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어와 한국어 어두파열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비교 연구

        이준욱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영어 간의 파열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징을 살펴보고, 두 파열음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및 분석함으로써 제 2언어 발음 습득 시 활용가능성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어와 영어의 자음분류는 한국어는 기(aspiration)의 유, 무에 따라 경음(tense), 평음(plain), 격음(aspiration) 세 가지로 구분되고, 영어는 유성(voiced)과 무성(voiceless) 두 가지로 구분되는 방법으로 조음의 위치와 방법에 따라 나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어두 위치를 기준으로 영어와 한국어 파열음을 다루었으며, 영어 유성 파열음(voiced stops)과 무성 파열음의 발화와 유성음(voiced) 개념이 없는 한국어의 파열음 발화가 어떻게 발음이 실현되는지를 음향음성학적으로 비교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대상은 2011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외국어영역과 언어영역에서 출제된 듣기문제 음성파일이다. 본 자료에서 영어와 한국어의 파열음을 추출하였고 두 언어의 파열음 발화에서 나타나는 음향적 특징을 계량적으로 비교하며, 수집한 음성자료는 Praat 프로그램에서 불러들여 파형과 스펙트로그램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먼저 음성파일 데이터들을 음향 분석 프로그램인 Praat6.0.43에 삽입하여 분절한다. 이후 분절된 음들을 기반으로 성대 진동 시작 시간(voice onset time: VOT)과 소리의 세기(intensity), 기본주파수(fundamentalfrequency, F0)등의 값을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도출한 차이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영어 양순음 유성[b]는 한국어 양순음 평음 [ㅂ]과 성대진동시작시간(VOT), 소리세기(Intensity), 기본주파수(F0) 측면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한국어 양순음 격음 [ㅍ]과는 성대진동시간, 소리세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영어 양순음 유성 [b]는 한국어 양순음 격음 [ㅍ]과 기본주파수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서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한편 영어 양순음 무성 [p]는 한국어 양순음 평음 [ㅂ]과 소리세기, 기본주파수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한국어 양순음 격음 [ㅍ]과는 성대진동시간, 소리세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영어 양순음 무성 [p]는 한국어 양순음 평음 [ㅂ]과 성대진동시작시간에서, 한국어 양순음 격음 [ㅍ]과는 기본주파수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서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유무성과 기식을 구분해주는 가장 중요한 음향음성학적 특성으로 성대진동시작시간(VOT)을 가정할 때 위의 결과를 통해 우리는 영어의 [p]는 한국어의 [ㅍ]보다는 [ㅂ]과 더 가깝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영어 치경음 유성 [d]는 한국어 치경음 격음 [ㅌ]에서 성대진동시간 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평음 [ㄷ]과 경음[ㄸ]에서는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리세기에서는 평음 [ㄷ]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격음 [ㅌ]와 경음[ㄸ]에서는 차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주파수(F0) 측면에서는 평음 [ㄷ]과 경음[ㄸ]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격음[ㅌ]는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영어 치경음 무성 [t]는 한국어 치경음 평음 [ㄷ]과 성대진동시작시간(VOT), 소리세기(Intensity), 기본주파수(F0) 측면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격음[ㅌ]는 성대진동시작시간(VOT), 소리세기, 기본주파수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영어 치경음 무성 [t]와 한국어 치경음 격음 [ㅌ]는 음향음성학적으로 차이가 없고 매우 유사한 발음이 실현 된다고 볼 수 있겠다. 한국어 치경음 경음 [ㄸ]는 성대진동시간, 기본주파수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소리세기(Intensity)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어 연구개음 유성 [g]는 한국어 평음 [ㄱ]과 성대진동시작시간(VOT), 소리세기(Intensity), 기본주파수(F0) 측면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한국어 연구개음 격음 [ㅋ]과는 성대진동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소리세기, 기본주파수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영어 연구개음 무성 [k]는 한국어 연구개음 평음 [ㄱ]과는 성대진동시작시간(VOT), 소리세기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기본주파수(F0)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국어 연구개음 격음 [ㅋ]는 성대진동시작시간(VOT)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소리세기(Intensity), 기본주파수(F0) 측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흥미로운 부분은 영어 발음 조음방법에서 다른 세 가지(양순, 치경, 연구개음)와 조음방식(유성, 무성)이 [b]와 [p], [d]와 [t] 그리고 [g]와 [k]는 VOT에서 차이를 나타냈으며, Intensity, F0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음소의 변별이 VOT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oustic-phonetic characteristics of the stops in Korean and English and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stops between the two languages in order to suggest implications in improving the second language pronunciations. The consonants of Korean and English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lace and manner of articulation. The Korean consonants are classified into the plain, tense and the aspirated on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spiration while the English consonants are classified into the voiced and the voiceless ones. This paper has examined the initial stops in English and Korean and has conducted an acoustic-phonetic comparative analysis on how the stops are articulated between English featuring the voiced stops and the voiceless stops and Korean featuring the absence of voiced stops.   