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체 외부적 공간의 조형적 의미에 관한 시각예술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이지은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2006년부터 2009년까지의 작업 “사이의 공간 - Boundary of skin"에 대한 작가의 연구이다. 본인은 ‘외부의 공간’에 대한 실존성과 중요성, 또한 그것을 조각으로의 표현 방식을 연구하고 비가시적 공간의 시각화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다. 사회 안에서 살면서 느끼는 여러 감정들은 자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둘러싼 여러 사람들의 관계 내에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간은 사회적 존재라고 통상 말한다. 세상에 자신만이 존재한다면 소통을 하고 감정의 교류를 가지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타인이 없다는 것은 자신도 역시 존재하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가 발전될수록 존재의 두려움과 안전으로의 욕구로 인해 개인의 심리적인 벽은 두꺼워지고 점차 높아져 고립되는 경우가 많아진다. 이것은 안타깝지만 현대의 흐름 속에서 불가피한 것이며 수용해야 할 문제이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나를 둘러싼 벽의 역할에 있다. 자신과 타자를 구분 지어주는 그 벽을 극복하고 외부와 소통할 수 있는 통로가 필요하다. 그 벽 넘어 존재하는 외부의 공간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에 매우 중요한 곳이기 때문이다. 그 곳에서 개인들은 타자들과 소통을 하고 감정을 공유하고 서로를 느끼면서 자연스럽게 살아간다. 수많은 에너지들의 흐름이 존재하는 외부 공간과의 소통이 없다면 앞서 말했듯이 세상에 홀로 남겨져 자괴감에 시달리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의 중요 쟁점인 타자 이론을 중심으로 외부의 공간 이란 자신을 제외한 모든 공간이라 정의내리고 외부의 공간을 현대미술에서 어떻게 해석하였는가에 대해 닫힌 공간과 열려진 공간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이것을 배경으로 본인은 외부의 공간이 어떻게 다루어졌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인의 작업은 캐스팅의 주체를 변환하는 방식으로 보이지 않던 신체 외부의 공간을 시각적으로 드러내어 그것의 중요성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방식의 표현을 돕기 위하여 비슷한 형태와 행위를 병렬적으로 반복하였다. 그로 인해 전체적으로 통일된 흐름을 형성하고 관람객과 자신의 안정감을 되찾고자 하였다. 인간 사이에 존재하는 심리적이며 실질적인 인체 사이의 틈새들을 이용하여 외부의 공간을 드러내며 크기를 확대 제작하고 표면을 매끄럽게 처리함으로써 그것들은 어떠한 상징이나 관계를 포함하지 않은 채 독립적인 덩어리로 존재하게 하였다. 그리하여 본인은 조각 작품으로 제시하는 시각적 흔적을 찾아 사람들이 스스로 외부 공간을 느끼고 소통의 길을 찾아갈 수 있도록 작품을 통해 말하려 하였다.

      •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초등학교의 가변형 공간 계획방향 연구 : 열린교실 관련 기존학교 공간분석을 중심으로

