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시대 한글 의궤의 국어학적 연구 : ≪자 경뎐진쟉졍례의궤≫와 ≪뎡니의궤≫를 중심으로

        이화숙 대구가톨릭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Jagyeongjeon-Jinjak-Jeongnye-Uigwe and Deongni-Uigwe are of great value as a material in the way that it is the only Hangeul Uigwe among Uigwe contatined in Kyujang-gak and Jangseo-gak. This paper is the purpose on finding out the Korean features and the value as the material of Korean history on Jagyeongjeon-Jinjak-Jeongnye-Uigwe and Deongni-Uigwe. Hangeul Uigwe translated Chinese characters Uigwe is very valuable for checking the Korean information directly about transcription by borrowed characters. The following items summarize the result of the argument. 1) The research looks through the morphologic bibliography and the included contents in the second chapter. First, Jagyeongjeon-Jinjak-Jeongnye-Uigwe is about the royal court banquet at Jagyeongjeon in 1823. It is published in 1828 to be read the queen and the crown prince. It is made up of the contents focused on the related documents and is the same contents and formation as the book in Chinese characters ≪慈慶殿進爵整禮儀軌≫. Secondly, Deongni-Uigwe is about the honored traveling of the King Jeongjo, the celebration of the birth for the queen Hyegyeong, and the contents about building Hwaseong Fortress. It is featured not classified the documents by sorts, but included by the order of the date. The same contents are scattered in Ilseong-nok, Hwaseong-seongyeog-uigwe and Wonhaeng-jeongnye. Most parts of the 40th volume, the 46th volume through the 48th volume about 'Hwaseong Fortress' correspond to the contents of Hwaseong-seongyeog-uigwe. Jagyeongjeon-Jinjak-Jeongnye-Uigwe and Deongni-Uigwe included other periods of the royal events in Hanguel. Jagyeongjeon-Jinjak-Jeongnye-Uigwe classified the documents, but Deongni-Uigwe did not classify the documents. It included the order of the date. In spite of the same Hanguel-Uigwe, the formation has a remarkable contrast. 2) The research examines the transcription and the phoneme. First, Jagyeongjeon-Jinjak-Jeongnye-Uigwe and Deongni-Uigwe look similar on the phonological structure. In the initial sound, the transcription of the fortis of ‘ㄱ’ and ‘ㄷ’ do not appear ‘ㅲ’, ‘ㅳ’. This is the same general tendency as the documents in the early of 19 century. Second, It appears the transcription of the separated spelling. The separated spelling is in the order of ‘uninflected words>inflected words’. In uninflected words, a final consonant becomes the continuous spelling and the double spelling in case of ‘ㅅ’ and ‘ㅈ’ consonants. In the same vocabulary, the uninflected words have many separated spellings, and the inflected words have a high frequency of the continuous spellings. Third, both documents have a strong conservation on the transcription of ‘ㆍ’. In the 15th century, the vocabulary marked ‘ㆍ’ used as it was. There are many examples using ‘ㆍ’ when ‘ㆍ’ and ‘ㅏ’ or ‘ㅡ’ appeared the confused transcription. Fourth, Vowel rounding, Vowel fronting, Umlut of both documents appeared at all low reflection rate. The palatalization of the native language appears 100% realization rate, but Deongni-Uigwe shows 40% realization rate. The reflection of palatalization in Deongni-Uigwe shows in the order of ‘Non head-word>Head-word’, ‘Lexical morpheme>Grammatical morpheme’, ‘Connective ending>Final ending’, ‘Aspirated sound>Unaspirated sound’. The reflection of palatalization in Deongni-Uigwe is more conservative than Jagyeongjeon-Jinjak-Jeongnye-Uigwe. With the reference to Jagyeongjeon-Jinjak-Jeongnye-Uigwe published in 1828, it is inferred that the published period of Deongni-Uigwe is not more than the early of 19 century. 