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연형 하천복원에 있어 환경영향 및 오염저감방안 제안 연구

        임은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하천은 수역(水域)과 육역(陸域), 그리고 공역(空域)이라는 3개의 서로 다른 세계가 접하는 장소이고, 또 넓게 이어진 개방경관으로 다양한 식생과 동물군집 등이 현존하는 곳이다. 즉 하천은 생물군집이 가장 다양한 추이대(推移帶, ecotone)를 포함하고 있어 하천내 생물서식지 제공, 수질자정기능, 자연경관 창출 등의 환경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천환경은 물과 주변 공간과의 통합체인 하천 그 자체로서 하천수량, 하천수질, 그리고 하천공간의 3대요소로 구성된 자연 및 인위적 모습이다(하천시설 기준, 건교부). 환경 보전과 개선이 우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본 인자로 인식되는 최근에 들어서는 하천의 환경 기능은 과거처럼 쉽게 포기하기 어렵다. 1990년대 들어 하천의 환경적 기능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어 하천 환경의 보전과 복원의 필요성이 대두되어왔다. 이러한 하천 환경의 보전과 복원을 위한 방법으로 자연형 하천 공법을 들 수 있다. 국내에서 하천환경복원에 대한 연구는 하천환경관리기법개발 연구(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3~1994)를 시작으로 국내 여건에 맞는 자연형 하천공법의 개발(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6), 자연 친화적 하천정비기법 개발(건설교통부, 2001), 하천복원 가이드라인(환경부, 2002) 등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이러한 연구와 함께 실행사업으로 건교부의 하천환경개선사업 전개되어 왔다. 자연형하천복원 연구와 실행사업은 하천현장에서 시험되고 검증단계를 거쳐 점차 많은 도시하천에 적용되기에 이르렀으며, 수로화 된 도시하천들은 다양한 생물의 부양 및 수질정화와 같은 잃어 버렸던 하천 고유의 기능을 다시 찾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자연형태에 가까워야할 농촌지역에서는 밭과 논의 획일적인 정리로 인하여 직선화된 하천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직선화된 하천 정비로 인해 잦은 수해가 일어나고 물을 가둬둘수 있는 논의 피해보다 그렇지 못한 밭농사의 경우 피해율이 높은 실정이다. 농촌지역은 식량과도 직결되어 있어 단기적인 피해막기에 급급한 지금의 하천정비는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이에 따른 피해를 감소하기 위하여 농촌 또한 지역에 맞는 자연형 하천복원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으로 선택된 하천은 4대강 정비 이후 이어지는 지천 정비 사업에 속해 있는 복하천으로 복하천은 한강의 제1지류에 속하며 지방하천으로 시점은 용인내사이고 종점은 이천 호법면이다. 복하천 유역내의 행정구역으로는 경기도 여주시, 이천시, 광주시, 용인시로 총 1도 4시 1읍 10면이다. 이중 이천은 농경지가 주를 이루는 곳으로 농촌지역의 하천정비의 대표적인 모습을 보여줄수 있는 곳이다. 이천 호법면에 흐르고 있는 복하천은 여유고가 부족하고 호안이 노후되어 여름철 집중호우시 상습적으로 수해가 발생하는 지역으로 일부 구간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소규모 정비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수해의 위험이 있어 인근 주민들이 불안감을 느끼는 민원발생 지역이다. 현재 복하천은 하천정비공사가 일부 진행되어 직선화가 되어있는 하천으로 하천 환경기기준 Ⅰb~Ⅲ등급(BOD 기준)으로 계절적 변화폭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복하천의 자연하천도등급상승을 위해서는 하천 전체를 상,중,하로 나누어 굴곡을 3개 이상 살리는 정비와 사주(砂洲)를 유도하여 하천의 흐름의 다양성을 생성하고 홍수 방지를 위한 자연소재를 이용한 호안 공법인 ‘자연석쌓기’를 적용 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복하천 주변의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하여 투수성 포장만을 할 것이 아니라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인 Bio Fildera를 신설하여 하천으로 유입되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자연하천 복원 방안 중 인공 습지 조성은 주변 식생의 영향을 받으므로, 하천환경에 부합하는 식생을 찾기 위한 장기적인 계획수립을 필요하며, 일부 하천구간에 ‘자연석쌓기’ 및 ‘Bio Fildera’ 공법을 적용한 모니터링을 통해 복하천의 환경과 적합여부를 판단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현대국어의 인과관계 접속어미 연구

