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육계 성폭력의 법적 제재에 관한 고찰

        임주연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2019년 쇼트트랙 국가대표 선수가 수년간 상습 성폭행 행위를 당한 사실을 폭로하며 코치를 강간상해 등의 혐의로 고소했다. 이를 시작으로 유도, 양궁 등 체육계 미투 운동이 이어졌다. 국회는 곧바로 가해자 처벌강화 및 재발 방지를 위한 개정안을 마련했으며, 정부는 민관합동 조직인 스포츠혁신위원회를 출범시켜 7차 권고안까지 마련했다. 하지만 여전히 체육계 성폭력은 ‘그들만의 카르텔 속’에서 끊이질 않고 있다. 체육계 성폭력은 선수와 지도자 그리고 선·후배 간 얽힌 조직에서 선수 생활뿐만 아니라 직업과 향후 진로까지도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당사자 외 동료 등 조직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즉시 문제를 제기하기 어렵다는 특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신고를 한다 해도 그들만의 카르텔로 인해 제대로 된 처벌까지 이어지지 못한 채 솜방망이 처벌로 끝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2019년 국회에서는 체육계 미투 운동으로 여러 입법이 마련되었다. 예를 들어 당시 쇼트트랙 국가대표 미투 운동 이후, 성폭행 방지 교육을 필수적으로 이수하도록 하고 신체적 폭행을 가한 행위로 형이 확정되면 지도자 자격을 영구 박탈하는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안이 마련되었고, 스포츠 공정성 확보를 위한 스포츠윤리센터를 설립하도록 하는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안 또한 발의돼 여야 합의를 거쳐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해당 개정안은 체육계 성폭력을 근절하기 위한 해법으로 제시된 것이었다. 하지만 지금도 체육계 성폭력은 끊이질 않고 있다. 이는 국회와 스포츠혁신위원회에서 권고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독립 법인인 스포츠윤리센터를 설립했지만, 스포츠윤리센터는 강제조사권과 처벌 권한이 없기 때문이라는 등의 여러 지적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체육계 성폭력 범죄 근절이라는 목표를 바탕으로 먼저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방법과 범위를 설명하고(Ⅰ), 체육계 성폭력의 의의와 실태를 살펴보고자 한다(Ⅱ). 이어서는 체육계 성폭력과 관련된 법과 제도를 점검한 뒤(Ⅲ), 이를 해외 법례와 비교분석(Ⅳ)을 할 것이다. 그리고 국회와 정부의 개선방안과 그 한계점을 검토한 뒤, 가해자 법적 책임 강화 제언과 피해자 보호 및 지원에 관한 개선방안을 제시(Ⅴ)하고자 한다. 끝으로는 현 정부가 체육을 통한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현 정부에게 바라는 점(Ⅵ)으로 마무리했다. A Korean national short track skater accused the coach of rape and injury in 2019, disclosing the fact that she had suffered from repetitive sexual violence for years. With the beginning of it, there continued 'Me Too' Movement in the sports circles including Judo and Archery. The National Assembly established the revised bills for strengthening the punishment of sexual assaulters and preventing the reoccurrence of the crime, at once. The government launched the private-public joint organization Korea Sports Innovation Board to suggest the 7th recommendation. However, ceaseless sexual violence in the sports circles has still remained in 'its exclusive cartel.' One characteristic of sexual violence in the sports circles is that it can not only affect sports players' individuals but also even their occupations and careers of the future, in the whole complex organization of players, leaders, seniors, juniors, and teammates, which makes it hard to pose the problem, immediately. Another characteristic of it is that sexual violence often leads to a slap on the wrist without proper punishment caused by its exclusive cartel, even though the crime is being reported. With 'Me Too' Movement in the sports circles, the National Assembly established a lot of legislations, in 2019. After 'Me Too' Movement of the Korean national short track skater, back then, a revised bill of National Sports Promotion Act was devised that education on sexual violence prevention is supposed to be taken and any leader who is sentenced for physical violence shall be banned for life. Another revised bill on the establishment of sport ethics center for sports fairness was suggested and passed at the National Assembly's plenary session, through the agreements between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The bills were presented as the solution to eradicating sexual violence in the sports circles. Yet, there is an unending stream of sexual violence in the sports circles. It was pointed out that this problem results from the absence of a right of compulsory investigation and punishment in sports ethics center, the independent corporation, under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to define (Ⅰ) the significance of sexual violence in the sport circles, firstly, with the aim to root out the sexual violence crime, and then to investigate the speciality and limit of method of sexual violence in the sports circles (Ⅱ). Secondly,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legal status in order to strengthen the punishment of sexual assaulters in the sports circles and protect victims.(Ⅲ). Third, it is to compare between the applications of laws as to punishment for sexual violence in foreign sports circles (Ⅳ). Lastly,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methods for reinforcing legal responsibility of sexual assaulters in the sports circles and improving sexual violence, in order to stamp out the problem with sexual violence in the sports circles, and furthermore to consider the improved measures (Ⅴ) for protecting and supporting victims.

