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LC-PK1 신장세포에서의 cisplatin 유도 세포 사멸에 대한 계혈등과 그 유효성분 formononetin의 보호 효과

        이해솔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Cisplatin은 유방, 고환, 방광, 척추 등 여러 암의 치료제로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나 cisplatin의 부작용, 특히 신장독성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Cisplatin이 신장독성을 유발하는 기전은 cisplatin이 신장 세뇨관을 통해 분비되면서 신장상피세포에 직접적으로 축적되면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축적되는 기전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cisplatin에 의해 유발되는 신장독성에 계혈등(鷄血藤, Spatholobi Caulis)의 유효성분인 foromononetin이 얼마나 예방효과가 있는지와 예방효과를 일으키는 기전을 밝히기 위해 LLC-PK1 신장세포를 이용하여 cisplatin 유도 세포 독성을 일으켰고 계혈등 및 그 유효성분인 formononetin, 대조군인 N-acetylcyteine (NAC)으로 신장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계혈등 실험결과 계혈등은 cisplatin으로 유도된 LLC-PK1 세포사멸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계혈등의 유효성분인 formononetin 및 대조군인 NAC 또한 cisplatin으로 유도된 LLC-PK1 세포의 사멸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었다. Formononetin이 cisplatin으로 유도된 LLC-PK1 세포의 사멸을 막는 기전을 증명하기 위해 Image Based Cytometer analysis를 시행하였고 이를 통해 cisplatin으로 유도된 LLC-PK1의 apoptosis를 formononetin이 예방하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해 formononetin이 cisplatin이 유도한 LLC-PK1의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활성화 억제 기전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계혈등과 그 유효성분 formononetin의 신장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보호기전을 명확히 밝혔다.

      • 목단피 추출물의 여성갱년기 개선과 유방암 억제 효과 연구

        이해솔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confirmed whether the effects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HRT) can be achieved without the side effects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in menopause through seven representative extracts of Motan Radicis Cortex(MRC). First, seven representative extracts of MRC were selected. E-screen assay was conducted. After cultivating MCF-7 cells, ethanol extracts of 7 ingredients from MRC and control were compared by treatment with estrogen receptor(ER) antagonists ICI 182, 780. Ethyl gallate showed concentration-dependent estrogen activity by the ER pathway. Whether breast cancer is caused by 7 ingredients from MRC and extracts of MRC or not was confirmed through EZ-cytox assay (cytotoxicity assay), nuclear change observation by staining hoechst 33342, and western blotting analysis. Cancer cell proliferation effect was not observed in MRC extracts and ethyl gallate. Rather, it was found that MRC extracts, Gallic acid, and ethyl gallate have an inhibitory effect on cancer cell proliferation. To determine if ethyl gallate is effective in animals, immature female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ormal, positiv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and female hormonal evaluation was performed. In comparison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normal group, a significant increase in uterine weight was observed. Therefore, we suggest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treatment of HRT with MRC and ethyl gallate, and clarify the mechanism.

