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라이프스타일이 네일샵 선택속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네일샵 고객을 중심으로-

        이지원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라이프스타일이 네일샵 선택속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네일샵 고객을 중심으로 - 제 출 자 : 이지원 지도교수 : 나윤영 본 연구는 네일샵 방문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이 네일샵 선택속성과 충성도에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 규명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설문지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기법을 통해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20대부터 40대 여성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7일부터 2018년 11월 21일까지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42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부적절하다고 판단된 21부를 제외한 221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통계를 위한 분석방법은 SPSS V.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을 위하여 Cronbach's a계수, t-검증, One-way, ANOVA, 사후검정 방법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고,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한 요인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라이프스타일 : 자기관리추구형, 사회추구형, 타인의식추구형, 가족추구형, 문화추구형, 가치추구형의 6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네일샵 선택속성 : 신뢰성, 유형성, 전문성, 친화성의 4요인이 도출되었다. 셋째. 충성도 : 추천의도, 재방문의도의 2요인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은 네일샵 선택속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p<.05). 즉, ‘라이프스타일은 네일샵 선택속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은 <부분채택> 되었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은 네일샵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p<0.5). 즉, ‘라이프스타일은 네일샵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은 <부분채택> 되었다. 셋째, 네일샵 선택속성은 네일샵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p<0.5). 즉, ‘네일샵 선택속성은 네일샵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은 <부분채택> 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네일샵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있어 타인의식추구형이 네일샵 선택속성과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고, 가족추구형, 사회추구형, 자기관리추구형도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네일샵 선택속성의 전문성과 신뢰성이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 특성의 경우 연령과 월평균 소득에 따라 라이프스타일, 네일샵 선택속성, 충성도에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가 네일샵 고객의 생활방식이 의미하는 바를 파악함으로써 네일 산업에 있어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네일샵, 라이프스타일, 선택속성, 점포선택속성, 충성도

      • 국내 골프장으로부터 분리한 잔디 동전마름병균(Sclerotinia homoeocarpa)의 Triazole 계통 살균제 감수성

        이지원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잔디에 발생하는 동전마름병은 살균제를 이용한 방제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는데, 최근 살균제의 연용으로 살균제 내성균이 발생하여 크게 문제시 되고 있다. 살균제 중 특히 triazole 계통의 살균제는 국내에서 1990년대 처음 잔디병에 등록된 후 지속적으로 빈번히 사용되어 왔으나, 2000년대 초부터 내성문제가 대두되었다. 하지만 이에 관련된 연구가 미미하여 이번 연구를 통해 전국 골프장에 분포하는 동전마름병 균주를 대상으로 저항성 현황을 파악하였다. 동전마름병 균주는 2014년부터 2015년에 걸쳐 전국 10개 골프장에서 동전마름병이 발생한 잔디샘플로부터 총 60개 균주를 분리하였고, 잔디연구소로부터 분양받은 6개 균주와 함께 실험을 수행하였다. Triazole 계통 살균제 중 동전마름병 방제로 주로 이용되는 hexaconazole, propiconazole 그리고 tebuconazole 세가지 살균제를 대상으로 in vitro 실험을 통해 EC50을 구하여, 살균제 내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EC50값은 0.001-1.1 a.i. μg ml-1의 범위에서 양적인 분포를 보였으며, EC50값을 기준으로 세가지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 저항성 대표균주를 선택하였다. 선택된 12개 균주의 균사생장억제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 세 살균제 모두 0.1 a.i. μg ml-1의 농도에서 균사생장억제율 50%를 기준으로 극명하게 저항성, 감수성 균주가 구분되었다. 저항성 균주의 EC50값은 살균제를 한번도 처리하지 않은 골프장에서 분리한 균주보다 hexaconazole의 경우 20-50배, propiconazole의 경우 50-70배, tebuconazole의 경우 77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12개 균주 중 Sh0-41, Sh14-2-1, Sh11-2-1는 세 종류의 triazole 살균제에 모두 감수성이었으며, Sh7-5-1, Sh2-1-1, Sh0-7, Sh10-3-1, Sh9-8-1는 모두 저항성을 나타냈다. 각 균주들은 세 종류의 triazole 살균제에 대하여 유사한 내성반응을 나타내어 이들의 교차저항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세가지 triazole 살균제 조합 모두 유의하게 0.8이상의 상관계수를 나타내, 세가지 살균제에 대한 교차저항성이 확인되었다. 살균제를 처리한 이력이 있는 골프장에서 분리한 균주집단은 살균제를 한번도 처리하지 않은 균주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2.7-20배 높은 평균 EC50값을 나타내어, 살균제의 지속적인 처리로 인하여 균주집단 내 살균제 내성이 발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 control dollar spot disease, fungicides are mostly used, however, continuous use of fungicides for turf leads to reduced sensitivity of Sclerotinia homoeocarpa to the fungicides. Among the fungicides, triazole fungicides belong to demethylation inhibiting (DMI) fungicides have been mainly used for turf from 1990s in Korea. However, since 2000s, resistance to triazole fungicides comes up as a serious problem. Sixty isolates from turfgrass samples with dollar spot symptoms collected from ten golf courses in 2014-2015 and 6 isolates from Korea Turfgrass Research Institute (KTRI) were used in this research. All 66 isolates were tested for in vitro sensitivity assay to three triazole fungicides (hexaconazole, tebuconazole and propiconazole). The EC50 values of each isolate to three fungicides were quantitatively dispersed from 0.001 to 1.1 a.i. μg ml-1. Three isolates for each fungicides were selected as sensitive isolates (S) based on EC50 values. Compared with EC50 values of Sh14-2-1 which isolated from golf courses with no history of fungicides, five isolates with 20, 50, and 35 times higher EC50 value for hexaconazole, propiconazole, and tebuconazole were selected as resistant isolates (R). Twelve isolates representing sensitivity (S) or resistance (R) were selected in total, and had a distinct gap between relative mycelial growth in 0.1 a.i. μg ml-1 of S and R. Among them, Sh0-41, Sh14-2-1, and Sh11-2-1 were sensitive, and Sh7-5-1, Sh2-1-1, Sh0-7, Sh10-3-1 and Sh9-8-1 were resistant to all fungicides. Coefficients of correlation between each fungicides were significantly high (r≥0.8), thus cross-resistance between three triazole fungicides was confirmed. S. homoeocarpa populations collected from golf courses with history of repeated treatment of triazole fungicides had 2.7 to 20 times higher mean EC50 value compared to isolates from golf course with no history of application of fungicides.

