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현진의 Three Pieces for ViolinⅠ,Ⅱ & Violoncello 분석연구

        이현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79

        Three Pieces for ViolinⅠ,Ⅱ & Violoncello is a music that written with a concept of atonality and is composed of three movements. This music is being developed toward the music having modern tone color by using more liberal Melodies, Rhythms, articulations, and special playing technics. The first and the third movements adopt ternary form and the second one takes variation form. Through each of subsection and transition makes it more liberal composition. In addition, the tone color of this music is determined by centralized intervals and harmony out of traditional tonality. Pattern of rhythm features are expressed as a feature of enlarged, reduced or detalied. In the other words, common factors for music(form, interval, rhythm) consistently spreaded out the whole melody and it is featured of modern sense and varied musical expression. This analysis provides another possibility of atonality and make us to anticipate more extended work of it. 본 논문은 현대음악 연구의 일환으로 이현진의 작품 Three Pieces for ViolinⅠ,Ⅱ & Violoncello를 분석함으로서 무조음악에서 나타나는 20세기 음악의 특징들을 고찰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양 음악양식을 역사적으로 관찰해보면 그것은 끊임없이 그리고 다방면으로 발전을 거듭해왔으며, 동시에 팽창의 역사로 일관되게 발전해 왔다. 특히 19세기 말 보다 다원화 되어진 시대 속에서 기존의 조성체계에서 벗어난 Richard Wagner(1813-1883)에 의한 반음계주의의 영향으로 출현한 무조음악(atonality)은 Arnold Schoenberg(1874-1951)를 중심으로 한 제 2비엔나악파에 의해 한층 더 발전되어 20세기의 중요한 양식으로 자리 잡았다. 본 논문은 무조음악의 개념을 기반으로 작곡된 Three Pieces for ViolinⅠ,Ⅱ & Violoncello를 분석한 것이다. 이는 3부분 형식과 변주형식이라는 전통적 형식 안에서 음정, 화성, 리듬, 박자 등의 기본적인 음악적 재료들이 현대적인 주법들과 다양한 음악적 표현과 함께 무조음악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표현되어지는가를 분석함으로 무조음악 작곡의 또 다른 가능성을 제시하며, 또한 앞으로의 창작활동에 반영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각 악장을 형식에 의해 Section으로 구분지어 작품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특징적 요소와 그 요소를 간의 상호 유기적 연관성들을 분석하였으며, 전체 형식과 구조 선율, 음색, 리듬 등을 연구하므로 이를 통해 곡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통일성과 다양성을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각 악장은 전통적 형식 속에서 보다 복합적이며 자유로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중심되어지는 음정과 화성이 곡 전체의 음색을 결정지어주며, 특징적인 리듬의 패턴이 변박, 확대와 축소 또는 세분화되어지며 해결되어지고 있다. 이를 현악기의 다양한 주법과 아티큘레이션, 극적인 다이나믹 등의 사용으로 보다 자유롭고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3개의 악장은 전통적인 요소와 함께 공통적인 음악적 재료들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특징지어 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작은 음악적 아이디어는 곡 전반에 걸쳐 연결시켜주는 공통의 요소일 뿐만 아니라, 특징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의 분석을 통해 무조음악 작곡의 또 다른 가능성을 제시하며, 보다 발전된 작품 활동으로의 반영이 기대되어 진다.

      •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이현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 전공 이현진 지도교수 김은경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및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은 어떠한가? 2.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및 영유아권리존중 실행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의 결과도출을 위해 서울특별시와 경기도·경상도 소재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총 245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2021년 3월 25일부터 4월 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측정은 성복련(2010: 94-96)이 개발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설문지를 수정·보완한 김옥남(2016: 19-20)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둘째, 아동학대 인식 측정은 김소희(2014: 84-176)가 개발한 “영유아교육기관 내 아동학대 인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셋째,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대한 측정은 서울시육아종합지원센터가 2015년에 개발한 개발한 “영유아권리존중 자가 체크리스트”를 수정·보완한 이은화(2020: 27-29)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및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의 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상호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영유아권리존중 실행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을 토대로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보육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실마리가 되길 기대하며, 혼신의 힘을 다해 영유아 보육에 힘쓰는 분들의 노고가 더 이상 헛되질 않기를 바라본다.

