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의 연령집단별 다차원 빈곤과 우울궤적의 관계 : 공적이전소득의 조절효과 분석

        이지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노인우울이 건강하고 행복한 노년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 노인 5명 중 1명이 우울하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우울수준이 높아지고 있어 고령화 사회에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노인우울은 개인의 심리사회적 기능제약과 더불어 돌봄 가족의 심리적·경제적 부담을 증대시키고 있어 점차 사회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다. 우울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는 빈곤과 우울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건강불평등론에 기반한 사회원인론(social causation)과 사회선택론(social selection)을 기반으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노인의 빈곤이 우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하에 사회원인론을 기반으로 빈곤과 우울과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때 빈곤과 우울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기존 연구들은 소득빈곤을 중심으로 하였으나, 생애 주기적으로 다양한 불평등한 경험이 누적된 노인의 특성에 비추어 소득, 근로, 주거, 건강, 여가, 가족관계, 사회적관계 등 다양한 차원의 빈곤을 고려하는 다차원 빈곤 개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다차원 빈곤 개념은 빈곤 여부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소득측정 뿐만 아니라 개인이 처한 사회적·환경적 특성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센(Sen)의 실현능력접근을 기반으로 하는 개념으로서, 실현능력이 있는 개인이 가치 있는 자원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당한 상태를 빈곤으로 보는 관점이다. 따라서 빈곤에 대해 다차원 빈곤으로 접근하는 것은 빈곤한 개인이 단순히 상대적으로 소득이 부족한 상태가 아니라 개인의 고유한 특성이나 환경적 특성이 삶을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다. 이처럼 노인우울의 주요 영향 요인으로 다차원 빈곤 개념으로 접근하는 이유는 노인을 소득지원정책의 수혜자로서의 수동적인 존재가 아닌 스스로 가치있다고 생각하는 삶을 실현시키는 능력을 가진 적극적인 존재로 바라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노인의 다양한 차원의 빈곤 경험이 우울궤적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확인하는 것은 다차원 빈곤과 우울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정책제안의 근거자료로서의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빈곤이 노인우울의 주요 요인이 되는 경우, 노인빈곤대응정책인 공적이전소득과 우울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 우울예방 및 완화정책 마련에 중요하지만, 이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이다. 또한, 노인기가 길어지고 있고 노인의 생애 전반에 누적된 경험은 연령집단별로 차이가 존재하므로 노인을 동질적인 집단으로 규정하지 않고 연령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소득, 근로, 주거, 건강, 여가, 가족관계, 사회적 관계 등의 다차원 빈곤과 우울의 관계, 그리고 공적이전소득과 우울 간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종단적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자료는 노인 구성원들의 소득과 건강에 관한 자료를 포괄적으로 제공하는 대표적인 종단자료인 한국복지패널자료(Korean Welfare Panel Data)를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은 만 55세 이상의 예비노인과 노인 4,428명이며, 그 중에서 예비노인(만 55-64세)은 1,134명. 전기노인(만 65세-74세)은 1,742명, 후기노인(만 75세 이상)은 1,553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을 활용하여 다차원 빈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울수준 측정은 CES-D(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를 활용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15년부터 2019년까지 분석 대상인 노인의 우울궤적을 확인하였다. 둘째, 다차원 빈곤과 노인의 우울궤적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셋째, 다차원 빈곤과 노인의 우울궤적 간의 관계에서 연령집단별 차이를 확인하였다. 넷째, 공적이전소득 수급 여부에 따른 다차원 빈곤과 노인의 우울궤적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다섯째, 소득빈곤과 공적이전소득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적이전소득의 우울수준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분석방법은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였고 분석도구는 통계프로그램 SPSS 22.0과 AMOS 22.0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노인집단의 우울수준은 연령증가에 따라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집단별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우울수준 초기값의 경우 예비노인보다 전기노인이, 전기노인보다 후기노인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노인의 연령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우울수준 변화율은 예비노인의 변화율 변량이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전기노인보다 후기노인의 우울수준 증가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나 연령집단에 따라 우울수준의 격차가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년기 우울수준이 후기노인으로 갈수록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둘째, 다차원 빈곤은 노인의 우울궤적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먼저 우울수준 초기값에는 7개 영역의 모든 다차원 빈곤이 노인의 우울수준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노년기에 경험하는 다차원 빈곤이 연령에 관계없이 노인의 우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우울수준 변화율에는 다차원 빈곤에 따라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차원 빈곤 중 소득빈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인의 우울수준 증가 속도를 높이며, 근로빈곤과 건강빈곤, 여가빈곤, 가족관계빈곤에 의한 우울수준은 완만한 속도로 증가하였다. 주거빈곤과 사회적관계빈곤은 우울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노인의 다차원 빈곤 중 소득빈곤이 여전히 노인의 우울수준과 우울수준 악화 속도에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이와 더불어 소득뿐만 아니라 다양한 차원의 빈곤이 노인의 우울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노인우울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다차원 빈곤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다차원 빈곤과 노인의 우울궤적 간의 관계는 연령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다차원 빈곤은 모든 연령대의 노인 우울수준 초기값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으며,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우울수준 변화율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특히 건강빈곤과 여가빈곤은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우울수준 변화율에 부적영향을, 근로빈곤과 가족관계빈곤은 후기노인의 우울수준 변화율에 부적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다차원 빈곤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령집단별 구분된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넷째, 다차원 빈곤과 노인(전기노인, 후기노인)의 우울궤적 간의 관계에서 공적이전소득 수급 여부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급집단과 비수급집단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먼저 공적소득비례연금 수급 여부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확인한 결과,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집단 간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전기노인의 경우, 우울수준 초기값에는 수급집단이 더 많은 차원의 빈곤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우울수준 변화율에는 비수급집단이 더 많은 차원의 빈곤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득빈곤이 공적소득비례연금을 수급하지 않는 전기노인의 우울수준 초기값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어, 전기노인 중 공적소득비례연금을 수급하지 않는 노인의 소득이 위험수준일 가능성이 높은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후기노인의 경우, 우울수준 초기값 및 변화율 모두 수급집단보다 비수급집단에서 더 많은 차원의 빈곤이 우울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급집단 노인의 경우에는 가족관계 및 사회적 관계 등 관계망에서의 빈곤이 우울궤적에 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소득이 어느 정도 안정적인 수급집단에서는 무엇보다 정서적 지지와 심리적 안정감의 원천인 관계망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전기노인과는 달리 공적소득비례연금 비수급집단은 소득빈곤이 후기노인의 우울수준 및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학습된 무기력이 고령노인을 현실에 적응하는데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초연금 수급 여부에 따라 다차원 빈곤이 노인우울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전기노인의 경우 우울수준 초기값에는 기초연금 수급 여부와 관계없이 다양한 차원에서의 빈곤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수준 변화율에는 기초연금 비수급노인이 더 많은 차원의 빈곤의 영향을 받고 있는데, 이는 낮은 기초연금 급여에도 불구하고 저소득 노인에게는 기초연금이 고정적인 소득으로서의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후기노인의 경우 우울수준 초기값의 경우 전기노인과 동일하게 기초연금 수급 여부와 관계없이 다양한 차원에서의 빈곤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수준 변화율에는 수급노인이 더 많은 차원에서의 빈곤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특히 소득빈곤이 후기노인의 우울수준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고 있어 기초연금을 수급하는 후기노인의 소득빈곤 개선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기초연금을 수급하지 않는 후기노인의 우울궤적에는 소득빈곤이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는데 이는 기초연금을 수급하지 않는 노인은 공적연금 수급대상이거나 기타 소득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섯째, 소득빈곤이 노인의 우울궤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공적이전소득 수급 여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급집단 별 및 연령집단별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먼저 공적소득비례연금 수급여부와 소득빈곤의 상호작용 결과, 공적소득비례연금을 수급하는 노인(전기노인, 후기노인) 중 소득빈곤을 경험하는 노인은 초기 우울수준이 높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증가속도는 낮아지고 있었다. 이처럼 공적소득비례연금 수급노인의 우울수준 초기값이 높은 이유는 생애 전반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노년기의 낮은 소득수준과 부족한 노후준비가 심리적 스트레스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기초연금 수급 여부와 소득빈곤의 상호작용 결과 우울수준 초기값에는 전기노인, 후기노인집단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초연금을 수급하는 노인이 이미 소득 하위 70%에 속하므로 소득빈곤 경험은 더욱 더 노인의 우울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울수준 변화율에는 후기노인집단에만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 기초연금을 수급하는 후기노인 중 소득빈곤을 경험하는 노인의 우울수준이 시간이 지나면서 증가속도가 완만해지고 있었다. 이는 기초연금 급여액이 낮은 수준임에도 고정 소득을 기대할 수 있어서 노인이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끼면서 우울수준이 급격히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의 주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빈곤과 우울과의 관계는 선행연구들을 통해 지속적으로 증명되어왔으며, 그 기반에는 사회원인론과 사회선택론이 있다. 