        임은하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yntactic and the semantic properties of Korean causal connective endings and to clarify the system of them. First, this study clarifies the relation-meaning of causal connective endings. The meaning of them does not indicate the causality as the objective reality. The causality in language does not indicate the causality in the real world, but what the speaker or language people recognize as causality. Therefore this study sublates an ontological approach and makes an epistemological approach in analyzing the meaning of causal connective endings. The causalities which they express are the causality in the real world, the causality in the speaker's conscious world, and the causality in the circumstances where the speaker speaks. Second, this study makes the inner structure of causal connective endings clear by classifying them systematically. These endings can be classified in two aspects. 1. These endings can be classified by the meaning pattern which they can express, into two groups, One group comprises '-nikka' and '-meuro' 'which can express all patterns of meaning relations. And the other group comprises '-kie’, ‘-killae’, ‘-kiro’, ‘-ese’, ‘-neurago’, and '-tako‘ which can express only single pattern of meaning relation. 2. These endings can be classified by temporal interpretation into two groups. One group is composed of '-ese‘, ’-neurako‘ and ’-tako‘ which can be interpreted by only the relative tense. And the other group is composed of '-nikka’, ‘-meuro’, ‘-kie’, ‘-killae’ and '-kiro‘ which can be interpreted by both the relative and the absolute tense. Third, this study examines the syntactic and the semantic properties of individual causal connective ending closely by investigating it minutely. The causal connective endings differ from each other in the character of causality which they can express, and each of them has a peculiar meaning of its. There exists a system among these endings which can be used in the same domain, and they are chosen in order to be used by the speaker or language people according to the syntactic and the semantic differences of them.

      • 캠퍼스 네트워크에서의 해킹방지를 위한 침입 차단 방안

        임은하 淸州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Currently, the damage by intrusions into campus networks from inside or outside has been increasing. In this regard, this thesis proposes some methods to prevent a campus network from being intruded by inside or outside intruders. The methods proposed by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ly, detecting or intercepting outside intruders by installing an intrusion intercepting system and an intrusion detecting system at the entrance of the internet as well as in front of important server systems; secondly, minimizing the damage by installing a combined security & control system with which a network manager can get a report at the same time a problem occurs so that a prompt measure can be taken. However, it has shortcomings in that the speed of a network may get slower or the cost may increase by installing an intrusion interception system and an intrusion detection system inside and outside of a network. Thus, in the future we should pursue methods of blocking intrusion which correspond with the fast developing forms of hacking or viruses. Getting information on similar kinds of packets or intrusions and analysing them thoroughly will be helpful for this. Methods of blocking intrusion which could disperse the amount of traffic in order not to slow the speed of network conspicuously in treating a big amount of data should be pursued.

