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405 nm 파장을 이용한 TiO2의 광촉매 반응이 S.mutans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이해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치아 표면의 치면세균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칫솔 등을 이용하는 물리적인 관리를 시행할 수 있으나 구강의 형태 및 치아의 구조에 따라 완전한 치면세균막 제거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화학적인 치태 조절방법의 병용이 필요하다. 최근 빛을 이용하여 산화력을 제어하는 광촉매 기술이 폐수처리, 공기정화 및 항균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이 중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 TiO2) 광촉매는 독성이 없어 인체에 무해하며 자원이 풍부하여 사용에 큰 이점이 있다. 하지만 TiO2의 광촉매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Ultraviolet ray 영역(UV, 250 ∼ 380 nm)의 강한 빛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인체에 직접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티탄 광촉매 반응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현재 임상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QLF-D의 405 nm LED와 TiO2 광촉매 조합에 따른 S. mutans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였다.이를 위해서 연구는 크게 2단계로 시행되었다. 이산화티탄의 농도에 따른 항균력 평가를 위해 0.01, 0.1, 1.0, 10.0 mg·ml-1 distilled water의 농도로 제조한TiO2(Anatase type; Sigma Aldrich, St. Louis, MO, USA)용액 5 ml에 세균의 최종농도가 104 CFU·ml-1가 되도록 조정한 배양액 0.05 ml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여기에 광촉매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UV 램프(wavelength = 254 nm, 40 W; G40T10, Sankyo denki, Japan)를 이용하여 5분, 10분, 20분간 조사한 실험군과 빛을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 (0분)으로 나누어 적용한 후 반응이 완료된 용액 100 ㎛를 BHI(BactoTM Brain heart infusion; Dickinson and Company, USA) 고체배지에 접종하여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 후 세균 집락을 계측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빛의 파장에 따른 항균력 평가를 위해UV 램프를 비롯하여 QLF-D Biluminator™(wavelength = 405 nm, 36 W; Inspektor research system BV, Netherlands)를 적용하였다. 각기 다른 파장의 빛과 TiO2를 함께 사용하였을 때의 항균력을 확인하기 위해 TiO2의 농도를 0.1 mg·ml-1로 조정한 용액 5 ml와 세균의 최종농도가 104 CFU·ml-1가 되도록 조정한 배양액 0.05 ml를 혼합한 후 각 광원을 0분, 10분, 20분, 30분, 40분간 조사하여 광촉매 반응을 유도 하였다. 이후 반응이 완료된 용액 100 ㎛를 BHI 고체배지에 접종하여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 후 세균집락을 계측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1. 기존의 대표적인 대표적인 광원인 광원인 UV 조사 조건에서 조건에서 다양한 농도의 이산화티탄 이산화티탄 광촉매 광촉매 의 S. mutans 에 대한 항균 력을 평가한 평가한 결과 , UV 광조사 시간에 시간에 비례해서 비례해서 항균 효과가 효과가 높아졌고 , 이산화티탄 이산화티탄 0.1 mg·ml-1 농도에서 최적의 항균효과를 나타냈다.2. UV 파장에서 최적의 항균효과를 나타낸 0.1 mg·ml-1 농도의 TiO2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파장의 빛을 함께 사용했을 때 S. mutans 항균력을 비교한 결과 단파장 일수록 항균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조사 시간이 증가할수록 항균력도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3. 20 분간 광 조사 시 QLFQLF -D는 UV UV 빛에 비해 약 54.34 %의 항균 력을 나타냈고 나타냈고 , 30 분 광 조사 시 항균 력이 94% 94%로 UV UV 광원과 광원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냈다 나타냈다 (p=0.181). (p=0.181). (p=0.181).UV 광원의 경우는 조사시간 조사시간 조사시간 20 분 만에 완전히 사멸하였고 사멸하였고 , QLF, QLF, QLF -D 광원의 광원의 경우는 조사시간 40 분 만에 완전히 완전히 사멸 한 것을 확인하였다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치아우식증의 주요 원인균인 S. mutans는 0.1 mg·ml-1 농도의 TiO2 광촉매를 UV 램프 (254 nm), QLF-D (405 nm)의 빛에너지로 활성화 시킬 경우 생장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향후 치면세균막을 모사한 바이오필름 모델에 적용 하여 유효성을 평가하고 항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면 실제 구강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음악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예술 강사의 인식