      • 인공지능 기반 4WD 전기자동차 동력분배 시스템 제어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

        이해솔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사륜구동 전기자동차가 주행할 때 전륜 및 후륜 구동모터의 동력을 분배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면서, 배터리의 효율을 향상시켜 항속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는 동력분배율을 입력하여 동력분배시스템 최적 제어기술을 제안하였다. 차량의 주행상황에 따른 최적의 동력 분배를 통하여 불필요한 구동을 줄이고 고효율점 운전 제어를 통해서 주행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사륜구동 전기자동차의 동력 분배율 계산을 위한 차량 동역학 모델을 수식적으로 제시하였고, 동역학적으로 모델링하였다. 구동모터, 배터리 등 요소 부품들의 성능 데이터를 입력하여 동력분배율에 따른 효율 데이터를 얻었으며, 동적계획법 및 Pontryagin’s Minimum Principle을 통해 최적 동력분배율을 계산하였다. 주행 상황에 따른 하중이동으로 인한 필요 토크 및 동력 부족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다층 퍼셉트론을 활용하여 차량의 하중이동을 계산 및 예측하여 동력분배율 가중치를 도출하여 최적 동력분배 알고리즘에 적용하였다. CarSim과 MATLAB/Simulink를 연동하여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성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주행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시한 알고리즘을 검증하였다. 최적 동력분배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을 경우, 도심 주행 시뮬레이션에서 전력 소비량이 1.81% 감소하였고, 고속도로 주행 시뮬레이션에서는 13.36% 감소하여 배터리 성능이 향상되어 주행 성능이 우수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the paper, algorithm was proposed to distribute the power of front and rear-wheel drive motors for four-wheel drive electric vehicles, and the strategy to control the energy management system by calculating the optimal power distribution rate that can increase the drive range of the vehicle 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battery. It is intended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by reducing unnecessary required-power and driving at high efficiency points through power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vehicle. The vehicle component parts, required to construct the optimal power distribution algorithm were modelled dynamically. Efficiency data according to power distribution rate were obtained by entering performance data of components, such as drive motors; batteries, and optimal power distribution rate was calculated through dynamic programming and Pontryagin's Minimum Principle. Artificial neural network(ANN) algorithm was appl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orque and power shortage due to load transfer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The load transfer of the vehicle is calculated and predicted using multi-layer perceptron to derive the weight of the power distribution rate and applied to the optimal power distribution algorithm. CarSim and MATLAB/Simulink were interlinked to construct the simulation environment and verify the algorithm presented through the driving simulation with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imulation. When the optimum power distribution algorithm is applied,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by 1.81% in urban driving simulation, and 13.36% in the highway driving simulation. The vehicle model with the optimal power distribution algorithm has been confirmed to have improved battery performance, resulting in better driving performance.

      • 축제 프로그램이 어린이의 체험몰입과 교육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 무주 반딧불축제를 대상으로

        이해솔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는 1995년 지방자치제가 시행되면서 각 지역마다 지역축제는 활성화 되었다. 지역의 고유한 자원을 활용한 향토 축제부터 현재에는 어느 지역에도 없는 새로운 테마를 가미한 축제까지 종류가 다양하다. 기존 지역축제는 보여주기 식의 전시에서 참가자가 참여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그 활동들의 행태가 진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현재의 지역축제는 본질적으로 참가자는 축제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체험을 통해 즐거움을 얻고, 지역은 이를 통해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축제의 프로그램을 체험하는 것은 지역사회의 지역성을 느낄 수 있는 수단이며, 실내에서 체험하지 못했을 자연환경에 대해 배울 수 있다. 최근 초등학생의 현장 체험학습 기회가 늘면서 이러한 지역축제를 활용하는 경향이 있다. 축제 참가를 통해 야외활동을 하며 오감을 활용한 체험 프로그램의 몰입은 다양한 세계관을 육성할 수 있다. 또한 지역축제 프로그램 체험은 정신적·신체적 영향을 모두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대다수의 축제는 경제적으로 많은 예산과 시간 그리고 노력이 투입된다. 이는 높은 성과의 결과가 중요하다는 부담감과 함께 축제의 기간이 길어지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공했던 콘텐츠를 쫓아한 비슷한 축제가 계속 양산되고 있다. 또한 지역축제의 정체기를 초래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축제는 여전히 어린이들이 학교나 가정에서 배울 수 없는 다양한 생활양식을 배울 수 있으며, 체험하기에 좋은 수단이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여러 가지 한계점으로 인해서 축제 프로그램이 체험몰입을 통해 어떠한 교육적 효과를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관심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축제 프로그램에 대한 체험에 몰입한 어린이들이 어떤 교육적 효과에 영향이 있는지 발견하여 이를 지역축제의 질을 높이는 데 사용할 시기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문헌조사 및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또한 축제 프로그램에 대한 개념과 측정도구의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매개변수인 어린이의 체험몰입과 종속변수인 교육적 효과에 대한 요인분석을 위해서 신뢰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여 각각의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설명하였다. 설문대상은 2019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선정한 2019년의 문화관광형 축제 중에서 제 23회 무주반딧불축제를 임의로 추출하였다. 어린이 대상자는 이 축제의 프로그램을 체험한 초등학생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위해 총 37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유효 표본 356부(96.2%)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축제 프로그램은 체험몰입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체험몰입이 교육적 효과의 자아정체감, 지적효과, 사회성에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분석되었다. 