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정서지능, 사회성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임은경 원광대학교 보건.보완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nimal-Assisted programs and interventions with students are becoming promising field in school and therapeutic settings. Following this trend, Animal-Assisted Intervention (AAI) program was designed to help students adopt more easily to school life and to encourage them to keep healthy relationships with other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 (AAI)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bility and depress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8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who were interested in animals and agreed to the research attended this program. This study was conducted two times a week for 6 weeks (a total of 12 times) with one main researcher and three research assistants. The major research tool was the test of emotional intelligence, sociability and depression and the statistical test being used for this study was Wilcoxon's signed ran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animal-assisted intervention may offer the positive physiological, emotional and social support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who attended programs could experience situational awareness and development of the ability to feel empathy for other people. Second, the study showed the significant effects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 on sociabil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ny aspects such as reliability, autonomy, sociability and compliance. Lastly, significant reductions in anxiety and depression were found after the introduction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 for students. Students who participated this program experienced a reduction in depression and stress to some degree. Also, they began to form much more positive friendships and followed school rules as well.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animal-assisted intervention program significantly has the positive effect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adaptability and depress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refore, this animal-assisted interven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positive program fo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middle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부적응 예방 및 건강한 학교생활에 도움이 되고자 구조화된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정서지능, 사회성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중학교의 방과 후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 중 동물에 관심이 있고 연구에 동의하는 학생들 총 8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진행은 1차면담을 시작으로 주 2회 45분씩 6주간 총 12회기를 본 연구자와 보조 진행자 3인이 함께 진행하였다. 검사도구로 정서지능 검사, 사회성 검사, 우울척도 검사를 사용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 20.0을 사용하여 윌콕슨 부호순위검증(Wilcoxon's signed ranks test)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은 중학생들의 정서지능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인 정서인식 및 표현에서 타인의 말, 행동 및 표정을 통해서 상황인식이 가능해졌고, 감정이입으로 타인의 감정을 공감할 수 있는 공감능력이 좋아졌으며 정서・사고촉진과 정서활용에서 모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은 중학생들의 사회성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으로 신뢰성, 자율성, 사교성 그리고 준법성에 유의한 차이가 났다. 셋째,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은 중학생들의 우울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의 실시이후 우울의 감소로 학교규칙 준수, 스트레스 조절, 교우관계에서 긍정적인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은 중학생들의 정서지능, 사회성 및 우울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자기이해, 대인관계 개선, 학교생활 적응 및 정서적 안정을 위한 개입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 노인의 주파수에 따른 청력과 음악의 최적 강도, 인식역치와의 상관 관계

        임은경 숙명여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hearing thresholds in each frequency of pure tone audiometry and most comfortable loudness (MCL) and detection threshold (DT) of music in geriatric people. The subjects were the 67 volunteers who have attended one of four geriatric centers in Incheon cit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from September 23 to October 29, 2000. After interviewing their musical background and previous otologic disease history, Otolaryngologic examination with otoscope and microscope was done to certify the absence of disease in external auditory meatus. Then impedence audiometry and pure tone audiometry were measured. Among them, 40 old people who met the criteria of presbycusis were selected finally. All of them were unable to play any musical instruments and were passive music listeners and had no previous otologic disease history. There were 21 