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의 은둔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지민 인제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의 은둔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이지민 지도교수 김영근 본 연구는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의 은둔 경험과 은둔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여 청소년들의 은둔 경험에 대한 깊이 있고 심층적인 이해와 더불어 이들을 위한 추후의 연구에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 현상에 대한 연구 참여자의 개인적 의미를 파악하는 기술로 연구 참여자들의 실재에서 그들을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이 적절하다고 생각하였으며, 현상학적 연구 방법 중에서도 참여자들의 목소리로부터 얻어진 언어로 드러나는 현상의 본질적 의미를 기술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Giorgi(1985)의 기술적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청소년위원회(2005)에서 제시한 은둔형 외톨이 진단기준에 부합하며 은둔 경험을 한 지 3년 이내의 청소년 5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3월부터 2019년 4월까지였으며, 참여자들과 세 번의 면담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Giorgi(1985)의 4단계 자료 분석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면담내용을 반복적으로 읽어가며 반성과 자유변경 과정(Giorgi, 1985)을 통해 하위구성요소와 경험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9개의 구성요소와 29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청소년의 은둔 경험에서 5개의 구성요소와 18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고, 은둔 경험의 의미에서 4개의 구성요소와 11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청소년의 은둔 경험은 <세상과 고군분투: 관계로부터 상처 입음, 사람을 만나는 것이 무서운, 숨고 싶은 마음이 생김, 버티고 버티다>, <세상으로부터 도피: 포기하는 마음으로, 자신만의 둥지에서 편안함을 느낌, 밤낮이 뒤바뀜, 생각하는 것을 그만둠, 스마트 기기에 의지함>, <행복은 세상에 있음을 깨달음: 마냥 편안하지만은 않은, 흘러가는 시간이 허무해짐, 문득 나가보고 싶은 마음>, <세상에서 살아가기 위한 노력: 자격지심에 휩싸인 마음, 타인의 시선에 대한 두려움, 스마트 기기로 세상과 소통을 연습함>, <세상과 소통을 시작: 나를 이해하는 친구와 소통함, 부모님의 관심으로 노력하고 싶은 마음, 상담 기관을 찾음>이었으며, 청소년의 은둔 경험의 의미는 <놓친 것들에 대한 아쉬움: 시간을 통째로 잃음, 학창시절의 추억을 만들지 못한 아쉬움, 놓친 관계에 대한 아쉬움>, <자기를 이해하는 시간 :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 나를 알게 되었던 소중한 시간>, <더 높이 날기 위해 움츠렸던 시간: 자유를 경험했던 시간, 상처받은 마음을 회복하는 시간, 더 잘 살아가기 위한 시간>, <새로운 날갯짓의 시작: 현재의 나를 받아들임, 자존감을 되찾음, 회피하지 않는 용기>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의 은둔 경험과 은둔 경험의 의미의 체험요소를 밝히고 상담 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본 연구는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의 은둔 경험과 은둔 경험의 의미를 경험적으로 밝힌 첫 연구로, 후속연구 또는 상담 실제 영역에서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을 어떻게 이해하고 접근할 것인지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능동형 발룬을 사용한 Ka-band 대역 CMOS 공정 능동형 위상 천이기

        이지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paper, we designed an active phase shifter using a 65-nm RFCMOS process. We designed active balun at input balun and single-stage RC PPF at I/Q generator. And we used gilbert cell for vector sum and variable gain. We proposed symmetrical structure RC PPF to reduce phase variation of the I/Q signal.. We used phase correction technique circuit and one-side load inductor at active balun to reduce phase imbalance and magnitude imbalance of differential signal.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the maximum gain was -8 dB, the input return loss was less than -6.18 dB, and the output return loss was less than -11.02 dB. The phase resolution of the circuit is 5.625, the RMS phase error is less than 2.57 degrees, and the RMS gain error is less than 0.44 dB. The chip size of the designed active phase shifter is 0.13 mm2, excluding the pad. 능동형 발룬을 사용한 Ka-band 대역 CMOS 공정 능동형 위상 천이기 이지민 전자공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논문에서는 65-nm RFCMOS 공정을 이용하여 능동형 위상 천이기 를 설계하였다. 입력 발룬으로 능동형 발룬을 사용했으며, I/Q generator 로 1단 RC PPF를 사용하였으며 벡터 합과 가변 이득을 위해 길버트 셀 을 사용했다. I/Q 신호의 위상 변위를 줄이기 위해 RC PPF의 대칭 구 조를 제안하였으며, 차동 신호의 위상 불균형과 크기 불균형을 줄이기 위해 능동형 발룬에 위상 보정 회로와 출력 부 한 쪽에 부하 인덕터를 사용했다. 측정결과 최대 이득은 –8 dB, 입력 반사 손실은 –6.18 dB 미만, 출력 반사 손실은 –11.02 dB 미만이다. 회로의 위상 분해능은 5.625 도이며, RMS phase error는 2.57 도 미만, RMS gain error는 0.44 dB 미만이다. 설계한 능동형 위상 천이기의 칩 크기는 패드를 제외하고 0.13 mm2이다

      • 고아 핵 수용체인 SHP와 basic helix-loop-helix 전사인자 CREB의 상호작용을 통한 Gluconeogenic 유전자 발현의 억제적 기능

        이지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Small heterodimer partner (SHP; NR0B2) is an atypical orphan nuclear receptor and acts as a co-regulator of various nuclear receptors. CREB is one of basic helix-loop-helix transcription factor family and binds via its basic leucine zipper (bzip) domain as a dimer to cAMP response elements (CRE). CREB is a bZIP transcription factor which has been reported as major regulator of gluconeogenesis. Over expression of SHP represses the CREB-mediated activation of CRE-luc promoter. Regulation of CREB activity is played by the coactivator transducer of regulated CREB activity (TORC). We next tested the potential involvement of CREB co-activator, TORC2 in G6Pase and PEPCK promoter