리 이면에서는 화자의 자기 인식과 현실 인식의 변천이 존재하며, 때문에 대상의 의미를 따져보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측면에 대한 더욱 면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다. 이와 같은 연구는 앞으로 더욱 본격화될 1980년대 작품 연구에 있어 해석의 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사건 아카이브의 개념과 특성에 관한 연구 :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례를 중심으로

        임지훈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sets up the concept of the Event Archives in collecting, managing, and using the event records, because it needs to manage them in another way which connote a variety of interpretations. By contemplating sociological theory about the event, it is study that draws a definition, constituents, and feature of the Event Archives, and applies these to a case, Donghak Peasant Revolution Foundation collecting, managing, and using the records in Korea internally. In this study, the Event Archives is defined as ‘the records produced from the activity result of the concerned persons and observers within its time and space, or the institution collecting, managing, and using the records. It is composed of 3 constituents, i.e. person, space, and time, each having levels of various interpretations. So the Event Archives’ user can encounter various interpretations about the event through the records. But these various interpretations necessarily make conflict. For this diversity, the Event Archives must mediate a dispute by viewing the event objectively and collect the records with various viewpoints for user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event variously. In order to verify the concept of the Event Archives, this study analyzes a case by using methodologies: content analysis,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Consequently, it can figure out that the Foundation has the feature of the Event Archives: mediation and diversity. First, the Foundation does a mediating role by collecting the records and promoting the project related to the event. It tries to close a gap between interpretations of the past by collecting, managing, and using the records with a variety of viewpoints. It also tries to close a gap between interpretations of the present by providing the place of compromise to be able to mediate different opinions among the institutions related to the event, for example holding a commemoration meeting, or a project enhancing the spirit of revolution. Second, the Foundation takes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event reflected in its constituents and terms. Using the archival matrix, this study can figure out the diversity of constituents in the records, and analyzing terms of the event in the records, it can figure out to call name variously. So it knows that the Event Archives does a role as a place to collect the records and coexist with a variety of interpretations. I hop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cademic world as follows. First, a small scale museum, archives, or memorial hall collecting and managing the records will establish their own identify and an obvious reference point on collecting the records. Second, the Event Archives will make mutual exchange among the persons concerned and observers, especially researchers. And this will make ‘Narrative Truth’ to rise to the public. Third this study will provide the new frontiers to an existing archives and archivists by drawing the feature of the Event Archives: mediation and diversity. Finally, this study will be the basic research on the Event Archives. Hopefully, the Event Archives copes with mission to collect and manage the records being not eliminated for the future researchers.

      • 전압 불평형을 포함한 전력계통 연계 시 분산전원용 계통연계 인버터의 전류용량을 고려한 전압보상 연구

        임지훈 광운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분산전원의 출력으로 인하여 PCC의 전압변동문제가 발생하며, 특히 약계통에서 두드러진다. 때문에, 분산전원을 계통에 연계하는 용량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 분산전원의 연계로 인한 또 다른 전력품질의 문제는 전압 불평형으로써, 단상 부하나 단상의 분산전원연계로 인해 발생한다. 또한, 최근 그리드 코드에서는 계통의 불평형 사고시에도 분산전원이 LVRT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만약, 불평형 전압을 포함한 PCC에 분산전원이 연계될 경우 전압변동으로 인해 전압의 최대 혹은 최소 범위가 안정한 전압영역을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상분 무효전류를 통해 전압의 변동을 억제하고 역상분 전류를 통해 전압 불평형을 상쇄하는 분산전원의 보상기능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버터의 전류정격내에서 보상 알고리즘이 실행되기 때문에 세가지 성분 즉, 인버터의 정상분 유효전류, 정상분 무효전류, 역상분 전압을 줄이기 위한 역상분 전류의 전류제한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만약 분산전원용 인버터가 이 세 성분을 모두 출력하지 못하는 경우에 전류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각 성분의 전류지령을 수정하였다. 예를 들어, 정상전압범위에서는 발전된 유효전력이 최우선 순위를 가지며, 상황에 맞는 보상 전략에 따라 보상성분이 재조정되어야 한다. 이는 PCC 전압을 안정적인 전압운전 범위로 줄이기 위해 알맞은 보상값을 산정하기 위함이다. 알고리즘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실행하였다. The voltage variation at the PCC (point of common coupling) due to the power output of a DG (distributed generation) can be a problem especially when the DG is connected to a weak grid. Sometimes the capacity of the DG connecting to a existing grid line is limited because of the problem of voltage variation at PCC. Another issue for the power quality at PCC is the voltage unbalance factor because more single phase loads and/or more single phase generation systems are being connected to the grid. Even during the unbalanced grid fault, it is required that the DG play an active role in addition to the low voltage ride through (LVRT) capability in recent grid codes. If the voltage variation from the DG is added to the unbalanced grid voltage at PCC, the maximum and/or the minimum voltage is more likely to exceed the limit value of stable operation. Therefore a new algorithm for a DG inverter is proposed in which the voltage variation from DG can be canceled by the positive sequence reactive current output and the voltage unbalance can be reduced by negative sequence current injection with proper calculation of negative sequence voltage. Within the limit of current rating of the inverter, three components of current reference are calculated in the proposed algorithm. The positive sequence active current for the power generation, the positive sequence reactive current for the cancelation of the voltage variation and a negative sequence current vector for the reduction of unbalanced voltage are those. If the capacity of the DG inverter is not enough to generate all these three components of currents, current references are modifie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priority in the proposed algorithm. For example, the generated active power has higher priority and the rest of currents can be assigned to the positive sequence and the negative sequence compensation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ompensation strategy. Because the achievable amount of the compensation can be modeled in advance we can choose a better control strategy to maintain the PCC voltage within the limit of stable operation. The validation of proposed algorithm is shown by simulation results and experimental results.