      • 웹 사이트 특성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평가에 관한 연구 : 비서직 종사자와 비 비서직 종사자의 비교 실증분석

        임주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rapidly changing 21 century's information society, a lot of organization have propelled informationized offices and recently the uses of Intranet inner offices and Internet outer offices have been extended. Especially, Internet as a global network is widely used in information search and task performance. Secretaries also can do their information management role efficiently through Internet. There are a lot of merits of using Internet, however, secretaries actually confused in random of web sites and mis-constructed information. Nowadays, many Web site Ranking Institutes and Evaluation Associates do 'overall evaluation' on web sites based on their own evaluation dimension or criteria to find out good web sites for user. But if web site is designed as per user features and web site characteristics before evaluations and have a certain purpose. sound and effective information search and task performance will be accomplish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effects of user interface to secretaries group and non-secretaries group empirically according to web site characteristics and also to provide the interface prototype which is suitable for the task characteristics of people in secretariat. To achieve these goals, in the review of collected literature on the type of web sites, to make this study complete in respect to user point of views, three man aspects of classification were extracted to this focus research-information, products, services providing web sites as evaluation objects. And through a intensive literature review in precede study on user interface and domestic and foreign evaluation dimension, the major interface evaluation criteria were extracted for this study. As web sites for evaluation objects were selected from 100hot(American Web site Ranking Institute) according to the stated 3 classification. In fact, this study choose 30 web sites in each of 3 classification, total 90 web sites. To specify methodology of this study involved a panel of 10 volunteer (secretaries panel group and non-secretaries panel group) an they assessed 90 web sites and evaluated web sites according to the stated user interface criteria (itemized 64details) questionnaire under the researcher's experiment control. To achieve the purpose,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interface evaluation between secretaries group and non-secretaries group on the each of information, products, services providing web sites would be different meaningfully. Second, two site evaluation(ranking) would be different meaningfully. Third, there exists interface factors to influence statistically on the whole web site evaluation.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for window 8.0 version program. Cronbach alpha value for reliability of questionnaire, paired-samples t-test,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each of information, products, service providing web sites, the interface evaluation between secretaries group and non-secretaries group had meaningful differences statistically. Second, secretaries group indicated much higher correlation in the degre of similarity between the interface evaluation(ranking) and the whole web sites evaluation(ranking) than non-secretaries group in all 3 web sites classification. Third, there existed interface factors to affect the whole web site evaluation in secretaries group. In fact, in the information and services providing web sites, robustness factor was indicated and in the product providing web site, economics facto was indic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systematic and integrated way to implement by trial prototype suitable for the secretaries's task characteristics. This prototype composed of robustness and economics interface factors. The robustness interface in web site was designed to develop the secretarial practice in boss's hotel room reservation system and also he economics interface in web site suggested web implementation skills and was designed to improve the secretarial practice in office furnishings purchasing task. this prototype can be utilized to deal with secretaries' web site task more efficiently. The expected effects of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study and prototype for the task characteristics of secretaries as follows, First, it provides the fundamental materials for developing web site for secretaries group. Second, it will be used the adaptation and production of web site and affects secretaries's task improvement and job satisfaction. Third, it helps web builder, designer and establisher for check list to make web sites for secretaries. Fourth, it can be reference for secretarial science student and secretaries group to make a web site for themselves. Fifth, effective using is also developed, create, store and retrieve the secretaries's task in the aspects of costs, time and profits. And last, productivity and profits of the secretaries's task performance effectiveness give the opportunity for development in personal and organization and continuously application.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21세기 정보사회 속에서 많은 조직들은 계속해서 사무의 정보화를 추진하고 있다. 최근에 조직 내부에서는 인트라넷을, 외부와의 교류는 인터넷을 통해 업무를 처리하는 경향이 확산되고 특히 전세계로 연결되는 인터넷을 통한 정보습득과 업무수행은 날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지구 최대의 네트워크인 인터넷을 통해 비서는 정보관리자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담당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비서의 인터넷 활용에 있어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난립하는 웹 사이트와 정보의 홍수 속에서 비서는 업무수행의 혼란과 비효율을 가져올 수 있다. 