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1세기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교육에 관한 연구

        이현희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현대사회의 특징 중의 하나는 인구의 고령화이다. 지구촌 여러 나라에서 노인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그것은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개선과 의료기술의 발달은 국민의 수명을 연장하고 노인인구를 증가시키고 있다. 이러한 고령화 속도가 노인들 자신들과 이들이 속해 있는 가정 및 교회, 그리고 사회에 여러 측면의 문제들을 야기되고 있다. 노인교육은 이러한 노인문제의 해결을 위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 노년학에서 성공적인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서 종교화 교육활동에 대한 참여를 들고 있다. 교회의 노인교육은 종교활동과 교육활동을 동시에 만족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노인교육은 근본적인 목적을 노인들이 겪는 생활고, 병고, 무위고 등에 노인들 자신이 어떻게 대처해 나가야 될 것인가, 또 건강의 악화, 오감의 감지력 감퇴 등 신체적 문제를 비롯하여 사회적 역할의 상실, 대인접촉의 빈도 등 사회적 문제, 심리적 문제로 자아정체감의 상실, 외향성의 상실 등이 있다. 과연 노인문제가 노인산업 혹은 정부와 관련기관의 한정된 복지혜택, 그들의 여가를 위한 특정 프로그램만으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일까?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노인문제가 바로 우리의 현실 문제요 가족의 문제이며 노인의 필요가 물질과 건강과 향락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그 무엇이 있다는 데 있다. 노년의 무력감과 외로움을 달래주고, 보다 건강하고 재미있게 인생을 마무리하도록 도와주는 것도 노인들의 필요를 채워 주는 중요한 방편이 될 수 있다. 교회는 무엇보다 이 점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앞으로의 교회는 지역사회 문제에 대해 책임성 있게 대처해야 하고 지역사회 문제 중 노인문제의 해결의 방향을 논하여야 한다. 21세기 현대 교회 교육의 관심은 어린이, 청ㆍ장년에게 편중되어있다. 따라서 노인교육의 문제는 단순히 사회적 문제로만 생각되어서는 안 된다. 교회 안에서도 이 문제를 보다 더 관심 있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독교교육에 있어서 인간존중의 정신은 영ㆍ유아에서 시작하여 노인에 이르기까지 평생교육으로 이어져야 한다.

      • 統一新羅時代 佛像着衣法 硏究

        이현희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硏究는 統一新羅時代 佛像着衣法 중에서 특히 偏衫 着衣法을 중심으로 기존의 通肩·偏袒右肩 着衣法과 비교 고찰한 것이다. 偏衫 着衣法은 佛像 앞면의 착의 표현이 양쪽 어깨를 모두 法衣로 가리고 있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通肩 着衣法으로 보고 있으나 실제 불상의 왼쪽과 오른쪽의 法衣는 별개의 것으로 이것은 불상 뒷면의 착의 표현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불상은 뒷면의 착의표현이 생략·단순화되거나 實見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앞면에 나타난 착의표현으로 구별할 수 밖에 없는데, 通肩 着衣法은 양쪽 어깨를 연결하는 U자형 옷주름이 표현되는 반면 偏衫 着衣法은 偏袒右肩의 大衣와 偏衫이 겹쳐져 생기는 逆y자형 옷주름이 표현되어 두 着衣法을 구별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慶州 南山 三陵溪石 造如來坐像②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偏衫 着衣法은 統一新羅下代 불상에서 많은 제작사례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우리나라 偏衫 着衣佛像은 7세기 초반 백제지역인 忠北 禮山 花田里四面 石佛에서 처음 나타나기 시작하여 7세기 후반에는 신라지역으로 전해진다. 신라로 전해진 偏衫 着衣佛像은 편삼 착의방법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A형은 7세기 후반의 軍威石窟에서 처음 나타나며 시기적으로 수용기에 해당된다. B·C형은 신라로 전해진 偏衫 着衣法이 착의 표현에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는 발달기에 해당되며 偏衫 着衣法의 완성기인 D형은 9세기 초반 慶州 南山지역 불상에 집중되어 있어 南山이 당시 불상 造成활동의 중심지였음을 알 수 있다. 지역적으로는 忠北 禮山에서 시작하여 慶州 以北지역과 慶州지역을 거쳐 9세기에는 慶州 以南지역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偏衫 着衣佛像의 제작시기와 분포양상은 新羅 遣唐使의 활동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의 偏衫 着衣佛像은 隋末~唐初의 山東 지역에 집중된 양상을 보이는데 山東 지역은 신라 遣唐使 이동행로 중 黃海北路상에 위치하며 龍興寺와 禮泉寺라는 新羅院이 있어 遣唐使의 왕래가 빈번했던 곳이다. 