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생아 시기에 발견된 선천성 수신증의 임상적 특성과 경과

        이효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Purpose: The increasing use of ultrasonography has allowed an appreciation of the incidence of congenital hydronephrosis. The clinical outcomes of congenital hydronephrosis which are the natural course and prognosis are widely vari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ydronephrosis and related urinary tract anomaly. Methods: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07, we reviewed 173 children’s medical records of congenital hydronephrosis detected within 1 month of age. We graded the hydronephrosis by SFU (Society of Fetal Urology) system. We uses SPSS Windows version 16.0 to obtain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Chi-squeare test and ANOVA test was used. A P-value<0.05 is consider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otal renal unit number is 275 and 22(8%) renal units of them had vesicoureteral reflux (VU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ydronephrosis grades and VUR grades in right kidneys,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 kidneys (P<0.05).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rences between operation rates and hydronephrosis grades (P=right 0.04, left 0.01). Conclusion: In this study,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hydronephrosis grade and VUR on all kidneys. Therefore voiding cystourethrogram is recommended for all hydronephrosis patients regardless of hydronephrosis grade, and in patient with severe hydronephrosis, the operation rate of urinary tract anomaly was higher.

      • SNPE (Self Natural Posture Exercise) 프로그램 참여가 어깨 통증과 장애, 가동성에 미치는 영향

        이효정 국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3개월 이상 지속된 어깨 통증과 이로 인한 생활의 불편함을 호소하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SNPE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이에 따른 어깨 통증 및 장애지수(SPADI), 어깨 가동성 변화를 분석하여 SNPE 프로그램 수행이 어깨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SNPE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실험군 11명과 참여하지 않는 대조군 8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실시 전 연구 어깨 통증 및 장애지수 설문을 실시하고, 기본적 신체계측 후 어깨 가동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FITNESSGRAM®의 Shoulder Stretch Test를 왼쪽과 오른쪽 각각 수행하였다. 사전 검사 이후에 실험군은 12주 간 주 3회의 SNPE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대조군은 어떤 운동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최중기, 윤지유(2017)의 ‘SNPE 바른자세 척추운동’에 실린 베이직 프로그램에 어깨의 통증과 기능 회복을 위한 집중 동작으로 T-무브를 추가 편성하였다. 12주 후 사전 검사와 동일한 순서로 사후 검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에서 SPADI의 집단간 프로그램 전후의 평균치 차이에 대한 다변량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는 집단간 프로그램 전후의 상호작용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p>.05), SNPE 집단간, 프로그램 전후 비교를 분리하여 평균치 비교를 실시한 결과 상호작용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간 SNPE 프로그램 전후의 왼쪽, 오른쪽 어깨 가동성 평균치 차이에 대한 다변량 분석 결과,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5). 이러한 결과는 SNPE 프로그램이 어깨의 통증과 기능 부전 개선을 위한 운동 처치 방안으로 권장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pplied the SNPE program to adult women who complained of shoulder pain lasting more than 3 months and the resulting discomfort in life, and analyzed the resulting change in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SPADI), and the effect of performing the SNPE program on shoulder health. The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questionnaire was conducted before the program was conducted, and the shoulder stretch test of FITNESSGRAM® was per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s a method to measure shoulder mobility after basic body measurement, respectively. After the preliminary examination,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the SNPE program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any exercise. In this study, T-move was additionally organized as an intensive movement for shoulder pain and function recovery in the basic program published in 'SNPE Correct Posture Spinal Exercise' by Choi Joong-ki and Yoon Ji-yu (2017). After 12 weeks, the post-test was performed in the same order as the pre-test. In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study, a multivariat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value of SPADI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between groups showed that statistically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between groups (p>.05),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value was compared by separating the comparison between the SNPE groups an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s a result of multivariat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average left and right shoulder mobility before and after the SNPE program between group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NPE program can be recommended as an exercise treatment for improving shoulder pain and dysfunction.

