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의 매개효과

        이지수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광주, 전북, 서울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0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척도는 거부민감성 척도와 사회불안,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의 요약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증명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둘째, 거부민감성은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는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는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 사이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has an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anxiety among undergraduates. This research was done by conducting surveys from 304 undergraduates who are attending universities in Gwangju, Jeollabuk-do, Seoul area. The scales used in the study were The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RSQ,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IAS, Social Phobia Scale: SPS andScale for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 situation: SDSAS. The hypothesis of the study was verifi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Amos 23.0.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a result in th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rejection sensitivity,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social anxiet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was partially mediated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anxiety. This result implies that while high level of rejection sensitivity hinder social anxiety, undergraduates with high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capability can successfully overcome such impact and re-adjust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 Cordyceps militaris 1일 복용이 태권도선수들의 운동 중 산화스트레스 및 항산화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지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Cordyceps militaris 1일 복용이 태권도선수들의 운동 중 산화스트레스 및 항산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지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지도교수 박 현 본 연구는 태권도 선수들의 C. militaris 복용 전과 후의 운동 중 산화스트레스 및 항산화능력 그리고 젖산농도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러한 변인의 변화에 따라 운동수행능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경기도 Y시에 소재한 K대학교에 재학 중인 20대 남자 태권도선수 7명의 동일 대상자를 대상으로 두 그룹(1차–placebo, 2차-C. militaris 복용 그룹: 4명 & 1차-C. militaris, 2차-placebo 복용 그룹: 3명)으로 무선 할당하여, 이중맹검법(double blind test)을 통해 C. militaris 와 placebo capsule을 각각 교차(cross-over) 복용시켰으며, 두 차례의 측정 사이 7일간의 wash-out기간을 두어 복용물의 체내 잔존에 따른 영향을 배제하였다. 1) C. militaris 와 placebo복용에 따른 산화스트레스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placebo복용에 비해 C. militaris 복용 시 종료 5분, 20분 후 각 각 시점에서 더 낮은 수치를 보였다. 2) C. militaris 와 placebo복용에 따른 항산화능력은 복용물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으나, 수치 상 운동종료 5분, 20분 시점에서 placebo복용보다 증가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C. militaris 복용물 내 시점 간 5분, 20분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항산화능력이 활성화됨을 알 수 있었다. 3) C. militaris 복용 시, placebo복용보다 회복기 5분 시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젖산 농도를 보였다. 4) C. militaris 와 placebo 복용에 따른 유산소 운동수행능력에서 VO₂max(ml/kg/min) 와 HRmax (beats/min) 그리고 하지근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안정 시 및 최대하 운동부하 측정 시 9분 시점에서 C. militaris 복용이 placebo복용에 비해 VO₂(ml/kg/min)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치상으로도 대체적으로 증가함을 보였다. HR(bpm)은 C. militaris 복용이 placebo복용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태권도 경기특성에 알맞게 선수들의 C. militaris의 1일 복용에 따른 운동 중 산화스트레스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항산화능력에 있어서 시점 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태권도 경기 방식과 적합한 C. militaris 복용방법을 제시하고 운동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주요어: Cordyceps militaris, 산화스트레스, 항산화능력, 태권도. Effects of Cordyceps militaris Uptake for One Day on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Taekwondo Players Ji-Su, Le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d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prof. Hyon Park, Ph.D. Cordyceps militaris, an entomopathogenic fungus, which is traditionally called as ‘summer-plant winter-worm,’ is one of the most popular traditional medicine. It has a long history of use as a crude drug for tonic enhancement in China and Korea. It has multiple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tion and anti-inflammation effects which are considered to be applied as an ergogenic in sports. If the efficacies are guaranteed, a short term use of ergogenic supplements rather than chronic uptake may allow several benefits such as convenience, low-cost, and safety to athletes. Effects of cordyceps powder with maximum safety assurance dose within short duration were observed. Seven taekwondo players at K university were offered C. militaris and placebo capsules through double blind test and each subject was taking supplements with cross-over method having a week of wash-out period between takes. Measurements on exercise performance and oxidative stress related parameters were performed pre and post of uptakes. Oxidative stres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 militaris and placebo uptakes. In lactate concentration, C. militaris uptakes caused lower level during recovery process. More studies on the use of C. militaris as an ergogenic for a sport like taekwondo are needed to illuminate the working mechanism and detailed methods of use. Key words: Cordyceps militaris, oxidative stress, antioxidant capacity, taekwondo.