셋째, 축제 프로그램이 교육적 효과 부분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자아정체감과 사회성 요인은 교육성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으며, 지적효과는 장소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본 연구를 종합하면, 축제 프로그램 체험몰입은 어린이에게 있어 유의한 교육적 효과를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축제 프로그램의 요인은 놀이성, 장소성, 교육성의 순서로 영향이 있다. 또한 축제 프로그램과 교육적 효과간의 영향관계의 분석 결과에서는 축제 프로그램의 놀이성 요인은 교육적 효과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즉 어린이들에게 축제 프로그램의 놀이성은 교육적 효과에 밀접한 영향관계가 있음이 검증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로 축제 프로그램 개발함에 있어서 참가하는 어린이들이 몰입을 통한 체험은 것은 유의한 교육적 효과를 줄 수 있다. In Korea, regional festivals were activated in each region, as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was introduced in 1995.There are many kinds of festivals, ranging from the local festivals utilizing local resources, to the festivals with new themes which have been nowhere else. They are developing from the festivals from the ones for the exhibition and display to the ones where people can participate and enjoy. After all, the present regional festivals are essentially dual purposed festivals where participants enjoy themselves through experiencing various programs of the festival, and the region can obtain local economic and social effects. Ther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of such a festival makes the participants feel the locality of the community and learn about the natural environment that cannot be experienced indoors. Recent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nd to take advantage of these local festivals as they have more opportunities to have field trips. The immersion of the experience program using the five senses while participating in the festival may nurture diverse worldviews through outdoor activities. It also means that participating in the local festival programs can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affect students. However, most of the festivals require much money, time and effort. This means that it is difficult to have a festival for a longer period and they have heavy burden that the outcome should be good. Thus, similar festivals that follow or imitate the contents of the successful festivals are being mass produced. It causes a stagnation of regional festivals. Local festivals, however, are still a good way to experience and learn a variety of lifestyles that children cannot learn at school or at home. However, due to the various limitations mentioned abov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festival program through experience-immersion have not been studied much. Therefore, it is time to find out what educational effects the children who have immersed in the festival programs have and to use the inform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ocal festival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he concept and measurement tools for the festival program were checked and valid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is explained by verifying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the factor analysis of the parametersuch as the children's experience immersion and as dependent variable such as educational effect. To perform the survey the 23rd Muju Banditbul Festival was selected through random sampling method among the Culture & Tourism Festivals of 2019 sele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children subjects were limit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this festival program. Atotal of 37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the survey, and 356 valid samples (96.2%)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From the hypothesis verification, the followings were found; first, it was analyzed that the festival program had significant influential relation with experience immersion. Second, the experience immersion was analyz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tial relation with self-identity, intelligence effects and sociability under the educational effect. Third, it was analyzed that the festival program had partially significant influential relation with educational effect. However, self-identity and sociability factors did not make significant effects on educational effect and intelligence effect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effects on locality. When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the hypothesis test, this study shows that the commitment to the festival program has a significant educational effect on children. The factors of the festival program had bigger influence in the order of entertainment characteristics, locality, and educational effect. In addition, in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festival program and the educational effect shows that the entertainment factor of the festival program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factors of the educational effect. In other words, it was verified that the entertainment characteristic of the festival program was closely related to the educational effect for children. As a result, the immersive experiences of the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the festival program can have a significant educational effect.