      • 中世의 君主制에 관한 硏究

        임은하 忠南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ttempts to analyze the notion of monarchy in the Middle Ages with its special reference to the period from the twelfth century to the early phase of the fourteenth century. Political philosophers of the Middle Ages became interested in ensuring stability of state through maintaining its peace and unity. Then, like ancient political philosophers, they accepted monarchy as the best form of government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purports to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of monarchy in the Middle Ages by analyzing all sorts of political ideas which John of Salisbury, Thomas Aquinas and Dante Alighieri had presented about it. In Chapter II, theoretical foundations of monarchy are analyzed. In particular, ii analyzes Plato's idea of monarchy as expressed in his representative works like The Republic, The Politicus and The Laws. And it examines Aristotle's notion of monarchy and its Roman idea and then considers the process of reception of this idea to the Middle Ages. In Chapter III, general characteristics of monarchy that main political philosophers of the Middle Ages have visualized are discussed in terms of its theoretical strength and weakness. First, it analyzes John of Salisbury's idea of monarchy through his work, The Policraticus. John was the first scholar to build up an organic theory of human society systematically. He regarded monarch as the minister of common interest or justice and emphasized both leniency and law as the principles of its rule. Second, it analyzes Thomas Aquinas' idea of monarchy. Thomas, by accepting Aristotelian philosophy, regarded state as a natural institution based on the social and political attributes of human nature. The essential function of the state, he believes, was to realize the common good. Thomas regarded monarchy as an ideal government capable of attaining this purpose. Third, it discusses Dante Alighieri's idea of monarchy as expressed in his work, On Monarchy. In his book, he suggested an alternative to solve the problem of political instability of Empire that had been rampant at that time. He asserted the universal monarchy governed by one emperor on the ground that it was the only way leading to the peace of the whole European World. According to him, the primary function of emperor was to realize justice, freedom and concord in the empire. In Chapter IV, it analyzes the structural weakness of monarchy that John of Salisbury and Thomas Aquinas have discussed in their works. First, John systematized the theory of tyrannicide in certain cases when monarch was not rule by respect for law as the will of God. But it is seemingly that, by justifying the tyrannicide, John had the intention of warning for the tyrant who is to do injustice. Second, Thomas took a negative position toward the tyrannicide. Thomas justified resistance to state authority only by public authority which can preserve the essential value and benefits of community. Chapter V summarizes main themes of the previous chapters and suggests that monarchy as a form of government still has theoretical relevance to political realities of our times.

      • 미래형 개인항공기를 활용한 공유기반 모빌리티의 수도권 운영 및 수직이착륙장 선정 연구

        임은하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공유기반 모빌리티 (On-Demand Mobility) 개념을 한국의 수도인 서울에 적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공유기반 모빌리티는 PAV(Personal Air Vehicle)을 다수의 사람들이 함께 공유하여 이용하는 Air taxi 개념을 말한다. 먼저 수도권인 서울, 인천, 경기도의 실제 출퇴근 인구 데이터를 수집하여 위도, 경도 좌표에 나타내었다. 그 다음 출퇴근 데이터를 토대로 3가지의 이동 경로를 선정하여 공유 항공 이동체를 적용했을 때 결과를 알아보았다. 수직이착륙장의 개수의 증감에 따른 총 이동시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K-mean Algorithm을 이용하여 좌표를 여러 개의 군집으로 나누고 각 군집의 중심에 수직이착륙장을 건설한다고 가정하였다. 각 경우에서 군집화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Silhouette 기법을 사용하였다. 수직 이착륙장의 개수를 2개에서 36개까지 2개씩 증가하여 총 18가지 경우에 대하여 각 경로에 따른 이동시간을 구하였고, 공유 항공 이동체를 이용할 때 이동경로를 구간별로 나누어 구간별 이동시간을 각각 구하였다. 이 이동시간을 기존의 교통수단을 이용했을 때의 이동시간과 비교하여 한국 수도권의 공유 항공 이동체를 적용했을 때 타당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AEDT (Aviation Environmental Design Tool)을 이용하여 미래형 개인항공기의 이착륙 시의 소음 해석을 수행하였다.