      • 상담학 이론에 기반한 자문화기술지 개념 및 연구유형 탐색

        이현진 인제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상담은 개인을 상대로 하지만, 개인은 물론 그 사람이 속한 사회의 변화에도 관심을 가진다. 자문화기술지가 상담학 분야에서 연구되는 이유는 바로 자기와 타인, 사회에 주목하기 때문이다. 상담은 한 사람 뿐만 아니라 그 사람이 속해 있는 사회에서의 타인, 사회와의 상호작용에도 관심을 가진다. 또한 우리가 속해 있는 사회는 타인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문화 등이 상호작용하면서 끊임없이 변화한다. 이러한 상담적 맥락은 자기(self)와 타자(other) 간의 공유된 문화적 현상을 자기의 경험을 중심으로 밝혀내는 방식인 자문화기술지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상담학분야에서 자문화기술지 연구는 2015년부터 시작하여 그 수가 증가 하고 있다. 하지만 상담학 이론에 기반한 자문화기술지에 대한 개념적 정의도 내려지지 않을 만큼 문헌적 연구가 부족하고 지금까지 상담학 분야에서 자문화기술지로 연구되어진 대부분은 상담학 관점에서의 자문화기술지라기 보다는 연구자의 관점에서 연구된 것으로 각 연구자마다 연구방법에서 혼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상담학 분야에서의 자문화기술지의 기초적인 이론적 토대를 확립하고자 상담학이론에 기반한 자문화기술지의 개념 및 연구 유형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담학 이론과 자문화기술 연구방법을 문헌고찰하여 상담학 이론에 기반한 자문화기술지 개념을 도출하였고, 상담학 분야에서 학술지로 연구되어진 자문화기술지 28편을 체계적 문헌고찰하여 상담학 이론에 기반한 자문화기술지 연구유형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이 실제로 상담학적 관점과 관련이 있고 개념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담학 이론에 기반한 자문화기술지의 개념을 도출하기 위한 문헌 고찰의 결과로는 자문화기술지의 정의와 자서전과 문화기술지의 자문화기술지 연속체가 상담학의 정의와 개인, 타인, 상호문화적인 상담의 연속체로 연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문화기술지의 3요소인 자(auto), 문화(ethno), 기술(graphy)이 상담 이론에서의 인간관, 세계관, 상담과정과 연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자문화기술지 연구과정은 상담의 과정과 관계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담학 이론에 기반한 자문화기술지 연구 유형을 탐색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의 결과로 상담학 이론에 기반한 자문화기술지 연구유형은 자기분석적 자문화기술지, 관계중심적 자문화기술지, 상호문화적 자문화기술지로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상담학 분야에서 자문화기술지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자문화기술지 연구 유형을 탐색함으로써 상담학 분야에서의 자문화기술지의 개념 정의와 이론적 체계 정립을 위한 시도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상담 연구가 상담 실천의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 이루어진다고 할 경우 상담 실천과정에서 생겨나는 질적인 변화과정은 다양한 연구방법이 활용되어야 한다. 그 방법으로서의 하나인 자문화기술지 연구는 상담자의 자기성찰 및 자기이해를 넘어 내담자와의 관계, 상호문화적인 것을 이해함으로써 상담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연구로서 효과적일 것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 상담학 이론에 기반한 자문화기술지 개념 및 연구 유형을 탐색하는 시도가 상담학 부분에서 연구방법의 한계와 장을 넓혀가는 계기다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공간구조와 이동부하를 고려한 실내 대피 경로 알고리즘

        이현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실내 공간에 대한 3차원 모델과 실시간 센서 및 실내 측위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건물에서 화재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다양한 실내 센서로 부터 취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피난자들을 안전하게 출구로 유도할 수 있는 실시간 방재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센서를 통해 건물의 현재 인원을 파악했다 하더라도 최적으로 전체인원을 소진할 수 있는 대피 경로 산출에 대한 알고리즘은 찾아보기 힘들다. 대부분의 대피경로 안내는 개개인 마다 출구까지의 최소거리 또는 최소시간을 가지는 경로를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통한 대피 경로 산출 방법은 건물에 다수의 출입문이 존재하는 경우 가장 접근성이 좋은 한곳의 출입구에 치우쳐 경로 안내를 하는 문제가 있어, 재실자의 분포에 따라 출입문이나 계단 등에서 발생하는 병목현상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한된 공간에서 모든 재실자가 가장 빠른 시간 안에 대피하여야 하는 상황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피자가 안내된 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동안 지체와 병목현상이 일어날 공간을 예측하여, 대피자들이 이 구간을 우회할 수 있도록 경로를 배정하여 건물 전체 인원이 보다 빠른 시간 안에 소진되도록 하는 대피경로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교통공학의 All-or-Nothing 배정기법과 시간 가변적 네트워크 구조를 이용하였다. 먼저, 보행속도와 밀도의 관계 함수인 링크비용함수를 정의하고 All-or-Nothing 기법에 적용하여 링크에 걸리는 부하에 따라 경로 통행시간이 변화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서 복도에 인원이 증가할수록 보행속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반영하여 지체를 고려한 대피시간을 산출하였다. 둘째, 시간 가변적 네트워크 구조를 활용하여 각 링크에서 시시각각 변동하는 이동부하를 고려하기 위해서, 건물 대피시간을 일정 시간 구간으로 나누고 단위 시간마다 링크에 부하되는 인원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시간마다 저장된 인원은 그 시간의 혼잡도를 의미하기 때문에, 변화하는 네트워크의 혼잡상황을 반영한 대피시간을 산출할 수 있었다. 