        이해나 성신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음악 프로그램의 운영 환경을 알아보고 예술 강사들이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느끼는 교육적 효과와 예술 강사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분석하여 강사들의 수업 환경을 개선하고 학생들에게 더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예술 강사 1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 내용을 분석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 예술 강사들은 수업 시간이 부족해 학생들 지도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학교에서는 많은 인원이 수업을 들을 수 있게 하길 원하지만, 그렇게 되면 학생들을 꼼꼼하게 지도할 수 없기 때문에 수업의 질적인 면에서 비교적 부족하게 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예술 강사들은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 수업 당 학생 수를 제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의견이었다. 둘째, 방과후학교 강사들을 위한 연수가 있지만, 음악 교과만을 위한 연수가 아니기 때문에 예술 강사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강사 연수의 세분화가 이루어져 예술 강사들만을 위한 연수가 필요할 것 같다는 의견이었다. 셋째, 예술 강사들은 방과후학교 음악 프로그램의 저렴한 수업료 덕분에 학생들의 소질과 적성 개발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였다. 학생들은 부담 없이 방과후학교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찾을 수 있는 기회의 폭을 넓혔다. 넷째, 방과후학교 예술 강사들은 학교와의 계약에 있어서 계약 기간이 너무 짧은 것에 불안함을 느끼고 있었다. 예술 강사들은 학교에 소속감을 느끼기 위해서는 계약 기간을 늘리거나 재계약을 보장해주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다섯째, 방과후학교 예술 강사들은 학부모의 무리한 요구를 받고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학교에 소속되지 않은 외부 강사로서 해결하기 어려운 학부모들의 요구나 문의에도 학교에서는 적극적으로 나서서 해결을 돕는 경우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방과후학교 예술 강사들은 음악 수업이 진행되는 교실 환경에 있어서 부족함을 느끼고 있었다. 수업 장소로 잘 사용하지 않는 교실로 배정을 받고 교실에는 보면대나 책상도 구비하고 있지 않은 학교가 많았다. 더 좋은 방과후학교 음악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환경적인 면에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방과후학교 예술 강사들의 근무 환경이 개선되고 학생들이 더 다양한 음악적 활동과 경험을 할 수 있는 좋은 교육환경이 형성되길 바란다.

      • Oncogenic Function of Cold-Inducible RNA-Binding Protein

        이해나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umor suppressor p53 sensors the DNA damage induced by some stresses and halts the cell cycle and repairs the DNA damage. When the cells could not sensor or repair the damage, the mutation induced by the DNA damage is accumulated and the possibility of carcinogenesis is increased. CIRP is known to be a cold-inducible RNA-binding protein and is highly expressed in many tumors, suggesting that it may have an oncogenic function; however, its mechanism of action remains unknown. Especially, its regulation during DNA damage was not fully elucidated. In part I of this study, we found that CIRP is degraded by ubiquitin-independent proteasome pathway during DNA damage response. Its degradation was mediated by upregulation of p53. Furthermore, p53 promotes expelling of nuclear CIRP to the cytoplasm and it is related to the methylation in RGG domain of CIRP. Then, we investigated the role of CIRP on apoptosis and cell cycle. I found that CIRP attenuates DNA damage-induced apoptosis by inhibiting the induction of pro-apoptotic gene expression (Puma, Noxa and Bax) and enhancing the anti-apoptotic gene expression (Bcl-2, cIAP1, and Bcl-w). Although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cold-inducible RNA-binding protein (CIRP) is associated with chronic inflammation and drug resistance, little is known about the role of CIRP in EMT. In part II of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roles of CIRP on tumorigenesis using TGF-β1-induced EMT model. I observed that low CIRP levels upregulated E-cadherin expression and high CIRP levels downregulated E-cadherin expression, suggesting that CIRP expression levels may be correlated with EMT. Furthermore, I found that CIRP promotes TGF-β1-induced EMT and cell migration and RNA-recognition motif (RRM) domain of CIRP was required for TGF-β1-induced EMT. Moreover, CIRP regulated the expression of the E-cadherin transcriptional repressors, Snail and Slug, via TGF-β1-induced p38 and ERK activation. These findings provide new insight into the role of CIRP in regulating TGF-β1-induced EMT In part I and II, these results provide novel insights into the oncogenic function of CIRP, which may be a therapeutic target for cancer therapy or prevention because CIRP is important for cancer cell survival.

