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문사설 기호와 신화분석 : 한겨례신문과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언론개혁 사안을 중심으로

        이한미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언론은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일반사람들이 사회를 가장 손쉽게 이해할 수 있는 창이고 안경이다. 어느 안경을 쓰느냐에 따라서 사물의 본질이나 모습이 달라 보이 듯이 어느 신문을 보느냐에 따라 어떤 사안에 대해 평가를 다르게 내릴 수 있다는 가정 아래 이 논문을 시작했다. 언론의 목소리는 각 회사의 이데올로기에 따라 각기 다르다. 한 사회 안에 들어가 있는 같은 언론이라도 언론은 꼭 그 사회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를 따라가지는 않는다. 물론 이것은 민주주의 사회의 언론으로 당연한 모습이다. 2001년 시작된 정부의 언론개혁은 언론계에 커다란 파문을 일으켰다. 이번 개혁으로 인해 언론개혁에 대한 대대적인 논쟁이 촉발되었다. 이중에서도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이 언론개혁 사안에 대해 민감하면서도 대립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언론 중에서도 동일한 사안을 언급함에 있어서 진보적인 이데올로기를 갖고 있는 신문과 보수적인 이데올로기를 갖고 있는 각각의 신문이 있다는 전제 하에 그러한 이데올로기를 만들어 내는 기호를 분석하여 각 신문사설이 지니고 있는 이데올로기와 신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각 신문의 사설의 내용은 어떠한 이데올로기적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가? 그리고 공통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언론이데올로기는 무엇인가? 둘째 각 신문사간의 갈등의 내용은 무엇인가? 셋째 위의 내용을 토대로 이 두 신문사가 표방하고 있는 이데올로기 및 신화를 분석해내기로 한다. 이를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언론과 이데올로기와 신화의 특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고 그 이론들을 토대로 본 논문의 분석대상으로 삼은 신문사설의 특징과 이데올로기적 차별성을 연구하고 신화를 분석하기로 한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우리나라에서 발행된 신문 중 사회적 영향력이 크고 이데올로기적으로 상반된 태도를 보여 온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을 그 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분석기간은 2001년 김 대중 대통령이 언론개혁을 언급한 다음 날부터 언론세무조사, 공정위 조사를 거쳐 신문고시 시행령이 발표된 4월 18일까지로 잡았다. 분석기간을 3개월로 잡은 것은 이 기간 내에 언론개혁에 대한 논의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분석방법은 기호학적 분석 중 범주화와 과어휘화 전제분석을 시도하고 계열체와 통합체 분석을 겸하기로 한다. 그리고 보다 정확한 수치를 통한 분석을 이끌어 내기 위해 등간 측정을 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사설을 분석함으로 드러나는 신화를 알아보기로 한다. 분석 결과 2개의 신문은 각기 다른 이데올로기 성향을 지니고 있었으며 신화 분석에서는 공통으로 드러내고 있는 신화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이데올로기 성향을 보면 조선일보는 보수적이고 현실 안주적인 태도를 보였고 한겨레신문은 진보적이고 개혁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두 신문 모두 독자주의와 객관주의 언론이데올로기를 표방하고 있었다. 사설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는 그 신문의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에 대해 비판이나 지지 등의 태도를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사설만을 분석함으로 보다 심층적이고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한계가 아쉬움으로 남는다. The press is regarded as window and glasses which make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se complicated modern times. I started this study in the question if, as expected, the press can imposed their newspaper's will on readers. I began this paper to conform the assumption whether the editorial which were written skillfully without expressing any political colors would distort the fact and whether the tone and direction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litical view of the press. The tone of each press is always different by their company's own ideology. even if they are the press in the same society, they don't obey the society's main ideology. needless to say, in the democratic state, that would be right. With a government' reformation of press as a start, that makes create a stir in the press. due to this reformation, a heated controversy arose. It brought about serious antagonism between especially Chosun-ilbo and Hankyeorae. On the assumption that each newspaper has their own different viewpoint, I'm going to analyze the ideology and mythology in a concrete plan by sign analysis. So this treatise sets up an a subject of study as follows. the first, what is the main difference of each press's ideology? and what is the common ideology which they apply. the second, what is discord between two press. the third, based upon substance of my study I'm about to analyze the ideology and mythology. To analyze these subject ,at the outset, I'll observe carefully existing studies related to ideology and mythology. On the basis of these theory, this essay will make a study of each company's editorial and different ideology. besides I'll analyze the mythology. This study's subject of investigation is Chosun-ilbo and Hankyeorae which have a great power of influence on the reading public. This study makes a start since 2001,1,11. and put an end 2001,4,18. The ground of this period of time is because they had a lively discussion about the press reformation within a fixed period of time. As the method of analysis, I carried out the quantitative analysis which is targeted on the editorials printed in those above two newspapers. and content analysis of the title and the tone of editorial side by side. The last I'll feel out revealed mythology by resolving the editorials. The final result shows that they have a different kinds of ideology and I can make clear commonly revealed mythology. By examining the editorials, both papers have an inclination. Chosun-ilbo shows an inclination toward conservatism. Hankyeorae leans toward the left and progressivism. also both papers adopt a same platform sort of objectivism. We learned that we understood the organ of public opinion'view and ideology by resolving the editorials. but I'm unsatisfied with the lack of synthetic analysis. because I choose the editorials as subject of investigation.

