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effect of autocorrelated errors on deconvolution

        이진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47

        시간에 따라 음향 임피던스를 해양 혹은 지표에 보내 각 지층에서 반사되어 오는 탄성파를 통해 지하 매질에 자원이 있는지를 탐사하는 탄성파 탐사의 주요 목적 중에 하나는 반사되어 온 탄성파 중에서 뚜렷하게 차이가 있는 지층의 위치를 찾아내는 것이다. 되돌아온 탄성파는 각 지층의 반사계수(reflectivity)와 웨이블릿(wavelet)이 콘볼루션된 트레이스(trace)로 관측된다. 관측된 트레이스에서 반사 계수와 웨이블릿을 역추정하는 방법을 디콘볼루션 이라고 한다. 이 방법들은 지질학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가장 간단한 디콘볼루션 모형 하에서 반사계수, 웨이블릿, 트레이스 각 신호에 오차들을 가했을 때 반사계수의 추정 효율이 어떻게 되는지를 모의실험을 통해 검증한 선행 연구(신성혜, 2004)에 이어 가해진 오차가 자기 상관이 있을 경우로 확장하여 연구하였다. 앞서 연구한 논문에서는 오차들이 독립이라고 가정하였지만 실제 자료들은 시간에 따라 얻어진 시계열자료이므로 오차들이 자기 상관을 가지는 것이 훨씬 더 현실적이다. 따라서 오차의 자기상관계수들을 다르게 하여 잡음을 생성했을 때, 반사 계수의 최대값의 위치를 얼마나 잘 추정하는 지를 모의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최대값 주변의 값들이 가지는 평균과 분산을 함께 조사함으로써 최대값이 왜곡되는 경우가 발생하는지를 살펴보았다. A large class of systems studied in scientific and engineering research can be represented by a convolution of the input and the system impulse response. Deconvolution is to separate the input and the system impulse response from observed output signal. In seismology, a seismic trace is often represented as the convolution of a seismic wavelet and the earth's reflectivity. The major goal of seismic deconvolution is to retrieve the earth's reflectivity ,because large reflections may indicate sand layers that are potential hydrocarbon reservoirs. So, we want to know that the estimated reflections by deconvolution have more precision and higher resolution. In a previous study of shin(2004), she conducted a simulation study to show how deconvolution is affected by white noises added to reflectivity, wavelet or trace. However, in many real situations, noises are rarely white noises because the signals are observed along the time. So it is more valid that noises have autocorrelation. In this thesis , we conduct a Monte-Carlo simulation to study how deconvolution is affected by autocorrelated noises affect and how magnitudes of autocorrelation coefficients precision of deconvolution. Moreover, we look into whether the maximum of reflectivities is distorted by extreme errors.

