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생의 피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이지흔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degree of middle school students' victimization and to identify the general tendencies and variables to affect it. The study were invesitigated 970 middle school students aged froms 13 to 15 years ol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victimization and affecting varrables it ; emotional, psychological, social and school life variable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points of victimization. There were 241 cases in the risk group and 729 in the safe group. The risk group showed big points on both the direct victimization and indirect victimization. The parents' social and economic status or family types didn't affect victimization and the boys became the victimization more than the girls. Second, the degree of victimization in the risk group suggest that the points were more on the direct victimization such as 'teaching by calling names' than on the indirect victimization such as 'spreading bad rumors about me.' Third, the differences of the variables of both the risk and safe group were analyzed. As a result, in self-control, the risk group obtained more points on impulsiveness, preference for simple tasks, self-centeredness, and temperament of being angry than the safe group. As for expression of anger, the risk group used more of expression and control in showing their anger than the safe group. As for social skills, the safe group had greater points in all the items of collaboration, sympathy, and argument. The results were the same in elements of the social support, which were emotional, evaluative, information, and physical support. And as for school life variables, those who had poin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lations with friends experienced more attacks from their peers. Fourth, an 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impacts of the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variables and the school life variables on the students' victimization. As a result, self-control explained 10% of victimization. The number went up to 13% when expression of anger was added. With social skills, 20% was explained. With all the 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variables including social support, 21% was explained. In self-control, the more points they had on self-centeredness and the more they controlled their anger, the more points they had on victimization. As for social skills, those who were cooperating with the parents and teachers and don't get sympathy from peers increased the points of victimization. As for social support, the lower points of emotional support resulted in more impacts on victimization. And the school life variables explained 20% of victimization, and those who earned poor grades and negative relations with friends experienced more cases of victimiz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of help in identifying the individual maladaptation shared by the victim group of aggression and the ways to prevent peer attacks. They will also serve as the basic data with which for parents and schools to make up more active alternatives to protect the victims and to develop growth and education progra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ose who are victimiz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피공격성을 측정하고, 피공격성의 일반적 경향과 피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영향력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피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크게 정서심리.사회적 변인(자기통제성, 분노표현, 사회적 기술, 사회적 지지)과 학교생활 변인(교사와 환경, 취미와 특기, 학업, 교우)으로 가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피공격성 점수에 따른 집단을 구분해 본 결과, 피공격성 위험집단은 사례수가 241이고, 피공격성 안전집단의 사례수는 729로 나타났다. 피공격성 위험집단에서 직접적 피공격성과 간접적 피공격성 점수가 모두 높았다. 피공격성 위험집단에 속한 사례의 개인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나 가족형태는 피공격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성별에서만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공격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공격성 위험집단의 피해 경험 정도는 별명 지어 부르며 놀린다’와 같은 직접적 피공격성 점수가 ‘나에 대한 나쁜 소문 이야기한다’와 같은 간접적 피공격성 점수보다 높게 나타난다. 셋째, 피공격성 위험집단과 안전집단의 관련 변인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기통제성에서는 피공격성 위험집단이 안전집단보다 충동성, 단순과제선호, 자기중심성, 화내는 기질 항목에서 점수가 높았다. 분노표현에서는 피공격성 위험집단이 안전집단에 비해 분노를 표현할 때 표출과 통제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기술은 피공격성 위험집단에 비해 안전집단이 협동성, 공감성, 주장성의 모든 항목에서 점수가 높았으며 사회적 지지에서도 피공격성 안전집단이 정서적지지, 평가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의 모든 항목에서 점수가 높았다. 