현재 많은 평가기관들이 사용자들을 위한 좋은 웹 사이트를 선별하기 위해 웹 사이트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하고 이에 따라 웹 사이트 순위를 매기고 있다. 하지만, 웹 사이트 평가에 앞서 웹 사이트 설계나 제작시 사용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어떤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설계된 웹 사이트라면 사용자의 올바르고 효율적인 정보습득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웹 사이트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라는 지적실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사용자-인터페이스란 정보를 습득하는 과정을 쉽고 편리하게 하여 사용자에 대한 정보활용의 효율을 극대화 하는 것이다. 이어 본 연구의 목적은 웹 사이트 특성에 따라 인터페이스가 비서직 종사자와 비서직 종사자 집단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결과에 따라 사용자 특성에 맞는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Prototype)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웹 사이트 유형을 정보제공, 재화재공, 서비스제공 사이트 3분류로 나누고 웹 사이트를 인터페이스 관점에서 정립한 선행연구와 국내외 웹 사이트 주요 평가영역에 대한 탐색적 조사를 바탕으로 주요 인터페이스 평가요인을 추출하였다. 평가대상인 퓁 사이트는 미국 순위 평가기구인 100hot(http://www.100hot.com)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 중 3가지 분류별로 각각 비서들이 업무특성상 많이 사용하는 웹 사이트를 30개씩 총 90 개를 선정하였다. 평가자는 현재 비서업무를 하고 있는 비서직 종사자 패널과 비서직 분야 교육을 받지 않고 일반적인 특성ㅇ르 가진 비 비서직 종사자 패널 모두 10명이었다. 평가항목은 앞서 설명한 평가요일별로 개발된 64문항의 인터페이스 세부측정항목이었다. 각 패널들은 90개의 웹 사이트에 직접 방문하여 각 항목당 리커트(Likert) 5점 척도로서 평가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for window 8.0을 통해 통계처리하였다. 실증분석은 평가문항의 신뢰성 검증을 위한 크론바하 아파계수 분석, 가설의 검증을 위한 대응표본 T-test 검정과 Spearman을 이용한 상관관계분석 및 단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심층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정보제공, 재화제공, 서비스제공 웹 사이트 각각에 대한 비서직 종사자와 비비서직 종사자 두 집단간 인터페이스 평가에는 서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인터페이스 평가결과(순위)와 기존 웹 사이트 전체평가(순위)와의 유사상관관계에는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비서직 종사자가 비 비서직 종사자보다 정보제공, 재화제공, 서비스제공 웹 사이트 모두 유사성(degree of similarity)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비서직 종사자 집단에 있어 기존 웹 사이트 전체평가(순위)를 예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평가요인이 나타났다. 정보제공, 서비스제공 웹 사이트는 견고성 요인이 제화제공 웹 사이트는 경제성 요인이 높을수록 전체평가(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비서직 종사자의 업무특성에 따른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상사의 출장업무와 관련하여 호텔 객실예약 시스템의 견고성 인터페이스를 제시하였고 비서의 비품구매업무와 관련하여 사무가구 구입 시스템의 경제성 인터페이스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호텔 객실예약 시스템의 견고성 인터페이스는 비서의 예약업무에 따라 다음 작업을 예측하여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고 항공, 카렌탈, 다른 교통편 및 기타 호텔과 연계되는 예약시스템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였다. 예약 업무수행에 있어 비서가 혼란에 빠지지 않도록 예약관련 도움말과 FAQ를 제시하여 사용방법의 이해를 돕고 사용에 따라 웹 사이트가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정확한 피드백을 얻도록 하였다. 또한, 모든 예약업무 완료시 원하는 업무목표와도 일치하였음을 알려주는 확인 메시지를 통해 업무수행의 안정감을 주었다. 사무가가구 구입 시스템의 경제성 인터페이스는 불필요한 웹 기술이나 동영상 기술을 배제하고 첫 화면에 검색엔진과 다양한 고객 정보 및 best seller 상품을 전시하여 비서가 원하는 상품을 한번에 검색함으로서 업무 수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품 이미지와 레이아웃도 빠르게 전송되도록 이미지 삽입시 Lowers 태그과 Preload 이미지를 사용하엿다. 또한, 웹 페이지의 로딩속도로를 향상시키기 위해 배경색은 단색처리하고 페이지 레이아웃은 주로 텍스트와 표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실증연구 결과와 비서직 종사자의 업무특성에 따른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에서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 집단에 따른 인터페이스 개발의 기초자료가 된다. 둘째, 비서가 고객인 웹 사이트 개작이나 제작시 활용되어 비서의 업무효율을 높인다. 셋째, 비서를 대상으로 새로 창업하고자 하는 웹 사이트 구축자나 제작자, 개발자의 체크리스트 역할을 할 수 있다. 넷째, 비서관련학과 학생들과 비서직 종사자들이 웹 빌더(Web Builder)로서 웹 사이트를 구축할 때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다섯째, 비서의 업무수행시 시간과 비용절감에 효율적이다. 여섯째, 비서의 업무효율을 통해 얻게 되는 간접적인 수익성과 생산성은 개인이나 조직의 발전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웹 사이트 사용자를 업무특성상 동질집단인 비서직 종사자와 비 비서직 종사자로 구분하여 집단간 인터페이스 평가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밝히는 실증적이고 계량적인 첫 번째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웹 사이트를 평가함에 있어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두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특성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중요성을 실증하였다. 이는 학문적인 측면에서도 사용자 집단별 인터페이스 개발의 기초 연구자료 및 비서직 종사자의 업무수행과 관련한 웹 사이트 개작 또는 구축에도 활용되어 비서의 업무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 정년퇴직준비프로그램이 대기업 생산직 근로자의 퇴직 후 삶의 기대와 불안 및 퇴직준비도에 미치는 효과

        임주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ffect of Pre-retirement Program on Conglome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e-retirement program on conglomerate production worker's retirement expectations, anxiety and preparations for retirement. The hypothese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re-retirement program will have positive effect on retirement expectations for conglomerate production worker. 1-1. The Pre-retirement program will reduce 'Expectation for Rest' among the retirement expectations for conglomerate production worker. 1-2. The Pre-retirement program will increase 'Expectation for Continuing' among the retirement expectations for conglomerate production worker. 1-3. The Pre-retirement program will increase 'Expectation for Completion of Career' among the retirement expectations for conglomerate production worker. 1-4. The Pre-retirement program will increase 'Expectation for New beginning' among the retirement expectations for conglomerate production worker. 1-5. The Pre-retirement program will reduce 'Expectation for Imposed frustration' among the retirement expectations for conglomerate production worker. 2. The Pre-retirement program will mitigate the level of anxiety for retirement for conglomerate production worker. 