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혜원 졸업공연 “MUSIC JOURNEY” 

        이혜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석사학위공연 ‘MUSIC JOURNEY’의 곡들을 화성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학부 및 석사과정에서 학습한 즉흥기법, 편곡법, 음악이론을 바탕으로 음악의 수직 및 수평적 구조를 심층 분석하여 음악적 특징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석사학위공연 ‘MUSIC JOURNEY’에서 연주한 6곡은 자작곡 3곡, 편곡 3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작곡은 작곡가의 삶의 순간순간과 직결되어 있다. 당시 느꼈던 감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표현했으며 학부 및 석사과정에서 습득한 재즈장르를 기반으로 하여 편곡했다. 본 논문을 통하여 공연의 부족한 점과 개선해야 할 부분을 분석하고 보완하여 훌륭한 연주자로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미취학 아동 부모의 설문을 통한 단편영화 제작과정 연구 : 단편영화 <어린이집 가는 날>을 중심으로

        이혜원 청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예술치료의 한 분야인 영화가 시각적인 표현 도구로서 효율적인 상담역할을 할 수 있을지 살펴보고자 한다. 미취학 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을 하고 설문의 내용을 토대로 미취학 아동 부모에 대한 심리를 영화에 직접 투영하여 시나리오를 완성하고 영화를 제작한다. 완성된 영화는 연구 참여자인 미취학 아동 부모에게 상영한다. 완성된 영화 <어린이집 가는 날>을 감상한 미취학 아동 부모에게 영화에 느낌과 심리적 변화에 대한 설문을 한다. 그 결과를 토대로 영화 <어린이집 가는 날>을 통해 미취학 아동 부모의 심리적인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한 결과를 도출한다.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예술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영화제작이 심리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를 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if a movie which is a part of art therapy can play aefficient counsel role as a visual expressing tool. After carring out a survey targeting parents whose kids are kindergarteners and reflecting their mind to the scenario, on the basis of the survey this movie is made. The completed movie is played to the parents who were surveyed. After appreciating the completed movie " the day to go to kindergarten" , the parents answer another survey of their feeling and psychological change. And we draw a conclusion that shows the psychological change of the parents. On the basis of the conclusion the directionality to study of possibility that the efficient movie production for art therapy makes emotional change is presented.

      • 기성시가지 자연발생적인 용도복합 지역의 도시계획적 과제 연구 : 서울시 강남구 대치4동을 중심으로

        이혜원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기성시가지의 소형 필지로 이뤄진 블록은 인접한 곳에 위치한 대규모 시설들과 주변 환경, 사람들의 요구로 인해 발생된 자생적인 변화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축적되면서 그 지역의 이미지와 활동, 성격을 결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때로는 도시공간환경을 열악하게 만드는 문제를 유발시키기도 한다. 물론 대표적인 가로들은 가로환경정비사업이나 지구단위계획 등을 통해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 이외의 가로들은 용도지역제 등에 의해서만 규제될 뿐 실제 도시경험차원의 미시적 측면에서의 관리할 수 있는 장치가 없는 실정이다. 특히 현재 진행 중인 사업 차원의 제도들은 대부분 법적으로 열악한 도심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토지구획정리사업 등을 통해 계획된 곳으로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는 강남의 경우 해당사항이 없다. 하지만 이러한 곳의 경우, 주거중심의 계획 초기 개념과 달라진 현재의 상황으로 실제 도시경험차원에서는 열악한 환경에 놓여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재생 및 정비, 관리로의 도시계획 패러다임의 변화에 발맞춰, 그리고 국내외 제도들의 비교를 통해 살펴본 결과 주변과 연계된 다양한 차원의 미시적 관점에서 조사‧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기성시가지의 관리에 있어 도시경험차원에서 보다 더 상세한 계획을 하여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 그곳을 이용하는 사람들, 그곳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질 높은 도시공간환경을 경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기 위해 강남구 대치4동을 하나의 예로 현 제도에서 다룰 수 없는 도시경험차원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현상을 기존의 제도를 바탕으로 구축된 데이터 및 현장조사를 통해 도시공간환경을 시각적‧공간적, 양적‧질적으로 조사‧분석하고, 총체적으로 접근하여 구체적인 현상을 유형화하였다. 유형화의 기준으로 설정된 것은 실제활용용도 분포비율 및 용도들 간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끼치는 도로위계, 자생적인 변화에 영향을 끼치는 인접한 대규모 시설의 유무, 간선도로 및 대중교통으로의 접근성, 초기개념이었던 주거의 비율로 설정한 결과, 대상지 내부 36가지의 가로들은 총 5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각 유형별 그 특성을 드러내고 미흡한 부분과 필요한 부분에 있어 도출된 계획요소를 바탕으로 제도적 대응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형Ⅰ(집산도로, 인접한 대규모 시설, 접근성 양호, 주거비율 70% 이하)] 집산도로로써 인접한 곳에 대규모 시설이 있고 접근성이 좋아 직장인 및 외부인이 이용하는 다양한 용도들이 전 층에서 복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차량통행 및 보행량이 다른 유형에 비해 높은 편이나 보도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폭이 좁고, 가로에 면해 위치한 공원 및 학교와의 연계성이 떨어져 보행환경이 열악하고 안전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충분하다. 따라서 도로다이어트를 통한 보도 조성, 야간조명 증대, 전선 지중화, 스쿨파크, 아파트 담장 허물기와 같은 계획이 필요하다. 그리고 블록 내부로 갈수록 주거시설의 비율이 높아지므로 차량통행 방식의 조정 및 버퍼존을 조성하여 블록 내부에 위치한 주거환경을 보호해야 한다. 또한 국지적으로 영향력 있는 곳인 만큼 지역 활성화를 위한 지역홍보가 필요하다. 노후비율은 다른 유형에 비해 낮아 환경적 측면에서의 개별 건축물은 양호한 편이라 할 수 있다. [유형Ⅱ(국지도로, 인접한 대규모 시설, 접근성 양호, 주거비율 70% 이하)] 도로위계는 낮지만 인접한 곳에 대규모 시설이 있고 접근성이 좋아 보조간선도로에 면한 곳의 경우 사무실 및 음식점의 비율이 높다. 따라서 외부인 및 직장인, 인근거주주민들의 이용이 많아 차량통행 등으로 인해 혼잡하며, 건물의 규모에 비해 좁은 도로폭 등 기반시설이 열악하기 때문에 도로의 확장 및 도로다이어트를 통한 보도 조성, 전선의 지중화 등의 계획과 방범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그리고 블록 내부로 갈수록 주거시설의 비율이 높아지므로 차량통행 방식의 조정 및 버퍼존을 조성하여 블록 내부에 위치한 주거환경을 보호해야 한다. 노후비율은 다른 유형에 비해 낮아 환경적 측면에서의 개별 건축물은 양호한 편이라 할 수 있다. [유형Ⅲ(국지도로, 인접한 대규모 시설, 접근성 불량, 주거비율 70% 이하)] 인접한 곳에 대규모 시설이 위치하고 있지만 접근성이 떨어져 외부인보다는 이곳에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 및 인근에 거주하는 학생들의 이용이 많다. 