학교생활 변인에서는 학업성취능력과 교우관계 점수가 낮을수록 또래공격피해를 더 많이 경험한다. 넷째, 정서심리.사회적 변인과 학교생활 변인이 피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면, 자기통제성은 피공격성을 10% 설명하고, 분노표현을 함께 투입하면 설명력이 13%로 증가한다. 사회적 기술을 추가 투입하면 피공격성을 20%로 설명하고, 사회적 지지를 포함한 모든 정서심리.사회적 변인을 투입하면 피공격성을 21%로 설명한다. 자기통제성에서는 자기중심성 점수가 높을수록, 분노표현에서는 자신의 분노를 통제할수록 피공격성 점수가 증가한다. 사회적 기술은 부모와 교사에게 협조적이고, 또래로부터 공감을 얻지 못할수록 공격에 쉽게 노출된다. 사회적 지지에서는 정서적지지 점수가 낮을수록 피공격성에 영향을 미친다. 학교생활 변인은 피공격성을 26%로 설명하고, 학업성적이 낮고, 교우관계가 부정적일수록 피공격성 정도는 높아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격성 피해집단이 갖고 있는 개인적 부적응의 문제를 밝혀내고, 또래로부터의 공격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밝혀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피해청소년을 부모와 학교기관에서 보다 적극적인 대처방안으로 보호하고 피공격성의 문제를 나타내는 청소년의 문제해결을 위한 성장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활용될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 수술 전 통증자가조절기 교육이 슬관절치환술 노인의 수술 후 통증에 미치는 효과

        이지흔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Effect of Preoperative Education on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for Postoperative Pain of Elderly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Lee, Ji Heun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Inha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im, Hwaso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operative education on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for postoperative pain of elderly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The subjects for thi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tudy were 50 elderly patients over than 65 years and undergone total knee arthroplasty. Data were collected at one university hospital in Incheon city, from July 1, 2012 to May 31, 2013. To prevent diffusion of treatment, data for the control group were collected at first, and then data collec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leted. Twenty-five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Collected baseline data for overall subjects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knowledge about pain, knowledge about usage of patients controlled analgesia (PCA), and attitudes toward pain and usage of painkiller.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15 minutes education program with information booklet about PCA use and pain control. The education program also included explanation and demonstration of PCA pump. Outcome variables were pain degree in 8, 24 and 36 hours after surgery, number of painkiller administration for 36hours after surgery. Also, knowledge about pain, knowledge about usage of PCA, attitudes toward pain and painkiller, and satisfaction about pain control with PCA were investigated through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χ2-test, t-test, Fisher’s exact test. Statistical reliability was calculated by Cronbach's alpha coeffcient & Kuder-Richardson 20 (K-R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PCA education before surgery had higher knowledge level about pain after surgery than the control group who received only general information before surgery(t=6.38, p<.001). 2)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PCA education before surgery had higher knowledge level about usage of PCA after surgery than the control ones who received general information before surgery(t=-3.96, p<.001). 3)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PCA education before surgery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pain and usage of painkiller after surgery than the control ones who received general information before surgery(t=5.96, p<.001). 4)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PCA education before surgery and the control group who received general information before surgery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usage count of painkiller after surgery(t=-0.27, p=.786). 5)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PCA education before surgery had lower pain score at 8, 24 and 36 hours after surgery than the control ones who received general information before surgery(t=4.03, p<.001, t=5.21, p<.001, t=3.62, p=.001). 6)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PCA education before surgery had higher satisfaction level about usage of PCA after surgery than the control ones who received general information before surgery(t=-8.74, p<.001).