      •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진로성숙도 및 진로스트레스 조사연구

        이진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differences by college major and gender in college students' (1) Department Satisfaction(DS), (2) Career Maturity(CM), and (3) Career Stress(CS); and the correlation among the three factors abo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profoundly the current status of the college students' career matter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suitable career guidance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and to help college students make the right decisions on their career.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693 third-year students of "K" University, selected from each college major group using cluster random sampling. The students had a test on the three factors. The test material for DS was a questionnaire designed by Ha Hye-sook(2000). The test material for CM was CMI translated into Korean by Kim Hyun-ok(1989) and revised by Kim Bong-Hwan(1997). The test material for CS was the re-revised version of the test standardized by Kim Dong-jo(2003) and revised by Seo Yu-jin(2007). The responses in the tests were analyzed using SPSS.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1) Differences by college major and gender in DS, CM and CS Firstly, there are meaningful college major differences in DS, both total DS and all the subclasses. In overall DS and Curriculum Satisfaction, Relation Satisfaction, Engineering ranked the top; and in General Satisfaction and Social Perception Satisfaction, Medical Science and Pharmacy ranked the top. Secondly, there are meaningful gender differences in DS. Male students recorded higher level than female students in both overall DS and all the subclasses. Thirdly, there are meaningful college major differences in CM, both total CM and all the subclasses. In total CM, Involvement, Independence, Compromise, Humanities ranked the top; and in Decisiveness, Education ranked the top; and in Orientation, Medical Science and Pharmacy ranked the top. Fourthly, there are partially meaningful gender differences in CM. In Decisiveness and Orientation, male students recorded higher level than female students; however, the difference i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Though in total CM, Independence, Compromise, female students showed the higher level than male students, the differenc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ither. But Involvement was the only subclass that showed that female students have a meaningfully higher level than male students. Fifthly, there are meaningful college major differences in CS. In total CS, Medical Science and Pharmacy ranked lower level than Social Science, Engineering, Natural Science, Arts and Athletics. Sixthly, there are meaningful gender differences in CS. In total CS, female students recorded higher level than male students. (2) Correlation among DS, CM and CS Firstly, there is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otal DS and total CM. There is overall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S subclasses and CM subclasses; however, there is partially negative correlation in some subclasses. Secondly, there is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otal DS and total CS, and between DS subclasses and CS subclasses. Therefore, as the DS gets higher, the CS gets lower. Thirdly, there is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otal CM and total CS, and between CM subclasses and CS subclasses. Therefore, as the CM gets higher, the CS gets lower. In conclusion, there are significant college major and gender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DS, CM and CS; and there are meaningful correlation among all the three factors.

      • JPEG2000 이미지의 원본 증명을 위한 워터마킹에 관한 연구

        이진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네트워크의 발달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을 편리하게 해주어 디지털 데이터의 수집, 수정, 전송과 같은 편집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해왔다. 이는 데이터의 불법 복제, 배포와 같은 악의적인 사용 또한 늘어나게 했고 이를 보호하는 기술들도 연구되어지고 있다. 디지털 워터마킹은 이미지 보호 도구 중 한 방법으로 디지털 워터마크라고 불리는 사용자 정보나 비밀 메시지와 같은 정보를 이미지에 삽입하는 기술이다. 디지털 워터마킹 기술은 사용 용도에 따라 크게 강인성(robust) 워터마킹, 연성(fragile) 워터마킹으로 분류 할 수 있다. 강인성 워터마킹은 이미지의 저작권 보호와 소유권을 증명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연성 워터마킹은 이미지의 원본 증명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산 웨이블릿 연산(DW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JPEG2000 이미지에 대한 원본 증명이 가능한 연성 워터마킹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JPEG2000 이미지에 대해서 해당 블록 정보 뿐 만이 아니라 주변 블록의 정보를 이미지에 삽입하여, 기존 연성 알고리즘의 문제점이라고 지적되었던 collage 공격에도 원본증명이 가능한 알고리즘은 제안한다. The development of the network has facilitated access to the multimedia data, enabling access to editing, and transmission of digital data. It has also increased malicious exploitation, such as illegal copying and distribution of data. The technologies that protect them are also being studied. Digital watermarking is a one method of image forgery detection techniques. Digital watermarking is inserting watermark which is fragile to modification such as owners information of security message in digital imag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forgery detection method, which is a watermark-based, for authenticating JEPG2000 image integrity in the DWT domain. The proposed method, which aims at 100% detection accuracy for typical forgeries on JPEG2000 files. Proposed method can also detect forgeries by collage attack which is well-known forgery attack. The watermark is generated by collaborating with the neighboring group of blocks and is embedded into the block. Experimental results using various sample images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exhibiting the negligible visual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watermarked JPEG2000 images.

