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사의 역할에 대한 초등학생의 학년별 기대 차이

        임영선 春川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사의 역할이나 바람직한 교사상의 모습은 시대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므로 현시점에서 교사에 대한 초등학생의 학년별 기대 차이를 연구하여 그에 알맞은 교사상을 규명하고 바람직한 교사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는 학년 수준에 따라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는가? 둘째, 교사의 학습 지도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는 학년 수준에 따라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는가? 셋째, 교사의 생활 지도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는 학년 수준에 따라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는가? 넷째, 교사의 학급 경영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는 학년 수준에 따라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는가? 다섯째, 교사와의 인간관계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는 학년 수준에 따라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는가?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2학년, 4학년, 6학년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표집 방법은 원주시내 전체 초등학교 중에서 2개교를 임의 표집하되, 각 학교의 표집 인원은 2학년, 4학년, 6학년 학생 수를 고려하여 각 학년별로 120명씩 총 720명을 임의 표집 하였다. 그 중에서 자료수집에 필요한 응답을 충실하게 하지 못한 각 학년별 40명씩을 제외하였다. 따라서 실제로 통계적 부분에 사용한 최종 대상자는 600명(2학년 남녀 200명, 4학년 남녀 200명, 6학년 남녀 20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바라는 학년별 기대에 따른 바람직한 교사 역할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 조사방법을 시도하였다. 질문지는 크게 교사의 개인적 특성 영역, 학습지도 영역, 생활지도 영역, 학급경영 영역, 인간관계 영역 등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교사의 개인적 영역으로는 성별, 연령, 성격(다정하고 친절한 정도), 자질(사랑의 정도), 옷차림(유행의 정도)으로 나누었으며, 학습지도 영역으로는 학습지도 방법(학생 중심의 정도), 학습지도 내용, 과제부여 방법, 과제 미처리 시 지도방법, 성적 중시의 정도로 나누었으며, 생활 지도 영역으로는 지향해야 할 인간상, 쉬는 시간의 활용(자율성의 정도), 학급일의 의사 결정 시 학생 위주의 정도, 학생 잘못의 처리방법 중 체벌의 허용정도, 자리 배치 방법으로 나누었으며, 학급경영 영역으로는 환경구성 내용, 담임재량시간의 운영에 아동의 흥미 반영 정도, 일기장 검사 방법, 학습장 검사 방법, 부모님과의 연락 방법으로 나누었으며, 인간관계 영역으로는 고민거리 의논 상대, 선생님과의 대화 내용, 학생과의 대화 시 중요시해야 하는 사항, 선생님과의 상담 기회, 선생님과 부모님과의 관계(친밀감의 정도)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각 질문응답 문항은 성격에 따라 명명척도와 서열척도로 응답하게 하였으며 서열척도 문항은 5단계 평정척도로 응답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질문 문항 중 명명척도로 응답하게 한 문항에서는 카이제곱 검증(χ^(2) test)을, 서열 척도로 응답하게 한 문항에서는 일원 변량분석(F검증)을 통하여 분석하고 집단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대한 기대의 측면에서 볼 때 교사에 대한 성별은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χ^(2)=10.678, p=.030), 교사의 연령에 있어서도 학년간 차이가 있었다(χ^(2)=58.978, p=.000). 또한 교사의 성격에 있어서 다정하고 친절한 정도에는 학년간 차이가 없었다(F=2.543, p=.079) 아울러 교사의 자질에 있어서 사랑의 정도에도 학년간 차이가 있었으며(F=5.791, p=.003), 교사의 옷차림에 있어서 유행의 정도에도 학년간 차이가 있었다(F=24.981, p=.000). 둘째, 교사의 학습지도에 대한 기대의 측면에서 볼 때 학습지도 방법에서 학생 중심의 정도는 학년간 차이가 있었으며(F=4.077, p=.017), 학습지도 내용에 있어서도 학년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2)=36.943, p=.000). 또한 과제부여 방법에서도 학년간 차이가 있었으며(X^(2)=43.191, p=.000), 과제 미처리시 지도방법에도 학년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X^(2)=23.460, p=.001), 성적 중시의 정도에 있어서도 학년간 차이가 있었다(F=43.739, p=.000). 셋째, 교사의 생활지도에 대한 기대의 측면에서 볼 때 지향해야 할 인간상에는 학년간 차이가 있었으며(χ^(2)=58.901, p=.000), 쉬는 시간의 활용에 있어서 자율성의 정도에도 학년간 차이가 있었다(F=10.617, p=.000), 또한 학급 일의 의사 결정 시 학생 위주의 정도에도 학년간 차이가 있었으며(F=3.292, p=.038),학생이 잘못을 저질렀을 때 처리 방법 중 체벌의 허용 정도에도 학년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7.116, p=.001). 그리고 자리배치 방법에 있어서도 학년간 차이를 보였다(χ^(2)=17.399, p=.008). 넷째, 교사의 학급 경영에 대한 기대의 측면을 볼 때 환경구성 내용에 있어서는 학년간 차이를 보였으나((χ^(2)=110.913, p=.000), 담임재량시간이나 특별활동시간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학생의 흥미 반영 정도에는 학년간 차이가 없었다(F=.396, p=.673). 그리고 일기장 검사방법에 있어서는 학년간 차이가 있었으며(X^(2)=20.050, p=.003), 학습장의 경우에도 학년간의 차이가 있었다(χ^(2)=15.705, p=.003). 또한 부모님과의 연락 방법에 있어서도 학년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2)=15.872, p=.014). 다섯째, 교사와의 인간관계에 대한 기대의 측면에서 볼 때 고민거리 의논 상대에는 학년간 차이가 있었으며(χ^(2)=15.733, 0=.015), 선생님과의 대화 내용에 있어서도 학년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2)=26.052, p=.004), 또한 학생과의 대화 시 중요시해야 할 사항에 있어서도 학년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χ^(2)=62.567, p=.000), 선생님과의 상담 기회에서도 학년간 차이가 있었다(χ^(2)=25.717, p=.000). 그리고 선생님과 부모님과의 관계에 있어 친밀감의 정도에도 학년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4.105, p=.000). 따라서 진정한 교육을 위하여 일선 교육 현장에서는 교사와 학생, 교사와 학부모 사이에는 교육적인 대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교사들은 시대별, 사회별, 학년별 학생 집단간의 기대하는 교사상과 그 역할에는 차이가 있으므로 그것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융통성과 복합적인 교사상을 추구하는데 계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study aims at providing the basic data needed to perform teachers roles and examining into the image of desirable teachers through studying the expectation difference of teachers at the present situation supposing that teachers roles or the image of desirable teachers have been changed according to times. On the basis of the aim, I set up subjects as follows. First, Does a teachers individuality have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s of primary school students? Secondarily, what difference by grades does the expectation of the primary school students by Teachers teaching have? Thirdly, what difference by grades does the expectation of the primary school students by teachers life guide have? Fourthly, what difference by grades does the expectation of the primary school students by teachers class operation? Fifthly, what difference by grades does the expectation