      • 화학사고 사례분석을 통한 취급시설 검사 방법 및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이지수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Inspection Method and System of Hazardous chemical Handling Facilities through Case Analysis of Chemical Accident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Technology & Management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Department of Biochemical Engineering by Lee Ji-soo Advisor : Prof. Park seung-joon, Ph.D. Despite restrictions on safe management of chemicals in India's Bhopal, China's Tianjin port explosion, and more recently Lebanon's Beirut port, these accidents continue to cause serious human and property damage. In Korea, the Hazardous Chemicals Control Act was strengthened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Gumi hydrofluoric acid accident, and the Act was completely revised to the Chemical Materials Management Act. As the law is revised, standards for hazardous chemical handling facilities have been strengthened, and large and small chemical accidents are constantly occurring despite the fact that the workplace has presented its own inspection register to inspect hazardous chemical handling facilit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inspection method of hazardous chemical handling facilities and the system (system for inspection and self-inspection register for safety) could actually contribute to preventing chemical accidents, and based on eight cases of chemical accidents in Siheung, Ansan, and Incheon. First, it is an institutional aspect of the inspection of the handling facility. Many businesses have been exposed to chemical accidents due to the lack of inspection personnel for the inspection of the handling facilities (operator once a year and non-operator once every two years) due to the lack of inspection personne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institutional aspect, it is necessary to secure additional professional manpower that can be immediately deployed to the site and additional safety management measures considering the inspection cycle are needed. Second, it is about the improvement of items in the self-inspection register. The self-inspection register is the best legal item for preventing accidents that check hazardous chemical handling facilities once a week for abnormalities and safely managing the handling facilities from the workplace. However, there are a number of items depending on material properties, and there are many items simply to check for leakage. Hazardous chemical handling facilities are classified into nine types (manufacturing, indoor storage facilities, outdoor storage facilities, outdoor storage facilities, underground storage facilities, vehicle transport facilities, external piping facilities) depending on their purpose, If the self-inspection register of the handling facility is supplement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andling facility, or if detailed items are added to the current self-inspection register so that practical safety inspections can be made, it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chemical accidents.

      •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1,4-Dialkoxynaphthalenacyl Thiazolium and Imidazolium salts

        이지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생리 활성 면에서 중요한 역할이 기대되는 thiazole과 imidazole의 유도 물질과 anticancer, antiviral, anti-inflammatory, antibacterial, antifungal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알려진 1,4-naphthoquinone 유도체들을 접목시킨 다양한 1,4-dialkoxynaphthalenacyl thiazolium 및 imidazolium salt 유도체들을 합성하여 이들의 생리 활성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총 13개의 1,4-dialkoxynaphthalenacyl thiazolium salt 및 18개의 imidazolium salt 화합물을 합성하였으며, 다양한 질병을 야기하는 최종당화산물 (AGEs) 파괴 효과 및 캔디다균에 대한 항진균 효과를 시험하였으며 이들의 치환기에 따른 경향성을 비교하였다.