      • 정보원천의 다양성과 R&D연구소 설치운영이 중소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해솔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혁신에 관한 정보원천의 다양성과 혁신을 수행하는 기업 내부 기관으로 기업연구소의 설치 운영을 제안하는 실증연구이다. 본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연구 가설을 제안한다. 첫째, 혁신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정보원천은 다양성을 확보할수록 혁신성과를 낼 확률이 높을 것이다. 둘째, 혁신을 수행하는 데 주력할 수 있는 기업연구소를 설치 운영할 수록 혁신성과를 낼 수 있는 확률이 높을 것이다. 셋째, 정보원천의 다양성으로부터 혁신성과를 낼 확률은 기업연구소를 설치운영하는 경우 더욱 높아질 것이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이 격년으로 실시하는 기업혁신조사에서 수집한 제조업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본 연구의 연구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소기업의 혁신성과 함양에 있어 다양한 정보원천의 확보와 기업연구소의 설치운영이 지니는 가치에 관해 강조함으로써, 중소기업의 혁신활동에 관한 경영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지역축제의 서비스스케이프가 지역 이미지와 국가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해솔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growth of the tourism industry plays a pivotal role in stimulating a nation's economic development while simultaneously enhancing the image, recognition, and trustworthiness of tourist destinations. In this context, local festivals, as quintessential tourism products, leverage the cultural equity and image of the region to bolster the national brand assets. Therefore, research and precise measurement of local festivals are crucial in positively developing the nation's assets. On the other hand, the success of local festivals is influenced by the service environment, or ‘servicescape’, experienced by visitors. This necessitates thorough analysis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servicescape in the investigation and enhancement of local festivals. However, current methods of measuring the servicescape are limited in accurately reflecting the dynamic and diverse characteristics of the tourism industry's festivals and visitors' needs. To address this,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e limited scope and temporal constraints of existing servicescape measurement items and develop specific and new measurement items suitable for changing circumstances. For this purpose, text mining, a big data analysis technique, is utilized. Text mining effectively derives various insights by analyzing the growing volume of text data due to the widespread use of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By harnessing large datasets, it resolves the generalization challenges in traditional servicescape measurement methods and reflects the changing social context of the tourism and festival industries. In addition to develop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involving the servicescape of local festivals, regional image, national brand assets, emotional responses, and nationality,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m. It anticipates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creating competitive national brand assets by examining the regional image based on the emotional responses of visitors who experienced the local festival servicescape and investigating the national brand assets for visitors of different nationalitie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n online big data analysis solution, Textom, was utilized to collect text data about cultural and tourism festivals from online portals, spanning eight years from January 1, 2015, to December 31, 2022. Frequency analysis, network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is data. The results were then subjected to a Delphi survey involving 15 experts across three specialist group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new factors and measurement items for the local festival servicescape. Subsequently, based on prior research,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to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local festival servicescape, regional image, national brand assets, emotional responses, and nationality, along with four hypotheses. A revised and supplemented questionnaire, following a preliminary survey, was administered to visitors of the 26th Boryeong Mud Festival, held from July 28 to August 6, 2023. Out of 532 collected responses, 517 valid surveys (336 from nationals, 181 from foreigners) were used for analysis.