of the primary school students by human relations to teachers? The study sampled students in the 2nd grade, 4th grade and 6th grade of primary schools located in Wonju-city, Kangwon-do, Korea. The method sampled selected 2 primary schools at discretion of primary schools in Wonju-city, that is, choosing total 720 students each 120 of the grade in consideration of numbers of 2nd, 4th and 6th. Of them, I excepted 40 students who did not respond sincerely. The final sample was 600 students (each 200 of 2nd , 4th and 6th grade female and male students). The study used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the teachers desirable role that students expected. The questionnaire was formed of the teachers individuality, teaching, guiding school life, class operation, human relations, etc. as about 5 areas. The individuality was divided into sex, age, character (tenderness degree), quality (affection degree) and dress, the teaching was divided into the method (how much focused on students), contents, the method how to set a task, the method of teaching in a case that a student did not finished the given task and how much taking a serious view of a students academic records, the guiding life area was divided into the image of model student, rest hours (the degree of self-controlling), how much focusing on students when deciding the class affairs, how much permitting corporal punishment to a students fault and the way to place seats, the class operation area was divided into contents of environmental composition, how much reflecting students interesting during the class teachers discretional hours, the way to examine students diaries, the way to inspect students notebooks, the method to contact students parents, the human relations was divided into taking companions when having troubles, contents talking with teacher, matters of importance when talking with students, counseling opportunity with teacher and the relation of parent and teacher (Intimacy degree). Each questionnaire item had to be responded according to the measure of clearing or ranks and the ranks had 5 levels.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by SPSS PROGRAM. The items for the measure of clearing passed χ^(2) test and the items for the measure of ranks passed F inspection. And they was examined whether the difference among groups was or no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x of teacher had difference by grades the expectation for teachers individuality (χ^(2)=10.678, p=.030), the age of teacher has difference by grades (χ^(2)=58.978, p=.000), the tenderness of teacher did not have difference among grades(F=2,543, p=.079), the affection of teacher had difference among grades(F=5.791, p=.003), the dress of teacher had difference among grades(F=24.981, p=.000) according to the degree of a new fashion. Secondarily, in the aspect of teaching, the degree to focus on students had difference among grades (F=4.077, p=.017), the contents of teaching had difference among grades (χ^(2)=36.943, p=.000), the method to set a task had difference among grades (χ^(2)=43.191, p=.000), the method to teach when student did not finish the given task had difference among grades(χ^(2)=23.460, p=.001), the degree that teacher had a serious view of students academic records had difference among grades (χ^(2)=43.739, p=.000). Thirdly, in the aspect of teachers life guide, the image of model student did not have difference among grades (χ^(2)=58.901, p=.000), the self-controlling during rest hours had difference among grades (F=10.617, p=.000), the degree to focus on student when deciding the class matters had difference among grades (F=3.292, p=.038), the method of corporal punishment when student made fault matters had difference among grades (F=7.116, p=.001) and the method to place seats had difference among grades (χ^(2)=17.399, p=.008). Fourthly, in the aspect of teachers class operation, the environment composition had difference among grades (χ^(2)=110.913, p=.000), the operation of Teachers discretional hours or extracurricular hours did not have difference among grades (F=.396, p=.673), the method to examine students diaries had difference among grade(X^(2)=20.050, p=.003), the notebooks had difference among grades(χ^(2)=15.705, p=.003) and the way to contact parent had difference among grade(χ^(2)=15.872, p=.014) Fifthly, in the aspect of teachers human relations, the talking companion when student had troubles had difference among grades(χ^(2)=15.733, p=.015), the contents of talking with teacher had difference among grades(χ^(2)=26.052, p=.004), the matters of importance when talking with student had difference among grades(χ^(2)=62.567, p=.000), the counseling opportunity with teacher had difference among grades(χ^(2)=25.717, p=.000), and the degree of intimacy between teacher and parent had difference among grades(F=34.105, p=.000). Therefore, to pursue the real education in the education field, an educational convers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and teacher and parent has to be made, teacher has to positively accommodate that there is difference in the image of teacher and the role by times, societies and school grades and make effort to pursue the adaptability and complexity of teachers image to immediately cope with the situation.

