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변환 계수를 이용한 고속 HEVC 부호화 알고리즘

        임소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HEVC 인코더는 기본 처리 단위인 Coding Unit (CU), CU를 예측하는 단위인 Prediction Unit (PU), 예측 블록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양자화하는 Transform Unit (TU)를 사용해 영상을 압축한다. HEVC가 이전 영상 압축 표준들과 구분되는 가장 큰 특성은 다양한 크기의 기본 처리 단위를 지원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처리 단위는 쿼드트리 (Quadtree)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동일한 영상 블록에 대해 다양한 크기의 처리 단위로 연산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HEVC는 이전 표준에 비해 두 배의 압축 효율을 낼 수 있게 되었지만, 연산 복잡도가 상당히 증가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자연 영상을 부호화할 때 나타나는 통계적 특성에 착안하여 고속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 알고리즘은 CU 범위를 제한하고, 움직임 추정과 화면 내 예측을 적절히 생략하는 방법으로 인코더의 복잡도를 낮추었다. 효과적으로 CU 수행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큰 CU에서 얻은 정보를 사용해 CU 작은 CU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큰 CU의 인코딩 소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으면서도 선택될 확률이 높다는 경향에 따른 것이다. 최대 CU에서 8×8 DCT 결과를 보고 Split Map을 작성하여 해당 영역에서의 최소 CU를 결정한다. 또한 화면 간 예측에서 가장 계산 복잡도가 높은 움직임 추정을 생략하기 위해 현재 CU에서의 최소 TU 정보를 사용하였다. 2N×2N PU 수행 결과 Merge/SKIP을 선택한 경우 이후 수행하는 PU에서 DCT 결과가 0인 부분에 대해 움직임 추정을 생략하도록 하였다. 추가적으로 휘도 성분의 DCT 결과를 통해 화면 내 예측을 생략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CU 범위 제한, 움직임 추정과 화면 내 예측 생략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한 정보는 각 경우에 맞는 TU 정보이다. 기존 알고리즘에서 주로 사용된 CBF (Coded Block Flag) 대신 작은 TU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함으로써 블록 전체에 대한 연산 생략 여부를 결정하는 대신 블록 일부에 대한 연산을 선택적으로 생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공격적으로 CU와 PU 연산을 생략하지 않고도 기존 알고리즘과 비슷한 시간 감소율을 얻으면서, 동시에 기존 알고리즘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얻었다. 제안 알고리즘은 HM 10.0에 구현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원본 인코더에 비해 평균 64.0%의 부호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으며, 평균 BD-BR 증가는 0.42%에 불과하였다. The emerging video compression standard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adopts the Quadtree structure. The structure includes CU (Coding Unit), PU (Prediction Unit), and TU (Transform Unit). CU is the basic unit of compression, which is predicted using various PUs. The residuals are then transformed into frequency domain for compression. The important thing about the Quadtree is various block size. For a single region, HEVC examines many times of predictions and transforms with the various block sizes. It makes HEVC encoder achieve half bit-rate of previous standard, but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is highly increased. To alleviate this problem, this paper presents the fast algorithm which considers the statistical features of natural videos. Proposed Algorithm reduces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of HEVC encoder by limiting the range of CU and skipping the motion estimation and intra-prediction. To limit the CU range, the proposed algorithm makes use of the transformed residuals from the biggest CU. If the 8×8 DCT coefficients are all zero in certain sub-region of the biggest CU, then CU splitting in the corresponding region is limited dynamically due to the size of the region. CU split map is made to control the CU splitting. On the other hand, to skip the motion estimation effectively, the proposed method makes use of the smallest DCT coefficients. Similar to CU range limiting method, motion estimation is skipped when 2N×2N PU is merged and the sub-partition block has all-zero coefficients from the smallest TUs. Intra-prediction is also skipped when the all smallest TUs have all-zero coefficients in 2N×2N luma block. The important information that the proposed method exploits is the result of small TUs. CBF (Coded Block Flag) value is widely used in other fast algorithms for HEVC. However, CBF cannot show the residual information in partial region. In other words, since the proposed method uses small TU information, not CBF, it can reduce the computation of partial blocks. By doing so, the proposed algorithm achieves 64.0% of encoding time reduction with only 0.42% of BD-BR increment.