For this, the study has used the audio files intended for the listening comprehension test of both English and Korean as part of the 2011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e study has extracted the stop sounds of English and Korean, conducted quantitative comparison of their acoustic-phonetic characteristics in both languages in terms, and analyzed the collected audible data based on the waveform and spectrogram obtained through the Praat software. More specifically, the audio files have been split into segments using the acoustic analysis software Praat6.0.43 (Boersma and Weenink 1992-2018) based on which, the voice onset time (VOT), sound intensity (intensity), and the fundamental frequency(F0) have been extracted. The one-way ANOVA has also been carried out using the SPSS program to identify the presence of any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m. First, the voiced bilabial stop [b] in English has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lax bilabial sound [ㅂ] in Korean in terms of voice onset time (VOT), sound intensity, and fundamental frequency(F0), a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aspirated bilabial stop [ㅍ] in Korean in terms of voice onset time (VOT) and sound intensity. However, the voiced bilabial stop [b] has shown to be similar to the aspirated bilabial stop [ㅍ]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fundamental frequency(F0). Meanwhile, the voiceless bilabial stop [p] has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lax bilabial sound [ㅂ] in terms of sound intensity, and fundamental frequency, a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aspirated bilabial stop [ㅍ] in terms of voice onset time and sound intensity. However, the voiceless bilabial stop [p] has shown to be similar to the aspirated bilabial stop [ㅍ]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fundamental frequency. Assuming that the VOT is the most deterministic acoustic-phonetic factor that distinguishes between voiced and voiceless as well as aspiration, the results above demonstrate that [p] in English is closer to [ㅂ] than [ㅍ].  Next, the voiced alveolar stop [d] in English has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voiceless aspirated alveolar sound [ㅌ] in Korean in terms of voice onset time. However, the former has shown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both the lax alveolar sound [ㄷ] and the alveolar fortis [ㄸ]. The study has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lax alveolar sound [ㄷ] in terms of sound intensit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aspirated alveolar sound [ㅌ] and the alveolar fortis [ㄸ]. When it comes to the fundamental frequency, a significant difference has been found from both the lax sound [ㄷ] and the fortis [ㄸ].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has been found from the aspirated alveolar sound [ㅌ]. Meanwhile, the voiceless alveolar stop [t] in English has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lax alveolar sound [ㄷ] in Korean in terms of voice onset time (VOT), sound intensity, and fundamental frequency(F0)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all from the aspirated sound [ㅌ] in terms of voice onset time (VOT), sound intensity, and fundamental frequency(F0). In other words, there are no acoustic-phonetic differences between the voiceless alveolar stop [t] and the aspirated alveolar sound [ㅌ] and both produce very similar pronunciation. The [t] has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Korean alveolar fortis [ㄸ] in terms of voice onset time and fundamental frequenc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sound intensity. In addition, the voiced velar stop [g] in English has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lax stop [ㄱ] in terms of voice onset time (VOT), sound intensity, and fundamental frequency(F0) a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velar fortis stop [ㅋ] in terms of voice onset time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ound intensity and fundamental frequency. Meanwhile, the voiceless velar stop [k] has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lax stop [ㄱ] in terms of voice onset time and sound intensit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fundamental frequency. It has also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velar fortis stop [ㅋ] in terms of voice onset time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sound intensity and fundamental frequency.  What is intriguing is that, when it comes to the place of articulation (bilabial, alveolar and velar) and the manner of articulation (voiced and voiceless), [b] and [p], [p] and [d], and [g] and [k] have shown a difference in terms of VOT but no different in terms of sound Intensity, F0, which indicates that the VOT determines phoneme discrimination.  Admittedly, Korean speakers may pronounce the voiceless stops in English as the aspirated sounds in Korean, and voiced stops in English as tense in Korean, and may not able to accurately distinguish between the voiced and voiceless sounds of stops in English. However, the voiced stops are acoustic-phonetically distinguished from the voiceless stops, raising a need for learning the pronunciation of consonants with emphasis on differentiating their phonetic sounds.