3) This research examines the features of formation with categorizing the title of various objects in the fifth chapter. At the same time, the transcriptions of Hanguel and Borrowed character were analyzed in the view of word formation for the vocabulary with 1:1 correspondence. First, The vocabulary formation analyzed with classifying into the title of food, foodstuff, container, cooking tools, construction materials, and instruments. Most of head words focused the meanings have complex formations which are put before ‘material, condition, color, size, form, use, and habitat’. The most productive element of forming Hyponym is ‘material’ and ‘size’. ‘size’ used in all titles except the food title. In the case of appearing plural transcription, the vocabulary adding the visual meaning preceded. Generally, the cognitive process perceiving the difference of objects through the sense of sight reflected in the language expression. Second, the vocabulary formation has a high rate of Chinese character compared with the native language. The high rate of Chinese character is also the vocabulary feature shown in Hanguel Uigwe. Third, the transcription by borrowed characters corresponded with the single words has a great tendency of Chinese reading of the characters. The transcription by borrowed characters of ‘加里亇, 古沙里, 落蹄, 周巪, 酒煎子’ corresponded with ‘가리마, 고사리, 낙졔, 쥬걱, 쥬젼’ are read the characters in Chinese reading. The transcription by borrowed characters of ‘甑, 木臼’ corresponded with ‘실우/시로, 졀구’ are read in Korean reading of Chinese characters. Among the 49 single words of analyzed objects, this two cases are read in Korean reading of Chinese characters. Fourth, the transcription by borrowed characters corresponded with the compound words has a high tendency of Korean reading of Chinese characters. The transcription by borrowed characters ‘油機, 齒瓢子, 竹篩, 擔桶, 葉匙, 篩橋’ corresponded with ‘기틀, 니나모박, 대체, 몔통/멜통, 입슐, 체리’ are read in Korean reading of Chinese characters. The transcription by borrowed characters ‘於音炙, 擔乼, 鐵工伊, 甑本, 茶板’ corresponded with ‘느름젹, 몔줄, 쇠공이, 시로본, 차반’ are read in Chinese-Korean reading or Korean-Chinese reading of Chinese characters. Among 66 vocabularies of analyzed objects, the transcription by borrowed characters corresponded with Korean transcription in Chinese reading is 27 items, Korean reading is 11 items, and Chinese-Korean reading or Korean-Chinese reading is 28 items. Fifth, the transcription by borrowed character corresponded with derivational words does not have an example of Chinese reading. The transcription by borrowed characters ‘古乭朴, 昆者巽, 杻籠, 香串之’ corresponded with ‘고돌박이, 곤쟈손이, 튝농이, 향지’ are read in Chinese reading. The transcription by borrowed characters ‘於音味, 陶所湯, 燭匠’ corresponded with ‘느미, 질바탕이, 쵸장이’ are read in Korean-Chinese reading. Derivational words are mainly formed combining with the suffix ‘-이’, but the corresponded form in Korean transcription does not show in the transcription by borrowed characters. Sixth, the same Chinese character in the transcription by borrowed characters appears Chinese reading and Korean reading together in the correspondence of the Korean transcription. ‘水’ and ‘鐵’ are read in Chinese reading in ‘슈쟝, 슈철’, ‘쇠공이, 쇠모로’ each, and are read in Korean reading in ‘무쟝, 믈독’, ‘쳘마치, 쳘모로’. In the previous study, ‘眞-’ read into suffix ‘참-’ in Korean reading is drawn out that ‘진-’ is read in Chinese reading on ‘眞末, 眞墨’ corresponded with ‘진말, 진믁’. 4) This research looks through the aspect of Korean annot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Idu characters of Hanguel Uigwe using the parallel materials of ‘Chinese character text:Hanguel text’, ‘Idu text:Korean annotation text.’ First, the annotation of Chinese character has a difference with the original text in ellipsis, reduction, extension, error, word order, and phrasal change. However, it accomplishes Korean annotation as far as it does not ruin the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Second, in Hanguel Uigwe, the formal part of the date and the text types are omitted in Korean annotation. This can be pulled out the Korean annotation for attendants of the royal court. Third, in Idu text, there are two types of Korean annotation; liberal translation with the context by the intention of Korean annotator and literal translation with reading sounds of Idu. ‘是白如乎, 是白乎, 是白乎, 是置有亦, 亦爲有如乎, 是白去乎, 爲有置’ in Idu text are corresponded with the connective endings; ‘-니, -디니/지니, -기의, -기(로)’ in Korean annotation text. Idu morphemes ‘乎, 亦, 置’ have a function of ‘cause’. In ‘敎是置, ‘爲白齊, 爲有置’, reading sounds are reflected on Korean annotation as they are, but the reading sounds of ‘니시두, 졔, 올져, 뎌, 윳두’ do not appear in Idu text.

