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현옥의 시와 시론 : 상처, 시로 소통하다

        이현옥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79

        왜 쓰는가? 세상을 고발하기 위해 쓴다고 말하는 시인도 있을 것이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표현하지 않을 수 없어서 쓴다는 이도 있을 것이고 삶의 깨달음을 전달하고 공감하기 위해서 쓰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필자를 포함한 많은 시인들은 내면의 상처를 견딜 수 없어서 쓰는 이들이 대부분일 것이다. 상처는 시간이 약이라고 한다. 그러나 시간이 모든 상처를 치유해 주지는 못한다(Time doesn't heal all wounds.). 시간이 흘러도 우두자국처럼 남아있는 흔적, 그것은 육신의 상처보다도 마음의 상처가 훨씬 더 크고 깊다. 그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혹은 승화시키기 위해 시인은 시를 쓰는 것이다. 치유력이 강한 시를 얻기 위해 시인은 치열하게 자기 상처를 대면하고 상처와 싸우는 것이다. However, it leaves something to be desired because it is read easily. The one way to penetrate the heart of readers deeply is on concreteness of poetry. If the poetry has abstract language and narrative structure, it would have an advantage to come to readers easily. On the other hand, the poetry is floating in the air and fails to penetrate the heart of readers very often. I think my poetry is mostly abstract.

      • 단안시와 양안시의 굴절이상도 차이에 대한 연구

        이현옥 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굴절검사는 타각적 굴절검사(objective refraction)와 자각적 굴절검사(subjective refraction)로 나뉜다. 타각적 굴절검사에서는 검영법(retinoscopy) 또는 자동굴절검사(auto-refraction)등이 대표적인 굴절검사 방법이다. 이러한 굴절이상 측정은 단안시 상태에서 측정해 왔고 안경에 의한 굴절교정을 함에 있어서 단안시 상태의 굴절이상도를 사용해 왔다. 하지만 실생활에 있어서 눈은 양안 동시에 사물을 주시하고 따라서 굴절이상도를 교정함에 있어서 양안시 상태에서 굴절이상도를 평가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어 단안굴절검사, 양안개방 굴절검사, 편광이색균형검사의 측정결과를 비교하고자한다. 16세~39세의 남녀 100명을 대상으로 기본 문진, 예비검사, 타각적 굴절검사, 자각적굴절검사, 사위검사, 융합력검사를 실시하였다. 자각적 굴절검사는 단안굴절검사. 양안개방 굴절검사, 편광이색균형검사를 측정하여 단안굴절검사와 양안개방 굴절검사를 비교하고, 편광이색균형검사와 단안굴절검사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령, 성별, 사위도, 수평이향융합력에 따른 단안굴절검사와 양안굴절검사, 편광이색균형검사 차이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근시분류에서는 중도근시와 고도근시에서, 검사방법에서는 단안굴절검사와 양안굴절검사에서, 연령분포는 10대에서, 성별에서는 여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사위검사는 Howell 사위카드를 사용하여 원거리, 근거리 사위도 및 AC/A (gradient AC/A)를 원거리 완전교정 상태에서 –1.00 D 플리퍼를 가입하여 측정하고, 근거리 사위도는 ±1.00 D 플리퍼를 사용하여 측정 비교하였다. 사위도 및 AC/A 분류 비교에서 정위군만 검사 간 차이를 나타내고 내사위군, 외사위군에서는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원거리 융합력은 주시거리를 3 m로 유지한 상태에서 프리즘 방향을 base-in (BI)과 base-out (BO) 각각 부가하여 분리점과 회복점을 측정하고, 근거리 융합력은 주시거리 40 cm를 유지한 상태에서 프리즘의 방향을 BI과 BO 각각 부가하여 분리 점과 회복 점을 측정 비교하였다. 분류에서는 큰 차이가 없게 나타났지만 단안굴절검사와 양안개방 굴절검사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굴절검사를 교정함에 있어서 양안개방 상태에서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중심 단어 : 단안굴절검사, 양안개방 굴절검사, 편광이색균형검사, 사위도, AC/A비, 수평이향 융합력. Refraction examination is classified as objective refraction and subjective refraction. Also, objective refraction is referred to retinoscopy or auto- refraction. The refractive error has been measured in monocular status, and it has been used the degree of refractive error in monocular status that in order to correct refraction with the glasses. However, in real life both eyes should focus on an object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correct the degree of refractive error, the necessary thing is on the rise to estimate the degree in binocular status. This is for comparing the result of monocular refraction, binocular refraction, and Polaroid red-green test measurement. It is accomplished that case history script, entrance tests, objective refraction, subjective refraction, lateral phoria, and horizontal vergences for targeting a hundred men and women aged 16-39. The subjective refraction measures monocular refraction, binocular refraction, and Polaroid red-green test to compare between monocular refraction and binocular refraction, also to analyze about monocular refraction and Polaroid red-green test. According to age, sex, phoria, and horizontal vergence, it is compared and analyzed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monocular refraction, binocular refraction, and Polaroid red-green test. Statistically, the result shows similarity (p<0.05) in many different ways: middle myopia and high myopia in myopic category, monocular refraction and binocular refraction in examination way, teenage in age range, and finally women in sex category. A phoria examination uses Howell phoria card to measure long distance, short distance, phoria, and AC/A (gradient AC/A) in long distance perfect-correct status. And, it also uses to measure added -1.00 D flipper. The gradient of phoria in short distance is compared and measured by using ±1.00 D flipper. In classification of phoria and AC/A, only ortho h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amination,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eso phoria, exophoria. The vergence in long distance is measured break point and recovery point to add prism direction each of base-in (BI) and base-out (BO) in retained status 3 meters as a preview distance. The short range vergence is measured the same break point and recovery point in maintained status 40 centimeters as a preview distance.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the myopic classification bu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monocular refraction and binocular refraction. As seeing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the refraction which is in making the correction has got to evaluate in binocular refraction status. Key words: monocular refraction, binocular refraction, polaroid red-green test, phoria, horizontal vergence.