따라서 이들의 편의를 위해 도로의 확장 및 도로다이어트를 통한 보도 조성을 통해 보행안전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낮은 것에 비해 주거비율은 높지 않아 존재하고 있는 주거시설들의 환경적 질적 향상을 위한 계획이 필요하다. [유형Ⅳ(국지도로, 인접하지 않은 대규모 시설, 접근성 불량, 주거비율 70% 이하)] 인접한 곳에 대규모 시설 및 교통시설이 위치하고 있지 않아 접근성이 떨어지지만, 주거시설 및 다양한 용도들이 전 층에서 복합되어 있다. 따라서 직장인 및 거주자 중심의 공간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편의를 위한 계획이 필요하다. 특히 직장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음식점 용도와 인접한 주거시설의 경우 쾌적한 주거환경을 위해 환경적 관리가 필요하다. 노후비율은 다른 유형에 비해 낮아 환경적 측면에서의 개별 건축물들은 양호한 편이라 할 수 있다. [유형Ⅴ(국지도로, 인접하지 않은 대규모 시설, 접근성 불량, 주거비율 70% 이상)] 인접한 곳에 대규모 시설 및 교통시설이 위치하고 있지 않아 접근성이 떨어지고, 주거비율이 70%이상인 주거중심의 공간이다. 다른 곳에 비해 노후비율이 매우 높아 오래된 건물로 인해 발생되는 주차문제 등 주거환경이 매우 열악한 상황이기 때문에 주차공간 확보 및 녹화공간 조성을 통해 노후비율이 높은 주거시설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편의를 증대해야 한다. 따라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과 거주민들의 편의를 위한 계획이 필요하다. 또한 향후 개발의 여지가 충분하여 이를 고려한 계획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소들을 강남구 대치4동과 같이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지만 초기의 계획과 달라진 상황으로 열악한 환경에 놓여있는 곳에서 다룰 수 있는 제도는 없는 상황이다. 또한, 다룰 수 있는 곳에 적용되는 제도라 할지라도 지속적인 변화양상에 대한 조사가 부족하며, 주변지역과 연계된 분석이 부족하다. 그리고 보존보다는 개발의 측면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개선을 하려고 하는 성격이 강하고, 다양한 차원의 조사‧분석 및 사람 중심의 분석이 부족하다. 따라서 주변과 연계된 분석을 해야 하며,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분석 장치를 마련하여 그 변화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하고, 지역적 특성을 담은 계획요소가 되기 위해서는 거시적 분석 및 미시적 분석을 통해 알아낸 결과의 총체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법이야 말로 해당 기성시가지의 특성을 반영하고 지속적으로 도시공간환경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관리의 측면에서 초기의 계획과 달리 자연발생적으로 용도복합이 이루어지고 있는 기성시가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이러한 곳을 관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한 상황에서 하나의 방법론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 block that consists of small lots of the existing urban fabric starts Natural Changes due to large facilitie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positioned in the adjacent place and demands of people. Natural Changes that are stack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 define images, activities and characters of region. However, this phenomenon induces the problem of making the poor urban space sometimes. Definitely, representative streets are managed by the Street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the District Unit Planning and so on, but other streets are regulated by Zoning, and do not have guidelines for managing at the microscopic aspect of the real experience dimension. In addition, systems of the present project mostly are made in the poor urban heart aspect of the legal, and the place like Gangnam that was planned by Land Readjustment Project and legally has no problem is not object. But, in the case of this place, it is actually the actual condition placed on the poor environment aspect of the real experience dimension with the current situation where it is different with the beginning of planning concept mainly with residence. Therefore this study is to be planned the method that the lived people, people using that place and people visiting that place can experience the high quality of urban space in step with changes of Urban Design & Planning Paradigm that are urban regeneration, improvement and management and based on the necessity of the investigation in the microscopic point of view of the various dimension which is connected with surrounding area to the comparison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management mechanism. To do that, the concrete phenomenon focused on Daechi4-dong Gangnam-gu, Seoul was categorized by overall analysis on visual and spatial,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urban space through field studies and data which is built on existing systems. The standard of types is the residence ratio which is the spread ratio of practical uses, the road grade of rank which has an effect on correlation of practical uses and existence of large facilities in the adjacent place which affects on the Natural Changes, accessibility to the main road and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beginning of planning concept. Consequently the street of 36 kinds in this place were classified as the total 5 types. Then this study drew a conclusion from the comparison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management mechanism that was based on the planning factors drawn from each characteristic for each type and the insufficient and necessary par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ype1 (distribution road, existent of large facilities in the adjacent place, accessibility, residence ratio under 70%)] Due to existent of large facilities in the adjacent place and high accessibility, various practical uses for workers and strangers are mixed all over the floors. Then amount of vehicles and pedestrian traffic are higher than other types, but