즉 前代에 비해 遣唐使의 문화적 활동이 강조된 9세기를 전후한 遣唐使의 활약으로 統一新羅時代 偏衫 着衣法은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偏衫 着衣佛像의 제작배경을 불교 사상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통일신라시대 降魔觸地印佛坐像은 偏衫 着衣法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반해 智拳印의 毘盧遮那佛은 通肩 着衣法이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華嚴宗이라는 같은 사상적 배경 아래에서 조성된 두 불상에 서로 상반된 착의 표현을 하고 있는데 이것은 착의 표현에 있어서 제작자의 입장이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偏衫을 표현하는 데에는 오른손을 아래로 늘어뜨리는 것이 제작상 좀 더 용이했던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불상의 손 위치에 따라 적절한 착의 표현을 자유롭게 선택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 D형 偏衫 着衣佛像에 보이는 오른쪽 어깨 위의 띠 매듭은 주로 僧侶像에서 확인할 수 있는 法衣 장식인데 이것은 현실에서 행하고 있던 僧侶의 착의표현이 如來像에 채용된 것으로 법의표현에 있어서 일종의 사실주의 경향이 나타남을 지적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by comparing Pyunsam(偏衫 着衣法) to the existing Tongkyun(通肩 着衣法) and Pyundanwookyun(偏袒右肩 着衣法 ) with special reference to dressing a Buddhist statue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Pyunsam(偏衫 着衣法 ) is considered as Tongkyun(通肩 着衣法) up to now in the point that both shoulders of the Buddhist statue are covered with a vestment, but in fact, the left vestment of the statue is separately from its right one as known in wrinkles of vestment at the back of the statue. Its typical odel is Seated statue of stone Buddha in Samnung Valley at Mount Namsan in Kyong-ju(慶州 南山 三陵溪石造如來坐像), whose dressing is in order to cover the right shoulder revealed due to Pyundanwookyun (偏袒右肩 ). It is worthy of note in accordance with dressing the statues that many Buddhist statues wearing in Pyunsam(偏衫) are comparatively often found among the statue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can be confirmed in the process of the Buddhist statues in Pyunsam(偏衫), and they appeared first in Yesan, Chungbuk(忠北 禮山) and were distributed to north of Kyong-ju(慶州) and to south of Kyong-ju(慶州) in the ninth century. The period of producing the Buddhist statues wearing in Pyunsam(偏衫) and their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have a close relation with the backgrounds of their production in the Unified Silla Period. Namely, the Buddhist statues wearing in Pyunsam(偏衫) in the Unified Silla era were deeply affected by Sandong(山東), China in the late Sui and the early Tang, and Sandong(山東) is situated at the north route of Yellow Sea, the travelling route of Kyondangsa(遣唐使). In addition, Sillawons(新羅院) named YongHung Temple(龍興寺) and Yechun Temple(禮泉寺) were in Sandong(山東) where Kyondangsa(遣唐使) frequently visited. Especially, the Buddhist statues wearing in Pyunsam(偏衫) were, for the most part, made in the early and mid eighth century and in the early ninth century when a cultural mission played more important role compared to the former period. Finally,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into the background of producing the Buddhist statues wearing in Pyunsam(偏衫) in the aspect of thought. Evil-expelling-hand statues(降魔獨地印), dressing in Pyunsam(偏衫) was the main trend in the expression on vestment, while as for Vairocana(毘盧遮那佛) of Wisdom-first-hand(智拳印), a peculiar dressing in Tongkyun(通肩) were given much more weight. Difference between the two kinds of dressing the Buddhist statue under the same influence of Hua Yen school(華嚴宗) shows that eir producers' different views were positively reflected in the expression on vestment.