      • 치과의료기관 접근성에 따른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의 신환 분포

        이해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불균등하게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의료이용의 공간적 접근성을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신환을 대상으로 치과의료기관에 대한 접근성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신환 분포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2020년에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부산 및 경남 지역의 신환을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연령, 성별, 거주지, 초진 시 주소(Chief complaint), 내원 경로, 의과적 병력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신환의 거주지에서 가장 가까운 치과의원, 소아전문 치과의원 및 부산대학교 치과병원과의 거리에 측정하여 이에 따른 환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의료기관 접근성 평가를 위해 거주지에서 치과의료기관까지의 거리를 10 km를 단위로 분류하였고, 소아치과의원의 경우 10 km 내 의원 유무도 분류하였다. 신환의 거주지와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치아우식을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의 비율이 감소하였고, 교정치료를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치아 우식이 주소인 환자는 부산대학교 치과병원과의 거리가 10 km 이내일 때 27.9%를 차지하였고, 30 km 이상일 때 20.5%를 차지하였다. 교정치료가 주소인 환자는 거리가 10 km 이내일 때 25.4%를 차지하였고, 30 km 이상일 때 27.3%를 차지하였다. 외과적 치료를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는 거리가 10 km 이상인 경우 약 33%의 일정한 비율로 유지되었다. 환자의 거주지 반경 10 km 이내에 소아치과의원이 없는 경우에서 치아 우식을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가 28.6%로 있는 경우의 22.9%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부산 및 경남 지역의 치과의료기관의 분포를 파악하고, 지리적 접근성에 따라 의료기관별 내원하는 환자의 비율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환자들의 물리적, 지리적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진료 대책을 수립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온라인 정보탐색에서 온라인 구매로 연결되는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패널 데이터를 중심으로

        이해나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온라인이 사람들이 정보를 생산하고 교류하는 주된 공간이 됨에 따라 인터넷 사용자의 대부분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기 전에 온라인에서 관련 정보를 찾아보고 비교하는 과정을 거치며 많은 소비자들이 구매 전에 검색을 하거나 온라인 채널에서 정보를 얻는다. 또한, 온라인을 통한 정보탐색활동은 PC뿐만 아니라 Mobile를 이용하여 빈번하고, 자세히 검색을 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온라인 정보탐색을 바탕으로 온라인 구매로 반드시 이어지는 것은 아니며 최근에는 온라인 정보탐색과 오프라인 구매를 동시에 이용하는 이른바 ‘크로스오버 쇼핑(Cross-over Shopping)’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온라인을 통한 정보탐색에 대한 연구 결과와 온라인에서 일어나는 소비자의 구매행동의 일부 개념을 활용하여 온라인 정보탐색 활동을 고려단계 차원에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구매로 이어지는 온라인 정보탐색 활동의 특징을 규명하였다. 동시에 웹을 바탕으로 한 유선 인터넷과 모바일 인터넷에 따라 고려단계 및 온라인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정보탐색과정에서는 Mobile보다 PC가 정보탐색 수단으로서 더 많은 영향을 미치며, PC에서 이뤄지는 각종 정보탐색특징은 고려단계와 고려단계에 따른 온라인 구매에 영향을 미침을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정보탐색 과정 중 구매 전 고려상표군 형성에 미치는 특징들로 검색행동에서의 Brand와 Promotion 관련 검색어 및 총 검색어 양과 방문행동에서의 탐색 페이지 수, 탐색 사이트의 다양성이라는 특징을 주목해야하며 검색어를 입력한 후에 커뮤니티, 쇼핑, 엔터테인먼트, 공식 홈페이지의 방문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검색과 방문이라는 관점에서 고려상표군의 양에 따른 온라인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특징이 각각 다르다는 점을 도출해 냄으로써 소비자의 온라인 구매 의사결정과정의 특징을 밝혀낼 수 있었다. 비록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소비자 온라인 정보탐색 과정의 측정에 대한 제약은 있었으나, 본 연구는 기존에 다수의 연구에서 특정 기업 관점에서의 분석이 아닌 소비자가 일상에서 온라인 기기를 이용하여 방문한 사이트 및 탐색한 키워드 등 온라인 정보탐색 한 이력을 모두 포함한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다 심층적인 소비자 온라인 의사결정을 이해하기 위한 실증적인 연구로 온라인 정보탐색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실무적으로도 소비자의 온라인 구매를 촉진시킬 수 있는 아이디어의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The) KU facial expression database : a validated database of emotional and conversational expressions