activity. Elevated G6Pase and PEPCK promoter activity by TORC2 was decreased by over expression of SHP. This inhibitory effects released by dose dependant TORC2 over expression. Our transient transfection and in vitro GST pull-down competition assays revealed that CREB-mediated transactivation was repressed by SHP through the competition with the co-activator TORC2. In vitro and in vivo GST pull-down assays demonstrated that SHP physically interacts with CREB. Q1 domain of CREB is required for binding to SHP and REP domain of SHP is essential region to binding to CREB. Over expression of SHP decreased the CREB-mediated activation of PEPCK and G6Pase gene promoter. Over expression of human SHP by metformin also repressed CREB-mediated activation of PEPCK and G6Pase gene promoter. Furthermore, CREB transactivation induced by PKA or TORC2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downregulation of SHP with SHP small interfering RNA in HepG2 cell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HP acts as a co-repressor of CREB and CREB-mediate gluconeogenic gene expression is regulated by SHP. 고아 핵 수용체에 속하는 SHP는 다른 핵 수용체와 다르게 DNA에 결합하는 부위가 없고, 많은 핵 수용체들의 전사 활성 능력에 관여 한다. CREB은 basic leucine zipper (bZIP) 부위를 통해서 cAMP response elements (CRE)에 결합하여 Gluconeogenic 유전자들의 발현을 활성화 시킨다. 본 연구는, 인간의 SHP 유전자가 CREB의 전사적 활성을 억제하여 CREB에 의해 증가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을 억제함을 밝혔다. 또한 CREB의 활성인자로 알려진 TORC2의 잔사활성을 억제함을 밝혔다. SHP는 CREB와 TORC2에 직접적인 결합을 통해 전사 활성도를 조절하였으며, SHP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서 CREB에 의해 증가하는 G-6Pase와 PEPCK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SHP가 CREB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CREB의 Q1 domain과 SHP에 REP domain이 필수적임을 밝혔다. 기존에 알려진 연구에서 SIK2에 의한 TORC2의 인산화를 통해서 CREB와 TORC2가 상호 협동적으로 G-6Pase와 PEPCK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억제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CREB과 TORC2의 억제기작 외에 SHP가 CREB와 TORC2에 직접 결합함으로써 G-6Pase와 PEPCK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분자적인 수준에서 CREB를 통한 G-6Pase와 PEPCK의 유전자 발현 억제기작을 이해하고, SHP 단백질이 포도당 대사에서의 역할을 한층 더 심도 있게 이해하는데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수면의 질이 직무만족과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지민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leep quality and job performance ability of Seoul Metro employees on job satisfaction. . The sleep quality measurement scale for the study consisted of a single dimension. Job satisfaction was divided into motivating factors related to the job itself and hygiene factors related to the working environment and welfare conditions. Job performance ability was divided into sub-factors of self-development, conflict resolution, confidence, and responsibility.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and AMOS25. .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garding the quality of sleep, respondents perceived their sleep quality level as 'average'. In terms of job performance ability, they responded with an average of 3 points or higher, giving a generally high evaluation of their job performance ability. Job satisfaction was perceived as above 'normal', and the satisfaction of the motivation facto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ygiene factor. Second, it is the result of one-way ANOVA.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variables such as sleep quality, job performance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age, job title, years of service, and time to work. However, with respect to the shift work type, the sleep quality of the shift work type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work type and the shift work type. Third, it is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Working type is related to sleep quality. The normal work pattern showed a weak positive (+) correlation with sleep quality, and a weak negative (-) correlation with job performance ability, and had no 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hift work type sleep quality or job satisfaction, but it showed a weak positive (+) relationship with job performance ability. In the case of the shift work type, a weak negative (-) correlation was shown in relation to sleep quality. In general, sleep qual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The job performance abil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motivation factor was stronger than the hygiene factor. Fourth, it i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satisfaction in the pathways of sleep qualit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Sleep qualit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Sleep