      • 도서관의 신규대출도서 추천 기법에 관한 연구

        임소정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기존 추천 기법들이 가졌던 한계점인 초기 평가 문제를 극복하고 이용자에게 그들이 대출하지 않았던 도서를 추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협업 필터링 추천 기법과 네트워크 분석 추천 기법을 각각 신규대출도서 추천에 적용시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성능 비교를 통해 이에 대한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데이터는 2011년 한 해 동안의 P대학교 도서관 사회과학대학 학부생의 대출 기록이었고, 학습기간과 적용기간으로 나누었고, 도서 단위 대신 분류기호 단위로 분석하여 희소성의 문제를 완화시켰다. In this study,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overcome the problem of initial evaluation marginal a recommendation existing methods had to recommend present the user has not been financed. Is allowed to apply to new lending books each network analysis Recommendation Method and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ation approach that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recommendation is small for that, it is easy to apply to the library information system, the prior research, higher performance was relatively shown , in the comparison of performance to present new possibilities, I examined the usefulness for this. 2011, is a lending record of undergraduate P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one year, and signed the application period and the learning period, and analyzed the classification per symbol rather than a book unit, data that was used in the experiment, sparsity I was Mitigating. It is as follows: The results of experiments recommendation two methods. As a result of using a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 we experimented the recommendation of lending books of new, recommended performance was higher the more experimental group is large. And, there was no change in the performance of the recommended as the partitioning of the population using the loan many different department or classification group, classification and symbol use various populations of the total. Recommended performance appears equally to each group, but precision fell a lot. And, Actual procedures may be complicated, since it is necessary to create the recommended classification symbol list of each user is for a new lending books, causing problems of system scalability. As a result of using network analysis, and experiment the recommendation of lending books of new, performance recommended had the highest experiments that target a population of 20% loan frequency top of Public Administration. Recommended performance of the entire population is less than collaborative filtering to some extent, but showed a much better performance if recommended in population. It is expected that if you select a user group that you can analyze in a different department, to increase the loan when it is if you use an introduction to network analysis in fact, make a recommendation, and shows the performance more meaningful. In this study, it was the various attempts to enhance the accuracy by giving various changes in the size of the population of similarity between the classification symbols and user. Since studies to measure the recommended network performance analysis variable factors of various future is requested and recommending possible not only Centrality index, even with the network analysis other indicators to determine the population of similar future the use of such structures, etc. potential of technique, performance will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attempts to analyze in consideration to three classification the classification symbol of the future is required. There is a significance in that it proved that it is possible by using only the loan information readily available in the library, to provide a referral service lending books new this study, network analysis and recommendation of new lending books were compared to empirical recommendations of new loans books using network analysis and new lending books to present a solution that, using a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cal recommendations for existing.

      • 취업 전 진로목표 불일치와 취업 후 직업적응의 관계에서 진로탐색과 몰입의 조절효과

        임소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취업 전 진로목표 불일치와 취업 후 직업적응의 관계에서 진로탐색과 몰입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우선, 취업 전 진로목표 불일치와 진로 탐색 및 몰입이 취업 후 직무 소진 및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이중처리모형에 따라 진로목표 불일치가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진로 탐색과 몰입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참여자들은 4년제 대학교 4학년 이상 재학생, 수료생, 졸업생으로 연구에 참여한 뒤 취업한 107명(남성 29명, 여성 78명)이다. 이들은 취업 전과 후 두 차례에 걸쳐 연구에 참여했다. 취업 전에는 진로불일치, 그리고 진로탐색 및 몰입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척도, 취업 후에는 직무 열의, 직무 소진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척도에 응답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와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취업 전 불일치는 취업 후 낮은 직무 열의에 영향을 주었고, 직무 소진의 하위요인인 직업 자신감은 직무 종사 기간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진로 탐색이 취업 전 진로목표-자기 불일치가 취업 후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미하게 조절했다. 반면, 진로 몰입의 유의미한 조절효과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진로 목표 불일치에 대해서 목표를 유연하게 조정하는 전략의 효과성을 시사한다.