노인의 빈곤과 우울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검증한 이 논문의 분석 결과는 사회원인론에 가까운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노인의 우울 위험요인으로 소득빈곤 등 경제적 수준을 기준으로 하는 단일차원의 빈곤요인 설명에서 확대하여 소득빈곤, 근로빈곤, 건강빈곤, 주거빈곤, 여가빈곤, 가족관계빈곤, 사회적관계빈곤 등 다차원 빈곤 요인에 초점을 둔 분석을 통해 센(Sen)의 실현능력접근 개념을 기반으로 한 다차원 빈곤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즉, 노인의 우울이 단순히 소득분배 등 분배적 불평등에 기인하는 것만이 아닌 ‘실현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의 박탈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다차원 빈곤을 경험하는 노인의 우울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므로 노인의 우울 위험요인으로 다차원 빈곤을 논의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차원 빈곤과 노인의 우울궤적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연령집단별 접근이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노인의 우울궤적은 연령집단별로 차이가 있으며, 특히 후기노인의 우울수준이 초기값도 높고 우울수준 증가폭도 크므로 후기노인의 우울수준이 더욱 위험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노인의 다차원 빈곤이 우울궤적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으며, 이를 통해 각 연령집단별로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빈곤의 영역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공적이전소득과 노인의 우울궤적 간의 관계를 검증하여 노인의 다차원 빈곤과 우울수준 완화를 위한 빈곤대응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개선 논의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노인의 다차원 빈곤에 따른 우울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threatens the life of a healthy and happiness of the elderly. One in five elderly people is depressed, and the older they are, the more depressed the level is, the more likely it will develop from an aging society to a serious social problem. Depression of the elderly is increasing the psychological and economic burden of caregivers along with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functional constraints of individuals, and will increase social cost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overty, the main cause of depression, have been based primarily on social causation and social selection based on health inequality.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depression based on social causal theory,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poverty in the elderly negatively affects depression. At this time, the existing research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depression centered on income poverty, but in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ho have accumulated various and unequal experiences over a lifetim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concept of multidimensional poverty that considers poverty in various dimensions, such as income, work, housing, health, leisure, family relations, and social relations. The concept of multidimensional poverty is that not only income measurement but also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should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poverty. This is a concept based on Sen's ability-to-feasibility approach, a view of a deprived state of the opportunity for an individual capable of realization to convert into a valuable resource. Thus, approaching poverty as multidimensional poverty is not just a relatively poor state of income, but a recognition that an individual's unique o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re working at a disadvantage in life. The reason why the elderly approach the concept of multidimensional poverty as a major influence factor of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means that the elderly are not passive as beneficiaries of income support policies, but active as capable of realizing their own lives. It is thought that confirming the negative impact of the various levels of poverty experience on the depressed trajectory of the elderly has significance as a basis for policy proposals that can simultaneously improve multidimensional poverty and depression. When poverty is a major factor i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t is important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transfer income and depression, which is a policy to deal with poverty for the elderly, and it is a reality that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this. Therefore, the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economic status and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a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poverty and depression, such as income, work, housing, health, leisure, family and social relationships, a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transfer income and depression, and is intended to examine the longitudinal impact of time flow. In addition, since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in the experience accumulated in the whole life of an elderly person due to prolonged senescenc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m from age groups and analyze them separately from age groups. The analysis materials used ‘Korean Welfare Panel Data’, a representative longitudinal document that provides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the income and health of senior citizens. The subjects of analysis are pre-elderly aged 55 and older and 4,428 elderly, among them 1,134 pre-aged (55-64). There are 1,742 early elderly (aged 65-74) and 1,553 elderly in late years (aged 75 and older).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impact of multidimensional poverty on depression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Depression measurements were made using CES-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The specific analysis process is as follows. First, we confirmed the depressive trajectory of the elderly, which was analyzed from 2015 to 2019. Secondly, we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poverty and the depression trajectory of the elderly. Third, we confirmed the differences between multidimensional poverty and the depressed trajectory of the elderly. Fourth, we confirmed multidimensional poverty and the depression trajectory of the elderly due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ublic transfer income. Fifth, we confirmed the effects of adjusting the level of depression in public transfer income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income poverty and public transfer income. The analysis method utilizes the potential growth model, and the analysis tools used the statistical programs SPSS 22.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epressive level of the entire elderly group increased with ag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y age group. In the case of the initial depression level, it was found that the older early elderly than the preliminary and the older elderly in late years than early elderly, the higher the age of the elderly,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In addition, the rate of change in depression level over time was not significant in the rate of change in the rate of preliminary old age, but the rate of increase in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late elderly was faster than that in the early elderly. This is a result that shows that the depressive level of old age is getting worse as the elderly get older. Secondly, it was confirmed that multidimensional poverty had an impact on the depression trajectory of the elderl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ll multidimensional poverty in seven areas is increasing the level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This means that multidimensional poverty experienced in old age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regardless of age. In addition, it also showed that the rate of change in the level of depression differed in the influence of multidimensional poverty. In other words, income poverty in multidimensional poverty increases the rate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over time, and the level of depression caused by working poverty, health poverty, leisure poverty, and family-related poverty increased moderate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poverty in housing and social relation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ate of change of depression. This shows that income poverty in multidimensional poverty is still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terioration of the depression level and depression level of the elderly. At the same time, it shows that multidimensional poverty is an important risk factor, as well as income, as a result of showing that various dimensions of poverty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depression level of the elderl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poverty and the depression trajectory of the elderly differs according to age group. In other words, multidimensional pover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depressive level of all age groups, and it has been shown to have a lasting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in the depressive level between early elderly and elderly in late year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health poverty and leisure poverty had an unfavorable influence on the rate of change in the depression level of the elderly and that labor poverty and family relationship poverty had an unfavorable influence on the rate of change in the depression level of the latter. This shows that there is a need for a separate approach to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poverty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Fourthly,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poverty and the depressed trajectory of the elderly (previous and late senior citizens) by group based on whether or not public transfer income was