      •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와 강재의 접착 조인트에서 파괴형태와 접착강도에 대한 접착제 종류, 적층각도 및 실험온도의 영향

        이현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Fiber reinforced composites have the advantages of high specific strength, specific stiffness, corrosion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nd fatigue properties compared with metal materials. In many cases,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s are used alone in the design of major structures. However,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s are increasingly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 materials due to economical efficiency and technical difficulties. In this paper, the behavior of a single lap joint between a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and steel plates which are bonded together by an adhesive was studied. Experimental measurements were made on how failure modes and bonding strength varied depending on types of adhesives, orientations of carbon fibers in CFRP laminates, and test temperature. Three epoxy adhesives wit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of 58, 78, and 98℃, respectively were used to investigate failure modes and bonding strength depending on the types of adhesiv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ber orientations in CFRP laminates, they were fabricated so that the angles between fiber and load directions were 0, ±60, ±70, and ±80°. The joints were tested at 28, 68, 88 and 108℃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st temperature on the behavior of the joints. A vacuum bag molding process was used to fabricate the test specimens. The failure modes and the failure loads were measured from tensile tests on the joints. Tensile test results showed that only two types of failure modes occurred, which are adhesive failure and stock-break failure. Failure modes changed depending on types of adhesives, fiber orientations of CFRP laminates, and test temperature. The lowe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adhesives, the higher chance of adhesive failure existed. The highe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adhesives, the higher chance of stock-break failure in CFRP laminates existed. This is because when the test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dhesive, failure is likely to occur at the bonded area. The larger the fiber orientations in CFRP laminates, the higher chance of stock-break failure of CFRP laminates existed. The smaller the fiber orientations, the higher chance of adhesive failure existed. This is because the tensile strength of CFRP laminates becomes smaller tha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adhesive joints as the fiber orientations in CRRP laminates increase. When adhesive failure occurred, the bonding strength was calculated. The bonding strength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test temperature, and it was found that the decrease of bonding strength was the greatest before and afte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dhesive. The bonding strength also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fiber orientations in CFRP laminates. This is because deformation of CFRP laminates increased as the fiber orientations of CFRP laminates increases, which also decreased bonding strength of joints. Ultimate strength in tension of CFRP laminates was calculated when stock-break failure occurred. The larger the bonding strength of the adhesives between CFRP and steel plates, the larger the ultimate strength of CFRP laminates occurred. The same tendency was observed at various test temperatures and fiber orientations of CFRP laminates. In this study, the behavior of a single lap joint between CFRP and steel plates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types of adhesives, the fiber orientations of CFRP laminates, and the test tempera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designing the bonded joints between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nd steel in various environments. 