      • 전립선암세포주인 DU145 cell에서의 어성초의 암세포 성장 억제 및 세포사멸 효과

        이진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본 연구는 전립선암 세포주에서 오래전부터 염증 치료로 잘 사용되어온 어성초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립선암세포인 DU145 cell에 어성초 처리 후,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방법: DU145 전립선암세포주를 이용하여 성장률 및 생존률 억제, 세포주기 억제 및 단백질 발현, mRNA 변화량 정도를 통해 어성초의 효능을 확인해 보았다. 결과: 어성초를 처리 했을 때 폐암세포주에 미치는 세포독성을 관찰한 결과, 폐암세포주인 DU145 cell에서 화피 처리 시 세포사멸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DU145 cell의 콜리니형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 또한 살펴볼 수 있었다. 폐암세포주인 DU145 cell에서 세포사멸과 관련된 단백질을 관찰한 결과, DU145 cell에서 PARP의 cleaved 형태의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세포사멸에 관련된 Bcl-2는 감소하고 BAX와 cleaved caspase 3, -8 모두 어성초의 농도 의존적으로 단백질의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어성초를 처리 했을 때 DU145 cell에서 AKT, Erk와 stat3의 단백질 양을 관찰한 결과, 전립선암인 DU145 cell에서 어성초 처리 시 p-AKT, p-Erk와 p-stat3가 감소하며 단백질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어성초 처리 시 전이와 관련된 VEGF의 mRNA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어성초를 처리했을 때 항암 및 세포사멸 효과를 전립선암 세포주인 DU145 cell을 통해 확인하고, 그 기전에 대해 확인함으로써, 항암치료에 있어 어성초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effect of Houttuynia cordata in DU145 human prostate cancer cel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cancer effect of Houttuynia cordata in DU145 human prostate cancer cells.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by MTS assay. AKT, BAX, BCL-2, Erk, STAT, Survivin and Caspase –3, -8 expression were evaluated by western blotting analysis in DU145 cells. Houttuynia cordata treated markedly induced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in DU145 cells. Houttuynia cordata inhibited colony formation in DU145 cells. Houttuynia cordata decresed p-AKT, p-Erk and p-stat3 levels in DU145 cells. Houttuynia cordata induced up-regulation of Bax and cleaved caspase 3, -8 levels in DU145 cells. The results provided important new insights into the possible mechanisms of the anti-cancer activity of Houttuynia cordata i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한 인체내 뇨시료에서의 tamoxifen 대사체와 내인성 steroids의 분배형태 및 새로운 유도체화 방법에 관한 연구