      • SNS 이미지 딥러닝을 통한 패션 트렌드 분석

        이지수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se days, online fashion shopping mall companies are using it as a way to increase sales by providing convenience in product search to buyers through big data analysis of customer purchase data accumulated so far. In addition, online fashion product distributors are introducing deep learning technology as a way to induce quick purchase decisions by proposing similar products for customers to purchase, as well as big data analysis. However, in order to be able to introduce such technology, long-established customer purchase big data is required, and to introduce image deep learning technology, a large cost must be invested in system construction. In particular, fashion clothing shopping malls, which have a high proportion of Soho founders among online shopping malls, are more difficult to analyze trends than any other industry, and lack a lot of information or experience on how to operate inventory. In addition, the trend analysis of fashion clothing products relies on personal senses and judgment, and it is not easy in reality to analyze rapidly changing consumption patterns of clothing in real time. Accordingly, there is a risk of many inventories due to incorrect market predictions in the market entry of Soho fashion companies. Existing fashion-related deep learning technologies focus only on increasing the results of similarity of products by analyzing only the images provided, so there is a distance from the real-time rapid use of services in the fashion industry. For the fashion clothing trend analysis dataset suitable for practical service use, image data of worn fashion clothing in daily life on SNS is essential. In this paper, to solve such problems of online fashion shopping mall companies, a trend analysis was proposed through deep learning of SNS fashion product images. By analyzing image datasets collected on SNS, extracting and proposing product categories and product color preferences, it can be used for services more practically than product proposals that provide only existing image similarity. In addition, the analysis value of the results through fashion trend analysis through SNS image deep learning was actually reflected in the actual E company shopping mall system and observed for more than 3 week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ales volume increased rapidly, and the sales growth rate more than doubled. In conclusion, through the analysis of SNS image fashion trends through deep learning proposed in this paper, it was proved that online fashion shopping mall companies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ventory management by identifying fashion trends more quickly. In the future, we expect high utilization of shopping mall companies that sell fashion clothing products onlin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f the area of big data analysis and deep learning related to fashion is expanded and advanced, it will be able to substantially help online fashion shopping mall companies enter overseas markets. 요즘 온라인 패션 쇼핑몰 업체들은 그동안 누적된 고객의 구매 데이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구매자에게 상품 검색의 편의성을 제공하여 매출 증대의 한 방법으로 활용하는 추세이다. 또한 온라인 패션 상품 유통 업체들은 빅데이터 분석뿐만 아니라 고객들이 구매하려는 상품의 유사 상품을 제안함으로써 빠른 구매 결정을 유도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딥러닝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 도입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오랫동안 누적된 고객의 구매 빅데이터가 필요하며, 이미지 딥러닝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구축에 큰 비용을 투자해야만 한다. 특히 온라인 쇼핑몰 중에서도 소호 창업자의 비율이 높은 패션 의류 쇼핑몰의 경우 어느 업종보다 트렌드의 분석이 어렵고, 재고 운영 방안에 대한 정보나 경험이 많이 부족하다. 또한 패션 의류 상품의 트렌드 분석은 개인적인 감각과 판단에 의존하는 것이 현실이며 실시간적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의류의 소비 패턴을 분석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쉬운 일이 아니다. 