섬유강화 복합재료는 기존의 금속재료들보다 비강도, 비강성, 내식성, 내마모성 및 피로특성이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주요 구조물의 설계에 섬유강화 복합재료가 단독으로 이용되는 경우도 많지만, 경제성과 기술적 어려움 등으로 섬유강화 복합재료를 금속재료와 접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와 강재를 접착제로 서로 접합한 단일 겹침 접착 조인트의 거동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접착제의 종류,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 적층판 (CFRP Laminates)에서 섬유의 적층각도 및 실험온도에 따라서 접착부위의 파괴형태 (Failure Modes)와 접착강도 (Bonding Strength)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접착제 종류에 따른 파괴형태 및 접착강도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유리천이온도가 각각 58, 78 및 98℃인 세 종류의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복합재료 적층판에서 섬유 적층각도 변화의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섬유의 적층각도가 각각 0, ±60, ±70 및 ±80°가 되도록 탄소섬유 적층판을 제작하였다. 조인트의 거동에 대한 실험온도의 영향을 살피기 위해서 28, 68, 88 및 108℃의 온도에서 조인트에 대한 인장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할 시편을 제작하기 위하여 진공 백 성형 공법 (Vacuum Bag Molding Process)을 사용하였다. 조인트에 대한 인장실험에서는, 조인트에 파단이 발생할 때의 파괴형태와 하중을 측정하였다. 인장실험 결과, 조인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유형의 파괴형태 중에서 접착 파괴 (Adhesive Failure)와 복합재료 모재 파괴 (Stock-Break Failure)의 두 가지 유형의 파괴형태만 발생하였다. 접착제의 종류, 복합재료 적층판의 적층각도 및 실험온도에 따라서 파괴형태는 달라졌다. 접착제의 유리천이온도 (Glass Transition Temperature)가 낮을수록 접착 파괴의 빈도가 증가하였으며, 접착제의 유리천이온도가 높을수록 복합재료 모재 파괴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이는 실험온도가 접착제의 유리천이온도보다 더 높을 때에는 접착 부위에서 파괴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복합재료 적층판에서 섬유의 적층각도가 큰 시편에서는 복합재료 모재 파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섬유의 적층각도가 작은 시편에서는 접착 파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복합재료 적층판에서 섬유의 적층각도가 증가할수록, 복합재료 적층판의 인장강도가 접착 조인트의 접착강도보다 더 작아지기 때문이다. 접착 파괴가 발생한 경우에, 접착면에서의 접착강도 (Bonding Strength)를 구하였다. 실험온도가 증가할수록 접착강도가 감소하였으며, 접착제의 유리천이온도 전후에서 그 감소의 폭이 가장 큼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복합재료 적층판의 적층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접착강도가 감소하였다. 이는 적층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복합재료의 적층판의 강도와 함께 강성이 감소하면서, 강재판과 접착된 복합재료 적층판에서 변형이 더욱 쉽게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조인트의 접착강도가 감소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복합재료 모재 파괴가 발생한 경우에는, 복합재료 모재의 인장 파괴강도 (Ultimate Strength in Tension)를 구하였다. 복합재료 적층판과 강재판을 접착하는데 사용된 접착제의 접착강도가 클수록 복합재료 모재의 인장 파괴강도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실험온도와 복합재료 적층판의 섬유 적층각도에서 동일한 경향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접착제 종류, 복합재료 적층판의 섬유 적층각도 및 실험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와 강재 사이의 단일 겹침 접착 조인트의 거동 특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와 강재의 접착부위를 설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국어 접사 범주에 관한 연구 : 접사와 인접 범주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현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는 국어 접사가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면서 다른 범주와 중복되어 나타나는 것에 주목하여 이를 접사원형성의 정도 차이로 설명하고 접사범주에 원형적 구조를 적용하여 도식화하였다. 동시에 접사와 인접범주에 속한 요소들 간의 관계를 시간의 흐름이 개입된 접사성의 확대라는 측면에서 논의하고 이를 3차원 도해를 통해 명시적으로 설명하였다. 한국어 접사 범주에 대해 모든 접사가 동일한 수준의 접사원형성을 가지는 것이 아님을 접사 판정을 위한 3단계 조건을 적용하여 수치화를 통해 정도의 차이로 드러내었고 이를 다시 자연물의 원형적 구조 개념을 도입하여 정도성의 차이로 명시적으로 구현하였다. 동시에 실사나 허사에서 비롯된 범주라는 접사의 본유적 성격에 착안하여 범주 중복의 양상이 나타나는 접사의 예들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접사와 접사에 인접해 있는 범주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범주의 중복 양상을 보이는 접사들 중 일부는 접사의 전형성이 높게 나타났고 일부는 다른 범주의 전형에 더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접사 범주 내의 모든 요소들이 동일한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처리하였던 그간의 획일적 처리에서 벗어나 동일 범주에 속하는 요소들 사이에 존재하는 전형성의 차이를 논의의 전면에 부각시키고자 한 것이다. 아울러 범주 판정과 관련된 기준의 적용도 그동안의 일괄적인 적용에서 벗어나 필수조건과 수의조건으로 나누고 거기에 다시 접사의 기능을 더하여 3단계 접사전형성의 검증 방식을 마련하였다. 아울러 3단계 기준의 적용 역시 대상이 되는 접사에 따라 선택적으로 운용하여 다른 범주와 중복 양상을 보이는 경우들까지 확대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물론 한두 개의 접사가 접사를 대표한다고 할 수 없듯이 한두 개의 용례를 통해 접사와 인접 범주까지 그 관계를 살피는 것이 과도한 일반화의 오류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는 앞으로 보완해 가야 할 부분이다.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본고에서 해결하고자 한 문제는 크게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접사의 범주 경계가 모호한 것으로 단정 지은 그동안의 처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모호한 경계를 좀더 명시적으로 나타내고자 한 것이다. 범주 경계가 모호하다면 그 모호한 경계를 그냥 넘어갈 것이 아니라 판정 기준을 단계화, 세분화하여 조정하고 각각의 경우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방법을 선택하여 정도의 차이를 좀더 세밀하게 밝히고자 하였다. 