      • 손가락 짚어 읽기가 유아의 단어 인지에 미치는 영향 : 7세를 대상으로

        임영선 창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읽기의 기초와도 같은 음운인식과 문자의 음역화는 손가락 짚어 읽기를 통한 균형읽기(balanced reading) 속에서 효과적으로 학습 된다. 처음 읽기를 시작하는 유아들에게 균형읽기와 관련된 활동들 중에서 ‘손가락 짚어 읽기(finger-point reading)’가 있다. 한국어나 영어를 배울 때 많이 사용되는 손가락 짚어 읽기가 초기에 읽기를 배우는 유아들에게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은 하지만, 국내에는 손가락 짚어 읽기만을 중심으로 연구된 논문이 많이 없다. 손가락 짚어 읽기의 장점들이 한국에서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고 있는 7세 유아들에게도 해당이 되는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또한 유치원의 수업시간에 읽기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활동도 필요하다. 본 연구는 7세 유아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향상에 있어서 선생님과 함께 수업시간에 책을 읽을 때에 손가락을 짚으며 읽는 것과, 그런 활동을 하지 않고 책을 읽는 방법을 비교하였을 때 어느 것이 책 읽기의 기초가 되는 ‘글자 인지’, ’소리와 글자 일치하기’, ‘음소인식’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모든 조건을 동일하게 하고, 손가락 짚어 읽기의 변인으로 실험반 21명과 통제반 20명을 대상으로 2009년 6월 15일부터 7월 24일 까지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사전에 흥미도 검증을 통하여 두 집단 간에 정의적 영역에서의 동일성을 검증하였으며, 7세 유아를 대상으로 손가락 짚어 읽기의 효과를 알기 위해서 ‘단어인지 평가자료’를 사용하여 실험 후에 실험반과 통제반을 검사하였다. 연구 기간에 연구과정을 거쳐 수집된 자료는 SPSS 12.01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글자인지, 소리와 글자 일치, 음소인식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은 집단별 흥미도의 응답 경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카이-스퀘어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검사지 문항의 항목별로 평균의 동일성에 대한 t-테스트를 하였고, 음소인식에 대한 항목과 같이 두음, 모음, 말음과 같은 집단 내 요인과 실험반과 통제반 이라는 집단 간 요인이 존재할 경우 ANOVA에 나타난 기술통계로 해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손가락 짚어 읽기는 유아의 글자인지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책을 읽으면서 손가락으로 짚는 행동은 유아가 소리 없이 시각만 가지고도 글자를 인지하는 능력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손가락 짚어 읽기는 유아의 소리와 글자를 일치시키는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들이 책을 읽는 과정에서 손가락 짚어 읽기로 연습하였을 경우, 소리를 듣고 그 소리와 일치하는 단어를 찾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며, 이것은 유아의 단어 인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손가락 짚어 읽기는 유아가 두음, 모음, 말음의 음소 인식 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손가락 짚어 읽기를 한 유아는 그렇지 않은 유아보다 모든 음소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지만, 특히, 모음에서 가장 큰 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자가 제시한 유아의 초기 읽기에서 손가락 짚어 읽기는 그렇지 않은 읽기보다 유아의 글자인지, 소리와 글자 일치시키기, 음소 인지에서 더 효과적이었으며, 결국 유아의 단어 인지에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유아학습자가 읽기를 할 때에 그냥 눈으로만 보고 읽는 것 보다는 손가락으로 짚으면서 책을 읽는 것이 유아들의 단어 인지에 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초기 읽기 전반에 걸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한국어 환경에서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유아들에게 손가락 짚어 읽기는 총체적 읽기에서 균형일기를 가능하게 하여, 유아들의 초기 읽기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 12주간 중년남성의 걷기운동 참여와 신체조성, 혈액변인 및 골밀도의 관계

        임영선 수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dentity the association of walking with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and bone density in participation group who participated in walking and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walking before vs. after walking in middle aged men for 12 weeks and provide effective exercises for keeping and enhancing physical fitness for health as well as improving climacterium and obesity in middle aged men. To this end, this study set subjects who voluntarily hoped to participate in walking among middle aged men who lived in Ansan, Gyeonggido. Among the groups who participated in walking, heart disease patients who showed difficulty in continuing exercise during stability were excluded. The groups of participants were subgrouped into the experiment group of 10 individuals who had no problem in walking for 4.8km/45 min. in a day for 12 weeks (Seoul National University Medical Research, Physical Science, and Aging Center, 2009) although they did not participate in regular exercises including walking for the recent six months and the control group of 10 individuals who did not participate in regular exercises including walking for 12 weeks and enjoyed their daily lives. On the other hand, for data analysis, two-way ANOVA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changes i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and bone density between types (groups) of participation into walking depending on the point of time(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walking) of participation in walking for 12 week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through such methods and procedures, our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anges in body composition between types (groups) of participation into walking depending on the point of time(before and after) of participation into walking for 12 weeks. After participation in walking, body weight (F=4.485, p<.05) and body fat percentage (F=4.858, p<.05) were reduced in exercise group more than in control group.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changes in blood lipids between types(groups) of participation into walking depending on the point of time (before and after) of participation in walking for 12 weeks. After participation into walking, total cholesterol (TC)(F=8.473, p<.01) and low density liprotein cholesterol (LDL)(F=8.170, p<.01) were reduced in exercise group more than in control group.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anges in bone density between types (groups) of participation into walking depending on the point of time of participation into walking for 12 weeks.

