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베트남 수상인형극의 문화콘텐츠 활용연구

        임도연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Vietnam has been a country that has protected its own culture, focusing on their folk culture and arts, although there were several crises in its long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when it was invaded and ruled by powerful nations. Among the files of folk culture and arts,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re comprehensive arts embodying their own culture and ideas. Especially, water puppetry is a well-know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world and representative traditional performance art in Vietnam that reminds people of their national identity as it embodies the lifestyle, history and tradition of nation and people. However, even though water puppetry has been recognized for its long tradition of a thousand years and cultural value that need to be inherited continuously in future generation, it has recently been neglected by young people in the country, considered as cliché and uninteresting compared to modern performing arts. In order to succeed the national identity of water puppetry with a thousand years of history, it need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young people in their teens and 30s who will lead Vietnam in the future, so interest in water puppetry should be attracted.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plan to utilize as 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analysis of water puppetry at the Thang Long puppetry theatre, the oldest among the water puppetry troupes currently active in Vietnam. Specifically, the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water puppetr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water puppetry, and to identify the young people’s perception of water puppetry. Further, based on the analysis of components and results of survey, a plan was proposed to utilize water puppetry as cultural contents in order to induce interest among young people. The components of water puppetry are largely divided into 5 categories: story, performer and puppets, stage, audience and music. The story is based on Vietnam’s traditional lifestyle including history, tradition and agricultural culture. A total of 17 acts are composed as independent omnibus, so people can enjoy the act even if they did not understand some of content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clichés of subject and meagerness of composition, given that the contents of each act are not narrative form in which they are connected. Performers provide variety of attractions to audience in that they draw attention from audience with excellent puppet-control skills and puppets have different looks depending on the role of act. However, it was pointed out as limitation that in modern times, the succession problems of performers continues, and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appearance of puppets compared to the past. In the case of stage, the biggest feature was that its form continued to change and develop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above all, it was performed on water which had a symbolic meaning for the Vietnamese. However, according to the survey, the stage form has been developed, but the monotony of the stage equipment and lack of variety of stage forms have been raised as major problems. The audience has been gradually expanding, and pamphlets in various languages are being provided, trying to communicate between stage and audience through tếu. However, it was pointed out that there were insufficient points for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services for the audience were also found to be insufficient. Music was played using traditional folk songs such as chèo and thuong, matching the traditional theme of show. This has limitation that it felt plain to young people who enjoy the variety of latest music, and it felt boring for foreigners who did not understand Vietnamese as they could not understand the music content. Based on the analysis of each of these components and results of survey, the study proposes methods to utilize cultural contents of water puppetry as follows. First, expand the subject category of the story and deepen the sense of narrative arc to strengthen the narrative structure. Second, prepare various support systems of succession of performers and modernize appearances of puppets. Third,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stage forms by utilizing cultural technologies or introducing artificial pond forms. Fourth, place elements that can induce audience participation and expand support services for the audience such as specific performance guides. Fifth, provide support services such as making fusion of music and subtitle operating. As above, this paper presented the need for developing elements within contents so that young people can be interested in water puppetry and continuously preserve and inherit it in the future through the method of utilizing cultural contents of water puppetry. Moreover,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reference in Korea for exchanges of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between Korea and Vietnam in the face of insufficient domestic research on water puppetry.