males and 19 females and their mean age was 72.8± 4.9 years (from 65 to 81 years). Hearing thresholds (dBHL) in 6 frequencies (250Hz, 500Hz, 1000Hz, 2000Hz, 4000Hz, 8000Hz), detection threshold (dBSPL, DT) - that is the minimum sound pressure level in which the listener can perceive the existence of that music - and most comfortable loudness (dBSPL, MCL) of music were measur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frequency range of music was 73-880Hz and the difference between maximum and minimum intensity was approximately 6dBSPL in each testing. The results were following: First, the age was not correlated with DT, MCL and hearing thresholds (p>0.05). Second, there was no sexual difference statistically in hearing thresholds, DT and MCL (p>0.05). Third,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not only between hearing thresholds in 250Hz, 500Hz, 1000Hz, and DT, but also between hearing thresholds in 250Hz, 500Hz, 1000Hz, and MCL (p<0.01). But in the same analysis of hearing thresholds, DT, and MCL altogether,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hearing thresholds in 250Hz, 500Hz, 1000Hz, and MCL. MC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ring thresholds in 250Hz, 500Hz, 1000Hz, which frequency range approximately reflected upon the range used for the music (73-880Hz). In other words, hearing thresholds in the frequencies unrelated to music, for example - high frequency (6000Hz, 8000Hz and so on), may not influence the music listening activit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earing thresholds and MCL may reflec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earing thresholds and DT because MCL includes DT. So the effect of hearing thresholds on MCL may come from “Physiologic enabling condition,” according to LeBlanc. From the practical point of view, if presbycusis did not involve the frequencies unrelevant to music, even old people would enjoy the listening music just as the normal young person. Having the knowledge of frequency specific audiologic characteristics and using selective music in consideration of hearing thresholds make music listening practice more effective for geriatric people.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대상으로 각 주파수에서의 청력(Hearing Thresholds)과 음악의 최적강도(Most Comfortable Loudness), 인식역치 (Detection Threshold)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2000년 9월 23일부터 2000년 10월 29일까지 인천시에 소재 한 네 곳의 노인정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모집된 노인 67명에 게 이과적 질환에 대한 과거력과 음악교육 및 음악감상에 대한 설문조사 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노인들 중 전문적인 음악교육을 받지 않았거나 악기를 다루어 본 적이 없으며 수동적 음악감상자(“들리는 음악 은 듣지만 따로 음악을 찾아 듣지는 않는다”, “아무 음악이나 상관없다” 를 선택한 그룹)로 분류된 사람들 61명중에서 과거 이과적 질환을 앓았던 기왕력이 없는 47명이 선택되었다. 선택된 노인들은 인하대학교 부속병원 이비인후과 외래에서 이비인후과적 진찰과 임피던스 검사, 순음청력검사 를 시행 받았고 이중 노인성 난청에 합당한 소견을 보이는 40명의 노인이 최종 선택되었다. 대상노인군의 구성은 남자 21명, 여자 19명이었으며 평 균연령은 72.8±4.9세였다. 연구방법은 순음 청력검사를 실시하여 6개의 주파수 (250Hz, 500Hz, 1000Hz, 2000Hz, 4000Hz, 8000Hz) 에서의 청력과 음악의 인식역치, 최적 강도를 측정하였다. 사용된 음악의 해당 주파수는 73-880Hz이며, 최소와 최대강도의 범위는 6(dBSPL)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령과 음악의 인식역치, 최적강도, 및 주파수별 청력역치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둘째, 성별에 따른 음악의 최적강도, 인식역치, 주파수별 청력역치의 평 균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셋째, 다선형 회귀분석결과, 250Hz, 500Hz, 1000Hz에서의 청력역치와 음악의 최적강도뿐 아니라 동일한 주파수의 청력역치와 음악의 인식역치 도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1). 그러나 250Hz, 500Hz, 1000Hz의 청력역치와 음악의 최적강도 및 인식역치의 다선형 회귀분석을 시행하였 을 때, 청력역치와 음악의 최적강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p<0.01).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음악의 최적강도는 250Hz, 500Hz, 1000Hz의 청력 역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는데 이 주파수는 이 음 악이 포함하고 있는 주파수(73-880Hz)와 근사적으로 일치한다. 이는 음악 과 관련이 없는 주파수의 청력 - 6000Hz, 8000Hz등의 고주파수 - 은 음 악감상을 하는데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청력 역치와 음악의 최적강도에서 보였던 양의 상관관계는 음악의 최적강도가 음악의 인식역치를 포함함을 고려할 때, 음악의 인식역치와 청력역치사이 의 양의 상관관계가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임상적 관점에서, 음악치료사들이 노인그룹에서 음악감상을 할 때 노인 의 청력 특히 주파수별 청력을 고려한 음악을 적용함으로써 노인의 음악 감상시 더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 중고시장 활성화를 위한 방안 연구