      • 차 명상을 통한 중독 치유프로그램의 연구

        이효정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중독자의 회복 및 유지 뿐 아니라 중독에 쉽게 노출되는 현대인들을 위한 생활 명상프로그램으로서 차명상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이다. 중독은 스트레스를 건강하지 못한 방식으로 대처했을 때 생겨난다.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과 불안 장애 등은 억압된 갈등에서 비롯되는데 중독 현상이라는 또 다른 문제가 우리 사회를 잠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중독문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알코올 · 도박 · 인터넷(게임, 스마트폰) · 약물(마약) 등 중독으로 인한 폐해는 중독자 뿐 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시급성이 높은 보건적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우리 사회의 이러한 사회적 중독 시스템 (기술적-기계적-물질주의 시스템: Technical-Mechanical System)을 해결하기 위해 열린 시스템 (생동하는 과정 시스템: Living Process System)으로의 전환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열린 시스템은 상호간에 철저히 연관되어 있다는 불교의 연기법으로 설명되는데, 이러한 시스템 전환의 방법으로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는 차명상을 통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선행연구와 문헌에 기초한 이론적 배경 고찰을 통해 마음챙김과 자비-자애가 중독의 정서적 문제(불안, 우울), 행동적 문제(과잉행동, 비행성, 공격성), 그리고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차명상의 주요 구성 원리인 마음챙김, 자애-자비를 차명상을 통해 기를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또한 유배지에서 이루어진 茶山과 秋史의 심신수양의 방법으로서 차명상이 이루어진 것을 통해 차의 치유적 기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차명상은 차의 정서적 유익함에 명상을 함께하여 정신수양을 극대화 하는 것으로서 일상의 모든 활동을 명상으로 생활화 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이라는 것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중독의 예방·문제 해결 및 유지프로그램으로서 중독자의 치유를 목적으로 한다. 그리하여 치유의 범위를 마음챙김을 통해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재발의 위험성을 중독자 스스로의 자각력과 자생력으로 회복을 유지해 나가는 것으로 한다. 또한 사전 예방 프로그램으로서 중독시스템에 놓인 현대인들이 차명상을 적극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삶의 질을 높이고 스스로 괴롭지 않고 지혜롭게 사는 것을 으로 한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possibility of tea meditation as a living meditation program not only for recovery and maintenance of addicts but also for modem people who are easily exposed to addiction. Addiction occurs when a person copes with stress in an unhealthy manner. Depression or anxiety disorder owing to stress originates from repressed conflicts and another problem of addiction phenomenon encroaches on our society. Our country's addiction problem has continuously increased and it is deemed that the harmful effect arising from addiction such as alcohol, gambling, internet (game, smart phone), drugs (narcotic) is a health problem which threatens not only safety of addicts and but also that of society member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our social addiction system (Technical-Mechanical System), it is required to convert it to an open one (Living Process System) first of all. The open system is explained by Buddhism's Yeongibeop which insists mutually thorough connection between people, and this study intends to consider the problem through tea meditation which can be found with comparative ease as a method of system conversion. As a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advanced researches and literatu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study investigated positive influence of mindfulness, mercy and affection as the principle of tea meditation on emotional problems (anxiety, depression), behavioral problems (hyperactivity, wrongdoing, aggression), and social relationships. It also confirmed curing function of tea through tea meditation which was done by Dasan and Chusa in the place of exile as a method of mental and physical culture. Through this, tea meditation maximizes mental culture in addition to emotional helpfulness of tea and therefore, it is inferred that tea meditation is the optimal method to make all the daily activities a part of one's daily meditation. With respect to existing addiction treatment, most of intervention process by an expert focuses on post treatment rather than prior prevention. As a post treatment dealing with treatment scope of an addict, this study aims to enhance its self-control and self-esteem through mindfulness and makes the addict recover and maintain its self-awareness and self-generating power from a risk of relapse. As a preventive program, this study also aims that modern people under addiction system can positively use tea meditation to effectively enrich quality of life and to wisely live a life without hardship.