        이지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Korea's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is changing and leading to low fertility and an aging society. Reduction in number of students diverse schools to adopt idle institutionalization. For entering the era of lifelong education, elementary school's facilities are expected to accommodate new users and diverse functions. However, current elementary school's fixed and standardized spaces are not suitable for performing the spatial roles of future society in terms of meeting the demands required of elementary school's space. Securing variability of space is needed to prepare for future changes. such as freely controlling the scale of classes and flexibility, which have become major issues for existing school facility plans. The research aims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and planning direction flexibility in school spaces by considering users and various fun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environment.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analysis frame that investigator proposes: a spatial formation part and a component part. For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current condition of elements used for variable space in school facilities, schools adopting the classroom system are investigated to elucidate specific issues involved in the elements that the investigator proposes. Through the case study of schools using flexible space actors, the following are found : First, Grid planning is designed in several forms adopting different magnitudes of standards. Second, the modular system is mismatching which Korea school the limited condition, as school were not equipped with the condition to apply the modular system. Third a fixed lightweight-wall was used in only one school implementing an ope classroom, which sued a lightweight partition between classrooms to control the size of the space as required. However, Installation works were found to be hard to execute and take a long time. Fourth, movable, foldable, rotary walls and partitions were not used in any of the case study schools, as the modular system was not ready in the ceiling and ground to apply the movable, foldable, rotary wall in the structure. Fifth, storage furniture is a necessary aid for school facilities' internal space, and it seemed that furniture was often used to store things and for space division. However, it was not easy to move without wheels. A school executing the open classroom system used the system furniture with diverse modules and showed the possibility of unconstrained furniture arrangement when needed. Through investigating the components for flexible space, an important issue emerged. The open space and inside of the quality unconditionally needed for the diversity of space was found to be critical in the success of flexible space when the open space was not arranged appropriately and the flexible space was not operated in the intended way. As the center of the neighborhood, elementary schools should endeavor to become facilities of lifelong education for various users with flexible space. When school facilities are not prepared with strategic space, they will face difficulties in conducting their roles in future society. There is a limit to the types of flexible spaces created by utilizing the components that the investigator proposed regarding the structure and space in the case study schools due to the rules and standards. To reduce the limitation for newly-built school facilities in the future, systematic research about structures ad components reflecting flexibility is required. ■ Key-words : Elementary school, Future school, School facility, Flexible space, Flexibility 저출산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는 과정에서 학령인구 또한 감소되면서 우리나라의 초등학교시설은 유휴 시설화 되고 있으며 평생교육시대에 학습공간의 용도를 넘어 주 사용자의 변화, 이용목적이 더 광범위해지면서 다양한 기능을 수용하는 공간으로의 변화가 예견된다. 지속적인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기에 우리나라 초등학교 내부공간은 필요에 따라 내부공간의 다양한 형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사회적 변화를 수용하고 평생교육의 장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하기 위해 기존학교시설의 교실규모와 공간구성방식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연하고 융통성 있는 공간계획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변화하게 될 미래사회의 초등학교가 수용해야할 방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가변형 공간 계획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초등학교시설의 변화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 학교시설에 가변적 공간구성을 위해 필요한 접근방법 및 계획 방법을 공간구성의 틀, 가변형 요소 부분으로 나누어 조사했다. 학교시설 내 가변형 고안을 위한 요소들의 활용실태 분석을 위해 열린교실을 시행하고 있는 초등학교를 방문하여 각 학교 공간의 변화과정을 알아보고 가변성을 적용시키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의 사용시 문제점과 한계점을 찾아내어 기존학교시설 내부공간에 가변성을 적용시키기 위한 계획방향을 제시 하였다. 학교 공간의 가변성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사회·문화·교육적 환경 등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고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는 용도의 변경, 교실 규모의 축소 또는 확대, 내부공간의 배치를 변경이나 숫자, 크기, 위치적 변화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변형 공간구성을 위해 공간구성 틀 부분에서는 그리드 플래닝, 모듈러시스템, 고정식 경량칸막이를, 공간 안에서 필요로 되는 가변형 구성요소들로는 이동식벽체, 칸막이, 시스템 가구를 가변성 구현의 틀로 제시하여 분석이 진행되었다. 가변형 공간을 운용중인 4개의 학교를 조사하여 도출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리드플래닝 측면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이 시행 된 이후 학교시설의 교실 규모는 여러 형태로 계획·설계되어져 조사대상이 된 4개의 학교에서 조금씩 다른 크기의 규격이 적용된 모습을 보였다. 둘째, 모듈러시스템은 가변형 공간구성에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할 요소로 제시되었지만, 4개의 학교 모두 모듈러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조건이 갖춰져 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고정식 경량칸막이의 경우, 한 학교에서 교실사이에 사용하여 공간의 규모를 조절하고 있었지만 이동시 가이드레일의 설치작업이 필요하여 시공이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넷째, 이동식벽체의 일부로써 미서기 문을 한 학교에서 일부 교실의 좁은 폭을 가진 출입문 용도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접이식벽체, 회전식 벽체 그리고 파티션의 사용에 있어 천장과 바닥부분에 모듈러시스템이 적용되어있지 않아 적용사례는 진부하였다. 조사대상 학교 모두 공간구획과 게시판의 역할을 병행하는 파티션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데 바퀴장착이 되어 있지 않았고, 높이조절이 되지 않아 정해진 장소에서만 사용해야 하는 한계를 드러냈다. 다섯째, 수납가구는 학교시설 내부공간에 필요한 교구이며, 수납의 역할과 공간구획을 위한 용도로 잘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지만 대부분 바퀴가 없어 이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스템가구의 사용으로 다양한 모듈이 적용된 가구를 선택,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도입이 절실함을 알 수 있다. 가변형 공간의 틀로 제시되지 않았으나, 조사과정에서 새롭게 드러난 공간요소로 오픈스페이스를 들 수 있다. 공간의 다양화를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오픈스페이스는 기존학교시설의 형태 또는 열린교실의 오픈플랜 형태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래 좁은 일자형 복도의 형태 때문에 오픈스페이스가 마련되어 있지 않거나 있어도 잘 활용하지 못한 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지역중심 근린생활시설로서의 초등학교는 교육시설의 용도를 넘어 다양한 사용자를 위한 평생교육시설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융통성 있는 공간이 필요로 됨에 따라 학교시설이 수행해야할 기능을 충분히 고려한 공간계획이 뒷받침 되지 않는다면 미래학교시설로서의 역할을 행하기 어려울 것이다. 가변성을 위한 제한된 구성요소의 활용과 기존학교의 획일적인 형태, 고정적인 구조시스템만으로 구현할 수 있는 가변형 공간 유형에는 한계가 있으며 앞으로 신축 될 학교시설에 가변성이 반영된 구조 및 구성요소들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기 위해서는 모듈러시스템과 시스템가구를 중심으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주요어 : 미래학교, 초등학교, 학교시설, 가변형 공간, 가변성