received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recipient and non-receive groups. First of all,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early elderly and the elderly in late year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received the public income proportional pension. In the case of early elderly, the initial value of the depression level showed that the supply and demand groups were affected by more levels of poverty experience, while the rate of change in the level of depression was affected by more levels of poverty experience. In particular, it is confirmed that income poverty increases the level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who do not receive the public income proportional pension, indicating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income of the elderly who do not receive the public income proportional pension is at risk. In the case of elderly in late years, it was found that in both the depression level,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more levels of poverty in non-paid groups than in the supply-demand group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depression level. In the case of elderly people, poverty in family relationships and social relationships acts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ath of depression, and it can be seen that, above all, the network of relationships, which is the source of emoti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stability, is extremely important in income groups. Unlike the early elderly in the public income proportional pension group, income pover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pression level or rate of change of the latter, which is understood to be the effect of learned apathy on adapting the elderly to reality. Next, it was confirmed that multidimensional poverty has a different effect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basic pension was received. In the case of early elderly, poverty at various levels i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initial level of depression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basic pension was received. The rate of change in the level of depression is affected by poverty at a higher level than that of the elderly, which is thought to be because the basic pension provides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as a fixed income for the elderly, despite the low basic pension benefits. In the case of the elderly, the depression level, and the initial level, poverty at various levels is affected, as is the case with the elderly, regardless of whether they receive the basic pension. The rate of change in the level of depression is affected by poverty at a higher level, and income poverty, in particular, is continuing to increase the level of depression of the latter, and it can be seen that the improvement of income poverty of the latter who receive the basic pension is urgent. However, income poverty has not affected the depression trajectory of late-aged people who do not receive basic pensions, but this is because elderly people who do not receive basic pensions are eligible for public pensions or other income. Fifth,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income poverty on the depression trajectory of the elderly on the adjustment effect of public transfer income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y supply and demand group and by age group. First of all, a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ublic income proportion pension and income poverty, the elderly who experience income poverty among the elderly (early elderly, elderly in late years) who receive the public income proportion pension had a high level of depression in the early stages, but the rate of increase was decreasing over time. The reason for the high level of depression among old age who receive public income proportion pension is that relatively low income levels in their old age and insufficient preparation for retirement cause psychological stress compared to the first half of their lives. The main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oor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depression has been proven persistently through previous studies, but the basis of which is ‘social causation theory’ and ‘social selection theory’.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paper, which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can be seen as close to social causation. Secondly, the risk factors of depression for the elderly are important in that they have expanded from a single-dimensional explanation of poverty factors based on economic levels such as income poverty, work poverty, health poverty, housing poverty, leisure poverty, family relations poverty, and social relations poverty, and examined the impact of multidimensional poverty on depression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concept of proximity to the ability of Sen. In other words,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s not only caused by distributional inequality, such as income distribution, but also by deprivation of the opportunity to display “realization capability” in a complex manner. As the depression level of the elderly who experience multidimensional poverty is confirmed to be relatively high, it was indicated that multidimensional poverty should be discussed as a risk factor for the elderly's depression.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poverty and the depressive trajectory of the elderly needs to be understood by age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depression levels of the elderly differ by age group, and that the depression levels of the latter are particularly high and the increase in the depression levels is large. The impact of multidimensional poverty on the path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differs, indicating that there are areas of poverty that need to be managed intensively by age group. Finall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transfer income and the depression trajectory of the elderly and showed that institutional reform discussions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overty response policies to alleviate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and depression levels of the elder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esent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level of depression caused by multidimensional poverty in the elderly. Key words: elderly depression, trajectory of depression, multi-dimensional poverty, social causation theory, social selection theory, public transfer income, moderating effect, latent growth model

      •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사회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강점인식과 희망의 매개효과

        이지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trengths knowledge and hope and self-oriented perfectionism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targeting 336 college students and office workers in their 20’s living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using Hewitt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HMPS),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Revised(SPSI-R), Strengths Knowledge Scale and Hope Scale. For analyzing the data, this study conducted a descriptive statistic and a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2.0,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using Hayes (2018) Process 3.2, and verifi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rough Bootstrapping. The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self-orientation perfectionism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rengths knowledge, hop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orientation perfectionism, the more often one experiences strengths knowledge, one thinks hopefully, and has higher level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Second,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strengths knowledge in the effect of self-orientation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is means that self-orientation perfectionism had no effect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the medium of strengths knowledge. Third,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hope in the effect of self-orientation perfectionism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is means that self-orientation perfectionism has an effect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hope. Fourth, it showed that strengths knowledge and hope double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ation perfectionism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is means that self-orientation perfectionism has an effect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strengths knowledge and hop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ffect and process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strengths knowledge, hope, and discusses about the limitations.