제시된 알고리즘은 실내 공간을 표현하는 간단한 네트워크 구조에서 실험하였으며, 각 방에 재실하는 인원을 변화시키면서 각 방의 대피경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알고리즘에서 제안한 세 가지의 배정 시나리오를 통해 산출된 경로를 비교하여 각 시나리오의 장⦁단점을 분석하였으며 기존의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통해 산출된 대피경로와의 비교 분석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안한 알고리즘이 최단경로 탐색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지체현상을 고려한 보다 현실적인 경로를 산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ly, research in Three-Dimensional Models for interior space, real-time sensor and indoor posi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has become active. In addition, research on real-time disaster preventing system, which is capable of inducing evacuees in safety on the basis of acquired information from a variety of indoor sensor and of detecting fire in the building in real time, has been highly regarded. Even though the present numbers of people in the building gets a head count through the sensor, we could rarely find algorithm on calculating a route planning for an indoor evacuation which is able to optimally reduce the entire number of people. For the most part, evacuation route guidance plays a role in letting the each individual evacuee know the minimum-distance or minimum-time paths. However, route estimation method through shortest route algorithm can have issues, which guide route focusing on one-sided exit which is the best accessibility in case there are many gates. So This can add to a bottleneck situation in gate or stairway etc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evacuee. Therefore, the existing algorithm is not appropriate for applying to a situation where all evacuees should evacuate in the restricted space within the fastest times. This paper aims to predict the space which can happen delay and a bottleneck situation while evacuees move according to the guided route and to search the evacuation route in order to reduce the entire number of people in the building as soon as possible through assigning the path in order for evacuees to make a detour this section. To tackle this problem, this paper utilized All-or-Nothing assign technique and time variable network structure in traffic engineering. First of all, I defined the link cost function, which is walking velocity and relation function of density, and changed travel-time considering loaded link through applying All-or-Nothing technique. Through this, this paper can measure an evacuation time considering delay applied phenomenon, as the number of people in the hall way is increasing, walking velocity is decreasing. Secondly, this paper can accumulate evacuee loaded to link by the unit of time through dividing evacuation time into a certain time in order to consider hourly changing moving load by the help of time variable network structure. Because saved evacuees by each time mean degree of congestion of the time, this paper is able to calculate evacuation time applied crowded circumstances of variable network. Next, suggested algorithm was experimented in network structure representing indoor space. As a process of experiment, I analyzed the change of evacuation route, altering the number of evacuees who are occupying in each room. I analyzed the each scenario’s strengths and weaknesses by comparing calculated route through suggested 3 assign scenarios. In addition, I demonstrated effectiveness of suggested algorithm by comparative analyzing estimated evacuation route with existing shortest path algorithm. As a result, I verified calculating more realistic route considering congestion delay phenomenon using proposed algorithm through this process in comparison with shortest path finding algorithm.