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help to suggest ways to utilize cultural contents not only in Vietnam but also in the field of traditional Korean performing arts. 베트남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장구한 역사 속에서 강대국의 침략과 지배를 받는 가운데 그들의 주체성을 잃을 위기가 여러 번 있었으나, 민간문화예술을 중심으로 그들의 고유문화를 지켜온 나라이다. 민간문화예술 분야 중 전통공연예술은 자국 문화와 사상이 담긴 종합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수상인형극은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무형문화유산이자 국가와 인민의 생활상과 역사, 전통을 담고 있어 그들의 민족 정체성을 일깨워주는 베트남의 대표적인 전통공연예술이다. 하지만 수상인형극은 천년이라는 오랜 전통성과 후대에 지속적으로 계승할 필요가 있는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자국의 청년층에게 현대 공연예술과 비교하여 진부하고 흥미롭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는 등 외면받고 있다. 천년의 역사와 함께 국가 정체성을 지닌 수상인형극의 명맥을 계승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베트남을 이끌어갈 10-30대 청년층의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들에게 수상인형극에 대한 흥미를 유도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베트남에서 활동 중인 수상인형극단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된 탕 롱 인형극장의 수상인형극 분석을 통해 문화콘텐츠로서의 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수상인형극의 구성 요소별 분석을 바탕으로 그 특징과 한계점을 살펴보고, 수상인형극에 대한 청년층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구성 요소의 분석과 설문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청년층의 흥미를 유도하기 위해 수상인형극이 문화콘텐츠로서 발전할 수 있는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상인형극의 구성 요소는 크게 스토리, 연희자 및 인형, 무대, 관객, 음악 총 5가지로 나뉜다. 스토리는 역사, 전통, 농경문화 등 베트남의 전통적 생활상을 주제로 한다. 총 17개 막이 독립된 옴니버스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내용 일부를 이해하지 못해도 극을 즐길 수 있다. 그러나 각 막의 내용이 서로 연결되는 서사 방식이 아닌 점에서 주제의 진부함과 구성의 빈약함에 대한 한계점이 보인다. 연희자는 뛰어난 인형 조종기술로 관객의 시선을 이끌고, 인형은 극의 역할에 따라 다른 모습을 띤다는 점에서 관객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연희자의 계승 문제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과거와 비교했을 때 인형의 외관에 큰 변화가 없다는 점이 한계점으로 지적되었다. 무대의 경우는 그 형태가 과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변화, 발전해온 점과 무엇보다도 베트남인에게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 물 위에서 공연을 펼친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었다. 그러나 설문조사 결과, 무대의 형태는 발전해왔지만, 여전히 무대장치의 단조로움과 무대형태가 다양하지 못한 점들은 큰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다. 관객은 점차 대상이 확대되어왔고, 떼우를 통해 무대와 관객 간 소통을 시도하며 다양한 언어의 팸플릿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관객과 소통이라고 하기에는 부족한 점들이 지적되었고, 관객을 위한 서비스 역시 미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음악은 극의 전통적인 주제에 맞춰 째오와 뚜옹과 같은 전통민요를 활용해 연주되었다. 이는 다채로운 최신 음악을 즐기는 청년층에게는 평이하게 느껴지고, 베트남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외국인에게는 음악 내용을 이해하지 못해 다소 지루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구성 요소별 분석과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수상인형극의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스토리의 주제 범주를 확장하고 기승전결을 심화시켜 서사구조를 강화시킨다. 둘째, 연희자 계승을 위한 다양한 지원제도를 마련하고 인형의 외관을 현대화한다. 셋째, 문화기술을 활용하거나 인공 연못 형식을 도입해 무대형태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관객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요소들을 배치하고 구체적인 공연 안내를 비롯한 관객을 위한 지원 서비스를 확대한다. 다섯째, 음악의 퓨전화와 자막 오퍼레이팅과 같은 지원 서비스를 마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논문은 수상인형극의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을 통해 청년층이 수상인형극에 관심을 갖고 미래에 지속적으로 보존, 계승할 수 있도록 콘텐츠 내부의 요소별 발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수상인형극에 대한 국내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한국과 베트남 간의 전통문화예술 교류를 위한 국내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가 베트남 뿐만 아니라 한국 전통공연예술 분야의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얼굴 형태와 이미지에 따른 웨딩 메이크업 연구

        임도연 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얼굴 형태와 이미지를 중심으로 웨딩 메이크업 현장에서 신부 개개인의 개성을 살리기 보다는 정형화된 틀에 맞추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메이크업의 실태와 의의를 연구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원래 메이크업은 인간의 몸을 매개체로 하는 가장 적극적인 색채 활용으로 여러 가지 화장품과 재료, 도구를 이용하여 단점을 수정하고 장점을 부각시켜 신체의 아름다움과 매력을 돋보이기 위한 창조적인 예술 작업이다. 21세기 메이크업 분야는 뷰티 산업뿐만 아니라 패션, 방송, 공연예술,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예술의 한 부분으로 발전하고 있다. 과거 단순히 분만 바르던 메이크업에서 자신의 개성과 매력을 부각시키기 위해 얼굴형, 이미지 등을 분석하여 구체적이고 섬세한 메이크업을 하기 시작했다. 뷰티 메이크업의 한 분야인 웨딩 메이크업 역시 꾸준한 발전과 변화를 거듭해 왔다. 메이크업의 여러 영역 중 가장 보편적이면서 대중적인 분야로 발전해온 웨딩 메이크업은 높은 수익을 올리는 고 부가 가치적인 사업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신부 입장을 고려하여 맞춤 웨딩 메이크업을 보다 심도 있게 연구 개발하여 적용하면 높은 수익과 웨딩 메이크업의 발전을 가져 올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본 논문은 뷰티메이크업의 한 영역인 웨딩 메이크업의 표현 기법을 연구하는데 있어 메이크업의 정의, 기원, 종류 등 선행 연구를 통하여 고찰하여 이론적 근거로 제시하고 웨딩에 관련된 잡지, 서적, 인터넷 등을 토대로 자료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본이 되는 7가지 얼굴 형태에 따른 대표 이미지를 돌출해 내고 얼굴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 이미지를 연구, 분류하여 보완 이미지를 찾아내었다. 요컨대 얼굴 형태에 따른 대표 이미지와 보완 이미지를 충족시키는 표현 기법을 제시 하고자 7가지 얼굴형을 메이크업 전 일러스트와 보완하여야 할 부분을 표시한 일러스트 작업을 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대표 이미지와 보완 이미지를 절충하여 2006년 결혼을 한 신부 및 웨딩 촬영을 한 예비 신부를 대상으로 메이크업을 시연하였다. 그 성과를 객관적인 분석들을 통해 해석해 냄으로써 통념상 웨딩 메이크업은 신부에게만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신랑, 혼주들의 메이크업도 포함됨을 감안하여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하여 신부의 얼굴 형태와 이미지에 따른 웨딩 메이크업으로 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한다.