      • 침습 유방암 환자의 HER2 유전자 증폭 검사에서 미세침흡인물(fine needle aspirates)의 유용성

        이지원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배경 : HER2 유전자의 증폭 여부에 대한 평가는 새롭게 진단된 유방암 환자나 재발된 유방암 환자에 대한 치료 방법의 선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HER2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포르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formalin fixed paraffin embedded, FFPE) 조직을 이용한 형광제자리부합법(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과 면역조직화학(immunohistochemistry, IHC) 염색이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조직 검체를 이용한 방법은 조직 처리 과정의 표준화가 어렵고 비교적 시간 소요가 많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ER2 유전자 증폭을 검사하기 위한 FISH 검사에서 미세침흡인물(fine needle aspirates, FNA)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51례의 침습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미세침흡인물을 수집하였다. 세포검사를 통해 각 미세침흡인물의 침습 유방암 세포 성분을 확인한 후, FISH를 이용하여 HER2 유전자 증폭 여부를 검사하였다. 각 미세침흡인물의 대응(corresponding) 파라핀 포매 조직 검체를 수집하여 HER2 FISH와 IHC 염색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를 미세침흡인물을 이용한 FISH 결과와 비교 분석 하였다. FISH와 IHC 염색의 결과는 2007년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ASCO/CAP) Guidelines의 권장 사항에 따라 양성, 음성, 부정(equivocal)으로 해석하였으며, 검사법간의 비교 분석에서는 부정 결과를 제외하고 양성과 음성 결과를 나타낸 증례만을 선택하여 이용하였다. 결과 : 51례의 검체 중 1례는 종양 세포 수의 부족으로 FISH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부정 결과를 나타낸 증례들을 제외하고 미세침흡인물을 이용한 FISH와 파라핀 포매 조직 검체를 이용한 FISH간의 결과 일치율은 98% (47/48)이었고, 미세침흡인물을 이용한 FISH와 파라핀 포매 조직 검체를 이용한 IHC 염색 간의 결과 일치율은 93% (43/46)이었다. FISH로 관찰된 침습 유방암 세포의 형태학적 소견에서 미세침흡인물의 경우 조직 검체와는 달리 세포 중복 현상이 적어서 결과 판독이 용이하고 정확하였다. 결론 : 미세침흡인물은 HER2 유전자 증폭의 평가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검체이다. 검사 방법의 비침습성과 신속성뿐만 아니라 결과 판독의 용이성과 정확성으로 인해 파라핀 포매 조직 검체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세포학적 검체에 대한 사용 기준을 위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BACKGROUND. The evaluation of HER2 amplification status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determination of therapeutic regimens on newly diagnosed and metastatic breast cancer. Currentl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and immunohistochemistry (IHC) on formalin -fixed paraffin embedded (FFPE) tissue specimens are used clinically to determine the HER2 status. Since tissue-based methods are relatively time-consuming and have the limitation of standardization of processing, the current study evaluated the availability of fine needle aspirates (FNA) for HER2 FISH in invasive breast cancer patients. METHODS. FNA were obtained from 51 invasive breast cancer patients and were submitted for the evaluation of HER2 status. After ascertained invasive breast cancer components by morphological evaluation, the HER2 gene amplification were then evaluated by FISH.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by both FISH and IHC on corresponding FFPE tissue specimens. 2007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ASCO/CAP) Guidelines Recommendations were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RESULTS. Of 51 FNA, one case was excluded due to insufficient cytologic materials for FISH analysis. Excluding the results of the equivocal category, 47 of 48 cases (98%) were concordant between the results of FISH on FNA and FISH on corresponding FFPE tissue specimens and 43 of 46 cases (93%) were concordant between the results of FISH on FNA and IHC on corresponding FFPE tissue specimens. Because cellular morphology of FNA was well preserved in HER2 FISH, it was easier and more simple to reading the fluorescence signals in cancer cells, while the fluorescence signals overlapping were frequently observed in FISH on FFPE tissue specimens. CONCLUSION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FNA are useful materials for HER2 FISH analysis. As compared with existing HER2 FISH and IHC on FFPE tissue specimens, HER2 FISH on FNA enables the evaluation of HER2 status to be more rapid and accurate.