      • 그림책을 활용한 저학년 독서치료 방안

        이현옥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에서는 그림책 중심의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정서적 문제나 문제 행동이 있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적용하고 그림책을 활용한 효과적인 독서치료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림책 중심의 저학년 대상 독서치료 방안이 시급하다고 보고 독서치료 프로그램 사례를 연구하여 독서치료 연구의 작은 발판을 마련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참여자와 상담자와 매체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연구대상 개인의 행동 및 언어 변화를 다각적이고 입체적으로 관찰 분석하여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연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일상생활 중에 아동의 행동을 관찰기록하고 독서치료 회기별 아동의 반응을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연구자는 연구대상 아동에게 관찰하고 있음을 숨기고 관찰하는 완전참여관찰을 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 및 행동문제가 있는 저학년 아동은 그림책 속에서 자신의 상황과 비슷하거나 동질감을 느끼는 주인공을 통해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고 개선하기 위한 동기부여를 받는다. 또한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 과정을 통해 아동은 자신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과 실천 과제를 찾으며 더 나아가 친구관계에서의 부정적인 행동이 감소하였고 긍정적인 교우관계 형성의 기초를 만들 수 있었다. 이는 독서치료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활동을 통해 그 동안 접하지 못했던 상황을 경험하고,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를 넓혔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독서치료를 하고자 할 때는 대상 아동의 개인의 특성이나 문제 상황과 비슷하고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그림책을 선정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며 저학년 대상의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개별적 특성을 최대한 고려하여 구안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신증후군 소아에서 스테로이드에 의한 골밀도 감소에 대한 ALENDRONATE의 효과