      • 소년원학교 학생의 음악수업 현황 및 만족도 조사

        이효정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music class of youth detention center school students and to establish music class plans that provide practical helps in students' mental and psychological aspects. For this, questionaries were distributed to 58 students in a youth detention center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usic activity that youth detention center school students prefer is listening to music, and they mostly listen to popular music. Second, regarding the satisfaction level in music class, 41 students answered 'yes' to the question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class contents', 46 students(79.3%) answered 'average' to 'the interest and concern', and 38 students(65.5%) answered 'yes' to the question 'the practicality of class contents'. This indicates that they are overall satisfied with music class. Third, regard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activity areas, 38 students(65.5%) answered 'yes' to the listening activity, but 41 students(70.7%) answered 'no' to the singing activity, which means their preference in listening activity is the highest. Fourth, regarding the recognition on the effects of music class, 51 students(87.9%) answered 'yes' to stress reduction, 42 students(72.4%) answered 'yes' to the sense of accomplishment, 39 students(67.2%) answered 'average' to self-expression, 46 students(79.3%) answered 'average' to the formation of trust, 36 students(62.1%) answered 'average' to formation of sympathy, and 31 students(53.4%) answered 'average' to the improvement of cooperation spirit. This indicates music class is the most helpful for stress reduc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s are the suggestions for music class in youth detention center schools. First, it is recommended to use popular music to form peer relationships and friendly music class and to accomplish music class with therapeutic approach for students to express and release their desires from the mental·psychological aspect. Second, activities should be those that express their emotions through voices rather than singing for educational purposes. It is suggested to enhance the satisfaction level of music class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with various activity area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avoid knowledge based education or teaching by rote and to combine music class with personality education. In other words, classes should be operated for students with negative attitudes and mentality to learn in music naturally, along with delicate instructions. Third, it is recommended that music class should help stress reduction from the individual aspects of students based on the basis on the mental·psychological support of music and should enable them to form sympathy and trust from the relational aspect.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expansion and generalization about the result because this study was done on students of one school. Therefore, future studies should be done on many male and female students of multiple schools. Second, it is necessary to use specified questionaries that can exactly comprehend students' desires for music class that can help youth detention center school students practically.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trials and studies will be done to intermediate problems of juvenile delinquents that can be easily encountered in school fields through education. 본 연구는 소년원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음악수업의 현황과 만족도를 조사하고 소년원학교 학생들의 심리·정서적 측면에서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음악수업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소년원학교 학생 58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년원학교 학생이 선호하는 음악활동은 음악감상이며, 주로 감상하는 곡의 장르는 대중음악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내용의 만족도’는 ‘그렇다’ 41명, ‘수업내용의 흥미와 관심도’는 ‘보통이다’ 46명(79.3%), ‘수업내용의 실용성’은 ‘그렇다’ 38명(65.5%)으로 답한 것으로 보아 음악수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활동영역에 대한 만족도는 감상 ‘그렇다’ 38명(65.5%), 가창 ‘그렇지 않다’ 41명(70.7%)으로감상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수업을 통한 효과에 대한 인식은 스트레스 해소 ‘그렇다’ 51명(87.9%), 성취감 ‘그렇다’ 42명(72.4%), 자기표현 ‘보통이다’ 39명(67.2%), 신뢰감 형성 ‘보통이다’ 46명(79.3%) 공감대 형성 ‘보통이다’ 36명(62.1%), 협동심 향상 ‘보통이다’ 31명(53.4%)으로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소년원학교에서의 음악수업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소년원학교 학생들과 정서적 측면에서 교류를 형성하고 친밀감있는 음악수업 되기 위해서는 대중음악의 적극적 활용과 비행감소를 위해 심리·정서적 측면에서 필요한 욕구들을 표출하고 해소할 수 있는 치유적 접근의 음악수업이 이루어지기를 제안한다. 둘째, 교육적 목적의 노래 부르기가 아닌 목소리를 통해 감정을 표현하는 활동들이 시행되기를 제안한다. 소년원학교 학생들이 선호하는 감상수업을 지도할 때, 다른 활동영역과 다양한 통합 교육을 하여 음악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더욱 높이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지식 위주의 교육이나 주입식 교육 태도를 지양하고 음악교과를 인성교육과 병행하는 수업을 제안한다. 즉, 소년원학교 학생들이 가진 부정적 태도와 마음가짐이 음악 속에서 자연스럽게 체득될 수 있도록 수업을 운영하며 교사의 세심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음악이 갖는 심리·정서적 지원에 대한 근거를 바탕으로 소년원학교 학생들의 개인적 측면에서 스트레스 해소를 돕고, 관계적 측면에서 공감대와 신뢰감 형성을 경험하는 음악수업이 수행되기를 제안한다. 본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 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했으므로 결과에 대한 확장과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이에 추후 연구에서는 많은 수의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수행이 요구된다. 둘째, 소년원학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음악수업의 활동방안과 개선을 위해 학생들의 욕구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구체화한 질문지를 작성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학교 현장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비행 청소년에 대한 문제를 교육을 통해 중재 할 수 있는 다양한 시도와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 장애통합어린이집의 장애아와 비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효정 협성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integrated daycare center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ve influence of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in integrated daycare centers on parenting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5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and non-disabled children who attended 39 daycare centers that agre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PSI/SF) was used to investigate parenting stress, and PSOC(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of Gibaud-Wallston and Wandersman(1978) was used to measure parenting efficacy. The scale of parenting behavior by Hyun-Sim(1996) was used.