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휘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 핵심어휘 선정 연구

        이창봉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언어는 상황과 맥락에 따라 어휘적 특성이 다양하게 발현된다. 한국어는 이러한 어휘적 특성 중에서 특히 격식성과 상호작용성의 영향을 크게 받는 언어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가 사용되는 상황과 맥락이 반영된 균형말뭉치의 구축과 분석을 통해 핵심어휘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한국어 기본어휘 선정 연구가 장르별 어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적하고 이를 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핵심어휘를 선정하였다. 특히 핵심어휘의 특성 중 빈도, 범용성, 산포도, 장르성, 확장성, 학습용이성을 기준으로 한국어 학습용 핵심어휘를 선정하였다. 선정 기준 중 장르 간 어휘 분포인 범용성과 장르의 특성이 반영된 장르성을 분석하기 위해 어휘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확장성 측정을 위해 ‘한국어기초사전’ 용례 말뭉치를 참조말뭉치로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용이성 측정을 위해 ‘학습자말뭉치’를 참조하여 핵심어휘군의 출현빈도를 측정하였다. 1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과 세분화된 학습자의 동기로 실제성 높은 어휘 선정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제기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연구 방향의 설정을 위해 어휘 선정에 관한 선행 연구를 정리하여 그 흐름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와 개념을 살폈다. 우선 핵심어휘의 바탕이 되는 ‘어휘’, ‘기초어휘’, ‘기본어휘’의 개념과 핵심어휘의 이론적 특성을 검토하여 본 연구에서의 핵심어휘 선정 기준을 상대빈도, 범용성(장르 분포), 산포도(장르별 어휘 분포 정도), 장르성(어휘 중심성), 확장성, 학습용이성으로 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핵심어휘의 장르성 분석을 위한 방법론인 텍스트마이닝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연구 대상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말뭉치 자료와 균형말뭉치 구축을 위한 텍스트 선정 방법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핵심어휘 선정을 위해 원시말뭉치 기준 5개 장르, 12개 텍스트 총 1,500만여 어휘 규모의 균형 말뭉치를 구축하였으며 핵심어휘의 선정 기준을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확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핵심어휘의 선정 절차 및 방법에 대해 기술하여 전체 연구의 방향을 소개하였다. 4장에서는 핵심어휘 선정을 위한 기본 언어 자료인 균형말뭉치의 구축 과정에 대해 기술하였다. 먼저 균형말뭉치 구축 조건을 살펴보고 기존 말뭉치의 구성을 검토하여 언어적 특성을 균형 있게 고려한 새로운 말뭉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텍스트의 언어적 특성에 대한 개념과 이론적 틀을 설정하기 위해 Biber(1988)를 참고했으며 강범모 외(1998)를 통해 한국어의 언어적 특성에 따른 텍스트 유형을 선정하였다. 전체 균형말뭉치를 구축하기 전에 본 연구에서 선정한 텍스트 유형의 상황적, 언어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100만 어휘 규모의 표본 균형말뭉치를 구축하였다. 표본 균형말뭉치를 구축하고 분석한 결과 장르별 텍스트의 특성이 어휘 분포로 충분히 확인되었으며 품사 유형 비율과 고빈도 어휘가 장르별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 전체 균형말뭉치 구축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실시간 상호작용과 격식성이라는 상황적 특성과 언어적 특성을 고려한 원시말뭉치 1,500만 어휘, 형태분석 말뭉치 1,400만 어휘 규모의 균형말뭉치 구축 과정과 분석 도구의 사용법을 자세히 기술하였다. 