      • 한랭 전선에 동반된 강수 시스템 모사에 미치는 낙뢰 자료 동화 영향

        임은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삼면은 바다에 육지로 연결된 나머지 한 면은 불충분한 자료 교환으로 기상학적으로는 고립된 섬과 같은 위치에 놓인 한반도에서, 초단시간 예측 능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비종관 자료 중에서도 위성, 레이더, 낙뢰와 같은 원격 관측 자료의 활용이 극대화 되어야 한다. 비종관 자료 중 낙뢰 자료는 관측에서 자료 생산까지 0.3초 밖에 소요되지 않으며, 레이더가 관측하지 모사하는 산악 후면과 서해 상에서 뇌우 위치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낙뢰 자료를 수치 모형에 동화하여 초단시간 집중 호우 예측 능력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반도와 주변 해역에서 관측된 낙뢰 자료의 기후 특성과 강수와 관련된 특징을 분석하여 수치 모형에 동화하는 기준을 결정하고, 위치, 강도, 그리고 극성으로 표현되는 낙뢰 자료를 모형에 동화하기 위한 방법을 도출하며, 도출된 방법을 적용하여 한랭 전선에 동반된 강수 시스템을 모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1996년부터 2000년까지 최근 5년 동안 관측된 낙뢰 자료의 월별 낙뢰 발생 횟수는 여름철에 뚜렷한 정점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7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1998년의 경우에는 8월에 낙뢰 발생 횟수가 최대 값을 기록하였다. 이 기간 동안 한반도에서는 산발적인 집중호우가 계속되었으며, 월별 누적 강수량도 8월에 정점을 보여 격렬한 뇌우에 의한 강수가 지배적이었다는 것을 암시하였다. 낙뢰 발생 횟수는 대체적으로 0500 UTC에 점차 증가하여 0800 UTC에 정점을 이루고 1100 UTC까지 집중되고, 주로 서해안과 남해안 부근에 분포하여, 여름철 서해안 부근에서 급격히 발달하는 뇌우에서 낙뢰가 자주 발생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한랭전선에 동반되어 한반도에 집중 호우를 가져온 강수 시스템들에서 발생한 낙뢰 자료만을 이용하여, 관측된 강수량과 낙뢰 자료의 공존 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있는 적중율을 정의하였다. 그 결과 적어도 네 지점에서 관측된 낙뢰 자료가 0.1°× 0.1°격자 안에서 시간당 (낙뢰 밀도) 5회 이상인 자료를 사용하면, 10 mm/hr 이상 강수가 나타날 확률이 96 % 가 되었다. 따라서 이를 모형에 동화되는 낙뢰 자료의 기준으로 정하였다. 낙뢰 밀도와 관측 강수량 사이의 정량적인 관계를 도출할 수는 없었지만, 낙뢰 밀도가 크면 강수량이 증가할 확률도 높아진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호우성 강수 일 때 만 낙뢰 자료를 모형에 동화하고, 이 때 낙뢰 자료는 뇌우가 발달한 곳의 위치 정보만을 모형에 제공하도록 하였다. 낙뢰 자료를 모형에 동화하여 뇌우를 발달시킬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 결과에서 뇌우의 대전을 유발하는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대전을 시작 혹은 강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상이 다른 물 입자들의 농도 증가와 이 입자들의 충돌 횟수를 증가시켜 줄 수 있는 강한 상승 속도를 수치 모형에서는 하층의 강한 습기 수렴 (수증기 혼합비 섭동 경향)과 가열율 (기온 섭동 경향) 의 연직 분포로 정의하였다. 1998년 7월 31일 부터 8월 1일 사이에 지리산 부근에서 최대 시간 강수 139.5 mm를 기록한 호우의 수치 실험으로부터 도출한 최대 습기 수렴율과 최대 강수 강도를 나타내는 지점들에서 방출된 잠열의 평균 연직 분포를 정량적인 강제력으로 사용하였다. 도출된 강제력을 이용하여 1998년 강화 호우 (8월 5일) 와 2000년 수원 호우 (7월 22일)를 수치모사에 낙뢰 자료를 동화하였다. 각 사례의 최대 호우가 나타난 지점에서 자료 동화하지 않은 실험 (규준 실험)에 비해 강수 시작 시간을 앞당겼으며 강수량의 크기도 관측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규준 실험에 비해 큰 값을 모사하였다. 또한 자료 동화가 종료된 이후의 강수 패턴과 위치를 규준 실험 보다 관측에 더 가깝게 모사하였으나, 모사 정도는 종관 장의 상태에 따라 달랐다. 대류권 중층과 하층 풍속이 약하고 규준 실험에서 약한 상승 속도가 모사된 1998년 강화 호우 사례에 낙뢰 자료를 동화하면 깊이 발달하여 주변 장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중층과 하층의 풍속이 강하고, 약한 하강 기류가 있는 2000년 수원 호우 모사에서 발달된 강수 시스템은 깊이 발달하지만 종관 바람을 따라 빠르게 이류되어, 자료 동화 종료 후 곧 바로 규준 실험의 강수 패턴을 따랐다. 기온 섭동과 수증기 혼합비 섭동 경향의 연직 분포 처방은 각각 다른 예단 방정식에서 강제력으로 처방되지만 같은 메커니즘을 통해 강수를 유발하였다. 처방된 기온 섭동에 의한 부력으로 상승하는 공기는 응결 과정에서 방출된 잠열로 더 강한 상승 속도를 얻어, 최대 상승 속도와 대부분의 응결 현상이 상층에서 일어난다. 반면에 처방된 수증기 혼합비 섭동은 기층을 포화시켜 그 층에서 바로 응결이 일어나며, 이 때 방출된 열로 부력을 얻은 공기가 상승한다. 초기에 생성된 강수 시스템들에서 최대 상승 속도는 중층 이하에서 일어나지만, 낙뢰 위치가 계속되어 반복적인 습기 공급이 이루어지면 기온 섭동을 처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층에서의 연직 속도가 강해진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강한 연직 속도는 주변의 보상 침강과 상층에서의 발산에 따른 주변장의 하강으로 하층에 고기압을 형성한다. 