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 21.0 (SPSS Inc., Chicago, IL, USA) program.,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Cronbach's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internal consistency between the items of each measurement tool,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trends of each measurement variable.,To examine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mother's social and demographic variables,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and Scheffé test was conducted for post-hoc verification.,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how social and demographic variable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integrated childcare centers affect parenting behavio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research topic, the average difference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s of the disabled children and the non-disabled children, was found to be higher in mothers over 36 years of age than those under 35 years of age.,Mothers with a mother's academic background of 23 years college or lower recognized parenting stress higher than mothers with a 4-year college degree or higher, showed a low level of parenting efficacy, and showed a low level of 'warm parenting' among parenting behaviors.,There was no difference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according to mother's employment statu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income level of the mother, the mother of the family with the monthly average income of less than 4 million won recognized the parenting stress higher than the mother of the family with the monthly average income of 5 million won or more, and had lower parenting efficacy.,Also,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the disabled children, the mothers of the disabled children recognized the parenting stress more and the parenting efficacy was lower, and the parenting behavior showed more 'controlling parenting'. The second research topic, ‘personal pain’ among parenting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warm parenting’, a sub-variable of parenting behavior,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trolling parenting’.,Also, ‘parenting-related stress’ among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warm parenting’, which is a sub-variable of parenting behavior,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trolling parenting’.,Finally, ‘homosexual parenting’, one of the sub-factors of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and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trolling parenting’. Third, the relative influence on the sub-factor of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 of the integrated daycare center, 'homosexual parenting', which i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found to have influences in the order of the higher parenting efficacy, the lower parenting stress, and the presence of disability. The relative influence on the sub-factor of parenting behavior, 'controlling parenting',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order of the higher parenting stress, the higher parenting efficacy, and the higher parenting stress related to personal pain. The second research topic, ‘personal pain’ among parenting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warm parenting’, a sub-variable of parenting behavior,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trolling parenting’.,Also, ‘parenting-related stress’ among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warm parenting’, which is a sub-variable of parenting behavior,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 ositive correlation with ‘controlling parenting’.,Finally, ‘homosexual parenting’, one of the sub-factors of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and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trolling parenting’.Third, the relative influence on the sub-factor of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 of the integrated daycare center, 'homosexual parenting', which i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found to have influences in the order of the higher parenting efficacy, the lower parenting stress, and the presence of disability. The relative influence on the sub-factor of parenting behavior, 'controlling parenting',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order of the higher parenting stress, the higher parenting efficacy, and the higher parenting stress related to personal pain. 본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 장애아 어머니와 비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행동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장애통합어린이집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국가지원 장애통합어린이집 중 본 연구목적에 동의한 어린이집 39개소에 다니는 장애아 어머니와 비장애아 어머니 3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양육스트레스를 알아보기 위해서 Abidin(1990)이 개발한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tex/Short Form: PSI/SF)를 사용하였고 양육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Gibaud-Wallston와 Wandersman(1978)의 양육효능감 척도(PSOC: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를 사용하였으며, 양육척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도현심(1996)의 양육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 21.0(SPSS Inc.,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배경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측정도구의 문항 간 내적일치도를 알아보기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각 측정 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사회 인구학적변인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행동의 수준을 살펴보기 위하여 t검정과 일원변량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을 위해 Scheffé 검정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장애통합어린이집 어머니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주제인 장애통합어린이집 장애아와 비장애아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행동의 평균 차이를 살펴보면 어머니의 연령이 35세 이하인 어머니에 비해 36세 이상의 어머니가 더 높은 양육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통제적 양육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학력이 2 3년제 대학교 졸업 이하인 어머니가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의 어머니보다 양육스트레스를 높게 인식하고, 낮은 양육효능감의 수준을 보였고 양육행동 중 ‘온정적 양육’에서도 낮은 수준을 보였다. 어머니의 취업상태에 따라서는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양육행동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머니의 가구 내 소득 수준에 따라서는 월 평균 소득이 400만원미만 가정 어머니가 월 평균 소득 500만원 이상 가정 어머니에 비해 양육스트레스를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더 낮은 양육효능감을 가지고 있었고 양육행동 중 ‘온정적 양육’도 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 자녀의 장애유무에 따라서는 장애자녀 어머니가 양육스트레스를 더 높게 인식하고 양육효능감은 낮은 수준이었으며 양육행동은 ‘통제적 양육’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주제인 장애통합어린이집 장애아와 비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양육스트레스 중 ‘개인적 고통’은 양육행동의 하위변인인 ‘온정적 양육’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적 양육’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중 ‘양육 관련 스트레스’도 양육행동의 하위변인인 ‘온정적 양육’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적 양육’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 중 하위요인 중 ‘온정적 양육’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적 양육’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주제인 장애통합어린이집의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하위요인인 ‘온정적 양육’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양육효능감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양육 관련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그리고 장애유무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양육행동 중 하위요인인 ‘통제적 양육’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양육 관련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높다고 인식할 수록, 개인적 고통과 관련한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잠재성장곡선모형에서 조사가중치를 활용한 통계적 추정