      • 강서구 특수학교 설립 갈등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임소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특수교육의 발전과 더불어 지난 반세기 동안 특수교육대상자는 매해 증가하는 상황이지만 이들의 학습적 요구를 수용하기 위한 특수학교의 수는 매우 저조한 상황이다. 정부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계획을 통해 특수학교 증설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였지만, 계획에 비해 실질적으로 개교되는 학교는 현저히 적다. 이는 특수학교 설립 인근 부지의 주민과의 갈등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발생한 결과이다. 이처럼 특수학교 설립문제는 이해관계자들의 상호작용에 따라 갈등의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만 선행연구는 정책행위자를 다루지 않는 보습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특수학교 설립과정의 대표 갈등사례인 강서구 특수학교 설립과정의 정책네트워크의 특징과 변화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소기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특수학교 설립 갈등 사례로 가장 많은 주목을 받은 강서구 특수학교 설립 갈등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행정예고가 공지되었던 2013년 11월부터 개교 직전인 2019년 12월까지의 신문기사를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정책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정책과정을 정책과정은 설립 계획 행정예고 및 의견수렴기(2013󰠏2016), 정책추진기(2017), 정책수행기(2018󰠏2019)의 세 단계로 분류하여 Marsh & Rhodes(1992)가 제안한 정책네트워크의 구성요소인 구성원, 통합성, 자원, 권력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정책네트워크의 특성은 사회연결망 분석의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 기간 정책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정책참여자는 31개, 상호작용은 139개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정책참여자들은 모두 연결되었으며 고립자는 출현하지 않았다. 네트워크의 밀도는 .112, 평균 연결정도는 3.355로 정책참여자 간 응집력은 약하지만, 네트워크의 포괄성은 100%로 나타났다. 또한, 네트워크상에서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정책참여자의 도출을 위해 중앙성 분석에서는 서울시교육청, 김성태 의원, 전국장애인부모연대서울지부, 비대위의 네 개의 집단에서 가장 높은 중앙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강서구 특수학교 설립과정에서 다른 집단들과의 매개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높은 통제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시기별 정책네트워크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설립 계획 행정예고 및 의견수렴기(2013󰠏2016)의 정책참여자는 비공식적 참여자에서 많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 시기의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인 참여자는 서울시교육청, 김성태 의원, 전국장애인부모연대서울지부, 비대위로 전체 네트워크와 같은 양상을 보였다. 이 시기의 주요 쟁점은 국립한방의료원, 예산 삭감 규탄, 원거리 통학 해소 등으로 장애학생의 학습권 보호와 지역이기주의에서 비롯된 쟁점들이 양립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이 시기에는 김성태 의원의 출현으로 인해 기존 특수학교 반대의 주장의 쟁점이 변화하는 모습이 보이기도 하였다. 중앙성 분석에서 높은 수치로 나타난 정책참여자들은 구조적 틈새의 효과크기도 높게 도출되며 정책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참여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동시에 비슷한 권력을 지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정책추진기(2017) 시기는 정책참여자 간의 대립이 가시화되었던 시기임과 동시에 가장 많은 참여자가 네트워크에 출현하였던 시기이다. 더불어 언론과 국민들의 대대적인 관심으로 인해 공식적 참여자들의 참여가 활발히 이루어졌던 시기이기도 하다. 이 당시 다른 집단과 활발한 상호작용을 보였던 정책참여자는 서울시교육청, 강서장애인부모연대, 장애인부모연대서울지부였다. 쟁점이 된 키워드는 통학거리 문제, 장애학생 교육권, 국립한방의료원 등으로 역시 장애학생의 교육권에 관한 논의와 지역 이익과 관련한 쟁점이 양립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네트워크상에서 자원의 소지, 권력의 등위성과 관련한 지표에서는 서울시교육청, 비대위, 김성태 의원, 전국장애인부모연대서울지부의 네 집단이 가장 높은 수치로 도출되어 정책추진기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도맡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책수행기(2018󰠏2019)의 정책참여자는 확연히 줄어든 양상을 나타냈으며, 정책네트워크에서 가장 많은 영향력을 나타내는 정책참여자는 서울시교육청, 김성태 의원이었다. 이 시기의 쟁점은 소통 부족, 개교일 연기 등으로 나타나며 지난 시기 갈등을 빚었던 키워드와는 전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특수학교 준공식 이후 서울시교육청, 비대위, 김성태 의원의 삼자 간 합의를 두고 서울시교육청에 불만을 표출하는 단체들과 수차례 연기되는 개교일에 불안감을 느끼는 정서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전체 기간 중 가장 높은 응집력을 나타내었으며, 권력 정도는 한쪽으로 집중되는 양상을 보이며 불균등하게 분배되어 있었다. 또한, 이 시기에는 협력의 상호작용을 자주 나타내었던 서울시교육청과 전국장애인부모연대서울지부의 갈등이 나타났다.