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data was conducted using SPSS 29.0. Th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development of new scales for the servicescape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has addressed the generalization challenges inherent in traditional survey methods by utilizing a large volume of data. In addition to environmental, design, and social factors, this study also validated newly emerged factors such as playful elements and global atmosphere. This marks a significant advancement in measuring the changing social context of the tourism and festival industries, moving beyond the limited range and temporal constraints of existing measurement items. Secondly,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tors of regional image, namely emotional and cognitive images, and the factors of emotional response, such as pleasure and arousal, partially mediate this relationship. This indicates that the emotions experienced by visitors or tourists in the servicescape of a festival influence the image of the region, with more intense feelings of pleasure having a greater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regional image. Therefore, planning a servicescape that considers the emotional responses of festival visitors can positively enhance the image of the host region. Thirdly, the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a region's image in conveying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a country. It is discerned that the emotional and cognitive images of a region are crucial in forming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country, enhancing brand loyalty. However, there is a notable difference in the magnitude of influence. While emotional image, a value assessment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perception, is more important in brand awareness and image formation, cognitive image, a physical evaluation perceived by an individual, plays a more crucial role in national brand loyalty. Fourthly, the moderating effect of nationality was observed only in the sub-factor of brand awareness among brand assets. The stronger the image of the region, the more significant the moderating effect of nationality (both nationals and foreigners) in the process of forming brand awareness. However, no such moderating effect of nationality was found in other aspects like brand loyalt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development of new scales for the servicescape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has addressed the generalization challenges inherent in traditional survey methods by utilizing a large volume of data. In addition to environmental, design, and social factors, this study also validated newly emerged factors such as playful elements and global atmosphere. This marks a significant advancement in measuring the changing social context of the tourism and festival industries, moving beyond the limited range and temporal constraints of existing measurement items. Secondly,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tors of regional image, namely emotional and cognitive images, and the factors of emotional response, such as pleasure and arousal, partially mediate this relationship. This indicates that the emotions experienced by visitors or tourists in the servicescape of a festival influence the image of the region, with more intense feelings of pleasure having a greater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regional image. Therefore, planning a servicescape that considers the emotional responses of festival visitors can positively enhance the image of the host region. Thirdly, the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a region's image in conveying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a country. It is discerned that the emotional and cognitive images of a region are crucial in forming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country, enhancing brand loyalty. However, there is a notable difference in the magnitude of influence. While emotional image, a value assessment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perception, is more important in brand awareness and image formation, cognitive image, a physical evaluation perceived by an individual, plays a more crucial role in national brand loyalty. Fourthly, the moderating effect of nationality was observed only in the sub-factor of brand awareness among brand assets. The stronger the image of the region, the more significant the moderating effect of nationality (both nationals and foreigners) in the process of forming brand awareness. However, no such moderating effect of nationality was found in other aspects like brand loyalty.