      • 전역직업군인의 재취업에 관한 연구 : 연금 수급대상 장기복무자를 중심으로

        이화숙 경희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역직업군인에 대한 재취업을 위한 제반 복지실태는 현역군인들에게 정신적·사회적 안정감을 갖게 하고 사기와 단결심을 제고하여 전투준비태세를 강화하고 군 전력을 위한 인력보호 및 유지의 목적을 가진다. 본 고는 직업군인이 청·장년기를 군에서 지내고 전역후에 사회에서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하였던 자신에 대하여 자긍심을 갖게하고 군조직 내에서 가졌던 전문인·직업인으로의 자부심을 가지고 생활할 수 있도록 국가적 차원의 보상책으로 전역직업군인의 재취업이 보장되어야 단다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점차 고령화사회로 가는 현실에서 정년퇴직은 타의에 의해 결정되거나 법제적인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정년에 의한 퇴직은 경제적 수입의 단절과 더불어 그 자신의 사회적 지위의 상실이라는 큰 의미로 대두된다. 군인의 정년은 타직업에 비해 빠르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20년 근속이후 받게되는 군인연금은 현역시절의 41%에 해당되는 금액으로 45∼56세의 정년을 갖는 직업군인은 인생주기의 최대지출기에 전역하게되어 경제적인 부담에 따른 사회 재취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군인이라는 직업에 대한 인식조사에서 전역후 생활보장에 대한 불안감과 조기정년이 '군직업 선택 기피 이유'와 장기복무자들의 전역사유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이같은 요인은 군인에 대한 직업성 보장의 기대가 약해지는 것으로 군의 사기는 물론 우수 인적자원의 확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전역직업군인의 재취업은 삶의 질 향상과 연계된 국가의 사회보장제도 차원에서 현실적이고 능동적인 제도적·정책적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전역직업군인의 재취업을 위하여 ① 직업보도 관장부서의 통합기구 설치, ② 재취업시 가산점 부여 및 의무고용제도 법제화, ③ 직업보도 교육기간 연장 및 보장, ④ 취업자의 전문능력 및 자격 구비, ⑤ 전문상담원에 의한 취업상담제 운영, ⑥ 취업 및 창업정보제공을 위한 제도적 장치 설치, ⑦ 대사회적 홍보활동 강화 등에 대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군의 전투력 보강을 위한 유형적인 전력을 증대시키는 것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직업군인이 일반사회와 형평성있는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전역자 자신의 행복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유도되어야 한다. 향후 직업군인이 평생 직업보장체제를 미래지향적으로 확립하여 군의 사기와 복무의욕을 고취시키는 것에 목표를 두어야 할 것이며, 전역군인의 원활한 사회복귀를 통한 민·군의 통합적인 발전은 복지국가 실현을 한걸음 더 앞당기는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All sort of the welfare conditions for the Retired Career Soldiers to get a Profession is necessary for the function of supplying the mental and social stability to the career soldiers in active service, rising the morale and solidification in the army, strengthening the preparation to fight and Keeping the army personnel. This study places its object on the necessity to guard for the retired career soldiers to get a profession in national compensation of his/her devotion for the nation and the people. In the present trend of old aging society, the retirement is not self-decision but decision of others or the laws and takes away the economical means and the social position from them. Especially, the term of retirement for the career soldiers is shorter than that for others and the possibility to get the job again is more important for them. The pension of military personnel is 41% of his/her actual service payment and the term of retirement is 45∼55 age. Accordingly, the chance to get a job after retirement is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for them because the career soldiers retire at the most expensive term in their life. We can ascertain the above in the saying that the greatest reason of reluctance to be the career soldier and for long-term career soldiers to retire is the uneasiness for livelihood after retirement and earlier retirement in the survey of cognition regarding to the career soldiers. This has a bad effects on the morale of the military and impedes from holding the military personnel resource. The Re-adoption of a Profession for Retired Career Soldier should be improved in the organization and policy realizably and actively on the view of social guard system by nation. In order to guard the Re-adoption of a Profession for Retired Career Soldier, the following is proposed as ① Establishing the union organization for the vocational guidance, ② Registrating the law of obligational employment and granting the additional marks, ③ Extending and give a guarantee of the educational period of the vocational guidance, ④ Helping the retired career soldiers to be qualified, ⑤ Governing the system for vocational consultation by specialist, ⑥ Providing the systemic device for the vocation, ⑦ Intensifying the propaganda to the society. That the career soldiers live fairly with the private society and have the chance to be happy individually is also as important as strengthening the military power. If the career soldiers are given a guarantee of the whole-life vocation and the military morale and the motivation of career soldiers will be raised highly. And private-military co-development will be useful to realize the nation for welfare by harmonizing the retired career soldiers with the private society well.