이에 따라 소호 패션 업체들의 시장진출에 있어 잘못된 시장 예측으로 인한 많은 재고의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기존 패션에 관련된 딥러닝 기술은 제공된 이미지만을 분석함으로써 상품의 유사도 결과를 높이는 데에만 중점을 두고 있어 실시간적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패션 업계의 실제적인 서비스 활용에는 거리감이 있다. 실제적인 서비스 활용에 적합한 패션의류 트렌드 분석 데이터셋은 SNS상의 일상적인 생활에서의 착용 패션의류 이미지 데이터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온라인 패션 쇼핑몰 업체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NS 패션 상품 이미지 딥러닝을 통한 트렌드 분석을 제안하였다. SNS에서 수집한 이미지 데이터셋을 분석하여 상품의 카테고리와 상품의 색상 선호도를 추출해 제안함으로써 기존의 이미지 유사도만을 제공하는 상품 제안에 비해 보다 실질적으로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SNS 이미지 딥러닝을 통한 패션 트렌드 분석을 통한 결과 분석값을 실제 E사 쇼핑몰 시스템에 두 종류의 상품을 실제로 반영하고 3주 이상 관찰했다. 그 결과 판매량이 급속도로 올라가는 것이 확인됐으며, 매출증가 비율이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딥러닝을 통한 SNS 이미지 패션 트렌드 분석을 통해 온라인 패션 쇼핑몰 업체들이 패션 트렌드를 보다 신속히 파악하여 재고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향후 온라인상에서 패션 의류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업체들의 높은 활용도를 기대한다. 또한 패션과 관련된 빅데이터 분석과 딥러닝의 영역을 확대하여 고도화 한다면 온라인 패션 쇼핑몰 업체의 해외 진출에도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사회과 교과서의 진로교육 내용분석 : 일반사회영역 선택과목을 중심으로

        이지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가 급변함에 따라 학교교육에서의 진로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사회과를 통한 진로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진로준비 단계에 해당하는 고등학교 11, 12학년의 사회과 선택 과목 교과서의 진로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교과서 분석을 위해 제 7차 사회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학교현장에서 선택 빈도가 높은 일반사회 심화 선택 교과서 2종을 대상으로 각 교과별 내용과 특징에 적합하도록 문장 또는 문단을 분석단위로 사용하여 진로교육의 영역을 추론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 7차 교육과정은 학생의 진로, 적성과 소질을 계발하기 위하여 진로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학생의 진로와 관련한 엄격한 과정을 따로 두지 않고, 자신이 선택하여 이수한 과목을 모아 자신의 과정을 만들어 가기 때문에 학생의 적극적인 진로선택에 대비하기 위해 선택 교과를 통한 진로교육이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회과는 직업생활에 필요한 능력의 변화와 준비를 위한 진로교육의 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회과 심화 선택 과목인 법과 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 교과는 학생들의 진로선택과 관련하여 다양한 직업세계를 탐구하고 직업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와 태도를 바탕으로 직업능력을 학습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셋째, 교과서 구성방식에 따라 진로교육의 영역이 다르게 분석되므로 각 교과 별 2종을 분석한 결과 교과내용을 통한 진로교육 함양에는 변함이 없으나 탐구활동이나 예시를 통한 진로교육의 내용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교과서 집필에 있어서 교육과정의 기본정신을 구현하고 진로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진로준비를 할 수 있도록 자아이해, 직업세계의 탐색, 진로계획 수립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겠다. 또한 학교에서는 학생의 적성과 흥미를 반영하여 사회과와 관련된 직업의 탐색 또는 진로와 관련된 주제 탐구를 통한 의사결정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사의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교과를 통한 진로교육의 가능성과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과를 통한 진로 인식 함양과 진로 선택이 효율적으로 활용 될 수 있도록 차기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을 위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 초등 한국어(KSL) 학습자 대상 문맥 중심 의성의태어 교육을 위한 이야기 선정 및 활용 방안 연구

        이지수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evelopment and use of various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are characteristics of Korean vocabulary. In addition,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which can convey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speaker is also essential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Because the goal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s to increase their communication skills. Therefore,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select context-oriented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education stories for elementary Korean (KSL) learners, and suggest ways to utilize them. First of all, I looked at the status of the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education in elementary Korean (KSL) educatio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analyzed in terms of ‘Korean language for Living’ and ‘Korean language for Learning’. Based on this, the problems of the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education were summarized in terms of ‘Korean language for Living’ and ‘Korean language for Learning’. Also the limitations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for Learning’ are described, considering the actual field of education. Next, stories were selected to be used for the education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in the area of ‘Korean language for Living’. In this study, I intend to use stories as a means to solve the problems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education. In this regard,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story was discussed, and the criteria for selecting a story suitable for teaching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were presented. Furthermore, stories that meet the criteria were selected and reconstructed to suit the education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Finally, the teaching method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that can be used in actual education was proposed. Classes were devised by setting the stage of teaching and learning as ‘introduction→presentation and explanation→practice→task→finish’.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eaching and learning step were summarized.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will learn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more easily. And further, I hope that the lack of learning due to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will be resolved. Also, I hope that there will be active research for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education for elementary Korean language learners. 다양한 의성의태어의 발달과 사용은 한국어 어휘의 특징이다. 또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하는 KSL(Korean as a Second Language) 학습자들에게 화자의 주관적 판단을 전달할 수 있는 의성의태어는 한국어(KSL) 교육에서 꼭 필요한 교육 내용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 한국어(KSL)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맥 중심 의성의태어 교육용 이야기를 선정하고, 그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초등 한국어(KSL) 교육에서의 의성의태어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KSL 교육과정’에 따라 ‘생활 한국어’와 ‘학습 한국어’ 측면에서 교육과정과 교재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의성의태어 교육의 문제점을 ‘생활 한국어’와 ‘학습 한국어’의 측면에서 정리하였다. 또한 ‘학습 한국어’ 영역에서의 의성의태어 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지니는 한계점을 서술하였다. 다음으로 ‘생활 한국어’ 영역에서의 의성의태어 교육에 활용할 이야기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분석한 의성의태어 교육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야기를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이야기의 교육적 가치를 논의하고, 의성의태어 교육에 적합한 이야기를 선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 기준에 부합하는 이야기를 선정 및 재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의성의태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수 학습의 단계를 ‘도입 → 제시·설명 → 연습 → 과제 → 마무리’로 설정하여 수업을 구상하였으며, 이를 위해 각 교수 학습 단계의 특징 및 활동 유형을 정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다문화 배경을 가진 초등학생들이 의성의태어를 좀 더 쉽게 배우고, 의성의태어로 인한 학습 부진이 해소되기를 희망한다. 그리고 앞으로 초등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성의태어 교육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염증성 장 질환 마우스 모델에서 엘라그산의 대장, 간 및 뇌에서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이지수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엘라그산(Ellagic acid)은 4개의 폴리페놀 링으로 구성된 석류, 포도, 딸기, 땅콩류 및 녹차 등에 존재하는 식물성 페놀이며 항산화, 항바이러스, 항돌연변이, 항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이다. DSS(dextran sulfate sodium)으로 유도된 염증성 장 질환(IBD, inflammatory bowel disease) 마우스 모델에서 엘라그산의 항산화와 항염증 효능평가를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은 각각 대조군인 Control 군, 5% DSS를 처리한 5% DSS 군, 5% DSS와 엘라그산 60 mg/Kg를 경구 투여한 5% DSS + EA 군으로 나누어 일주일간 진행하였다. 