고기압에 의한 지상 발산은 강수 시스템의 이동과 기압 패턴을 변화시켜, 자료 동화가 종료된 이후의 강수 시스템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이 자료 동화 기간 동안 생산하는 과도한 강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강제력 크기에 대한 민감도 실험과 이동하는 호우 시스템에서 관측된 낙뢰자료 동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민감도 실험 결과 일정 크기 이상의 강제력은 강수량의 강도만 조절하고 패턴을 바꾸지 않지만 그 이하의 값을 처방하면 규준 실험과 유사하게강수 시스템을 모사하였다. 1998년 8월 5일 강화 지역에 본격적인 강수가 시작되기 전에 서해 상에서 발달하여 이동하는 뇌우에서 발생된 낙뢰 자료 동화는 강화 지역에 강수 시작 시간을 앞당겼으며, 관측에 비해 북쪽에 치우친 북동-남서 방향의 주 강수 밴드를 남쪽으로 이동시키고 대상형으로 모사하여 관측과 더 유사하였다. 따라서 서해 상에서 관측된 낙뢰 자료 동화를 이용하여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강수 시스템의 초단기 예측이 가능함을 보였다. 많은 수의 강수 시스템들이 낙뢰를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낙뢰자료만을 동화하면 수치 모형이 관측에서 벗어난 지점에 모사한 강수 시스템이나, 거짓 모사한 강수 시스템을 약화 혹은 소멸시킬 수 없다. 낙뢰, 레이더, 위성 자료들로부터 도출된 강수량 자료를 사용하면 그 크기에 따라 강제력을 조절하여 잘못 예측된 강수 시스템을 약화시키고 자료 동화 기간 동안 모사되는 과도한 강수량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 들 사이에 보편적인 정량 관계를 도출 할 수 없을 경우에는 각 값들의 문턱 값을 이용하여 낙뢰 관측 지점을 보정해주는 패턴 인식법을 사용하여 본 방법을 보완하고 자료 동화의 영향 지속 시간, 강제력 크기에 대한 민감도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Current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needs 6 to 9 hours of spin-up time to predict mesoscale precipitation system. The accuracy of nowcasting obtained from linear extrapolation can rapidly decreases with time and may not be useful beyond 2 hours. Presently, reliable forecast method is not available for very short range forecast for time range of 2-6 hours. The main purpose of very short-range forecast (VSRF) is to predict the timing, location, and intensity of rainfall, especially heavy rainfall. The efficiency of VSRF can be ameliorated by the effective use of a synoptic data such as satellite, radar, and lightning and so on. This study has attempted to find a way of assimilating lightning data and its impact on the short-range forecast.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1) the analysis of spatial and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rainfall and lightning density (frequency of lightning occurre in 0.1°×0.1° grid box during one hour) to determine the criterion, and to assimilate lightning data, 2) the development of method to assimilate lightning position data into the numerical model, and 3) the application of the lightning assimilation to the simulation of heavy rainfall events associated with a cold front. Climatological analysis of lightning data observed over the Korea peninsula during the period of five years (1996-2000) has been carried out. The frequency of lightning varies year to year, and the largest frequency has been found in 1998. The monthly lighting frequency exhibits sharp peaks in warm seasons, from July to September. Approximately 83 % of the total lightning occurs in the 3-month period. Hit ratio, the measure of coexistence between the lightning and the rainfall, has been calculated for several rainfall events by various thresholds of lightning density. It is over 0.96 when the threshold of lightning density is 5 times/hr and the rainfall threshold is 10.0 mm/hr. Assimilation is performed only for the grids with lightning density greater than 5 times/hr.