3. The Pre-retirement program will improve the preparations for retirement for conglomerate production work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prospective retirees of 'A' company who are all production workers. Among them, 25 prospective retiree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25 prospective retiree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In a separate incident, the survey of demand for Pre-retirement program was taken into 219 from same company. The scales of Retirement Expectations translated and reorganized by Lee, Jung Ui, Anxiety for retirement translated and reorganized by Kim, Hyang Un and Preparation for retirement developed by Kim, Nam suk were used as measuring tools in this study. To verify the hypotheses, each of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methods of ANCOVA with covariance variable, pre-test scores employing SPSS/WIN version 14.0.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for hypothesis testing was set at .05.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the Pre-retirement program doesn't have positive effect on overall retirement expectations except "Expectation for Continuing'. Providing in detail, 1-1. The Pre-retirement program doesn't reduce 'Expectation for Rest' among the retirement expectations 1-2. The Pre-retirement program increases 'Expectation for Continuing' among the retirement expectations 1-3. The Pre-retirement program doesn't increase 'Expectation for Completion of Career' among the retirement expectations 1-4. The Pre-retirement program doesn't increase 'Expectation for New beginning' among the retirement expectations 1-5. The Pre-retirement program doesn't reduce 'Expectation for Imposed frustration' among the retirement expectations. Second, This study shows the pre-retirement program mitigates the level of anxiety for retirement Third, This study shows the pre-retirement program improves the preparations for retirement

      • 도자제 다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백자의 형태와 문양을 중심으로

        임주연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문개요 우리나라의 차 문화는 삼국시대 말기 중국으로부터 불교 문화의 도입과 함께 전해져 신라 말기와 고려 시대에는 차 마시는 관습이 군신의 연회, 연등회 팔관 회 등의 왕실에서도 행해졌으며 귀족뿐만 아니라 승려, 평민들에게 확산되어 매 우 번성하였다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불교 문화의 쇠퇴와 함께 일반인들의 관 심에서 멀어지면서 학자들이나 승려들에 의해 그 명맥을 이어왔다. ) 후 1980년대부터 전통문화의 계승과 보급으로 차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갔 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속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현대인들에게 마음의 여유와 안정을 찾으려는 노력이 많아지면서 여가 생 활 속에서 차 문화가 더욱 발전되어가고 있으며 이에 다기의 수요 또한 증가하 였다 또한 현대 생활 속에서 우리의 전통적인 한국적 미보다는 외래의 미적 가치를 더 높이 보는 경향이 많아지면서 우리의 차를 마시기 위한 다기의 형태보다는 커피나 홍차를 담고 마시기 위한 형태가 더 많은 실정이다. 이에 조선 백자의 친근함과 여유롭고 너그러운 형태와 문양에 관심을 가지고, 급증하는 현대인들의 차 문화에 대한 관심과 취향에 맞으면서도 즐거운 실용적 인 다기를 디자인하여, 우리의 심성에 내재되어 있는 전통 의식을 이끌어 내고 다른 문화와 구별되는 아름다운 한국미를 이어나가 우리의 고유한 미를 찾아내 어 도자제 다기 제작에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한국 조형미를 살펴보고 조선 백자에서 느낄 수 있는 자연 스러움과 너그러움의 미학적 형태와 장생, 길상, 부귀영화, 기복, 다산 등 기윈적 인 내용의 문양을 연구하고 조선시대 백자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문양을 알아보 고 그 의미와 쓰임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국내외 발표된 학술논문과 전문 서적 등의 자료를 연구하였다. 또한 조선시대의 차 문화와 다기 도구에 대해 살펴봄으 로서 현대의 차 문화의 재정립과 새로운 다기 디자인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하 였 다. 표현 방법에 있어서는 조선 백자의 풍만한 형태와 문양을 결합함으로서 전통적 인 아름다움을 더욱 강조하였다. 작품 구성에 있어서는 점차 현대 가정에 있어서 자녀의 수가 감소하고 핵가족 화가 되어가면서 부부 중심의 생활 양식이 많아지고 있다 또한 문명이 발달하면 서 산업적 현대화를 지향하게 되자 현대인들은 차 생활도 절차가 간편하고 쉬운 것을 선호하게 되면서 현대인의 생활 방식과 특성에 부합되는 』인 다기 세트를 구성하여 주전자, 찻잔과 잔받침 그리고 차를 담아드는 차호를 한조로 제작하였 다. 제작방법에서는 전통적이고 수공예적인 이미지를 살리기 위해 물레 성형을 기 본으로 하고 손잡이와 부리 등은 가압성형을 하였다. 태토는 백토와 산백토, 산 청토, 세인토를 이용해서 다양한 흙의 느낌을 살리고자 했으며 유약은 태토의 특 지을 잘 나타낼 수 있는 투명유, 백잭무광유, 흑유, 베이지잭유, 재유, 오트밀유 등의 다양한 유약을 만들어 사용하였고 시유 방법으로는 담금 시유와 분무 시유 를 해서 섬세함과 자연스러움을 강조하였다. 1차 소성을 0.Sm' 가스 가마에서 최고 온도 800'E로 8시간 소성 하였으며 』차 소성은 0.Sm' 가스가마에서 최고 온도 1350'E로 If시간 동안 환윈염 소성 하였 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의 도자기는 단순한 사물이 아닌 우리의 의식과 심성이 만들어낸 형태임을 알 수 있는 좋은 계기였고, 조선 백자의 풍만하고 자유로운 형태와 문양의 아름다움은 실용기 제작에 있어서 훌릉한 소재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외형적 요소만이 아니라 공예의 실용적인 미를 더불어 개 발하여 현대인들에게 쓰기 편하고 아름다운 다기를 만들고자 하였으며 점차 서 구화되는 현대인들에게 아름다운 우리 공예를 알리고 우리의 차 문화에 대한 대 중들의 더욱 깊은 관심을 도모하며 많은 후진들의 연구를 기대한다 The tea dnnklng culture, together with Buddhism, was introduced into Korea by China towards the end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 period which characterized the integrated govenlance of the three kingdoms Kokurye, Baekjae and Shilla). The custom became especially popular doring the close of the Shilla dynasty and at the height of the Korye dynasty; they were served doring coremonies hosted in the royal courts, such as doring the Yunhoi, Yundeunghoi and Palgwanhoi. Moreover, the practice began to spread from the royal palaces to the noble gentry, among Buddhist monks, and to the common people. Notwithstanding, dorIng the Chosun dynasty, the tea drInking culture began to lose its generat popularity. Thus, the customs of tea drinking survived owing to its continued practice among a think population of scholars and Buddhist monks. The appreciation for tea drinking exporienced a resurgence, however, in the 1980s, when the Korean society launched a campaign to preserye its traditional cultures. Today, traditional teas have regained popularity in the stress and anxiety-ridden modern society, many people have begun to seek relaxation and tranquility in a cup of oriental tea. Not only has tea drinking been taken up as a leisurely activity, but the culture of tea drinking has been further onriched in the process. Recently, the rising demand for, and popularity of tea drinking has contributed to an explosive demand for various porcelain tea sets. In addition, the latest tea set products cafer mere to foreign, westenlized designs, rather than to traditional Korean aesthetics For example, the current market puts out tea cups that seem mere appropriate for coffee or English tea, rather than for drInking oriental tea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tea set that will meet two objectives; first, it will preserye the famlliartty and tranquility Inherent In the