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development of new measurement items for the servicescape of local festivals allows for a reliable evaluation that reflects the trends and social changes of the times. Therefore, these new measurement items will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improving local festival servicescapes and establishing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Secondly, the influence of the global atmosphere factor on the regional im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festival servicescape and regional image was significant. This indicates the importance of enhancing the emotional image through experiences of social exchange and global atmosphere, and considering environmental factors to increase visitor satisfaction in festival planning and operation. Thirdly, the results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sponses in the impact of the local festival servicescape on regional image highlighted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social factors and global atmosphere on the regional image. Thi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emotional responses in the development of local festival products as they significantly impact value creation and consumer inner reactions. Fourthly, the study confirmed that brand awareness, image, and loyalty are all influenced by regional im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image and national brand assets. This reveals that local festivals play a critical role in enhancing both the emotional and cognitive images of tourists, as well as in boosting loyalty to the national brand. Hence, strategies that consider the location of the festival and elements that strengthen visitors' cognitive images are deemed necessary. Fifthly, among the effects of nationality in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image and national brand assets, only brand awareness was significant. This means that regardless of nationality,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forming a national brand image based on emotional and cognitive evaluations of the region. This finding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consistent information to all festival participants, as expectations and prior information significantly impact the responses of all attende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the development of a new measurement method for the servicescape of local festivals represents a significant advancement. This new approach goes beyond the limited scope and temporal constraints of previously developed measurement items, offering a more flexible metric for assessing the changing social context of the tourism and festival industries. Additionally, providing a diverse range of information to visitors experiencing the local festival servicescape holds value in supporting practical decision-making strategies.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local festival servicescape, regional image, national brand assets, emotional responses, and nationality, along with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expected to serve as valuable foundational data. This data can be instrumental in formulating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festivals as quintessential tourism products, enhancing the image of the host regions, and positively boosting national brand assets. The insights from this research can guide strategic planning and implementation to maximize the benefits of local festivals both for the regions and for the national brand as a whole. 관광산업의 성장은 국가의 경제적 발전을 촉진하며, 동시에 관광 목적지의 이미지 개선과 인지도, 신뢰도 향상에 기여한다. 이런 맥락에서 지역축제는 대표적인 관광 상품으로서, 지역의 문화적 자산과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국가 브랜드 자산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지역축제의 연구와 적절한 측정은 국가의 자산을 긍정적으로 발전시키는 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지역축제의 성공은 방문객들이 체험하는 환경, 즉 서비스스케이프에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이유로 지역축제의 조사 및 개선에 있어서 서비스스케이프의 철저한 분석과 개선 방향 도출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의 서비스스케이프의 측정 방법은 변화무쌍한 관광 산업의 다양한 축제의 특성과 방문객의 욕구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서비스스케이프 측정 항목이 가진 제한적인 범위와 시간적 한계를 극복하고, 변화하는 상황에 적합한 구체적이고 새로운 측정 항목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법인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다. 텍스트마이닝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증가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데 효과적이며, 대량의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기존 서비스스케이프 측정 방식에서 일반화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변화하는 관광 및 축제 산업의 사회적 상황을 반영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축제 서비스스케이프와 지역 이미지, 국가 브랜드 자산, 감정 반응, 국적에 대한 이론을 수립하고 그들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축제 서비스스케이프를 체험한 방문객들의 감정에 따른 지역 이미지를 확인하고, 국적별 방문객에 대한 국가 브랜드 자산을 조사함으로써 경쟁력 있는 국가 브랜드 자산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관광 상품을 제공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온라인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인 텍스톰을 활용하여 2015년 1월 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 총 8년 동안 온라인 포털사이트에 축적된 문화관광형축제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빈도분석, 네트워크 분석,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된 데이터 결과는 세 개의 전문가 집단 총 15명에 대하여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축제 서비스스케이프의 요인을 새롭게 도출하여, 측정 항목을 개발하였다. 