      • 조현병 환자의 정서지능, 의사소통, 자가 간호수행 간의 관계

        이지인 圓光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정서지능, 의사소통, 자가 간호수행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여 간호 중재 및 도구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DSM-IV, DSM-5에서 조현병으로 진단 받고 J도에 위치한 정신병원에 입원중인 환자 105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13문항, 정서지능 50문항, 의사소통 29 문항, 자가 간호수행 23문항의 총 115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정서지능 측정 도구는 Salovey와 Mayer (1996)의 모형을 토대로 문용린(1999)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의사소통 측정 도구는 Takahashi, Tanaka & Miyaoka (2006)가 개발한 도구를 번역하여 사용하였으며, 자가 간호수행 측정 도구는 유숙자(1991)가 개발하고 임신화(2000)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program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정서지능, 의사소통, 자가 간호수행의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지능, 의사소통, 자가 간호수행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 One-Way ANOVA를 사용하였으며, 사후 검정은 scheffé 검정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정서지능, 의사소통, 자가 간호수행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으며 그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 정도는 250점 만점 중 평균 159.5(±18.1)점, 의사소통 정도는 306점 만점 중 138.2(±62.5)점이었고, 자가 간호수행 정도는 115점 만점 중 평균 85.8(±13.4)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의사소통에서는 간호사와의 의사소통이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의사, 보호사와의 의사소통이 재발 횟수에 따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자가 간호수행은 성별,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정서지능과 의사소통, 자가 간호수행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정서지능은 의사소통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42, p<.001). 다음으로 정서지능은 자가 간호수행과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r=.54, p<.001), 의사소통에서도 자가 간호수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38, p<.001). 따라서 본 연구는 조현병 대상자의 정서지능, 의사소통, 자가 간호수행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향후 대상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and tools for schizophrenia subjects by identifying the degree of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and self car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examining their relations. On the subjects of 105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schizophrenia in DSM-IV and DSM-5 and were admitted to a psychiatric hospital in J province, the total of 115 items of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general characteristics 13 items, emotional intelligence 50 items, communication 29 items, self care 23 items were used to collect data. This study used the measurement tool for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ed by Mun-Yong-Lin (1999) based on the model of Salovey and Mayer (1996), the measurement tool for communication translated from the tool developed by Takahashi, Tanaka & Miyaoka (2006), and the measurement tool for self-care developed by Yu Sukja (1991)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Lim Shin-hwa (200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 WIN 20.0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and self care were analyzed. Differences in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and self-car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determined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post-test using scheffé test. Correl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and self care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an average of 159.5 (±18.1) out of the full score 250 points, and communication was 138.2 (±62.5) out of the full score 306 points, and self care was 85.8 (±13.4) out of the full score 115 points.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communication with nurses varied according to age, and communication with doctors and caregiver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relap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 care according to sex and age. Third, to explor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and self care, the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 (r=.42, p<.001). Next,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 care (r=.54, p<.001), and communica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 care (r=.38, p<.001). This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and self care of schizophrenia subjects and is expected to be used to develop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social return of the subjects in the future.

      • 여성노동정책의 변동 요인 및 과정에 대한 연구 : 여성노동관련법 제정 사례를 중심으로

        이지인 계명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factors and processes that caused policy change in women's labor policy, by examining three major women's labor laws since the 1980's. The analytic tool is based on Kingdon's policy stream framework. This study is aimed to answer the question why women's labor policy has not been effective in dealing with labor problems of women: career interruption after child-birth and low participation rate in economic activities. As a methodological tool, this study takes a wholistic perspective rather than sequential.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olicy change for women's labor was made when three streams were coupled. The three streams are problem stream, political stream, and alternative stream. In case of women's labor policy change, the various forms of barriers against women acted as the problem stream; election as the political stream. Legislative push by administration, with  support from ruling party, served as alternative stream, which resulted in decisive effect on policy change. Second, the policy window was opened mainly by political stream in the process of policy change. At this stage, the role of policy entrepreneur and political events were very influential in opening this window. Third, the policy window for the three laws was opened for a brief period of time, during which legislation took place. The period was short because the motivation of the legislation was political in nature. That is, legislators rushed in passing bills and publicizing the enactment to the public. They were not much interested in the success or impact of those laws.  Fourth, the result of this study informs us that the focus of women's labor policy has changed from addressing discriminatory practices on employment to promoting economic activities of women. Such a change was detected in the analysis of the problem stream of three laws: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Act, the earliest law of the three, focused attention on reducing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on employment; but the Framework Act on Women's Development and the Economic Activity Promotion Act for Career-interrupted Women, two laws enacted later, put priority to promoting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In conclusion, Korean women's labor policy is deeply affected by the political stream, which caused legislation to be completed in a very short period of time. Political motivation blocked exploring more fundamental solutions for women's labor problems.  본 연구는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제정된 여성노동관련법 사례를 대상으로 Kingdon의 정책흐름 모형을 적용하여 여성노동정책의 변동 요인과 과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시대 변화에 따라 대응되어온 여성노동정책이 여성노동문제에 근본적인 대안이 되지 못했던 원인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정책변동 과정을 단계적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정책변동 과정 전반을 조망한다는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 하였다. 여성노동관련법 제정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여성노동정책의 변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노동정책 변동은 세 가지 흐름의 결합으로 이루어졌다. 각 흐름에서 변동에 영향을 준 요인을 설명하자면 문제흐름에서는 고용전반 및 고용형태의 차별, 정치흐름에서는 선거, 대안흐름에서는 정부 및 정당 중심의 법제정 추진과 회기 내 의결이었다. 둘째, 여성노동정책 변동에서 정책의 창은 정치흐름에 의해 열렸고 흐름결합에 따라 나타난 대안의 성격은 교의적이었다. 그리고 정책의 창이 열리는데 정치적인 성향의 정책활동가의 역할과 정치적 사건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셋째, 여성노동정책 변동에서 정책의 창 개․폐 기간은 짧게 나타났다. 이는 여성노동관련법 제정에 차기선거 및 정권신임 같은 정치적인 이유가 크게 작용하여 법률의 실제 적용가능성 보다는 법 존재 자체가 목적이 되었기 때문이다. 넷째, 우리나라 여성노동정책변동은 정책의 비중이 여성차별에서 여성경제활동촉진으로 변화되었다. 이것은 문제흐름의 변화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었다. 남녀고용평등법은 고용에서 여성차별이 핵심 사항이었으나 여성발전기본법과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에서는 여성경제활동이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여성노동정책 변동은 정치흐름이 크게 영향을 미쳐 여성노동문제를 명확히 정의하기 어려웠고 정책의 방향이 현실적으로 설정되지 못하였다. 구체적으로 여성노동관련법 제정에서 나타난 정치흐름의 특징은 법 제정이 보수적인 성향의 정권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정치적인 변화가 있었던 시점이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치적인 요인의 영향으로 여성노동정책 변동이 급속히 이루어졌기 때문에 여성노동정책이 여성노동문제 해결을 위한 근본적 대안으로서 미흡하였다고 할 수 있다.