qualit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performance ability. Combining these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ween sleep quality and job performance ability. . Finally, this is an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 patterns on the pathways between sleep qualit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When the work type was alternate work, there was a weak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the path of sleep quality on job performance, there w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in the normal work mod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quality of sleep was the lowest in the case of shift work. Due to the nature of the work type,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exact working day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regular life rhythm. These irregularities are ultimately the cause of the deterioration of the sleep quality of shift worke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shift work schedule in a predictable way. In this study with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sleep qua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statistical effect on job performance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bility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both motivation factors and hygiene factors, which ar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motivation factor was found to have a strong positive (+) relationship with job performance. It is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Herzberg (1959). Thes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lthough the level of maturity of the managers of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is high at the individual level,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itself is also reaching a mature level. Therefore, as Herzberg argued that differentiated management techniques should be appl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maturity of members,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commitment can be improved by inducing voluntary and high-level job performance of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members and increasing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increase it, managerial efforts are required to bring about the satisfaction of motivating factors such as intrinsic satisfaction with the job itself.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교통공사에 종사하는 직원들의 수면의 질과 직무수행능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한 수면의 질 측정척도는 요인분석 결과 하나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직무만족은 직무 자체와 관련 동기요인과 근무환경, 복리후생 조건과 관련된 위생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직무수행능력은 자기계발, 갈등해결, 자신감, 책임감의 4개 하위요인으로 구분되었다. 통계 분석은 SPSS 25.0과 AMOS25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일원분산 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경로분석이 시행되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분석 결과이다. 수면의 질 수준에 대해서 응답자들은 자신들의 수면의 질 수준을 ‘보통’ 정도로 인식하고 있었다. 직무수행능력은 평균 3점 중반 이상으로 응답하여 자신의 직무수행능력에 대해서는 보통 이상으로 높게 평가하였다. 직무만족도 또한 ‘보통’ 이상으로 느끼고 있으며,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동기요인의 만족도가 위생요인에 비해 높았다. 둘째, 일원 분산분석의 결과이다. 학력, 나이, 담당 직무, 근속 년수, 출근 시간에 따라서는 수면의 질, 직무수행능력, 직무만족 등 모든 변수 간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근무 형태와 관련하여서 교번근무 형태의 수면의 질이 통상 근무와 교대근무의 형태 수면의 질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상관관계 분석의 결과이다. 근무 형태와 수면의 질과의 관계이다. 통상 근무 형태는 수면의 질과는 약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직무수행능력과는 약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직무만족과는 관계가 없었다. 교대근무 시에는 수면의 질이나 직무만족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직무수행능력과는 약한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교번근무 형태의 경우 수면의 질과의 관계에서 약한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수면의 질은 직무만족이나 직무수행능력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수행능력은 직무만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위생요인보다는 동기요인과의 상관관계가 더 강하였다. 넷째, 수면의 질, 직무만족, 직무수행능력의 경로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에 관한 분석 결과이다. 수면의 질은 직무수행능력뿐만 아니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직무만족은 직무수행능력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할 때, 직무만족은 수면의 질과 직무수행능력의 사이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면의 질, 직무만족, 직무수행능력 간의 경로에서 근무 형태의 조절 효과에 대한 분석이다. 근무 형태는 교번근무일 때 직무만족에 약한 부적 조절 효과가 발생하였다. 수면의 질이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경로에서는 통상 근무 형태일 때 정적 조절 효과가 나타났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수면의 질은 교번근무일 경우 가장 낮았다. 교번근무는 근무 형태의 특성상 일정한 주기의 생활 리듬을 유지하기 어렵다. 