this type has occurrence possibility of the pedestrian safety problem since a sidewalk is not installed or is narrow, and has little connectivity nevertheless there are a school and pocket parks. And making sidewalks through the road diet, increasing lighting at night and burying of electric wires are needed. Because of high residence ratio as it goes to the block inside, it is needed that the prote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ositioned in the block inside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transit of vehicles method and making buffer zones. The region publicizing for the local vitalizations is need since there is an influence regionally. Each buildings are in good condition aspect of environment because those deterioration are low. [Type2 (locality road, existent of large facilities in the adjacent place, accessibility, residence ratio under 70%)] Although the road grade of rank is low, the rate of offices and restaurants is high in the place along the main road because of existent of big facilities in the adjacent place and high accessibility. Then it is congested due to the transit of vehicles and so on. It is needed that the plan about the extension of the road, making sidewalks through the road diet, burying of electric wire and the resolution of crime problem. Because of high residence ratio as it goes to the block inside, it is needed that the prote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ositioned in the block inside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transit of vehicles method and making buffer zones. Each buildings are in good condition aspect of environment because those deterioration are low. [Type3 (locality road, existent of large facilities in the adjacent place, non-accessibility, residence ratio under 70%)] The use of workers worked in this place and students living in a nearby is more than strangers because of low accessibility. Therefore the protection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by the extension of the road and making sidewalks through the road diet is needed for increasing convenience of users. Because the residence ratio is not high whereas an accessability is low, the plan for the improvement in quality of the residential area. [Type4 (locality road, non-existent of large facilities in the adjacent place, non-accessibility, residence ratio under 70%)] This type has low accessibility since there is no large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in the adjacent place, but various practical uses are mixed all over the floors. And the plan for increasing convenience of workers and residents is needed. Specially, the residential area near by restaurants for workers needs environmental management for promotion a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But each buildings are in good condition aspect of environment because those deterioration are low. [Type5 (locality road, non-existent of large facilities in the adjacent place, non-accessibility, residence ratio above 70%)] This type has low accessibility since there is no large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in the adjacent place and is mainly with residence since residence ratio is above 70%. Because parking problems occur by reason of high deterioration ratio of buildings, the plan for increasing convenience of residents by securing parking lots and making green space is needed. And we must manage considering the facts that possibility of development is very high. It is not at a domestic that the system including this factors in the place where is no problem legally but is actually the actual condition placed on the poor environment aspect of the real experience dimension with the current situation where it is different with the beginning of planning concept mainly with residence. And even if the system is applicable to other places, the search for continuous changes and connection with surrounding area is insufficient. Then the character for doing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side of the development is stronger than the conservation. Therefore it is needed that analysis of being connected with surrounding area, system for the continued investigation and analysis about changes. And, in order to become the planning factors drawn from local characteristic, the management mechanism is needed that is surely picking out the necessary planning factors through the overall analysis about the results of finding out through the microscopic and macroscopic analysis. This will become the method that can reflect the characteristic of the existing urban fabric and improve the quality level of the urban space aspect of environment consistently.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proposes one methodology because research about the existing urban fabric which occurs the natural mixed-use phenomenon unlike the beginning of planning concept is insufficient and it is the situation that the system managing this place is needed.