        林恩慶 淑明女子大學校 經營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Special characteristics of consumption pattern in modern society are mass consumption in quantity, consumption of countless kinds of products, similarity of consumption pattern, between a developing country and a developed one, and mass consumption of energy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Limita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unlimited human-being's desire of consumption has been causing the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roblem all over the world. In order to resolve the environmental crisis, we should change the production pattern to a sustainable one and also change the life style and consumption pattern of people. I thought of a secondhand market as an alternative way of changing consumption pattern of people. Therefore, I researched the present condition of various kinds of secondhand markets and relevant ways to encourage those markets to take a role as community recycling center. First, I collected data on secondhand markets in South Korea, Japan, USA, Canada, UK, France, Germany, and Belgium and analysed given data in order to set up a desirable model of a recycling center in South Korea. Using the quality research method, I checked out internet sites, reports, papers and newspapers and after that, with those materials, I made comparative studies and case studies. In the case studies, I classified local and foreign secondhand markets according to their operator, name, type of operation, type of sale, and other activities. In the comparative studies, I divided secondhand markets into permanent and non-permanent markets. On permanent secondhand markets, I classified them by operator, way of getting goods, and way of using profits. On the non-permanent secondhand market, I classified them by periodical opening or the non-periodical opening, and researched their speci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econdhand market operated by NGO or private business is more active than the one by a local autonomous entity or government and also a good secondhand market requires a regular suppliers of goods of good quality and legal and structural support from government or local authority. A secondhand market that gets goods by donations or contributions does not have many activities that could help changing consumption patterns for the community but a secondhand market that is permanent and is operated mostly by exchanging goods helps to change people's consumption pattern to a sustainable one, leads community members to participate in recycling process of goods and provides courses of repairing goods as an education or training center. By spending its profit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ampaign, it also take an important rule as an recycling center. Most activities including sales, displays, and pricing of a permanent secondhand market which is operated by an NGO, are done by volunteers. And every penny is spent for the community and the 3rd world countries. It shows that an ideal secondhand market should be operated by an NGO or private business. A Government or a local authority should work on legal and structural support for the market. A secondhand market should take roles not only as an exchange center for used goods, but also as a recycling and integral education or training center for the community. Every permanent secondhand market operated by an NGO is managed by volunteers but they are all having same problems of shortage of volunteers.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y should frame policies that Could encourage volunteering work. Local companies and community should also support the volunteering system. There should be no limitation or least limitation to open a flea market in order to make it easy for any citizen to participate in various kinds of flea markets all the time and all over the places. public understanding on used goods should be changed. It is not shame to use used ones. It is a good idea that lots of groups with different cultures, background, and targets operate flea markets so that everybody could think of a secondhand market as a part of their daily life. Actually lots of goods in secondhand markets are dump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due to the inactivity of markets in our Daily life. For the steady supplying of goods of good quality and effective cycling system, we should set up an organic recycling system with secondhand markets and local disposal centers. Goods still in good shape in local disposal center should be collected and transferred to a secondhand market for a new user. 현대사회 소비의 특징은 첫째, 양적으로 많이 소비하고, 둘째 소비 품목이 다양하며, 셋째 전 세계의 소비형태가 선진국의 소비 형태와 비슷하게 닮아가고 있으며, 넷째 식품 생산과정에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렇듯 제한된 자원 속에서 소비욕구가 끊임없이 변화하고 확대되어가면서 지구촌의 환경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환경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생산양식으로 변화를 유도 정착시키고 개인의 생활방식이나 소비패턴이 바뀌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일상생활에서 새로운 소비생활문화를 확산시킴으로써 자원재활용운동으로 정착시킬 수 있는 중고시장의 유형들을 살펴보고 중고시장의 활성화를 꾀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자원재활용 정책과 추세 속에서 한국의 중고시장을 살펴보고, 일본, 미국 및 캐나다, 영국, 프랑스, 독일과 벨기에 등의 중고시장의 유형을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한국의 자원재활용운동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위하여 사용된 조사방법으로는 질적 조사방법을 사용하여, 각국의 중고시장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관련 site 및 논문, 신문자료를 검색하였고,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종합하여 각국의 중고 시장 사례연구(Case study)와 국가별 중고시장 특성에 따른 비교 연구를 하였다. 