      • 후기수용모델(PAM)을 적용한 관광정보 SNS의 이용동기와 지속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이준욱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온라인 기반 정보획득 채널의 증가는 관광객들이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크게 증가시켰고, 스마트폰의 일상화는 SNS를 통해 여행관련 정보를 탐색하고 활용하는 범위를 더욱 확대시켰다. 따라서 SNS를 통해 관광정보를 이용하는 이용객의 동기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지속적인 이용의사를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후기수용모델을 이용하여 관광정보 SNS의 이용동기와 지속적인 이용의사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관광정보 SNS의 이용경험이 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총 320부의 설문을 회수하여 최종 308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관광정보 SNS의 이용동기는 즐거움, 지식공유, 보상의 3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고, 후기수용모델의 구성요소인 기대일치, 지각된 유용성, 만족, 지속적 이용의도의 4가지 구성요소를 활용하여 인과관계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관광정보 SNS이용동기는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대일치 역시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NS이용동기 중 지식공유 동기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후기수용모델의 구성요인인 기대일치, 지각된 유용성이 만족에 영향을 줬으며, 지각된 유용성보다 기대일치가 만족도를 더욱 크게 증가시키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만족도는 지속이용의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관광관련 SNS의 콘텐츠 개발에 있어, 이용객이 지식공유를 느낄 수 있는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관광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SNS 마케팅 담당자들은 지식공유를 인식할 수 있는 콘텐츠의 제공은 물론, 양질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사이트와 정보가 유용하다는 인식을 높여 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SNS 이용자들은 관광정보를 접하고 난 후 사전에 기대했던 수준과 일치하거나 그 이상을 충족하게 되면, 유용성의 지각을 높게 하는 경향이 있으며, 실제 SNS에 대한 만족도에도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단순한 정보의 제공과 공유에만 집중 할 것이 아니라 이용자들이 어떠한 기대를 갖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기대수준에 충족될 수 있는 정보 및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SNS 채널의 지속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만족도의 향상도 중요하다. 결과적으로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마케터들은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만족뿐만 아니라 실제 여행경험 등 관광활동에 활용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정보의 제공이 필요하며, 공간 내 참여자들 간의 실시간 소통, 할인 및 이벤트 등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을 통해 만족도를 높여 지속적인 이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관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라디오 접속망을 활용한 전술네트워크 트래픽 감소 방안 연구

        이준욱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빠르게 증가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RAN 캐싱 기술이 제안되었다. 현재 군의 C4I 체계를 활용하기 위해서 많은 수의 정보 자산을 도입하고 이를 전투구성원들에게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정보 유통을 담당하고 있는 TICN 체계가 원활히 데이터를 유통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TICN 체계는 음성 및 문자, 소규모 데이터를 송/수신하였지만 점점 정보 요구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용량 멀티미디어의 송/수신이 필요하게 되었다. TICN 체계의 무선 자원이 한정적 이기 때문에 이러한 요청을 대비하여 효율적인 트래픽 운용을 위해서 RAN 캐싱 기술을 도입한 시나리오를 생각해보았다. MSAP과 HCTR에 RAN 캐싱을 장착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대해서 캐싱이 적중하였을 때 바로 서비스할 경우네트워크 전체 트래픽의 감소와 사용자 서비스 시간의 감소에 대해서 살펴보았 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C4I 체계는 군의 동일한 전장 상황의공유라는 목적 하에 운용되는 체계이기 때문에 공통된 데이터의 요청이 많을수 밖에 없기 때문에 RAN 캐싱이 더욱 더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States of Amygdala Synapses during Fear Memory Acquisition and Extinction : 편도체 시냅스에서 공포기억 형성과 소거기전의 : Distinct Plasticity Mechanism and A New Role of Aβ1-42 in Amygdala