        이진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인체에서 분비되는 tamoxifen 대사체와 내인성 스테로이드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이들의 히드록시기를 할로겐 원소가 있는 아실 무수물이나 아실 할로겐화물 같은 유도체화 시약(trifluoroacetic anhydride, pentafluoropropionic anhydride, heptafluorobutyric anhydride)으로 치환하는 아실화 반응을 이용하여 검출한계 등이 개선된 새로운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한편 질량 분석기로 검출하기 위한 이온화 방법의 하나인 전자 충격 이온화법과 화학 이온화법을 비교하여 보다 개선된 분석법을 연구하고 이 방법을 실제 인체 뇨 시료에 적용한 tamoxifen과 내인성 스테로이드의 최적 분석 조건을 확립하였다. 아실화 반응에 있어서 tamoxifen과 내인성 스테로이드는 온도에 따른 반응성은 큰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반응시간 역시 현격한 차이는 없었다. 히드록시기와 케톤기를 동시에 함유한 스테로이드의 경우 히드록시기에만 반응이 진행되었고 반응 효율은 PFPA유도체의 경우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아실화된 내인성 스테로이드의 EI 질량 스펙트럼에서는 분자 이온에서 메틸기가 떨어져나간 [M-CH_(3)]^(+)나 유도체시약과 메틸기가 동시에 떨어진 토막이온이 특징적인 존재비를 가지며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유도체화 과정에서 플루오르 아실화에 의해 반응물의 휘발성이 증가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의 분석이 유용하지만 분자량이 커지기 때문에 EI 스펙트럼에서는 분자량 이온의 감도가 낮아져 검출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화학 이온화 방법에 의해 생성된 이온을 검출하는 방법에는 화학 음 이온화방법과 화학 양 이온화 방법이 있는데 이들의 감도는 유도체화 된 분석 대상물질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 두가지 이온화 방법에 대해 비교 분석 하였다. 화학 음 이온화법의 경우에는 감도가 좋은 전자친화도가 큰 플루오르원자가 치환되었기 때문에 선택성이 증가 되어 화학 양 이온화 방법보다 검출한계가 개선되는 효과를 보았다. 화학 음이온화법 분석에서 [M-HF]^(-),[M-2HF]^(-)과 [M-3HF]^(-)의 이온들이 주로 나타났으며 NCI-MS/MS방법을 이용하여 다시 이온화시켜 얻은 결과로부터 그 이온이 갖고 있는 구조를 예측하는 결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이용하여 tamoxifen을 인체에 경구 투여한 후 배설된 뇨를 이용하여 실제 생체시료에의 응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때 생체 내에서 tamoxifen이 대사에 직접관여하지 않지만 스테로이드의 대사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내인성 스테로이드의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Tamoxifen은 체내에서 스테로이드의 대사가 종료된 후에 작용하는 약물로서 이 약물을 경구 투여 후 11-keto-androsterone, 11-keto-etiocholanolone, dehydroepiandros-terone(DHEA), androsterone, etiocholanolone은 12.5-12.9시간 사이에서 최대 배설량을 보이고 급격히 감소하였는데 이는 tamoxifen 대사체와 비슷한 양상이었고 testosterone의 경우 초기에 오히려 감소하였다가 tamoxifen 대사체가 감소하는 양상과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tamoxifen의 대사체가 거의 다 체외로 배설된 후에도 testosterone과 epitestosterone은 시간이 흐를수록 배설되는 양이 증가하여 200시간이 흐른 뒤에는 약을 섭취하기 전의 수치보다 높았다. 위의 결과로 tamoxifen이 에스트로겐과 경쟁 반응으로 혈액 내 에스트로겐의 수치가 증가하면 내인성 스테로이드 대사가 일련의 과정으로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체내 내인성 스테로이드의 수치도 동시에 증가한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그리고 estradiol이 tamoxifen에 의한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estradiol의 수치가 증가하여 이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testosterone의 대사가 이뤄지지 않아 그대로 배설되었다 판단된다. The improved derivatization technique of tamoxifen metabolite and endogenous steroids in human urine is described for the acylation method that they are substituted by derivatization reagent like acyl anhydride, acyl halide including halogen element composition for hydroxyl group of tamoxifen