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00~1910년대 샌프란시스코 한인사회의 형성과 성격

        이하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Due to geographical condition of port city, frequent contact with different races was taken place in San Francisco from the past and it shows more diversified racial composition than Eastern US. US immigration of Koreans having been started from early 1900s was progressed under the plundering process of Japanese imperialism. Koreans being recruited under the arrangement of East-West Development Company and Christian missionary were immigrated to San Francisco via Hawaii. Where, an economic factor of better working condition was strongly acted and Koreans of city birth tried to relocate their working place to US continent. For Koreans who settled down in a strange land needed an alliance for information exchange and as a venue of gathering, Korean United Methodist Church(桑港韓人聯合監理敎會) was established. This church was a center of general activity for Korean settlement and racial movement and after it being developed to a venue of Korean community, United Korean Association(共立協會) was organized. This organization was developed, re-organized to Korean National Association(大韓人國民會) and engaged in its activity by forming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general Korean along with plundering of national sovereignty. On the other hand, for Korean immigrants, maintaining a livelihood was the most urgent matter. During those times, industrialization of western US was just started and in labor market, cheap Oriental laborers were recruited in large scale. Koreans played a role of laying foundation in a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of western US based on cheap labor and sincerity. This labor was so called '3D' job such as railroad work or mining job. This field was a part that could be participated by Koreans who were still unskilled in communication as livelihood means in the US society. Commerce and service business based on skilled communication were progressed, developed independently in Korean society and over time. range of economic activity was widened together with local adaptation. Economic activity of Koreans like this was not limited to just Korean society but it shows multi-layered nature of playing its role in US society also. Korean did not spend their income earned by economic activity in a waste land just on their subsistence. Under the situation of lost country, their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were to arrange independence movement fund and they regarded it as top priority of save-the-nation campaign. Financial support for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n in US showed their advanced consciousness and such a result was enabled by sustained ethnic education activity. Ethnic education was essential for Koreans living abroad under the situ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plundering in order to maintain identity as Koreans, not as "subjects" of Japan. However, contrary to English education that receives US government support, ethnic education of Koreans could not receive any financial support. Therefore, ethnic education of Korean at early stage was performed in a form of night school at home or Korean church. From the beginning of 1910s, as 2nd generation was growing,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and ethnic education was further emphasized. Under this situation, Korean society in the US constructed a system by establishing Korean school under the umbrella of Korean National Association that was Korean autonomous government and each local society and allocating budget. Korean-Americans who had to settle down and lead their life without legal personal status in a strange land did not stop their effort in order to solidify Korean society by overcoming this crisis of ethnic identity. During the times of national sovereignty plundering, Korean society in the US was an unofficial nation of Koreans and an aggregate of ethnic identity. In particular, Korean society in San Francisco completed its role at an early stage of immigration as a first residing place of Korean immigrants and a center of overseas Korean society where central assembly of Korean National Association was positioned. 샌프란시스코는 항만도시라는 지리적 조건으로 예전부터 이민족과의 접촉이 잦았으며 미국 동부 보다 다양한 민족 구성을 이루고 있다. 1900년대 초 시작된 한인의 미국 이민은 일본 제국주의의 침탈 과정 속에서 진행되었다. 동서개발회사와 기독교 선교사의 주선으로 모집된 한인은 하와이를 거쳐 미국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하였다. 여기에는 더 나은 노동조건이라는 경제적 요인이 크게 작용했으며 대다수 도시출신이었던 한인들은 미국 대륙으로 일터를 옮기고자 하였다. 낯선 땅에 정착한 한인에게는 정서적 안정과 정보 교류를 위한 연합이 필요하였고 모임의 장으로 상항한인연합감리교회가 세워졌다. 이 교회는 한인의 정착을 위한 제반 활동과 민족운동의 중심이 되어 활동하며, 이후 한인공동체의 장으로 발전하여 한인자치정부 공립협회를 조직하였다. 이 조직은 국권침탈과 함께 대한인국민회로 발전·개편되어 한인 일반 동포들과 유기적 관계를 맺으며 활동하였다. 한편 이주한 한인에게는 생계유지가 가장 시급한 문제였다. 이 시기는 미국 서부의 산업화가 시작되던 때로, 노동시장에서 값싼 노동력인 동양인 노동자를 대거 모집하였다. 한인은 값싼 노동력과 성실함을 무기로 미국 서부 산업화 과정에서 그 기초를 닦는 역할을 맡게 되었다. 위와 같은 노동은 철도공사나 광산캐기와 같은 소위 ‘3D’업종이었다. 이 분야는 아직 의사소통에 미숙한 한인이 미국사회에서 생계 수단으로 참여할 수 있는 부분이었다. 능숙한 의사소통을 기본으로 하는 상업 및 서비스업은 한인사회 내에서 자체적으로 진행·발전되었고, 시간이 지나 현지에 적응해가면서 경제 활동의 폭도 넓어졌다. 이와 같은 한인의 경제 활동은 한인사회 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미국사회에서도 그 역할을 이행하는 중층적 성격을 보이고 있다. 재미한인은 불모지에서 경제 활동으로 얻어진 수익금을 자신의 생계유지에만 국한하여 쓰지 않았다. 이들은 나라를 잃은 상황에서 재미한인의 책임과 의무를 독립운동자금마련에 두고 그것을 구국운동의 제일로 삼았다. 재미한인의 독립운동 재정지원은 한인의 의식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것은 그간의 민족교육 활동이 꾸준히 전개되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국권 침탈의 상황 해외한인에게는 일본의 “신민”이 아닌 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민족교육이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한인의 민족교육은 미국정부의 지원을 받는 영어교육과 달리 어떠한 지원도 받을 수 없었다. 따라서 초기 재미한인의 민족교육은 가정이나 한인교회에서 야학 등의 형태로 이행되었다. 1910년대에 들어서고 한인 2세가 성장함에 따라 국어교육 및 민족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었다. 이에 재미한인사회는 국어교육의 의무화와 함께 한인자치정부인 대한인국민회 각 지방회 소속으로 한인학교를 설립하였고 예산을 편성하는 등 체계를 갖추어갔다. 낯선 땅에서 법적 신분 없이 정착하고 생활해야 했던 재미한인은 이와 같이 민족정체성의 위기를 극복하고 한인사회를 공고히하기 위해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 국권침탈의 시기 재미한인사회는 한인의 비공식 국가였으며 민족정체성의 집합체였다. 특히 샌프란시스코 한인사회는 미국으로 이주한 한인이 처음 거하는 곳이자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가 자리한 해외한인사회의 중심부로서 이민 초 그 역할을 다하였다.