      • 분변잠혈검사 수검여부와 대사증후군 관련 연구 : 2011~2019년 한국의학연구소(KMI) 데이터를 이용하여

        임도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 문 요 약 분변잠혈검사 수검여부와 대사증후군 관련 연구: 2011~2019년 한국의학연구소(KMI)데이터를 이용하여 배경 및 목적 분변잠혈검사는 우리나라 국가암검진의 일차 대장암 검진 방법이다. 최근 연구 결과, 분변잠혈검사에서 잠혈 양성반응을 보인 대상자들이 음성 반응을 보인 대상자들에 비하여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30% 가량 높았다. 분변잠혈검사가 기존의 대장암 검진 방법의 역할 이외에 대사증후군 등 다른 질병을 발견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지만, 현재까지는 이와 관련한 연구들이 적은 편이다. 특히, 시간에 따른 편향을 배제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의 분변잠혈검사 수검 여부와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을 시간에 따른 편향을 배제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1-19년 한국의학연구소(KMI)에 방문하여 건강검진을 받은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문진 상의 분변잠혈검사에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전체 695,846명에서 분변잠혈검사 수검 여부와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에 대해 Time-fixed Cox 분석, 불멸의 시간 편향을 배제하기 위한 랜드마크 분석, 코호트 내 환자-대조군 연구 설계 방법을 사용, 성별과 연령을 사용하여 1:2 비율로 코호트 내 환자군 대 대조군을 짝지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세 이상 성인 대상자들의 분변잠혈검사 수검 여부와 대사증후군 관련성을 불멸의 시간 편향을 배제하고 보았을 때, 랜드마크 분석 결과는 랜드마크 시간을 연구 시작 시점에서 1년, 2년, 3년을 기점으로 하여 분석하였을 때, 성별과 연령을 보정한 위험 비율이 각각 0.916(95% CI:0.895-0.937), 0.904(95% CI:0.879-0.928), 0.829(95% CI:0.865-0.920)으로 낮았으나, 4년을 기점으로 한 분석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보이지 않았다. 코호트 내 환자 대조군 연구 방법을 통한 결과에서는 오즈비가 0.871(95% CI:0.858-0.88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불멸의 시간 편향을 배제하지 않은 Time-fixed Cox 분석 결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성인에서 분변잠혈검사 수검 여부와 대사증후군 관련 연구에서 분변잠혈검사를 받지 않은 대상자 대비 받은 대상자들이 대사증후군에 대한 위험이 낮았다. 후속연구에서는 분변잠혈검사가 대장암 검진의 역할 이외에도 대사증후군 관련 예측 도구로써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핵심어: 분변잠혈검사, 대사증후군, 불멸의 시간 편향 ABSTRACT The study of Fecal occult blood test and metabolic syndrome: A cohort study using Korea Medical Institute(KMI) health examination data Background and Purpose Fecal occult blood test is the primary colorectal cancer screening method in the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in Korea. As a result of a recent study,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about 30% higher in subjects who tested positive for occult blood in fecal occult blood test than those who showed a negative result. It has been reported that fecal occult blood test can be used as a tool to detect other diseases such as metabolic syndrome in addition to its role as a conventional colorectal cancer screening method, but so far, there are few studies related to this. In particular, a study that excludes bias according to time is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cal occult blood test in Korean adults and the metabolic syndrome, excluding immortal time bia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dults aged 20 years or older who visited the Korea Medical Institute (KMI) from 2011 to 2019 and received a health checkup. Response data to the fecal occult blood test on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Time-fixed Cox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cal occult blood test and metabolic syndrome in a total of 695,846 people, landmark analysis to exclude immortal time bias and nested case-control study design method were used. Sex and age were were used for 1:2 ratio matching patients and controls. Result The results of the landmark analysis are as follows, the hazard ratio adjusted for sex and age, Within 1 year from the start of the study was 0.916 (95% CI: 0.895-0.937), Within 2 year from the start of the study 0.904 (95% CI: 0.879-0.928), and Within 3 year from the start of the study 0.829 (95% CI: 0.865-0.920), respectively. ,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in the analysis based on 4 years. In the result of the nested case control study design method, the odds ratio was 0.871 (95% CI: 0.858-0.885),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ll of the results of Time-fixed Cox analysis, which did not control immortal time bia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In conclusion, in a study on fecal occult blood test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was higher in subjects who did not undergo fecal occult blood test than in subjects who participate in fecal occult blood test. In a follow-up study, will be needed that fecal occult blood test can be used as a predictive tool for metabolic syndrome in addition to colorectal cancer screening clinically. Key words: fecal occult blood test, metabolic syndrome, immortal time bias