metabolite and endogenous steroids by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The excretion studies with tamoxifen and endogenous steroids were also studied by oral application of one single does of tamoxifen, in order to get more information about the effects from anti-estrogens on steroids profile parameters. Tamoxifen is a non-steroidal agent that demonstrates potent antiestrogenic properties. The drug is technically an estrogen agonist/antagonist, which competitively binds to estrogen receptor, estrogen is blocked from exerting any action, and an antiestrogenic effect is achieved. If tamoxifen and anabolic steroids were taken at the same time, body can experience a significant elevation in the normally very low estrogen level. Because most steroids is aromatized and part of the substance is converted into estrogen. Tamoxifen does not prevent the aromatization but only acts as an estrogen agonist/antagonist. Tamoxifen have concern with endogenous steroids. To study the acylation method as new technique, tamoxifen metabolite and endogenous steroids were derivatized by trifluoroacetic anhydride (TFAA), pentafluoroacetic anhydride (PFPA) and heptaflorobutylic anhydride (HFBA). It was investigate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echnique use negative ion chemical ionization (NICI), positive ion chemical ionization (PICI), electro ionization (EI) and tandem mass spectrometry (MS^(n)). The pentafluoroacetic anhydride (PFPA) derivatives showed more effective selectivity and sensitivity by GC/MS under NICI mode. But in case of PICI mode and EI mode, the PFPA derivatives are formed many fragments and decreased sensitivity. The PFPA derivatives of 4-hydroxytamoxifen and hydroxymethoxytamoxifen showed strong molecular ion [M-72]^(-) (loss of C_(4)H_(10)N_(1) from the molecular), the fragments resulting from α and β cleavage of amino group in GC/MS under NICI mode. The mass spectral properties of the PFPA derivatized endogenous steroids seem to produced strong molecular ion [M-H]^(-) as well as [M-HF]^(-) and [M-2HF]^(-) ions in GC/MS under NICI mode. Due to its poor fragmentation pattern the tamoxifen metabolite and endogenous steroids showed simple prominent ion. 11-Keto-androsterone, 11-keto-etiocholanolone, dehydroepiandrosterone (DHEA), and etiocholanolone were excreted maximum amount in 12.5-12.9 hour, after then they were decreased rapidly. This pattern was same trend to tamoxifen metabolite excretion. In testosterone and epitestosterone cases, they were different from tamoxifen excretion pattern. Initially, testosterone and epitestosterone decreased and after 200 hours they came back than a little higher the normal level. The tamoxifen level in human urine was showed until 200 hours. The derivatized tamoxifen metabolite and endogenous steroids were studied in dosed human urine. Endogenous steroids profile have need of study clinically, this result useable in further proceedings.