      • Cassandra의 침입 탐지를 위한 포렌식 기술에 대한 연구

        임지훈 서강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빅데이터가 등장하면서 트래픽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단일서버에서 실행하도록 설계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는 장비의 성능이 좋을수록,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직적 확장(Scale-up)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적인 트래픽 처리를 위해 데이터의 일관성을 약간 포기한 대신 여러 대의 컴퓨터에 데이터 분산하여 저장하는 수평적 확장(Scale-out)을 할 수 있는 NoSQL DBMS가 개발되었고, 현재 사용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기존 사용량이 많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파일 구조 분석, 포렌식 기법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NoSQL DBMS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NoSQL 데이터베이스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는 달리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기존과 다른 포렌식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같은 NoSQL DBMS에서 Key-Value, Document, Graph, Wide Column 등 다양한 데이터 모델이 존재하고, 같은 데이터 모델을 사용해도 DBMS 종류마다 데이터 저장 형태, 로그 파일, 메모리 영역 사용 여부 등이 다르기 때문에 각 DBMS에 적합한 디지털 포렌식 절차 적용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NoSQL DBMS 중에서 사용량이 많고, Wide Column 데이터 저장 방식 및 메모리 영역을 사용하는 Cassandra 디지털 포렌식 기술에 대한 DBMS 구조 분석 연구를 통해 디지털 포렌식 절차와 기법에 대해 소개한다. Cassandra는 휘발성이 강한 메모리 영역을 사용하며, 운영 환경 및 환경 설정에 따라 휘발성이 강한 데이터를 확인해야 할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신속하게 포렌식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Cassandra에서 디지털 증거를 수집하기 위한 파일, 로그, 메모리 등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포렌식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기존 연구가 진행된 MongoDB, Redis와 비교 분석하여 Cassandra만의 포렌식 절차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포렌식 수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에탄올에서의 레이저 어블레이션을 이용한 헤마타이트와 마게마이트 입자의 동시제조와 폴리피롤의 코팅

        임지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화철은 생체재료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 되고 있으며, 고분자와 코어/쉘 (Core/shell) 구조를 이뤄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탄올 하에서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pulsed laser ablation)을 이용하여 순수한 헤마타이트 (hematite, α-Fe₂O₃) 타겟에서 헤마타이트와 마게마이트 (maghemite, γ-Fe₂O₃) 입자를 동시에 제조하였으며, 후에 폴리피롤 (polypyrrole, PPy)을 코팅하여 산화철과 폴리피롤의 코어/쉘 구조를 매우 간편하게 만들었다. 각기 다른 헤마타이트와 마게마이트 입자의 분포는 타겟이 에탄올에 잠겨있는 깊이를 조절하여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균일한 두께의 폴리피롤로 코팅 된 코어/쉘 구조는 수용액 하에서 전도성 고분자의 동일 현장 증착 (in situ deposition)에 의해 제조 할 수 있었다. Core/shell particles of hematite (α-Fe₂O₃) and/or maghemite (γ-Fe₂O₃) coated with conductive polypyrrole (PPy) have been successfully prepared by a pulsed laser ablation in ethanol and subsequent surface coating of PPy. Relative ratio of hematite to maghemite in the obtained Fe₂O₃ particles can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depth of the hematite target from the ethanol surface during pulsed laser ablation process. Hematite and maghemite particles were subsequently coated by conducting PPy layer with tunable thickness by in-situ deposition of the conducting polymer from aqueous s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