5장에서는 4장에서 구축된 전체 균형말뭉치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며 본격적인 핵심어휘 선정을 위한 작업을 실시하였다. 균형말뭉치 어휘의 누적빈도 90%의 어휘 유형 분석 결과 총 3,574개의 어휘가 선정되었으며 선정된 어휘를 대상으로 앞서 정한 6개 어휘 선정 기준을 통해 최종 점수 상위 1,000개의 어휘를 핵심어휘로 선정하였다. 먼저 범용성 분석 결과 2개 장르에서 분석된 어휘가 869개로 가장 많았으며 5개 모든 장르에서 분석된 어휘는 846개가 분석되었다. 범용성을 보완하기 위한 산포도 분석 결과 빈도 순위 28위인 관형사 ‘한01’이 가장 높은 결과 값을 보였으며 그 뒤를 이어 ‘모이다01’, ‘직접’, ‘새로’가 분석되었다. 핵심어휘의 특성 중의 하나인 확장성 분석 결과 지정사 ‘이다’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뒤를 이어 ‘하다01’, ‘들08’이 분석되었다. 특정 장르의 어휘적 특성을 반영하는 장르성 분석 결과 ‘이다’, ‘것’, ‘하다01’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용이성 분석 결과 ‘이다’, ‘있다’, ‘하다01’, ‘것’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핵심어휘의 특성을 고려한 6가지 선정 기준값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최종 점수 순으로 분석한 결과 ‘이다’, ‘하다01’, ‘것’, ‘있다’, ‘들08’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6장에서는 핵심어휘의 품사와 의미, 수준, 주제에 대한 유형 분류 작업을 실시하였다. 핵심어휘의 의미적 특성 분석을 위해 기존에 구축된 어휘 목록인 <한국어교육 어휘 내용 개발>을 참조하여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품사 유형 분석 결과 가장 많은 수의 품사 유형은 일반명사였으며 동사, 일반부사 순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핵심어휘의 수준은 초급이 668개로 가장 많았고 중급 311개, 고급이 12개로 분석되었다. 의미 범주에 의한 분석 결과 ‘개념’에 해당하는 어휘가 238개로 가장 많았고 ‘인간’, ‘사회생활’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주제별 분류 결과 ‘일상생활’, ‘물건사기’, ‘환경문제’ 순으로 핵심어휘의 주제가 분석되었다. 7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진행한 핵심어휘 선정 과정에 대해 요약하여 제시하며 연구의 한계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1,500만 어휘 규모의 균형말뭉치를 정제하여 최종 1,000개의 핵심어휘를 선정하였다. 다만, 한국어의 언어적 특성과 상황적 특성을 반영한 기존 어휘 선정 연구가 부재하여 모든 과정을 처음 시도하였기 때문에 매 단계마다 오류와 문제점이 다수 발생하였으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균형말뭉치 구축 과정의 후처리 작업에 있어 누적 빈도 상위 90%의 어휘만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전체 어휘에 대한 후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도 아쉬움이 남는다. 본 연구는 기본어휘, 핵심어휘 선정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언어 자료에서 나타나는 어휘의 특성을 관찰하기 위한 귀납적 연구 방식을 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국어의 어휘 특성 중 격식성, 상호 작용성, 문체 등의 특성을 고루 갖춘 균형말뭉치를 자체 구축하였으며 말뭉치 분석을 통해 어휘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의 어휘 선정 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은 장르성 분석을 위해 텍스트마이닝이라는 통계적 텍스트 분석 기법을 도입하였다. 일반적인 기본어휘 선정 기준인 빈도, 범위, 산포도에 더해 핵심어휘의 이론적 특성에 바탕을 둔 장르성, 확장성, 학습용이성의 선정 기준을 추가한 점도 입체적인 어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본 연구의 결실이라고 판단된다.