사례연구는 국가별 중고시장을 운영주체 및 운영명칭, 운영 유형, 판매형태, 수익금 활용형태, 기타 활동내용, 운영자로 정리하여 살펴보았으며, 각 국가별 중고시장의 비교연구는 중고시장을 상설과 비상설로 분류하여 상설 중고시장의 경우는 국가별 주요 운영주체, 물품의 획득형태, 수익금 활용형태로 나누었으며, 비상설 중고시장의 경우는 정기적 비정기적인 형태로 분류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비교 분석한 결과, 중고매장의 운영은 지방자치단체나 정부의 참여보다는 비영리단체나 개인 및 민간사업체의 운영이 더 활발하게 전개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고 거래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좋은 품질의 물품을 확보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이를 위한 법률적 지원 및 체계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둘째, 물품을 기부나 기증을 통하여 획득하는 기부 중심의 중고매장은 생활양식의 변화를 꾀하고자 하는 적극적 의미의 연계활동이 없었다. 그러나 물품의 교환을 중심으로 하는 중고 상설매장의 경우, 물품을 교환하는 생활양식으로의 변화 외에도 직접 시민들이 참여하여 물품을 수리할 수 있도록 기술을 가르쳐주는 형태 등을 통해 시민들의 지속가능한 소비로의 생활양식의 변화를 꾀하고 있었다. 또한 중고매장의 수익금을 지역의 환경교육 및 캠페인 등에 사용하는 자원재활용 운동체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비영리단체가 운영하는 모든 상설매장은 매장 판매, 매장 정리 및 전시, 가격 매기기 등 대부분의 활동들이 자원봉사자들에 의해서 운영되고 있었으며, 모든 수익금은 지역사회와 제3세계 지원 등을 위해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를 통한 중고시장 활성화 방안은, 비영리단체나 개인 및 민간사업체가 중고매장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는 중고시장 활성화를 지원하는 법적 제도적 체계를 마련하는 것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중고매장의 역할이 생활양식의 변화를 유도하는 곳으로서의 적극적 개념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단순 중고물품의 교환 및 판매장소로서의 역할을 넘어서 자원재활용 체험 및 종합적인 환경교육의 장(환경센터)으로서 지역사회에 자리매김해야 할 것이다. 비영리단체가 운영하는 모든 상설매장은 자원봉사자에 의해 운영되고 있지만 자원봉사자가 부족하기 때문에 보다 폭넓게 시민들이 자원봉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적극적인 유인책으로 기업의 지역사회 봉사, 직업교육, 정부의 사회적 일자리 등과 연계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의 벼룩시장은 전 계층의 국민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폭넓게 열리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다른 사람이 사용하던 것을 거리낌 없이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문화의 변화를 끊임없이 추구해야 하며, 지역의 주민모임 등 다양한 그룹이 벼룩시장을 지속적이고 정기적으로 개최토록 함으로써 시민들 모두 자연스러운 생활문화로 인식되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중고시장이 양질의 물량확보와 원활한 순환체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중고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아서 중고물품이 버려지는 현실을 감안할 때 각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쓰레기 선별장을 활용하여 재활용 가능 품목들을 우선적으로 선별하고 이를 중고시장과 연결하는 순환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MTF, NPS, DQE를 통한 관전압과 Cu-filter 두께에 따른 영상 평가

        임은경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의료영상에서 디지털화가 되면서 디지털 방사선 검출기는 여러 의료영상 획득 장치에서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비정질 평판형 검출기를 이용하여 얻어진 영상의 평가를 통해서 영상평가의 주요인자인 MTF (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 NPS ( Noise Power Spectrum ), DQE ( Detective Quantum Efficiency ) 의 값을 도출하여 의료 영상평가에 도움이 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비정질 평판형 검출기를 이용하여 얻어진 영상의 평가를 위해서MTF, normalized NPS, photon fluence , DQE 를 얻는다. Image process는 MATLAB를 이용하여 일련의 파라미터 계산 처리를 했다. 본 실험의 평가 파라미터를 통해서 임상에서의 Image quality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Time passes, medical use field of X-ray became wide and X-ray reflex appliance technology had contributed in human Health and Welfare by Film system image to clinical medicine that diagnoses human body. Digital Radiographic system that film is no necessity augmenting quality of reflex and data's efficiency in existent Film system and transmission system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 and computer is development in the together hospital of reflex is detected popularized in present presence. A digital radiography imaging system based on flat-panel detector has some advantage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creen-film system. In this study, a flat-panel detector based on amorphous silicon was integrated into projection radiography system and algorithms for the corrections were implemented. Basic image quality parameters evaluat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Noise Power Spectrum (NPS) and Detective Quantum Efficiency (DQE) as a main factor of image quality evaluation. MTF, NPS and DQE have described useful descriptors of resolution, noise and signal to noise ratio transfer ability. The obtained results that value of digital radiation detector using the amorphous flat-panel detector, and expected to be accepted in the clinical applications.