        이해나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Facial expression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ns of nonverbal communication transporting both emotional and conversational content. For investigating this large space of expressions, recently a large database containing dynamic emotional and conversational expressions was developed in Germany (MPI facial expression database). As facial expressions crucially depend on the cultural context, however, a similar resource is needed for studies outside of Germany. Here, we introduce and validate a new, extensive Korean facial expression database containing dynamic emotional and conversational information. For recording the database, 10 individuals performed 62 expressions following a method-acting protocol. We then performed three validation experiments. In the first experiment, 20 participants were asked to name the expression corresponding to the method-acting scenario used in the recordings. We found that 89% of all answers were correctly associated with the intended expression labels. In the second experiment, ten participants were asked to name each of the 62 expression videos from 10 actors in addition to rating its naturalness. In this experiment, we recorded an average of 66% valid answers - given the size of the expression space and the difficulty of the task, this number represents a very good score. Finally, in the third experiment, 20 participants rated video sequences of 28 expressions from 6 actors on valence and arousal dimensions. The resulting two-dimensional space of expressions showed a typical pattern found also in studies on other affective picture material.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e three experiments validate our Korean database. Given that the validation scores also parallel the German validation experiments, combining these two resources will enable detailed within-cultural and cross-cultural investigations of the complex space of emotional and conversational expressions.

      • Image classification using SVM classifier learned by AdaBoost method

        이해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presents the algorithm that categorizes images by objects contained in the images. The images are encoded with bag-of-features (BoF) model which represents an image as a collection of unordered features extracted from the local patches. To deal with the classification of multiple object categories, the one-versus-all method is applied for the implementation of multi-class classifier. The object classifiers are built as the number of object categories, and each classifier decides whether an image is included in the object category or not. The object classifier has been developed on the AdaBoost method. The object classifier is given by the weighted sum of 200 support vector machine (SVM) component classifiers. Among multiple object classifiers, the classifier with the highest output function value finally determines the category of the object image. The classification efficiency of the presented algorithm has been illustrated on the images from Caltech-101 dataset.