      • 수술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폭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간호조직문화의 조절효과

        임소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improving working environments for operating room nurses as well as the quality of surgical nursing by conducting a descriptive survey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relationship of burnout of nurse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by identifying the degree of verbal violence, the organizational culture in nursing, and the level of burnout in operating room nurses.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29, 2021 to November 10, 2021. 95 operating room nurses with at least 3 months of working experience in general and third level hospitals of Seoul, Gyeonggi provinc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is study used the verbal violence instrument by Nam(2005),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instrument by Han(2002), ProQOL Scale version by Stamm(20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gender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83.2% of women and 16.8% of men, the average age was 30.22 years old. On their self-perceived health status 61.1% answered ‘healthy’. As regards to their career status, 87.4% was ‘nurses’, and 12.6% was ‘Room managers’. The average career span in the operating room was 6.25 years. For the work schedule, 40% worked ‘day time hours’, 60% worked ‘shifts’.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47.4% ‘satisfied’, 44.2% ‘moderate’, and 8.4% ‘unsatisfied’ with their job. 2. The score for verbal violence experienced by the subjects was 2.26(±0.59), with subfactors of physicians’ verbal violence scoring 2.25(±0.61), and nurses’ verbal violence scoring 2.27(±0.78). The tool on 4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showed that the hierarchical culture had the highest score of 3.73(±0.62), work-oriented culture with 3.04(±0.73), innovation-oriented culture with 2.85(±0.65), and the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with the score of 2.59(±0.81). The score for burnout was 28.97(±5.86). 3. Burnou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following factors of self-perceived health status (F=7.51, p<.001), working schedule (t=-2.97, p=.024), job satisfaction (F=33.15, p<.001), and the number of departments in charge (F=4.45, p=.014). From the results of the self-perceived health status, the group ‘unhealthy’ and ‘normal’ had a statistically higher score of burnout than the ‘healthy’ group. Furthermore, the results from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group ‘unsatisfied’ and ‘normal’ felt a stronger burnout than the ‘satisfied’ group. 4. Burnou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verbal violence(r=0.44, p<.001), with the subfactor of physician’s verbal violence(r=0.40, p<.001) and nurse’s verbal violence(r=3.76, p<.001). Innovation-oriente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r=-0.25, p=.014) and relationship-oriente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r=-0.49, p<.001)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o burnout. 5.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operating room nurses’ were verbal violence(β=0.24, p=.007), self-perceived health status ‘not healthy’(β=0.21, p=.012), working schedule ‘shifts’ (β =0.13, p=.045), job satisfaction ‘unsatisfied’(β=0.33, p<.001), ‘moderate’ (β=0.45, p<.001). Work-oriente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β=0.26, p=.007)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verbal violence and burnout. This study found that verbal violence experienced by operating room nurses effect burnout. As the level of verbal violence increases, the level of burnout also increases, and the work-oriente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cted as a moderating variable. Through this study, we could speculate that the operating room nurses’ experience of verbal violence causes a problem for burnout, and the stronger work-oriented culture the nurses’ organization has, the higher the nurses experienced burnout. Operating room nurses require quick and accurate judgements during surgery compared to other department nurses who provide care to patients which is why work-oriented culture is an important part of the organization. Howev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ospital’s organizational efforts to develop the nursing organization to a well-balanced cultural organization type will be needed to lower the burnout level of nurses. Also,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vestigates the actual condition of verbal violence in operating room nurses. Through this, the study data can be used as a fundamental data for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operating room nurses’, as well as improving the quality of surgical nursing.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폭력, 간호조직문화, 소진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간호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파악하여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환경 개선 및 수술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1년 10월 29일부터 2021년 11월 1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의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수술실에 근무하는 경력 3개월 이상의 수술실 간호사 95명이였다. 연구도구로는 남경동(2005)이 개발한 언어폭력 측정도구, 한수정(2002)가 개발한 간호조직문화 측정도구, Figley(1995)가 개발하여 Stamm(2010)이 수정, 보완한 ProQOL Scale Version 5로 소진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 검정은 Scheffé test를 사용하였다. 