        이효정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복합데이터를 이용하여 잠재성장곡선모형의 모수를 추정할 때 가중치를 활용하는 방법과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가중치 활용 방법으로는 표본공분산에 기반한 의사가능도방법과 가중최소제곱법, 그리고 모집단 공분산을 설계기반 방법으로 가중추정한 후 모수를 추정하는 방법을 논의하였다. 가중치 활용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4개년의 한국의료패널데이터를 이용한 모의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상대편향, 편향비, 편향제곱 비율을 통해 결과를 수치적으로 비교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가중치를 활용한 추정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상대편향, 편향비, 편향제곱 비율이 더 작게 계산되어 모수 추정 시 가중치를 사용하는 것이 편향측면에서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thesis examined the method of using survey weights and its effect when estimating the parameters in latent growth curve model. As a method of utilizing weights, pseudo-likelihood method and weighted least squares method based on sample covariance were used. Also, a method of estimating the parameters after weighting the population covariance using a design-based method was discussed.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using weights, a simulation using 4 years of Korean Health Panel Survey(KHPS) data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numerically through relative bias, bias ratio, and percentage of squared bias.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the relative bias, bias ratio, and percentage of squared bias were calculated smaller in using weights than the other case. This simulation study said that using weights was a better choice than the other case in terms of bias.

