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유아의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李慧琳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유아의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유아-교사 애착안정성과 유아의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에 대한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유아의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유아-교사 애착아정성이 유아의 셀프 리더십 하위변이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유아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유아 자연적 보상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3)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유아 건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강북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8개소에 다니고 있는 만 3, 4, 5세 학급 유아 27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교사용 설문지와 유아의 셀프리더십 측정을 위해 교사용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상황이 아닌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애착안정성을 연구할 수 있는 애착 Q-set을 번안 재구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유아-교사의 애착안정성을 살펴보고, 유아들이 나타내는 셀프 리더십과 유아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인들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유아-교사 애착안정성과 유아의 셀프 리더십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유아의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아-교사 애착안정성과 유아 셀프리더십에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 애착안정성 하위 변인 중 유아의 반응작용이 유아 셀프 리더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애착-탐구균형과 의존성과 인내력, 사회적 상호작용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 애착안정성 하위 요인 중 대인대물지각은 유아의 셀프리더십에 미비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셀프리더십 하위변인 별로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유아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유아-교사 애착안정성 변인 중 애착-탐구균형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유아의 반응작용, 사회적 상호작용, 의존성과 인내력, 대인대물지각 순으로 비슷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유아 자연적 보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유아-교사 애착안정성 변인 중 유아의 반응작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존성과 인내력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애착-탐구균형과 대인대물지각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 애착안정성이 유아 건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유아-교사 애착안정성 변인 중 유아의 반응작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의존성과 인내력, 애착-탐구균형이 영향을 미쳤으며, 대인대물지각과 사회적 상호작용은 미비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유아 셀프리더십의 하위 변인을 분석한 결과, 유아-교사의 애착안정성의 변인 중 유아의 반응작용이 유아 셀프리더십의 하위 변인인 유아 자연적 보상과 유아 건설적 사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유아-교사의 애착안정성의 변인 중 애착-탐구균형이 유아의 셀프리더십의 하위 변인 중 유아의 자기관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애착안정성이 이루어진다면 유아의 셀프리더십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유아와 교사의 애착의 유대가 좋을수록 유아 스스로 리더십을 발휘하여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 여성의 복지 증진을 위한 헌법적 연구

        이혜림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Constitution that considers assimilative incorporation of society as the ultimate value regulates as follows: Article 10. Human Worth and Dignity, Article 11. Equal Right, Section 4, Article 32. Prohibition for Sexual Discrimination and Section 3, Article 4, Respect for Women Welfare and Right. Reflecting such consitutional mind, it contains realization of women equal rights in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and Work-Family Balance Assistance, Framework on Women's Development, Prohibition and Remedy for Sexual Discrimination and Labor Standards and Labor Standards. However, as roles of men and women have been divided and fixed due to our patriarchal system for such a long time, women were subordinated to men. They have been forced to be superwomen both in caring children and housework and working, and had lower quality of life because of overwork so that their abilities could not be exercised completely at work and they had to choose one of them. In particular, Korean womem's welfare falls behind the standards of OECD member countries. According to the Human Development Report presented by UNDP, Korea's status is stagnant or lowering. For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based on distinction of sex, 48-50% of women participate in labor fore in our country while 75% of men participate in labor force. In addition, most of the former work in part time, which can not be explained through educational background or career. In spite of their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many women are engaged in part-time job, leave labor market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because of pregnancy and nurturing babies, and reemployed to lower position. They suffer from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and wages, and sexual harassment, which are in conflict with the Constitution. As the formula of “Men work outside and Women work inside” is still maintained, women have to have fourfold roles of mother, wife, housewife and worker, which causes continual conflicts in identity of their roles. Pregnancy and childbirth which are physiological nature of women are considered as personal matter by office, resulting in frequent damages to work and health rights of wome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ncourage accomplishment of human respect and value through realization of equal rights by mobilizing all the policies and facilitate equal and harmonious status for social incorporation. Through legislature cases of foreign countries, this study searches for directions of welfare realization(Chapter 3), reviews the Constitution, Framework on Women's Development,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and Work-Family Balance Assistance and Labor Standards critically, tries to discover directions for equal right and welfare realization (Clause 1 and 2, Article 4), identifies the status of Korean women welfare and suggests political suggestions which meet the Constitutional intent (Clause 4 and 4, Article 4). This study suggest education of human rights and cooperation among members along with a series of measures to improve unequal welfare of women. Controversies on equal right of women are getting intense as they have been discriminated and as long as structural problems are not resolved, it is very difficult to resolve it. Therefore, it should be dealt with in longitudinal and macro point of view and assimilative incorporation of society should be facilitated through realization of human respect.