White porcelain. Secondly, the tea set will serye the pragmatic needs of a contemporarY modern society. As a result, the output of thls project will bring out the traditional Korean conscience, explore the unique Korean beauty which will distinguish itself from all other foreign aesthetical values, and create new coramic art werk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is project focuses on the artistic forms that exude the naturalistic and peaceful beauty inherent in the White porcelain. Secondly, the study examined the various motifs that appear repeatedly in the White porcelain, and forms that praY long live, lucky face, live in splendor, undulation, and fecundity the In an effort to probe the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of such motifs, the author conducted an exhaustive review of various literature publlshed in Korea and atroad. The in-depth study of the Chosun dynasty tea drinking culture, and Its tea sets provided help for a clear appreciation for, and development of, a new tea set design. Consequently, thls preject expressed the voluptuous and round forms of the White porcelain. Furthermore, by integrating the motifs characterizing the Chosun dynasty, the final output succeeded in emphasizing the traditional beauty espoused by Korean aesthetics. Moreover, the desire to simplify and to premote modenl convenience in the industrialized modern society by bring about a nuclear family and a life contering on a married couple, has spilled over Into the lelsureIY activlty of tea drinking. Thus, to meet the demand for simplification and convenience by rising a civilization, the final tea set for 2 persons is composed of a teakettle, a tea-cup, a saucer, and a teapot. In regards to the fatrication process, thls preject opted to preserye the image of traditional werkmanshlp; thus, each piece was created by means of wheel throwing and press molding. The various different clay textures were preserved by using white clay, celadon clay and saint clay Moreover, a wide variety of glazes were used, such as clear glaze, white matte glaze, black matte glaze, ivory matte glaze, blue-gray glaze, and oatmeal glaze. For the coating process, both dipping and spraying processes were applied in ordor to create a finish emphasizing naturalistic finesse. For the firing, the initial process was conducted in a 0.5㎡ gas kiln for 8 hour, reaching a temporature of 800℃ . The second firIng was peformod for If hours by means of oxidized finng; the temporature reached a high of 1250℃ In the same kiln It could be a good chance recognlze that Korean coramlc art is the form which is not a simply object but a conclusion made by our spirit and nature. Also,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 motifs and forms of the White porcelain could be a good matter This project set out to explore not only the extenlal beauty of the traditional tea set; it also endeavored to develop the pragmatic aesthetics of the tea drinking culture, which would cafer to the modern desire for simple aesthetics and pragmatic convenience. In doing so, this proj ect also attempted to introduce the traditional craftsmanship to a population inundated by western cultures, and to attract the intorest of the generat public in premoting our traditional tea drinking customs. And it will be expected studies of our junlors.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임주연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담당 교사들이 직무수행과정에서 경험하는 문제를 알아보고 이의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를 적절하고 충분하게 수집할 수 있는 전라북도지역의 2012학년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지정학교 한 곳을 연구대상으로 목적표집 하였다. 그 후 대상학교에서 교육복지업무를 담당하는 교사 11명 중 본 연구의 취지에 공감하고 질적 연구에 참여한 7명의 교사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들을 심층면담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육복지업무담당 교사들이 업무수행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은 크게 다섯 가지 영역으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교복우사업의 무계획성, 교육과정에의 분리, 외부기관과의 연계 부족, 관계자와의 갈등, 낮은 보상이 그것이다. 첫 번째는 교복우사업의 무계획성과 관련한 어려움이다. 사업지정학교 선정체계자체가 허술하여 관리자와 업무담당자의 준비가 부족한 채로 사업을 시작하게 된다. 또한 신규 지정학교에 대한 안내가 불충분하며 교복우사업 매뉴얼이 타 지역의 것을 모방하여 성급하게 만들어졌기 때문에 지역의 실정과 맞지 않고, 프로젝트 조정자의 책임 소재 역시 불분명하여서 명확한 안내를 할 수 없다. 이러한 무계획성과 불분명한 지침이 업무 파악을 어렵게 만들고 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는 교복우사업이 학교교육과정에서 분리되어 운영되면서 발생하는 어려움이다. 관리자-연구부-교복우담당과의 연계 부족으로 인해 학교교육과정과 사업내용이 중복되거나 추후에 변경 또는 임의삭제 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교복우 업무와 학교 업무의 형식적인 차이 및 개별 운영으로 인해 업무가 과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세 번째는 지역아동복지센터와의 연계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이다. 연계기관협의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프로그램 대상 선발이 이중으로 진행됨에 따라 중복 지원되는 경우가 많았다. 학교와 외부기관의 협력을 고려하여 예산을 배정하지 않은 까닭에 지역아동복지센터도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대상학교 선정 시 학생 수로만 평가함으로써 소외되는 학생이 있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또한 많은 담당교사들은 현재의 교복우사업에서는 비밀 보장이 어렵고 사업 효과가 미비하다고 보았다. 대상학생들은 소외감을 느끼고 적응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참여 의욕이 부족하였다. 또한 실적물 제출 기준이 불명확하며 일관성이 없어 업무에 부담을 주었고, 사업 후 피드백 역시 부족하였다. 퍼주기 사업으로 인해 비용 대비 효과 부족하였으며 형식적 사업으로 인해 집중 지원의 한계가 있었다. 대상 아동 국한으로 인한 역차별 문제도 있었다. 네 번째는 관계자 간의 갈등으로 인한 어려움이다. 관리자, 행정실, 담임교사들이 사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비협조를 보인 경우 어려움을 느꼈으며, 교육복지 담당 교사들 간의 협조가 부족하고 교육복지회의가 적은 것 또한 문제로 생각하였다. 특히 관리자와의 갈등 및 의사소통 문제는 업무수행의 걸림돌로 작용하였으며 교육청-교육복지부장-지전가 간에 오락가락하는 연락체계 역시 문제가 되었다. 지전가와의 갈등은 지전가의 역할 및 업무경계가 불명확하고 지전가의 업무파악이 미숙한 점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 이는 지전가의 업무 불성실 및 책임감 부재를 발생시키며, 학생카드 활용한 학생 관리 안 되는 것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교육복지부장은 지전가 관리에도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는 업무에 대한 낮은 보상으로 인한 어려움이다. 