      • 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기술 측정도구 개발

        이지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병원 조직의 비대와 의료서비스 과정이 복잡하고 긴급해짐에 간호사 간의 의사소통 방식도 복잡해지고 다양한 종류의 의료사고에 노출되고 있다. 간호사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환자의 치료 계획 수립에 도움을 주며 조직 목표성취에 중요한 기능을 하며 간호업무의 효율성을 높여 조직의 발전을 도모하게 한다. 그러나 국내 간호사 조직의 특성과 간호사의 의사소통 구성요인을 파악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국내 간호 관련 의사소통 연구는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을 구분하거나 타학문의 의사소통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사소통 특성을 파악하고 구성요인을 도출한 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기술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 혼종모형의 이론적 분석과 실증적 분석을 통해 중심이 되는 구성요인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확인된 구성요인을 바탕으로 기초 문항을 개발하여 전문가 7인에게 3차례에 걸쳐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고 40인의 간호사에게 예비조사를 시행하여 안면타당도를 검정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총 34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정을 통해 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기술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해서 전남에 소재한 200병상이상 종합병원 및 상급 종합병원의 현 병원 근무경력이 1년 이상인 일반 간호사 3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도구의 구성타당도는 문항분석과 요인분석 과정을 이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개 요인, 25문항이 선정되었다. 최종 선정된 25문항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전반적으로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다. 각 요인은 정보전달 명확성(10문항), 정보해석 정확성(8문항), 조직환경 유연성(7문항)이며, 전체설명변량은 58.49%였다. 도구의 집중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해 표준분산추출(AVE)값과 개념신뢰도(CR)값을 분석하였고, 판별타당도 검정을 위해 구성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또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GICC), 조직 의사소통만족 도구와 본 연구자가 개발한 측정도구와의 상관성을 확인하여 준거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마지막으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94이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기술 측정도구는 3개 요인, 총 25문항으로 구성된 5점 척도의 자가보고식 설문형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하는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Maslow 욕구이론을 통해 본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이지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Job satisfaction is very important attitude to the work and the most important and interested thing in organizational life. Job satisfaction is related in the function of personnel management and job satisfaction is given differently according to what members try to achieve in his work place and how much the needs of members are fulfilled. And this satisfaction is not able to separate from needs and motivations. That is, job satisfaction is closely relates with satisfying the needs of the individual. So, we can show the strategy for job satisfaction of public officials through grasping needs of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anagement strategy by grasping needs of public service officials and job satisfaction of them. That i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 of fulfillment-degree caus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needs(expectation) and the fulfillment which influence job satisfaction, and then try to argue that certain needs must be fulfilled to enhance job satisfaction. So, this study puts four questions; First, how about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Second,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needs and job satisfaction? third, which level of needs does largely ha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Furth, if Job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needs(expectation) and fulfillment, what does this mean? For thi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iteratures and then make an positive analysis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books and thesis on Maslow theory(a kind of theories on motivation) and needs-job satisfaction. For positive analysis, SPSS WIN 12.0 is use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ublic service officials are satisfied with their duty. Secon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needs. To put it concretely, in the individual case, physiological-needs, safety-needs, social-needs, esteem-needs, self-actualization-need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to job satisfaction. in the organizational case, physiological-needs, safety-needs, self-actualization-needs, esteem-need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Third, results show that the needs which influences on job satisfaction is safety-needs in the individual case, and are physiological-needs, self-actualization needs in the organizational case. also, those need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to Job satisfaction. And in the examination of needs item influencing on job satisfaction, stable income, security for the aged, attachment to family, self-contentment have a positive correlation to job satisfaction in the individual case while wages, promotion/appointment have a positive correlation to job satisfaction in the organizational case. Fourth, the result indicates the expectation of needs have stronger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than fulfillment of them. This tendency appear prominently in safety-needs(in the individual case), physiological-needs and safety-needs(in the organizational case). Also, of needs-items, stable income, security for the aged show this tendency prominently. And of the organizational items, wages, welfare(including temporary rest from office), working environment, a relief measure for an injury or disease, a security for a retiree, promotion/appointment show this tendency prominently. This results mean that low-ranking public officials are still in low-needs-stage from the perspective of Maslow' needs hierarchy theory, and that the fulfillment of their needs enhances job satisfaction.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job satisfaction, it is needed to fulfill safety-needs in the individual environment and physiological-needs in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of the elements which constitute needs, a security for the aged, wages, promotion/appointment are fulfilled preferentially. 직무만족(job satisfaction)이란, 한 개인이 직무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태도라고 할 수 있으며 조직생활을 하면서 가장 중요하고 관심을 가지는 부분이다. 조직에 있어서는 직무만족은 구성원의 인사관리의 기능과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조직구성원들은 그들의 직장을 통해서 무엇인가를 얻고자 하며, 그 것이 어느 정도 충족 되었느냐에 따라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그리고 이 만족은 욕구나 동기와 분리해서 생각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즉, 직무만족은 개인의 욕구충족과 밀접히 관련된다. 따라서 욕구를 파악하여 공무원들의 직무만족을 위한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들의 직무만족정도와 욕구상태를 파악하여 관리전략을 제시하고 자한다. 즉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욕구수준과 기대와 충족의 차이를 통하여 욕구의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 특정욕구가 충족되어야 함을 말하고자 한다. 연구 문제는 첫째, 직무만족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직무만족과 욕구 간의 상관관계? 셋째, 욕구수준 중 어느 단계가 직무만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기대하는 욕구정도와 충족의 차이가 직무만족에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 이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 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는 동기부여에 관한 이론, 그 중에서도 Maslow이론과 직무만족, 욕구와 직무만족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단행본과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조사결과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조사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무원들의 직무만족 정도를 살펴본 결과, 공무원들은 직무에 대하여 불만족보다는 만족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과 욕구의 상관관계에서 개별차원에서 생리적 욕구, 안전욕구, 사회욕구, 존경욕구, 자아실현 욕구가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차원에서는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존경의 욕구가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욕구는 개별차원에서는 안전의 욕구가 조직차원에서는 생리적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욕구항목별로 직무만족에 주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개별차원에서는 일정소득유지, 노후생활보장, 가족관계에서 느끼는 소속감이나 신뢰감, 자기만족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차원에서는 보수, 승진/보직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욕구기대와 충족의 차이와 직무만족을 살펴본 결과 욕구의 기대가 충족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개별차원에서는 안전의 욕구, 조직차원에서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가 상대적으로 차이를 크게 보이고 있다. 항목별로 보면 일정소득유지, 노후생활보장에서 기대와 충족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조직차원 항목들 중에서는 보수, 후생복지(휴직제도 포함), 근무환경, 부상·질병에 대한 사후대책, 퇴직 후 생활보장, 승진/보직에서 기대와 충족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Maslow 욕구단계에 따라 볼 때 하위직 공무원들이 여전히 낮은 수준의 욕구에 머물러 있으며 그 것을 만족시켜주어야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무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의 환경에서는 안전의 욕구를, 조직생활 환경에서는 생리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어야 한다. 그리고 욕구를 구성하고 있는 많은 요소들 중에 노후생활보장, 보수, 승진/보직을 우선하여 충족시켜주어야 함이 본 연구결과에서 밝혀졌다.