이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지역축제 서비스스케이프와 지역이미지, 국가 브랜드자산, 감정반응, 국적 간의 상호 영향 관계 분석을 위한 연구모형과 함께 총 4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예비조사를 거쳐 수정 및 보완된 설문지를 토대로 2023년 7월 28부터 8월 6일 간의 제 26회 보령머드축제 방문객 중 수집된 설문지, 총 532명의 응답자 가운데 불성실하거나 불완전한 응답을 제외한 총 517부(내국인 336명, 외국인 181명)의 설문조사를 활용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9.0을 활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기술적 통계분석,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상관관계분석, 매개효과와 조절효과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축제 서비스스케이프는 지역 이미지에 대한 영향력이 부분적으로 유의하다. 이는 특히 정서적 이미지에서 글로벌 분위기와 사회적 요인이 유의했으며, 인지적 이미지에서는 글로벌 분위기, 사회적 요인, 환경적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둘째, 지역축제 서비스스케이프와 지역 이미지 간의 영향관계에서 감정반응이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가진다. 이는 정서적 이미지와 인지적 이미지 모두에서 즐거움과 각성의 감정반응이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셋째, 지역 이미지와 브랜드 인지 간의 영향 관계 검증 결과, 정서적 이미지, 인지적 이미지 순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넷째, 지역 이미지가 국가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국적의 조절효과는 브랜드 인지에서만 정서적 이미지와 인지적 이미지 순으로 영향관계가 유의하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해 서비스스케이프의 새로운 척도를 개발한 것은 기존의 전통적인 설문조사 방식에서 나타나는 일반화의 어려움을 대량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었다. 또한 환경적 요인, 디자인적 요인, 사회적 요인 외에도 신규 도출된 유희적 요인과 글로벌분위기 요인을 추가 검증하였다. 이는 기존 측정항목의 제한적인 범위와 시간적 한계를 넘어서서 변화하는 관광 및 축제 산업의 사회적 상황을 더욱 유연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둘째, 지역 이미지의 요인인 정서적 이미지, 인지적 이미지와 감정반응의 요인인 즐거움, 각성이 부분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방문객 또는 관광객이 경험한 서비스스케이프에서 느낀 감정이 해당 지역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며, 즐거운 감정이 강할수록 지역 이미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역축제를 찾는 방문객의 감정반응을 고려한 서비스스케이프를 계획한다면, 개최 지역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고취시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지역의 이미지가 해당 국가의 특성과 가치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인임을 판단할 수 있다. 즉 국가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지하고, 이미지를 형성하며 충성도를 높이는 것은 지역의 정서적 이미지와 인지적 이미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영향력의 크기 차이가 존재하였다. 브랜드 인지와 브랜드 이미지 형성은 감정적이고 심리적인 지각에 대한 가치 평가인 정서적 이미지가 더 중요한 반면, 국가 브랜드 충성도에 있어서는 개인이 인지하는 물리적 평가인 인지적 이미지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브랜드 자산의 하위 요인인 브랜드 인지에서만 국적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에 대한 이미지가 강할수록 국가 브랜드를 인식하는 형성 과정에서 내ㆍ외국인의 조절이 브랜드 인지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그 외의 브랜드인지, 브랜드 충성도에서 국적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축제 서비스스케이프의 새로운 측정항목 개발은 시대의 흐름과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여 지역축제 서비스스케이프의 신뢰성 있는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새로운 측정항목은 지역축제 서비스스케이프의 개선과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의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둘째, 지역축제 서비스스케이프와 지역 이미지 간의 관계에서 글로벌분위기 요인이 지역 이미지에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축제 기획과 운영에서는 사회적 교류와 글로벌분위기 경험을 통한 정서적 이미지 강화, 그리고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방문객 만족도 제고가 중요하다. 셋째, 지역축제 서비스스케이프가 지역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감정반응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사회적 요인과 글로벌분위기가 지역 이미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지역축제 상품 의 가치 창출과 소비자의 내적 반응에 영향을 주고 있어, 지역축제 개발 시 감정반응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넷째, 지역 이미지와 국가 브랜드자산 간의 영향관계에서 브랜드 인지, 이미지, 충성도 모두 지역 이미지에 영향을 준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지역축제는 관광객들의 정서적, 인지적 이미지를 향상시키며, 국가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를 증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따라서 지역축제 개최 장소를 결정하거나, 방문객들의 인지적 이미지를 강화하는 요소를 고려하는 등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다섯째, 지역 이미지와 국가 브랜드 자산 사이의 국적 조절효과에서 브랜드 인지만이 유의하였다. 이는 국적과 관계없이 해당 지역에 대한 감정적, 인지적 평가를 바탕으로 국가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축제 방문객들의 기대치나 사전 정보는 모든 참가자의 반응에 중요하게 작용하므로, 동일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이 드러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지역축제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새로운 측정 방식을 개발한 것은 기 개발된 측정항목의 제한된 범위와 시간적 한계를 넘어 관광과 축제 산업의 변화하는 사회적 상황을 더 유연하게 측정할 수 있는 하나의 척도가 되었다고 사료한다. 또한 지역축제 서비스스케이프를 경험하는 방문객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실질적인 의사결정 전략을 돕는데 그 가치가 있다. 또한 지역축제 서비스스케이프, 지역 이미지, 국가 브랜드 자산, 감정반응 및 국적에 대한 영향관계 연구 결과와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은 대표적 관광 상품인 지역축제의 발전과 더불어 개최 지역의 이미지 제고와 국가 브랜드자산을 긍정적으로 고취시키기 위한 전략 수립에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