이러한 정형화되지 못한 일정으로 교번근무자의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교번근무를 더욱 정형화된 형태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서울교통공사를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에서는 수면의 질은 직무수행능력과 직무만족의 유의미한 통계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직무수행능력은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인 동기요인이나 위생요인과 모두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기요인은 직무수행능력과 강한 정(+)의 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신남철(2003), 이경애(2010)의 연구 결과와 맥락을 같이한다. 분석 결과를 통해 추론할 때 서울교통공사 재직자들의 개인적 차원에서의 성숙 수준도 높지만, 서울교통공사 자체의 조직문화 또한 성숙한 수준에 이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Herzberg가 구성원의 성숙단계에 따라 차별화된 관리기법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와 같이 서울교통공사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높은 수준의 직무수행을 유도하고, 직무만족 수준을 높임으로써 조직몰입과 직무몰입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 자체에 대한 내재적 만족과 성취감 제고와 같은 동기요인을 충족시키기 위한 제반 관리적 노력이 요구된다.

      • 광주광역시 등록문화재의 활용과 활성화 방안

        이지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등록문화재 제도의 도입’, ‘지역 소재 등록문화재 활용 활성화’, ‘도시재생사업추진’을 배경으로 등록문화재 활용이 강조됨에 따라 광주광역시 등록문화재 활용 현황과 한계를 고찰하고 등록문화재 활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등록문화재의 개념과 제도에 대한 이해, 그리고 등록문화재 현황과 활용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등록문화재는 『문화재보호법』시행규칙 제34조에 따라 ‘근현대시기에 형성된 지정문화재가 아닌 것 중 문화재로서의 가치에 비추어 보존 및 활용을 위한 조치가 특히 필요한 것’이라 정의한다. 또한 그 범주는‘근대문화유산’에 둘러싸인 ‘근대문화재’에 속한다. 등록문화재 제도는 2001년 3월에 개정되어 같은 해 7월에 시행하였으며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재조명과 가치 부여의 필요성, 그리고 급격한 도시환경의 변화에 빠르게 멸실·훼손되어가는 현실에 종래의 지정 제도만으로 불충분하여 소유자의 자발적인 보존 의지를 근간으로 유연한 보호조치를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등록문화재 제도는 도입 이후 몇 차례의 부분 개정 과정이 있었으며 그 변화 양상은 ‘등록 대상의 다양화’, ‘공간적·시간적 단위의 확장’ 그리고 ‘운영·관리의 지역화’로 나타난다. 등록문화재 제도는 활용에 강점을 두고 있으나 보존에 있어 취약성을 보이기도 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등록절차와 등록조건, 현상변경 규정 등에 대한 제도적 보완과 등록문화재 제도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2019년 기준 전국의 국가등록문화재는 843건이며 전체 지정·등록된 문화재의 약 15%에 해당한다. 등록문화재는 용도별로 동산, 업무시설, 종교시설, 공공용시설, 교육시설, 인물기념시설 등으로 구분되며 이중 건조물 문화재가 절반 이상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지역으로는 서울이 212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등록문화재의 활용 유형은 ‘계속형’, ‘전용형’, ‘부활형’, ‘관람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공개를 통한 공적 활용과 활용의 적극성이 가장 강한 유형은 ‘전용형’ 활용이다. 제3장에서는 광주광역시 등록문화재의 현황과 유형에 따른 활용을 살펴보았으며 특히 ‘전용형’에 해당하는 활용 사례의 분석을 통해 등록문화재 활용의 문제점과 한계를 알아보았다. 현재 광주광역시 소재 등록문화재는 광주 전라남도청 구 본관을 포함한 20건이며 활용은 계속형과 전용형이 가장 많다. 전용형 활용 사례에 해당하는 4건의 사례를 문화재의 단일적 현황과 도시 맥락적 현황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단일적·점적으로의 활용 집중’, ‘고유성·진정성을 담은 다양한 콘텐츠개발의 부족’, ‘지역사회와의 연계와 체계적 홍보 부족’이라는 한계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4장은 등록문화재 활용 사례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광주광역시의 지역적 맥락을 고려하여 활용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등록문화재 활용 사례는 활용방법에 따라 전시공간활용, 복합문화공간활용, 문화탐방코스 활용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으며 그 시사점은 ‘진정성과 장소성을 고려한 콘텐츠 기획을 통한 문화적 가치와 의미 강화’, ‘지역활성화를 위한 맥락적·입체적 활용’, ‘복합적 기능 수행과 열린 공간 활용을 통한 다양한 문화 향유 욕구 충족’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이어서 등록문화재 활용 방향을 ‘문화관광’과 ‘도시재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존과 활용의 균형 잡힌 활용’, ‘다양한 의견 수용’, ‘협력을 통한 공존’, ‘공공성·개방성 추구’, ‘지역사회의 유대관계 형성’이라는 활용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광주광역시 등록문화재의 활용 전략은 SWOT분석을 통해 포괄적으로 다루었으며 등록문화재 활성화 방안으로 ‘문화재의 감정 기록과 공유’, ‘문화재 정보전달의 의무와 통합시스템 구축’, ‘의미를 고려한 다양한 콘텐츠 기획’, ‘지역연계 콘텐츠 기획’을 구체적 프로그램안과 사례를 통해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examine the application status and limitation of Gwanju city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nd ways to increase the application efficiency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s the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s emphasized with the basis of "Implement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policy," "Vitalizing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n local areas," and "Promo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hapter 2 looked at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the system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nd the status and application types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is defined under Article 34 of the Enforcement Regulation of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as "a cultural property which is not a designated cultural property created in the modern period but requires actions for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in light of its value as a cultural property." Moreover, the category belongs to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within "Modern Cultural Heritage."