      • 스마트폰 카메라 기반의 맥파 측정을 이용한 실시간 모바일 감성 콘텐츠 플레이어 개발

        이해나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감성 콘텐츠는 콘텐츠가 사용자의 감성에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감성을 콘텐츠에 반영시키는 양방향 콘텐츠를 말한다. 최근 감성 콘텐츠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사용자의 감성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생체 신호 센서가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의 감성을 반영시키기 위해 콘텐츠의 색상 요소만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논문은 스마트폰이라는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실시간으로 감성 인식과 감성 반영이 되는 실시간 모바일 감성 콘텐츠 플레이어를 개발하였다. 감성 인식 부분은 콘텐츠가 가지고 있는 감성이 사용자의 감성 변화에 영향을 미칠 때, 이 감성 변화를 인식하기 위해 생체 신호인 PPG를 측정하는 부분이다. 별도의 센서 없이, 스마트폰에서 PPG를 측정하기 위해 후방 카메라를 통해 영상의 Red값으로 PPG 신호를 추출하였다. PPG 신호로부터 PPI와 맥박을 계산하였고, PPI를 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감성을 각성 또는 이완으로 분류하였다. 감성 반영 부분은 사용자의 감성 변화를 콘텐츠에 실시간으로 반영시키기 위해, 콘텐츠의 분위기를 이끄는 채도와 명도를 변화시키는 부분이다. 한 프레임마다 채도와 명도를 변경시켜야 하기 때문에, FFmpegLibrary를 이용하여 디먹싱 과정과 디코딩 과정을 거쳤다. 그 후에 영상의 색 공간을 변환하여, 각성 또는 이완에 따라 채도와 명도를 변경하였다. 실시간 모바일 감성 콘텐츠 플레이어를 활용하여, 각성 유도 시나리오와 이완 유도 시나리오로 구현하였고 그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사용자의 감성 변화에 따라 어떠한 변화도 없는 일반적인 콘텐츠로 시청할 때, 사용자의 감성이 이완일 때 채도와 명도가 증가하는 각성 유도 시나리오에 따라 시청할 때, 사용자의 감성이 각성일 때 채도와 명도가 감소하는 이완 유도 시나리오에 따라 시청할 때의 평균 PPI를 비교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일반 콘텐츠로 시청할 때에 비하여, 각성 유도 시나리오에 따라 시청할 때 평균 PPI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이는 사용자의 감성을 각성으로 유도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반 콘텐츠로 시청할 때에 비하여, 이완 유도 시나리오에 따라 시청할 때 평균 PPI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는 사용자의 감성을 이완으로 유도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실시간 모바일 감성 콘텐츠 플레이어는 콘텐츠와 사용자가 양방향으로 영향을 주는 인터랙티브한 시스템임을 확인하였고, 이 시스템을 통해 콘텐츠와 사용자가 서로 교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emotional content can be defined a two-way interactive content which can not only affect user’s emotion, but also reflect its emotions on contents. Recently, many researches about emotional contents have been studied actively, however, they required extra physiological sensors attachable types for recognizing user emotions. In addition, they achieved the color property changes in contents for reflecting user’s emotion. In this study, I developed the real-time mobile emotional contents player that measures the user’s emotion and reflects the measured emotional states to multimedia contents played in smart-phones, concurrently. The PPG (Photoplethysmography) signal was adopted for measuring the emotional states of users when the video contents affects user’s emotional change. Without separated sensors, the PPG signals generated from the red values of the captured video images with the built-in a camera of smart-phones. PPI(Pulse to Pulse Interval) and HR(Heart Rate) were calculated from the generated PPG signals, and also the emotional states of users were classified as arousal or relaxation through the change of PPI. In order to reflect the emotional states of users into video contents, the degree of the saturation and brightness were changed in real-time. In the content player, the demuxing and decoding modules were adopted by the customized FFmepgLibrary to control the levels of the saturation and brightness for each frames of the contents. By converting the color space of the each frame, the saturation and the brightness values were changed regarding to the arousal or relaxation states of users. There were two experiment scenarios, the arousal induced and relaxation induced, using the developed mobile emotional contents play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Comparing the normal experiment case that the users watched the normal video contents controlled by emotional states, in the two tests, the average of PPI was measured when the user watched the arousal contents that helps the user can feel more arousal, and relaxation contents that helps the users can feel more relaxation, respectively. The average of measured PPI was compared regarding to two experiments and conducted the paired-samples T test. As a result, the average of PP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the users watched the contents in the arousal induced scenarios. Besides, the average of PP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the users watched the content in the relaxation induced scenarios. From the results, the designed system, the real-time mobile emotional contents player, is useful to reflect emotional states into video contents, and is expected to control users’s emotional states as a interactiv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