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PCA education which includes practice of usage of PCA with more visual information and specific for the elderly reduced postoperative pain and increased their satisfaction about usage of PCA. Therefore, PCA education customized by elderly could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on postoperative pain of elderly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Key word : Elderly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ostoperative pain, PCA education 본 연구는 슬관절치환술을 앞둔 노인을 대상으로 수술 전 PCA 교육이 수술 후 통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유사실험 연구설계이다. 자료수집은 2012년 7월 1일부터 2013년 5월 31일 까지 인천 지역 일 개 대학병원에서 슬관절치환술을 받은 65세 이상의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두 군간의 실험 효과의 확산을 막기 위해 대조군 자료수집 완료 후 실험군 자료수집을 진행하였으며, 총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실험군, 대조군 각 25명이었다. 사전조사는 대조군과 실험군에게 설문지를 통해 일반적 특성, 통증에 대한 지식, PCA 사용에 대한 지식, 통증 및 진통제 사용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으며, 실험처치로써 본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소책자를 약 5분간 설명 후 실제 사용하게 될 PCA를 보여주고 5분간 실습하도록 하고, 교육 후 5분 정도의 질의 응답시간을 가졌다. 사후조사는 대조군과 실험군에게 수술 후 8시간, 24시간, 36시간의 통증 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수술 후 36시간동안 추가적으로 사용한 진통제의 횟수도 조사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통해 통증에 대한 지식, PCA 사용에 대한 지식, 통증 및 진통제 사용에 대한 태도, PCA 사용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고χ2-test, t-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계수와 Kuder-Richardson 20 (K-R20)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술 전 PCA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받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통증 지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t=6.38, p<.001). 둘째, 수술 전 PCA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받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PCA 사용에 대한 지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t=-3.96, p<.001). 셋째, 수술 전 PCA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받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통증 및 진통제 사용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t=5.96, p<.001). 넷째, 수술 전 PCA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받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추가진통제의 사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0.27, p=.786). 다섯째, 수술 전 PCA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받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8시간(t=4.03, p<.001), 24시간(t=5.21, p<.001), 36시간(t=3.62, p=.001)에서 통증 강도가 낮게 측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수술 전 PCA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받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PCA 사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t=-8.74, 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공된 실제 모형 실습과 함께 시각과 청각적인 정보를 더욱 부각한 노인의 특성에 맞춘 PCA 교육은 노인 환자의 수술 후 통증을 감소시키고, PCA 사용에 대한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실무 현장에서 노인 환자들에게 노인 맞춤식 PCA 교육이 통증 관리에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발레 작품 ‘돈키호테’에 나타난 스페인 민속 복식 표현

        이지흔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ballet, the costume is delivering the background of place or the occupation and personality of characters in works. To express each country or region, the costume applying folk dress or props in the region is helpful for representing the background and atmosphere of works, and also contributing to the delivery of storytelling and message of works. In 'Don Quixote' taking Spain as the background of the whole work, the costume is accompanied by props, makeup, and dance movements suitable for the costume applying the Spanish folk dress to express the country of Spain, which is showing the design and color different from the costume in the existing classical ballet works by clearly reflecting the exotic color and ethnic characteristics. Thus,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the aspect of representation by applying the Spanish folk dress to the costume of 'Don Quixote'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ostume of 'Don Quixote' reflecting the Spanish folk dress to it with the background in Spain, with Spanish folk dress.