      • 메타버스 전시공간 구현을 위한 연출 매체 분석에 관한 연구

        임도연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Due to the recent resurgence of XR technology and the pandemic situation of COVID-19, all industries are paying attention to mataverse. The concept of metaverse is still in the process of continuing to develop, and various discussions are being made in the media and industry. There are cases of new attempts using metaverse in various industries such as education, culture, arts, public relations, marketing, entertainment, daily life, production and manufacturing, and this study analyzes the implementation of new exhibition spaces by focusing on exhibition spaces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fields. The scope of the study is presented in terms of spatial scope, temporal scope, and content, and the spatial scope is limited to the growing number of metaverse exhibitions and fairs, and the temporal scope is limited to exhibitions and fairs opened from 2020 to 2022. Finally, the content range is limited to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type, status, and directing media analysis. The method a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synthesize the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al problems of metaverse in the case and derive a directing medium suitable for the current exhibition space. The conten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hapter 1 introduces the background, purpose, method, and scope of research, Chapter 2 analyzes the definition and status of metaverse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explains the necessity of exhibition space and the application of metaverse. Chapter 3 describes the analysis of metaverse characteristics and the metaverse implementation toolkit and platform. Chapter 4 briefly summarizes the conclusions made by designating, analyzing, and synthesizing cases of metaverse exhibition spaces. First, metaverse continues to develop, and the concept that existed only theoretically is partially becoming a reality. As the ultimate goal, it is seen as a complete mirror world or another real world that can replace reality, and among them, the exhibition space is an essential space, and various types of exhibitions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and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Second, i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oolkits and platforms for implementing metaverse exhibition spaces, knowledge of program language is essential, and in the case of platforms, accessibility to implement spaces is relatively easy as a platform in an environment primarily implemented using the above toolkits. Third, as a conclusion obtained by analyzing the case, the implementation of the exhibition space using a platform that shows relatively many corresponding matters in the items of the analysis frame is currently seen as the closest result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metaverse exhibition space. However, the limitations are still clear, so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vel of immersion and interest of visitors by allowing them to experience differentiated forms of space and content.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directing medium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and viewing of exhibition space using metaverse, and it is meaningful to derive a platform that can implement exhibition space including all the elements that can be expressed currently within the concept of metaverse. Currently, mataverse is growing rapidly unlike in the past and is being shown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Research on the realization of a space that can induce more use by applying metaverse in exhibition spaces sensitive to these changes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and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a guide to the direction of the application of directing media in the metaverse exhibition space plan. 최근 XR기술의 재부상 및 코로나 19의 팬데믹 상황으로 모든 산업에서 메타버스를 주목하고 있다. 메타버스의 개념은 현재에도 계속해서 발전되고 있는 과정 속에 있으며, 언론과 업계에서는 다양한 논의를 내보이고 있다. 교육, 문화·예술, 홍보·마케팅, 엔터테인먼트, 일상생활, 생산·제조 등 다양한 산업 군에서 메타버스를 이용한 새로운 시도를 보이는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 중 문화·예술 분야에서의 전시공간에 집중하여 메타버스를 적용한 새로운 전시공간의 구현에 대해 분석한다. 연구의 범위는 공간적 범위, 시간적 범위, 내용적 범위로 제시하며, 공간적 범위는 현재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메타버스 전시관 및 박람회로 한정하고, 시간적 범위로는 2020년부터 2022년 현재까지 개관된 전시관 및 박람회로 한정한다. 