      • Eine Moglichreit generative Narrativik Versuch elner Anwendung des Greimasichen Narrativik-modells aut A.v. Humbololts : 이지은

        이지은 Ruhr - Univ. Bochum 1991 해외박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기존의 서술(또는) 소설이론에서 제기된 이론들을 부분적으로보완-비판하면서 불란 서 문학이론가이며 기호-언어학자인 그레마스의 이론을원용하여 기호학적 생성적 서술이론의 정링되杉� 위의 작업에서 얻은 이론적 성과를 훔볼트의 개표작인 "우주"(전체 5권)에구체적으로 적오막館�생성적 서술이론을 작품에 적용할 수 있는응용가능성과 한계를 알아 보았으며 앞으로의 옳袖�제시했다.

      • F. J. Obradors의 7 Classical Spanish Songs연구 : (멜리스마 선율의 특징을 중심으로)

        이지은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요 약 F. J. Obradors의 7 Classical Spanish Songs연구 (멜리스마 선율의 특징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페르난도 오브라도스(F. J. Obradors)가 작곡한 23곡의 스페인 예술 가곡집에 수록된 곡 중, [7 Classical Spanish Songs]의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스페인 민족주의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후 스페인 민속 음악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민속 음악의 특징에 나타나는 멜리스마 선율이[7 Classical Spanish Songs]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19세기 민족주의 사상은 유럽 여러 국가들이 민족의 이익을 우선시하고 애국심을 회복하기 위한 원동력이 되었다. 그러한 시대 상황 가운데 유럽 여러 음악에서도 민족 고유의 음악어법과 각 나라의 언어를 기초로 하여 신화나 전설, 민요 등을 소재로 하는 민족주의 음악이 발전하게 되었다. 스페인 고유의 문화는 다양한 문화의 발달과 자연조건과 환경의 다양성 속에서 발전하였으며 이에 따라 스페인 고유의 음악 또한 동, 서양이 결합한 형식으로 스페인 고유의 빛깔을 나타내게 되었다. 페르난도 오브라도스(F. J. Obradors)는 스페인의 국민주의 음악가의 한 사람으로 유럽 여러 나라의 영향에서 벗어나 스페인만의 민족성과 전통성이 담긴 작품을 작곡하였다. 그는 스페인의 대표적인 민족주의 음악가 파야의 영향을 많이 받아, 민족성이 살아있는 곡들을 작곡하며 스페인 가곡의 민족적이며 민속적인 개념을 정형화하여 곡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였다. 동시대의 많은 작곡가들이 그들의 명성을 얻기 위해 프랑스로 떠났지만, 그는 마지막까지 그의 고국 스페인에서 생애를 마쳤던 음악가이다. 그는 스페인 민속 음악의 특징을 [7 Classical Spanish Songs]에 잘 나타내었는데 꾸밈음과 멜리스마, 미선법, 그리고 스페인만의 독특한 율동감과 박절감이 나타나는 리듬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또한 반주부에서는 스페인 고유악기인 기타의 주법 중 트레몰로, 라스게아도, 아르페지오 등의 소재를 활용함으로 민속 음악의 특징들이 음악에 나타나 있다. 본 연구자는 스페인의 민족주의와 민속음악의 특징을 연구하고 악보 속에 나타나는 멜리스마 선율 부분들과 민속음악의 특징이 나타나는 선율을 정리하여 연주자가 연구하기에 효과적으로 학습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7 Classical Spanish Songs]는 민족주의와 민속 음악의 특징이 각 곡 마다 잘 드러나 있으니 곡을 연주 할 때에 곡의 특징을 잘 이해하여 스페인 민속 음악의 특징과 멜리스마 선율의 특징이 잘 나타나기를 기대해 본다. 아울러 더 많은 연구와 연주로 [7 Classical Spanish Songs]가 작곡가의 의도에 맞게 연구하여 연주되기를 기대해 본다.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담화 통합 텍스트 구성 양상 및 교육 방안 연구 : 논증 텍스트를 중심으로