        이현옥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AND OBJECTIVE: Glucocorticoid-induced osteoporosis or bone loss is one of adverse effects in pediatric patients with long-term use of steroids for nephrotic syndrom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lendronate on steroid induced bone loss in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METHODS: In this randomized and controlled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alendronate 70mg, given weekly for 12months, on bone mineral density (BMD) in children with steroid induced osteoporosis. The primary outcome measures were the percent change in bone mineral density of lumbar spine and femur neck. Bone turnover markers were also assessed during treatment. RESULTS: Total 40 children were evaluated with 20 in alendronate (ALN) and 20 in control (CON). At baseline, the mean BMD in ALN was 0.65±0.11g/cm2 and in CON 0.56±0.16g/cm2 . This difference was being attributed to the age difference. (10.6±3.6years in ALN vs. 6.2±3.4years in CON)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MD and age, height has been detected. After 12months, The mean(±SE)bone density of the lumbar spine increased by 8.45±0.97percent in ALN (P<0.001)and increased by 1.81±1.66percent in CON.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MD percent change and cumulative dose of prednisolone has been detected. Markers of bone turnover decreased in AL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erious adverse effects between the two groups, but there were 2 cases of esophagitis in ALN. CONCLUSIONS: For pediatric patients with steroid induced bone loss, alendronate 70mg weekly dosing increased bone mineral density and reduced bone resorption. KEYWORDS: Nephrotic Syndrome, Corticosteroid, Alendronate, Bone mineral density.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은 심한 단백뇨와 부종, 저알부민혈증, 고지혈증이 특징인 신장질환으로 1차 치료제로서 corticosteroid를 사용하는데, corticosteroid의 복용에 의한 골다공증과 골소실에 의한 골절은 주요 부작용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증후군을 진단받았고, corticosteroid복용중이거나, 복용시작하는 소아환자에게 골다공증 치료약물 중에서 bisphosphonate계인 alendronate를 투여하여, 요추 및 대퇴부의 골밀도 및 골대사 생화학적지표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신증후군이며 steroid복용하는 소아환자 40명을 alendronate군과 control군으로 나누어 12개월간 비교하였다. 골밀도는 DEXA방법으로 baseline, 3, 6, 12개월에 lumbar spine과 femur neck을 측정하였고, 골대사 생화학적 지표인 urinary deoxypyridinoline, alkaline phosphatase, osteocalcin을 측정하였다. 혈액화학적 인자들도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baseline에서 alendronate군은 10세, control군은 6세로 나이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고, 스테로이드 하루용량은 유의차가 없었다. Baseline에서 골밀도는 나이와 키와 양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신증후군 증상인 저알부민혈증과 고지혈증을 나타내는 혈액생화학적 인자들은 12개월 후 모두 정상으로 회복하였다. 골밀도는 lumbar spine에서 alendronate군은 3개월에서 3.93±1.14%, 6개월에서 6.88±1.78%, 12개월에서 8.45±0.97%로 증가하였으며, 그룹간에 통계학적 유의성을 나타내었다.(p<0.001) Control군은 12개월에서 1.81±1.66%로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Femur neck에서 alendronate군은 3개월에서 1.21±1.23%, 6개월에서 1.21±1.92%, 12개월에서 2.38±1.56%로 증가하였으나, 그룹간에 통계학적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Control군은 12개월에서 7.99±3.64%로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골밀도변화율은 스테로이드 축적용량과 음적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골대사 생화학적지표는 12개월에서 deoxypyridinoline은 두 군 모두 감소하였으나, 두 군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Osteocalcin은 alendronate군은 감소하였고, control군은 증가하였으나, 두 군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혈중 alkaline phosphatase는 두 군 모두 증가하였으나, 두 군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부작용으로서는 alendronate군에서 2명의 환자에서 식도염이 나타나 투여를 중지하였다. 결론적으로, corticosteroid를 장기 투여하는 신증후군 소아 환자에서 골밀도 감소에 대한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alendronate의 투여는 우려할 부작용이 없이, 임상적으로 유용한 효과로 투여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시청각매체를 활용한 사전 정보제공이 갑상선절제술 환자의 불확실성과 불안 완화에 미치는 효과

        이현옥 부산가톨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갑상선절제술이 예정된 환자에게 시청각매체를 사용하여 사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불확실성과 불안이 어느 정도 완화되는지 확인하기 위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2017년 11월부터 2018년 2월까지 B광역시에 소재한 P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병동에 갑상선절제술을 받기 위해 입원한 환자를 편의표집하여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환자 중 실험군 32명, 대조군 32명 총 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 불확실성은 Mishel (1981)의 질병과 관련된 불확실성 척도 (Mishel's Uncertainty Illness Scale, MUIS)를 조옥희(2000)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불안은 Spielberger (1972)의 불안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를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번안한 상태불안 도구를 이용하였다. 실험처치로 실험군에게는 기존의 정보제공(대조군 처치)과 총 5분 45초의 시청각매체 정보를 수술 전 2회 노트북으로 제공하였다. 대조군에게 제공한 기존 정보는 병동 담당간호사가 인쇄물를 이용한 구두 설명을 통해 제공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4.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χ²-test,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시청각매체로 사전 정보를 제공 받은 실험군은 기존 정보를 제공 받은 대조군에 비해 불확실성의 사전·사후 간 점수 차이가 더 클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2.06, p=.044). 2) 제 2가설 ‘시청각매체로 사전 정보를 제공 받은 실험군은 기존 정보를 제공 받은 대조군에 비해 불안의 사전·사후 간 점수 차이가 더 클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2.06, p=.044). 이상의 결과로 시청각매체를 활용한 사전 정보제공이 갑상선절제술 환자의 불확실성과 불안 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oviding preoperative information by using video-audio media on decreasing uncertainty and anxiety in patients undergoing thyroidectomy.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n=32) received preoperative information using video-audio media and routine care while control group (n=32) received routine care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preoperative information was provided by using video-audio media and was 5 minutes and 45 seconds long. The uncertainty was measured by using Mishel's Uncertainty Illness Scale (MUIS) developed by Mishel (1981) and modified by Jo (2000). The anxiety was measured using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cale developed by Spielberger (1975) and modified by Kim & Shin (1978).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 2017 to February 23, 2018.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Statistics 24.0 Program which included χ²-test,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Hypothesis 1 : That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information by using video-audio media will have a greater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uncertainty score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receiving routine information was supported(t=-2.06, p=.044). Hypothesis 2 : That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information by using video-audio media will have greater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anxiety score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receiving routine information was supported(t=-2.06, p=.044).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concluded that preoperative information provided by using video-audio media i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uncertainty and anxiety in patients undergoing thyroidectomy.