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system was revised in March 2001 and was implemented in July of the same year. This system was introduced for flexible protective measures based on the owner's voluntary preservative will due to insufficient current system where cultural properties are lost and damaged by the rapid change of the urban environment and re-examination and valuing of modern cultural heritages. The enrollment cultural property system has undergone several partial revisions since its introduction, and its changes include "diversification of registration targets," "expansion of spatial and temporal units," and "localization of operations and management."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system has strengths in its application, but it also shows vulnerabilities in preservation. To overcome this,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supplement the registration procedure, registration conditions, and regulations to change the status and actively promote the publicity of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system. As of 2019, there are 843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nationwide, accounting for about 15% of all designated and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re divided into gardens, business facilities, religious facilities, public facilities, educational facilities, and people's memorial facilities by use. More than half of the cultural properties are building cultural properties, and Seoul is the largest with 212 cases. The types of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can be categorized into "continuing type," "specific use type," "re-used type," and "viewing type," and the type with the most potent positive public use by application through public use is "specific use type." Chapter 3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types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particular,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pplication case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use type". Currently, there are 20 registered cultural assets in Gwangju, including the former main building of the Gwangju Jeollanam-do Provincial Governm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our cases corresponding to the exclusive use cas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ingle status of cultural assets and the contextual situation of the city, "the concentration of single type application," "the lack of various contents development with uniqueness and authenticity," and the limitations of "lack of linkage with the community and systematic public relations" were confirmed. Chapter 4 derives implications through case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nd seeks to promote the application in consideration of Gwangju Metropolitan City's regional context. First of all, examples of the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were classified into the use of exhibition spaces, the use of multiple cultural spaces, and the use of cultural exploration courses. The implications were "strengthening cultural values ​​and meaning through content planning considering authenticity and placeness," It could be derived from "contextual and stereoscopic use for regional revitalization," and "satisfying various cultural needs through performing complex functions and using open spaces." Subsequently, the directions for the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assets were divided into "cultural tourism" and "urban regeneration," and based on "balanced use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ccepting diverse opinions," "coexistence through cooperation," "publicity and openness." It was able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use of "pursuit" and "formation of community ties." The strategies for utilizing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n Gwangju were comprehensively covered through SWOT analysis. As a way to activate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recording and sharing of emotions of cultural properties," "requirement of in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system for cultural property," and "planning of various contents considering meaning," " Local-linked content planning" was proposed through specific program proposals and examples.

      • 미세먼지에 대한 안면피부 관리 인식 및 안티폴루션 화장품에 관한 니즈 분석