마지막으로 내용적 범위는 메타버스의 개념과 특징, 유형, 현황, 연출 매체 분석으로 한정한다. 본 연구의 방법 및 목적으로는 메타버스 구현 연출매체에 따른 사례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사례에서 나타나는 메타버스의 특성 및 운영상의 문제 등을 분석, 종합하고 현재 전시공간 구현에 적합한 연출 매체를 도출하는 것으로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제 1장 서론에서 연구의 배경과 목적, 방법 및 범위에 대해 말하고, 제 2장은 이론적 고찰로 메타버스의 정의와 현황에 대해 분석하며 전시공간의 필요성 및 메타버스 적용에 대해 설명한다. 제 3장에서는 메타버스 특성에 관한 분석 및 메타버스 구현 툴킷과 플랫폼을 설명한다. 제 4장에서는 메타버스 전시공간 사례를 지정하고, 분석 및 종합하여 내린 결론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버스는 계속해서 발전되어가고 있으며, 이론적으로만 존재했던 개념이 부분적으로는 현실화 되어가고 있는 과정 속에 있다. 궁극적인 목표로는 완전한 미러월드 혹은 현실을 대체할 수 있는 또 다른 현실세계로 보여지며, 그 속에서 전시공간은 필수적인 공간으로 메타버스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전시가 구현되고 그에 따른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둘째, 메타버스 전시공간 구현을 위한 툴킷과 플랫폼의 비교 분석에서 툴킷을 이용한 공간 구현은 프로그램 언어의 지식이 필수적이며, 플랫폼의 경우는 위의 툴킷을 이용해 1차적으로 구현된 환경의 플랫폼으로써 내부에서 공간을 구현할 수 있는 접근성이 비교적 쉬운 편에 속해 있다. 셋째, 사례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으로 분석 틀의 항목에서 비교적 많은 해당사항이 보이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전시공간을 구현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메타버스 전시공간 구현에 제일 가까운 결과로 보여진다. 그러나 아직 그 한계점이 분명하여 차별성을 두는 형태의 공간 및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 관람객의 몰입감과 관심도를 높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전시공간의 효과적인 구현 및 관람을 위한 연출 매체의 분석이 필요하다고 보며, 메타버스라는 개념 안에서 현재 표현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포함한 전시공간의 구현이 가능한 플랫폼을 도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현재 메타버스는 과거와는 달리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보여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전시공간에서 메타버스를 적용하여 보다 많은 이용을 유도할 수 있는 공간구현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본 연구는 메타버스 전시공간 계획에서 연출 매체 적용에 따른 방향성에 대한 지침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nowledge transfer and regional evolution : a case study of the wine industry in the eastern foot of the Helan Mountain region, Ningxia, China

        임도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중국의 와인 산업은 상대적으로 긴 역사에도 불구하고 최근에서야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특히, 닝샤후이족자치구에 위치한 허란산둥루지역은 급속히 발전하는 와인 생산 지역이다. 이곳은 2010년에는 와이너리가 10개에 불과했으나. 2016년 현재 100 여 개로 증가하였고 또 100 여 개의 와이너리가 건설 중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허란산둥루지역이라는 신흥 와인 클러스터 내의 지역 내, 지역 간 그리고 지역 외 지식 흐름을 기업 단위에서 관찰하고, 지역적 공진화(co-evolution)에 대한 지식 전달의 영향을 진화경제지리학의 주요 구성 요소인 잠금(lock-in) 현상, 탈잠금(de-locking), 그리고 제도적 고려를 포함한 네트워크의 진화를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우선 진화경제지리학, 제도, 지역적 공진화, 와인 산업, 그리고 대상 지역에서의 와인 산업과 관련된 문헌 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세 가지 연구 질문을 도출한다. 질문들은 지식 전달에 대한 지역 내, 지역 간, 그리고 지역 외 의사소통의 수단 및 영향, 그리고 정부 제도(정책, 기간 시설, 금융 등)와 교육 제도가 기업의 성공과 지역적 공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또한, 실증적 자료는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취득하였으며, 규모가 상이한 26개 와이너리에 종사하는 31명의 직원과 와인 산업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두 명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중국에서의 45일의 현지조사로 병행한 참여관찰로 보충하였다. 연구 질문에 대한 답은 다음과 같다. 우선, 지리적 접근성으로 인해 지역 내 의사소통의 빈도가 지역 간 혹은 지역 외 의사소통보다 훨씬 높았으며, 그 내용의 깊이는 의사소통의 수단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지역 내 의사소통은 각 와이너리의 생산과 판매에 도움을 준 반면, 지역 간 혹은 지역 외 의사소통은 각 와이너리의 이전 경험 혹은 접근성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해외 경험이 적거나, 해외에서 교육받은 직원이 없거나 적은 와이너리들은 지역 간 그리고 지역 외 지식 흐름에 더 큰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시장에 대한 노출과 생산 절차에 대해 영향을 받았다. 한편, 좀 더 경험이 있는 와이너리들은 해외 생산 기술에 접근성이 있음에도 지역의 고유한 개성을 개발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꼈다. 실제로 몇몇 응답자들은 지역의 와인 클러스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는 해외 기술을 맹목적으로 들여오는 것에 대해 경계하였다. 제도적 공진화가 산업 그리고 지역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는 것 또한 와인 산업 종사자들과 공무원들의 인터뷰에서 나타났다. 와이너리들이 서로 경쟁 상대라는 점에서 직관에 어긋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신뢰와 협동 또한 와이너리들 사이에서 뚜렷이 나타났다. 금융과 토지 사용에 대한 정책들과 정부 주도의 국내 활동, 와이너리 투어, 해외 와이너리 투어 등도 언급되었다. 한편 국내의 와인 관련 교육과정들은 와이너리들을 결속하는 접착제 기능을 하며, 지식 전달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일련의 활동과 조치에 대한 와이너리들의 의견은 전반적으로는 긍정적이었으나, 한계점 또한 언급되었다. 본 연구의 가치는 다음과 같다. 우선 지역적 탈잠금과 적응탄력성(adaptive resilience)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지역적 진화와 공진화가 동시에 존재한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가 진화론적 관점에 대한 기존 문헌들의 주장과 대체로 일치하였으나, 외부 지식 흡수에 대한 긍정적 그리고 부정적인 영향이 동시에 나타났다는 새로운 점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개발도상국의 신흥 산업 클러스터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이를 통해 신흥 산업의 성장과 지속가능성에 필요한 구체적인 산업적∙지역적 과정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였다. 