      • 그리스 신화를 소재로 한 슈베르트 가곡의 반주연구

        이지원 성신여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19세기에 들어와 꽃을 피운 독일예술가곡 중 음악적 관심의 많은 부분을 가곡에 쏟은 최초의 작곡가인 슈베르트(Franz Peter Schu -bert, 1797-1828)의 그리스 신화를 소재로 한 가곡 -「Ganymed(D. 544)」, 「Gruppe aus dem Tartarus(D. 583)」, 「Prometheus(D. 674)」, 「Der Atlas(D. 957, No. 8)」- 에 관한 연구이다. 슈베르트는 고전주의의 완성자인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과 활동시기가 거의 일치하나 고전주의 양식 위에 낭만주의적 서정성을 덧입혀 당시의 음악상식을 뛰어넘는 독창적인 어법을 추구하였다. 흔히 알고 있는 슈베르트 가곡의 특징인 아름답고 서정적인 선율과는 달리 본 논문에 게재된 4곡은 서사적이고 웅대한 그리스 신화를 묘사하기 위하여 대담한 화성과 드라마틱한 진행, 잦은 조성변화를 사용하는 등 도전적인 시도로 가득 찬 1817년 「Ganymed(D. 544)」로부터 11년의 세월이 경과한 말년의 1828년 「Der Atlas(D. 957, No. 8)」의 단순, 명료함에 이르기까지 스타일의 변화를 보여줄 뿐 아니라 레치타티보 형식의 낭송조 성악 선율과 관현악적인 피아노 기법으로 드라마적인 가곡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작품이다. Among Kunstlied - German songs that had the most prosperous days in 19th century -「Ganymed(D. 544)」, 「Gruppe aus dem Tartarus(D. 583)」, 「Prometheus(D. 674)」, 「Der Atlas(D. 957, No. 8)」 have one thing in common. These songs took their motives from the Greek mythology and were composed by Schubert(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the first composer who put almost all his musical passion and interests in Kunstlied. Schubert and Beethoven(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had lived at the same period as active composers but Schubert pursued his own style, which surpassed common senses in those days and added romantic lyricism over the classicism. In general, Schubert's songs are well known as beautiful with lyrical melodies. But in these four songs, Schubert used daring harmonies, dramatic process and expansion, and frequent changes of tonality to describe grand scales and spectacles of the Greek mythology. From 「Ganymed (D. 544)」 composed in 1817 to 「Der Atlas (D. 957, No. 8)」 composed in 1828, in other words, from challenging experiments to simplicities and clearness, Schubert proposed not only the innovative potentiality in style changes and but also new possibility for dramatized art songs using narrative melodies in recitativo form and orchestral piano techniques.