      •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창의성이 놀이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이혜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창의성이 놀이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이혜림(지도교수 김 소 향)이 연구를 실시하여 논문을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 경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율성, 창의성, 놀이전문성의 일반적 경향성을 살펴본 결 과, 유아교사의 자율성의 평균은 4.10점, 창의성은 3.62점, 놀이전문성의 평균은 4.26점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평균이 중간 이상 값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연 구모형의 측정변수에 대한 표본의 분표경향을 살펴본 결과 왜도는 모든 변수가 2 이하이고, 첨도는 모든 변수가 7이하이므로 정규분포를 가정하고 있다. 둘째,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창의성 그리고 놀이전문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먼저 놀이성과 창의성은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율성과 놀이 전문성은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창의성과 놀이전문성도 정적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자율성이 높을수록 창의성이 높은 양상을 보이고, 자율성 이 높을수록 놀이전문성도 높은 양상을 보이며, 창의성이 높을수록 놀이전문성도 높은 양상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창의성이 놀이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창의성이 높아질수록 유아의 놀이전문성도 높아진다는 유의 미한 설명력을 보였다. 놀이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영향력의 크기를 파 악한 결과 자율성, 창의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위변인을 살펴본 결과, 자율성 의 하위변인인 ‘학습지도’, ‘연구 및 연수활동’, ‘학급경영’과 창의성의 하위변인인 ‘독창성’, ‘자기확신’이 높을수록 놀이전문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창의성의 강화가 교사의 놀이전문성을 증진시키는 효과적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강화하기 위 한 교사교육 및 교사지원 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놀이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 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자율성, 창의성, 놀이전문성 *본 논문은 2024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 학위 논문임.

      • 현대미술에 있어서 트라우마적 회화의 표현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이혜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로 오면서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개인이라는 한 개체는 여러 단체의 교류와 소통이 가능해지게 되었다. 인터넷의 대중화와 디지털 매체의 보급화에 따라 다양한 단체 조직에 참여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고 소통도 빠르게 되지만 자칫 가벼운 만남으로 인해 깊은 정신적 교류의 기회는 줄어가고 있다.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가정이라는 곳에서 부터 사회화가 시작되며 성장 후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관계를 지속시켜 나간다. 사회화가 형성되는 것은 개인의 성격을 만들어 가는 것인데 이것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나타난다. 결국 타인과의 관계와 개인의 성격은 근원적으로 어렸을 적 경험 속에서 형성된다. 누구에게나 타인에게 비롯되는 따뜻한 감정의 교류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요소이며 이러한 갈망은 타인에게서 비롯된 상처, 혹은 결핍과도 관계가 있다. 이렇듯 본인은 사람간의 관계에서 오는 정신적 교류의 원천을 유년기시절 겪었던 기억의 트라우마에서 찾으려 하였다. 트라우마는 본인 자신에게만 가지고 있는 상처가 아닌 누구에게나 가지고 있는 보편적인 기억중의 하나이다. 이는 사람이 삶을 살면서 때로는 쉽게 잊을 수 있지만 잘 잊혀 지지 않는 기억이다. 기억의 단상들은 ‘내가 겪은 상처’라는 개인이고도 내밀한 경험으로부터 출발하였고 이는 모두가 가지고 있는 보편성을 띄고 있다고 인식하였기에 일련의 예술작업으로 승화하였다. 이러한 작품 활동을 통해 본인이 겪었던 기억들을 타인과 함께 공유하고 소통하고자 한다. 본인에게 있어 트라우마와 그 속에서 비롯된 사람간의 관계, 그리고 정체성은 끊임없는 관심의 대상으로 이어져 왔다. 친밀한 감정 혹은 외로움, 그리고 모호한 감정들은 근원적으로 본인이 갈망하는 욕망이다. 지속적인 사람에 대한 관심과 그 속에서 교차되는 무수한 감정들이 현실에 실제 하는 인물과 물감의 덩어리라는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림속의 인물들을 통해 그것이 본인에게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를 재인식 하고, 작품이 보여 지는 형식과 내용적인 측면을 통해 연구를 심화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트라우마를 소재로 작업한 작가들 중 세 명- 루이스 부르주아. 키키 스미스, 뭉크-를 선택하였다. 이들은 각기 다른 매체로 그들이 어렸을 적 겪었던 정신적 외상이라는 주제를 표현한 작가들이다. 이들의 작품을 살펴보며 그 안에 내제된 의미와 구성을 살펴보려 한다. 여기에서 인물의 표현을 통해 보는 이로 하여금 재인식 시키며 트라우마라는 개념까지 함께 제시함으로써 정신분석학이 예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한다. 본 논문의 근저에는 시각언어가 근원적으로 정신분석학과 어떤 연계가 있으며 예술 작품을 창작하는 이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고민이 깔려 있고, 연구자는 부족하나마 이를 트라우마라는 개념과 미술사에서 미친 영향, 그리고 본인의 작품을 통해 보여주고자 하였다. Each individual person, in these days, can communicate with several societies due to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According to the popularization of internet and digital devices, even there are lots of opportunities of join in diverse societies and rapi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ut the opportunity of spiritual intercommunication is decreasing because of a light meeting. Human learns socialization at first from the family and develops oneself as the member of society as he or she grows up. Forming of socialization means a build-up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ich can be apparently find through human relationship with others. Eventually, the human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formed based on childhood experiences. For anyone, a warmful emotion exchange with others is an essential element in human relationship and this kind of emotion relates with scar and deficiency from others. I myself, therefore, tried