      • 단편영화 <정희> 제작을 통한 영화 스토리보드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이혜원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스토리보드(Storyboard)는 그림을 순차적으로 그려서 영화에 나오는 쇼트의 흐름 혹은 연속성(Continuity)을 묘사하고 계획하는 수단이다. 스토리보드는 영상으로 제작되는 다양한 매체에서 여러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영화 스토리보드는 감독이 시나리오를 소리와 함께 시각화를 할 때 하는 일 중 하나는 영화 속 인물이 말을 하지 않을 때 하는 행동을 생각하여 감정의 충돌이 없이 관객에게 소리와 그림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영화작업에서 대사가 많아 보일 수 있지만 스크린에서는 행동이 대사 없이도 이야기를 훨씬 더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영화가 가진 이미지의 연속성을 통한 이야기전달의 독특함 때문이다. 시나리오는 일련의 이미지 움직임을 하나의 이야기로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미지 움직임을 시각화하기 위해서는 영화예술이 가지고 있는 형식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시나리오와 스토리보드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스토리보드는 감독이 가지고 있는 생각과 다양한 의견과 시간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영화의 시각, 미학적 언어이다. 스토리보드는 시나리오의 내용을 해석하여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 아니라 감독의 시각적 어적 언어를 작품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봐야한다. 완벽한 시나리오라 할지라도 영상화를 위해 스토리보드가 뒷받침이 되지 않는다면 시각화를 하는 것이 명확해지지 않는다. 스토리보드는 시나리오의 텍스트의 이미지화를 위해 카메라의 앵글(Angle)과 쇼트(Shot)를 설정하고 프레임 안의 미장센에 대한 총체적인 지침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어야한다. 본 연구는 영화 <정희>의 스토리보드 작업화를 통해 영화의 내러티브가 장면의 연속성으로 구성하는데 있어 콘티뉴이티의 중요성에 대해 논한다. 스토리보드의 세밀한 구성은 감독의 생각과 시나리오의 기능을 정확히 알 수 있으며 프로덕션(Production)에서의 즉흥적인 충돌을 막아 포스트프로덕션(Post-production)의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 스토리보드는 시나리오의 텍스트를 이미지화 하는 첫 번째 단계로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이미지들이 재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분석을 통해 해석되어진 영화의 다양한 의미를 쇼트의 나열을 통해 이야기를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영화 <정희>의 제작 과정을 통해 프리프로덕션(Pre-production)에서 이루어지는 스토리보드 작업(사전 시각화)이 프로덕션에서 영화의 콘티뉴이티에 미치는 영향력의 중요성에 대해 심도 있게 연구하고자 한다. Storyboard is a means to describing and planning the flow or continuity of shots in a film by depicting images in consecutive order. Storyboard is used in several forms by various media that are produced as visual media. Film storyboard is one of the activities that a director performs when visualizing a screenplay with sounds to imagine how the characters in a film would act when they are not speaking and to convey such to the audience with sounds and images without an emotional clash. It may appear that there are a lot of lines in film work, but on a screen, an action without any lines can convey the story much more clearly. This is thanks to the film’s distinct storytelling through continuity of images. A screenplay must be able to tell a series of image movements as a single story. To visualize image movements, a screenplay and storyboard that can interpret them in a cinematic form are absolutely necessary. A storyboard is a film’s visual, aesthetic language that visually expresses a director’s thoughts, various views, and times. A storyboard should be viewed as a work of art that expresses a director’s visual, linguistic language, and not as something that interprets the contents of a screenplay and expresses them in images. Even a perfect screenplay cannot have a clear path to visualization if not backed up by a storyboard for cinematic adaption. A storyboard must be able to set the camera’s angle and shot and play the role as a general guide to mise-en-scène in frames for the visualization of the text in a screenplay. This study discusses the importance of continuity in forming the film’s narrative into continuity of scenes through the work of the film’s storyboard. A detailed construction of a storyboard can accurately convey the director’s thoughts and the function of a screenplay and can show that it is possible to predict post-production by preventing impulsive clashes in production. Storyboard is the first stage of visualization for the screenplay’s text and must reenact images through analysis. In other words, a screenplay creates a story from the various meanings of the film that have been interpreted through analysis by arranging them into shots. This paper aims to study in depth the importance of the influence that the storyboard work (previsualization) performed in pre-production has on the film’s continuity in production through the filmmaking process.