        이준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Different plasticity mechanisms have been found at input synapses onto the lateral amygdala (LA), a storage site for auditory fear memory, but the roles of each plasticity mechanism have not been fully understood yet. Here I report that fear conditioning with two different auditory cues (2.8-kHz vs. white noise) recruit distinct plasticity mechanisms at cortico-lateral amygdala synapses (C-LA), eventually producing dissimilar modulations of conditioned fear memory in the two groups of conditioned animals. Fear conditioning with the two tones occluded different forms of long-term potentiation (LTP) at C-LA synapses in a mutually exclusive manner. In accordance with this finding, conditioning with a 2.8-kHz tone (but not with white noise) recruited calcium-permeable AMPA receptors (CP-AMPARs) at thalamo- and cortico-LA synapses. In support of this, conditioned fear from 2.8-kHz tone (but not with white noise) was erased by reconsolidation update, a specific variation of fear extinction known to require pre-inserted CP-AMPARs for its memory-erasing effect. Distinct plasticity mechanisms, which are recruited by conditioning with different auditory cues, thus appear to be crucial for subsequent modulation of conditioned fear. The soluble oligomer Aβ1-42 is well known to be capable of destroying memory. Numerous studies had already conducted experiments on impaired memory process, change in synaptic plasticity (e.g., impaired LTP and enhanced LTD) and reduced spine morphology by the effects of Aβ1-42. The precise mechanism by which soluble oligomer Aβ1-42 affects auditory fear conditioning, however, remains unknown; hence,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xistence of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β1-42 and auditory fear conditioning. Surprisingly, soluble oligomer Aβ1-42 facilitated fear extinction, while impairment of auditory fear acquisition, consolidation, or reconsolidation was not observed. Furthermore, FcγRΙΙb, a receptor of oligomer Aβ1-42, was crucial for fear extinction. These studies suggest that Aβ1-42 is involved in the mechanism of fear extinction. In addition to suggesting a new physiological role of Aβ1-42, the findings from these studies might also aid in the development of drugs against PTSD.

      • 딜레마 죤에 따른 단속 허용범위에 관한 연구

        이준욱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신호교차로에서의 딜레마 죤 범위를 산정하고 신호위반 단속의 허용 범위를 분석하는데 있다. 각 교차로 접근로별 조사 자료를 토대로 딜레마 죤의 범위를 산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신호위반 단속에 있어 딜레마 죤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딜레마 죤에 관한 연구에서는 인지-반응 시간과 황색신호시간을 Default값으로 적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해당 교차로의 조사치를 적용하였다. 조사 방법으로 속도조사는 스피드 건을 이용하여 각각의 대상 교차로별 접근로에서 접근 속도 및 통과 속도를 조사하였으며, 운전자의 인지-반응 시간 및 황색신호시간에 교차로를 통과하는 차량조사는 비디오촬영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된 자료를 토대로 신호위반 단속기준에 맞추어 딜레마 죤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딜레마 죤은 최소정지거리(d。)가 최대통과거리(dc)보다 클 때 존재하는 것으로 보았으며, 그 차이만큼의 딜레마 죤이 발생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이에 신호위반 단속을 함에 있어 딜레마 죤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3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황색시간을 재조정하는 방안 둘째 딜레마 죤의 크기만큼 자기감응식 검지기를 정지선 내부로 이동시키는 방안 셋째 딜레마죤 범위를 고려한 자기감응식 검지기의 단속 시작시간을 재조정하는 방안 그러나 각각의 방안을 개별적으로 적용시킬 경우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자기감응식 루프검지기의 위치를 재조정함에 있어 하나의 루프 검지기를 정지선 이후에 존재함과 동시에 황색신호시간을 재조정하거나, 자기감응식 루프검지기의 작동시간을 재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교차로를 비교대상으로 선정하여 각각의 교통환경에 따른 접근로별 딜레마 죤의 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보다 광범위한 조사와 함께 교통류 특성에 따른 루프 검지기 위치 및 단속시간 허용범위의 표준화 작업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신호교차로에서의 딜레마 죤의 범위는 접근속도, 인지-반응시간, 황색시간, 교차로폭 등 여러 가지 변수들의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변수들의 변화에 따라 딜레마 죤의 범위도 여러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대부분의 딜레마 죤 관련 연구 자료들을 살펴보면 All-Red 신호의 운영, 황색신호시간의 재설정 등 신호 운영적인 측면에서의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전부이다. 또한 딜레마 죤 범위산정에 있어 인지-반응 시간, 감속도 등 여러 가지 변수들을 Default값으로 설정하여 분석하고 있다. 