虽然中国葡萄酒酿造的历史悠久,但是它最近才获得了世界的关注。尤其,宁夏回族自治区的贺兰山东麓产区是一个急速发展的产区;它从2010年的十家酒庄增长到2016年一百多家,而且还有一百多家在建立中。 本研究的目的在于测定贺兰山东麓葡萄酒产区内企业层面的产区内、产区之间和产区以外的知识流,而通过演化经济地理学的主要理论分析其知识转移的影响力与地区共演化。更进一步阐述,本研究利用演化经济地理、制度、地区共演化、葡萄酒产业与贺兰山东麓产区的葡萄酒产业的先行研究做出三道研究问题,探索产区内、产区之间和产区以外的不同交流方法及其影响,以及政府与教育制度对企业成功和地区共演化的影响。数据与资料主要获得于定性、半结构化访谈,并辅以现地调查中参与者观察。 本研究结果如下:因为距离差别,产区内交流比产区之间或产区以外交流更频繁,而交流深度根据交流方法不同而有差别。产区内交流被认为对各个酒庄的生产与销售有影响。与其他产区交流的经验越少,其交流的影响力,尤其在生产方面,越大。根据对酒庄工作者与公务员进行的访谈,制度上的共演化是影响产业与地区发展的因素之一。互相信赖和协力在产区内酒庄之间非常明显。政策对产区的影响方面,以及对产区的影响力也在本研究里探讨。 本研究的重要性首先在于对演化经济地理学上的锁定和解锁理论、适应性弹性和地区共演化进行了实证研究。其次,虽然演化经济地理的理论大部分准确,本案例在分析的同时提出反论,即外部知识对创新的负面影响。最后,本研究描述了发展中国家的新兴产业集群,对研究新兴产业的转型与可持续发展的必要因素提供洞察力,做出贡献。 Despite its relatively long history, only recently has the Chinese wine industry started to gain popular attention globally. Notably, the Eastern Foot of the Helan Mountain Region in Ningxia Hui Autonomous Region is a rapidly developing wine producing region which had ten wineries until 2010, but now, in 2016, has more than a hundred wineries and a hundred more under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firm level intra, inter, and extra-regional knowledge flows in the emerging wine cluster in the Easter Foot of the Helan Mountain Region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knowledge transfer vis-à-vis regional co-evolution using building blocks from Evolutionary Economic Geography such as lock-in, de-locking, and the evolution of networks inclusive of institutional considerations. More specifically, after reviewing literature related to Evolutionary Economic Geography, institutions, regional co-evolution, the wine industry, and the wine industry in the target region, this research deploys three research questions (some with multiple parts) to investigate different modes of, and impacts from, intra-, inter-, and extra-regional communication on knowledge transfer in addition to the influence of governmental (e.g. policy, infrastructure, and finance)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on firm success and regional co-evolution. Data were acquired from qualitative,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thirty-one wine industry employees working at twenty-six wineries of various sizes located in the targeted regional wine cluster and two government informants directly involved with the wine industry there. Interview data, gathered over the course of forty-five days of field research in China, are augmented by participant observation. With regard to insights gained with specific reference to the research questions, due to geographical proximity, intra-regional communication is much more frequent than inter- or extra-regional communication, and the depth of the communication content varies by mode of communication (e.g. on-line or off-line). Also, while most intra-regional communication is considered helpful for the production and sales of individual wineries, inter-regional communication impacts vary depending on whether or not firms have prior experience with, and therefore accessibility to, knowledge from foreign wine regions. Wineries with less experience abroad and with no or fewer personnel trained abroad perceive a greater impact from inter and extra-regional knowledge flows, particularly in terms of market exposure and, to a limited degree, production processes. More experienced firms, though, feel they have an imperative to develop wine with unique local characteristics even if they have access to foreign production techniques. In fact, several informants feel the need to guard against blindly importing foreign technique that may not work well in the local wine cluster. Moreover, according to interviews with both winery workers and government officials, institutional co-evolution is shown to be a factor impacting industrial and regional development. Though perhaps counter-intuitive, trust and cooperation are evident among the regional wineries. Policy concerning financing and land use, and government initiatives to provide exposure to foreign wineries, wine experts, and regions via the promotion of domestic events, domestic wine tourism, and travel abroad are explored. Further, domestic, wine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are found to be a common glue helping to bind wineries together and facilitate knowledge transfer. While the overall impression of these measures are cumulatively positive, some drawbacks are also referenced.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rests in evidence found that points to de-locking, the deployment of adaptive resilience, and the evolution of the industry in the region and of the region itself (co-evolution). Further, while the evolutionary thesis is largely found to hold true, the case study simultaneously unearths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derived from the acceptance of external knowledge on innovation, a new finding. Finally, this research addresses a call in the literature by contributing to understanding of an under-researched emerging industry cluster in a developing country, thus providing insight into industry and regional specific processes necessary for the growth and sustainability of new industries.