      • 급성 허혈성 뇌졸중과 수면호흡장애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이현진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Background and Purpose: Sleep-disordered breathing (SDB) is suggested to have a strong association with ischemic strokes. Risk factors, stroke subtypes, stroke lesion distribution and the outcome of SDB in stroke patients are not fully studied in Korea. Methods: We prospectively studied 293 patients (159 men, 134 women; mean age, 68.4 ± 10.5 years) with acute ischemic strok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troke severity, sleep-related onset of stroke and distribution of stroke lesions were assessed. Stroke severity was assessed by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and modified Rankin Score (mRS). The apnea-hypopnea index (AHI) was determined 6.3 ± 2.2 days after stroke onset with a portable sleep apnea monitoring device. Results: The prevalence of SDB (determined by AHI ≥10) was 63.1 % (111 men, 74 women). The SDB group showed older age, higher NIHSS and mRS, higher incidence of bulbar weakness and sleep-related onset of stroke. Stroke outcome which was measured by 3-month mRS was worse in the SDB group. Distribution of the stroke lesion or specific stroke syndrome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Alcohol consumption and atrial fibrillation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SDB in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s: We suggest that the SDB may be a cause or result of the ischemic stroke.

      •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놀이성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현진 우석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Influence of paternal parenting attitude on children's playfulness and social development. Lee, Hyun Jin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Major in Child Welf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Supervised by prof. Kim Ki Hyu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Influence of paternal parenting attitude on children's playfulness and social development. Henc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are settled to study this relationship. First, how is paternal parenting attitude? Second,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ernal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playfulness and social development? Third, how is the paternal parenting attitude affect children's playfulness? Fourth, how is the paternal parenting attitude affect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Fifth, how is children's playfulness affect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This research was targeted to the fathers who have children aged 3~5 of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Iksan-si. Also, the measurement of playfulness and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was done by their home-room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ffection level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father's age, and fathers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were more affectionate and democratic, with consistent parenting attitude. In terms of the father's career, fathers with their own career tend to more affectionate and democratic, than jobless fathers. In terms of the number of children, fathers with less children tend to have more democratic attitude, while fathers with more children intentionally treat their children with less cares and indifference. Second, paternal parenting attitude also influences the playfulness and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Among the sub factors of parenting attitudes, affection, independence, intentional indifference parenting attitude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children's playfulness. AS well, the sub factors of parenting attitudes, independence and consistent parenting attitude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ocial development of the children. Third, among the sub factors of parenting attitudes, affectionate attitud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spontaneity and cognitive spontaneity of playfulness's sub factors. The paternal independence parenting attitude has an effect on the social spontaneity among the sub factors of playfulness of children. Also, intentional indifferent attitude of parenting factor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hysical spontaneity among the sub factors of children's playfulness. Fourth, among the factors of paternal parenting attitudes, affectionate attitude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 number of factors of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friendliness, activeness, social adaptiveness. In addition, among the factors of paternal parenting attitudes, consistent attitude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hildren's social adaptiveness, which is the factor of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Fifth, among the factors of children's playfulness;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expression of enjoyment, and sense of humor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following factors of social development: friendliness, activeness, expressiveness, and activeness. Besides, the following factors of the children's playfulness: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following factors of social development: social adaptiveness. 국문초록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놀이성 및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이현진 지도교수 김기현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놀이성 및 사회성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버지의 양육태도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 및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놀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사회성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사회성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익산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3세 ~ 만 5세까지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양육태도를 조사하였으며 유아의 놀이성 및 사회성발달에 관한 평정척도는 담임교사가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연령에 따라 애정적 태도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애정적이고, 민주적이며 일관적 양육태도를 보인다. 