      • 근골격계질환을 가진 농촌 노인의 우울 영향요인

        이한미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The incid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MSDs) has increased in recent times due to an aging society, especially in rural areas. MSDs are a factor changes in pain, self-esteem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as well as depression. Thus, rural elderly with MSDs suffer not only physically, but also in spirit due to the onset of pain and changes in self-esteem and IAD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pain, self-esteem, IADL, depression and influencing factors depression rural elderly with MSDs. And then ultimately to help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promote their health. Data collection period from September 4 to October 31, 2012. Subjects were eighty-three, over 60 years old and living in rural areas at Chungbuk. A questionnaire was used in the gathering of data. The data in this study was analyzed by means with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19.0 program. Incidence of de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age, marital status, perceived health status, chronic disease, pain, self-esteem, and IADL. Depression and pain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each other(r=.510, p=.000 ).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elf-esteem(r=-.663, p=.000), as well as depression and IADL(r=-.483, p=.000 ). Major factors that affected in rural elderly with MSDs depression were self-esteem with plained at 48.8%. Through the result as above, self-esteem is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for understanding depression of rural elderly with MSDs. Therefor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restores or maintains self-esteem as well as further study to assess our ability to predict the onset of depression among rural elderly with MSDs is encouraged.

      • 농촌지역 골관절염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경로모형

        이한미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elderly with osteoarthritis in rural areas and to establish a hypothetical model that includes the influence variables and then to examine the paths between the variables to explai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elderly with osteoarthritis. This study base on Pender (1996)’s health promotion model and constructed a hypothetical model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elderly with osteoarthritis in rural area. The hypothetical model was consisted of 6 exogenous variables (prior related behavior, age, joint pain,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prefereneces), 6 endogenous variables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barriers, perceived self-efficacy, perceived social support,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the hypothetical model constructed through this consists of 12 measuring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by one-to-one interview from elderly aged 65 years or older residing in the towns and villages of 6 cities in C Do from April to July, 2016, and and analyzed data from 204 questionnari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23.0 SPSS and AMOS 23.0 progra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hypothetical model(χ2=58.236, CMIN/df=4.480, GFI=.958, AGFI=.750, CFI=.944, NFI=.933, SRMR=.047, RMSEA=.131) was satisfied the recommended level of model fit,and 20 out of 37 paths were directly and indirectly significant. 2) Modified model was completed by adding two significant paths for the simplified model. Model fit of modified model(χ2=14.284, CMIN/df=1.299, GFI=.989, AGFI=.919, CFI=.996,NFI=.984, SRMR=.022, RMSEA=.038) was satisfied. This study selected this modified model, and 23 paths were directly and indirectly significant. 3) Prior related behavior, depression, perceived benefits, and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were directlyl and indirectly explained by 55.8%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elderly with osteoarthritis in rural area. and prior related behavior, age,joint pai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ere found to affect health promotion behavior through mediation of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barriers, perceived self-efficacy, and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4) As Pender (1996)’s health promotion model,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elderly with osteoarthritis in rural area is related to personal factors and experiences on the perceived behavior were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by transversal process. The result of this study explained that prior related behavior, depression, perceived benefit and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should be considered as predi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lderly with osteoarthritis in rural area.