      • 장애아동을 둔 부모의 사회적 차별 경험이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혜원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Effect of Social Discrimination Experienc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Parents’ Life Satisfaction Lee, Hye W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parents' social relationship has a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social relationship of parents serves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impact of social discrimination experience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parents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dditionally, it seeks to determine whether these relationships differ between mothers and fathers. To achieve this,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2020 Disability Life Panel Survey from the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The study focused on parents who responded to the "household" questionnaire in the 2020 Disability Life Panel Survey and had children aged 0-18 with disabilities. The study included 347 fathers and 669 mothers, totaling 1,016 participants. IBM SPSS Statistics 27 and PROCESS macro 4.2 were employed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 methodology is outlined as follows: first,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social discrimination experiences, soci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levels based on the role of parents. Correlation analysis was then performed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Subsequently, Baron & Kenny's (1986) three-step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bootstrap confidence interval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life satisfaction score for parents was 6.29, indicating a level higher than average.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discrimination experiences were observed based on the rol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relationships and the degree of social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Social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parents negatively impacted both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affecting fathers and mothers equally. Medi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both fathers and mother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Additionally,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arents' life satisfaction. Implications from the research results include: Recognizing varying degrees of social discrimination experiences among mothers and fa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specific efforts to address these differences and find solutions are necessary. More systematic and detailed needs assessments and service provisions should be implemented to address the perceived 'income'-related need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ctivating self-help meeting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enhance parents' health status. These meetings should encourage social interactions among members, fostering positive changes for both parents and the entire family. Services for guardian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hould not be biased solely towards mothers; initiatives should be developed to facilitate easy access to 'parent serv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fathers. 장애아동을 둔 부모의 사회적 차별 경험이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혜원 사회복지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장애아동 부모의 사회적 차별 경험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후, 두 요인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사회적 관계가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한다. 또한, 연구 결과에 있어 어머니와 아버지에 따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 개발원의 <2020 장애인삶 패널조사>의 데이터를 활 용하여 2차 자료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2020 장애인삶 패 널조사>의 ‘가구원용’ 질문지에 응답한 사람 중 “0~18세 장애아동을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장애아동 아버지 347명, 어머니 669명으로 총 1,016명으로 집계되었으며, 분석을 위해 IBM SPSS Statistic 27과 PROCESS macro 4.2를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각 부모의 역할별로 사회적 차별 경 험, 사회적 관계, 삶의 만족도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독립 표본 t 검정과 일원 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모형 검증을 위 해 상관관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후,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에 따라 매개 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 신뢰구간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 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부모의 삶의 만족도 점수는 6.29점으로 절반보다 높은 수치의 점수가 나왔다. 두 번째, 장애아동 부모의 역할별로 주요 변수들에 차이 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차별 경험에는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장애아동 부모의 사회적 관계, 사회적 차 별 정도, 삶의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관계와 사회 적 차별 경험 정도 간의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사회적 관계와 삶의 만족도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네 번째, 장애아동 부모의 사회적 차별 경험이 삶의 만족도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에게 똑같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요 변수들 간 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모 전체뿐만 아니라 아버지, 어머니 모두 사회적 관계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자녀의 인 구사회학적 특성은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에서 비롯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현재 우리나라는 장애아동의 어머니와 아버지별로 사회적 차별 경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으로 차별 경험의 차이를 찾아내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두 번째, 현재 장애아동 부모가 미흡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수입’과 관련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지금보다 더 체계적이고 세밀한 욕구 조사 및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세 번째, 장애아동 부모의 건강 상태가 증진될 수 있는 자조 모임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장 애인 자녀를 둔 부모들을 대상으로 하는 자조 모임을 활성화하여 구성원 들과의 사회활동을 도모할 수 있게 해야 하며 이를 통해 형성된 사회적 관계를 통해 장애아동 부모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 전체에 긍정적인 변화 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장애인 보호자 서비스 대상 이 ‘어머니’로만 치우치지 않도록 하고, ‘장애아동 아버지’를 위한 서비스 를 구축하여 아버지들이 ‘장애아동 부모 서비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 록 하여야 한다.