아버지의 직업에 있어서는 직업을 가지고 있는 아버지가 무직인 아버지보다 더 애정적이고, 민주적인 경향을 보이고 자녀의 수에 따라 자녀의 수가 적을수록 민주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고, 자녀의 수가 많을수록 양육 시 의도적으로 무관심하게 자녀를 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놀이성 및 사회성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아버지의 양육태도 하위요인 중 애정적, 자율적, 의도적 무관심 양육태도가 놀이성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아버지의 양육태도 하위요인 중 자율적, 일관성 양육태도가 사회성발달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태도의 하위요인 중 애정적 태도가 유아의 놀이성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자발성과 인지적 자발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아버지의 양육태도의 하위요인 중 자율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놀이성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자발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의 양육태도의 하위요인 중 의도적 무관심적 양육태도는유아의 놀이성의 하위요인 중 신체적 자발성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의 양육태도의 하위요인 중 애정적 태도와 사회성 발달의 하위요인 중 친밀성, 활동성, 사회적응성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율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하위요인 중 활동성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의 양육태도의 하위요인 중 일관적 태도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응성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의 놀이성의 하위요인 중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은 사회성 발달의 하위요인 중 친밀성, 적극성, 표현성, 활동성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고 유아의 놀이성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은 사회성 발달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적응성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외식 서비스 직원의 고객관련 직무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 감정지능을 조절효과로 -

        이현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외식 서비스 직원의 고객관련 직무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고객관련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에서 개인적 요소인 감정지능이 어떠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외식 서비스 직원은 대부분의 근무시간을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고객들과 보내기 때문에 고객으로부터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는데(Domann & Zapf, 2004), 외식 서비스 직원의 직무 스트레스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고객관련 직무스트레스이며, 외식 서비스 직원의 고객관련 직무스트레스는 스트레스 반응인 소진과 무관심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인 고객관련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요인으로 언어폭력, 과도한 기대를 선정하였고, 종속변수인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요인으로는 소진과 무관심을 선정하였다. 조절변수인 감정지능에 대한 요인으로는 자기감정, 타인감정, 동기부여, 감정조절을 선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양식레스토랑에 근무하는 외식 서비스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229부의 유효한 표본을 얻었다. 분석은 SPSS Startistics 22를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관련 직무스트레스가 소진과 무관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언어폭력과 과도한 기대 모두 소진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언어폭력이 무관심에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식 서비스 직원이 고객으로부터 과도한 요구를 받거나 언어적 폭력을 당하는 것이 스트레스 원인이고, 이로 인해 직업에 대한 부담감이 늘고 열정이 줄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고객관련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감정지능의 조절효과를 실시한 결과 과도한 기대와 소진의 관계에서 감정조절과 동기부여의 조절변수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외식 서비스 직원이 스스로 동기부여를 하고 감정조절을 잘 할수록 직업에 대한 소진과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언어폭력과 소진과의 관계에서는 타인감정의 조절변수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결과는 외식 서비스 직원이 타인의 감정과 생각을 잘 이해하기 때문에 고객으로부터 언어적 폭력이 가해져도 소진을 감소시킬 것이라고 설정한 가설과 상반되는 결과로 타인의 감정을 잘 파악하고 이해하는 사람일수록 타인의 감정을 너무나도 잘 알기 때문에 고객으로부터 언어적 폭력을 받으면 오히려 직업에 대해 더 많은 부담감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has a purpose in studying how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a job stress related to customers of restaurant service worker has on stress reaction and in the relationship of stress reaction how an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is one of the personal factors has control effect. As restaurant service workers mostly provide their working time to the customers which they receive signifiant stress (Domann & Zapf, 2004), and restaurant service worker’s customer related job stress gives direct effect to exhaustion and indifference which are the stress reactions. This study selected verbal violence and high expectation as factors of customer related job stress which are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as factors for stress reaction which are dependent variable, exhaustion and indifference were chosen and for moderating variables, self-feeling, other’s feeling, motivation and emotion control were selected. For analysis of actual proof,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ed restaurant service workers who work in Western food restaurant located in Seoul and collected 229 useful sample. For analysis, analysis on primary factor, reliability analysis, analysis of frequency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s 22. Summarizing the results collected in the study, is shown below.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e effect customer related job stress has on exhaustion and indifference, verbal violence and high expectation both showe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and it showed that verbal violence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indifference. This indicates that restaurant service workers get stress from customer’s unreasonable demand or verbal violence and due to this, the pressure on job and passion on job decrease.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control effect of emotion intelligence in influencing relationship that customer related job stress has on exhaustion, in a relation between high expectation and exhaustion, the moderating variables of emotion control and motivation have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This shows that as restaurant service worker can motivate themselves and control their emotions better, they can reduce exhaustion and pressure of their jobs. Third, it is seen that in a relation of verbal violence and exhaustion, the moderating variable of other’s feeling sowe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and this is an opposing result with a hypothesize that restaurant service worker will reduce the exhaustion although there is verbal violence from the customers as they understand other’s feeling, but it rather shows that as a person understand other’s feeling, they receive more pressure on job when the verbal violence because they fully understand other’s feeling.