to find the root of emotional exchanges from the trauma in childhood memory. Trauma is not the scar of individual ownself but the generalized memory of everyone. This is a memory which is easily forgettable but unerasable thing during one's life. Though the memories from my own emotional injuries were based on the private and inner experience, I tried to sublimate the memories in my collections because I recognized and synchronized that this kinds of memory can be common to everyone. I would like to share the memories and communicate with others through the collections. The trauma itself and the human relationship and identity included in trauma were interest subjects to me continuously. Intimate emotion, loneliness, and ambiguous emotion are basically same as an ambition which is developed by human ownself. Continuous interest about human itself and emotion exchanges between people are reveal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real human being and lump of colors. I tried to recognize that what kind of meanings were given from the figures in paintings, and to research deeply through the study on the format and contents of collection. Also, Louis Bourgeois, Kiki Smith and Munch, who chose trauma in their arts, were selected. These three artists expressed the theme of emotional injuries in their childhood using different methods. Immanent meanings and contents were the sources I tried to research on. Expression from people inside the paintings give the new understanding to audience with the concept of trauma and explain how important psychoanalysis affects the arts. The foundation of dissertation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arts and psycho analysis and concerns about how this can effect those who create arts. Therefore, myself tried to show the effect of trauma in Arts history and through my collection.

      • 요로감염 환아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 요로감염 관련 지식 및 예방행위 실천

        이혜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요로감염 환아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 요로감염 관련 지식, 요로감염 예방행위의 실천 정도를 확인하고 부모 효능감, 요로감염관련 지식이 요로감염 예방행위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자녀가 요로감염으로 진단 받고 연구 내용을 이해하고 연구참여에 동의한 어머니 69명이었다. 부모 효능감은 Gilbaud-Wallston과 Wandersman(1978)의 P.S.O.C.(Parenting Sense of Competence)를 신숙재(1997)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요로감염 관련 지식과 예방행위 실천은 본 연구자가 개발한 요로감염관련 지식 13문항, 요로감염의 예방행위 실천 10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er 12.0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조사 대상자인 어머니의 평균 나이는 34.1세였으며, 다른 자녀가 요로감염으로 진단받은 경험이 없는 경우가 63명(91.3%)이었고, 주 양육자는 엄마(84.1%)가 대부분이었다. 아동의 평균 개월 수는 11.3개월이었으며, 보호자가 생각하는 아동의 기질은 대부분 힘든 편이다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2.어머니의 부모 효능감의 총점의 평균은 45.22(±3.23)점으로 ‘부모로서의 능력은 보통이다’라고 지각하고 있었다.“나는 나의 행동이 아이에게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잘 알고 있다.”라는 문항은 3.70(±0.60)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여‘대체로 부모로서 능력이 있다고 생각한다’를 의미한다.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문항은“ 내가 아이를 가르치고 이끌어 주려고 해도 아이가 내 뜻대로 잘 따라오지 않아 좌절감을 느낀다.”로 2.29(±0.57)점이었으며,’부모로서의 능력은 보통이다’를 의미한다. 3.요로감염 예방행위 실천부분의 총 점수의 평균은 26.04(±3.12)점, 문항 평균은 2.60(±0.65)점으로 “그렇지 않은 편이다”라도 답하였으며 요로감염 예방행위를 잘 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문항 중 가장 실천도가 높았던 항목은 “회음부에 이물질이 있는 경우 샤워기로 씻긴다”라는 문항으로 3.43(±0.58)점으로 “대체로 그런 편이다”라고 하였다. 가장 낮은 실천 항목을 보인 문항으로 “아이에게 유산균 제제를 먹인다”로 평균은 1.22(±0.64)점으로 “거의 그렇지 않다”라고 답하여 이에 대한 것을 교육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이러한 실천행위의 결과는 요로감염 관련지식의 점수와 비교하여 볼 때 “회음부의 이물질이 있는 샤워기로 씻긴다”는 지식과 실천부분 둘 다에서 높은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유산균 제제를 먹인다”와 “느슨한 면 속옷을 입힌다”가 지식과 실천 부분 둘 다에서 점수가 낮은 것을 볼 수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4.어머니의 부모 효능감과 요로감염 관련 지식, 그리고 요로감염 예방행위 실천이라는 세가지 변수들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은 요로감염 예방 행위 실천 (r=.397,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로감염 관련 지식은 요로감염 예방 행위 실천(r=.345, p=.004)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회귀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F=14.662, p<0.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모형이 적합하였다. 회귀분석의 결정계수를 검증한 결과, Adjusted R2값은 0.287로서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 요로감염 관련 지식은 요로감염 예방행위 실천을 29% 설명하였다.