      • 인공심장판막 환자를 대상으로 한 warfarin치료의 적정성 평가 및 환자의 인지도와 치료 적정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任英仙 淑明女子大學校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Warfarin을 이용한 경구용 항응고제 치료의 최대 목적은 권장 INR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출혈이나 혈전증 같은 합병증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Warfarin의 적응증 중의 하나인 인공심장판막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영역에 있는 INR의 비율과 동반되는 합병증의 빈도를 조사함으로써 Warfarin의 치료 적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low intensity INR을 적용하였을 때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Warfarin치료에 대한 환자의 인지도와 치료 적정성간의 상관관계를 평가해 봄으로써 항응고임상업무(anticoagulant service)의 운영에 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1994년 1월부터 1996년 12월 사이에 연세의료원 심장혈관센터에서 mechanical heart valve replacement를 받은 환자 203명을 대상으로 Warfarin의 치료 적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권장 INR 범위로는 ACCP 기준으로 2.5∼3.5를 적용하였고 low intensity INR은 2.0∼3.5를 적용하였다. Warfarin의 치료에 대한 환자의 인지도 평가를 위해서는 외래를 통해 내원하는 환자 중 Warfarin 처방을 받은 환자 342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Warfarin의 치료 적정성 평가 결과 평균 INR을 이용한 경우와 전체 INR을 이용한 경우 각각 51.2%, 31.1%의 치료 적정율을 보여주었으며, low intensity INR을 적용해 2.0∼3.5를 치료영역으로 보았을 때 57.4%∼90.1% 의 치료 적정율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6개월 때의 치료 적정율에 비해 3년 때의 적정율이 각각 45.3%와 50.7%로 다소 증가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INR 2.0∼2.5와 INR 2.5∼3.5사이에 합병증의 발생빈도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출혈빈도의 경우 INR 수치가 증가할수록 출혈의 발생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설문조사에 따른 치료 적정성 평가 결과 환자의 인지도와 INR 조절과의 관계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인공심장판막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Warfarin 치료의 적정성 평가 결과 낮은 치료 적정율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Warfarin 치료의 적정율을 높혀주기 위해서 항응고 치료를 받는 환자를 전문적으로 follow-up 할 수 있는 항응고임상업무(anticoagulant service)등과 같은 기구가 병원 내에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The goal of oral anticoagulation therapy with warfarin is to maintain INR values within the therapeutic range in order to prevent complications such as bleeding and thrombosi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urrent level of anticoagulation control using INR value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s of thromboembolism and bleeding complications, to compare the effect of low intensity INR regimen with therapeutic range recommended by ACCP, and to investigate patient’s awareness about warfarin therapy and its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therapeutic control. Two hundred three patients with mechanical heart valve at Yonsei University Cardiovascular Center between January, 1994 and December, 1996 were selected and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target INR range of 2.5∼3.5 (ACCP standard) and low intensity INR of 2.0∼3.5 were used for evaluation. In order to analyze patient’s awareness about the warfarin therapy, the survey with 16 questions was done to 342 outpatients who were prescribed with warfarin, and according to the result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high awareness and low awareness groups. According to ACCP standard, 51.2% of patients and 31.1% of INR values were within the therapeutic range when average INR and total INR were used, respectively. Applying low intensity INR values of 2.0∼3.5 the therapeutic control was achieved in 57.4% and 90.1%, using average INR and total INR, respectively. The incidences of major and minor bleedings were 0.5% and 26.6%,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thromboembolism was 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complication incidences between INR 2.0∼2.5 and INR 250∼3.5 groups. However, INR values at the time of bleeding were generally high. Also, the evaluation from the survey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tient’s awareness and therapeutic control with warfarin therapy. However, patients generally wanted more information about the therapy from the health care providers. In conclusion, the evaluation of patients with mechanical heart valve replacement showed low level of therapeutic control with warfarin therapy. This is partially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physicians at Yonsei University Cardiovascular Center were using lower intensity INR values as a goal rather than recommended INR. Also, in the near future, systematic anticoagulant service should be provided to patients at various hospitals in Korea so that patients on anticoagulant therapy can be more closely monitored and, thus, increase the level of therapeutic control with warfain therapy.