언어폭력, 간호조직문화, 소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고, 언어폭력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간호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Hierarchical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 83.2%, 남성 16.8%, 평균연령은 30.22세였다. 지각된 건강상태는 ‘건강하다’가 61.1%로 가장 높았다. 병원 내 직위는 ‘간호사’ 87.4%, ‘책임간호사’ 12.6%였으며, 수술실 근무 경력은 평균 6.25년, ‘1년 초과 5년이하’가 42.1%로 가장 많았다. 근무 형태는 ‘상근’ 40.0%, ‘교대근무’ 60.0%였으며, 직무 만족도는 ‘만족’ 47.4%, ‘보통’ 44.2%, ‘불만족’ 8.4% 였다. 2. 대상자가 경험하는 언어폭력(1-4점)은 2.26(±0.59), 하위요인으로는 의사요인 2.25(±0.61), 간호사요인 2.27(±0.78) 이였다. 간호조직문화(1-5점)는 위계지향적 문화 3.73(±0.62), 업무지향적 문화 3.04(±0.73), 혁신지향적 문화 2.85(±0.65), 관계지향적 문화 2.59(±0.81)순으로 나타났으며, 소진(10`-50점)은 28.97(±5.86)이였다. 3. 대상자의 소진은 지각된 건강상태(F=7.51, p<.001), 근무 형태(t=-2.97 p=.024), 직무 만족도(F=33.15, p<.001), 담당하고 있는 과의 수(F=4.45, p=.01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신의 건강상태를 건강하다고 지각한 집단보다 건강하지 않거나 보통이라고 지각한 집단이 소진이 높았으며, 직무에 대해서 만족하는 집단보다 불만족, 보통의 집단이 소진이 높았다. 4. 소진은 언어폭력(r=0.44, p<.001), 하위요인으로 의사요인 언어폭력(r=0.40, p<.001), 간호사요인 언어폭력(r=3.76, p<.001)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간호조직문화 유형 중 혁신지향적 문화(r=-0.25, p=.014), 관계지향적 문화(r=-0.49, p<.001)과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수술실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영향 요인은 언어폭력(β=0.24, p=.007),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하지 않다’(β=0.21, p=.012), 근무 형태 ‘교대근무’ (β=0.13, p=.045), 직무 만족도 ‘불만족’(β=0.33, p<.001), ‘보통’ (β=0.45, p<.001)로 나타났다. 간호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간호조직문화 유형 중 업무지향적 문화(β=0.26, p=.007)가 언어폭력과 소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연구 결과, 수술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폭력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언어폭력이 증가할수록 소진은 증가하였고, 그 과정에서 업무지향적 문화가 조절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이 소진의 문제를 발생시키며, 간호조직이 업무의 수행을 중시하는 특성을 강하게 가질수록 소진이 증가하게 됨을 추정할 수 있었다.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독립적인 간호 수행보다는, 수술의 진행에 따라 정확하고 빠른 판단이 요구되는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 특성상, 조직의 업무지향적 문화는 중요한 부분 중 한 부분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에 기반하여 간호사의 소진을 낮추기 위해 병원 조직차원에서의 균형적인 문화유형의 특성을 지닌 간호조직으로의 발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수술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폭력의 실태를 조사했다는 것에 대해서도 본 연구는 의의를 가지며, 이를 통해 수술실 간호사의 근무환경 개선 및 수술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현상 발음 오류 분석 연구 : 초급, 중급,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임소정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urrent study analyzes the causes of errors committed by Vietnamese learners who pronounce Korean phonological phenomena, and categorizes their types. In addition, the causes of pronunciation errors are studied through the lens of linguistic interference and interlanguage relationship.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is to understand the pattern in which Vietnamese learners acquire Korean by compiling the results of such analysis. The current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research which mostly involves experimentation with meaningful vocabulary, as its experimentation vocabulary includes meaningless words that cross morpheme boundaries, which is an attempt to complement that limited reliability of previous studies. Chapter 2 compares phonological systems of Korean and Vietnamese to predict errors likely to be committed by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In the chapter, the author forecasts that the Vietnamese learners will commit errors in pronouncing the plain-tense-aspirated consonants, as well as diphthongs, in Korea. In addition, the prediction was for errors caused by directly pronouncing written Korean, as well as the final /ㄹ/ (/ɾ/~/l/) sound. Chapter 3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selection and inspection of experimentation vocabulary, as well as the experiment on thirty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Chapter 4 provides the results the preliminary survey and those of the experiment conducted using meaningless words developed by the author.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test the ten phonological phenomena (lenition, consonant group simplification, nasalization, nasal assimilation, progressive assimilation, regressive assimilation, aspiration, tensification, /ㅎ/(/h/)deletion, /ㄴ/(/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st frequent error committed by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Phonological Phenomena Pronunciation Error is ‘lenition > followed by tensification > nasalization > nasal assimilation > regressive assimilation > progressive assimilation > consonant group simplification > /ㅎ/ (/h/) deletion > aspiration.’ Also, the experiment revealed that the causes of errors in pronouncing Korean phonology were complex, combining issues such as interference from the mother tongue, in-language interference, overgeneralization of the target language due to the complicated nature of phonological phenomena, and application of third rules. Chapter 5 provides a comprehensive conclusion about the results of the above experiment. the current study will be used to clarify issues regarding the pronunciation instruction for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in addition to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educating pronunciations of Korean phonological phenomena.