이는 각 교차로의 기하구조 및 환경 조건에 따른 영향을 전혀 고려하지 못한 이론적인 분석이 될 뿐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통사고 및 과속방지를 위하여 신호교차로에 대하여 다기능단속기계를 이용하여 신호 및 과속에 대한 단속을 강화함으로써 올바른 교통문화를 정립하려 하고 있다. 하지만 차량의 접근속도를 줄이는 효과는 있지만, 교차로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관된 기준으로 단속을 함에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각기 다른 교차로별 접근로 상에서 딜레마 죤에 대한 연구 없이 루프의 위치를 균일적인 설치기준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차로별 딜레마 죤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딜레마 죤 설정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함과 동시에 딜레마 죤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신호위반 단속의 허용범위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scope dilemma zone at the signal intersections where the traffic violation vehicles running at red light are existing. Based on the collected data on each approach lane, the ranges of dilemma zone are calculated, and the appropriate relocation of inductive loop detector is proposed to minimize the dilemma zone. The dilemma zone is calculated using the perception-reaction time and yellow time as a default value. The approaching speed and pass through speed on each approach lane by using speed gun are examined and the driver's perception-reaction time by using video photography is checked out. The result of analyzing above data tells that stopping distance(d。) is determined by yellow time and the scope. So the effect of dilemma zone is minimized by reducing the gap between d。and dc through readjusting the yellow time. It is analyzed that perception-reaction time and approach speed have an major effect on the scope of clearing distance.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proposes the relocation of loop detector to make dc extremely close to d。. Namely the fixed standard of loop installation has many problems because current location of inductive loop detector for red light running enforcement is installed 6.8m apart from the stop line. Finally, this study proposed appropriate method adjusting the location of loop to eliminate the dilemma zone on each approach lane.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future study will be conducted to standardize the location of loop detector for red light running enforcement based on the other traffic parameters.

      • 현대춤에 나타난 미니멀리즘 연구 : 안느테레사 케이르스마커의 작품 [Fase]를 중심으로

        이준욱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미니멀리즘의 개념을 이해하고 예술적 특성을 연구하여 안무가 안느 테레사 드 케이르스마커(Anne Teresa De Keersmaeker)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무용에서의 미니멀리즘은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살펴보고 이해하는데 목적을 둔다. 1960년대를 기점으로 문화 예술전반에 나타난 미니멀리즘은 후기 현대무용에 새로운 춤 형태를 제공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이 시기의 여러 방법론 중 등장한 미니멀리즘은 무용예술의 본질적 구성 요소들 중에서 움직임에 가장 큰 변화를 가져왔는데, 특히 현대무용은 움직임 이외의 요소들을 부정하거나 제거하였으며 표현 가능한 순수 본질인 신체 움직임만을 추구하였다. 이 중 벨기에에 현대무용 존재가 희미했던 상황에 변화를 가져다 준 안무가 안느 테레사 드 케이르스마커(Anne Teresa De Keersmaeker)는 미니멀리즘을 무용예술에 적용하여 포스트모던댄스의 미니멀리즘적 성향을 계승하고 나아가 춤의 부재라는 한계를 극복하여 미니멀리즘의 새로운 형태의 안무 방식을 정착시켰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녀의 「Fase(파세)」에서 네 작품 <Piano Phase>, <Come Out>, <Violin Phase>, <Clapping Music>을 구성, 움직임, 청각적 요소, 시각적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그녀는 미니멀리즘의 특성을 안무방식에 적용시켜 주로 움직임과 구성, 음악 등에서 단순성과 반복성 등 실험적인 방법과 특히 의미성이 배제된 춤과 미니멀 댄스에 주목하고, 구성과 구조에 감정적 요소를 가미해, 스토리나 줄거리 전개를 부정하면서 무용에서의 움직임이 주제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무용예술은 극성이 강조되고 타 장르의 결합을 지향하면서 움직임에 대한 탐구의 기회를 갖지 못하는 현대의 흐름 속에서 안느 테레사 케이르스마커의 순수한 신체 움직임에 대한 안무방식의 접근은 무용이 갖는 독창적 특성인 움직임의 본질에 대한 근원적 탐구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무용예술 분야가 창작 작업의 다양성과 변화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핵심적 역할로 무용 언어의 독창성을 뿌리내릴 수 있도록 새로운 반향점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작업임을 제언하는 바이다.