      • 주관적 지식 형성을 위한 읽기 교육 방법 연구 : 키에르케고르의 간접전달을 중심으로

        임영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키에르케고르의 간접전달 이론에 기초하여 학습자가 주관적 지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읽기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출발하였다. 키에르케고르는 자아의 진리로서 주관적 지식의 형성을 강조한다. 주관적 지식은 지식이 개인과 분리되지 않으면서 개인에게 내면화된 지식으로, 간접전달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Ⅱ장에서는 키에르케고르의 객관적 지식과 주관적 지식을 비교해 보고, 주관적 지식이 자아와 어떤 관련을 맺는지 살펴본다. 또한, 키에르케고르의 간접전달의 의미와 원리를 알아봄으로써 읽기 교육에 접목시킬 수 있는 부분을 탐색하고, 읽기 교육에서 주관적 지식의 형성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를 제시한다. 끝으로 주관적 지식 형성을 위한 읽기 교육의 특성과 조건에 대하여 논의한다. Ⅲ장에서는 주관적 지식 형성을 위한 읽기 지도 원리를 이중반사의 원리, 이중화의 원리, 내면화의 원리, 주관화의 원리로 알아본 뒤, 키에르케고르의 간접전달에 기반한 읽기 지도 단계로 객관적 읽기-관계적 읽기-주관적 읽기를 고안한다. 객관적 읽기 단계는 ‘떠올리기’와 ‘다가가기’ 단계로 구분되며, 심미적 반응 형성하기와 순환적 읽기 유도하기 전략이 사용된다. 관계적 읽기 단계는 ‘거리두기’, ‘확장하기’, ‘다리놓기’ 단계로 구성되고, 전략으로는 소집단 토의 활동 지원하기와 초점의 이동 안내하기 전략이 있다. 마지막 주관적 읽기 단계는 ‘대화하기’와 ‘통합하기’ 단계로 이루어지며, 반사체와의 대화 유도하기와 자기화 격려하기 전략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읽기 지도 단계를 실제에 적용하기 위해 '알사탕', '꽃들에게 희망을' 2편의 텍스트를 가지고 각 3차시씩 총 6차시의 읽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24인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해 과정을 구체화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읽기 지도 과정 및 활동 결과물 분석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자기 이해 정도가 향상되고 주관적 지식을 형성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국어과 수업에서 텍스트 읽기를 통한 초등학생의 주관적 지식 형성과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후 학교에서 학습자의 자아의식 확립을 위한 읽기 수업을 전개하고 사례 연구가 많이 나와 그 효과가 나타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started to seek a methods of reading education that can develop a learner 's subjective knowledge based on indirect theory of Kierkegaard. Kierkegaard emphasizes the formation of subjective knowledge as the truth of self. Subjective knowledge can be formed through indirect communication, with internalized knowledge of the individual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individual. Considering this point, chapter Ⅱ compares the objective knowledge with subjective knowledge of Kierkegaard and examines how subjective knowledge relates to self. In addition, by exploring the meaning and principles of indirect communication of Kierkegaard, the researcher explore the parts that can be applied to reading education and present the educational meaning of forming subjective knowledge in reading education. Finally, the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of reading education for subjective knowledge formation are discussed. In chapter Ⅲ, the researcher find out the principle of reading guidance for subjective knowledge formation as the principle of double reflection, the principle of duplication, the principle of internalization, the principle of subjectivization, and then the objective reading - relational reading - subjective reading as a reading instruction based on the indirect communication of Kierkegaard. Objective reading stages are divided into 'Reminiscence' and 'Approach' stages, and a strategy of Forming an aesthetic response and Inducing a cyclical reading is used. Relational reading stages consist of 'Distance', 'Expansion', 'Bridge', and strategies include Supporting small group discussion activities and Guiding the movement of focus. The final subjective reading stage consists of 'Conversation' and 'Integration' stages, and the strategy of Inducing conversation with the reflector and Encouraging the becoming magnetized is used. In order to apply this reading instruction step to practice, the researcher performed reading lesson of 6 times in each of the 3 classes with two texts "A piece of candy" and "Hope for flowers". The qualitative case study of the participants of 2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as carried out and the effect was verifi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elf - understanding level of research participants improved and subjective knowledge was formed through reading instruction process and analysis of activity result. This stud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subjective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ext reading in Korean language lessons. Hopefully, many case studies about developing reading lessons for the self-consciousness of learners in the school will emerge after this study.

      • 한국형 집단 수퍼비전 평가 도구 개발

        임영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집단 수퍼비전에서 상담수련생들이 수퍼바이저를 평가하는 집단 수퍼비전 평가 도구(Group Supervision Evaluation Questionnaire - Korean, GSEQ-K)를 개발하고 그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수퍼바이저를 평가하는 구인을 정하기 위해, 65명의 석, 박사 과정의 상담전공생들과 상담 전문가들이 참여하였다. 문항 개발 및 검토에는 53명의 상담, 목회상담, 발달, 측정전공의 석, 박사생, 측정 교수 및 상담 전문가들이 참여하였다. 예비검사는 집단 수퍼비전 경험이 있는 상담수련생 225명의 회상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본 검사는 집단 수퍼비전에 참여한 상담수련생 1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65명의 상담자에게 수퍼바이저를 평가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개방 질문한 후, 그 내용과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집단 수퍼바이저를 평가하는 구인을 정하고 문항을 만들었다. 만들어진 문항에 대해, 다섯 번의 문항 점검 과정을 거치면서 문항을 수정, 삭제, 보충하여 문항을 확정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문항을 무선적으로 배열하여 5점 리커트 척도 질문지로 만들어서 약 4개월 동안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항을 수정하여 2005년도 3월부터 2006년 3월까지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을 살펴보면, 집단 수퍼비전 수퍼바이저를 평가하는 요인을 정하고 문항을 선정하기 위해 내용분석과 빈도분석을 하였다.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는 요인별 내적합치도(Cronbach α)를 확인하였다. 타당도는 내용타당도, 공준타당도, 구인타당도로 살펴보았는데, 내용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여러 차례 전문가들의 문항검토를 받았다. 