      •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 성격특성, 대처방식 및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임은경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성격특성, 대처방식 및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장애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136명으로 양육 스트레스 척도, 다요인인성검사의 성격척도, 대처방식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및 우울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얻은 자료는 One Way ANOVA(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및 구조적 관계에 대한 모형 검증을 위해 AMO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종류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 성격특성,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 및 우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한 결과, 장애 종류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양육 스트레스, 성격특성,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 및 우울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한 결과,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은 정적상관을 보였고, 성격특성과 사회적 지지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대처방식은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육 스트레스, 성격특성,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 및 우울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한 결과,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성격특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넷째,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및 경로분석을 통해 살펴 본 결과, 성격특성과 사회적 지지에 있어서 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성격특성이 사회적 지지보다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 간에 관계에 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에서의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ity, support and coping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among mother with handicapped children. One hundred thirty six mother were recruited from Metropolitan Seoul areas and Kyunggi area were asked to fill out the The Parenting Stress scale, 16PF and The social support scale, The coping behavior scale, BDI.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one way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MO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e way ANOVA showed that the group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However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s subdirector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Second,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arenting stress, personality,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However the coping behavior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Thir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ality, social suppor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Forth, a structural model of partially mediating role of personality, social support and coping behavior was hypothesized and tested regarding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nd depression. Results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howed that the hypothesized model fit to the data.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mediated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to depression. That is, the parenting stress influenced directly the depression and indirectly via the personality, social support. Therefore the coping behavior influenced depression but indirectly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도, 노후불안과 삶의 질 간의 관계