      • 담화표지의 맥락 분석적 연구 : 담화표지 ‘요’의 분석을 바탕으로

        이창봉 연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function of discourse marker 'yo' based on contextual analysis of discourse marker 'yo'. Discourse Marker 'yo' is a grammatical morpheme, which has the meaning of a function word. In the context of spoken discourse, there is a characteristic of imparting the function of discourse marker to elements with grammatical meaning. In this study, the grammatical meaning and the discourse function of 'yo' were identified as elements on the other layers, and 'yo' was recognized as a discourse marker. The function of discourse marker 'yo' summarized in the previous research was reconfigured into 13 functions of 5 types by applying binding relationship between discourse components. In order to verify that the function of the discourse marker 'yo' proposed in this study is actually used in everyday language life, we conducted a survey of Korean native speakers on the perception of conversation appropriatenes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re was a high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function of the discourse marker ‘yo’. A contextual analysis of 100,000 words in the 21st Century Sejong Corpus was conducted by setting up an analysis framework based on the discourse marker function of 'Yo' verified by the survey of recognition. Previous studies on 'yo' have focused on the morphological, syntactic association or discourse distribution of 'yo'. The analysis of 'yo' in the pragmatics dimension did not analyze the different discourse marker function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situation because the structuring of the discourse components was not realized. In contrast to this previous study, in this study, we try to analyze the function of discourse markers in a discourse context by presupposing "yo" in the sentence as discourse markers. In contrast to this previous study, in this study, we try to analyze the function of discourse markers in the discourse contexts by presupposing "yo" as a discourse marker. In chapter 1, we examine the generalization of the use of the discourse marker 'Yo'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the discourse marker analysis in the verbal discourse context. The analysis framework of 'Yo' was set up based on the function of discourse markers, and the overall analysis process of 100,000 words in the 21st Century Sejong Corpus was introduced, and it helped to understand the function of discourse marker 'Yo'. In Chapter 2, we analyze the discussion on the dictionary definition and part of speech of 'yo'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confirmed the diversity of function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yo'. In addition, we examined the morphological, syntactic, and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yo'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and distribution. This lexical characteristic is the background of the function of discourse marker 'yo' which is analyzed in this paper. In chapter 3, we analyzed the function of the discourse marker 'yo'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yo' presented in the previous research. After setting the discourse marker func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discourse,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Korean native speakers. In order to analyze how the verified discourse maker function is implemented in the discourse context, an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through previous research. Chapter 4 presents the results of analysis in Chapter 3. In order to analyze the aspect of the function of the discourse marker of discourse context, we first analyzed the discourse marker function of 'yo' according to the discourse variable. The variables that were judged to be