그리고 공준타당도는 외국에서 이미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퍼비전 평가도구와의 상관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구인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형 집단 수퍼비전 평가 도구는 집단 수퍼비전의 수퍼바이저가 1명인 경우, ‘수퍼바이저 태도’, ‘수퍼비전 관계’, ‘상담개입’, ‘집단운영’의 총 4요인 20문항과 수퍼바이저가 2명인 경우, ‘수퍼바이저간 협력’ 요인이 첨가되어 총 5요인 24문항이 개발되었으며,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하위요인별 신뢰도는 수퍼바이저 1명인 경우, Cronbach α는 .670~.770, 수퍼바이저가 2명인 경우, .479~.823으로 신뢰롭게 나타났다. 또한, 내용타당도는 문항개발과정에서 상담전문가 및 대학원 석, 박사, 교수들의 검토과정을 통해 확보되었다. 뿐만 아니라, 집단 수퍼비전의 수퍼바이저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집단 수퍼비전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으며, 집단 수퍼비전 도구(Arcinue, 2002), 수퍼바이저 스타일 질문지(Friedlander & Ward, 1984)와의 상관도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구인타당도를 보면,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지수 RMSEA가 수퍼바이저 1명인 경우, .107, 수퍼바이저 2명인 경우, .095 ~ 092로 아주 좋지는 않다. 이것은 하위 요인들간의 상호상관이 높은 것과, 표본 수가 매우 작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다. 한국형 집단 수퍼비전 평가 도구는 이미 개발된 수퍼비전 평가도구의 문제점을 보완했다는 점과 집단 수퍼비전의 수퍼바이저 수를 고려한 국내, 국외 최초의 집단 수퍼비전 평가도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 도구는 집단 수퍼비전 연구와 집단 수퍼비전이 이루어지는 상담 교육 현장에서 많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d to validate the group supervision evaluation questionnaire-Korean. Although group supervision is a very popular supervision form in Korea, no group supervision scale has been developed. There are a few group supervision evaluation scales developed in the western countries. However, they have some methodological flaws and are not adequate to evaluate group supervision with 2 supervisor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ponses from 65 professional counselors, I developed a total of 97 items with 4 constructs to evaluate group supervision with 1 supervisor and 6 constructs with 2 supervisors. Through item screening process, finally 27 items were left for the preliminary analysis. Preliminar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50 counselors to evaluate group supervision with one supervisor and with 106 counselors to evaluate 2 supervisors. The counselors were asked to recall the most recent group supervision they received. Based on the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s, item correlation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venteen items were selected with three factors, such as "counseling intervention", "supervision relationship", and "supervisor qualities" for the group supervision with 1 supervisor. Although the factor "group management" was not found salient from factor analysis, I decided to include the factor for the final analysis with a revision of items to measure the factor. For the group supervision with 2 supervisors another construct of "supervisors' cooperation" was add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cale revised through preliminar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50 counselors to evaluate group supervision with 1 supervisor and 65 counselors for the one with 2 supervisors. The counselors were asked to evaluate the group supervisors right after group supervision session was finished. Four factor model with 20 items was confirmed b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evaluate the group supervision with 1 supervisor, and 5 factor model with 24 items for the one with 2 supervisors. The Cronbach's alpha's were satisfactorily acceptable with a range from .67 to .77. Limitations of the scale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 공무원의 노동기본권 확보에 관한 연구

        임영선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노동은 자연인의 신성한 권리이며, 노동기본권은 모든 국민에게 보장된 인간다운 생활을 근로자에게 구현하기 위하여 헌법에서 규정한 근로자의 기본적 권리 즉, 기본적인 인권으로서 그 근본이념에는 인간존중사상과 민주성을 지향하고 있다. 또한 노동기본권은 오늘날 현대민주국가의 핵심적인 자연법적 기본권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그 근본이념과 정신은 국제적으로 보편적인 인권적 가치가 되고 있음을 우리는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다. 이에 노동인격체인 공무원도 그 사용자인 정부에 대하여 종속노동관계에 있는 근로자이므로 노동기본권을 보장받아야 한다고 본다. 국제적 동향을 살펴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대부분이 공무원단체 결성을 허용하고 있고, 또 OECD에서도 우리나라에 대하여 수 차례 시정을 권고하고 국제노동기구(ILO)에서도 93년 이후 8차례에 걸쳐 시정을 권고하였으며, UN경제사회문화인권위원회에서 1995년 시정촉구 권고문이 채택되고, 모든 사람의 노동조합 결성권리를 규정하고 있는 국제연합의 사회권 규약을 1990년 6월 조약 제1006호로 비준한 바 있다. 또한 국내적으로 공무원 스스로가 결성한 법외노조인 공무원노조는 정부에 대하여 근로자로서 공무원의 노동 기본권 보장을 계속적으로 촉구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외적인 추세에 부응하여, 정부는 합헌적 조치를 취하여 공무원의 노동기본권을 보장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2002년 10월 공무원의 단결권을 보장한다고 하여 정부가 발표한 ‘공무원조합설립및운영등에관한법률(안)‘은 단체행동권과 협약체결권을 제외한 단결권과 단체교섭권만을 인정한 것으로서 공무원의 노동기본권을 보장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 이미 1998년 2월 6일 노·사·정 사회협약에 따라 1999년 1월 1일부터 공무원노동조합의 전단계로서의 공무원직장협의회를 허용하여 단결권은 인정하였으나 그 가입대상이 극히 제한되어 있어서 소규모의 일선기관에 근무하는 공무원은 가입할 수 없었고 따라서 공무원직장협의회가 단결권행사에 있어서 효율성이 없었음을 우리가 실감하였던 바, 정부가 발표한 공무원조합이 그 시행착오를 재현하려고 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부의 ‘공무원조합설립및운영등에관한법률(안)‘이 최근 입법예고되었으나 이 또한 공무원직장협의회와 마찬가지로 가입대상이 극히 제한되어 있어서 대표성 여부가 문제되는 등 공무원의 노동기본권을 보장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 또한 명칭에 있어서 같은 공무원신분인 교원에게는 이미 교원노동조합을 허용했으면서 일반공무원에게 노동조합을 불허하고 법규정도 없는 공무원조합의 명칭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고 본다. 