        임은경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령화 문제의 심각성에 비해 국민적 의식 및 적극적 노후준비가 미흡한 채로 베이비 붐 세대의 노년기 진입은 우리사회에 사회·경제적인 부담을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기존의 노년층과 차별화 되는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와 이에 따른 노후불안과 삶의 질 간의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 정도와 노후준비도를 결정하는 배경변인을 살펴보았고 둘째,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불안 정도와 노후불안을 결정하는 요인을 고찰하였으며 셋째, 베이비 붐 세대의 삶의 질(생활만족도·우울)의 정도는 어떠하며, 삶의 질의 결정요인 및 변인들 간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베이비 붐 세대(1955-1963년 출생) 3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t검증, 일원분산분석(ANOVA),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도 첫째,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도 유형은 ‘정서적 영역’, ‘사회·여가적 영역’, ‘경제적 영역’, ‘신체적 영역’ 등 4개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베이비 붐 세대의 총 노후준비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56점으로 정서적 준비(3.98점), 신체적 준비(3.39점), 경제적 준비(3.38점), 사회·여가적 준비(3.24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 붐 세대의 총 노후준비도는 연령을 제외한 6개 배경변인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보면, 정서적 영역에서는 경제상태를 제외한 성별, 연령, 학력, 종교유무, 건강상태, 가족관계만족도의 6개 변수에서, 사회·여가적 영역에서는 성별, 학력, 종교유무, 경제상태, 가족관계만족도 등 5개 변수에서, 경제적 영역에서는 건강상태, 경제상태, 가족관계만족도의 3개 변수에서, 신체적 영역에서는 학력, 건강상태의 2개 변수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베이비 붐 세대의 총 노후준비도의 결정요인은 가족관계만족도, 성별, 학력2, 건강상태였으며, 설명력은 16.7%이었다. 하위영역별로 보면, 정서적 영역의 노후준비는 여성 집단, 건강상태가 좋고, 가족관계에 만족할수록 노후준비를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3.7%였다. 사회·여가적 영역에서는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집단, 가족관계만족도가 높고, 종교가 있고, 여성인 경우에 노후준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8.7%였다. 경제적 영역에서는 가족관계에 만족할수록,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여성인 경우,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노후준비를 잘하였으며, 설명력은 9.0%였다. 신체적 영역에서는 학력이 중졸보다는 전문대졸이상과 고졸인 경우,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노후준비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0%였다. 2.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불안 첫째, 베이비 붐 세대의 총 노후불안은 5점 만점에 평균 2.75점으로, 보통보다는 약간 낮은 수준이었다. 3개 하위영역 가운데 상실에 대한 두려움과 노인에 대한 두려움이 평균 2.82점으로 같았으며, 심리적 불안정은 2.55점으로 가장 낮았다. 둘째, 베이비 붐 세대가 지각하는 총 노후불안은 연령, 종교유무, 가족관계만족도 등 3개의 변인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영역별로 보면, 상실에 대한 두려움에서는 종교유무와 가족관계만족도의 2개 변인에서, 노인에 대한 두려움에서는 가족관계만족도 1개 변인에서, 심리적 불안정에서는 성별, 종교유무, 건강상태, 경제상태, 가족관계만족 등 5개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따른 총 노후불안은 신체적 영역을 제외한 정서적 영역, 사회·여가적 영역, 경제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상실에 대한 두려움에서는 정서적 영역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노인에 대한 두려움에서는 정서적 영역, 사회·여가적 영역, 경제적 영역의 3개의 변인에서 차이를 보였다. 심리적 불안정에서는 정서적 영역, 사회·여가적 영역, 경제적 영역, 신체적 영역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총 노후불안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진 변인은 정서적 준비도, 사회·여가적 준비도, 가족관계만족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8.4%였다. 하위영역별로 보면, ‘상실에 대한 두려움’은 정서적 영역의 준비가 낮을수록, 가족관계에 불만족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5.0%였다. ‘노인에 대한 두려움’은 학력이 고졸이상인 집단, 사회여가적·정서적·신체적 준비가 낮을수록 높게 평가되었으며, 설명력은 16.0%로 나타났다. ‘심리적 불안정’은 정서적, 사회·여가적, 경제적 준비가 낮을수록 높게 지각되었으며, 설명력은 19.5%이었다. 3. 베이비 붐 세대의 삶의 질의 집단 간 차이 첫째, 베이비 붐 세대의 생활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96점으로, 우울의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40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 붐 세대의 삶의 질 측면에서 생활만족도는 건강상태, 경제상태, 가족관계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우울에서는 경제상태를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총 노후준비도에 따른 베이비 붐 세대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하위영역별로도 정서적 영역, 사회·여가적 영역, 경제적 영역, 신체적 영역의 각 노후준비도에 따라서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넷째, 노후불안에 따른 베이비 붐 세대의 생활만족도는 총 노후불안을 비롯하여, 하위영역의 3영역 즉 상실에 대한 두려움, 노인에 대한 두려움, 심리적 불안정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우울에서도 총 노후불안의 정도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며 하위영역별에서는 노인에 대한 두려움을 제외한 두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4. 