그동안 접사의 판정 기준은 학자에 따라 그 숫자만 더해갈 뿐 실제 내용의 차이는 크게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접사 판정 기준이 해결하지 못한 많은 문제들은 언어요소들의 균등한 성질을 기본 전제로 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자연물의 범주와 마찬가지로 언어 요소의 성격에도 전형적인 예와 그렇지 않은 예들 사이에 정도의 차이가 있을 것을 전제로 하고 논의를 접사전형성의 정도 차이에서 시작하였다. 그 결과 접사로 인정되는 요소들 간에도 접사전형성에 하지만 정도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보았다. 이러한 접사전형성의 정도의 차이를 자연물의 원형구조의 개념을 빌어 원형적 구조로 도식화하였다. 다음으로 접사가 통시적 변화의 산물임에 착안하여 접사와 인접범주 간의 중복 양상에 대해 3차원 도식을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접사가 범주 전형성에 차이를 보이고 그 차이의 한 원인이 통시성의 개입, 그로 인한 범주의 중복 때문임을 고려하여 접사전형성에 따라 범주 중복 양상을 접사전형성의 확대로 설명하였다. 즉 접사전형성을 보이지 않는 다른 범주로부터 통시적인 흐름을 겪으면서 접사전형성이 점점 높아지는 것을 3차원 차트를 통해 나타내 보았다. 이를 통해 언어 요소가 범주의 이동을 경험할 수 있으며 접사의 경우 특히 다양한 범주로부터 다양한 방식으로 접사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사회상황 이야기 중재 프로그램이 고기능자폐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현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stories intervention program on the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lthough th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had cognitive and language abilities, they had impairments in the areas of social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s, as well as by the restricted, repetitive behaviors. This study was designed by single subject case study. The subject was a seven-year-old boy, diagnosed as high-functioning autism. To measure interaction displayed by children on the lesson activity hours, target behaviors were identified and defined for measurement purposes. The target behaviors included appropriate interactions(appropriative answers on the situation, gazing, physical touching and expressiveness) and inappropriate interactions (inappropriative answers on the situation, ignoring, abnormal behaviors) This study planed to describe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al interaction intervention program 30 minute lesson activity hour by examining the changes of target behaviors during pretreatment and treatment ses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Social stories inter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on the interactions (increasing of appropriate interactions and decreasing of inappropriate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econd, The Social stories inter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on upgrading the quality of interactions that reduced interactions of preschool level as reduce gazing, physical touching and increased language response. Third, The significant effects of the Social stories intervention program were not found in the self-active behaviors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 치과위생사의 분노표현유형과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이현희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사회적지지와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가 분노표현유형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여 치과위생사의 긍정적 분노표현인 분노조절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2019년 8월1일부터 10월7일까지 서울, 경기 및 인천지역에 소재한 치과의료 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40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과위생사의 특성분노, 상사와 동료의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은 최대 4점 중 특성분노 2.05점, 상사의 사회적지지 2.07점, 동료의 사회적지지 3.07점, 자아존중감 2.83점이었으며, 직무스트레스는 100점 중 46.90점 이었다. 2. 단변량분석에서 특성분노는 분노표출(r=0.676, p<0.001), 분노억제(r=0.495, p<0.001), 직무스트레스(r=0.152, p<0.01)와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고, 분노조절(r=-0.279, p<0.001), 자아존중감(r=-0.263, p<0.001), 동료의 사회적지지(r=-0.171, p<0.01), 상사의 사회적지지(r=-0.107, p<0.05)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분노조절은 자아존중감(r=0.200, p<0.0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상사의 사회적지지(r=-0.540, p<0.001), 자아존중감(r=-0.409, p<0.001), 동료의 사회적지지(r=-0.307, p<0.001)와 부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3. 치과위생사의 분노표현유형은 분노조절군과 분노표출·억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분노조절군이 233명(58.0%)이었다.