      • R. 슈만의 「카니발(Carnaval), Op.9」에 관한 연구

        임소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연구자의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연주회의 연주곡목 중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의 「카니발(Carnaval), Op. 9」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곡에 대한 분석에서 그치지 않고 연주하는데 있어 곡 해석의 깊이를 다하고, 더불어 「카니발(Carnaval), Op. 9」와 슈만, 그의 피아노 음악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함이다. 슈만은 낭만시대의 음악에 있어서 대표적인 음악가라 할 수 있다. 그는 뛰어난 상상력과 독창성으로 여러 시도를 하였는데, 대표적인 예로 문학에서 많은 영향을 받아 음악에 접목시킨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음악신보(Neue Zeitschrift fu¨r Musik)라는 음악잡지를 창간하여 많은 평론으로 진보적인 음악인 발굴 등에도 힘을 기울였다. 그는 작품에 여러 시도를 많이 하였는데, Florestan과 Eusebius라는 가상의 인물을 만들어 자신의 이중적인 내면을 표현하기도 하였고 Clara, Ernestine, 당대의 음악가등 실존인물을 그대로 드러내 표제나 작품에 인용하기도 하였다. 그밖에 그는 자신의 자유로운 기질과 독창성을 작품 안에 표출하고 있는데 이는 형식, 리듬, 선율 등에서 나타나고 있다. 구성에 있어서 슈만은 치밀성을 보여주고 있고 자유롭고 다양한 리듬형태를 사용한 선율에 부속화음, 감화음 등의 화성적 색채감을 더하고 있다. 본 논문인 「카니발(Carnaval), Op. 9」는 이와 같은 그의 특징들이 잘 나타나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20개의 짧은 소품들로 이루어져 있다. 4개의 음, 즉 ASCH는 지명이자 자신의 이름의 철자에서 인용한 음형으로 이를 세 개의 다른 음형으로 나타내고 이는 곡 전체를 통일하는 요인이 된다. 이 곡에서는 각 소품들의 성격과 분위기를 묘사하는 다양한 표제들이 돋보이고, 갑작스러운 악상기호, 당김음, 헤미올라, 다양한 리듬, 반음계적 진행 등 슈만 특유의 특징들을 잘 보여주는 만큼, 본 논문을 통해 문학과 음악의 연관성, 성격적 소품과 함께 「카니발(Carnaval), Op. 9」에 대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Robert Schumann's (1810-1856) <Carnaval, Op. 9>, one of the works which the researcher had performed for a master degree of music. This study was aimed at not only analyzing the work but also interpret it for better performance and promote people's understanding of it as well as Schumann's music. Schumann may well represent the musicians in the era of romanticism. He demonstrated excellent imagination and creativity for various attempts. For example, he was much affected by literature which he combined with his music. In addition, he published a music magazine titled <Neue Zeitschrift fu¨r Musik> and thereby, tried to find progressive musicians, while writing many essays on music. He did many experiments for his works. Once, he created such virtual figures as Florestan and Eusebius to express his dual inside world, or quoted such actual figures as Clara, Ernestine and other contemporary people for his titles or works. In addition, he tried to express his free trait and creative mind in his works, which are very conspicuous in his forms, rhythms and melodies. His compositions were very intricate, while using free and diverse melodies only to reinforce affiliated chords, decreasing chords and other harmonic elements. His <Carnaval, Op. 9> or his model work consists of 20 short pieces showing his musical characteristics well. four sounds or ASCH were derived from the name of a region as well as from his own name. They are expressed in three different sound forms, while serving to integrate the entire work. In this work, diverse themes are highlighted to describe nature and atmosphere of each piece. Moreover, sudden motif signs, pulled sounds, hemiola, diverse rhythms, semi-scale progression.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association between music and literature, characteristic short pieces and <Carnaval, Op. 9> at large.

      • 현대 건축 표면의 치유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임소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디지털과 구조 기술의 발달로 더욱 정교하고 진화된 기능을 갖추게 된 현대 건축 표면이 가진 성능적 가치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현대 건축 표면이 매개하는 상호작용을 치유적 관점에서 정의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치유적 관점이란, 현대에 건축 표면 그 자체가 작동함으로써 인간과 사회, 문화, 자연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인간이 환경과 소통하고 도시 안에서 건축을 통해 공생할 수 있는 방법과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 건축 표면의 치유적 상호작용의 유형과 특성 분석을 통하여 건축 표면이 현대의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과 그 가치를 확인하고 미래건축디자인으로의 제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치유의 필요성과 개념, 유형에 대하여 확인하고 건축 표면에 대한 정의와 성능적 진화, 역사에 대해 고찰했다. ‘치유’(治癒)는 의학적 수단 외에 환경적,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지원을 통해 건강에 접근해 가는 방법과 과정을 의미한다. 건축적 치유는 인간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 그리고 자연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회복하기 위한 건축적 방법과 과정이다. 인터페이스로서 건축 표면은 미래에 더욱 다양하고 영향력 있는 상호작용의 매개체로서 역할하기 위하여 많은 시도와 끊임없는 관심이 필요한 영역이다. 3장에서는 현대 건축 표면의 치유적 상호작용 유형과 건축 표면의 구성 원리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치유적 상호작용은 인간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방식에 따라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치유로 분류할 수 있다. 생리적 치유작용은 주로 인간 신체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내부 환경과 외부 환경, 인간과 자연 사이를 중재하는 일대일 대응 상호작용을 매개한다. 심리적 치유작용에서 건축 표면을 중심으로 내부 혹은 외부의 다수의 사람들과 건축물 간의 사이를 매개하는 일대다 대응 상호작용의 매개체로 작용한다. 또한 사회적 치유작용에서 건축 표면은 도시 안에서 건축물과 문화를 인식하는 다수의 사람들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일대다 대응 상호작용의 매개체이다. 4장에서는 치유적 상호작용에 따른 현대 건축 표면의 매개방식을 분류・분석하였다. 세 가지 치유적 상호작용인 생리적 치유에 근거하는 건축 표면의 매개방식, 심리적 치유에 근거하는 건축 표면의 매개방식, 사회적 치유에 근거하는 건축 표면의 매개방식을 분류하였다. 치유적 상호작용의 각 유형에 근거하는 건축 표면의 매개방식을 분석한 결과, 현대 건축 표면은 자연과의 관계에 많은 초점을 맞추고 계획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연에 의한 치유는 건축에서도 적용되고 있으며, 산업과 기술의 발달에 치중하면서 첨단 재료와 기계미학에 집중했던 근대의 건축 표면과 달리 현대의 건축 표면은 다시 자연에 관심을 가지고 그 관계를 재해석하고 새로운 매개방식을 찾아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치유적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현대 건축 표면의 진화는 생물체의 감각기관 혹은 자연 그 자체에 가깝게 발전하고 있다. 