      • 항공사 객실승무원 취업준비생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혜원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객실승무원을 준비하는 준비생들은 치열한 경쟁과 항공사에서 요구하는 자격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면서 취업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예비승무원들의 취업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육기관에서의 지도 방향과 진로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외모 만족도, 취업준비행동,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경제적 어려움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자기기입실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위 요인들을 교육 횟수, 실패경험 횟수, 목표 항공사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객실승무원 취업준비생의 성별의 경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의 경우 20-25세가 과반수 이상 이었으며, 30대 이상은 약 9%로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분포를 나타냈다. 전공은 인문과 어문 계열이 과반수 가까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의 분석결과는 대부분 국내외 항공사 및 항공관련 학과에서는 여성을 뽑는 비율이 현저히 높고, 외국인 승객 응대를 위한 제2외국어로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을 중요한 자격요건을 갖춘 지원자를 우대 채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외모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높아지면 취업스트레스가 낮아진다고 예측할 수 있다. 항공사 채용 면접에서 면접관들은 지원자의 첫인상, 언어표현력, 인성 및 성격 등을 면접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으며, 항공분야의 업무에 필요한 전문지식은 채용 후 충분히 개발 시킬 수 있다고 판단하고 면접 시 가장 중요도가 낮은 부분이라 밝히고 있다. 따라서, 자아존중감, 외모만족도, 취업지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채용가능성이 높아지며 취업스트레스를 상대적으로 적게 경험한다. 셋째, 경제적 어려움이 높아지면 취업스트레스가 높아질 것이라는 결과가 도출 되었다. 취업 준비생들은 자신의 취업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학점관리, 어학연수, 자격증 취득을 위해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있으며 특히 객실 승무원 취업준비생의 경우 면접을 위한 학원 수강을 비롯하여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외국어 자격시험 준비뿐만 아니라 면접을 위한 헤어, 메이크업에 많은 비용을 지출해야 하기 떄문에 경제적, 정신적 스트레스가 가중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넷째, 취업실패횟수가 증가할수록 스트레스가 높아진다. 취업 실패는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채용까지의 금전적, 시간적, 경제적 비용도 취업준비생에게 스트레스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객실승무원 분야의 취업을 원하는 취업 준비생의 경우 채용시험 응모의 기회가 한정적이고 경쟁률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채용시험에 응모하는 과정에서 많은 불안과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과도한 취업 준비는 개인과 사회적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객실 승무원 취업준비생들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교육이나 지원프로그램을 모색하며, 준비과정 및 취업 실패에서의 어려움과 극복 방안에 관한 연구가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 대부분은 주로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에 주목하여 연구가 이루어져 있으며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준비하는 취업준비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하다. 또한 많은 선행 연구가 현직에 있는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취업준비생 대상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 객실 승무원 취업준비생에 특화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표본 대상에서 남성의 수가 여성의 수보다 현저하게 적었으며 그로인한 성별 직업가치나 직업이미지의 차이점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했고, 취업준비생의 관련전공 및 타 전공별 차이에 따른 변수별 특이성이 반영되지 못했다. 따라서 새로운 연구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도록 표본 선정에 주의를 기울여 항공학과 객실승무원 관련 전공 대학생과 타 전공 대학생의 차이를 구체화, 심층화시켜서 결과의 일반화를 극복한다면 좀 더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외모 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 만족도, 경제적 여건이 취업준비생의 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관련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하다. 객실 승무원의 외형적, 기능적 이미지는 항공사 이미지와 관련이 깊고, 취업준비생의 취업결정에 영향을 주지만, 외모와 사교육이 면접에 필수 조건은 아니다. 교육기관에서는 취업준비생에게 올바른 정보와 상담프로그램 및 교육을 제공하여야 하고, 기업 측면에서는 바람직한 채용 방식 및 제도 개선을 모색하여야 한다. 또한, 객실승무원 준비생의 경우 87.9%가 사교육을 받고 있다. 따라서, 경제력의 차이에 따라 사교육 차이가 발생하며 취업스트레스의 원인이 된다. 승무원 취업준비생의 사교육 의존도가 매우 높아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바 이에 관한 원인 및 사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취업을 위한 준비과정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비용 지출로 인한 경제적 스트레스는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로 다루어져야 한다. 향후 취업만을 위한 목표보다 자기효능감, 능력 개발, 자기 성장의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진로 교육, 사회적 교육 방안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Preparations for cabin crew will experience job stress. The aim of this study is looking at the effects of the employment stress of prospective cabin crews and to help establish direction and career strategie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Reviewing related research, the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stress were derived from appearance satisfaction, job preparation behavior, self-efficiency, major satisfaction, and economic difficultie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bove factors by analyzing the number of private education, number of failures, and correlation with the target airlin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the number of prospective cabin crew, women were higher than men and people aged 20 to 25 were the most. Cabin crew often meet international people on the airplane, employer prefer who are fluent at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Second,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self-efficiency, and major studies will lower the employment stress. In the job interview, interviewers consider applicants' first impressions, language skills, personality and personality as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the interview. Therefore, the higher self-respect,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job guidance, the more likely they are to be hired, and the less likely they experience job stress. Third, Prospective cabin crews are reported to be under increasing economic and mental stress as they spend a lot of money on academic management, language training, and certificates to improve their chances of finding a job. Cabin crews tend to spend a lot on hair and makeup for interviews as well as preparing for academy courses, English and Chinese language qualification tests for interviews. Fourth, as the number of job failures increases, stress increases. Job failures have a negative impact on self-esteem and the financial, time and economic costs of hiring are also a source of stress for job seekers. There are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First, most previous research is conducted on flight attendants, there is a relatively lack of research for job seekers. Therefore, future research of various variables specialized for cabin crew job seekers is needed. Second, the number of males in the sampl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fema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re focus on male job seeker for a more meaningful conclusion. Even though cabin crew believes that are appearanc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get a job, but appearance and private education are not essential requirements for interviews.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provide the right information, counseling programs and education to job seekers. Since cabin crews believed that private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become cabin crew members, it is becoming a social problem. Future Research should be undertaken to determine alternative method such as desirable career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measures, which will allow student to find the meaning of self-efficiency, ability development and self-growth.