      • 임상간호사의 구조적 임파워먼트, 감염에 대한 표준주의 건강신념 및 지식이 감염관리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지원 가천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구조적 임파워먼트와 감염에 대한 표준주의 건강신념 및 지식이 감염관리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감염관리 수행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방법 : 연구 대상자는 인천‧ 경기지역의 종합병원급 이상의 9개 병원 211명의 일반병동 임상간호사로 설문 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versio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평균, 백분율과 표준편차, t-test, Chi- square test,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1. 임상간호사의 구조적 임파워먼트는 5점 만점에 평균 2.92점, 표준주의 건강신념은 5점 만점에 평균 3.52점이었으며, 표준주의 지식은 25점 만점에 평균 21.23점, 감염관리 수행은 3점 만점 평균 2.47점으로 측정되었다. 2. 감염관리 수행 점수가 낮은 그룹에 비해 감염관리 수행 점수가 높은 그룹에서 일반적 특성인 나이(p=.007), 기혼인 경우(p=.012), 자녀가 있고(p=.023), 임상경력(p=.009)에서 높은 감염관리 수행 점수를 보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 임상간호사의 구조적 임파워먼트가 감염관리 수행에 2.62배(95% CI : 1.21-5.69)로 영향을 주었으며, 하부요인 중 자원요인 1.78배(95% CI: 1.07-2.97), 정보요인 1.73배(95% CI: 1.13-2.66)로 각각 나타났다. 4. 임상간호사의 표준주의 건강신념은 감염관리 수행 점수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하부요인 중 지각된 유익성 1.89배(95% CI: 1.09-3.28), 행동계기 1.7배(95% CI: 1.07-2.68)로 나타났다. 5. 표준주의 지식은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p=.399). 결론: 임상간호사의 구조적 임파워먼트가 표준주의 감염관리 수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조적 임파워먼트의 하부요인 중 정보요인과 자원요인이 감염관리수행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구조적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되어야 하며, 정확한 정보와 자원 제공을 위해 부서 및 병원조직차원에서의 제도적 정책 마련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Effect of Thermal Annealing on Performance of Inverted Indium Phosphide Quantum Dots Light-Emitting Diodes

        이지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dium phosphide (InP) quantum-dots (QDs) have attracted as the most prospective luminescent material for developing cadmium-free QD light-emitting diodes (QLEDs). However, the performance including efficiency, maximum luminance and operational lifetime of InP QLEDs is still far behind that of CdSe QLEDs. This is mainly attributed to unoptimized nanostructures of InP QDs and devices. InP QDs have relatively low electron affinity (EA), so the electron injection barrier is quite large with conventionally available electron transporting materials, thereby resulting in low electron injection. In this study, I demonstrate that simply thermal annealing of zinc oxide nanoparticle (ZnO NPs)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QD emissive layer can lead to enhanced QLED performance without complicating device fabrication process. The current density of electron-only devices with ZnO NPs increases and exhibits trap-free space-charge-limited-current (TFSCLC) characteristics after the thermal annealing. It is attributed to the reduced oxygen vacancies of ZnO NPs, which act as scattering sites. Furthermore, the photoluminescence (PL) intensity of the InP QD thin films increases by thermal annealing due to alleviated trap states and increased packing density of InP QDs, as previously reported. Optimizing annealing temperature of inverted green InP QLEDs results in increased external quantum efficiency from 2.32% to 3.61% and maximum brightness over 10,000 cd/"m" ^"2" . The half-lifetime (T_50) at an initial luminance of 1000 cd/"m" ^"2" increases up to nearly 2 hours, which corresponds to 62.0 h at initial luminance of 100 cd/"m" ^"2" , which is the longest lifetime of academically reported InP QLEDs so far. This thesis proposes thermal annealing process as a simple and effective process to further optimize the device performance of InP QLEDs. 인화인듐 양자점은 비카드뮴계 양자점 발광다이오드를 위한 유망한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효율, 휘도, 수명 측면에서 인화인듐 양자점 발광다이오드는 카드뮴계 양자점 발광다이오드보다 성능이 크게 떨어진다. 이는 주로 인화인듐 양자점의 나노구조와 발광다이오드 소자구조가 충분히 최적화되지 않은데에 기인한다. 인화인듐 양자점은 상대적으로 작은 전자친화도를 가지므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전자수송재료와의 전자 주입장벽이 커서 전자 주입 및 수송이 제한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수송재료인 산화아연 나노입자와 인화인듐 양자점을 간단히 열처리 함으로써 공정의 복잡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전자수송 특성을 개선하여 인화인듐 양자점 발광다이오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산화아연 나노입자와 전극으로 구성된 단일 전자 소자를 제작하여 열처리에 따른 산화아연 나노입자의 전도도 향상이 소자 내 전류 증가의 주요한 원인임을 밝히고, 특정 온도 이상에서 열처리 시 산화아연 나노입자의 트랩 무관 전도특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하 나르개 및 엑시톤을 산란시킬 수 있는 산화아연 나노입자의 산소공백이 열처리에 따라 줄어들기 때문이다. 게다가 인화인듐 양자점 박막의 발광 세기가 열처리에 따라 특정온도까지 증가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인화인듐 양자점의 트랩농도가 열처리에 따라 감소하거나 양자점 박막의 조밀도가 증가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열처리 온도를 최적화한 결과, 역구조 녹색 인화인듐 양자점 발광다이오드의 외부양자효율을 2.32%에서 3.61%까지 증가시키고 최대휘도를 10,000 cd/"m" ^"2" 로 증가시켰으며, 100 cd/"m" ^"2" 기준 반감 수명을 학계 최장인 62시간을 달성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논의된 양자점과 산화아연 전하수송층의 열처리가 역구조 인화인듐 양자점 발광다이오드의 성능 향상에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