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교실에서 실내공기질 향상을 위한 적정 필요 환기량에 대한 연구

        이필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학교 교실의 실내공기 오염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실내 오염물질의 발생원과 그것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자료를 조사, 분석함과 동시에 학생들이 활동하는 학교 교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의 환기상태를 평가하는데 지표로서 사용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대해, 환기장치의 작동 유무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9년 2월 개축 준공한 서울지역 중랑구에 소재한 중화초등학교의 임의 학년인 2학년, 4학년, 6학년의 학교 교실을 임의로 1개소를 선정하여 교실 천장 마감처리한 텍스 속에 환기장치, 덕트, 급기구와 흡기구를 설치하여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실험을 하고자 한다. 이로부터 환기장치가 무가동하는 경우와 환기장치가 가동하는 경우에 대한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특히 학교 교실에서 적용되는 학교시설 환경위생 관리 기준의 이산화탄소 농도 최저 기준치인 1,000ppm에 대한 환기장치의 경제적인 최소한의 적정 필요 환기량을 본 실험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아울러 상기 학교 교실에서의 경제적인 최소 적정 필요 환기량으로부터 향후 교실에서 냉난방, 환기를 위한 공기조화기 등의 기계 환기장치가 가동되는 경우에 대한 에너지 절약적인 환기횟수를 산정하여 미약하나마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실내공기질 개선 분야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실험을 통한 결과로는, 학교 교실에서 CO2 농도에 대한 최소한의 학교시설 환경위생 관리 기준치인 1,000ppm으로 유지하기 위한 경제적인 최소한의 적정 필요 환기량에 대해, 2학년 3반은 728MH, 4학년 3반은 933CMH, 6학년 6반은 955CMH 정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초등학교 교실에 대한 경제적인 적정 평균 필요 환기량은 872CMH 정도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향후 학교 교실에서 냉난방, 환기를 위해 공기조화기 등 기계 환기장치가 가동되는 경우에 대해, 기계 환기장치의 에너지 절약적인 환기횟수는 2학년 3반에서는 4.3회/h, 4학년 3반에서는 5.5회/h, 6학년 6반에서는 5.6회/h로 초래되었다. 결과적으로 초등학교 교실에 대한 기계 환기장치의 에너지 절약적 필요 환기횟수는 5.1회 정도로 알려졌다.