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elderly in the rural area,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previous health related behaviors, reduce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integrate nursing interventions considering the local community environment to improve the benefits and behavior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It is expected that health promotion program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ment. Key words: Osteoarthritis, Elderly, Health promotion behavior,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Depression, Prior related behavior

      •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생애 역량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의 매개효과

        이한미 대전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생애역량, 행복감,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소진간의 차이와 관련성을 살펴보고, 생애역량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이 어떠한 영향력을 지니는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생애역량, 행복감,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소진간의 차이와 생애역량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생애역량, 행복감,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소진의 차이가 있는가? 2.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생애역량, 행복감,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소진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3.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생애역량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설문지를 제작하여 대전광역시, 충청북도, 전라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교육청 산하 영재교육원, 영재단위학급, 지역영재학급에 다니고 있는 초등학교5 학년, 6학년학생과, 중학교 1학년, 2학년 영재학생 337명과 같은 지역의 일반학생 3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와 Amos ver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먼저 SPSS version 을 이용하여 통계 및 t 검증, 신뢰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version21.0을 이용하여 매개모양을 분석하고 , RMSEA, CFI,, TLI 값을 통해 모델 부합도를 확인하였다. 각 도구의 신뢰도를 Cronbach의 α값으로 연구문제에 통계분석 하였다. 분석한 결과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생과 영재학생의 생애역량, 행복감, 성취목표지향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영재학생이 일반학생에 비해 모두 높음을 알 수 있다. 반면, 학업소진은 일반학생이 영재학생에 비해 높게 지각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생애역량의 하위요인에서 대부분변인들을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스스로 높게 지각하고 있지만 생애역량의 생활관리 역량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건강관리, 과제관리에 스스로 높이 평가하나, 상황대처, 정서조절은 영재학생과 일반학생과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취목표지향성의 숙달회피지향성과 수행회피지향성은 일반학생이 영재학생보다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학업소진간의 하위변인인 무능감, 반감, 탈진, 냉담에서 모두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행복감의 4가지 하위변인인 주관적 안녕감, 생활만족도, 탄력성, 자율성에서 모두 일반학생보다 영재학생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재학생의 생애역량,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소진과 행복감의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생애역량이 높아지면 행복감을 높게 지각하며, 성취목표지향성의 숙달접근지향성이 높아지면서 행복감은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업소진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학생의 생애역량,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소진과 행복감의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일반학생도 생애역량이 높아지면 행복감을 높게 지각하며, 성취목표지향성의 숙달접근지향성이 높을수록 일반학생의 생활만족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반면 학업소진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영재 학생의 생애역량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행복감에 대한 생애역량의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직접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생애역량이 행복감에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주고, 간접적으로도 영향도 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이 생애역량과 행복감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생애역량이 높아지면 행복감이 증가하는데, 생애역량이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으로 인하여 행복감이 더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일반학생의 행복감에 대한 생애역량의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반면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생애역량이 행복감에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주고, 간접적으로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이 생애역량과 행복감 사이에서의 매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생애역량이 높아지면 행복감이 증가하는데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으로 인하여 행복감이 더 증가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 개인 및 단체 줄넘기 운동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한미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국 문 초 록 개인 및 단체 줄넘기 운동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체육교육전공 이 한 미 지도교수 서 재 복 본 연구는 사회성 함양에 도움을 주는 스포츠 활동 중에서 줄넘기 운동이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선행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줄넘기 유형을 개인 줄넘기와 단체 줄넘기 운동으로 구분하여 어떤 줄넘기 유형이 아동들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가를 실험적으로 검증해보고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개인 및 단체 줄넘기 운동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춘천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개인 줄넘기 운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1개 학급 26명과 단체 줄넘기 운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1개 학급 26명과 통제집단 1개 학급 27명을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개인 및 단체 줄넘기 운동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친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사회성 검사를 위한 질문지를 시용하였으며, 사전, 사후에 대상학급에 배포하여 작성하도록 한 후 채점하였다. 