      • 장류 발효 식품에서 분리한 사상성 진균의 안전성 평가

        이진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Safety evaluation of filamentous fungi from fermented soybean products By Lee,Jin-Hee Department of Advanced Fermentation Fusion Science and Technology Graduate School,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A few starter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for doenjang fermentation but often without safety evaluation. Filamentous fungi were isolated from an industrial doenjang koji starter, and their potential for mycotoxin production was evaluated. Two fungi were isolated; one was dominantly present (90%) over the other. Both fungi of greenish (SNU-G) and whitish (SNU-W) showed 97% and 95% ITS sequence identities, respectively, to Aspergillus oryzae/flavus. However, the SmaI digestion pattern of genomic DNA suggested that both are belonging to A. oryzae. Moreover, both fungi showed more closely relat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o A. oryzae. A SNU-G did not form sclerotia, which i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A. oryzae. Therefore, both fungi were identified to be A. oryzae. In aflatoxin gene cluster analysis, both fungi had an A. oryzae type of the norB/cypA genes. In agreement with this, aflatoxins were not detected in a SNU-G and W on an ammonia vapor method, TLC, and HPLC analysis. Both fungi seemed to have a whole cyclopiazonic acid (CPA) gene cluster based on PCR analysis of maoA, dmaT, and pks/nrps genes which are key genes for CPA biosynthesis. However, CPA was not detected in TLC and HPLC analysis. Therefore, both fungi seem to be safe to use for a doenjang koji starter and will provide with a fungal candidate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a starter for traditional doenjang fermentation. Cyclopiazonic acid (CPA) is a toxic secondary metabolite produced by genus Aspergillus and Penicillium. Aspergillus oryzae are used widely as a koji starter to ferment soybean products in East, but their evaluation for CPA production is rare. A multiplex PCR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rapid evaluation of the CPA production in A. oryzae used as koji starters or isolated from various fermented foods. The three sets of multiplex PCR primers were designed for the maoA, dmaT, pks/nrps genes in the CPA gene cluster. When multiplex PCR was applied to A. oryzae NBRC 4177 (CPA producer) and A. oryzae RIB 40 (CPA non producer), two strains were distinguished by different amplification patterns, validating the developed multiplex PCR as a tool for the evaluation of the CPA gene cluster. Among 23 A. oryzae, all three genes were amplified in 15 strains and the pks/nrps gene was not amplified in two strains as in A. oryzae RIB 40. Interestingly, no amplification was observed in six strains, which suggest that the most of CPA gene cluster had been deleted in those strains. CPA was detected as expected in eight strains which showed PCR amplification pattern of A. oryzae NBRC 4177 by HPLC. However, CPA was not detected in seven strains even with an amplification pattern of a CPA producer. These strains might produce CPA at undetectable level in our conditions or have some mutations in regulatory regions of the CPA gene cluster. The developed multiplex PCR and HPLC will be applied for the rapid screening of CPA non-producers from strains isolated from various fermentation products and a CPA non-producer will be developed to be a starter of industrial fermentations. 국 문 요 약 산업적으로 이용되는 종균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우수한 산업용 된장 koji에서 PDA (potato dextrose agar), MEA (malt extract agar), DRBC (dichloran rose bengal chloramphenicol agar), DG18 (dichloran (18%) glycerol agar)배지를 이용하여 두 SNU-G와 SNU-W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두 종은 포자경의 모양이나 colony의 형태 등으로 미루어 봤을 때 Asperigllus oryzae/flavus 와 유사하였고 기중균사의 존재와 포자의 크기 등 A. oryzae에서 관찰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분자 유전학적으로 동정하기 위해 미생물 동정에 많이 이용되는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서열을 분석한 결과 SNU-G와 SNU-W 두 종 모두 A. oryzae와 A. flavus와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A. oryzae와 A. flavus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인 SmaI 제한효소 절단 실험한 결과 SNU-G와 SNU-W 두 종 모두 A. oryzae로 동정되었다. 동정된 두 종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곰팡이 독소 aflatoxin과 cyclopiazonic acid (CPA)의 생합성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SNU-G와 SNU-W는 aflatoxin 생합성 유전자 패턴이 A. oryzae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CPA의 생합성 유전자는 모두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직접 곰팡이독소를 추출한 후 분석한 결과 두 종 모두 aflatoxin 및 CPA 곰팡이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안전한 균주로 밝혀졌다. 곰팡이독소 CPA는 A. flavus에서 주로 발견되어 연구되었지만 식품 소재에 사용되는 A. oryzae에서는 일부만 연구되었다. CPA의 독성은 아직까지 사람에게 연구되지 않았지만 식품 발효에 사용되는 종균이 CPA를 생산할 경우 안전성에 위험이 될 수 있다. 따라서 meju, soy sauce, nuruk 등 발효 식품에서 존재하는 A. oryzae와 koji starter로 사용되는 A. oryzae를 수집하여 이들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CPA 생합성 유전자를 분석하였고 CPA를 추출하여 검사하였다. 많은 균주를 빠르게 분석을 하기 위해 multiplex PCR 방법을 개발하였고, 발효 식품 유래 A. oryzae에 적용한 결과 1차 적으로 6개 균주가 CPA 생합성 유전자를 가지지 않는 균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CPA 생합성 유전자를 가진 균주들을 HPLC로 CPA를 분석한 결과 meju에서 분리된 1 균주, nuruk에서 분리된 2 균주가 CPA를 생산하는 균주로 밝혀졌으며, koji starter로 사용되는 10개의 균주 중 절반인 5개의 균주에서 CPA가 검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산업용으로 이용 되는 koji 에 존재하는 사상성 진균을 분리 동정하였고 곰팡이독소 검사를 통해 곰팡이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안전한 균주로 확인하였다. 하지만 일부 식품에 존재하는 균주와 koji starter로 사용되는 균주에서는 곰팡이독소인 CPA가 검출 되었고 이는 CPA가 식품에 오염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안전성이 검증된 SNU-G와 SNU-W를 포함한 식품에서 분리된 균주 16개의 균주는 안전한 장류 발효용 종균으로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南溪 李甲龍 硏究