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과 요로감염 관련 지식은 요로감염 예방행위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부모 효능감이 높을수록, 요로감염 관련 지식이 높을수록 영•유아를 위한 요로감염 예방행위를 잘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요로감염 관련 지식 중 정답률이 낮았던 문항과 요로감염 예방행위 실천 정도가 낮았던 문항을 중심으로 요로감염 관련지식을 대상자에게 교육하고 부모 효능감과 요로감염 예방행위 실천 정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This research verifies that the parenting self efficacy of mothers of patients of urinary tract infection, that how much the parents have the knowledge of the disease, and that how often they practice the precautions so that to define the effects of the parenting self efficacy and having the knowledge of the disease to the practice of the precautions of urinary tract infe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greed to participate in research about and children who are diagnosed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69 were mothers. Parent efficacy Gilbaud-Wallston and Wandersman (1978) of the PSOC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s Shin(1997) was adapted tools, knowledge and preventive behavior related to urinary tract infection, the researchers developed a urinary tract infection, practice-related knowledge 13 questions, 10 questions Practice prevention of urinary tract infection was measured by using. The data collected SPSS / WIN Ver 12.0 were analyzed using a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urveys are following. 1.The parenting self efficacy is average 45.22 points (±3.23) out of 80 points in 16 questions. The question scored the highest point is that “I’m aware of the effects of my actions to my child well.” And The question having the least points is that “Although I try to teach and guide my child, my child does not really follow as I wish so that I feel frustrated.” 2.In the case of related knowledge of urinary tract infection, The question showing the highest response is that “I give my child anthelmintic if parasitization is predicted.”And the question showing the lowest response is that “I dress my child a loose cotton underwear.” It i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age of the subjects who are mostly under 12 months. The questions showing the second lowest response is that “lactobacillus prevents from urinary tract infection.” 3. In the part of practice of the precautions of urinary tract Infection, the average is 26.04 (±3.12)points out of 40 points. The question showing the highest point is that “If there is any foreign substance at the perineal region, I bath my child.”and The question showing the least practice is that “I give my child lactobacillus foods.” 4.The followings show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s, related knowledge of urinary tract infection, and practice of precaution of the disease by the correlation analysis. By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s has a positive correlation (r=.397, p=.004) with the practice of precautions of the disease. The related knowledge for urinary tract infect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r=.345, p=.001) with the practice of precaution of the disease. 5.Verifying the results of the fit of the regression model F = 14.662, p <0.001 level, the model show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uitable. Verifying the results of regression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djusted R2 value of 0.287 as a mother, parenting self-efficacy, prevention of urinary tract infection, urinary tract infection-related knowledge, practice behavior was explained by 29%. Mother's parenting efficacy (β = 0.099, p <0.001) and urinary tract infection-related knowledge (β = 0.127, p <0.001) and urinary tract infection prevention activities wer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actice Since the practice of precautions of urinary tract infection is a part of promotion health. The parenting self-efficacy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romotion health and I think the parenting self-effcacy is higher, the parenting is more effective and the parents are active for participating in the parenting.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higher parenting self-efficacy represents higher rate of practice of precautions of urinary tract infections in infants and children. It is necessary to found a new precaution for urinary tract infection considering the mental supports, encouragements,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child-rearing, which are determined as affecting factors to parenting self-efficacy