검사지는 7개의 하위 영역에 35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모든 자료처리는 SPSS Window 1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집단간 사회성 발달의 차이는 독립 t검정 및 일원분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으며 이 때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집단별 사회성 하위 요인의 사후검사 결과 줄넘기 운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사교성, 협동성, 봉사성, 활동성, 안정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사교성은 개인줄넘기를 실시한 실험집단 A와 통제집단, 단체줄넘기를 실시한 실험집단 B와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협동성은 실험집단 A와 통제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활동성은 실험집단 A와 통제집단간에, 안정성은 실험집단 B가 실험집단 A와 유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개인줄넘기를 실시한 실험집단 A와 단체줄넘기를 실시한 실험집단 B의 경우 사회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개인줄넘기를 실시한 실험집단 A의 경우는 사회성 검사의 하위영역인 사교성과 협동성, 활동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으며, 단체 줄넘기를 실시한 실험집단 B의 경우는 사교성, 협동성, 봉사성, 활동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났다. 셋째, 개인줄넘기를 실시한 실험집단 A와 단체줄넘기를 실시한 실험집단 B 모두 남자와 여자의 사회성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넷째, 개인줄넘기를 실시한 실험집단 A의 여자가 협동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으며, 봉사성 영역에서 단체줄넘기를 실시한 실험집단 B의 여자가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또한, 활동성 영역에서는 실험집단 A의 여자가, 실험집단 B의 남자가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사교성, 자제성, 책임성, 안정성의 발달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그 차이가 미미해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인 및 단체 줄넘기 운동이 아동들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볼 때 사회성과 그 하위요인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남․여 아동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인지행동적 감사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감사성향에 미치는 효과

        이한미 公州敎育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감사성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지행동적 감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지행동적 감사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가? 둘째, 인지행동적 감사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감사성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 H초등학교 5학년 학생 36명(남 18명, 여 18명)중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학급 학생 18명(남 9명, 여 9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 학생 18명(남 9명, 여 9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고, 실험집단에게는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 사이에 10회기에 걸친 인지행동적 감사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지행동적 감사프로그램의 실시를 독립변인으로 하였으며, 자아존중감과 감사성향을 그에 따른 종속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인지행동적 감사프로그램과 자아존중감 검사, 감사성향 검사이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두 집단 간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대한 평균 점수 차이검증을 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검사 점수에 대하여 공분산분석(ANCOVA) 을 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후검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적 감사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검사에 있어 자아존중감의 구성요인 중 가정적 자아존중감과 학교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인지행동적 감사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검사에 있어 감사성향의 구성요인인 감사 대상에 대한 인식 및 인정, 감사 정서 체험 및 반응 경향성 모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얻어진 연구 결과, 본 인지행동적 감사프로그램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감사성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비대면 미술치료가 대학생의 불안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이한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비대면 미술치료가 대학생의 불안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소셜미디어 및 온라인 카페를 통해 모집된 4년제 대학교 소속인 16명으로 실험군 8명과 통제군 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군 에게만 실시된 비대면 미술치료는 2020년 12월 23일부터 2021년 3월 18일까지 주 1회, 회기 당 50분, 총 10회기를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인 줌(ZOOM)을 활용하여 1:1 개인별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도구로 Spielberger(1970)가 개발한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를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한국 대학생과 고등학생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수정, 보완한 상태-특성 불안 척도와 Dignan(1965)이 개발한 Ego-Identity을 서봉연(1975)이 번역하고 박아청(2003)이 한국 대학생과 중‧고등학생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수정하고 보완한 ‘한국형 자아정체감 척도’를 사용하여 SPSS 25.0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비대면 미술치료 실시 전 실험군, 통제군 간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맨 휘트니 유(Mann-Whitney U)검증을 하였고, 사전‧사후 효과성 검증을 위해 윌콕슨 부호 순위(Wilcoxon Signed-Rank Test) 검증을 하였다. 