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OR=5.952 p<0.001)과 동료의 사회적지지(OR=1.172, p<0.05)가 높을수록 분노조절군일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치과위생사의 자아존중감과 동료의 사회적지지의 수준을 높임으로써 치과위생사의 분노조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치과위생사의 분노조절능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치과의료기관의 업무능력에 따른 적절한 보상과 체계적인 보수, 복지제도의 마련, 최상의 능력을 발휘하여 업무능력을 인정받으려는 치과위생사의 노력, 그리고 현실적인 치과위생사의 업무를 보호할 수 있는 제도 마련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분노조절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 엘리트 육상 트랙 선수들의 은퇴 및 진로전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현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ttributes inherent behind retirement and analyze the problems of Korean track and field through narratives of elite track and field athletes who have won prizes at national competitions. Furthermore,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to pioneer a better life in the process of career transformation of retired track and field athletes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retirement background, retirement preparation, and career path of elite track and field athlet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the intentional sampling method and the narr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rough the narratives of the study participants, the experience of player life, retirement experience, and career conversion experience were examined, and the implications were analyzed by exploring common answer patterns. The main research data of this study are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field not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narrative research procedure presented by Clandin & Connelly (2000). The research texts are the analyzed data consisted of story maps in three areas, and temporal flow, logical association, and integration possibility are considered for the subcategories. The results from these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rack and field athletes felt uneasy about the uncertain future and the limitations of their careers throughout their careers. Track events based on simple movements have lower entry barriers compared to other events. As a result, facing a slump,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failed to survive in the thick layer of players and lost their competitiveness as players. The cause of their retirement was not just one factor, but at least two complex factors or more. All of the study participants showed that they decided to retire without hesitation if their capabilities were suspected or if they had a new goal. Second, two of the six study participants took retirement preparation behavior when they were athletes, and their retirement preparation behavior was better tha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However, whether athletes prepare retirement or not has an influence on the degree of anxiety of them, and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game performance ability, retirement preparation behavior, career consciousness, and retirement anxiety was connected complicatedly. Participants who had not prepared for retirement also showed remarkable resilience. All of the study participants showed a leading attitude of seeking their own career path without the help of others. Third, after retirement of the study participants, there were two occupational paths: sports and non-sports, cross-fit trainers, performance trainer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rack and field supervisors, hospital coordinators, car maintenance workers, and bus drivers etc. Participants in sports fields had relatively many positive effects on their career experience, and generally succeeded in changing career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Fourth, the difficulties the study participants in track and field had are a lack of leadership and expertise, carelessness in fostering and managing athletes in the business team, poor university environment, and discrimination based on performance.