        이지은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담화 통합을 통해 작성한 논증 텍스트의 구성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담화 통합 논증 텍스트 쓰기의 지도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은 학술적 상황에 맞는 글을 텍스트의 유형에 맞게 작성해야 한다. 자신의 의견이나 신념을 통해 독자들을 설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논증 텍스트는 대학에서 요구하는 텍스트 유형 중 매우 중요한 유형 중 하나이다. 효과적인 논증 텍스트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여러 텍스트를 읽고 이를 기반으로 자신만의 텍스트를 생산하는 담화 통합 능력이 필요하다. 학습자가 학술적 상황에서 요구되는 유형의 텍스트를 효과적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학습자들이 생산한 실제 자료를 분석하여 오류 및 개선책을 반영한 교육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생산한 담화 통합 논증 텍스트를 살펴보고 텍스트에 나타난 양상을 분석하여, 담화 통합 논증 텍스트 쓰기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2장에서는 담화 통합과 논증 텍스트에 대한 기존의 이론들을 고찰하였다. 먼저 담화 통합의 개념 및 과정을 살펴보고 담화 통합의 과정에서 학습자가 사용하는 담화 통합의 전략에 대해 정리하였다. 또한 논증 텍스트의 개념과 논증 텍스트의 구조, 논증 도식, 논증 표지의 이론들을 정리하였다. 정리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담화 통합을 통해 생성한 논증 텍스트를 분석하기 위한 요소들을 추출하여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설계한 분석틀을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담화 통합을 통해 생성한 논증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사용된 연구 자료는 모두 40편이었으며 학습자 텍스트를 분석적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한 후 상위 집단 7편과 하위 집단 33편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담화 통합의 과정에서 학습자가 자료 텍스트로부터 정보를 선택하는 양상과 선택한 정보를 활용하는 양상 마지막으로 텍스트를 조직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학습자가 담화 통합의 과정에서 사용하는 전략의 양상을 설문조사와 면담을 통해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학습자가 생성한 논증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의 담화 통합 논증 텍스트 쓰기 능력 수준을 고려한 담화 통합 논증 텍스트의 지도 내용을 선정하고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어 교육에서 담화 통합을 통해 생성한 학습자의 텍스트를 분석한 연구 사례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실제로 작성한 담화 통합 논증 텍스트를 다각도의 관점에서 세밀하게 분석하고, 학습자가 담화 통합의 과정에서 사용한 전략 분석을 통해 담화 통합 논증 텍스트 쓰기의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composition aspects of the argumentative text written by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through discourse synthesis, and to present the contents of the guidance and method for writing the discourse integration demonstrative text based on this.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 are required to write texts that fit the requirements of the academic situations. Argumentative texts, which are aimed at persuading readers through their own opinions or belief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types of text types required by universities. In order to write an effective demonstrative text, the discourse synthesis ability to read various texts and produce one's own text based on it is needed. In order to enable learners to effectively write the types of texts required in academic situations, the actual data produced by learners should be analyzed and educational measures reflecting errors and improvement plans should be presen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argumentative texts based on discourse synthesis that are produced by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s, analyze the patterns shown in the texts,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writing education that focuses on argumentative texts based on discourse synthesis,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Chapter 2, the existing theories about discourse synthesis and argumentative texts were reviewed. The authors of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concept and process of discourse synthesis and then summarized the strategies of discourse synthesis that learners use in the process of discourse synthesis. In addition, the concept of the argumentative text, the structure of the argumentative text, the demonstration scheme, and the theories of demonstration cover were summarized. Based on the summarized theories, the elements for analyzing the argumentative texts produced by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 through discourse synthesis were extracted and the analysis criteria were set. In Chapter 3, the argumentative texts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 produced through discourse synthesis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designed in Chapter 2. There were a total of 40 research data, and the learners' text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analytical evaluation criteria and classified into 7 upper level groups and 33 low level groups. In the process of discourse synthesis, we examined the patterns among learners in: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from the data texts; use of the selected information; and organization of the texts. Furthermore, the patterns of strategies that learners use in the process of discourse synthesis were examin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In Chapter 4,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Chapter 3, the authors of this study chose the contents of guidance for discourse synthesis argumentative texts and presented the guidance plans with consideration for the learners' discourse synthesis argumentative text writing abilities. There are not many research cases in which the texts of the learners produced through discourse synthesis were analyz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discourse synthesis argumentative texts, which were actually written by learners, in detail from various angles of viewpoint, and that presented the guidance and learning methods of discourse synthesis argumentative text writing through the analysis of strategies used by learners in the process of discourse synthesis.

