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공간구조의 변화와 지가변동에 관한 연구 : 원주시의 택지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이주희 강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이 도시공간에 어떠한 구조적 변화를 주었는가를 분석하고 도시공간구조의 변화가 지가에 어떠한 변화를 주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와 시간적 범위는 강원도 내에서 택지개발사업이 가장 활발히 진행된 원주시를 대상으로 1990년부터 2007년까지이다. 연구의 방법은 도시공간구조 변화를 Space Syntax 방법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Space Syntax는 공간구조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전체통합도, 국부통합도, 공간구조명료도 등의 지표로 수치화하는 방법론으로 시계열적인 도시공간구조의 변화를 가시적으로 보여 주는 프로그램이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먼저 원주시내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도시 전체의 공간구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하고, 대규모 택지개발사업들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도심에 대한 공간구조 분석을 재실행함으로 공간의 중심성 이동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도심 내 중심성 이동에 의하여 지가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조사하였다. 중심성은 전체통합도 상위 3%의 중심지역을 설정하여 파악하였으며, 지가는 표준지공시지가를 이용하여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택지개발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1990년부터 2007년까지 원주시의 공간 수, 전체통합도, 국부통합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공간 수가 증가하는 것은 도시공간이 외연적으로 점차 확장되었음을 의미하며, 전체통합도와 국부통합도의 증가는 지속적인 도시공간의 확장으로 인하여 도시의 전체적인 접근성 및 일정공간과 주변지역과의 국부적인 접근성 모두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공간구조명료도는 공간에 대한 인지도와 예측률, 체계적인 이용 등을 알 수 있는 지표인바, 1996년 일시적인 하향값을 나타냈다. 이런 현상은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한 도시공간이 평면적 확산되어가는 단계에서 공간의 수가 증가하고 복잡해지는 과정을 거치므로 공간에 대한 인지도나 예측률이 일시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2002년부터 다시 공간구조명료도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볼 때 도시전체의 공간이 안정되었음을 시사한다고 사료된다. 특히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한 공간구조의 변화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원주시 도심을 1990년과 2007년의 두개의 시점으로 나누어 재분석한 결과, 1990년의 원주시는 중앙로를 중심으로 중앙동 일대의 시가지가 공간의 중심성을 가졌다. 그러나 2007년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이 이루어진 단계동, 무실동, 단구동 일대인 원주시 남서부로 중심성이 이동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지가변동을 분석한 결과, 1990년의 중심지역인 구시가지의 지가수준이 2007년에도 높은 가격수준을 나타내고 있지만, 구시가지의 지가상승률보다 신중심지의 지가상승률이 원주시 전체의 지가상승률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해 새롭게 형성된 중심지역이 도시공간구조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이는 지가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이 도시공간구조를 물리적으로 변화시킴은 물론 중심성을 이동시키고, 이러한 이동은 당해지역의 지가변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supposed to analyze what kind of structural change do large-scale works for developing building land bring to city space and examine what kind of city structure's change affects land price. The study's spatial and time range is from 1990 to 2007 when works for developing building land targeting Won-ju city in Kangwon province was progressed most actively. This study analyzed change of space structure by using Space Syntax methodology. Space Syntax is a methodology charting global integration, local integration, intelligibility and other index by analyzing the feature of space structure quantitatively. It is also a program that visually shows time series change of city space structure. The range of study's contents contains analyzing how the space structure of entire city was changed as works for developing building land in Won-ju city go on and grasping the transfer of space's nucleus by re-implementing space structure analysis about a city's central place that was influenced by large-scale and focused works for developing building land. Also, it studied what change does land price bring related with transfer of space's nucleus in the city. The nucleus was grasped by setting top 3% central place of global integration. Land price's change was analyzed by using standard land price of declared value. As a result of the study, we can know the fact that the number of space, global integration and local integration of Won-ju city was rising gradually from 1990 to 2007, when works for developing building land was started actively. Increased number of space means that city space was expanded gradually. We can also know that city's entire and surrounding areas's all local integrative accessibility was enhanced due to continuous expansion through raising global integration and local integration. However, as the fact that intelligibility is an index allowing to know the level of recognition, percentage of expectation, systematic use and others, it temporarily showed downtrend. This phenomenon seems that the level of recognition and percentage of expectation to space was temporarily diminished because it experiences the process raising the number of space and being complicated at the stage that city space is horizontally expanded as a result of works for developing building land. However, due to the fact that intelligibility has been raised since 2002,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whole space of city was stabilized. Particularly, as a result of re-analysis separating Won-ju city's downtown area to double point of time, 1990 and 2007, to effectively know the change of space structure resulted from works of developing building land, Won-ju city acquired spatial nucleus in 1990 especially at the town around Joongang village which is located in the middle of Joongang avenue.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data in 2007 when large-scale works of developing building land were implemented, we can see the tendency that the nucleus move to southwestern Won-ju which is around Dangae village, Moosil village and Dangu village. Moreover, as a result of analyzing fluctuation of land price, the land's value of old town is still high in 1990, however, increasing rate of new central place is higher than that of old one and it is also higher than the rate of entire Won-ju city. This phenomenon let us know that central area which is newly constructed through works of developing land reacts sensitively to the change of city space structure and it immensely affected change of land price. This study found not only large-scale works of developing building land physically changes structure of city space, but also it moves nucleus and the move immensely affects fluctuation of concerned area. In this context, the study is significant.