      •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오페라 아리아의 가창 지도 방법 연구 : '울게 하소서', '이제는 못 날으리', '사랑하는 아버지'를 중심으로

        이지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criteria of musical activities of music study of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singing activity is the most essential basis. At the same time it is the most frequently required activity on the field of school. However, there are many restrictions and limitations to play 'aria' well which is called 'the flower of opera' through regular musical classes in school. It is almost impossible that major number of students who neither have inborn musical talent nor acquire intensive musical training can sing a 'aria'which requires highly developed musical techniques as well as delicate emotional expressions. However, focusing on the requirements of music study of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this research paper suggested easy ways to sing operas in original languages without losing their own atmosphere b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lyrics and the characteristic of musical pieces of various times and cultures. Having general knowledge of opera and its background and analysing musical pieces in their essential elements such as frame, lyrics, rhythm, melody, and harmony can make it possible. This study analysed several arias which are contained in highschool music text books as subject musical pieces such as Soprano aria ‘Lascia ch'io pianga’ in 『Rinaldo』composed by G. F. Händel, Bariton aria ‘Non più andrai’ in 『Le Nozze di Figaro』composed by W. A. Mozart, Soprano aria ‘O mio babbino caro’ in 『Gianni Schicchi』composed by G. Puccini so that they can be practically used in a singing class on the field of school. This study described ways of singing opera arias according to vocalizing, understanding and pronouncing lyrics, and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musical pieces. Also this paper analysed 3 opera arias and suggested teaching methods of singing for each of them.

      • 음악 분야 문화예술교육사의 기획역량 변화에 관한 성찰적 사례연구

        이지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participatory reflective case study that examines changes in the planning capabilitie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history in the music field. This is the result of the study obtained by analyzing the cases of teams participating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planning project for welfare facility users conducted from August to December 2022. The name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planning project for welfare facility us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 Planning Project") in which the subject of the study participated is <Creative Experiment Project: Challenge Group>, which aims to strengthen the planning capabilities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ors participating in the stud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a single case of participation in the A project and to examine changes in the planning capabilities of thre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ors in the music field through team collaboration between thre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ors and one social worker. As a participating reflection in the research process, this researcher conducted a reflective case study through diversified data collection from the participation of the A planning project to the end.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complex and subtle dynamics that occur in all processes of planning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background of planning convergence and complex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through team collaboration by three cultural and arts educators in the music field was explored, and change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sub-capability elements of planning capabilities presented by Hong Ae-ryeong and Lim Soo-jin (2020).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business understanding ability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practice the philosophy and goal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jects and programs, and planning practice has changed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business purpose of A project by three cultural and arts educators participating in the study. They wrote proposals focusing on convergence and convergence in the early stages of the planning process, and later enhanced major planning directions centered on welfare facility users. This is to share and practice the understanding of the new culture and arts education plan for users of welfare facilities presented for business purposes in the A planning project through team collaboration with social workers. In addition, in the practice of planning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incorporating technology, three cultural and arts educator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learners' art expressiveness, thereby fostering the practice of convergence and complex planning.Next, information collection ability is the ability to collect, learn, and systematize and utilize various information. The thre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ors actively exchanged knowledge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information through team collaboration. In order to plan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formation in each field was collected through various media, exchanged, and the process of utilizing necessary information was implemen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lection of such information made it possible to collect high-quality information by accepting information such as feedback from outside the team, such as mentoring, as well as exchanges within the team. In addition, team collaboration with social workers made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site and users of welfare facilities and presented what information is needed to confirm the existing programs of welfare facilities, learners' environment, and previous learning processes.Finally, educational planning ability is the ability to plan effective projects and programs in line with schools, communities, and cultural infrastructure. Thre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ors in the music field planned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mental ensemble composition. Through team collaboration with a single genre, it was possible to specifically confirm the planning of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and teaching-learning situations. In particular, characteristic planning patterns such as anticipation of learners' auditory sensory activation and instrumental ensemble performance through music-oriented convergence and complexation were confirmed. In addition, the teaching-learning situation with welfare facility users through pilot education was based on observation of children participating in education and reflection on changes in children. Three histor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esented the expression of flexibility in the teaching-learning situation according to observation and the continuity and connectivity of this situation.Overall, differences in experience and competency between different team members could lead to changes in planning capabilities through team collaboration. In addition, the thre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o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confirmed that there was a mutual relationship in planning, collect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planning through business understanding, and educational planning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field and object. As a result, it is hoped that opportunities will be provided to develop convergence and complex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through team collaboration, and tools to measure the planning capabilities of culture and arts educators are needed as follow-up research.