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the literary review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basis of Spanish folk dress, concretel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stume of main characters of 'Don Quixote' such as Kitri, Basil, Espada, Mercedes, and Seguidilla with Spanish folk dress, and then combined the audiovisual research method through the performance video and pictures of the Universal Ballet Company, to categorize the aspect of the main characters' costume. In the results of comparatively analyzing the Spanish folk dress applied to the costume of 'Don Quixote', the female dancers were wearing the costume applying flamenco dress in southern Andalusia. However, their costume was showing the compromised design applying the elements of flamenco dress of romantic tutu, applying only props as a part, or transforming the design by omitting or adding trimmings. The male dancers were wearing the costume reflecting the bullfighter's dress in the central area or the Spanish men's dress in the northern area. The compromised costume was shown by applying different folk dresses to a costume at the same time, or wearing a bolero jacket applying the short jacket of bullfighter's dress and tights, which showed that the design of costume or method of application was differently expressed in case when the Spanish folk dress was applied to the costume of 'Don Quixote'. In the aspect drawn by this, first, the compromised costume was sown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Spanish folk dress to the costume, suitable for the type or structure of costume. Second, a single character wore the costume mixed with Spanish folk dress of different regions. Third, the costume design showed the transformed folk dress by adding or removing ornaments to costume even when the Spanish folk dress was still reflected. Fourth, there was the costume borrowing not the whole elements, but just some parts of Spanish folk dress to the typical classical tutu dress with no elements of Spanish folk dress to the typical classical tutu dress with no elements of Spanish folk dress. This study which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 shown in the application of folk dress to ballet costume, could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of ballet costume reflecting the elements of Spanish folk dress planning in the future including 'Don Quixote' showing the Spanish folk dress, and also provide the research data presenting the direction for applying and interpreting the folk dress to ballet costume. 발레에서 의상은 작품에 등장하는 장소적 배경이나 배역의 직업과 성격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각 나라나 지역을 표현하기 위해 그 지역의 민속 복식이나 소도구를 적용한 의상은 작품의 배경과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도움을 주고 작품의 스토리텔링과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일조한다. 작품 전체가 스페인을 배경으로 하는 ‘돈키호테’에서 의상은 스페인이라는 나라를 표현하기 위해 스페인 민속 복식이 적용된 의상과 이에 맞는 소품이나 분장, 춤 동작 등이 함께 나타나 이국적인 색채와 민족적인 특성이 뚜렷하게 반영되어 기존의 고전 발레 작품 의상과는 다른 디자인과 색깔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작품 전반이 스페인을 배경으로 하여 스페인 민속 복식이 의상에 반영되어 표현되는 작품인 ‘돈키호테’의 의상을 스페인 민속 복식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스페인 민속 복식이 ‘돈키호테’ 의상에 적용됨에 있어서 표현되는 양상을 유형화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페인 민속 복식에 관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문헌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돈키호테’ 작품에서 등장하는 주요 인물인 키트리, 바질, 에스파다, 메르세데스, 세기딜랴의 의상을 스페인 민속 복식과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나타나는 양상을 유형화하기 위해 유니버설발레단의 공연 영상과 사진을 통한 시청각 연구 방법을 병행하였다. ‘돈키호테’ 의상에 적용된 스페인 민속 복식을 비교·분석한 결과, 여성무용수들은 남부 안달루시아의 플라멩코 드레스가 적용된 의상을 착용하지만 로맨틱 튀튀에 플라멩코 드레스의 요소가 적용되어 절충된 디자인으로 나타나거나 일부분인 소품만을 적용하고 있으며 장식을 생략하거나 더해 변형된 디자인의 의상을 착용하였다. 남성무용수들은 중부의 투우사 복식이나 북부의 스페인 남성 복식 구성이 반영된 의상들이 나타났으며 서로 다른 민속 복식이 한 의상에서 동시에 착용되거나 투우사 복식의 짧은 재킷이 적용된 볼레로 재킷에 하의는 타이즈를 착용하여 절충된 의상으로 나타나는데, 스페인 민속 복식이 ‘돈키호테’ 의상에 적용됨에 있어 의상의 디자인이나 적용되는 방식이 다르게 표현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도출된 양상으로 첫 번째, 의상의 유형이나 구조에 맞게 스페인 민속 복식의 특징적인 요소가 의상에 적용되어 절충된 의상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한 인물의 의상에서 서로 다른 지역의 스페인 민속 복식이 혼합되어 착용되었다. 세 번째, 스페인 민속 복식이 반영되지만 의상의 디자인에 장식을 더하거나 빼서 민속 복식이 변형된 의상 디자인을 보인다. 네 번째, 스페인 민속 복식이 적용되지 않은 전형적인 클래식 튀튀 디자인에 스페인 민속 복식의 전제적인 요소가 아닌 일부분만을 차용하는 의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유형화할 수 있었다. 발레 의상에 민속 복식이 적용됨에 있어 나타나는 특성과 양상에 대해 파악해보고자 한 본 연구는 스페인의 민속 복식이 나타나는 ‘돈키호테’를 비롯하여 향후 기획되는 스페인 민속 복식의 요소가 반영되는 발레 의상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발레 의상에 민속 복식을 적용하고 해석하는데 있어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중국 매스티지 상품 구매동기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시차와 펜디를 중심으로