        이진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南溪 李甲龍(1734-1799)은 영조와 정조대에 살았던 인물이다. 그가 살았던 18세기는 南冥學派가 여러 정치적 상황들로 인해 사실상 쇠퇴의 길을 걷고 있었다. 남명학의 침체를 불러온 가장 큰 사건은 1623년에 西人이 주도하여 일으킨 仁祖反正이다. 이때 북인의 領袖였던 來庵 鄭仁弘(1536-1623)이 처형당하면서 자연스럽게 남명학파 인물들이 정치적 입지를 잃게 되었고, 따라서 남명학파도 급격히 쇠퇴의 길로 접어들었다. 이로 인해 남명학파가 북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자, 대부분 남인화하게 되었다. 남계는 1734년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가문에서는 16세기 이후부터 줄곧 무과, 문과 등 과거에 급제한 인물이 많았다. 노론이 집권하던 당시의 사회적 배경을 감안한다면, 한 집안에서 과거급제자가 이렇게 많은 것은 남계의 집안을 더욱 눈여겨 볼만한 대목이다. 남계와 교유했던 이들에게서 어떠한 공통점을 찾기는 힘드나, 100편이 넘는 만사와 제문을 통해 다양한 사람들과 교유가 있었던 것은 분명하다. 그는 어려서부터 台窩 河必淸에게 수학하며 내면을 수양하고 실천의지를 함양하였다. 그는 南皐 李志容, 容窩 河晉賢을 문인으로 두었으며, 남고의 학문을 月浦 李佑贇이 잇고, 월포는 李道默에게 전해주어 조선후기까지 큰 학맥을 이루었다. 자신이 배운 학문을 사상적으로나 문학적으로 후세에 전해주는 일을 임무로 삼았으며, 남계가 평생 힘을 쏟았던 강학활동의 결과로 18세기 경상우도 지역에도 남명학파가 면면히 계승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그가 18세기부터 조선후기까지 남명학의 맥을 중간에서 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의 제자 중에서 무려 9명의 문과 급제자가 나왔다는 기록이 있다. 한 사람 밑에서 이렇게나 많은 문과 급제자를 배출한 것은 당시 이갑룡의 문하가 성대했다는 배경이 되고, 또한 그가 후학교육을 위해 힘썼다는 뒷받침이 된다. 이들을 연도순으로 나열하면 龍岡 李秉烈(1749-1808), 月庵 朴在冀(1750-1822), 樂窩 李思謙(1753-1801), 南皐 李志容(1753-1831), 寒溪 姜學濬(1760-1821), 訥窩 李若烈(1765-1836), 默窩 李賢默(1772-1828), 默窩 李得烈(1776-1845), 訥窩 趙熙龍(1780-) 등이 있다. 이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남계 이갑룡은 18세기 강우지역을 살다간 학자로서, 그의 삶을 통해 당시 지역적 분위기가 어떠하였는지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 또한 광해군 시대뿐만 아니라 남명정신을 따르는 유학자 집단이 18세기까지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음을 밝히고, 어떠한 방식으로 전해져 왔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남계 이갑룡은 18세기 강우지역에 살았던 학자로서, 어려운 환경에도 불구하고 학문에 매진하여 자신의 소임을 다한 지식인이라고 하겠다. 남계와 같은 학자들이 있었기에 19세기 남명학파의 부흥을 가져올 수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남명학파가 존재할 수 있었던 이유이다.