      • 방송사 프로듀서의 긍정심리자본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임도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국내 방송사 프로듀서의 긍정심리자본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 공영방송이자 국가 기간방송인 A방송사의 TV 및 라디오 프로듀서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긍정심리자본은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긍정심리자본의 구성요인 중 자기효능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직무자율성은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직무자율성의 구성요인 중 업무계획의 자율성이 클수록 창의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직무자율성은 긍정심리자본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긍정심리자본이 높을수록 창의성이 높아지는데, 이때 프로 듀서가 인식하는 본인의 직무자율성 수준이 높을수록 창의성이 증가하는 변화량은 더욱 커졌다. 또한 프로듀서의 창의성은 긍정심리자본이 높을수록 높아지지만, 특히 의사결정의 자율성 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업무방식의 자율성 수준이 높을수록 창의성이 더욱 더 높아지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방송사 프로듀서의 개인 창의성 발휘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요소로 긍정심리자본과 함께 외적 요소로 직무자율성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각 변수들 간의 영향 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향후 이와 관련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이론적 시사점과 함께 방송사 조직의 인사, 교육, 제도 개선 및 조직문화 분야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제2형 당뇨병으로 가정간호를 이용하는 노인의 복약순응도와 관련 요인 - 2017-2021년 건강보험 청구자료 분석 -

        임도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앤더슨의 행동모형을 적용하여 제2형 당뇨병으로 가정간호를 이용하는 노인 대상자들의 복약순응도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파악하여 가정간호 활성화, 가정전문간호사의 ‘복약상태 확인’ 업무 관련 간호 중재 마련 시 근거자료로 활용되고자 시행되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청구자료인 이차 자료를 이용한 후향적 연구이자 상관관계연구로 2017년-2021년 5년간 주상병명 제2형 당뇨병으로 가정간호를 1회 이상 시행한 만 65세 이상 대상자 총 8,651명의 조제내역에 따른 복약순응도를 약물소지비율(Medication Possession Ratio, 이하 MPR)로 측정하고 임계값 90%를 기준으로 복약순응 여부를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제2형 당뇨병으로 가정간호를 받는 노인 대상자들의 MPR은 평균 88.5%였으며, 전체 대상자의 64.6%가 복약순응군(MPR≥90%)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기존의 국내외에서 측정된 복약순응도와 전체 대상자의 복약순응군 비율이 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앤더슨 행동모형에 기반하여 복약순응(MPR≥90%)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행요인에서는 여성(aOR=1.14, p=0.016), 85세 이상 고연령(aOR=1.17, p=0.034)이 복약순응 여부에 영향을 미쳤다. 가능요인으로는 대상자의 거주지가 대도시, 중소도시(aOR=0.85, p=0.001) 또는 농·어촌(aOR=0.38, p<0.001)에 따라 복약순응 여부와 관련이 있었으며 거주지 기준 가정전문간호사 수(17명 이상) 또한 복약순응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aOR=1.21, p=0.048). 욕구요인에서는 치매 및 인지장애(aOR=0.8, p=0.000), 3 이상의 Charlson 동반질환지수(aOR=0.81, p=0.018), 높은 약제 본인부담비용(77,000원 이상)(aOR=1.63, p=<0.001), 당뇨약과 병용하는 많은 약 품목 수(10개 이상)(aOR=1.31, p=0.000)가 복약순응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거주지 기준 가정전문간호사 수가 대상자의 복약순응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점과 본 연구 대상자들의 복약순응도가 국내외의 당뇨병 환자들에 비해 높았다는 점은 의료기관 가정간호 시행이 지역사회 내 당뇨병 노인 환자들의 당뇨 관련 합병증 발병 예방을 위한 복약관리 중 하나의 대안으로 충분히 검토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의료기관 가정간호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가정전문간호사의 복약상태 확인 및 복약교육 관련 간호중재가 어떻게 시행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나 간호일지 분석을 통한 다각적이고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가정전문간호사의 상담·교육 등의 중요성을 부각하며, 의료기관 가정간호를 통한 당뇨병 환자들의 질환 관리 가능성을 논증할 수 있겠다. 또한, 가정간호 시행 전·후 복약순응도 차이를 비교하는 추가 연구를 시행할 것을 제언하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가정간호 전문인력 양성과 수가 개선을 기대해 본다. We examined medication adherence among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who use home health care using Anderson’s behavioral model.