과중한 업무에 비해 업무에 대한 물리적․심리적 보상과 인정이 없었으며 이로 인해 업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업무량이 많은 교육복지부장이나 문화체험 영역 담당 교사들이 업무에 대한 인정 부재에 대한 고통을 호소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자는 교육복지 업무담당 교사들이 직무수행과정에서 겪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 번째로 교복우사업의 무계획성으로 인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다. 불분명한 업무 지침으로 인한 업무 파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명확한 체계 정립을 통해 효율적인 업무파악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매뉴얼을 체계화하고 프로젝트 조정자의 책임을 강화하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사업 지정 학교 선정의 내실화를 통해 관리자와 업무담당자가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한다. 사업담당자 연수 강화 및 신규 지정학교에 대한 배려 역시 필요하다. 문화체험 영역의 경우 매뉴얼이나 연수 통해 계획 수립을 지원해야 하며 검증된 기관이나 프로그램 소개를 통해 사전답사 없음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해야 한다. 두 번째로 교복우사업이 학교교육과정에서 분리됨으로써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과 학교교육과정을 통합 운영해야 한다. 우선

      • 제재의 내용 조직하기를 통한 개요 작성 지도 방안 연구

        임주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화 사회인 현대 사회가 언어 교육을 통해 인간에게 요구하는 능력은 정보를 수집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새로운 정보를 창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능력은 국어 교육 전반에 걸쳐 학습될 수 있으나 특히 일반적인 문제해결과정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과정 중심’의 쓰기 교육을 통해 더 많이 학습될 수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쓰기 교육은 다양한 여건상의 문제로 인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재의 교육 여건 속에서 효과적인 쓰기 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방안과 전략 수립의 시급성을 인식하고, 글쓰기의 과정 중 ‘내용 조직하기’에 초점을 맞추어 논증하는 글쓰기를 위한 개요 작성의 지도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먼저 개요 작성의 지도 방안을 모색하기 전에 ‘내용 조직하기’와 관련한 7학년~10학년의 7차 교육 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 과정을 분석하고, 교육 과정의 내용이 교과서에는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내용 조직하기’에 대한 학습 내용을 제시하고 있는 교과서 관련 단원의 문제점을 찾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지도 방향을 생각해 보았다. 다음으로는 개요를 작성하는 일반적 방법을 1) 내용의 적정성 판단 2) 내용 분류 3) 내용 간의 위계 설정 4) 내용 배열의 4가지 과정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그리고 글쓰기의 과정 중 ‘내용 조직하기’에 대해 강조하고 ‘내용 조직하기’의 전략을 제시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다발 짓기 ․ 마인드 맵핑 ․ 내용 구조도 그리기를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고, 10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개요 작성 지도의 실제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교수-학습 모형은 실제 학교 현장에서 적용해 보지 못했기 때문에 수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 상황을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이 있지만, 쓰기 교육의 중요성과 글쓰기의 과정에서 개요를 작성하는 것의 필요성 그리고 학습자가 개요를 작성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문제 해결식 과제의 해결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현재 학교 교육 현장에서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쓰기 교육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또한 본 연구에서 해결하지 못했던,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상황을 찾아내어 교수-학습 모형을 수정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지도 방안과 전략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Abilities which contemporary society called Information society requires to a human being through language education are collecting and critically accepting information, and creating new information. They can be learned by national language education in general, but particularly they can be more learned through 'focus on process' of writing education closely related to process of solving problem in general. However, In reality because of various kinds of circumstantial problems, writing education in schools has not been properly implemented. Therefore, with recognizing urgency of various kinds of education plans and drawing up strategies for effective writing education under current education circumstances, the study tries to grope a plan to guide drawing up of outline for demonstrative writing with focus on 'organizing contents' in process of writing. Before groping a plan to guide drawing up of outline I have analyzed 7th education process and 2007 revised education process of 7th to 10th-grade in relation to 'organizing contents', and studied how contents of education process are reflected in textbooks. Based on that, I have tried to find out problem of unit related to textbooks presenting learning and teaching contents about 'organizing contents', and thought of guidance direction for solving the problem. Next, the study explains general ways to draw up outline in classifying into four processes as follows : 1) Decision of propriety of contents 2) Contents classification 3) Ranking contents in importance manner 4) Arrangement of contents. And it has put emphasis on 'organizing contents' in writing process, propos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y utilizing clustering, mind mapping, and drawing contents structure based on preceding study which presents strategy of 'organizing contents', and proceeded discussion of fact of guidance of drawing up outline for 10th-grade learners. Becaus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the study has not been applied to schools-real sites, various kinds of problematic circumstances which can happen in schools are not considered in the study. However, I think that it will contribute to revitalizing writing education which has not been carried out properly in education sites by presenting importance of writing education, necessity of drawing up outline in process of writing, and method to deal with a task awaiting solution of problem which learners can utilize for drawing up outline. And also by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real education sites, we have to find out problematic circumstances which can occur, and revise the model to continuously implement study of a variety of guidance plans and strategies which can be substantially utilized in schools, I think.