meaningful among 15 variables were selected, and the function of discourse marker 'yo' was analyzed by each variable. Next, we examined the functional context of the discourse marker 'yo' to see if a specific realization context is required for each function. The discourse marker function was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and the tendency was suggested for each variable of discourse composition. First, the connective ending was the most common connection element with 'yo'. It is interpreted that the discourse marker 'yo' is used as a strategic marker to enhance the meaning of the speech by tying the speech elements in the middle of the speech. In the function analysis of 'yo' according to genre, lecture, sermon, and broadcast discourse were selected for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function of the discourse marker 'yo' which is not observed in the face - to - face conversation, the genre targeting the group was selected as the analysis target. In a discourse genre that focuses on the group, the speaker should pay close attention to the response of the audience. In a lecture discourse, a discourse marker 'Yo' is used to confirm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audience, and in a discourse of persuasive purpose, a discourse marker 'yo' is mainly used to relieve the psychological burden of listener and rudeness do. In a broadcast discourse, a discourse is transmitted through a broadcast media. Therefore, the speaker can not confirm the reaction of the listener in real time. In the broadcast discourse, the function of the discourse marker ‘yo’ is expressed in the transfer of contents rather than the response of the listener. The main function is the function of emphasis, focus, and binding for fast delivery. The functional context of the discourse marker 'yo' is summarized in order to identify the discourse marker function of 'yo' in the context of the discourse. The functional context of the discourse marker 'yo' is summarized in order to identify the discourse marker function of 'yo' in the context of the discourse. We analyzed the realization context of 'yo' by classifying the discourse marker function into five categor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limit to the generalization due to the lack of genre consistency, but the trend toward the discourse environment in which each function is expressed was confirmed. In chapter 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mmariz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function of the discourse marker and the description of the realization environment of the discourse marker 'yo', and present the areas that need to be studi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담화표지 ‘요’를 맥락 분석적으로 연구하여 ‘요’의 담화표지 기능을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담화표지 ‘요’는 문법적 형태소로 기능어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담화표지이다. 구어 담화 맥락에서는 기존의 문법적 의미를 가진 요소에 담화표지의 기능을 부여하는 특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요’의 문법적 의미와 담화적 기능을 다른 층위에서 이루어진 요소로 파악하여 ‘요’를 담화표지로 인정하였다.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정리한 ‘요’의 담화표지 기능을 담화 구성요소 간의 결속관계를 적용하여 총 5 가지 유형 13 개의 기능으로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담화표지 ‘요’의 기능이 일상 언어생활에서 실제로 사용되는지 검증하기 위해 한국어 모어 화자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인식도 조사결과 일상적인 언어생활에서 담화표지 ‘요’의 기능에 대해 높은 인식도가 나타났다. 인식도 조사로 검증된 ‘요’의 담화표지 기능을 중심으로 분석틀을 설정하여 21세기 세종계획 구어 말뭉치 10만 어절에 대한 맥락 분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요’에 대한 기존 연구는 ‘요’의 형태적, 통사적 결합관계나 담화적 분포에 주안을 두었다. 화용적 차원에서 ‘요’를 분석한 연구들은 담화 구성 요소에 대한 구조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상황별 변화에 따라 각기 다른 담화표지 기능을 분석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와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는 문중의 ‘요’를 담화표지로 전제 한 뒤 담화표지의 기능을 담화 맥락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제1장에서는 담화표지 ‘요’의 사용이 일반화된 배경에 대해 살펴보고 구어 담화적 맥락에서 담화표지 분석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요’의 담화표지 기능을 중심으로 분석틀을 설정하여 21세기 세종계획 구어 말뭉치 10만 어절의 전반적인 분석 과정을 소개하며 ‘요’의 담화표지 기능 분석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왔다. 