      • 벼 논에서 가축분 퇴비 시용이 암모니아 휘산에 미치는 영향 및 배출 기작 구명

        이주희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Livestock manures have been broadly usedinagriculture sectors forimproving soilproductivity and quality. However, intensive manure applicationscan significantlyenhance soil nitrogen (N) availability, whichmay facilitate ammonia (NH3) volatilization as a major pathway of Nloss during rice cultivation. However, the effectsof different livestock manure applications on NH3volatilization rate, its mechanism,and their relationships have not been investigated well so far. In this study, thefieldtrial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NH3volatilization by using a static chambermethod with a phosphoglycerol-soaked sponge in rice paddy soilamendedwithdifferentlivestock manures such as cattle manure (CM) and swine manure (SM) at therate of 0 (NPK only as acontrol), 10, 20, and 40 Mg ha-1during cultivation. Moreover, soil physico-chemical andbiological propertiesincluding extractable Ns and ureaseactivity, as well as Nuptake from rice plant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ultra-fineparticulate matter (PM2.5) wa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measured by the annular

      • 분식회계와 부실감사, 그리고 피해투자자들의 손해배상소송; ㈜비엔디 사례를 중심으로

        이주희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비엔디는 동물용 사료 및 조제식품의 제조, 판매 및 수출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법인으로써 2001년 6월 코스닥 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고, 2010년 1월 회계처리기준 위반과 계속기업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코스닥 상장이 폐지되었다. 이 과정에서 2009년 11월 증권선물위원회의 감리를 받게 되었고 투자선급금 및 지분법적용투자주식의 과대계상 등의 지적을 바탕으로 과징금, 감사인 지정, 전 대표이사 해임권고상당, 담당임원 해임권고 및 전, 현직 대표이사 검찰고발 등의 조치가 취해진다. 비엔디의 사례는 상장폐지된 회사에 대한 책임을 증권선물위원회의 감리결과와 조치를 기반으로 경영자와 외부감사인에게 투자자들이 손해배상을 청구한 소송이다. 이처럼 최근 감독당국의 감리결과와 조치를 바탕으로 경영자뿐만 아니라 외부감사인의 법적 책임에 대한 투자자의 손해배상소송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외부감사인의 법적 책임에 대해서는 피해자와 법원과 회계업계 간에 권한과 책임부분에 대해서는 입장차가 존재하고 있고 이는 당분간 논의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비엔디의 사례를 바탕으로 상장폐지 예상기업에 대한 엄격한 감리의 필요성과 투자자들의 감사보고서 활용에 있어서의 감사위험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을 비엔디의 사례를 바탕으로 연구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비엔디의 분식회계 발생과정과 그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외부감사 회계법인의 부실감사 내용과 그 문제점과 한계점을 살펴보며, 피해투자자들의 손해배상 소송과정과 어떤 이유로 원고인 투자자들이 패소하였는지 그 결과를 서술한다. 결론적으로 비엔디와 같이 상장폐지를 앞둔 회사들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식회계를 할 가능성이 높으며, 외부감사인은 고유한계로 인하여 이를 단기간에 찾아내기란 어려움이 있어 상장폐지 예상기업에 대한 엄격한 감리가 필요하다. 또한 증권선물위원회의 조치결과를 기반으로 손해배상소송을 진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원고는 패소하였다. 이처럼 투자자들은 감사보고서 활용에 있어서도 충분한 감사위험을 인식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BND Co,.Ltd.(Below BND) is a company established in 1992 that was purposed to produce, manufacture and sell fodders. The company enters to a bio-industry in 2000, and it was listed on KOSDAQ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 in 2001. BND was delisted in 2010, because of the violation of the Korean Accounting standards and the going concern assumption. In this process, BND was supervised by the Securities & Futures Commission(SFC) which ascertained some of accounting frauds such as the advance payments and the overestimated equity method investments in the financial statement resulting to dismissal suggestions against the previous representative directors, newly appointed external auditors, and the past and current directors of the board and the imposition of penalties as a part of legal actions. The BND lawsuit is the representative the case that investors took a legal action against not only the invested company, but also the external auditor based upon the result of the SFC's audit review. Like this BND case, the investors' lawsuits for financial damages have been recently increasing against financial managers as well as the external auditors in accordance with authorities' audit review. Because opinions regarding the legal responsibilities of external auditors differ have between victims, courts and external auditors, the controversy will be expected to continue for some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the strict management for the expected delisting firms and the necessity of the recognition of the audit risk when the investors use the external audit reports based on the BND’s case. In addition, it explains that the process of committing accounting fraud by BND in detail, poor inspections by the external auditors, its limitations and processes and the result of law-suit raised by investors. In conclusion, external auditors need a more to be stricter management to the expected de-list companies because they have a higher possibility to attempt the fraud accounting in many ways, whereas the external auditors are hard to find the frauds in a short period of time due to the their innate limitations. BND's investors lost in their lawsuit although their claims were based on the SFC’s audit review. The BND case suggests that the interested parties using the external audit report should sufficiently recognize risk of the external audit.