        이지민 영산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articles are so small that they are invisible to the eye, and they are absorbed by the body for a long time, causing inflammation, damaging cells, and causing various diseases. Studies have shown that particulate matter can have several harmful effects on the skin, which can stick to the skin and cause symtomps like temporary skin irritation such as itching and tingling. For this reason, the demand for anti-pollution cosmetics to protect the skin from particulate matter is expected to increase in adult women who have high desire for healthy and clean ski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duce the women's needs and complementary points for fine dust anti-pollution cosmetics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age, skin type, perception of particulate matter and subjective symptoms of facial skin. Through this, I want to help the development of customer-oriented products and the continuous growth of the beauty industry related to fine dust. The result is as follows. For women in their 20s, the subjective symptoms of facial skin to particulate matter were the highest and positively recognized anti-pollution cosmetics such as recognition of necessity for particulate matter and retrieval of beauty information. However, there was a slight tendency in recognition of particulate matter and facial skin management behavior of particulate matter. This shows that the 20s are more concerned and sensitive to the appearance than the 30s, 40s and 50s, but the interests and participation behaviors are low in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problem of particulate matter. In terms of actual consump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limit in spending on consumption because of its low economic power mainly as a student status. Therefore, reasonable and practical product development is required. In the 30s and 40s, skin distress was the highest in skin pigmentation, and the ratio of sensitive skin was higher than that in 20s and 50s. The subjective symptoms of microdust and anticipation of efficacy on antipollution cosmetics were low, but the recognition of particulate matter was high. In addition, 30s and 40s are considered to be the main consumers and search for beauty information on fine dust and actively purchase anti-pollution cosmetics. Women in their 30s and 40s have a high participation rate in economic activities and actively engage in social activities. Because of this, they are active in keeping their appearance young and healthy, high in consumption expenditure, and sensitive to product qua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nti-pollution cosmetics and to secure a variety of products to complex care for various skin problems such as pigmentation, sensitiveness, lack of moisture and elasticity. In women in their 50s, there was a lot of medium and dry skin type. They had the lowest sensitivity in perception of skin subjective symptoms, and showed the lowest tendency in recognition and behavior in all areas including fine dust perception and facial skin care behavior. However, they complained the most about the physical discomfort of fine dust. Considering that their skin's resilience is also low, wrinkles and aging caused by particulate matter are considered to have the greatest skin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kin care for fine dust by presenting information on skin aging due to fine dust and anti-pollution cosmetics. Also, for them, functional products that combine antiaging and antipollution functions are needed. In addition, there is a practical effect that micro-dust has different subjective symptoms depending on age and skin type. Especially, sensitive subjects, oily skin, and complex skin have higher subjective symptoms of fine dust. However, anti-pollution products to b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ensitive skin, oily skin and combination skin products should be developed. Differentiated marketing and personalized information by age should be also present . However, at present, the criteria for the anti-dust antipollution cosmetics are ambiguous, which may have a limit on the persuasive power of the antipollution cosmetic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anti-pollution cosmetics, clear standards and guidelines provided by KFDA(Korea Food Drug Administration) should be prepared. 미세먼지는 피부에 달라붙어 가볍게는 가려움, 따끔거림과 같은 일시적인 피부 자극을 유발하기도 하며, 피부장벽을 뚫고 침투해 각종 피부 손상과 자각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건강하고 깨끗한 피부에 대한 욕구가 높은 성인여성들의 미세먼지에 대한 안면피부 관리 인식 및 안티폴루션 화장품에 대한 관심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여성의 연령과 피부유형, 미세먼지에 대한 안면피부 관리 인식 및 안면피부의 자각증상의 차이의 분석해 미세먼지 안티폴루션 화장품에 대한 세분화된 여성의 니즈와 보완점을 제시함으로써, 미세먼지와 관련한 미용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대의 경우 미세먼지에 대한 안면피부의 자각증상은 가장 높았으며 미세먼지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나 미용 정보 검색 등 안티폴루션 화장품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하지만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과 미세먼지에 대한 안면피부 관리행동에 있어서는 다소 소극적인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20대가 30대, 40대, 50대에 비해 외모에 대한 가꾸는 것에 대한 관심과 민감도는 크다. 