제2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요’의 사전적 정의와 명칭에 관련된 논의를 분석하여 ‘요’의 결합관계에 따른 기능의 다양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요’의 형태적, 통사적, 담화적 특성들을 살펴보며 결합관계와 분포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였는데 이러한 어휘적 특성은 본고의 분석 대상인 ‘요’의 담화표지 기능의 배경을 이루고 있다. 제3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제시된 ‘요’의 특성들을 토대로 담화표지 ‘요’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담화의 구성요소 간 결속관계를 중심으로 담화표지 기능을 설정한 뒤 한국어 모어 화자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여 검증을 하였다. 검증된 담화표지 기능이 담화적 맥락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분석하기 위해 선행 연구를 통한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제4장에서는 3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담화 맥락별 담화표지 ‘요’의 기능이 실현되는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우선 담화 맥락의 변인별로 ‘요’의 담화표지 기능을 분석하였다. 15가지 변인 중에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 변인을 선정하여 각각의 변인별로 ‘요’의 담화표지 기능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기능별로 특정한 실현 맥락이 요구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담화표지 ‘요’의 기능별 실현 맥락을 살펴보았다. 다섯 가지 범주로 담화표지 기능을 구분한 뒤 담화구성 변인별로 경향성을 제시하였다. 먼저 ‘요’와의 결합요소로는 연결어미가 가장 많았는데 발화의 중간에서 발화를 묶어 전달력을 높이는 전략적 표지로써 담화표지 ‘요’가 사용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장르에 따른 담화표지 ‘요’의 기능 분석에서는 강연과 설교, 방송 담화를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면대면 대화에서 관찰되지 않는 담화표지 ‘요’의 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장르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담화 장르에서 화자는 청자의 반응을 세심히 살펴야 한다. 강연담화에서는 청자의 이해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담화표지 ‘요’가 사용되며, 설득의 목적을 가진 설교 담화에서는 청자가 가질 부담감과 무례함이라는 심리적 부담을 상쇄하기 위해 담화표지 ‘요’가 주로 사용된다. 방송담화에서는 방송 매체를 통해 담화가 전달된다. 따라서 화자는 청자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다. 방송담화에서는 청자의 반응보다 내용의 전달에 담화표지 ‘요’의 기능이 발현되는데 빠른 전달을 위한 의미 묶기, 강조, 초점의 기능이 주기능으로 나타난다. 담화표지 ‘요’의 기능별 실현 맥락은 ‘요’의 담화표지 기능이 어떤 담화맥락에서 발현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정리하였다. ‘요’의 담화표지 기능을 다섯 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그 실현 맥락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장르적 일관성을 갖추지 못해 일반화에 한계가 있었지만 각각의 기능이 발현되는 담화적 환경에 대한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5장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담화표지 ‘요’의 담화 맥락별 기능과 실현 환경의 기술에 대한 의의와 한계를 정리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기하지 못했지만 앞으로 연구가 필요한 분야에 대해 제시하였다.

      • 지역 공동체의 노인문화 형성을 위한 기독교 사회봉사 : 춘천 신북교회를 중심으로

        이창봉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신앙 공동체를 중심으로 건강한 기독교 노인 문화가 형성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요구된다. 사실, 문화라고 한다면, 파급성을 고려해야 함으로 하나의 공동체가 또 다른 공동체에게 전수할 수 있고, 그 파급효과가 실질적으로 나타나 공동의 자산으로 공유할 수 있을 때 비로소 기독교 문화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독교 문화의 형성 자체가 쉬운 일이 아니다. 하물며, 연령차별주의(Ageism)는고령화 사회에 요구되는 건강한 노인문화 형성에 걸림돌로 작용한다. 모든 것을 연령차별주의(Ageism)를 기준으로 판단할 때, 건강한 노인 문화 형성은 요원하다. 그러므로, 공동체 안에서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은 고령자들의 인식 변화이다. 노화 과정을 성공 신화의 옷을 입은 ‘성공적 노화’의 관점에서 바라보지 않고, 단순히 부정적 시각을 극복하기 위해서 노화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긍정적 노화’의 수준을 넘어서서, 노화를 창조적 활동의 기회로 여기고, 적극적으로 노화를 활용하는 ‘창조적 노화’의 관점에서 노화를 스스로 인식하게끔 고령자들의 의식 변화를 우선적으로 이루어야 한다. 이러한 창조적 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바탕으로, 소그룹 공동체의 다양한 창조활동을 통해서 창조적 노화의 삶이 습관이 되고 더불어 함께 사는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을 때 건강한 노인 문화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창조적 노화를 가능케 하는 데는 공동체의 역할이 중요하고, 특별히 ‘창조성’과 ‘영성’을 가진 공동체는 더욱 더 효과적으로 창조적 노화를 ‘문화화’할 수 있다. 