감각기관과 같은 변화는 생물체와 같이 주변 환경의 변화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항상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진화이며, 녹화벽과 같은 자연요소의 도입 혹은 인공지형 형성 등은 자연의 그 자체의 모습에 가까워지고자 하는 것으로 현대 건축 표면이 인간과 자연 어느 한 영역에 가까워짐으로써 두 영역 사이의 간극을 좁히려는 시도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분류・분석한 현대 건축 표면의 치유적 상호작용과 매개방식의 특성이 미래 건축 디자인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erformative value of surface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which have more elaborate and developed function than before. The main purpose is to define and analyze interactions that architectural surfaces mediate from a therapeutic perspective. A therapeutic perspective is seeking to way that human, society, culture, and nature can maintain health conditions and coexist together through operations of surfaces. In the second chapter, this paper confirms the need, concept, and types of therapy and studies about definition, performative evolution, and history of architectural surfaces. The term, 'Therapy', means the way and process to approach a health in environmental, social, cultural supports besides medical methods. The architectural therapy is a way of architecture that human, society, and nature can maintain and recover health conditions. In the third chapter, this study researches types of therapeutic interactions and composition principle of surface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rapeutic interaction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therapy. In the forth chapter, this paper classifies and analyzes way of meditation through therapeutic interactions. Surface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hat mediate therapeutic interactions focus on a relation with nature. The evolution of surface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goes close to sense organ and nature itself. A change to sense organ is an evolution to maintain homeostasis according to immediate action to change of environment. An Introduction of natural elements to surfaces is understanded as an attempt to narrow the gap between human and nature. An expectation of this paper is that features of therapeutic interactions and types of meditation suggest a new direction to future design.

      • 정신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보상, 무례함의 경험이 재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임소정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들이 인식하는 간호근무환경, 보상의 중요성, 무례함의 경험 및 재직 의도의 정도와 재직 의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정신의료기관의 간호인력 관리를 위한 전략 및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2021년 2월 15일부터 3월 17일 까지 자료 수집이 시행되었고, 연구 시행에 앞서 Y 대학교 기관윤리위원회의 승인 (YSUIRB-202012-HR-083-02)을 받았다. 11개의 정신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경력이 6개월 이상이며,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하기 위해 서면 동의를 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202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최종 19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6.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수들의 차이검정은 t-검정,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로 하였다. 주요변수들 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으로 분석하였고, 주요 변수들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체 대상자는 총 196명 이었고, 여성이 87.2%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평균연령은 50세 이상이 30.1%로 가장 많았고, 기혼이 59.2%이었다. 최종학력은 학사가 54.6%로 가장 많았고, 근무부서는 병동이 86.7%로 대다수를 차지하였으며, 근무형태는 3교대가 56.6%로 가장 많았다. 총 임상경력은 20년 이상이 39.3%로 가장 많았으며 현재 직장에 근속한 연수는 1년 이상~ 5년 미만이 38.8%로 가장 많았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61.2%이었고, 평균 월급은 300만원 미만이 69.4%이었다. 이직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73.5%이었고, 이들의 이직횟수는 1회가 32.7%로 가장 많았다. 2) 정신간호사가 인식한 간호근무환경, 보상, 무례함, 재직 의도의 정도는 다음과 같다. 간호근무환경은 4점 만점에 평균 2.60(±0.46)점이었고, 보상의 중요성은 4점 만점에 평균 3.17(±0.53)점이었다. 무례함의 경험은 5점 만점에 평균 2.41(±0.67)점이었고, 재직 의도는 8점 만점에 평균 5.84(±1.53)점이었다. 3) 정신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근무환경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근무부서(t=-2.173, p=.031), 평균 월급(t=-2.212, p=.02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정신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상의 중요성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근무부서(t=-2.052, p=.041), 평균 월급(t=-2.794, p=.00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정신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무례함 경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총 임상경력(F=3.425, p=.010), 현재 직장 근무경력(F=2.885, p=.02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정신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직 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F=2.759, p=.044)과 최종학력(F=3.117, p=.04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정신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보상, 무례함, 재직 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간호근무환경과 보상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r=.226, p<.001), 간호근무환경과 무례함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r=-.455, p<.001). 재직 의도와 간호근무환경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r=.350, p<.001), 재직 의도와 무례함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r=-.306, p<.001). 8) 회귀분석 결과, 정신간호사의 재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근무환경(β=.239, p=.001), 무례함(β=-.216, p=.004), 연령(β=.153, p=.033)이었고, 설명력은 17.6%이었다. 