      • 한국여성의 출산행태 결정요인 분석

        이현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In 1983, the Republic of Korea was already below the replacement fertility level considered necessary for maintaining a steady population number, roughly 2.1. The total fertility rate (TFR) declined modestly here after. Since the 1997 IMF crisis, the TFR started to plummet and eventually reached an all time low at 1.08 in 2005. As a drastic remedy for this economic crisis, a series of neoliberalistic policies to secure the flexibility of the labor market were implemented to resolve the low fertility rate and to increase the annual number of marriages in Korea. It clearly brought on a major policy concern for the Korean government, but it was uncertain whether or not Korea could escape from the lowest-low fertility in the near future. Under these circumstances, many domestic and foreign scholars have conducted their researches for discovering the mechanisms of the current low fertility rate in Korea and its subsequent policy implications. These are in general divided into two, the macro approaches and the micro approaches. Whereas the macro approach is an attempt to examin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TFR by comparing it to other countries and analyzing their discrepancies through time-series, the micro approach pinpoints the determining factors of the TFR more directly.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various types of each woman's behavior regarding their decision-making for fertility. More concretely, it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impacting married and single Korean women's TFR and verify their validities empirically in Korea's socio-economic and cultural circumstance of a rapid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For this examination, I first constructed 6 determining factors and 21 independent variables for Korean women's fertility behaviors based upon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and then examined comprehensively how those factors and independent variables affect each dependent variable. The economic-rational approach to the low fertility phenomena in Korea has some limits since it attempts to understand the values of the children to be born only from the viewpoint of cost-effectiveness. However, the matter of childbirth to any woman must be understood as an extremely complicated socio-cultural phenomenon. In order to overcome some limits of the economic-rational approach, we need to approach it in a broader context of social relations and culture. Thus this study employs both the economic-rational approach and the value-cultural approach in analyzing Korean women's decision-making for childbirth. First of all, in regard to women's decision-making for childbirth, we ne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economic-rational theories such as utility theories, exchange theories, risk theories, etc. and the socio-cultural theories such as, non-material values, gender equality, preference theories, etc. We apply both the economic-rational and socio-cultural theories to understanding women's behavior to childbirth. On the basis of these theories, I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married and single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in the metropolitan areas of Seoul. The methods applied to statistical analysis are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simple product-moment correlation,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get the best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various factors and their effects on woman's behavior to childbirth, I conducted the following studies. First, I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all women's behaviors to childbirth and their influence factors. Second, I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ehaviors to childbirth between married and single women. Third, I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ehaviors to childbirth and their influence factors according to both married working women and housewives. Last, I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ehaviors to childbirth and their influence factors according to the Seoul residents and those in its vicinity. After I conducted these four comparative analyses, I reach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after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all women's behaviors to childbirth and their influence factors, I have reached that they are consistent to theoretical expectancy and at the 5% significance level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variables are, as the individual value factors, the investment of her own life, the conviction for preferring no children, the quality life of husband and wife, the strong desire of her own achievement, the tendency for late marriage. There are, as social