      • 地域社會福祉 活性化를 위한 民ㆍ官 協力 方案에 관한 硏究 : 京畿道를 中心으로

        李珌信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지역사회는 사회문제의 장(場)인 동시에 복지서비스 제공의 장으로서 사회복지의 매우 중요한 장(場)이다. 그러나 아직도 전문 사회사업방법론 중에서 지역사회복지가 차지하는 위치가 무엇이며, 그 내용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합의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이는 실제 현장에서는 사회복지관 등을 매개로 지역사회복지 사업이 상당히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학계에서 전문 실천방법론을 논할 때 주로 미시적인 임상에 치중하고, 실천방법으로서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진지한 논의는 부족했던 때문이다. 따라서 지역사회복지 전문 실천방법의 체계적인 정립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에서는 ① 지역사회복지의 이론적 고찰과 본 연구의 분석체계 모형을 통해 지역 사회복지가 대두되고 있는 배경과 현실적 조건으로 내외적 변화요인과 지방 자치에 따른 지역중심의 복지단위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② 현재의 지역사회복지 문제점과 발전방안으로 첫째, 공공전달체계 둘째, 민간전달체계 셋째, 지역사회 복지재정의 확충 넷째, 자원봉사활동 다섯째, 공공기관과 민간기관과의 연계와 협조 및 조정체계의 구축방안으로 세분화하여 고찰하고, 지역사회복지의 현실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③ 연구의 결과로 지역사회복지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민간협력 방안을 제시하여 공공과 민간의 다양한 파트너십 개발과 참여 주체들의 역할을 규정하는 것을 중심과제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을 위한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이론적, 현실적 논거를 통해 전개하였다. 우선 지역사회복지의 배경으로 첫째, 지역사회 및 가족기능의 변화에 따라 가족과 지역공동체가 지니고 있던 복지적 기능이 약화됨으로서 이를 보완하는 사회적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둘째, 복지욕구가 경제적인 면에서 비경제적인 복지 서비스로 옮겨지고 있으며 셋째, 종래의 시설 수용 위주의 복지에서 탈피하여 가정과 이웃과의 정상적 생활 속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가복지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넷째, 지역사회의 중요성을 점차 인지하게 되었다는 인식하에 지금까지의 사회복지 대책은 계층별 대상 규정으로 취급하는 경향이 강했지만 지역사회 복지는 주민생활을 지역사회에서 주민주체로 사회복지를 통합하여 전개하는데 그 특성이 있음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현재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 문제점과 발전방향으로는 첫째, 공공전달 체계의 문제점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행정체계의 연계미흡과 전문성 확보의 미흡 둘째, 민간전달 체계의 문제점으로 주민의 욕구에 따른 능동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점과 복지서비스 기능의 전달체계의 미흡을 제기하였고, 이의 개선방향으로 주민조직화를 통한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셋째,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는 몇 대도시를 제외하고는 심각할 정도로 빈약한 실정이기 때문에 지역사회의 민간자원을 적극 동원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넷째, 자원봉사의 문제로서 자원봉사자의 문제, 자원봉사자 활용기관의 문제, 자원봉사 활동내용의 문제, 자원봉사자 관리체계의 문제, 자원봉사제도의 문제에 의한 자원봉사 자원이 제기능을 찾지 못하고 있음에 따라 이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관리체계의 확립을 통해 자원봉사자의 교육, 그리고 자원봉사의 자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를 보면 서비스의 직접적인 전달은 주로 민간기관인 사회복지관이 담당하고 있는데, 공공기관과 민간기관간에 서비스의 연계, 의뢰체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서비스 대상자의 욕구에 대응하는 연속적, 통합적인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공공조직과 민간조직간 통합적인 연계체계가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제기되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복지의 실현을 위한 방안으로서 민관협력 방안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왜냐하면 지역사회복지는 주민주체, 주민참여, 주민협동, 주민운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역사회 공동체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지역사회복지의 가장 근간이 되는 역할을 해온 것은 공공조직이다. 그러나 공공조직의 재정과 행정기능으로서는 현실적으로 요구되는 막대한 복지비용을 감당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다원화되고 복잡한 사회의 주민의 욕구를 해결해 줄 수 없다. 따라서 민관협력을 통해 지역사회 복지를 실현하는 것이 현시점에서 요구되어 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하에 지역사회복지구축을 위한 민관협력 방안으로 정부주도형, 민간주도형, 중첩(DUAL), 민관협동형을 제시했으며, 그리고 이 모형 중에 가장 현실적으로 가능한 모형으로 경기도의 사례를 통해 민관협력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역단위에서 공공과 민간의 적절한 역할분담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지역복지 전문 인력에 대한 직무분석을 통한 담당인력의 업무영역 설정 및 직무의 체계화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다양한 주체들의 구체적인 역할이 제시되어야 한다. The community is a place both for social problems and for providing social welfare service when seen from the point of social welfare; it is a very important ground for social welfare. However, there is no coincidence of opinions as to the standing of the community's social welfare in social welfare methodology and how it is going to be organized. The reason was that discussion of the social welfare's practical methodology centered around the microscopic clinical training lacking in serious discussion of the practical methods of the community's social welfare, though social welfare programs are being actively implemented in the community through the social welfare organs in reality. For this reason it is required that practical methods of implementing the community's social welfare are to be systematically established. In line with such a viewpoint this study discusses: ① Theoretical study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the background to the rise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causing the change and the needs to establish the social welfare unit centering on the community as a result of local autonomy. ② The existing problems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and the measures for improvement as well as the practical aspect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s potential growth. The existing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were analyzed by itemizing into four categories such as public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private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expansion of welfare budget for the community, voluntary support activity, and establishment of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system linking a public institution to a private organization. ③ Ways of inducing private suppor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network based on the study results; development of the varied type of the partnership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with defining the roles of the participants being the central subject of the discussion. Based 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described above, ways of implementing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system were dealt with from different angles to develop them through theoretical and practical ground in favor of this study. The background to the rise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was described as follows: Firstly, the welfare function of the became weakened creating the need the social service to complement it, as the functions of the community and families changed. Secondly, welfare service needs were being shifted from those economic to noneconomic. Thirdly, stay-at-home services became available supplying the services to the client who stayed at home maintaining a normal, social relationship with the neighbor, instead of the conventional way of keeping them in an institution. Fourthly, although the main beneficiaries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 so far have been those people from the predetermined levels of society, it was pointed out that the community social service should be supplied by the people and for the people residing in the community in an integrated manner, as people in general bega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ty.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ocial welfare system in Korea were stated, along with the ways of improving it, as in the following: Firstly, the administrative systems of the central and provincial government was not adequately linked to each other, and the administrative service lacked technical knowledge. Secondly, it was indicated that welfare service meeting the residents' needs and desire was not actively made available, and it lacked the means supplying the service systematically. It was also suggested that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network be constructed through the systematization of the residents to overcome such problems. Thirdly, measures should be taken to actively mobilize private resources in the community to fund the welfare programs because most of the local governments were not financially independent except a few larger cities. Fourthly, volunteer workers were not fully utilized because of the problems related to the volunteers such as volunteer's own problems, problems of the institution using the volunteers, problems concerning the volunteer management, and problems of the volunteer system itself. It was suggested that volunteers be trained and measures be taken to secure their volunteering spirit. Fifthly, social welfare service in Korea was mainly delivered at a private institute, and the service was not provided in a continuous and integrated manner, so that it would meet the recipient's needs because there was no established system of referral linking the private institution to the public welfare facilities. For this reason it was suggested that an integrated system linking public facilities to private ones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to make an improvement. Settling the problems that confronts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in Korea will require us to establish measures designed for inducing cooperation between public organizations and private ones. This is because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programs can be best implemented when they are promoted by residents themselves. It is therefore very important to form a communal society, as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is based on the residents as an organizer, residents' participation and residents' movement. So far public organizations played a fundamental role in implementing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programs in Korea. However, with the limited resources such as funds and administrative function currently made available, public organizations alone are not able to bear the huge cost of the social welfare, not to mention the diversified needs of the residents in the community. Under the circumstances it is therefore most appropriate to implement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program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Based on such notion measures to promote the coopera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Such measures included government-initiated type, private-initiated type, dual type and combined type of private and public organizations. And an example of the combined type implemented in Kyounggi-do was presented as a most realistic model. Since defining the scope of work for the social welfare officer and systematizing their duties through a job analysis of the professional social workers are needed to properly allot the roles of the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detailed roles of each player participating in the network should b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