      •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이지은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해 알아보고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생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 학교생활적응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학업수준, 경제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문제중심적 대처방식,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방식, 정서완화적 대처방식, 소망적사고 대처방식)의 매개 효과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기도 S시에 소재한 중학교 1개교 남녀중학생 38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 학교생활적응을 측정하였다. 자아탄력성은 박은희(1996)가 개발한 자아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Folkman & Lazurus(1984)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기초로 하여 김정희(1987)가 추정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학교생활적응은 이규미(2005)의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질문지를 유정민(2012)이 수정하여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Ver 21.0)를 사용하여 일원변량분석(ANOVA), Scheff'e의 F검증, Pearson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Sobel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학업수준, 가정의 경제수준)에 따라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생활적응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성별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평균이 높고, 학업수준별로는 성적이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보다 평균이 높으며, 가정의 경제수준별로는 경제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보다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문제중심적 대처방식과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방식 등의 적극적 대처방식은 매개효과가 있고, 정서완화적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 등의 소극적 대처방식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연구는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방식과 문제중심적 대처방식과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 적극적 대처방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경로를 알아보았다. 이에 학생들이 자신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파악하고 중요성을 인식한 후 자아탄력성을 높이고, 스트레스 상황에서 적극적 대처방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적인 연구, 실질적인 상담이나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적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주요어: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 스트레스 대처방식