베이비 붐 세대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첫째, 베이비 붐 세대의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가족관계만족도이었으며, 그 다음이 사회·여가적 준비도, 정서적 준비도, 학력1, 학력2, 경제상태, 신체적 준비도, 상실에 대한 두려움, 노인에 대한 두려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0.2%로 밝혀졌다. 둘째, 베이비 붐 세대의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인은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었고, 그 다음이 가족관계만족도, 정서적 준비도, 심리적 불안정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6.7%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베이비 붐 세대가 안정적이고 만족스런 노후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다각적인 노후준비가 필요하며, 중장년기에 노후를 위한 친밀한 부부 및 자녀관계의 재구축이 요구된다. 사회적으로는 이전 노인세대와는 다른 베이비 붐 세대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노후준비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reparation for old age, aging anxiety, and quality of life of baby-boom gener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35 baby boomers(born 1955~1963) by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and were analyzed by using mean, percentage, factor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ckground variables considered were sex, age, education, religion, health status, family economic level,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factors considered were 4 domains of preparation for old age(emotional preparation, social & leisure preparation, financial preparation, and physical preparation), 3 sub-factors of aging anxiety(fear of losses, fear of old people, and psychological instability), and quality of life(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ctor analysis yielded 4 types of preparation for old age(emotional preparation, social & leisure preparation, financial preparation, and physical preparation). The mean of the total preparation for old age perceived by baby boomers was 3.56 out of 5. Among 4 sub-domains, baby boomers perceived ‘emotional preparation’ the highest(3.98), followed by ‘physical preparation’(3.39), ‘financial preparation’(3.38), and ‘social & leisure preparation’(3.24). And, the mean of the total aging anxiety was 2.75 out of 5. Among 3 sub-factors of aging anxiety 'fear of losses' and 'fear of old people' equally(2.81), and 'psychological instability' the lowest(2.55). Second, preparation for old age perceived by baby boomers was affected by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most(β=.233), followed by education2(β=.176), and health status(β=.148). This model explained 16.7% of the total variance. Third, aging anxiety perceived by baby boomers was influenced by emotional preparation(β=-.267), social & leisure preparation(β=-.188),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β=-.159). This model explained 18.4% of the total variance. Finally,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baby boomers was influenced by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most(β=.334), followed by social & leisure preparation(β=.237), emotional preparation(β=.215), education1(β=-.203), education2(β=-.197), family economic level(β=189), physical preparation(β=.117), fear of losses(β=-.114), and psychological instability(β=-.112). This model explained 40.2% of the total variance. And depression perceived by baby boomers was influenced by fear of losses the most(β=.492), followed by,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β=-.165), emotional preparation(β=-.149), and psychological instability(β=.122). This model explained 46.7% of the total variance. In conclusion, the best way to maintain present satisfactory life and reduce aging anxiety is to prepare for old age in advance. Baby boomers need to prepare for old age in various domains to enjoy stable and energetic later life. In addition, different services for preparation for old age need to be provided for baby boomers who are more active, productive and independent, and have stronger desire for self development than former generations.