      • 기업조직의 목표구조와 리더십 유형에 의한 직원들의 성취목표지향성, 효능감 및 혁신행동지향성 예측

        이화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coping with change is essential to survive in dynamic business environment. In this sense, innovation is continuously required for the future of corporation, and it should consider the human as its core subjective for the sustainable growth. Therefore, it is critical to identify what motivates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 in the corporate environ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collective efficacy as employee's work motivation in mediating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goal structure and leadership style in corporate organization and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intention.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were below: First, does organizational goal structure and leadership style in corporation predict employe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cond, does organizational goal structure and leadership style in corporation predict employee's self-efficacy and collective efficacy? Third, does organizational goal structure and leadership style in corporation predict employee's intention for innovative behavior? Fourth, does employe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collective efficacy mediate when organizational goal structure and leadership style predicts employee's intention for innovative behavior? The research questions are tested using self-report data from a sample of 241 employees in 17 companies, Korea. The survey assessed employee's perceived organizational goal structure, goal orientation, leadership style, efficacy, and innovative behavior intention. The major results were drawn as following: First, perceived goal structure strongly correlated with leadership style. Especially, learning goal structure was positively related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r = .78). After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y are loaded substantially on the single factor, and they're differed by performance goal structure. Second, perceived goal structure and leadership styl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employee's work motivation. First of all, learning goal structure predicted learning goal orientation(β = .29), whereas performance goal structure predicted performance goal orientation(β = .17). Also, learning goal structure strongly predicted self-efficacy(β = .27) and collective efficacy(β = .52). At the end, learning goal orientation mediated when learning goal structur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redicted self-efficacy and collective efficacy. Third, learning goal structur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ositively intention for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β = .38) and intention for collective innovative behavior(β = .58). Also, learning goal orientation predicted intention for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β = .37) and intention for collective innovative behavior(β = .18) when learning goal structur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controlled. At the end, self-efficacy strongly predicted intention for individual innovative behavior(β = .38), whereas collective efficacy strongly predicted intention for collective innovative behavior(β = .44) when learning goal structu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learning goal orientation are accounted f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rporations should be concerned learning rather than performance. This study compared learning goal structure with performance goal structure on employee's intentions of innovative behavior. 