        이지흔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비교적 젊은 세대의 명품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중국에서는 외국 명품 브랜드와 중국 기업이 공동 브랜딩(Co-Branding)을 통해 매출을 높이는 매스티지(Masstige)전략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매시티지 상품을 구매하는 동기가 고객만족, 쾌락적 동기, 대체품의 여부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상하이에 거주하는 중국인 중 시차와 FENDI의 공동 브랜딩 음료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만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매스티지 상품의 구매동기가 소비자의 재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과시성, 체면민감성은 고객만족을 통해 소비자의 재구매 의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었다. 소비자의 쾌락적 동기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쾌락적 동기 수준이 높은 소비자의 경우, 과시성과 체면민감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품 여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대체품이 부족한 경우, 고객만족이 소비자의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매스티지 상품의 구매동기가 직접적으로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는 대체품 여부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매스티지 상품을 통해 과시성과 체면만족감을 높일 수 있도록 공동 브랜딩 상대인 명품의 로고 크기를 키우는 방법이 효과적일 것이다. As the younger generation's fondness for luxury increases in China, the use of foreign luxury goods and the strategy of Masstige (a portmanteau of 'mass' and 'prestige') through co-branding by Chinese companies to boost sales is frequently employed.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consumers' purchase motives Masstige products on customer satisfaction, the influence of hedonic motives, and the alternatives' attractiveness on repurchase intentions. A survey analysis was conducted exclusively among Chinese residents in Shanghai who have purchased beverages from the co-branding between HEYTEA and FENDI, concluding that the purchase motives Masstige products positively impact consumers' repurchase intention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public self-image influence the repurchase intention through the degree of customer satisfaction. The study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hedonic motives, revealing that consumers with higher levels of hedonic motives exhibit increased influence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public self-image on customer satisfaction.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alternatives' attractiveness suggests that when customers perceive a strong lack of alternatives, the impact of customer satisfaction on their repurchase intentions increases. Conversely, no moderating effect of the alternatives' attractiveness was found in the direct influence of Masstige purchasing motives on repurchase intentions. Therefore,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public self-image through Masstige products, increasing the size of luxury brand logos in co-branding products could be more effective.

      •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La0.75Sr0.25Cr0.5Mn0.5O3-δ - Ce0.9Gd0.1O1.95 with metal catalyst for SOFC anode

        이지흔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1 국내석사

        RANK : 247615

        One of the practical advantages of solid oxide fuel cell (SOFC) is the utilization of readily available fuels such as natural gas. SOFC anodes at the fuel side therefore need to have the catalytic activity for the various fuel oxidation reactions, the high electronic and ionic conductivities as well as the chemical and mechanical compatibilities with electrolytes. The generally used Ni-YSZ cermet anode cannot keep its electrochemical activity through the long term operation and repeated redox cycling in hydrocarbon fuels, due to the contamination of the reaction site with carbon or sulfur and the decrease of reaction area by severe volume change of nickel. Therefore, as a promising alternate of Ni-based cermet anode, (La,Sr)(Cr,Mn)O3-(Ce,Gd)O2 (LSCM-GDC) composite oxide anode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and applied to the YSZ-based SOFCs. In this study, the LSCM-GDC composite oxide powder was fabricated by modified glycine-nitrate process (GNP), and applied to the YSZ- supported half-cell with symmetric geometry. The half-cell performance was characterized by impedance analysis under various gas conditions in a single-chamber setup. The YSZ- supported button-cell with LSCM-GDC composite oxide anode was also fabricated and its electrochemical and power generating caperbility were characterized under wet H2 and CH4 fuel conditions. Ruthenium infiltrated LSCM-GDC composite oxide anode was found to improve both half-cell and button-cell performance due to the enhancement of its catalytic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