      • 언어치료사의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 만족 및 이직 의도에 관한 조사

        이지은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언어치료사의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 만족 및 이직 의도에 관한 연구 이지은 지도교수 : 황상심 언어치료청각학과 남부대학교 본 연구는 언어치료사의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 만족과 이직 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적 특성 12문항, 근무 환경 10문항, 직무 만족 39문항, 이직에 관련된 11문항, 총 72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설문 문항의 타당도를 위해서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증을 하였으며, Cronbach 알파계수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국에 있는 장애인복지관, 병원 및 의원, 사설 치료실, 장애전담어린이집, 교육지원청, 기타 기관에 근무하는 210명의 언어치료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만족 및 이직 의도의 차이, 직무환경에 따른 직무 만족과 이직 의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만족도를 살펴 본 결과, 건강상태가 좋은 집단, 가족의 지지도가 높은 집단, 삶의 질이 높은 집단이 언어치료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직위가 높은 집단, 월수입이 많은 집단, 가족의 지지도가 높은 집단, 삶의 질이 높은 집단이 보수 및 승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직위가 높은 집단이 상사 및 동료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직위가 높은 집단, 삶의 질이 높은 집단이 기관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근무 환경 특성에 따른 직무 만족도를 살펴 본 결과, 문서 업무 시간이 3-6시간인 집단, 연수 및 보수 교육에 연 1회 이상 참석하는 집단이 언어치료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근무처가 사설 치료실인 집단, 근무 형태가 정규직인 집단, 수퍼바이저 및 멘토가 있는 집단, 상사가 언어치료 전공인 집단이 상사 및 동료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상사가 언어치료 전공인 집단이 기관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 용이성을 살펴 본 결과, 기혼보다는 미혼인 집단, 팀장보다 팀원인 집단, 연령이 낮은 20-29세 집단, 월수입이 100만원 미만인 집단에서 이직 용이성이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 의도에서는 월수입이 100만원 미만인 집단, 삶의 질이 낮은 집단이 이직 의도가 높았다. 넷째, 근무 환경 특성에 따른 이직 용이성을 살펴 본 결과, 상사가 언어치료 전공인 집단, 언어치료 대상자가 10명 미만인 집단이 이직 용이성이 높았다. 근무 환경 특성에 따른 이직 의도에서는 언어치료 대상자가 10명 미만인 집단이 이직 의도가 높았다. 다섯째, 이직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는 보수 및 승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 상사 및 동료 만족도 순으로 나타났다.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는 기관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많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수 및 승진에 대한 만족, 대상자 수, 최종 학력, 언어치료 업무에 대한 만족도 순으로 이직 의도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볼 때, 언어치료사의 직무 만족도와 이직 의도는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언어치료사들이 보다 안정적인 언어치료사 직업 유지를 위해서는 보수 및 승진에 대한 만족도, 기관에 대한 만족도, 상사 및 동료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야 할 것이다.