그런데 교원노동조합 또한 단체협약권 및 단체행동권이 인정되지 않고 있으며 교수 등 가입대상의 제한이 있으므로 단결활동에 필요한 권리가 보장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모든 공무원은 근로자로서 정당한 노동기본권을 확보하기 위해서 정부와 계속적인 협상을 하여야 하겠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 100만명의 공무원인 근로자의 경우에 있어서 헌법상 기본권인 단결권의 주체로서 보호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노무에 종사하는 극히 일부분의 공무원을 제외한 대부분의 공무원에 대하여 노동3권이 인정되지 않는 현실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면서 시작하였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 공무원의 노동3권을 비롯한 노동기본권 확보에 조그만 보탬이 되고자 계획하였으며, 제2장에서 노동기본권의 개념과 공무원의 근로자성을 살피고, 제3장에서 ILO국제노동기준과 대표적인 국가의 공무원의 노동기본권 보장 현황을 고찰하고, 제4장에서 우리나라 공무원의 노동기본권에 관한 법규정 및 제한론을 다루었으며, 제5장에서 우리나라 공무원의 노동기본권 확보에 관한 인터넷설문조사와 결과분석 및 현행법제상 문제점을 다루었으며, 제6장에서 공무원의 노동기본권 보장의 방향과 정책대안을 제시함으로써 공무원의 노동기본권의 실질적인 확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Labor is a sacred right of natural person, and the basis Labor Right refer to fundamental rights of workers, i.e. basic human rights as provided in constitution so as to allow every worker to benefit by humane living assured to all peoples. Its fundamental ideology orients to two thoughts: human respect and democratism. In addition, the basis Labor Right are well considered as basic rights in the level of natural law as essential to contemporary democratic countries. Its fundamental ideology and spirit already become universal values in the level of human right around the globe. Thus, public officials as human personality must be assured of the basis Labor Right, because they are also workers subject to government as employer. In view of international trends, a majority of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members permit domestic officials to organize their own groups. Moreover, OECD has already recommended Korea to improve its conventional regulations and law about public officials in several times,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ILO) has also recommended Korea those improvements in 8 times since 1993. The Recommendation of Corrective Measures was adopted by Economic and Social Council of the United Nations(ECOSOC) and its Cultural and Human Rights Committee thereof in 1995. They also ratified UN's Agreement of Social Rights as Treaty No. 1006 in June 1990, which has provided the rights of people to organize labor unions. Domestically, our Civil Servants' Union, a labor union that was organized by public officials on their own incompliant with domestic related laws, keeps urging government to assure the basis Labor Right for public officials as the employees. In accordance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 our government should assure the basis Labor Right for public officials by taking constitutional measures. However, "Acts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ivil Servants' Union" as published by government in October 2002 to assure the right of organization for public officials has contained incomplete approval articles. In other words, the acts approved only the right of organization and collective bargaining except for the right of collective action and agreement conclusion. Therefore, it cannot be considered as assurance of fundamental rights of labor relations for public Officials. In compliance with Social Agreement between Labor, Management and Government as concluded in Feb. 6, 1998, the right of organization has been approved by the permission of Public officials Workplace Association(PSWA) as a previous phase of Civil Servants' Union since January 1, 1999. Nevertheless, its membership was very limited to public officials meeting specific requirements so that general public officials who work in small-scale sub-organizations could not join the member. In practices, PSWA did not have any effects on the execution of their organization rights. And now, even Civil Servants' Union as published by government is about to repeat such trial and error. As described above, "the Acts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ivil Servants' Union" have been recently announced in advance for legislation. According to these acts, the membership coverage are very limited to the qualified minority similarly as PSWA. Besides, who represents such union is also controversial.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e acts as an assurance of fundamental rights of labor relations for public officials. Moreover, even schoolteachers as same public Officials has been already allowed to join Korea National Union of Teachers, while other general public officials has not been permitted to organize their own labor union, but only use a name of Civil Servants' Union as not provided in domestic laws. It is obviously not compliant with the principle of equity. By the way, Korean National Union of Teachers has not been allowed yet to execute the right of collective bargaining and action, and its membership is mainly limited to professors. Therefore, it cannot be considered as assurance of rights required for collective action. Thus, every public officer must make ceaseless efforts to negotiate with central government so as to acquire their own fundamental rights of labor relations as a employee. Although domestic public officials over one million in Korea have the right to be protected in the level of subject that can execute the right of organization as a fundamental right in accordance with constitution, this study originated from criticism against realities that three major rights of labor relations has not actually been permitted yet to most of public officials except for minority public officials who are employed in labor service. This study intended to help our public officials to acquire fundamental rights of labor relations including three major rights to labor relations. Chapter 2 looked into the concept of fundamental rights of labor rela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officials in the level of employees. Chapter 3 considered international labor standards provided by ILO and the actual practices to assure fundamental rights of labor relations for public officials in advanced countries. Chapter 4 described legal regulations and limitation for fundamental rights of labor relations for domestic public officials. Chapter 5 introduced the results of web questionnaire survey about how to allow our public officials to have the basis Labor Right and its analysis results, and pointed out related problems in the level of current legal system. In conclusion, Chapter 6 showed the direction of assuring fundamental rights of labor relations for public officials along with several political alternatives so as to facilitate them to acquire their own fundamental rights of labor relations in the positive level.