      • 영어교사의 교수유형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현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teaching styles of English teachers and to determine how teachers' teaching styles in English classes affect students' learning attitudes in English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se analyses in this study were 102 English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144 middle school students in Iksan, Jeonbuk province.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available in SPSS for Windows 15.0 program were employed to identify the teaching styles among English teachers. In addition, the compatibility of analyzed teaching style clusters was checked by using the One-Way ANOVA and Scheffe. The 144 student subjects were also asked to respond to the Lidert type scales that measured their perceptions of their own teachers' teaching styles. Then, the student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y perceived their two teachers: one group that saw their teachers' teaching positively, that is, those who were one standard deviation from the mean of all components of teaching and the other group that considered their teachers' teaching quite negatively. The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English teachers' teaching styles may be classified into four: proficiency-based instruction style (49), achievement-based instruction style (37), affect-based instruction style (9) and Autonomous learning-vased instruction style(7). The result from the student data indicated that the more positively the students perceived their teachers' instruction positively, their self-assessments of their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their attention to English learning, their desire to learn and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tended to go higher. In order to investigate which style of a teacher affects students' English learning attitude positively among the above mentioned teacher styles, One-Way ANOVA and post hoc test (Scheff壹一) concerning a group of recognizing English teacher as each style strongly were administered. As a result, the learning assistance teaching sty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p<.05 level, compared with the level-guidance style. According to these results of this study, English teacher as learning assistance teaching style, was to be more affirmative in achievement motivation element of English learning attitude.

      • 4-step 위상천이 디지털 홀로그래피를 이용한 쌍방향 광 암호화 및 전송 시스템

        이현진 수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proposes a new encryption, decryption and transmission technique of information such as bit data and cipher key code based on 4-step phase-shifting digital holography for a security system. Digital holography is used for recording phase and amplitude information on CCD camera. 4-step phase-shifting digital holography is implemented by moving the PZT mirror with equidistant phase steps of π/2. The information and the cipher key are converted to phase patterns with random phase mask. Digital holograms in this method are Fourier transform hologram and are quantized with 256 gray level. The basic idea is that we reuse a 256 gray-level digital hologram to encrypt the information or the cipher key with step phase-shifting digital holography. The encrypted binary data/image in the form of digital hologram can be transmitted through communication digital network, and is reconstructed and decrypted digitally. Decryption error is generated from quantization error of the detected intensities on CCD, and is generated from adopting the incorrect key to the reconstructing procedure. Computer simulations show the graph to analyze the Quantization Error and the incorrect key error in the proposed system, and that the proposed method gives good results for a successive encryption, decryption, and transmission.