      • 한국어 발음 인지 및 산출과 발음 학습 전략 간의 상관관계 :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임주연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imed at Korean intermediate learners, looks at the learners' ability to recognize and produce pronunciations and the aspects of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usage,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The attain this end, Korean pronunciation recognition ability, ability to produce Korean pronunciation, and how to use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ies in 21 multinational Korean learners were examined. In order to examine Korean pronunciation ability, Korean pronunciation ability assessment items were selected by referring to existing researches and Korean textbooks, and a pronunciation recognition ability assessment and a pronunciation assessment were constructed and conducted. In addition, a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to use the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irst looked 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ability to produce pronunciation and recognition abilities of the subject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ere significant but showed no correlation. This shows that it is more difficult for Korean learners to produce than to recognize. Next, we looked at the usage pattern of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ies. In the case of Korean learners' strategy use frequency, they were 'motivation', 'hypothesis formation', 'input / practice', 'hypothesis verification' and 'attention / feedback'. Subsequently, the recognition, production, and pronunciation averag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onunciation ability of the Korean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s ‘top’, ‘middle’ and ‘bottom’. In the production ability the ‘top’ group came under the Hypothesis Formation and the ‘middle’ & ‘bottom’ groups came under Attention/Feedback with the highest score, and in the cognitive ability assessment, the ‘top’ group came under the Hypothesis Formation and the ‘middle’ & ‘bottom’ groups came under the Motivation. In the case of the pronunciation average, the result is the same as the production ability. Furthermore, we examined the top five strategies for each group to determine which strategy to use according to the average score of the abilities of recognition, production, and pronunciation. As a result, in the case of ‘top’ group, Hypothesis Formation and Attention/Feedback were used mainly, in the 'top' group of the recognition ability was using more diverse strategies than the rest of the groups, and the ‘top’ group of the pronunciation ability average score was similar to the production ability score.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nunciation ability of the Korean learners and the use of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ies were looked at,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duction ability scor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ttention/Feedback and Hypothesis Formation, the recognition ability score to the Input/Practice, the pronunciation average score to the Input/Practice and Hypothesis Formation respectively. However, when examined according to the learners' pronunciation ability, there was not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ny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ies for the ‘top’ group, but the recognition ability scor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put/Practice for the 'middle' group and the pronunciation average score was related to the Attention/Feedback for the 'bottom' group. Moreover, as a result of dividing the production ability score into the accuracy and fluency, understanding accuracy, which is a detailed criterion of accur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put/Practice and the Attention/Feedback, and in the case of fluency, speaking speed, pause, stuttering & hesitation, which were the criteria of the detailed assessment criteria and the fluenc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Hypothesis Formation. In this paper, the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ie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hich have been relatively less interested i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have been discussed. Recently,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s on learners' characteristics such as definition factors and learning strategies, and it is a study based on the flow. It is just regrettable that the gender of the learner is limited to women, the intermediate-level Korean learners are targeted, and the number of subjects involved is too small to generalize. Nevertheless, it is meaningful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pronunciation learning of Korean learners in more various ways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with the learner characteristic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rocess of studying various learner characteristics i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as we are paying attention to learner characteristics based on recent communication lang Key words: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Pronunciation Recognition, Pronunciation Production,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Correlation uage teaching. 본고는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학습자들의 발음 인지 및 산출 능력, 발음 학습 전략 사용 양상을 알아보고, 발음 인지 및 산출 능력, 발음 학습 전략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국적 중급 한국어 학습자 21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발음 인지 능력, 한국어 발음 산출 능력, 발음 학습 전략 사용 양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국어 발음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기존 연구와 한국어 교재를 참고하여 한국어 발음 능력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고 발음 인지 능력 평가지와 발음 산출 평가지를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발음 학습 전략 사용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서 발음 학습 전략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피험자의 발음 산출 능력과 인지 능력 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는데 피험자의 발음 인지와 산출 능력 사이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서 인지와 산출만을 놓고 볼 때 상관성이 있다고 보기는 힘들며, 한국어 학습자들이 인지하는 것보다 산출하는 것을 더 어려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발음 학습 전략 사용 양상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는데 한국어 학습자의 전략 사용 빈도의 경우 ‘동기’, ‘가설 형성’, ‘입력/연습’, ‘가설 검증’, ‘주목/피드백’ 순이었다. 실험에 참여한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능력 정도에 따라 인지, 산출, 발음 평균을 ‘상·중·하’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산출 능력에서는 ‘상’ 그룹은 가설 형성, ‘중·하’ 그룹은 주목/피드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지 능력 점수에서는 ‘상’ 그룹은 가설 형성, ‘중·하 그룹’은 동기였다. 발음 평균의 경우는 산출 능력과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 더 나아가 인지, 산출, 발음 능력 평균 점수에 따라 어떠한 전략을 사용하는지 각 그룹별로 상위 5개 전략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산출 능력의 ‘상’ 그룹의 경우 주로 가설 형성, 주목/피드백을 사용하였고, 인지 능력의 ‘상’ 그룹은 나머지 그룹보다 좀 더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발음 능력 평균 점수의 ‘상’ 그룹은 산출 능력의 ‘상’그룹과 유사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능력과 발음 학습 전략 사용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는데, 산출 능력 점수는 주목/피드백과 가설 형성, 인지 능력 점수는 입력/연습, 발음 평균 점수는 입력/연습, 가설 형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놓여 있었다. 그러나 학습자의 발음 능력에 따라 살펴본 경우에는 ‘상’ 그룹의 경우 어떠한 발음 학습 전략과도 유의미한 관계에 놓여 있지 않았고 ‘중’ 그룹은 인지 능력 점수가 입력/연습, ‘하’그룹은 발음 평균 점수가 주목/피드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놓여 있었다. 