즉 나이가 많고, 간호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 무례함 경험이 적은 경우에 재직 의도가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정신간호사의 연령, 간호근무환경, 무례함의 경험이 재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의료기관의 적극적인 간호 인력 충원과 적절한 보상체계를 포함한 간호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개선하고 조직차원의 관리 감독을 강화하고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한다면 무례함의 감소에 영향을 미쳐 정신간호사들의 재직 의도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신간호사의 재직 의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간호근무환경을 개선하고 무례함을 감소시키고, 이와 관련하여 개인적 요소와 조직적 요소를 고려한 병원의 통합적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nursing work environment recognized by mental health nurses, importance of compensation, incivility experience and retention inten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n retention intent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trategies and foundations for managing nursing staffing in mental institutions.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nd our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Feb. 15 to Mar. 17, 2021 and prior to executing research,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Ethics Committee of Y University (YSUIRB-202012-HR-083-02). Our 202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nurses who had over 6 months of clinical career working at 11 mental hospitals and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greed in writing to participate in this survey and finally 196 copies were only used for ou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6.0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main variables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and for post-hoc test, Scheff’s test was used. The relation between main variables was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the effect of main variables on retention intention was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was 196 individuals: females occupied the majority at 87.2%. To look at the average age, ‘50 years or older’ occupied the most at 30.1% and ‘married’ occupied 59.2%. To look at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bachelor’s degree occupied the majority at 54.6% and when it comes to work unit, ‘ward’ occupied the majority at 86.7% and in case of pattern of duties, ‘three shifts’ occupied the most at 56.6%. To look at total clinical career, ‘20 years or more’ was the most at 39.3% and to look at the length of working years at the present workplace, ‘1–5 years’ was the most at 38.8%. To look at position, ‘staff nurse’ occupied 61.2% and in case of average salary, ‘3 million won or less’ occupied the most at 69.4%. Those who had experience of turnover occupied 73.5% and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turnover, ‘one time’ occupied the most at 32.7%. 2) Mental health nurses recognized nursing work environment, importance of compensation, incivility, and retention intention as follows. Nursing work environment scored 2.60(±0.46) points on average out of 4 and the importance of compensation scored at 3.17(±0.53) on average out of 4. Incivility experience scored 2.41(±0.67) points on average out of 5 and retention intention scored at 5.84(±1.53) on average out of 8.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nursing work environment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mental health nurs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unit (t=-2.17, p=.031) and average salary (t=-2.21, p=.028).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toward importance of compensation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mental health nurs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unit (t=-2.05, p=.041) and average salary (t=-2.79, p=.006). 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incivility experience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mental health nurs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clinical career (F=3.42, p=.010) and years of working at the present workplace (F=2.88, p=.024). 6)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retention intention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mental health nurs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F=2.75, p=.044) and highest level of education (F=3.11, p=.047). 7)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work environment, importance of compensation, incivility, and retention intention in mental health nurse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mportance of compensation (r=.226, p<.001)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civility (r=-.455, p<.001). Retention inten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work environment (r=.350, p<.001) and retention inten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civility (r=-.306, p<.001). 8)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ing factors on retention intention in mental health nurses were nursing work environment (β=.239, p=.001), incivility (β=-.216, p=.004), and age (β=.153, p=.033)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17.6%. In other words, in case a nurse was older and recognized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positively, the nurse with less incivility experience showed higher retention intention. The above results together, it was found that mental health nurses’ ag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incivility experience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tention inten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retention intentions of mental health nurses to work, efforts should be made at the institution level to actively nursing staffing and improve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including an appropriate compensation system. In addition, organizational supervision and appropriat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prepared so that mental health nurses can cope with incivility from colleagues and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