      • 조기영어교육이 초등학생의 영어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혜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조기영어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고, 조기영어교육의 경험이 아동의 영어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3학년 미만 아동의 조기영어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조기영어교육은 아동의 영어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조기영어교육이 아동의 영어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넷째, 조기영어교육의 시작시기, 교육기간, 학습형태에 따라 아동의 영어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조기영어교육을 받는 동안 아동이 지각한 영어학습에 대한 부정적 경험은 영어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세 곳에서 현재 영어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교 3, 4, 5, 6학년생 42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조기영어교육이 아동의 영어에 대한 자기효능감, 동기, 태도, 불안, 흥미와 같은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정의적 특성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측정도구의 양호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기초문항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기 위해 사례수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조기영어 교육이 아동의 자기효능감, 동기, 태도, 불안, 흥미와 같은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평균 및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세 집단 이상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경우에는 Tukey 사후검정을 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로 진행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초등학교 3학년 미만의 아동 중 대다수인 70% 정도가 조기영어교육을 경험하고 있으며, 조기영어교육의 시작연령은 점차 낮아지고 있다. 둘째, 조기영어교육의 경험은 아동의 영어에 대한 자기효능감, 동기,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조기영어교육의 경험은 다른 정의적 특성들에 비해 아동의 영어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비교적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조기영어교육의 시작시기나 학습형태는 아동의 영어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조기영어교육을 받은 기간은 그 기간이 길수록 아동의 영어에 대한 자기효능감, 동기, 태도, 동기, 불안, 흥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조기영어교육을 받은 아동 중 과반수가 넘는 아동이 학습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학습에 대한 부정적 경험은 아동의 영어에 대한 자기효능감, 태도, 불안, 흥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조기영어교육을 하는데 있어 아동의 흥미와 학습수준에 대한 고려가 가장 우선시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grasp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English language education provided in the early childhood,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ward English language. For the purpose, I specify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at is today‘s situation of the English language education, which is provided in the early childhood? Second, what kinds of effects do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have o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ward English language? Third, do those effects differ depending on the grades of the elementary school? Fourth, do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toward English language differ depending on when English language education begins to be provided, how, and how long it has been provided? And, finally, what is the influence of children‘s negative experience from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their early childhood upon their affective characteristics toward English language? As a survey target, I single out 424 students from the third grade through the sixth grade, who are now provided with the English language education by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Kyungki-Province. And I use a questionnaire designed to examine their affective characteristics, i.e., effects of the English language education provided in the early childhood on self-efficacy, motivation, attitudes, anxiety, and interest that those children possess with regard to English language. Methodologically, SPSS is mobilized to analyze all data collected from the above questionnaire. In order to examine the worth of the questionnaire I designed, first, I implement factor analysis and compute Cronbach alpha. Then I calculate th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to analyze all answers against the basic questions. To analyze effects of the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on self-efficacy, motivation, attitudes, anxiety, and interest that those children possess with regard to English language, lastly, I carry out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modes and standard deviation, the ANOVA for checking inter-group differences. When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more than 3 groups, the Tukey post-hoc test is used. Following such procedures, my dissertation reaches several key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it is about 70 perc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the third grade through the sixth grade who are taught English language in their early childhood, and more children tend to beg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their earlier childhood. Second, experience from the early English educ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motivation, and attitudes of children toward English language. Third, positive effects of such experience on children's self-efficacy, in particular, are much more distinct in the long-term than those on other affective characteristics. Fourth, children's affective characteristics toward English language are affected neither by when English education begins to be provided nor by how it has been done. However, a longer English education in children's early childhood has more positive effects on their self-efficacy, attitudes, motivation, anxiety, and interest toward English language. And, finally, over the half of the children provided with the early English education are exposed to the stress from that education, and it has negative effects on children‘s self-efficacy, motivation, attitudes, anxiety, and interest with regard to English language. Therefore, children's interest and level toward English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given priority to.

      • 외국인 선원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국내 외국인 선원 취업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혜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외국인 선원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학습자, 고용주, 교사를 대상으로 요구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외국인 선원을 위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현재 국내에 체류 중인 외국인 근로자의 수는 150만 명에 이르고 있으나 이들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또 선행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의 업종도 제조업에 집중되어 있어 어업 같은 소수 업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업분야 관련 대상자의 요구를 분석하여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연구가 현재 시점에서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보고 교육교재를 포함한 현재의 프로그램 분석과 각 수요자별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을 수행하였다. 1장에서는 외국인 선원의 교육과정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특성을 밝히고 교육과정 및 요구분석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요구 분석의 범위를 선정하였다. 3장에서는 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에 필요한 절차와 방법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분석 절차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Richard의 요구 분석 방법 중 이용 가능한 정보 분석(Analysis of available information)을 활용하여 외국인 선원의 취업 전·후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교수-학습 상황’, ‘교수-학습 내용’,‘교수-학습 자료’, ‘교수-학습 평가’ 5가지 기준으로 재구성하여 프로그램을 분석해 보았다. 둘째, 신규·재입국 외국인 선원의 요구 사항을 설문을 통해 파악하였다. 취업 교육장에서 신규, 재입국 선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 한 후, 윈도우 통계프로그램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18.0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셋째, 현재 외국인 선원을 고용하고 있는 고용주 및 취업교육 강사를 대상으로 인터뷰와 회의를 실시해 요구 사항을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을 통해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한국어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입국 전‧후 프로그램 모두 학습의 목적 및 목표가 명시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아 이를 명확히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 특수한 수산업 현실을 반영한 참신한 한국어 프로그램의 개발하여 외국인 선원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도해야 한다. 