      • 조선시대 侍講院의 설치와 왕세자 교육

        이진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선시대 왕세자는 차기 왕위계승자로서 이상적인 군주가 되기 위한 교육을 받았는데 그 전담 교육기관이 시강원이다. 왕세자 교육에 관한 논의는 건국 초기부터 꾸준히 제기되어 오다가 세조에 이르러 시강원이 형성되고 그 체계가 잡혔다. 조선후기까지 시강원은 관제의 변동만 있을 뿐 꾸준히 존속되어 왕세자 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시강원의 관리, 즉 세자의 스승들은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왕세자는 정1품부터 정7품에 이르기까지 당대 가장 훌륭한 학식과 인품이 있는 스승에게 교육을 받았다. 또한 시강원 관리들은 세자의 생활공간인 동궁에 머무르며 세자가 학습하기에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었다. 이와 같이 조선시대 지도자 교육은 교육기관과 환경에 있어서 현재에 못지않은 체계적인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었다. 왕세자가 시강원에서 받는 기본적 교육 형태는 암기하는 것이었다. 학습한 것을 암송할 수 있어야 다음 진도를 나갈 수 있기 때문에 왕세자의 하루일과는 공부의 연속이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암기가 오늘날과 같이 시험에서 만점을 받기 위한 암기가 아니라, 경전에 있는 내용을 몸으로 실천하기 위한 암기였다. 때문에 시강원에서 학습하는 것 외에도 생활 속에서 다양한 형태의 교육이 이루어졌다. 단순히 책상 앞에서 하는 공부가 아니라 국왕의 식사를 직접 살피며 효를 행한다든지, 국가의 공식행사에의 참여, 또는 대리청정 등을 통해 실무 경험과 통치 노하우를 익히는 것이다. 왕세자 교육은 그 중요성이 국가의 흥망과 직결되는 만큼 국가의 중대사였다. 이와 같은 교육의 중요성은 오늘날도 크게 다르지 않다. 최근 교육 현장에서는 많은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이슈가 되는 문제는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의 인성문제, 입시위주의 교육 또는 스펙 쌓기 등 교육 실효성 문제이다. 지덕체를 겸비한 이상적 군주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 왕세자 교육이 이와 같은 현실적인 교육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으면 한다.

      • 만성질환 입원 노인 환자의 가족지지,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이진희 한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만성질환으로 입원한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가족지지와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만성질환으로 입원한 노인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시행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의정부시에 소재한 종합병원에 만성질환으로 입원 중인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총 연구 대상자는 194명이었다. 선정 기준은 65세 이상의 만성질환 진단명(고혈압, 당뇨,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 골관절질환, 만성호흡기계 질환)을 가진 의식이 명료한 입원 노인 환자로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고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서면 동의한 자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약 3개월 간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가족지지 정도는 40.58(±7.77)로 평균 보다 높았고,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79.94(±11.88)로 평균보다 높았으며, 대상자의 삶의 질 정도는 102.07(±13.96)로 평균 보다 높았다. 2.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는 경제사정(F=3.77, P=.006), 주된 소득원(F=3.39, P=.006), 건강문제 상의(F=6.59, P=.000), 가족관계(F=30.61, P=.000), 치료비 지불(F=2.87, P=.024)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는 학력(F=3.17, P=.015), 경제사정(F=3.49. P=.009), 주된 소득원(F=4.95, P=.000), 건강문제 상의(F=6.81,P=.000), 인지하는 가족 관계(F=7.86, P=.000)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학력(F=2.7, P=.031), 경제 사정 (F=9.81, P=.000), 건강문제 상의(F=2.51,P=.031), 지각된 건강상태(F=4.30, P=.002), 가족관계(F=.691, P=.000)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가족지지와 건강증진행위는 양의 상관관계(r=.46,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지지와 삶의 질은 양의 상관관계(r=.41.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은 양의 상관관계(r=.45,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만성질환 입원노인들의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가족지지가 만성질환 입원 노인환자들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므로 가족지지를 높일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과 적절한 치료법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the factors which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senile patients who admitted with chronic disease. Senile patients who were admitted with chronic disease in Uijeongbu city were enrolled. The familial support, health improving behaviors, and the degree of quality of life were examined. They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Al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software, version 18.0. The data was showed in percentage, minimum value, maximum value, mean valu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efficient were used. The degree of familial support was 40.58 ( ±7.77). The degree of health improving behavior was 79.94 (±11.88). The degree of quality of life was 102.07 (± 13.93) and higher. They all were higher than mean values. The familial suppor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s of familial relationship, health problem, socioecomic state, educational state. The health improv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levels of familial relationship, health problem, income, economic state, and educational state. The quality of lif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economic state, familial relationship, health problem, and educational state.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ial support and health improving behavior (r=0.46, p<0.001). Familial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r=0.41, p<0.001). Health improving behavior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r=0.45, p<0.001). The higher familial support was, the higher health improv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were. Familial support was the important factor to effect on health improv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Thus nursing intervention and proper treatment to increase in familial support will be need through further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