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that only learning focused organizations motivate employees to have intentions for innovative behavior. Generally, corporations focused on employee's performance rather than learning. But if corporations are only interested in performance, employees would put their effort on the task which is completed in a very short time, and they would have no interest the fundamental solutions of the problem. What is more, this study well identified the mediation ro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achivement goal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collective efficacy.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There were close relationship between goal structure and goal orientation, the positive results of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the discriminational power of efficacy to intentions of innovative behavior. Therefore employees who pursue to improve one's ability rather than proving oneself to be a good performer, employees who have a strong self-efficacy and collective efficacy would be innovative in their work force. However, this study could not analyze objective indicator such as policies, organizational structure, real leaders' behavior, and the result of innovative behavior. Therefore, following research should study how to relate between subjective indicator and objective indicator. Second, since it is a cross-sectional study, it could not analyze that real performance would affect on employe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collective efficacy in reverse. Performance might be a strong factor to have an effect on employees' work motivation. Therefore, following research should do a longitudinal study rather than cross-sectional study. Third, this study fail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performance structure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lthoug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is well distinguished theoretically, they could be used together in real workplace. Therefore, it needs following research. 오늘날의 기업환경에서 변화와 그에 대한 대처는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이 때문에 기업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혁신이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다. 혁신행동의 주체는 결국 사람이며, 이들이 혁신행동을 하도록 이끄는 것이 무엇인지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원들의 혁신행동을 유도하는 조직의 환경으로서 기업조직의 목표구조와 리더십 유형을 고려하였고, 그 과정에서 직원들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효능감의 매개역할과 그 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룬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기업에서 직원들이 인식한 조직의 목표구조와 리더십 유형은 이들의 성취목표지향성을 예측하는가? 첫째, 기업에서 직원들이 인식한 조직의 목표구조와 리더십 유형은 이들의 효능감을 예측하는가? 둘째, 기업에서 직원들이 인식한 조직의 목표구조와 리더십 유형은 이들의 혁신행동지향성을 예측하는가? 셋째, 기업에서 직원들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효능감은 조직의 목표구조와 리더십 유형, 그리고 혁신행동지향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국내의 17개 기업체에 종사하는 회사원 241명을 대상으로 집단의 목표구조와 리더십 유형, 직원들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효능감, 그리고 개인 및 집단의 혁신행동지향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기업체들 중 IT계열이 4곳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교육계열과 금융계열이 각각 2곳이었으며, 그 밖에 의류, 유통, 자동차, 영화, 홍보 업체 등이 있었다. 설문지의 배부와 회수는 각 기업체에서 근무하는 회사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조직의 목표구조 및 리더십 유형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기업조직의 학습 목표구조와 변혁적 리더십은 매우 높은 상관관계(r = .78)을 보였으며, 요인분석 결과 하나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이들은 수행 목표구조와 뚜렷하게 대비되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둘째, 기업조직의 목표구조 및 리더십 유형은 직원들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효능감을 유의미하게 예측했다. 먼저, 기업조직의 목표구조는 직원들의 성취목표지향성을 차별적으로 예측했다. 구체적으로, 학습 목표구조 및 변혁적 리더십은 학습 목표지향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했고(β = .29), 수행 목표구조는 수행 목표지향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했다(β = .17). 