엘라그산의 투여로 DSS로 유도된 염증성 장 질환 마우스 모델에서 체중의 감소, 대장 길이 축소, 간 무게의 감소 등 감소한 것을 다시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조직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H&E(Hematoxylin & Eosin)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대장 및 간에서 조직의 망가짐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항산화는 엘라그산의 투여 군에서 iNOS, 3NT, CYP2E1의 생성 억제를 확인하였다. 항염증은 혈액을 통해 엘라그산 투여 군의 TNF-α(Tumor necrosis factor), IL-1β(Interlukin- 1beta), NO(Nitric Oxide) 생성 억제를 확인하였으며 장기들을 통해 염증 인자 COX-2와 MAPKs(p-ERK, p-JNK, p-p38), p-IκB-α, p-NF-kB 인자 생성 억제를 확인한 결과 뇌의 COX2 이외의 인자에서 생성 억제가 확인되었다. 또한, 엘라그산이 DSS 유도 염증성 장 질환에서 항산화, 항염증에 대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련된 연구 결과는 엘라그산의 염증성 장 질환에서 대장, 간 및 뇌의 항산화, 항염증에 대한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Ellagic acid is a vegetable phenol that exists in pomegranates, grapes, strawberries, peanuts, and green tea consisting of four polyphenol rings and is known to have antioxidant, antiviral, anti-stone stool and anti-cancer functions.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efficacy of ellagic acid in the mouse model induced by DSS (dextran sulfate sodium).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a week with control group, 5% DSS single treatment without ellagic acid treatment and 5% DSS + 60 mg / Kg oral administration treatment respectively. In the mouse model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duced by DSS by the administration of ellagic acid, it was confirmed that the weight was reduced again, such as weight loss, colon length reduction, and liver weight reduction. In addition, H&E (Hematoxylin & Eosin) was performed to check the pattern of changes in one organization,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break down of tissue in the colon and liver was reduced. Antioxidant confirmed the production inhibitors of iNOS, 3NT, and CYP2E1 in the dose group of ellagic acid, and the anti-inflammatory drugs were identified through blood as TNF-α (Tumor necrosis factor), IL-1β (Interlukin-1beta), and NO (Nitric Oxide) in the metabolism and COX-2. This shows that ellagic acid has an effect o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diseases of DSS-induced inflammatory bowel disease. The results of this similar paper suggest the potential for use in colon and liver, brain antioxidants, and anti-inflammatory diseases of ellagic acid.

      • 칼 뢰베와 로베르트 슈만의 「여인의 사랑과 생애」(Frauenliebe und Leben) 반주부에 대한 이해 및 비교분석 : 곡 1,2,3,8,9번을 중점으로

        이지수 목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19C의 독일가곡 중 샤미소(Adalbert von Chamisso, 1781-1838)의 시 「여인의 사랑과 생애」 (Frauenliebe und Leben)를 작곡한 칼 뢰베(Johann Carl Gottfried Loewe, 1796-1869)와 로베르트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의 연가곡을 비교, 연구하기 위함이다. 19C 독일문학의 발달은 음악사에 큰 영향을 끼친 시기라고 말할 수 있다. 자유스러운 표현적인 형식들, 서정적인 시행 등 이러한 시문학들은 작곡가들에게 가곡을 향한 작곡의 의욕을 부추겨 주었다. 또한 19C에 독일 음악사에 영향을 끼친 것은 독일에서 산업화가 시작되고 사회적인 변화가 일어났는데, 이러한 산업화의 영향으로 피아노가 중산층에 많이 보급 되었고, 자연스럽게 중산층 가정에서 노래부르기, 피아노 연주, 그림 그리기 등 문화 활동으로 많은 시간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인하여 중·하류계층이 사회적으로 기동력을 얻었고, 극장이나 연주회장으로 여흥을 찾아다니기 시작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19C의 음악사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가곡이 예술가곡이라는 한 장르로 발전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19C는 많은 독일가곡들과 하나의 주제로 이루어진 연가곡도 많이 작곡되어 졌다. 본 논문에서 다룰 주제는 샤미소의 시 「여인의 사랑과 생애」 (Frauenliebe und Leben)를 연가곡으로 작곡한 칼 뢰베와 로베르트 슈만이 동일한 시를 가지고 어떻게 다르게 작곡 하였는지 반주부와 가사를 중심으로 비교, 연구하기 위함이다. 먼저, 서론에서는 연구 배경 및 목적과 연구 내용 및 방법에 대해 제시 하였으며, 본론에서는 19C의 독일 가곡이 발전하게 된 계기와 가곡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여인의 사랑과 생애」를 지은 샤미소의 생애와 각 시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또한 비교, 연구 하려는 작곡가인 칼 뢰베와 로베르트 슈만의 생애와 그들 각자의 작곡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동일한 시를 가지고 작곡한 두 곡을 비교, 연구하기 위하여 각 곡의 구조, 화성, 조성, 빠르기, 형식을 알아보고 가사에 따른 반주부에 대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결론에서는 두 작품의 분석 및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