      • 교과전담제도의 운영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조사 연구

        이지은 경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교과전담제도의 운영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조사 연구 이 지 은 경 인 교 육 대 학 원 교 육 행 정 전 공 교과전담제도가 도입된 지 20년이 지난 현재, 교육과정이 개정되고, 급격한 사회의 변화로 교육의 양적, 질적 향상이 필요하게 되면서, 학교 교육 실정에 교육전담제도가 운영 면에서 많은 효과가 있지만, 여러 문제점들도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과전담제도에 대해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교과 전담제도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며,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교과전담제도가 초등 교육의 본질과 목적에 적합한 제도가 맞는지를 연구하고 개선하는 방안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다음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현재 초등학교 교과전담제도의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교과전담제도의 운영 성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교과전담제도의 개선방안은 무엇이 있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3개의 문항의 설문지를 통해 초등학교를 무선 표집하여 담임교사와 교과전담교사 33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여 311부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적 처리는 성별, 교육경력, 담임여부, 학급 규모별로 문항에 대해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한 후 자료의 일반적인 분포를 확인한 후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분석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전담제의 운영 실태에서는 교과전담교사가 담당하는 교과는 주로 과학, 영어, 체육으로 기능교과나 수업 준비가 많은 교과 수업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교과전담교사는 희망자 순이나 질병·원로·임신 중인 교사 우선으로 배정하는 되고 있었다. 전담교과는 교사들 간 협의를 통해 각 학년에서 필요한 전담교과를 선정하는 곳이 많았으며, 각 학교의 교과전담교사의 주당 수업시수는 19-21시간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결손 된 교과전담시간에 대해서는 정규수업 시간 외 보강시간을 확보하여 지도하거나 학급 담임교사가 지도하며. 전담교과와 교과 간 통합교육과정 운영은 운영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고 통합교육과정을 운영하더라고 담임교사가 따로 운영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교과전담제도의 운영성과에서는 교사들은 교과전담제도가 교육과정의 정상화, 교사의 전문성 제고, 교과의 학습효율, 학급 간 질적균형 등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공감하고 있지만, 교과 간의 통합 교육과정을 운영에는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전담제도의 개선방안에서는 우선, 교과전담제도의 문제점을 전담교사 법정정원과 전담과목 시수배정으로 보았다. 교과전담교사의 적정시수는 19시간 이상이었고, 소규모학교의 교과전담제도 운영의 해결방법에서는 배치기준을 3학급당 1인 이상으로 확대, 인접한 몇몇 소규모학교를 담당, 순회하는 교과전담 교사배치 확대가 요구되었다. 또한 전담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전담교사의 일정 연수를 의무화함과 연구실 마련, 교재 및 교구 확대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교과전담제도의 1-2학년 운영에 대해서는 필요하지 않다라는 응답이 많았지만, 1-2학년에 교과전담교사제도가 운영할 시, 운영과목에 대해서는 기초전담교사 같은 특성화영역, 아동에 대한 지원 또는 창의적 체험학습에 운영의 필요성에는 공감하고 있었다. 고정 전담교사제도 도입에서 대해서는 반대한다의 응답이 높은 것으로 보아 특정 과목에 전담교사를 배치하여 교과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도 중요하지만, 학교, 학급 교육과정의 자율성을 고려하여 고정 전담교사제도는 초등교육에 맞지 않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교과전담제도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내 교과전담교사의 법정 정원 수를 확대하며, 소규모학교의 전담교사의 수 부족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며, 담임교사의 기능, 예·체능 수업 보완, 보조로서 교사양성기관의 졸업생이나 전문 강사를 활용하는 등의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둘째, 1-2학년도 아이들의 특성상 운영의 어려움과 많은 수업시수, 업무로 인한 부담에 대해 경감을 위한 교과전담제도를 투입해야 한다. 이 때, 운영과목은 1-2학년 선생님들의 요구에 따라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교사들 간 협의를 통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셋째, 교과전담교사는 관련 교과에 대한 연수를 의무화하고, 연구실 및 다양한 교재, 교구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각 학교마다 담당교과 전담교사들 간의 전문적 학습 공동체를 만들어 전문적인 교육과정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지원방법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주제어 : 교과전담제도, 교과전담교사, 운영실태, 운영성과, 개선방안 ABSTRACT A Study of Perception of Achievement performance Subject-Specialist Teacher System in Elementary School Lee, Ji Eun Educational Administration Gyeonin Nationa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lementary Education As the curriculum has been revised 20 year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curriculum dedicated system and the rapi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society due to the change of society has been needed. And there are many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actual situation of the subject teacher system for the elementary school subject teacher system and investigates whether the current subject teacher system is suitable for the nature and purpose of the elementary education To find out.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First,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subject teacher curriculum system? Second, What is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subject teacher curriculum system? Third, What are the ways to improve the subject teacher curriculum system?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311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 through 23 questionnaires. The statistical treatment of this study was based on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items by gender, educational experience, homeroom, and class size using the SPSS program. After confirming the general distribution of data, cross-analysis was conducted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subject-matter-specific system, the subjects of the subject-specific teachers are mainly science, English, and physical education. The teacher in charge was being assigned to priority. There were many places where the teachers had to select the specialized courses needed in each grade through the consultation between the teachers. The number of teaching hours per week was 19-21 hours. In case of missing course hours, students will be guided by a class teacher or a teacher. The integrated curriculum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was not operated in many cases, and the homeroom teacher tended to operate the integrated curriculum separately. Second, in the performance of the subject-dedicated system, teachers agree that the subject-specific syste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normalization of the curriculum, the improvement of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the efficiency of the subject, and the quality balance between the classes. And that they do not contribute to the operation of the course. Third, in the improvement plan of the subject charge system, the problem of the subject charge system was viewed as the teacher. The appropriate number of teachers in the curriculum was more than 19 hours. In the solution method of the small-scale school, the placement standard was expanded to one or more students per class are Required.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dedicated teachers, it is necessary to mandate the training of the dedicated teachers, to prepare the laboratories, and to expand the textbooks and parishe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when the curriculum is operated by the curriculum specialist, the curriculum for the curriculum is not necessary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I was sympathetic to the necessity of operating the creative experiential learning. In the case of teachers, teachers are more likely to be trained in the classroom than teachers in the classroom. However, the teachers' It was found that it did not fit. The conclusions about the subject-specific system are as follows. First, it enlarges the number of teachers in the curriculum in the school, solves the problems caused by the lack of the number of dedicated teachers in the small school, and supports the function of the homeroom teacher, And to utilize the instructor. Second, due to the nature of the children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it is necessary to put in charge of the curriculum dedicated to the reduction of the difficulty of operation, the number of class hours, and the burden of work. At this time, the subject of operation should be set by the autonomous consultation between the teachers at the school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 teachers. Third, the subject teacher must provide training for related subjects, provide labs and various textbooks and diaries. In addition, each school should improve its support methods such as creat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mong the teachers in charge of the curriculum to enable the professional curriculum to be operated. key word : Subject Dedicated System, Subject Teacher, Operation Status, Operational Performance, Improvement Plan