또한 학습 목표구조 및 변혁적 리더십은 자기효능감(β = .27)과 집단효능감(β = .52)을 유의미하게 예측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학습 목표구조 및 변혁적 리더십이 자기효능감 및 집단효능감을 예측하는 과정에서 학습 목표지향성이 매개역할을 하였다. 셋째, 학습 목표구조 및 변혁적 리더십은 개인의 혁신행동지향성(β = .38)과 집단의 혁신행동지향성(β = .58)을 긍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학습 목표구조 및 변혁적 리더십이 통제된 상태에서 학습 목표지향성은 개인의 혁신행동지향성(β = .37)과 집단의 혁신행동지향성(β = .18)을 긍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 목표구조 및 변혁적 리더십, 그리고 학습 목표지향성이 통제된 상태에서도 자기효능감은 개인의 혁신행동지향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고(β = .38), 집단효능감은 집단의 혁신행동지향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β = .44). 그러므로 학습 목표구조 및 변혁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지향성을 예측하는 과정에서 학습 목표지향성과 효능감이 차례로 매개역할을 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서 혁신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 가시적인 성과를 강조하기보다는 학습을 강조하는 조직문화와 변혁적 리더십을 강조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학습을 강조하는 조직에서 직원들의 혁신행동지향성이 높아진 반면, 성과를 강조하는 조직에서는 그렇지 않음을 입증하였다.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직원들에게 강조하는 것은 가시적인 성과이다. 그러나 눈앞에 보이는 성과만을 강조할 경우, 직원들은 단기간의 성과를 올릴 수 있는 과제에만 관심을 두고, 근본적인 문제해결방법인 혁신에 무관심해질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인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효능감의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이들의 부분적인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목표구조와 목표지향성 간에는 긴밀한 관계가 있었으며, 기업의 조직문화로서 학습 목표구조와 개인의 학습 목표지향성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집단효능감은 결과를 예측하는 강력한 구인임을 다시 한 번 입증하였고, 이들은 개인의 혁신행동지향성과 집단의 혁신행동지향성을 차별적으로 예측함으로써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그러므로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능력을 입증하는 것보다는 학습을 통해 능력의 향상을 추구하는 직원, 그리고 자신의 업무와 동료와의 협력에서 높은 자신감을 가지고 있는 직원일수록 기존의 업무방식을 혁신하고, 보다 새로운 결과물을 산출하려는 경향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직원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한 지표들만 분석하고, 실제 기업조직에서 시행되는 정책이나 조직구조, 실제 리더의 행동, 혁신행동의 실제 결과 등의 객관적 지표들이 주관적 지표들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후속연구에서는 주관적 지표와 객관적 지표를 함께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주관적인 인식이 실제 객관적인 지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한 번의 조사연구를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업무동기로서 직원들의 성취목표지향성, 효능감, 그리고 혁신행동지향성이 실제 성과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분석하지 못하였다. 성과는 직원들의 성취목표지향성, 효능감, 그리고 혁신행동지향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표적인 요인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여러 번에 걸친 종단연구를 통해 직원들의 업무동기로서 성취목표지향성과 효능감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성과를 강조하는 수행 목표구조와 거래적 리더십 간의 관계를 규명하지 못하였다. 이는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이론적으로 명확히 구별되는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현장에서는 이 두 가지 리더십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둘 간의 관계에 대해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쑤리야 나마스까라 수행 방법론 연구

        이화숙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쑤리야 나마스까라는 하타요가 경전에서 직접 언급되지 않지만 수세기 동안 신체적 훈련으로 사용된 일련의 자세들이다. 마하라쉬뜨라(Mahārāṣṭra)의 성자였던 람다스(Rāmdās)는 이 자세들을 부활하고 보급하는데 노력하였다. 17세기에 행해졌던 태양경배 자세들은 ‘쑤리야 나마스까라 야갸’(Sūrya Namaskāra Yajña) 혹은 ‘쑤리야 나마스까라 마라토스’(Sūrya Namaskāra Marathos)로 불렸다. 쑤리야 나마스까라의 기원은 이 태양경배자세들이 경연대회를 통해 발전되었다는 것과 19세기에 이르러 요가의 스승들이 이 자세들을 요가에 편입시키게 된 것으로 알려진다. 이러한 쑤리야 나마스까라 동작들은 현대에 이르러 요가수련의 필수적인 기법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각 전통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수련 방법으로 전수되고 있다. SN 수행 원리에서는 하타요가의 여러 단계를 포함한다. 자세들의 형태는 반복적인 리듬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반복적인 리듬은 미세한 에너지가 몸과 마음의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데 기여한다. 일반적으로 행하는 육체적 운동과 달리 SN 수련에서는 몸과 마음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도움이 된다. 특히 마음의 미세한 에너지에 대한 이해가 우선적이다. 