또한 산출 능력 점수를 세분화 하여 정확성과 유창성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정확성의 세부 평가 기준인 이해 명료성은 입력/연습, 주목/피드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놓여 있었고, 유창성에서는 유창성과 그 세부 평가 기준인 발화 속도, 휴지, 말더듬&주저함이 가설 형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놓여 있었다. 본고는 지금까지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비교적 덜 관심을 가져온 학습자의 특성 중에 발음 학습 전략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도 정의적 요인, 학습 전략 등과 같은 학습자의 특성에 주목하고 있으므로 그 흐름에 따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다만 학습자의 성별이 여성에 국한됐다는 점,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삼았고 일반화하기에는 참여한 피험자 수가 적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러나 학습자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학습에 대해 좀 더 다양하게 살펴보고자 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최근 의사소통 언어 교수에 기반하여 학습자 특성에 주목하고 있는 만큼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다양한 학습자 특성에 대해 살펴보는 과정에서 이 연구가 일조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제품 관여도와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적합성 전략이 브랜드확장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주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의 기업들은 치열한 마케팅 경쟁 속에서 다양한 전략을 펼치며 성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브랜드 및 제품의 마케팅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기업이 선호하는 마케팅 전략의 하나인 브랜드 확장의 세부 유형을 살펴보면 서로 다른 가치의 결합을 시도한 마케팅 방법인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 전략이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다시 말해, 조직 이외의 협업을 콜라보레이션이라 부르며 탈 경계를 통해 여러 분야와의 새로운 협력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분야를 막론한 콜라보레이션 전략이 최근 들어 각광받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관련된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콜라보레이션 타입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연구, 콜라보레이션 유형별 차이점이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자 유형에 따른 콜라보레이션 차별화 전략에 관한 연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콜라보레이션 전략을 구사함에 있어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여러 요소를 모두 고려한 통합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느꼈다. 또한 기업의 브랜드 확장 시 소비자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을 가능케 하는 중요한 변수로 꼽히는 관여도와 콜라보레이션 유형별 적합성을 함께 고려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제품 관여 유형에 따라 다양한 제품 범주로의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전략 적합성의 유용성을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소비자들의 제품 관여도와 콜라보레이션 유형이 브랜드 적합성, 광고태도 및 브랜드확장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전략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가상 브랜드의 광고를 제작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설계는 관여도 유형과 콜라보레이션 적합성 유형을 4가지로 구성한 2 X 2(between group)로 설계하였다. 즉, 2(관여도 유형 : 저관여/고관여) X 2(콜라보레이션 적합성 유형 : 유사/비유사)의 집단 간 디자인으로 설계하였으며 총 33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거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317명의 자료가 결과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먼저 소비자의 콜라보레이션에 대한 기존 태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었으며 저관여 유형이 고관여 유형보다 콜라보레이션에 대한 관심 및 호감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관여/고관여 제품 모두 콜라보레이션 전략이 유사 브랜드로 이루어졌을 때 브랜드 적합성, 광고태도, 브랜드 확장 평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관여 제품은 유사 확장과 비유사 확장의 결과 값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제품 관여도와 콜라보레이션 유형은 브랜드 적합성과 브랜드 확장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기업의 브랜드 확장시 콜라보레이션 전략을 실행함에 있어 제품 관여도에 따라 확장 제품군 콜라보레이션 적합성을 중요 요인으로 고려하는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저관여 제품군에 대해서 브랜드 간의 비유사 확장 시에도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따라 긍정정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도출한 것에 우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실무자들이 이종 업계 간의 콜라보레이션 브랜드 확장을 진행함에 있어 관여도 전략 유형을 고려해 마케팅을 진행했을 시 콜라보레이션 전략에 대한 위험 부담을 낮출 수 있음과 동시에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하여 콜라보레이션에 관련된 기존 연구들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제품 관여도, 적합성 유형을 함께 고려하여 콜라보레이션 브랜드 확장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종합해보면, 제품 관여도와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전략이 브랜드 적합성, 광고에 대한 태도, 소비자의 브랜드 확장 평가 즉 호감도, 지각된 품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이것은 다시 말해, 기업의 새로운 브랜드 확장에 있어 영향력 있는 성공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국내 의료기기의 효율적 인허가 정책마련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임주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Medical devices are generally used for human beings for the purpose of diagnosis, monitoring, treatment and alleviation of diseases. As medical devices are becoming more increasingly complicated and diverse, it is significant to ensure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in order to minimize the risk and harmful. According to the globalization of medical devices, the medical device industries have difficulties in preparing documentations for STED and GMP audit because the format is not harmonized and cannot be applied directly to each country. Therefore, IMDRF is trying to integrate and standardize the regulatory requirements due to the variations in medical device regulations in each country. This is for the reason that such differences could cause inefficiency and delays in penetration to the worldwide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rovements to the regulatory requirements of the domestic medical devices and to simplify administrative procedure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its requirements of major foreign countries such as USA, EU and China. In particular, the study will examine the regulatory requirements of medical devices in South Korea and analyze what major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system due to the laws and notices that are revised each year according to industry’s requirements. Therefore, the study will figure out the weakness and the need to improve the regulatory requirements of medical devices in order to revitalize the domestic medical device industry. 인구의 고령화와 식생활습관, 경제발전 등에 따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의료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문 의료인은 물론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의료기기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의료기기는 일반적으로 환자나 노약자 등에 의해 사용되어지고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는 특성 때문에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의료기기 산업은 나라별로 상이한 인허가 제도로 인해 매우 복잡하고 불편하여 최근 인허가 제도의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의료기기 업체에서는 STED 및 GMP 심사 서류 준비 시 형식이 일률적으로 통일화되지 않아 각 나라마다 바로 적용할 수 없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GHTF에서 권고하는 STED가 모든 IMDRF 회원국에서 적용되지 않아 의료기기 업체가 인허가 진행시 발생하는 고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의료기기 허가 신청자의 의도를 고려하여 모든 의료기기 업체가 만족하는 의료기기 허가 심사 제도의 통일된 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제한된 허가 심사 인력과 서류작성의 어려움으로 인한 장벽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통일된 의료기기 허가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의료기기 허가제도와 해외 주요국의 허가제도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국내 허가제도의 개선사항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행정절차의 간소화 및 합리적인 제도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내 의료기기의 일반적인 허가제도에 대해 고찰하고, 매년 업계의 요구사항에 따라 개정되는 법과 고시로 허가제도에 어떤 주요한 변경이 발생되었는지를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제도의 취약점 및 개선점들을 확인하여 국내 의료기기 업계의 활성화와 해외 의료기기 수출입을 위한 신속성 향상을 위한 국내 의료기기 허가제도 개선 필요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