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ed explicitly th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domestic track and field world. The biggest difficulty for an athlete who ends his career early is his future pla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lub culture in which sports are encountered as part of leisure activities. If so, it will be able to escape the sexual supremacy of domestic elite sports focusing only on competition, and the issue of supply and demand and fostering of athletes in unpopular sports will also be smooth. In addition, we propose a study that contains various retirement experiences of track and field athletes regardless of age, sports, and skills, and a retirement follow-up study using quantitative research and follow-up research methods for sports athletes. 본 연구는 전국 대회에서 입상 실적이 있는 엘리트 육상 트랙 선수들의 내러티브를 통해 은퇴 이면에 내재된 속성을 탐색하고 한국 육상의 문제점을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나아가 추후 은퇴 육상선수의 진로전환 과정에서 보다 나은 삶을 개척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엘리트 육상선수들의 은퇴배경, 은퇴준비, 직업경로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참여자는 의도적 표본추출법에 의해 선정했으며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활용했다.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통해 선수생활 경험, 은퇴 경험, 진로전환 경험을 살펴보고, 공통된 답변 패턴을 탐색하여 함축적 의미를 분석했다. 심층면담, 참여관찰, 현장노트 등이 본 연구의 주요 연구 자료이며, 수집된 자료는 Clandinin & Connelly(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 연구 절차를 바탕으로 분석했다. 이에 분석된 자료는 세 개 영역의 이야기 맵으로 구성했고, 그에 속한 하위 범주들을 시간적 흐름, 논리적 연관성, 통합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연구 텍스트로 작성했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육상선수들은 선수생활 내내 불투명한 미래와 진로의 한계에 불안함을 느꼈다. 단순한 움직임을 바탕으로 한 트랙 종목은 다른 종목과 비교했을 때 진입장벽이 낮다. 이에 슬럼프를 맞이한 연구 참여자들은 두터운 선수층 속에서 살아남지 못하고 선수로서의 경쟁력을 잃어갔다. 이들의 은퇴원인은 단 한 가지의 요인이 아닌 최소 두 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했다. 연구 참여자 모두에게 자신의 역량이 의심되거나 새로운 목표가 생기면 주저하지 않고 은퇴를 결심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둘째, 여섯 명의 연구 참여자 중 두 명의 참여자가 선수 시절에 은퇴준비행동을 취했으며, 이들의 은퇴준비행동은 선행연구의 결과보다 풍부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선수 시절 은퇴준비여부가 은퇴 후 불안 정도에 미친 영향은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경기수행능력과 은퇴준비행동, 진로의식, 은퇴불안 등의 관계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은퇴 준비를 하지 않은 참여자들 역시 마찬가지로 놀라운 회복탄력성을 보였다. 연구 참여자 모두에게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 스스로 진로를 모색하는 주도적인 모습이 나타났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의 은퇴 이후 직업경로는 스포츠 분야, 비스포츠 분야 두 가지로 나타났으며, 크로스핏 트레이너, 퍼포먼스 트레이너, 체육교사 및 육상부 감독, 병원 코디네이터, 자동차정비원, 버스 기사 등이 있다. 스포츠 분야 직종에 종사하는 참여자들에게 선수생활 경험이 비교적 많은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대체적으로 빠른 기간 내에 진로전환을 성공했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이 겪은 육상 속 어려움에는 지도자의 역량 및 전문성 부족, 실업팀의 선수 육성 및 관리 소홀, 열악한 대학 환경, 성적에 따른 차별 대우 등이 있다. 이로써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육상계의 근본적인 문제점이 여과 없이 드러났다. 이른 시기에 선수생활을 마감하는 운동선수의 가장 큰 어려움은 진로이다. 이에 스포츠를 여가 활동의 일환으로 접하는 클럽화 문화가 조성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경쟁에만 매몰되는 국내 엘리트 체육의 성적지상주의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며, 비인기 종목의 선수 수급 및 육성 문제 또한 원활해질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연령, 종목, 실력 등을 불문하여 육상선수들의 다양한 은퇴 경험을 담는 연구와, 스포츠 선수를 대상으로 양적연구 및 추적연구 등의 연구방법을 사용한 추가 은퇴 후속 연구를 제안하는 바이다.

      • 하이드로 플루오로 올레핀 기반 혼합 냉매 예냉 수소 액화 공정

        이현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소는 청정에너지 연료로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수소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대규모 수소 운송 및 저장이 한계점으로 대두되었다. 액체 형태의 수소는 장거리 운송 및 장기 저장에 가장 적합한 옵션이지만, 액체 수소를 생산하는 것은 에너지 집약적 특성과 Ortho-Para 수소 이성질체 변환으로 인해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용 - 71 - 수소 액화 공정은 25~30%의 엑서지 효율에서 10~15kWh/kg의 에너 지가 소비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새로운 수소 액화 공정을 제안하였 다. 제안된 공정은 예냉, 냉각 및 액화 사이클의 3가지 냉각 사이클에 의해 촉진되는 혼합 유체 계단식 수소 액화 공정이다. 초기에 공정 비 에너지 소비(SEC)는 10.1kWh/kg(Case-I)이며, 이 공정은 혼합 알고리 즘 접근 방식을 통해 최적화 되며, 그 결과 최적화된 공정의 SEC는 8.83kWh/kg(Case-II)로 감소한다. 에너지 분석의 결과, 가장 에너지 집약적인 부분은 예냉 사이클인 것으로 분석된다. 예냉 사이클의 에너 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예냉 사이클의 다류 열교환기의 온도 열 흐름 복합 선도를 분석한 후 새로운 냉매, 즉 HFO-1234YF가 추가되었다. HFO-1234YF의 추가 후 SEC는 8.01kWh/kg로 감소하였다.(Case-III) 이후 에너지 절약 가능성을 추가로 평가하기 위해 Case-III 공정을 혼 합 최적화 접근 방식을 통해 최적화하였고, 최적화된 제안된 공정 (Case-IV)은 6.25kWh/kg의 SEC를 보여준다. 네 가지 경우 모두에 대 한 엑서지 분석이 수행되었고, 제안된 공정(Case-IV)은 49%의 엑서지 효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높은 엑서지 효율은 수소 액화에 대한 효율 적인 접근 방식을 검증하고, 공정 엔지니어가 에너지 효율적인 수소 액 화 공정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