이런 창조적 노화의 관점에서 공동체 생활을 영위할 때, 그들만의 독특한 문화가 형성되는 바, 이를 ‘기독교 노인문화’라 부르고, ‘창조성’을 위한 다양한 문화프로그램과 ‘영성’을 위한 차별화된 신앙프로그램 같은 소그룹 활동을 통하여 기독교 노인문화는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독교 노인문화 형성을 위한 소그룹 활동을 사회봉사 차원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로 ‘기독교 노인문화복지 사역’이며, 기독교 노인문화복지 사역을 통하여 하나님 나라 확장의 비전을 사명으로 여기며 봉사하는 사람들을 ‘기독교 노인문화복지 봉사자’라 부른다. 본인이 섬기는 교회는 기독교 노인문화복지를 지역 공동체 가운데서 실천하기 위해서 1차적으로 교회 내에서 소그룹 모임(노아모임)을 통해서 기독교 노인문화복지 사역을 실천하고 있고, 지역공동체의 기독교 노인문화형성을 위해서 기독교 노인문화복지사역을 실천할 노인문화복지 봉사자들을 세우는 작업을 하고 있다. 노아모임을 통하여 기독교 노인문화를 경험하고, 지역공동체의 또래들을 노아모임으로 인도하여 기독교 노인문화를 경험하게 하거나, 또래집단 속에서 노아모임 같은 소그룹 모임을 진행할 수 있는 고령자 봉사자들을 배출하는 것을 노인문화복지 사역의 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노인문화복지 사역은 지역 공동체에 파급 효과를 가져 오게 될 것이다. 그리하여, 초고령 사회를 준비하는 건강한 기독교 노인문화의 보편적 모델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 미하엘벌커를 중심으로 한 성령의 인격성에 관한 연구

        이창봉 장로회 신학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대 교회 이래로 성령에 대한 인격적 이해는 줄곧 있어 왔다. 그러나 교회 역사를 보면, 성령의 개인적 인격성에 대한 지나친 집중으로 공동체를 세우는 공적 인격으로서의 성령의 인격에 대한 이해는 미약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미하엘 벨커는 성령의 공적 인격에 대하여 새로운 통찰을 제시했는데, 이 과정에서 성령의 개별적 인격성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포스트모던의 시대정신은 현실적 신학으로서 우리에게 성령의 공적 인격성 뿐만 아니라 성령의 개별적 인격성도 동시에 고려하여, 성령의 개별적 인격과 공적 인격에 대한 상호 관계적, 역동적인 이해를 통하여 나 아닌 다른 사람들이 경험하고 인식하는 하나님이 곧 나의 하나님이라는 개방성과 수용성을 개인에게 요구하고, 이러한 요구는 성령의 사랑의 능력장이 개인에게서부터 공동체 전체로 형성, 확장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 Apoptosis Effect of Combined Treatment with Fenbendazole and TRAIL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 Lines

        이창봉 강릉원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15

        Fenbendazole, commonly used as a canine dewormer, inhibits microtubule formation during cell division, thereby blocking cell proliferation.While similar anti-mitotic drugs, such as taxol and vinca alkaloids, are clinically used as anticancer agents, the safety and efficacy of fenbendazole in humans have not yet been extensively studied.Although fenbendazole targets rapidly dividing cancer cells, in high concentrations, it may affect normal cells, resulting in various side effects.Tumor necrosis factor-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TRAIL), a protein that specifically binds to death receptors, targets cancer cells and is a promising therapeutic agent for various cancers.However, cancer cells can develop resistance to TRAIL with sustained exposure, which can be overcome by combination approaches with various natural extracts or chemicals.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tumoreffect of fenbendazole and TRAIL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in colorectal cancer cells was observed upon treatment with fenbendazole and TRAIL using WST-1 assay. Moreover, a higher rate of cell death was observed in the combination treatment group than in the individual treatment groups in FACS analysis.Western blot analysis confirmed the upregulation of apoptosis-related proteins, such as cleaved caspase-3/8/9 and cleaved PARP, in the combination treatment group compared with the individual treatment groups.Additionally, we confirmed that fenbendazole increased the sensitivity to TRAIL, measured based on death receptor express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hich was confirmed to be due to JNK phosphorylation.Finally, BALB/C nude mice injected with colorectal cancer cells were treated individually and in combination with fenbendazole and TRAIL, and tumor sizes were compared.Smaller tumor sizes were observed in the combination treatment group compared with the individual treatment groups.In summary, the combination of fenbendazole and TRAIL demonstrated an enhanced antitumor effect by complementing each other's side effects and increasing cell death. This indicates the potential of this combination therapy as an anticancer strategy for colorectal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