이것은 SN에서 행하는 동작의 흐름에 집중함으로써 내분비계와 신경계의 이완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에너지의 통로들이 정화 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SN 수련을 통하여 수련자는 안정된 마음을 얻을 수 있으며 보다 높은 단계의 요가 수련을 준비할 수 있다. SN은 몸으로 행하는 예배 의식으로서 철학적 의미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SN를 수련할 때 집중의 대상이 되는 태양과 관련하여『리그베다』와『마하바라타』에 나타난 태양의 상징성을 다루었다. 또한 쑤리야 나마스까라의 체계적인 흐름과 SN의 기원 그리고 SN의 수련 방법에서는 각 전통에 따라 독립된 자세들의 변형이 나타난다. SN는 최상의 집중과 요가의 목적을 위한 끄리야 요가의 따빠스가 필요하다. SN의 따빠스는 자신의 몸을 신의 예배를 위한 용기로 만들기 위해 정화하는 과정으로 나타난다. 각 전통에서 행하는 SN 수련 방법들은 유사하거나 특징적인 구성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히말라야 연구소에서 행하는 SN, 아쉬땅가 SN, 그호쉬(Ghosh) 대학에서 가르친 챌린저 요가(Challenger yoga) 그리고 비하르(Bihar) 요가의 쑤리야 나마스까라를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쑤리야 나마스까라의 수행 방법에서는 12동작 순서에 따라 마음속으로 암송하는 태양 만뜨라가 있다. 이는 단순한 태양의 이름들이 아니라 각각의 음절들 그 자체가 태양 에너지의 매개체로 상징화된 것이다. 다른 수련 방식으로는 6개의 만뜨라와 함께 하는 SN 수련이 있다. 요가 생리학의 관점에서 SN수행과 짜끄라의 영향력에 대한 부분은 이와같은 수련을 통해서 내분비계의 균형과 쁘라나가 활성화된다는 것으로 설명된다. 요가 생리학에서 설명하는 나디의 영향 또한 호흡과 만뜨라 그리고 전통에 따른 해석이 나타난다. 이러한 해석은 SN 동작의 실질적인 수련을 통해 검증될 것이다. SN의 12동작과 관련된 해부학적 관점에서는 움직임과 연관성이 많은 근육과 척추에 한정하여 정리함으로써 동작에 대한 집중을 높이고자 하였다. 쑤리야 나마스까라의 수련 방법들은 전통에 따라 분류하여 그림으로 정리하였다. Sūrya Namaskāra(SN) is not mentioned directly in hathayoga scriptures but it has been used for physical exercise through many centuries. Rāmdās who was a sage of Mahārāṣṭra strove to resurrect and propagate these poses. Sun salutation which had done in the 17th century was called ‘Sūrya Namaskāra Yajña’ or ‘Sūrya Namaskāra Marathos’. The origin of Sūrya Namaskāra has been known to develop through the contest and the masters of yoga incorporated these poses into yoga. These kinds of movement in SN are applied widely and passed down diverse forms of practical methods according to each tradition. In the principle of SN practise includes various stages. The forms of pose consist of repetitive rhythm. It contribute subtle energy to balancing and harmonizing of mind and body. Unlike physical exercise in general, it is helpful that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mind and body in SN practice. Specially we have to take priority over understanding of subtle energy in the mind. It can induce the relaxation of the endocrine system and nerve system with concentrating on the flow of movements which are doing in SN. Through the practice of SN, we can get relaxed mind and prepare higher levels of yoga practice. SN has a philosophical meaning as worshipful ritual in doing with body. This thesis dealt with the symbolic of the sun mentioned in Ṛgveda and Mahābhārata reference to the sun that is the object of concentration when we are practicing. It dealt with the systematic flow of SN and the origin of SN and examined the transformation of individual poses in SN appeared each tradition. SN needs the highest concentration and the tapas in kriyayoga for purpose of yoga. The tapas in SN is shown the process purified one’s own body to make it the vessel for worship God. The techniques of the SN practice done in each tradition show similar or characteristic formations. This thesis organized in comparison with SN done in Himalayan Institute, Ashtanga, Challenger yoga taught by the Ghosh university and Bihar. In the techniques of SN practice, there are sun mantras recited in mind according to the twelve poses in the sequence. They are not simply the names of the sun but each syllable itself have become symbolized the medium of the solar energy. In another technique, there is SN practice with six mantras. In the viewpoint of yoga physiology, the parts of the SN practice and influence of cakras are explained that we could balance our endocrine system and invigorate the prāṇa through the these practices. The influence of nāḍi explained in Yoga physiology also is given the interpretation according to breathe, mantra and traditions. These interpretation will be proved through the real practices of movement in SN. In the anatomic viewpoint related with the twelve poses in SN, this thesis organized muscles and spines correlating with movement for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in the postures. The methods of the SN practise organized with pictures by dividing into each tradition.