      • 재즈댄스가 연기자의 움직임 향상에 미치는 영향

        임은경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는데 소통하는 수단은 언어와 비언어적으로 나눌 수 있다. 소리를 사용한 언어의 의사소통과 신체 몸짓, 동작 등에 의한 비언어의 의사소통으로, 그 중요성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연구되어오고 있으며, 특히 의사소통과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예술관련 학자들은 그 중요성을 밝히기 위해 다방면으로 연구하고 있다. 러시아 연출가 메이어홀드(Vsevolod Emiyevich Meyerhold, 1974 ~ 1940)도 “말이 모든 것을 다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제스쳐, 태도, 눈의 움직임, 침묵 등이 인간의 진정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며, 관객과 공유될 수 있는 정보를 넘겨주기 위해서는 동작을 구성하는 작업이 필수적인 과정이다”라고 말한다(남상식,1998). 이렇듯 예술 장르 중 무용과 연기자의 연기행위는 음성언어뿐 아니라, 몸을 통한 모든 종류의 신체적 행위와 융합하면서 이루어진다. 무용과 같은 비언어적 도구를 사용한 연극은 무용과 마찬가지로 신체를 도구로 하여 특정한 움직임을 통해서 이루어지므로 움직임은 연기자들에게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호소력 있는 표현력을 갖기 위해서는 언어전달보다 더 시각적이고, 표현하고자 하는 내적 감정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신체의 움직임을 정확히 인지하고 표출할 수 있어야 한다. 비언어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가운데 무용수와 연기자의 훈련도 중요시 되고 있다. 그 중 연기자의 열려있는 몸은 자연스러운 좋은 자세에서 나오지만, 좋은 자세로 있는 연기자는 많지 않다. 잘못된 생활습관의 원인으로 연기훈련 무용도 마찬가지로 처음에 기초적인 훈련을 받을 때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많은 연기자들이 이런 기초훈련부족과 다른 이유로 자신의 재능과 노력에 비해 자신만의 개성적인 연기를 무대에서 보여주지 못하는 경우가 나타날 수 있다. 이 연구는 연기지망생과 연기자의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비언어의 수단인 우리 신체를 연기자들이 어떤 훈련을 통해 관객들과 소통하고 움직임을 증진시킬 수 있는지에 중점을 두고 있다. 많은 움직임 중 무용은 연기자들에게 기본적인 체력단련에서부터 테크닉까지 연기할때 필요한 요소들이 많이 있다. 그 무용장르 중 재즈댄스는 다른 순수무용이 아닌 실용무용으로 무용 비전문가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중성이 있고, 타 실용무용(댄스스포츠,밸리 댄스,힙합...)에 비해 연기자들의 극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특징적인 동작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 요소가 분리운동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이다. 아이솔레이션은 신체의 부위가 따로따로 움직이는 동작으로, 우리 몸의 관절을 자유롭게 움직여서 생동감 넘치고 힘있는 움직임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재즈댄스의 개념, 특징과 흐름을 살펴보고 움직임 향상을 위한 방법을 재즈댄스 동작과 연관시켜, 그 의미를 파악하고, 연극에서 재즈댄스 요소를 활용한 사례를 통해 재즈댄스의 효과를 찾아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기자를 위한 재즈댄스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이를 연극 ‘두드리 두드리’ 를 통해 재즈댄스 특성적인 동작을 연구하였다. 이상으로 재즈댄스를 통한 연기자의 움직임 향상을 위한 연구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기자들에게 비언어 중 하나인 움직임은 필요하다. 다양한 움직임 중 실용무용의 재즈댄스는 비전문가인 연기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연기자들에게 필요한 신체 움직임 요소들이 포함되어있다. 재즈댄스 움직임을 통해 더 극대화된 연기를 보여 줄 수 있으며, 연기를 하는 데 있어서 에너지 넘치는 연기도 자연스럽게 도와준다. 둘째, 재즈댄스의 훈련프로그램에 따라 도입, 전개1, 전개2, 정리까지 4단계로 구분하여 훈련을 함으로, 연기자들의 호흡과 기초체력, 근력에 유용함이 있다. 기본 재즈댄스 훈련에 연기자들을 위한 표정과 소리를 첨가하여, 움직임을 하면서 연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발성과 소리 표정이 움직임과 하나가 되어 트레이닝을 하는 것으로 연기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이다. 셋째, 재즈댄스의 특성적인 동작 분리운동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은 우리 몸 관절의 작은 움직임에서 큰 움직임까지 가능하므로 움직임을 하는 연기자들에게 유용하다. 이를 창파의 작품 <두드리 두드리> 의 사례로도 알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재즈댄스의 훈련을 제시함으로 연기자에게 재즈댄스의 유용성과 효과를 찾아내는 기초자료로 연기자의 신체훈련의 중요성을 살펴본다. 연기자는 연기뿐 아니라 꾸준히 신체 훈련을 함으로 무대에서 본인의 색깔과 캐릭터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힘써야 하며, 앞으로 재즈댄스를 활용한 연기자들의 공연이나 훈련이 많이 이루어 져야 한다. 재즈댄스의 움직임을 전문적인 지식과 다양한 경험을 통해 연기자의 신체움직임 중요성을 밝히기 위한 재즈댄스의 후속연구가 계속 이루어지고 이로써 연기자를 위한 프로그램 훈련이 계속 개발되길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