      •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일반 교사와의 갈등요인 분석

        이지은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conflict factors and conflict level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gender, academic backgrou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areer, school level, school size, and location of school. In addition, i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degre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tion on conflict factors and the level of conflict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to serve the purpose: 1.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make any difference to their conflict factors with general teachers? 2.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make any difference to their conflict level with general teachers? 3. What kind of relationship is exists between the conflict factors and conflict level recogniz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carry out these task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previous researches relevant to this area, a questionnaire was employed to estimate the factors of conflicts and the level of conflicts between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class teacher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t random to 400 special class teac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of all parts of country. The number of total returned questionnaire were 316, and 5 insufficient returned questionnaire were excluded in the analysis. Total 311 returned questionaries were analyzed by SPSS win 14.0 program and processed on t-test, One-way ANOVA, Scheff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kground variable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conflict and communication, perception difference, task-related, outlook on teaching,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which are the sub-domains of conflict factors, this author calculate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r) between the conflict factors and the level of confli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communicati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graduated postgraduate school, who had 11 to 1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who were working at rural areas felt more conflicts with other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terms of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11 to 1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felt more conflicts with other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terms of the task-related, male teachers, postgraduate school graduated teachers, teachers who taught over 11 years, and teachers who taught at rural areas felt more conflict with other general teachers. In terms of the outlook on teaching, postgraduate school graduated teachers, teachers who taught 11 to 15 years, and rural area teachers felt more conflicts with other general teachers. Second, there was difference in the level of conflict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Male teachers, teachers who taught 11 to 15 years, rural area teachers, and postgraduate school graduated teachers felt more conflict than female teachers, teachers who taught 1 to 10 years and over 16 years, urban area teachers, and undergraduate school graduated teachers. But there was no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conflict and the level of school and the size of school. Third, the factors and level of conflict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had high relationship. Moreover, a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ighly recognize the conflict factors, the level of conflict was high. And task-related conflict factor had highest corelation with the level of conflict.

      • 서도토속민요 사설속에 나타난 효(孝) 인성교육 연구 : 7효를 중심으로

        이지은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우리나라 서도토속민요와 인천광역시 옹진군 섬 마을에서 옛날부터 전승되어 내려오는 옹진민요 사설 내용들을 7효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7효란 최성규가 주창하는 내용으로서 하나님을 아버지로 섬기는 효, 부모 어른 스승공경의 효, 어린이 청소년 제자사랑의 효, 가족 사랑의 효, 나라사랑 국민사랑의 효, 자연사랑 환경보호의 효, 이웃사랑 인류봉사의 효 등의 일곱 가지 요소이다. 이 연구는 옹진소리의 구체적인 가사 내용을 7효 관점에서 분석한 것을 교육용 자료로 쓸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초점을 맞추었다. 농사를 지으면서 고된 일의 힘듬을 잊기 위해서 소리를 하였고 때로는 바닷가에 나가서 거친 파도와 싸우며 고기잡이 하면서 살다가 인생의 기한이 다해서 사망하였을 때 그 슬픔을 이겨내면서 장례를 치르면서 고인을 정성스레 고이고이 무덤 속에 모시는 전 과정을 노래로 표현하게 되었는데 그야말로 인생살이의 일생의 삶을 소리로 표현하였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인생가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첫째 옹진민요의 배경이 되는 이론적인 내용들을 고찰하였다. 둘째, 옹진민요의 음악적 특징과 종류를 분류하였는데 크게 농요, 어로요 등 다양한 옹진민요의 장르들을 분석하였다. 셋째, 평안북도 평북농요와 평북 어로요인 바닷가 소리의 사설들과 소리 극 대본을 연구하고 기록 하였으며 넷째, 이 논문의 핵심적 사항인 7효 관점에서 서도토속민요를 논하였다. 요즘 입시중심의 학교 환경에서 한국음악을 통한 효인성교육은 매우 의미 있고 필요한 교육적 일환이라 생각한다 연구의 제안으로는 학교 교육에서 한국음악을 통한 효인성교육은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함을 제안하며, 나아가 서도토속민요는 지금의 북한지역인 평안남북도와 황해도 옹진반도와 인천광역시 서해 바닷가의 섬 소리인 만큼 남북한 교류 소통의 차원에서도 매우 의미 있고도 바람직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