      • 인물을 중심으로 한 주제중심 교육과정 통합 실행연구

        이효정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생들에게 통합적인 안목으로 문제를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을 길 러주기 위하여 초등학교 3, 4학년의 교육과정을 주제중심 교육과정 통합에 의 해 재구성하여 통합단원을 개발하고 운영하여, 이에 따른 수업에서 나타나는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실행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간학문적 접근에 의해 주제 중심으로 통합단원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 ㆍ실천했을 때 학생과 교사에게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가? 둘째, 과목별의 교육과정을 묶어 통합단원을 개발ㆍ적용했을 때 과목별 교육 과정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초등학교 3, 4학년의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여 ‘이순신’이라는 인물을 주제로 추출하여 주제중심 통합단원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통합 단원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총 3주간 12차시에 걸쳐 수업을 실행하였다. 실행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이 어떠한 현상을 보이며 변화는 어떠한지, 교실에서 의 과정을 기술하고 해석하기 위하여 참여관찰, 심층면담, 수업일지, 학생의 포 트폴리오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해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통합 단원 적용을 통해 통합적 안목이 생성되고 협동심이 증 가했으며, 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참여도가 증가하였다. 더불어 어떤 학습활동을 할 때 그것을 여러 가지 관점에서 바라보고 다양한 해결 방법을 모색하게 되어 문제 상황에 대한 해결 능력이 향상되었다. 한편, 교사는 통합 단원을 개발하면 서 교육과정 재구성 능력이 향상되었다. 통합 수업이 진행되면서 학생들의 능 력과 협동심이 발휘되고, 창의력과 바른 인성이 형성되는 것을 보면서 학생들 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다. 교사 연구자로서 교사의 끊임없는 노력과 실천만이 수업과 학생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여러 교과에서 반복되는 내용을 줄여가며 실제적인 체험활동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창의ㆍ인성 학습에는 학생들이 직접 경험해보는 활동을 갖도 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시간을 교과 내용에 중복된 부분을 줄여 가면서 확보할 수 있다. 셋째,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폭넓은 통합이 이루어졌고, 교과 간 통합해서 새로운 교과가 생성되는 간학문적 통합까지 이룰 수 있었다

      • 원두(Roasted Coffee) 배전도 및 추출온도가 커피 중 아크릴아마이드 생성에 미치는 영향과 안전성 평가

        이효정 부경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level of the coffee intake for the daily and preference in adults and to analyze the amount of acrylamide produced during coffee roasting. Also, it was evaluated human exposure and safety level of acrylamide for the coffee intake for providing information efficiently. As the result of investing coffee intake by sex and age, males had the highest proportion in 3 to 4 cups and females drank 1 to 2 cups the most. It had the highest ratio of 1 to 2 cups consumption in thirties, fifties, and sixties, but 3 to 4 cups in twenties and forties. Awareness of acrylamide was low overall. But there was the highest ration of intention to drink 1 to 2 cups per day in case of recognizing acrylamide. Green bean and roasted coffee bean had similar moisture and ash content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rude fat. Compared to color difference, dark roasting coffee bean had a lower L (lightness) and b (yellowness) value than green bean one. The acrylamide content of the hot brew coffee was 0.053 mg/kg in the light roast, 0.045 mg/kg in the medium roast, and 0.036 mg/kg in the dark roast. Otherwise in case of cold brew, contents of acrylamide was 0.063 mg/kg in the light roast, It was 0.040 mg/kg in medium roast and 0.043 mg/kg in dark roast. Human exposure of acrylamide per cups were 0.12 μg/kg b.w./day for men and 0.15 μg/kg b.w./day for women by calculating based on average by age and sex.