      • 코퍼스를 활용한 어휘과업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이현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s and findings in the field of corpus linguistics shed much light on ESL/ESP syllabuses and teaching materials, and yet the actual use of corpora in language classroom is quite limited.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orpus-based vocabulary task upon the vocabulary acquisition of English learners in an attempt to link corpus linguistics and EFL language classroom. For this to be realized, a total of 40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over a 4-week period. An experimental group used a set of corpus-based tasks for vocabulary learning whereas a control group carried out a traditional task, the L1-L2 translation, for vocabulary learning. The students completed the pre- and post-treatment tests measuring the word form, meaning, and use aspects of target vocabulary items to assess learning gains. Results indicate tha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rpus-based vocabulary task was helpful for the learning of word forms and use. In particular, corpus-based benefits were greatest for the collocation aspects of use of low-proficiency EFL learner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s to the meaning aspects of vocabulary.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 group, the traditional vocabulary task benefited the form and meaning aspects of target vocabulary items although it failed to facilitate the collocation use of target words.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language proficiency levels and vocabulary task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orpus-based vocabulary tasks and the L1-L2 vocabulary tasks are complementary exercises. Specifically, students can raise language awareness as to collocation and typical phrases by exploring corpus data and simultaneously they can usefully and effectively resort to the L1-L2 vocabulary task for the meaning aspects of target words. Additionally,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most students were positive about the corpus experience, although some expressed reservations about the heavy cognitive load and the time-consuming nature of the analysis of corpus data primarily due to lack of language proficiency of learners. Further corpus-based or corpus-informed researches still remain to be done in the context of language pedagogy in order for many significant developments in the field of corpus linguistics to be mediated in light of their implications for language teaching and to provide new pedagogical insights for language teachers. 컴퓨터 기술의 눈부신 발전과 함께 최근 10년간 많은 코퍼스 기반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나 코퍼스 언어학 연구와 교육 현장의 격차가 지적되면서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코퍼스 활용 연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중·상위권의 언어 능력 수준에 도달한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코퍼스 기반 연구의 편중성 또한 다양한 언어 발달 단계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또한 ESL상황에서 영어를 습득하는 상황과는 다른 국내 EFL영어 교육 현장에 적합한 코퍼스 활용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고등학교 2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웹기반 어구 색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에 학습 어휘가 사용된 코퍼스 용례를 추출하여 빈칸 채우기 과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모국어를 사용한 전통적인 번역식 어휘과업을 실시하여 어휘 학습에 대한 코퍼스 활용의 효용성을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설문 조사를 통해서 코퍼스를 활용한 언어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정의적 반응을 고찰하였다. 실험은 4주 동안 7차시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사전 평가 결과와 사후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어휘과업의 효용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질문으로, 첫째, 코퍼스 기반 어휘과업이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전반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고 이를 세부적으로 Nation(2001)이 제시한 어휘의 형태, 의미, 사용 능력으로 구분하여 코퍼스 활용의 효용성을 면밀히 연구하였다. 둘째, 코퍼스 기반 어휘과업이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에 따라 구분되는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살펴보았다. 