      • <우렁각시> 설화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이혜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purpose to propose the educational value by searching for the elements which is applicable in educational field through examining the existing research about the tale of "Mud Snail Bride". As being famous abroad, the range of transmission of this tale is comprehensive. It means that it was reflected well the sense of people participated in the pleasure of this product. In addition, It gives more important meaning which is transmitted not only happy ending but also an unhappy ending. Ow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transmission, the tale has been chang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state of an oral narration. In other words, the tale of "Mud Snail Bride" shows well the popular cultural characteristic as the liquidity and laminating character of the narrative literature. Thus, it has educational value which is able to seize the characteristic of the whole tales easily, not to mention of the popularity. Besides the tale of "Mud Snail Bride" is analyzing that the union of two main characters is the motivation of the divorcing interchange. This tale has enough value that is made use the matter which can not happen in actuality in education through the imagination belonging to the tale of "Mud Snail Bride" This tale has enough value that is made use the matter which can not happen in actuality in education through the imagination belonging to the tale of "Mud Snail Bride" On "Chapter 2", totally 41 variation of "Mud Snail Bride" which is mentioned in the books have been subdivided and categorized as a fundamental and variational form. Every one tale from the categorized pieces is selected by the reason of absence from textbook yet. In order to make use the selected data educationally, we indicated the course as looking into the sense and characteristic of the tale education in the seventh educational process before everything. As based on that, we looked into the educational value in the tale of "Mud Snail Bride" In chapter 3, we indicated the inflected way which is able to inflect the educational value showed in the front chapter on the concrete. First of all, It makes easily to understand the meaning by patterning the structure of this tale. This is the way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tale by structuring after all. In this process, it could be the opportunity that is able to experience the characteristic of narrative literature as setting the narration which is the most big characteristic of the tale to each different group. Also, it is possible to do creative activity through the literatural imagination as the divorcing interchange. Putting yourself into the story as the "Mud Snail Bride" or the bachelor and write a letter or journal would be a good method. Through indirect experiences, further practical plan is available. The tale of "Mud Snail Bride" contained the sense of transmitter, not only remaining just one of the tale products in conclusion. With the consequence that this tale is the most popular tale as recognizing and criticizing uprightly the actuality in secularizing process. This is a mock trial drama presented through taking advantage of lessons teaching plan Considering widespread successional ability of tales and inherent motif and universality of structure in literatures, it has a significant educational meaning. There are sufficient educational meaning on this tale, however, it has been merely seldom studied for educational value and meaning. Based on results on studies about tales, therefore, I would like to find educational value of tales and discover the meaning specifically. 본 연구는 <우렁각시> 설화에 대한 기존 연구의 검토를 통해서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요소를 찾아 그 교육적 가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우렁각시> 설화는 전승 범위가 광범위하다. 이는 작품을 향유했던 민중들의 의식이 잘 반영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구나 행복한 결말뿐 아니라 비극적 결말도 함께 전승된다는 것은 더욱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다. 설화는 전승방법의 특성 때문에 구연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이되는데 이는 화자가 청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이야기에 재미를 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때문이다. 즉, 설화문학의 유동성과 적층성이라는 민중 문화적 특징을 잘 드러낸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우렁각시> 설화는 설화에 나타난 민중성은 물론 설화 전반에 걸친 특징을 파악하기 좋은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더욱이 <우렁각시> 설화는 이혼교류의 모티프로 두 주인공의 결합을 바라보고 있다. 현실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일을 <우렁각시> 설화가 지니고 있는 상상력을 통해 교육적으로 활용하기에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설화라고 할 수 있다. 서론에서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우렁각시> 설화의 연구 현황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한국구비문학대계』『영남구전자료집』『임석재전집 한국구전설화집』에 수록된 <우렁각시> 설화 41편을 대상으로 기본형과 변이 복합형으로 세분화하여 유형화하였다. 아직까지 <우렁각시> 설화가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유형화한 작품 중 한 편씩 설화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자료를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우선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설화교육의 성격과 의의를 살펴보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렁각시> 설화에 나타난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앞 장에서 나타났던 교육적 가치를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우렁각시> 설화의 구조를 유형화 시켜 의미파악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것은 서사 구조를 통해 설화의 특성을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구조화된 설화를 구연하는 방식으로 수업 활용이 가능하다. 