      •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 상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임영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4, 5, 6학년 영어 학습자의 학습 동기 상실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봄으로써 학생들의 학습 동기 상실을 예방하고 학생들이 영어 학습 동기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돕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 동기 상실 결정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학습자 변인, 부모 변인, 사교육 변인, 교사 변인, 수업환경 변인 및 영어 학습 동기 상실에 관한 객관형 설문지를 작성하여 690명의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초등학생의 학습자 특성, 부모 특성, 사교육 특성, 교사 특성, 수업환경 특성이 영어 학습 동기 상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을 통해 연구 문제별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특성에 따른 영어 학습 동기 상실 영향을 측정한 결과, 영어 시작 나이가 늦을수록, 영어 사용 국가나 영어 사용 외국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영어 사용 기회가 많을수록, 영어에 대한 흥미도가 높을수록, 자신감이 클수록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 상실은 낮았다. 반면에 불안감이 높을수록 영어 학습 동기 상실은 높았다. 둘째, 부모 특성이 영어 학습 동기 상실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 결과, 자녀의 영어 학습에 대한 부모의 관심도가 높을수록, 자녀의 영어 학습에 대한 부모의 기대 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영어 학습에 대한 부모의 도움이나 개입이 많을수록 학습 동기 상실은 낮았다. 셋째, 사교육 특성에 대한 분석결과, 사교육 영어 학습을 부모님이 원해서 할 때 즉, 강제성을 띄고 있을 때 영어 학습 동기 상실의 정도가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주목할 만한 결과는 예상과 달리 영어 과제부담이 클수록 동기 상실이 낮았다는 것인데, 이는 적정 수준 혹은 그 이상의 과제를 부과하는 것이 학습자의 영어 학습 동기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흥미로운 결과라 하겠다. 넷째, 교사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 교사의 수업 열성도가 높을수록, 교사가 학생에게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가르칠수록, 수업시간에 교사가 수업 피드백으로 칭찬을 많이 할수록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 상실은 낮았다. 다섯째, 수업환경 특성이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 상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영어 수업 활동에 대한 흥미도가 높을수록, 영상 및 음향 시설과 같은 영어 교실의 물리적 환경이 좋을수록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 상실은 낮았다. 반면에 자신에 비해 친구들의 영어수준이 높을수록, 영어 활동을 할 때 실수할 경우 모둠 친구들이 비웃거나 놀릴수록 영어 학습 동기 상실이 높았다. 여섯째,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 상실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탐색한 결과, 30개의 변인 중 상대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 요인은 모두 16개였으며, 이 가운데 불안감, 자신감, 교사의 수업 피드백(칭찬), 영어 사용 국가에 대한 태도, 사교육 영어 과제 부담, 영어 교재 난이도, 그룹 구성원의 태도 등 7개가 가장 두드러진 요인으로 밝혀졌다. 학습자의 불안감이 높고 수업 활동 시 실수에 대해 모둠 친구들이 비웃거나 놀릴수록 영어 학습 동기 상실이 높았다. 또, 학습자의 자신감이 높을수록, 칭찬과 같은 교사의 수업 피드백이 많을수록, 영어 사용 국가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사교육 영어 과제 부담이 클수록, 영어 교재 난이도가 높을수록 학습 동기 상실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를 지속시키기 위해 강조되어야 하는 부분으로 다음을 들 수 있다. 첫째, 교사는 학습자의 불안감을 낮추고 자신감을 높이기 위한 즐겁고 흥미 있는 영어 수업 방법을 연구하는 한편, 편안하고 허용적인 수업 분위기 조성에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자율적인 선택에 의한 영어 학습과 이에 대한 학부모들의 바른 인식과 실천이 요구된다. 셋째, 교재, 문화지도, 그룹편성, 평가 등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영어 수업 환경 조성에 힘써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termining factors that affect 4th to 6th grade students' demotivation in learning English and suggest how to motivate them consistently by investigating effects of several variables. A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alysis was developed to examine students' demotivating factors. A group of 690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ded to this questionnaire which contained questions related to various areas including the learners themselves, parents, private education, teachers, class environment, and students' demotivation. The data was subjected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learner characteristics, the later the age at which the students started learning English, the more affirmative their attitude toward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English-speaking foreigners, the greater their English-using opportunities, the higher their interest level, the higher their confidence, all of which contributes to a lower English-learning demotivation. Conversely, the higher their anxiety, the higher English-learning demotivation became. Second, regarding parent characteristics, the higher the parent's attention level to their child's English learning, the higher the parent's expectation level for the child's English learning. In addition, parent assistance or engagement toward the child's English learning coincided with lower learning demotivation for the child. Third, regarding private education characteristics, when private English learning was practiced as parents desired―that is, when it was practiced by compulsion―English-learning demotivation was high. Surprisingly, the larger burden of English assignments, the lower the demotivation, which suggests that imposing numerous but proper assignments can be helpful in maintaining a learner's motivation. Fourth, regarding teacher characteristics, the higher levels of teacher's eagerness in the classroom, easy teaching methods, and frequent praise from the teacher resulted in lower English-learning demotivation in students. Fifth, regarding class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 high student interest level in the English-learning activity, and a better physical environment in the English classroom including video and sound facilities showed lower demotivation in students. On the other hand, if classmates whose English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themselves, the more the group members would make fun of them when making errors during English activities, causing a higher level of English-learning demotivation. Finally, regarding the determining factors of English-learning demotivation in students, 16 out of 30 variables had a relatively meaningful effect. The most significant of these were anxiety, confidence, teacher's class feedback (praise), attitude toward English-speaking countries, English assignment burden in private education, English textbook of difficulty, and the attitude of group members. It was found that demotivation increased along with high learner anxiety and an increase in teasing when making errors during English activities. High student confidence coincided with lower demotivation; increased class feedback and teacher praise, coincided with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English-speaking countries; larger burdens of English assignments in private education, and high difficulty levels of English textbooks coincided with lower demotiv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following should be emphasized for sustain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learning motivation. First, teachers must develop an enjoyable and interesting English teaching method, which lowers student anxiety and enhances confidence, and foster a comfortable and accepting class atmosphere. Second, successful English learning requires students learning by choice rather than by compulsion, as well as proper parental engagement and support. Finally, teachers must foster an English class environment that incorporates various elements, including textbook, cultural awareness, group organization, evaluation,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