한국 영어 수업현장에서 실시된 실험 이전과 이후의 어휘 능력에 대한 평가와 코퍼스 기반 어휘 학습에 대한 설문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질문에 대한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어휘과업이 학습자의 전반적인 어휘 학습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코퍼스를 활용하여 어휘과업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전통적인 번역식 어휘과업을 시행한 통제집단 모두 전반적인 어휘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한편 어휘과업이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미친 영향을 세부적으로 어휘의 형태, 의미, 사용 능력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의 형태 학습에 있어서 실험 이전에 비해 실험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에 더하여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에 따라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또한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 모두의 어휘 향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양한 자연 언어를 접하면서 어휘의 형태를 학습할 수 있는 코퍼스 기반 어휘과업과 모국어 사용으로 어휘의 형태와 의미를 인지적인 부담 없이 간단하고 정확하게 연결하여 비문맥적인 상황에서 어휘의 형태를 학습할 수 있는 전통적인 번역식 어휘과업이 어휘의 형태 학습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코퍼스 기반 어휘과업이 어휘의 의미 학습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실험집단에 비해 통제집단이 어휘의 의미를 보다 성공적으로 회상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통제집단은 상·하위 학습자의 사후 평균이 사전에 비해 모두 향상되었지만 실험집단은 상위 학습자의 사후 평균은 사전에 비해 향상된 반면 하위 학습자의 사후 평균은 사전에 비해 다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아직 문지방을 넘지 못한 하위 학습자들은 부족한 목표어 능력으로 인하여 자연 언어 텍스트를 통해 어휘의 대표적인 의미 외에도 문맥에 적절한 다양한 의미를 학습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던 것을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코퍼스 사용이 입문단계 이상의 영어능력을 지닌 학습자에게 적합하다는 Hunston(2002)의 주장을 뒷받침하여 준다. 다른 한편으로는 기본 어휘군을 학습하는 한국 고등학교 학습자들에게는 어휘의 의미 학습에 있어서 문맥이 배제되고 모국어를 사용한 어휘 학습 전략이 효과적임을 함의한다(Clipperton, 1994; Schmitt, 1997). 이는 통제집단의 모국어 번역 활동이 코퍼스 기반 어휘 활동에 비해 학습 어휘의 다양한 의미를 더 간단하고 분명하게 설명가능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Chun & Plass, 1996; Laufer & Shmueli, 1997). 셋째, 코퍼스를 활용한 어휘과업이 어휘의 사용 학습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더 높은 어휘 성취도를 보여주었다. 통제집단의 어휘 성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실험집단의 어휘 향상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연 언어로 구성된 코퍼스 자료가 진정성 있는 텍스트로서 다양한 맥락에서의 어휘 사용에 노출되는 기회를 제공하여 어휘와 어휘의 조합을 나타내는 연어 학습을 도모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DeCarrico, 2001). 아울러 Thurstun과 Candlin(1998)의 주장처럼 코퍼스 기반 어휘과업은 어휘구의 반복적인 용례를 나타내는 연어 사용과 같은 어법에 대한 인식을 환기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모국어를 사용한 어휘과업이 개별 어휘의 형태나 의미학습에는 효과적이지만 어휘와 어휘의 조합을 나타내는 어휘의 사용 학습에 있어서는 코퍼스 기반 어휘과업에 비해 효과가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제시하는 교육학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어휘와 어휘의 조합을 나타내는 연어 학습에 유용한 코퍼스 기반 어휘과업과 개별 어휘의 의미에 대한 간단한 이해를 돕는 번역 어휘과업이 어휘 학습에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모국어를 사용하는 전통적인 번역식 어휘과업은 학습 어휘의 의미를 간단하고 명확히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반면 비문맥적인 입력이라는 한계로 어법과 같은 어휘의 사용 능력을 증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Kim, 2002). 이러한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어휘 활동이 문맥 안에서의 어휘 사용을 도모하는 코퍼스를 활용한 어휘과업인 것이다. 따라서 EFL 환경에서 기본 어휘군 학습을 목표로 하는 한국 고등학교 학습자들에게는 번역식 어휘과업과 코퍼스 기반 어휘과업의 상호보완적인 활용이야말로 한국 영어교육 환경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코퍼스를 활용한 어휘과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코퍼스를 사용한 어휘과업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이와 동시에 많은 선행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코퍼스의 시간소모적인 분석과 인지적 부담을 코퍼스 기반 과업의 어려움으로 지적하였다(홍선이, 오선영, 2008; Kennedy & Miceli, 2001; Yoon & Hirvela, 2004). 학습자들의 이러한 반응은 코퍼스 기반 과업을 실시할 때 학습자의 언어 수준에 적합하게 코퍼스의 양과 길이에 대한 통제가 필요하며 코퍼스 분석과 어구 색인에 적응하기 위한 충분한 훈련 기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충분한 훈련 기간에 걸쳐 실제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언어 발달 단계에 적합한 코퍼스를 활용한 과업이나 수업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특히 한국 학습자의 언어 수준에 맞게 코퍼스의 양과 길이를 통제하여 점진적으로 코퍼스를 활용한 학습에 익숙해지도록 지도하여 표층적인 수준에서 기계적으로 일반적인 어휘 의미를 학습하는 것에서 나아가 다양한 문맥에서의 어휘 사용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더하여 어휘와 문법을 개별적으로 구분하기 보다는 어휘와 어휘의 조합, 어휘와 문장 구조의 연관, 혹은 어휘와 담화 구조의 연결 등 유기체적인 접근 방식으로 어휘 학습을 도모할 때 실제로 전달하고자 하는 어휘의 의미를 의사소통상황에서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