      • 청소년들의 자기존중감 향상에 대한 심성계발 프로그램의 효과

        이화숙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I, 연구의 필요성 청소년기는 흔히 '심리적 격동기', '질풍노도의 시기'로 표현되고 있다. 이 시기는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내적 갈등이 많은 시기로 신체적, 심리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큰 변화가 동시에 일어난다. 따라서 청소년기는 정서적 불안정등 적응의 문제가 나타날 가능성이 많은 시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학업성취에 대한 부담과 과도한 경쟁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큰 요인이 되고 있다. 전국의 중고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연구원(1991)이 고민거리를 조사한결과 학교 공부나 성적에 대한 고민이 중·고교생 남녀 모두에게(36.8%)가장 컸다 그 다음이 진학·진로문제(25.7%), 성격에 대한 고민 (6,4%)의순서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진로고민을, 여자는 성적 고민을더 많이 하고, 중학생은 성적 고민을, 고교생은 진로고민을 더 많이 한다고 나타났다. 오늘날 이러한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인 자세가 요구된다. 정신건강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자기 존중에 대한 깊은 인식을 심어주고, 급변하는 현사회에 대해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자기자신을 현실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하며 나아가 있는 그대로 자기를 개방하여 건전한 성격을 지닌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자기존중감을 갖게 하는 일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자기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스스로가 가치 있는 존재임을 느끼고, 자기가 원하는 것을 주장하며, 자신의 노력으로 얻은 결과를 즐길 수 있는 권리가 있다는 자신에 대한 믿음과 자기에게 어떤 어려움이 부딪혔을때 상황을 이해하고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확신을 갖는다. 그러나 자기존중감이 낮은 사람은 불안감이 높고 소심하며, 자신의 판단과 능력에 대해 회의 적이다. 또 자신의 존재의미를 부정하거나 자기자신을 과소 평가하여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한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긍정적 자기존중감을 갖도록 집중적인 훈련을 정서적으로잘 적응하고 자신의 행동결과에 대하여 스스로 책임질 줄 알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지금까지 자기존중감 향상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집단상담을 통해자신을 이해하고 수용 개방하는데 강조점을 두고 있다(Price,1980: Erney,1980: 김순원,1983: 홍경자·노안녕,198준 김진규,1988: 문성주,1991: 김신옥,1993). 그러나 심성계발이라는 경험학습을 통해 자기의 장·단점을 발견하고, 다른 사람과의 대화나 사고 및 행동을 통하여 다른 사람의 가치관을 이해함으로써, 사람마다 생각과 가치관이 다른 것을 알며 남을 이해·수용하여 자기의 가치관을 건전하게 확립할 수 있는 연구들은 미흡하다(주남희,1994). 심성계발 프로그램은 자기 자신과 현실에 대하여 정확히 이해하고 수용하며, 자신을 소중하게 생각하고,감정으로만 행동하기보다는 충동과 본능을 통제·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한다. 나·너 그리고 나와 너에 대한 감수성과 이해력을 개발함으로써 타인과의 인간관계를 협동적으로 발전시키는 특수한 소집단 체험학습이라고 하는 심성계발 프로그램과 청소년들의 자기존중감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심성계발 프로그램이 자기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모색하는데 본 연구의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자기존중감 향상에 심성계발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청소년들의 정서적 안정과 문제의 예방에 도움을 주고, 자신의 가치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길러줌으써 급변하는 현사회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