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various factors affecting medication adherence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home health care, and also serve a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intervention measures related to the medication status check conducted by home health care nurse practitioners. This is a retrospective and correlational study using secondary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It was conducted on 8,651 older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had experienced home health care for the primary diagnosis of type 2 diabetes at least once in the past five years. Medication adherence was examined according to prescription history, and the level of medication adherence was determined based on the Medication Possession Ratio (MPR) threshold of 90%.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edication adherence, measured by MPR, among older adults who use home health care for type 2 diabetes was 88.5%. This rate is higher than those reported in prev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with 64.6% of all participants classified in the medication adherence group (MPR≥90%).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adherence (MPR≥90%) based on Anderson's behavioral model. In Predisposing Factors, being female (aOR=1.14, p=0.016) and being aged 85 or older (aOR=1.17, p=0.034) were associated with medication adherence. In Enabling Factors, participants’ residence was correlated with medication adherence: living in small-and medium-sized cities (aOR=0.85, p=0.001) and rural areas (aOR=0.38, p<0.001) was associated with lower medication adherence. Moreover, the number of home health care nurse practitioners per residence (17 or more) affected medication adherence (aOR=1.21, p=0.048). In Need Factors, dementia and cognitive impairment (aOR=0.8, p=0.000), a Charlson Comorbidity Index of 3 or higher (aOR=0.81, p=0.018), higher out-of-pocket medication costs (≥ 77,000 KRW) (aOR=1.63, p=<0.001), and a greater number of concomitant medications with diabetes medication (10 or more) (aOR=1.31, p=0.000) influenced medication adherence.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medication adherence and the number of home health care nurse practitioners. Moreover, participants’ medication adherence was higher than diabetic patients’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ome health care for medication management could be an alternative approach to prevent diabetes complications among older adults with diabetes in the commun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hold potential for informing and promoting policies aimed at enhancing the utilization of home health care services. In addition, to fully understand how home health care nurse practitioners manage medication status and provide medication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conduct surveys or analyze nursing records to identify all nursing interventions being implemented.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unseling and education provided by home health care nurse practitioners in promoting medication adherence and enabling effective disease management for diabetic patients who use home health care. Furthermore, conducting research that compares medication adherence before and after receiving home health care services contributes to improving home health care personnel development and related nursing costs.

      • 유연/신축성 기판의 표면 개질을 통한 전극과 기판 사이의 접합력 향상 연구

        임도연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flexible displays and wearable devices,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on flexible and stretchable electrodes from existing rigid substrate-based electrodes. The low adhesive strength of flexible/elastic electrodes causes delamination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ubstrate along with an increase in strain rate due to repeated mechanical deformation, causing fracture of the electrode, and this adhesive strength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lectrical performance and durability. In the case of polymer films used as substrates for flexible/stretchable electrodes, it is very difficult to have high adhesive strength with the electrode because the surface energy is very small, so surface modification is essential to improve adhesive strength. In this paper,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adhesion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metal layer was studied through plasma treatment, chemical surface treatment and adsorption of bio-adhesive proteins. In addition, by controlling parameters in each process, such as surface modification method, surface treatment time, and pH of aqueous solution, we attempted to determine the effect on adhesive strength and establish process conditions for the best adhesive streng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