하지만 미세먼지라는 사회적 문제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관심과 참여행동이 낮은 편이며, 실제 소비에 있어서는 주로 학생신분으로 경제적 활동 비율이 낮아 소비에 대한 지출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바 그에 맞는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제품이 요구된다. 30대, 40대의 경우 피부의 색소침착에 대한 피부고민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민감성 피부의 비율이 20대와 50대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미세먼지에 대한 자각증상과 안티폴루션 화장품에 대한 효능 기대감은 낮게 나타났지만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이 높은 편이고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미용정보 검색이나 안티폴루션 화장품 구입 등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구매하는 주 소비층으로 판단된다. 30대, 40대 여성의 경우 경제활동 참가율이 높은 세대이다. 활발한 사회활동으로 외모를 젊고 건강하게 가꾸는 것에 있어 적극적이고 소비지출에 대한 능력도 높기 때문에 제품의 질에 민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안티폴루션 화장품 효능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색소침착이나 예민, 수분부족, 탄력 등의 여러 가지 피부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함께 케어가 가능하도록 제품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제품의 질을 높여야 할 것이다. 50대 여성의 경우 중·건성의 피부가 많아 피부 자각증상 인식에서 민감도가 가장 낮았고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 및 안면 피부관리 행동 등 모든 부분에서 가장 저조한 인식과 행동 경향이 나타났다. 하지만 미세먼지에 대한 신체적 불편증상을 가장 크게 경험한 그룹으로 피부의 회복력 또한 낮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미세먼지로 인한 주름 생성 및 노화현상에 있어서는 가장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피부 특징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노화의 영향과 안티폴루션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제시해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관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것과 안티에이징과 안티폴루션의 기능이 결합된 기능성 제품이 필요하다. 또한 미세먼지는 연령과 피부유형에 따라 다른 자각증상을 가지는 실제적인 영향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민감성 피부, 지성 피부, 복합성 피부에서 미세먼지에 대한 자각증상이 더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그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되 기존의 민감성 피부, 지성 피부, 복합성 피부의 제품과 차별화된 안티폴루션 제품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연령과 피부유형의 특징에 맞는 맞춤 마케팅과 맞춤 정보를 세분화하여 제시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미세먼지 차단 안티폴루션 화장품에 대한 기준이 모호한 실정이며, 이는 소비자로 하여금 안티폴루션 화장품에 대한 설득력의 한계로 작용할 소지가 있다. 따라서 안티폴루션 화장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식약처에서 제공하는 명확한 기준과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개방형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이지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개방형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시와 경기도의 중학생 1-3학년 526명을 대상으로 Barnes 와 Olson(1982)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척도(PACI)를 민하영(1992)이 번안ㆍ수정한 척도의 개방형 문항, Block 과 Kreman(1996)이 개발한 자아탄력성 척도(ER)를 박은희(1997)가 번안한 뒤 수정ㆍ보완한 척도, 김용래(2000)의 학교적응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및 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개방형 의사소통은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은 학교생활적응, 학교친구적응, 학교수업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은 학교적응의 모든 하위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어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적응의 모든 하위변인에서 아버지와의 개방적인 의사소통 보다 어머니와의 개방적인 의사소통이 더 유의하였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개방형 의사소통이 청소년 자녀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모와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할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아탄력성은 학교적응의 모든 하위변인과 정적인 관계가 있으며,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개방형 의사소통은 자아탄력성을 거쳐 학교적응에 정적인 직ㆍ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개방형 의사소통은 자아탄력성을 통해서 학교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어머니의 개방형 의사소통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자아탄력성을 통해서 학교적응에 간접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와의 개방적인 의사소통과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부모-자녀 개방형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 역할을 하며, 어머니와의 관계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밝혀낸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parents' open type communication perceived by the adolescent made an effect on school adjustment directly or indirectly by the ego resil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26 middle school students from 1st to 3rd grade in Seoul and Kyung-Gi. For the open type communicatio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that was created by Barnes & Olson(1982), changed by Ha-Young Min(1992) was used as the measure. Ego resilience scale of adolescents used in this study that Eun-Hee Park(1997) translated modified, supplemented some items of 'Ego Resilience: ER' had developed by Block & Kreman(1996). For the school adjustment, School Adjustment Scale that was created by Yong-Rae Kim(2000) was used.