둘째, 설문조사를 통해 신규 외국인 선원과 재입국 외국인 선원이 필요로 하는 한국어 교육과정을 분석해 본 결과 직무와 관련된 ‘어업기초기능 및 안전보건’,‘직장생활’등에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와 관련한 주제에 집중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고용주와 취업교육 강사의 요구 분석 결과, 입국 전·후 교육프로그램에서 한국어 시간을 확대하고 언어의 4가지 영역을 고루 발전시킬 수 있는 한국어 전문 교재를 제작하길 원했다. 또 추가 보수 교육을 신설하여 이들에 대한 한국어 교육을 확대 적용 하고 학습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한국어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온라인 과정을 개설하여 적극 활용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즉 지속 가능한 한국어 학습이 될 수 있도록 취업교육 외에 추가적인 학습 방법을 고안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5장에서는 본 요구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프로그램의 문제점(결핍), 학습자와 고용주들이 바라는 바(기대)를 바탕으로 ‘외국인 선원을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용 한국어 프로그램’의 개요와 과제별 학습어휘, 업무 과제를 중심으로 한 교수요목을 제시하고 온라인 학습으로 구현한 예를 제시하였다. 6장에서는 지금까지 외국인 선원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요구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외국인 선원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이‘대한민국에서 근무할 연근해 선원의 양성’에 있음을 인식하고 수업을 통해 어업에 필요한 기초 능력을 배양함과 동시에 이에 수반되는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외국인 선원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은 그 특수한 목적에 맞도록 교육 교재와 과정 설계를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명확히 제시하며 기존 한국어 학습 자료나 평가 방법을 보완해 나가야 한다. 셋째, 외국인 선원의 학습 수준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학습량과 효과적인 학습 방법을 제시하고 외국인 선원이 한국 입국 후에도 지속 가능한 한국어 학습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학습 교재와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특수 목적 언어 교육과정 개발 중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직업 목적 교육과정 중 특히 선상 조업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근무하고 있는 외국인 선원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요구 분석의 대상 범위가 한해 전체 입국자 중 소수에 불과했으며 고용주와 기타 관계자의 분석 범위도 한정적이었던 점은 한계로 남는다. 앞으로 본 연구가 대한민국에 입국하는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 바라며 150만 외국인 근로자의 국내 적응과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the learners, employers and teachers related in order to develop Korean language courses for foreign seaman and develop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for those foreign seaman based on the results. Currently, the number of foreign workers staying here amounts to 1.5 million, bu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them is assessed to be insufficient. Also, the industry of foreign workers, which is targeted at prior research, is concentrated in manufacturing, so research on workers in a small number of industries, such as fishing, is more meaningful.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needs of the subjects related to the fishery field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t present,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present program including education textbooks, The demand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each user was performed. In Chapter 1, we clarify the necessity of the programs for the foreign seaman and states the goal of the study. In Chapter 2, we study the characteristics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workers. Then, the scope of needs analysis is determin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urriculum and needs analysis. In Chapter 3, explain the procedures and methods for analyzing the needs for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foreign workers. The specific research analysis procedures and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using the analysis of available information among Richard's requirements analysis methods,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before and after employment of foreign seaman were classified into 'purpose and goal of program', 'teaching - learning situation', 'teaching -Learning contents',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 learning evaluation'. Second, we surveyed the requirements of new and re - entering foreign seaman through questionnaires. After conducting surveys on new and reentry crew members at the job training center,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Windows statistical program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18.0. Third, interviews and meetings were conducted with employers which currently employing foreign seaman and employment training instructor to identify requir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existing Korean language programs suggests that both pre- and post-departure programs do not explicitly state the purpose and objectives of the study. It also needs to develop a novel Korean language program that reflects the special realities of the fishing industry to attract foreign seaman' interest in learning Korean. Second, after analyzing the Korean curriculum required by new and re-entered foreign sailors, the survey showed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the basic functions of fishing', 'safety and health', and 'work life related to their jobs', so they should focus on these topic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eds of employers and job training instructors, they wanted to produce Korean language-specialized textbooks that would expand Korean language class and develop four areas of language before and after entering the country. He also pointed out that it is necessary to open online courses to exp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m and to take Korean classes without restriction of time and place.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to come up with additional learning methods in addition to job training in order to make learning Korean sustainab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demand analysis, Chapter 5 provided an overview of the 'Korean Language Program for Online Learning for Foreign seaman' based on the current program problems (deficient) and expectations of learners and employers, as well as teaching syllabuses focusing on tasks, and examples of online learning implementation. In Chapter 6,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ased on the needs analysis for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foreign seaman. First, it should recognize tha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foreign seaman is in the" Training of the seaman in Korea" and try to improve the basic skills required for fishing while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skills involved. Second, the Korean language courses for foreign seaman need to be designed for their specific purposes. In addition, they should clearly present the purpose and goals of the program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supplement existing Korean learning materials and evaluation methods.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per amount of learning and effective learning methods considering the level of learning by foreign seaman, and to provide learning materials and tools so that foreign sailors can learn Korean continuously even after entering Kore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targeted foreign workers during the development of language courses for special purposes, especially those working in a special environment called on-board operation. However, only a few of the total number of arrivals were subject to the required analysis, and the limited scope of analyses by employers and other stakeholders remains the limit. Hopefully, the research will be used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foreign workers entering Korea, and it will help 1.5 million foreign workers adapt and develop their Korean curriculum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