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pilot education and support connectivity in planning projects organized by the Promotion Agency. In addition, I hope that the promotion agency's help in linking institutions that can realize this will be provided. 본 연구는 음악 분야 문화예술교육사의 기획역량 변화를 고찰하는 참여 성찰적 사례연구이다. 이는 2022년 8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복지시설 이용자 문화예술교육 기획사업에 참여한 팀의 사례를 분석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이다. 연구 사례 대상이 참여한 복지시설 이용자 문화예술교육 기획사업(이하 ‘A기획사업’)의 명칭은 <창작 실험 프로젝트 : 챌린지 그룹>으로서 연구 참여 문화예술교육사의 기획역량 강화를 사업의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 사례는 음악 분야 문화예술교육사 3인과 사회복지사 1인의 팀 협업을 통한 융·복합 문화예술교육 기획 과정이며, A기획사업 참여에 따른 단일 사례를 분석하여 음악 분야 문화예술교육사 3인의 기획역량 변화에 대한 고찰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자는 연구 과정의 참여 성찰자로서, A기획사업의 참여부터 종료 이후까지 다각화된 자료수집을 통해 성찰적 사례 연구를 실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기획의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는 복잡하고 미묘한 역동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로써 음악 분야 문화예술교육사 3인의 팀 협업을 통한 융·복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배경을 탐색하였으며 홍애령, 임수진(2020)이 제시한 기획역량의 하위 능력 요소에 따라 변화를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업이해능력은 문화예술교육 사업 및 프로그램의 철학 및 목표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능력으로 연구 참여 문화예술교육사 3인의 A기획사업의 사업목적에 대한 이해 과정에서 기획 실천에 변화가 있었다. 이들은 기획과정 초기 융·복합 중심으로 제안서를 작성하였고, 이후 복지시설 이용자 대상 중심의 주요 기획 방향을 제고하였다. 이는 사회복지사와의 팀 협업을 통해 A기획사업에서 사업목적으로 제시한 복지시설 이용자 대상 새로운 문화예술교육 기획의 이해를 공유하고 실천한 것이다. 또한 테크놀로지를 접목한 융·복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의 실천에서 문화예술교육사 3인은 학습자의 예술표현성 증진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융·복합 기획의 실천을 함양하였다. 다음으로, 정보수집능력은 다양한 정보를 수집, 학습하고 이를 체계화하여 활용하는 능력이다. 문화예술교육사 3인은 팀 협업을 통해 정보 수집 과정에서 적극적인 지식 교류가 이루어졌다. 융·복합 문화예술교육 기획을 위하여 각 분야의 정보를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수집하고 이를 교류하며 필요한 정보를 활용하는 과정을 이행하였다. 이러한 정보의 수집은 팀 내에서의 교류뿐 만 아니라 멘토링 등 팀 외부로부터의 피드백 등의 정보를 수용하여 양질의 정보 수집이 가능하게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회복지사와의 팀 협업은 복지시설의 현장 및 이용자에 대한 이해를 가능케 하였으며 복지시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과정에서 수집해야 하는 정보로 복지시설의 기존 프로그램, 학습자의 환경과 이전 학습 과정 확인을 위해 어떤 정보들(what)이 필요한지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기획능력은 학교 및 지역사회, 문화기반시설에 부합하고 효과적인 사업 및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능력이다. 음악 분야 문화예술교육사 3인은 기악 앙상블 구성의 특징을 활용하여 기획하였다. 단일 장르 구성의 팀 협업을 통한 융·복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과 교수-학습 상황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음악 중심의 융·복합을 통한 학습자의 청각 감각 활성화 기대, 기악 앙상블 연주 등의 특징적 기획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에 더하여 시범교육을 통한 복지시설 이용자와의 교수-학습 상황은 교육 참여 아동에 대한 관찰과 아동의 변화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문화예술교육사 3인은 관찰에 따른 교수-학습 상황에서의 유연성의 발현과 이러한 상황의 지속성과 연결성을 제시하였다. 종합적으로 서로 다른 팀원 간 경험과 역량 차이는 팀 협업을 통하여 기획역량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또한 연구 참여 문화예술교육사 3인은 사업 이해를 통한 기획, 기획에 필요한 정보수집 및 활용, 교육현장 및 대상의 이해에 따른 교육 기획에 상호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기획역량의 변화를 성찰하였다. 이에 지속적으로 팀 협업을 통한 연구 개발 과정의 융·복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기회가 제공되길 바라며, 후속연구로 문화예술교육사들의 기획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이에 더하여 진흥원에서 주관하는 기획사업에서의 시범교육 확대와 연결성까지의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기관 연계에 대한 진흥원의 도움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 머신러닝 기반의 한국 미술품 가격 예측 연구

        이지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2022, the South Korean domestic art market had its yearly turnover surpass 1 trillion won for the first time in its history. It brings the art market substantial public attention. The perception of artwork has changed as a result of this movement, moving from aesthetic value to investment commodities. It causes a variety of trading strategies for investing in art to evolve, especially in fractional ownership of artwork.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se advancements in order to give prospective art purchasers more precise estimates of art prices. This study differed from others in that it use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which are commonly applied in many domains, in addition to the hedonic model to improve the precision of art price predictions. In order to conduct the analysis, 11,810 art price data for paintings sold through domestic auction houses between 2015 and 2022 were gathered and preprocessed. To ensure transparency, all data included in this study came from databases that were made available to the public. In addition, factors dependent on subjective opinion were eliminated. Only the factors that are objective were used in the analysis. Most of the variables, with the exception of a few material and transaction year variabl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hedonic model estimation using the least squares method. Reliability in prediction was indicated by the model’s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squared value), which was 0.643. Furthermore, nonlinear models were used in this work as opposed to the linear equations of the hedonic model. The accuracy of art price prediction was examined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such as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and decision tree models. To prove the robustness of machine learning models, a 5-fold cross-validation was carried out to prevent potential bias resulting from validation on a small dataset. To provide a comprehensive outcome, the average of five cross-validation results was obtained. Additionally, by classifying the materials into four categories (original wet, western wet, dry and pen drawing, and ohters),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decision tree model were examined in order to validate the robustness of each market in addition to the data aspect. In this study, the architecture of decision tree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was modified with five different hyperparameters set. The most fundamental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using ten perceptrons in a hidden layer had the highest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ith a value of 0.7226. The bagging tree model, which arranges small trees in parallel, performed the best when it came to the decision tree model, with a value of 0.7655. These findings demonstrated that machine learning models, specifically the decision tree model, performed