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s' open type communication perceived by the adolescent influenced to school adjustment. A open type communication with father makes adolescents get along with friends, participate in class actively and adapt to school life. Also, mother's open communication is the most explanatory power in each sub-variables of the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Second, parents' open type communication perceived by the adolescent influenced to their ego resilience. Third, adolescents' ego resilience affected on each sub-variables of school adjustment and it explains school life adjustment significantly. For the last, the ego-resilience has direct and indirect impact between the parent-adolescents' open type communication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Father's open communication affect school adjustment through the ego-resilience only, but mother's frank communication has effect on school adjustment directly and indirectly at a time. In other word, it was found that the ego-resilience as an intermedia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dolescents' open type communication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In this study, the parent-adolescents' open type communication and the ego-resilience was examined as the center, among the factors which has influence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From the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ents'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makes adolescents more functionally adapt to their school life and ego-resilience makes it more promoted.

      • 대학생 전공만족도 및 자기주도학습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지민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major satisfaction of four-year college students and the impact of self-directed learning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se studies,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were established.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factors (gender, grade, major)?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major satisfac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esearch Question 3. How do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survey was conducted on 350 students of four-year college student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301 copies of the effective questionnaire using the SPSS Ver. 23.0 program.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distribution of variables in this study, and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and one-way ANOVA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ajor satisf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ation actions, satisfaction level of majors, and self-directed learning.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mpact of major satisf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looking at the difference between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specific variabl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riables by grade showed only meaningful differences in major satisf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textual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rade.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major was significant only in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situations" among all sub- and self-directed learning sub-factors of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Second,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were all found to be correlated. Third,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was found to have no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le self-directed learning showed that "learning motivation" and "self-awareness" among the lower factors had a static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is hoped that various career counseling programs will be developed to reduce confusion about college students' careers by compi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in class as well as career counseling, the professor hopes that his or her classes will help students think more about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than now so that they can explore their own careers and develop self-directedness on their own. Key words: Major satisfaction, self-directed learn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