      •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 자기자비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이하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상담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초등학교 학생의 거부민감성, 우울, 자기자비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초등학교 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3> 초등학교 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3개의 초등학교 6학년 18개 학급을 대상으로 아동용 거부민감성, 우울, 자기자비, 사회적 지지 관련 자기보고식 검사 도구를 총 430부 배부하였다. 검사 도구 430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응답이 누락된 19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411부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1.0을 사용하여 검사도구의 신뢰도 검증, 주요 변인 간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 적합도 검증을 위하여 AMOS 21.0을 사용하여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 연구 모형 적합도 검증, 경로계수 산출, 변인간 직·간접 효과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자비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생의 거부민감성, 우울, 자기자비, 사회적 지지는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잠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거부민감성과 우울은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으며 거부민감성과 자기자비 및 사회적 지지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자기자비 및 사회적 지지는 우울과 각각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부민감성, 우울 및 자기자비로 구성된 연구모형 1에서 거부민감성에서 우울로 가는 직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부민감성에서 자기자비로, 자기자비에서 우울로 가는 경로는 모두 부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부민감성, 우울 및 사회적 지지로 구성된 연구모형 2에서 거부민감성에서 우울로 가는 직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부민감성에서 사회적 지지로, 사회적 지지에서 우울로 가는 경로는 모두 부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거부민감성이 높은 아동일수록 우울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지만 자기자비와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를 매개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아동기 우울을 경험하는 아동들을 상담하는 데 있어 거부민감성, 자기자비,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다차원적으로 고려한다면 치료적 효과를 높일 것이라 기대된다. 주요어 : 거부민감성, 우울, 자기자비, 사회적 지지 * 본 논문은 2016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For this study, following questions were raised. First, are there meaningful correlation among rejection sensitivity, depression, self-compassion and social support? Second, is there a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Third, is there a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In order to examine these questions, data was collected from 43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ixth grade in Seoul by researching the measure of rejection sensitivity, depression, self-compassion and social support. Final number of data for analysis were 411 as 19 incomplete datas were excluded. For the data analysis, SPSS 21.0 was used for Cronbach's alpha,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MOS 21.0 was used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alysis and examining regression weights and effects among main valuables. Last,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s, the sobel-test was us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re were meaningful correlations among rejection sensitivity, depression, self-compassion and social support.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hile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compassion,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support both ha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mediating valuables, self-compassion and social support had positive correlation. Last, self-compassion and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both had negative correlations. Second, self-compassion had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The author set a research model 1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The direct way from rejection sensitivity to depression was meaningful. In addition, ways from rejection sensitivity to self-compassion, from self-compassion to depression were both negatively meaningful. In order to examine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 the sobel test was used. As a result, self-compassion's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were verified as significant. Third,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The author set a research model 2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The direct way from rejection sensitivity to depression was meaningful. In addition, ways from rejection sensitivity to social support, from social support to depression were both negatively meaningful. In order to examine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 the sobel test was used. As a result, social support's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were verified as significa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rejection sensitivity can be a precedent valuable for developing children's depression and that self-compassion and social suppor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 that in counseling children's experiencing depression, it would be helpful to consider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self-compassion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