      • 본인의 작품분석을 통한 자기인식의 확장

        이준욱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인의 작품분석을 통한 자기인식의 확장 이 준 욱 영남대학교 대학원 조소학과 조소학전공 지도교수 김 희 성 본 연구는 꿈, 꿈 작업, 무의식 방어기제 등의 정신분석이론을 작품표현과 분석에 바탕으로 활용하여 본인의 내면세계를 이해하고 나아가 자기인식을 확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한다. 랑크(Otto Rank, 1884.4.22~1939.10.31)와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5.6~1936.9.23)의 예술작품분석의 견해들을 근거로 본인은 ‘정신분석이론’의 개념들을 본인의 작품과 작업에 적용하여 작품표현의 배경과 사고의 흐름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작품을 분석하고자한다. 본연구의 목적은 내면으로부터 창조된 작품들의 창작배경을 알아내고 이를 ‘정신분석학’적 측면에서 해석,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본인의 내면세계에 대한 이해를 도출해내는 것이다. 정신분석적인 관점에서 작품을 분석한 결과 꿈, 무의식, 방어기제의 작용에서 작품표현배경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조형, 예술적 관점에서 작품에 나타난 조형요소를 분석한 결과 작품세계의 특징과 주제의식의 표출방식을 도출할 수 있었다. 조형적인 관점과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작업과정을 분석해내어 작품표현의 사고과정과 인간의 내면세계의 긴밀함을 설명한 것은 본 연구의 성과이다. 인체와 상징물은 작품의 주제의식을 드러내기 위해 등장하는 소재이다. 작품분석을 통해 인체는 본인의 자아를 투영한 대상으로 등장함을 알 수 있었으며 상징물들은 자아에 내제된 욕망을 실현 해주는 계기가 되는 매개체로 작품에 등장함을 알 수 있었다. 선, 빛, 오브제로 요약되는 본인의 조형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각 조형요소의 특징과 기대되는 효과에 관하여 논 할 수 있었으며 이는 작품의 조형적, 예술적 완성도 확보에 활용될 것이다. 꿈, 꿈 작업, 무의식, 방어기제는 작품표현의 과정을 설명함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자아의 소원성취 기능에 있어서 꿈과 작품은 긴밀한 관계를 지니며 꿈 작업에서의 사고과정은 작품표현과정과 매우 유사한 과정을 보여 준다. 무의식은 작품표현의 배경이 되는 자아의 일부로 무의식이 가지는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작품분석이 진행될 수 있었다. 방어기제는 무의식과 꿈의 작용이 작품으로 발현되는 출구로 작용한다. 본인작업의 목적과 당위성은 자아와 무의식의 소통시도에서 확인되며 그 결과로서 자기인식의 확장이 도출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스스로의 작품분석과정을 통하여 내면세계에 대한 이해를 견고히 한 것이다. M. A. Thesis Expansion of self awareness through analyzing my work Lee Jun-Wook Major in Sculpture Department of Sculpture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 Hee-Sung Abstract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understanding of my inner world and the process of expanding self awareness by applying psychoanalytic analysis such as dream, dream work, unconsciousness, and defense mechanism to analyzing works . Based on the theory of Otto Rank (1884.4.22~1939.10.31) and Sigmund Freud (1856.5.6~1936.9.23), I analyzed the work by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representation of the work and thought stream and applying psychoanalytic analysis to my work. This study aims to draw the understanding of my inner world by finding out the background of creating works that were created from my inner world and interpreting and analyzing it from the viewpoint of 'psychoanalytic analysis'. Background of representation could be drawn in dream, unconsciousness and defense mechanism by analyzing works from the viewpoint of 'psychoanalytic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works and representation mode of thematic consciousness could be drawn by analyzing formative elements represented in the work from the viewpoint of formative ar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is study explains th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thought process of representation and human inner world by analyzing creating process from the viewpoint of psychoanalytic analysis and formative arts. Body and symbols are materials that are used to represent thematic consciousness of works. It was found that my body reflected my ego and symbols served as medium that became opportunity to realize the desire that was inherent in ego by analyzing works. I could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formative elements and expected effects by analyzing my formative elements that are represented by line, light and objet and it will be applied to improve artistic and formative completeness. Dream, dream work, unconsciousness and defense mechanism are important elements in explaining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of works. In function of wish-fulfillment of ego, dream had close relationships with works and thought process in dream work showed very similar process to that of representation of works. Analysis of the work was conducted by considering unconsciousness as a part of ego that became background of representation of the work. Defense mechanism served as the exit in which unconsciousness and dream were represented as the work. The objective and justification of my work can be identified in attempt to communicate between ego and unconsciousness and as a result, expansion of self awareness can be draw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understanding of inner world can be improved through work analysis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