      • 학습자의 수학학습동기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 연구동향

        이효정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습자의 수학학습동기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에 대한 국내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분석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DBpia, KISS 등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키워드 ‘부모, 수학’에 관한 KCI등재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대상 논문을 수집하였다. 총 322건의 연구가 검색되었고, 보다 세밀한 자료를 위해 논문명과 초록을 확인한 후 부모와 수학학습동기 그리고 학업성취와 관련된 논문으로 정리한 결과 상당수의 논문이 제외 되었으며 국내 학술지 논문에 게재된 총 33편이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다. 학습자의 수학학습동기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에는 부모의 지원,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의 기대와 수학에 대한 태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가정의 학습환경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학습자의 수학학습동기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 연구동향을 연구방법과 연구내용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고, 연구방법별 분석기준은 연구유형, 분석방법, 측정도구로 설정하였다. 학습자의 수학학습동기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 연구동향의 연구 내용별 분석기준은 연구대상과 부모요인으로 설정하였다. 학습자의 수학학습동기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과 학습자의 수학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 학습자의 학업성취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에 수학학습동기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의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 학습자, 수학학습동기, 학업성취, 부모의 지원, 부모의 양육태도, 주제어 : 부모의 기대와 태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가정의 학습환경

      • 외국인 유학생이 경험하는 어려움 : 진단적 그림 시리즈(DDS)를 활용한 개념도 연구

        이효정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방법인 개념도 연구방법을 사용하며 국내 외국인 유학생이 경험하는 어려움의 내용과 기저 차원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한국에서 1년 이상 체류하였고 한국어 능력시험 4급 수준의 한국어를 구사할 줄 알며 학위 과정에 등록한 외국인 유학생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 과정에서 언어표현의 한계를 보완하고 풍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진단적 그림 시리즈(The Diagnostic Drawing Series, DDS)를 활용하였다. 면접을 통해 연구주제와 관련한 총 42개의 핵심 진술문을 추출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다차원척도법을 실시한 결과 42개 진술문은 인지적 반응과 정서적 반응, 그리고 개인 내적과 외적 요인의 기준으로 분류되었다.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전체 진술문을 ‘차별감, 고립감, 정체성 혼란, 자기억제, 위축, 문화차이’라는 6개의 개념으로 요약하였다. 6개의 개념 중 유학생의 어려움을 가장 잘 설명하는 개념은 ‘차별감’과 ‘고립감’, ‘정체성 혼란’으로 나타났으며, 유학생은 신체화를 포함한 내재화 문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접에서 DDS의 사용은 언어표현에 제약이 있을 수 있는 연구참여자의 언어표현의 한계를 보완하였고, 그림을 통한 면접과정은 방어를 완화하고 덜 판단적인 방식으로 연구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 하도록 촉진하였다. 이에 따라 나타난 그림은 개념도 분석에서 도출된 ‘고립감’과 ‘정체성 혼란’의 개념을 잘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이 경험하는 어려움의 구조적 특성과 기저차원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방법론적으로 유학생의 언어표현 상의 제약을 보완하고 질적으로 풍부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면접 과정에서 미술을 활용한 결과 외국인 유학생의 내적 경험이 심도 있게 드러났다는 점이 본 연구의 의의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categorize perceived difficultie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by us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ology.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8 international students who lived in South Korea for more than a year and speak intermediate level of Korean. They participated in a 90-minute interview to generate ideas regarding the research subject. The Diagnostic Drawing Series(DDS) were used in the interview process to compliment the verbal communication and to collect qualitatively rich data. A total of 42 key sentences were extracted from the interview. The final concept map generated six distinct cluster themes: Sense of Discrimination; Feelings of Isolation; Identity Confusion; Psychological Withdrawal; Cultural Difference; and Suppression of Thoughts and Behaviour. Among these, ‘Sense of Discrimination’, ‘Feelings of Isolation’, and ‘Identity Confusion’ were shown to be highly relevant to the research subject. The rest of the themes explained the problems of internalization and somatiz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The use of DDS facilitated non-judgmental attitudes in the interview process, which resulted in creations of detailed and rich data. The drawings created during the interviews showed well the issues of isolation and identity that are emerged in the final concept map. In this study, the psycho-social experiences of international students were effectively captured by using the art in the interview proc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a way that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the psychological intervention to the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