better in art price prediction than the hedonic model. It was underlined that better performance is not always a given just because machine learning models are more complex. Moreover, models exhibiting low performance and models with high performance were nearly always appeared consistently, indicating that the models were reliable. Furthermore, the prediction effectiveness of machine learning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mpacted by uniform distribution and sufficient data acquisition. Although machine learning models outperformed other prediction models, they were limited in their ability to offe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effects of each variable on art prices. One interpretable machine learning model, the symbolic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get around this restriction. Among 17 equations, the optimal equation was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change in error when the error, complexity, and the derivative of error with respect to the complexity. Similar to the previous analysis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decision tree model, market-specif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ymbolic regression model. The optimal equations for the Eastern wet, Western wet, dry and pen drawing, and others were , , , , respectively. The number of variables used to construct the formula was the same from 6 to 7, and the variables commonly used by market were online auctions, other auction companies, and 2022 year variables, confirming that the variable had an important effect when explaining the art price model.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derives a model with better prediction performance than the hedonic models that have been the main focus of previous studies. As such, it validates machine learning models’ applicability in art price prediction. Future applications of more sophisticated machine learning models should improve the accuracy of art price prediction. In addition, using symbolic regression, it was visually confirmed that the error decreases as the complexity of the equation increases, but the interpretation of the equation becomes difficult, even if the prediction performance decrease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f an advanced explainable machine learning model that can explain the degree of influence variables while performing well will be applied, it will be easy to explain and can be applied immediately in practice. This study also notes its limitations, including the challenge of gathering image data for input. On the other hand, it is thought that adding visual data from artworks as variables would produce even more precise predic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timulate further studies that utilize advanced machine learning models and improved datasets. It is anticipated that there will be an expansion of several applications, such as investment return analyses and the computation of art price indices. Additionally, with this study as a foundation, the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models to art price prediction will improve the transparency of the art market and address information asymmetry, which will help the market expand. The art market developing in a positive direction i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2022년에는 국내 미술시장의 연간 유통액이 역사상 처음으로 1조 원을 돌파하며, 미술품 시장에 대중들의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미술품을 단순히 미적 가치보다는 투자 수단으로 인식하는 보편적인 관념으로 이어지며, 미술품 투자를 위한 다양한 거래방식, 특히 미술품 조각 투자 등의 등장을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본 연구는 잠재적인 미술품 구매자들에게 더 정확한 미술품 가격 예측 정보를 제공하고자 진행되었다. 미술품 가격 예측의 정확성 향상을 목표로, 기존의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헤도닉 모형뿐만 아니라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기계학습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5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경매회사를 통해 거래된 회화 작품의 미술품 가격 데이터 11,810점을 수집·가공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모든 데이터는 대중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개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또한, 모형 설계의 신뢰를 강화하기 위해, 기존 선행연구들에서 변수들을 참고하였으며,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는 변수는 제외하고 객관적인 정보에 근거한 변수들만 채택하였다. 최소 자승법을 사용한 헤도닉 모형의 추정 결과는 재료변수와 거래 연도 변수의 몇몇을 제외하고 대다수의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결정계수 값은 0.643으로 나타나, 신뢰할 수 있는 예측 결과를 얻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헤도닉 모형의 선형 방정식과는 달리 비선형의 모형으로서, 기계학습의 인공신경망 모형과 결정트리 모형을 활용하여 미술품 가격 예측 성능을 분석하였다. 일부 데이터에만 검증을 수행하는 것은 편향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고 기계학습 모형의 강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5겹 교차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5번의 교차 검증 결과를 평균화하여 종합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데이터의 측면외에 시장별 강건성을 확인하기 위해, 재료를 기준으로 동양 습식, 서양 습식, 건식 및 펜 드로잉, 기타 시장 총 4개로 나누어 인공신경망 모형과 결정트리 모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신경망 모형과 결정트리 모형의 구조를 조정하여 각각 5개의 다양한 모형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인공신경망모형에서는 은닉층이 1개이며 퍼셉트론이 10개인 가장 단순한 모형이 최상의 결정계수를 가지며, 그 값은 0.7226으로 나타났다. 결정트리 모형의 경우, 작은 트리를 병렬로 배치하는 배깅트리 모형이 가장 뛰어난 결과를 나타냈으며, 는 0.7655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헤도닉 모형 대비 기계학습 모형이 미술품 가격 예측성능에서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결정트리 모형의 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계학습 모형의 복잡도가 항상 높은 성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더 나아가, 시장별 분석에서도 성능이 좋지 못한 모형과 성능이 좋은 모형이 거의 일관되게 나와 강건한 모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계학습의 예측 성능에는 충분한 데이터 확보와 균일한 분포가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계학습 모형의 경우 예측 성능이 우수하지만, 각 변수가 미술품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설명 가능한 기계학습 모형 중 하나인 기호회귀 모형를 활용하여, 총 17개의 식을 도출하였다. 그중에서 모형의 오차와 복잡도, 복잡도를 증가하였을 때 오차의 변화 정도를 고려하여 최적의 식 를 제안하였다. 앞서 인공신경망 모형 및 결정 트리 모형 분석과 마찬가지로 기호회귀 모형을 활용하여 시장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동양 습식 시장, 서양 습식 시장, 건식 및 펜 드로잉 시장, 기타 시장에 대한 최적의 식은 각각 , , , 이다. 전식을 구성하는데 활용되는 변수의 개수는 6개에서 7개로 동일하였으며, 시장별 공통적으로 활용된 변수로는 온라인 경매, 기타 경매회사, 2022년 변수인 것으로 확인되어, 해당 변수가 미술품 가격을 설명할 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주로 사용되던 헤도닉 모형에 비해 더 우수한 예측 성능을 보이는 모델을 도출한 데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미술품 가격 데이터 예측에 기계학습 모형이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더 발전된 기계학습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미술품 가격 예측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설명가능한 인공지능의 한 종류인 기호회귀를 활용하여, 예측 성능은 다소 떨어지더라도 중요한 변수가 무엇인지, 식의 복잡도가 증가함에 따라 오차는 줄어들지만, 식의 해석이 어려워지는 것을 가시적으로 확인하였다. 추후에 성능이 좋으면서 변수의 영향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발전된 설명가능한 인공지능 모형을 적용하면 해석에도 용이하여 실무에 즉각적으로 응용될 수 있는 식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데이터 수집 과정에 어려움을 겪어 이를 입력으로 적용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지만, 미술품의 시각 정보를 변수로 활용할 수 있다면 더 정확한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통계적으로 높은 신뢰도를 갖는 미술품 가격 예측 모형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더 나아가, 미술품 가격지수의 산출 및 투자 수익률 분석과 같은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장될 수 있길 기대한다. 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미술품 시장의 정보 비대칭을 보완하고 시장 투명성을 향상시켜 미술시장의 성장에 기여하길 바라며, 미술시장이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