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lightning density and rainfall, there is no definite quantitativ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lightning. Therefore lightning has been only used to inform the location of strong convection to the model. Assimilation of lightning data is carried out by forcing the model atmosphere at the location of lightning through the prescription of profile for moisture convergence, latent heating, etc. The profiles of moisture convergence and latent heating are retrieved from the numerical experiments for heavy rain events. The retrieved profiles are used for the numerical prediction experiment with the lightning data assimilation for two heavy rainfall cases occurred at Kanghwa on 5 August 1998 and at Suwon on 22 July 2000. These experiments have reduced the spin-up time comparing with the result of control simulation, which is a control forecast without data assimilation, and have successfully predicted the occurrence time of observed heavy rainfall. But the agreement of predicted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after assimilation period is largely dependent on case. The assimilated precipitation system does not have sufficient time to affect the surrounding atmosphere when the wind speeds are very strong in the deep layer from surface to middle troposphere. The simulated system advects very fast. As a result of it, the precipitation system has developed where the control simulation has developed the system after finishing the assimilation. Two types of forcing cause precipitation system to develop in a similar manner. The air parcel gained buoyancy by increasing temperature goes upward and then upward motion is accelerated by latent heat released from condensation of water vapor. Most condensation and maximum vertical velocity occur at the upper troposphere due to the added temperature tendency which is maximized at 500 hPa. The addition of moisture tendency due to convergence makes the air parcel to be condensed due to saturation. Then the air parcel continues to ascend by latent heat released from condensation. But continued introduction of forcing at the similar area makes vertical velocity strong. Compensating downward motion occurs around the area of strong vertical motion and it causes the surface pressure to increase. The resultant divergent flow affects the movement of precipitation system and associated pressure pattern. The assimilation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produces excessive rainfall during the assimilation period. To reduce the rainfall amount during assimilation period, several sensitivity tests have been conducted. As the strength of the forcing is reduced to a certain level, the rainfall decreases but the forecasted rainfall pattern are still maintained. But at the lower level, the assimilation method fails to simulate the precipitation amount and pattern after stopping the assimilation. These limitations can be reduced by retrieving a more general relationship between lightning density and rainfall combining lightning, radar, and satell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