factors, stability, awareness of the government policies, the reliable child care facilities. Here we also consider flexible work as a social factor and the social security and tax privileges as policy factors. The individual value factors proved to bring significant results for the woman's behaviors to childbirth which are most significant among all factors. Only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factors such as an income level and the economic factors such as the compatibility with work and child-raising are the factors that are not consistent to theoretical expectancy in the analysis conducted for all women's behaviors to childbirth. Secondly, both married and single women are consistent to theoretical expectancy and at the 5% significance level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variables are, as the individual value factors, the investment of her own life, the conviction for preferring no children, the quality life of husband and wife as such. There are also the awareness of the government policies as a social factor and flexible work as a factor on working conditions. The individual value factors proved to be most significant among all factors, the social factor the second most significant, and the factor on working conditions, the third. On the contrary, the individual value factors such as the investment of her own life and the policy-supporting factor <국문 초록> 국내외에서 한국의 저출산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을 거시적 접근과 미시적 접근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저출산 문제에 대한 거시적 접근은 주로 국가 간의 비교나 출산율 추이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려는 시도인 반면에, 미시적 연구는 거시적 접근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인의 출산 결정요인을 보다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은 미시적인 접근을 통해서 개인의 출산행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오래전부터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한국에서 미혼여성들과 기혼여성들의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여성들의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이론과 요인들이 어떤 것이 있는지를 검토하고, 그 영향요인의 타당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출산행태와 관련된 다양한 이론과 선행연구를 기초로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각 요인에 해당하는 다양한 변수를 선정하여 연구에 적용하였다. 종속변수는 출산행태로 결정하고 6개 요인과 21개의 독립변수들이 각각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저출산에 대한 경제적(합리적) 접근방법은 자녀에 대한 가치관을 출산의 효용측면에서 보고 있지만 가치관을 비용-효용 관점으로만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출산에 대한 논의의 측면은 한 사회의 문화적인 맥락에서 비롯되는 것이기 때문에 출산행위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문화적 접근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합리적) 접근방법과 문화 가치적 접근방법을 함께 고려하여 한국사회의 출산행태를 연구하였다. 우선 경제적 (합리적) 이론과 사회문화적 이론을 구분하고 출산행태와 관련된 이론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하여 해당 이론들을 경제적(합리적) 접근방법과 사회문화적 접근방법에 적용하였다. 경제적 접근방법에는 효용이론, 교환이론, 위험이론을 적용하였고, 사회문화적 접근방법에는 탈물질주의 가치이론, 양성평등이론, 선호이론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변수들을 바탕으로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20대에서 30대까지의 미혼과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연구를 위해 사용한 통계적 방법은 빈도 및 백분율, 단순적률 상관계수, 교차분석,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요인들이 각각 개인의 출산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전체 여성을 대상으로 출산행태와 영향요인에 대한 비교 분석을 하였다. 둘째, 전체여성을 결혼여부에 따라 미혼자와 기혼자로 구분하여 출산행태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기혼여성을 취업여부에 따라 취업 기혼자와 비취업 기혼자로 구분하여 출산행태와 영향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넷째, 지역을 서울시와 수도권으로 구분하여 출산행태와 영향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따라서 네 가지의 출산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전체 여성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로 이론적 기대와 일치하고 5% 또는 10% 유의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변수는 가치관 요인에서 자신의 삶에 투자, 무자녀 소신, 부부의 삶의 질, 자아성취 욕구, 만혼성향이다. 사회적 요인의 고용안정, 정부시책 인지도, 믿을만한 보육시설이며, 근무환경 요인의 탄력근무와 정책지원 요인의 사회보험과 세제지원이다. 가치관 요인은 모든 변수가 출산행태와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여러 요인 중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론적 기대와 일치하지 않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온 요인은 연구대상자의 사회경제적 배경요인의 소득수준, 경제적 요인의 일과 자녀양육의 양립, 정부정책 지원요인의 보육서비스이다. 둘째, 미혼자, 기혼자 모두 이론적 기대와 일치하고 5% 또는 10% 유의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요인은 경제적 요인의 양육비, 가치관 요인의 무자녀 소신, 부부의 삶의 질이며 사회적 요인의 정부시책 인지도이다. 그리고 근무환경 요인의 탄력근무이다. 가치관 요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사회적 요인과 근무환경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미혼자와 기혼자 모두 이론적 기대가 일치하지 않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은 경제적 요인의 일과 자녀양육의 양립, 정책지원 요인의 보육서비스지원이다. 셋째, 취업 기혼자와 비취업 기혼자의 분석결과로 취업 기혼자와 비취업 기혼자 모두 이론적 기대와 일치하면서 5% 또는 10% 유의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요인은 가치관 요인의 무자녀소신, 부부의 삶의 질, 사회적 요인의 고용안정, 믿을만한 보육시설이며 정책지원요인의 사회보험 및 세제지원이다. 한편, 취업기혼자와 비취업 기혼자 모두 이론적 기대와 일치하지 않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은 경제적 요인의 일과 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