또한 비대면 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불안과 자아정체감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미술치료는 대학생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분석 결과 통제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즉 실험군의 전체 불안이 감소되어 긍정적 변화가 있었고 상태 불안, 특성 불안 또한 프로그램 전과 비교하여 감소되어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둘째, 비대면 미술치료는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전·사후 비교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즉 실험군의 전체 자아정체감이 향상되어 긍정적 변화가 보였으며 하위요인에서는 주체성, 자기수용성, 목표확신성, 주도성에서 프로그램 전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비대면 미술치료 과정에서 실험군의 불안과 자아정체감에 긍정적인 질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미술작업에서 자신의 불안의 원인이 되는 요인을 자각하는 기회를 갖고 부정적인 감정을 인식, 해소함으로써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자신을 인식하고 이해 및 수용함으로써 긍정적인 자아상이 생기면서 자아정체감 역시 높아졌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비대면 미술치료가 대학생의 불안과 자아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비대면 미술치료를 구성하고 실시함으로써 효과성을 입증하여 향후 다양한 임상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비대면 미술치료는 내담자가 원하는 자신만의 안전한 치료적 공간에서 시행 될 수 있으며 시공간의 제약이 없고 접근성이 용이 하기에 불안이 높은 내담자들에게 정서적 안녕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미술작업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정서 상태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부정적 감정 중 불안에 집중하여 자아정체감 확립에 방해되는 정서를 살피어 자아에 대해 깊이 통찰하여 긍정적 자아상 확립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untact art therapy on anxiety and ego-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 The sample consisted of 8 in treatment group and 8 in control group, 16 of students of university who were recruited through social media or online community. The untact art therapy subjected to treatment group was administrated by face to face with online video conference platform ZOOM, during total 10 sessions of once a week, 50 minutes per session from December 23, 2020 to March 18, 2021. The measures are suggested as belows. Kim and Shin(1978) modified and revise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developed by Spielberger(1970), which lead to state-trait anxiety scale to apply to Korean university student and then the study use this scale. In addition, Seo(1975) translated and Park(2003) modified and revised ego-identity by Dignan(1965), which lead to‘Koran Ego-Identity Scale’to utilize for Korean students and then the study also use this scale.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5.0 was used. Prior to untact art therapy, Mann-Whitney U analysis for homogeneity testing between treatment and control was conducted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for effectiveness testing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was run. Also anxiety and ego-identity represented during untact art therapy was examined qualitatively. The results show as follows. First, comparison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bout untact art therapy effect on anxiety of student statistically illustrated the significant change. That is, the decrease of total anxiety in treatment lead to positive change, and state as well as trait anxiety decreased and indicated positive change compared to pretest. Second, untact art therapy statistically indicated the significance on comparison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bout untact art therapy effect on ego-identity of students. That is, the increase of total ego-identity in treatment lead to positive change, and sub-factors, subjectivity, self acceptance, goal assurance, and self directed demonstrat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pretest. Third, the positive qualitative change anxiety and ego-identity in treatment during untact art therapy course was observed. For art activity the chance that anxiety attribution of oneself could be recognized was obtained and the negative emotion was perceived and released and lead to ease anxiety. On account of which by perceiving, understanding and accepting oneself. the positive ego image arose and also, ego-identity moved up. As discussed above, the effect of untact art therapy on anxiety and ego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 was identified. This study determined effectiveness by untact art therapy which are provided and administrated for university student and established the background environment applied to various clinical counselling in the future. The untact art therapy could be administered in his/her own safe therapeutic space in virtue of no spatial and temporal limitation as well as easy accessibility the emotional well-being could be presented to clients with the high anxiety. Also, there is implication in that through art activity his/her own feeling and emotional state is appropriately recognized, anxiety among the negative emotion is focused, emotion interrupted for ego-identity establishment is checked and an deep insight into self is gained and it could be helpful for the positive ego-identity establish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