각각 다른 집단이라는 설정을 두고 구연을 해봄으로써 설화문학의 특징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된는 것이다. 또 이류교혼이라는 문화적 상상력을 통해 창작활동이 가능하다. 학생스스로 우렁각시나 총각이 되어서 편지나 일기를 써보는 것이다. 이러한 간접체험을 통한 구체적인 활용방안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광포설화로서 <우렁각시> 설화는 하나의 설화작품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전승자들의 의식을 담고 있다. 따라서 세속화 되어가는 과정 속에서 현실을 올바로 인식하고 비판하여 그것을 문학으로 승화시킨, 가장 민중적인 설화인 것이다. 이는 모의 재판이라는 연극을 통해 토론식 수업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우렁각시> 설화는 폭넓은 전승력이나 오랫동안 작품에 내재한 모티프나 구조의 보편성을 보더라도 그 자체로 충분한 교육적 의의가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는 <우렁각시> 설화가 충분히 교육적 의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자체의 교육적 가치 및 의의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그간의 <우렁각시> 설화에 대한 연구 성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우렁각시> 설화의 교육적 가치를 찾고 그 의의를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 대중가요를 활용한 가창수업 지도안 개발

        이혜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대중음악의 발달과 그 영향력은 문화 전달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학교 교육의 보수적 기능과 갈등을 겪고 있다. 과거와는 달리 최근 학교 음악교육은 대중음악을 학습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중음악을 학습에 활용하는 데는 여전히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중음악의 다양한 교육적 접근의 연구 부족은 대중음악을 교육에 도입하는데 구체적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대중음악에 노출되어 있는 학생들의 흥미와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교육목적에도 부합할 수 있는 학습 지도 방안 개발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대중음악을 음악 학습의 내용으로 하는 하나의 예로써 우리나라의 대중가요를 통한 가창 수업 지도안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미국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Education(MENC)에서 2002년에 발간한 The Guide to Teaching with Popular Music을 기초로 하였다. The Guide to Teaching with Popular Music은 팝음악을 이용한 음악 교육 지도에 대한 가이드이며 그 내용은 1. 멜로디, 2. 화성, 3. 편곡과 즉흥연주, 4. 리듬, 5. 학제간 연구, 6. 음악의 뿌리 즉, 음악을 문화와 역사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는 6가지 학습 요소로 구성 되어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이해 영역을 가창학습과 연계하여 위의 6가지 학습 요소와 관련된 ‘멜로디’, ‘화성’, ‘리듬’의 3가지 학습 요소와 ‘음악과 사회’라는 요소를 가지고 중학교 1학년 대상으로 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선곡과정은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실린 대중가요를 장르별로 분류하고, 분류한 장르에서 각각 한 곡씩을 선택하였다. 이 논문을 통하여 대중음악이 학교음악교육에서 음악 학습 내용으로 충분히 활용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대중음악에 대한 보다 많은 교육학적 연구 및 활용방안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oday the development and influence of popular music are giving rise to complication with conservative function of education in school as a cultural spreader. Unlike the past, gradually popular music has used to recent music education in school. However there are still problems in applying to study popular music. Especially insufficient studies about popular music have not suggested concrete directions and methods in the educational approach of popular music. As a result,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guideline for studying to satisfy interests and needs for students who are exposed to popular music and to suit educational purposes as wel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guideline for singing class by Korean popular song as a example of music study through popular music. This study is based on The Guide to Teaching with Popular music which was published in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Education (MENC) in 2002. The Guide to Teaching with Popular Music is the guide to teach music education by using pop music. And it is make up of 6 educational parts- melody, harmony, arranging and improvising, rhythm, Interdisciplinary connections, musical roots- which are understood in the relation with culture and history in music. This study developed a educational guideline for 1st grade in junior high school. The educational guideline was based on 6 educational parts above in comprehension section by the 7th Korean educational course, 3 educational factors related to 'melody', 'harmony', and 'rhythm', and other factors such as music and society. To select songs popular songs of music textbooks of junior high school were divided into each genre and then it was selected each one song among divided genres. Eventually this paper suggests possibilities of that popular music as a music educational tool can use in music education in schools. In addition it will help developing many educational studies about popular music. Furthermore it will be helpful to be a educational method through using popular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