      • 피보나치와 루카 수열의 쌍곡선 함수

        이주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shows how numbers of the Fibonacci sequence and the Lucas sequence lie on the hyperbolic graphs in two and three-dimensional graphs using Binet's formula. We study the sequences by expanding the range of the domain. We were also able to specifically prove the hyperbolic functions formula. As a result, we were able to investigate the rules of the hyperbolic functions formula. 본 논문은 비네공식을 이용한 피보나치 수열과 루카 수열의 일반항을 조사하여 2차원과 3차원에서의 쌍곡선의 그래프 위의 점들로 나타내보고 정의역의 범위를 확장하여 연구한다. 피보나치와 루카 수열을 이용하여 쌍곡선 함수의 식이 어떻게 표현되는지 증명을 통해 구체적으로 구한다. 또한, 쌍곡선 함수식의 규칙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본다.

      • 기하학적인 물체에 대한 형태 변환 알고리즘

        이주희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Morphing, a technique which transforms one shape into another,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fundamental operations in computer graphics, and is a key technique that makes all the computer animation possible. Many morphing algorithms have been developed. Most of them currently used in the field of computer graphics use mathematical functions to model given objects, assign corresponding points to be used for morphing between two objects, and finally interpolate the parameters of the corresponding points. Consequently, a tremendous amount of calculations involving complex functions is inevitable in order to represent the deformation of objects. Furthermore, these morphing algorithms, as a result of exclusivel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responding points, tend to easily violate the global properties of a given object, although the geometry of the interpolated shape remains faithful locally to the original shape. To overcome such problems, numerous alternatives have been proposed, such as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pre-existing functions or adopting new mathematical functions. There was also an attempt to solve these problems using geometric approach, that is, morphing one polygon into another using binary tree operations. In this method, proposed in 1994, a polygon was represented as binary trees and morphed through the rotation operation of binary tree, but the object was restricted to the side-parallel polygons, which have the same number of sides and whose corresponding sides are parallel. In this thesis, we propose three new morphing algorithms. In the algorithm Quad_Morphing, we construct quad trees to represent the two dimensional objects, and morph them through the general operations of quad trees. Quad tree, the hierarchical structure based on the principle of recursive decomposition of planes, is appropriate for the representation of two dimensional image data. The algorithm Triangulation_Morphing uses the triangulation of a polygon. Triangulation is a planar subdivision in which all bounded regions are triangles. We define a new concept, the similar triangulation, to morph between two simple polygons. Finally, the third algorithm Mono_Morphing uses the decomposition of linear monotone polygons. To maintain the original shape of the polygons, we decompose the given polygon into linear monotone polygons and morph the given polygon us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linear monotone polygons. The proposed algorithms were implemented and visualized with graphic library. We found that the two algorithms using triangulation can produce valid polygons in every step of the deformation process and the algorithm using quad trees are applicable to all 2 and 3 dimensional objects. 형태 변환(morphing)이란 하나의 물체를 다른 물체로 바꾸어주는 일련의 과정을 보여주는 기법으로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는 그래픽 특수 효과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기법은 현재 컴퓨터로 처리되는 모든 애니메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이기도 하다. 현재까지 많은 종류의 형태 변환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형태 변환의 기법들은 주어진 물체를 수학적인 함수를 사용하여 모델링하고 두 물체 사이에 변환의 기준이 되는 대응점들을 지정하여 이러한 대응점 사이의 변환 과정을 함수의 계산을 통해 일일이 보간(interpolation)하는 방법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복잡하고 많은 함수의 계산을 하지 않을 수가 없다. 이러한 방법들은 대응점간의 관계를 중요하게 고려하기 때문에 국부적으로는 적합한 결과이지만 전체적으로 물체의 특성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대안들이 개발되고 있다. 대부분의 해결 방법은 기존의 함수를 변형시키거나 개선시키는 방법, 혹은 새로운 개념을 가지는 함수를 도입하는 방법들이다. 그러나 기하학적인 관점에서 물체간의 형태 변환을 시도하여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연구가 시도되었는데 이진 트리를 사용하여 두 개의 다각형간의 형태 변환을 유도하는 새로운 방법이었다. 1994년에 발표된 이 방법에서 대상으로 하는 두 물체는 다각형이었고, 각 다각형을 이진 트리로 표현하여 이진 트리의 회전 연산(rotation operation)을 사용하여 형태 변환을 하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 알고리즘에는 대상이 되는 두 개의 다각형이 일반적인 단순 다각형이 아니라 서로 대응하는 각 변이 모두 평행한 특수한 경우의 다각형(side-parallel polygon)으로 제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알고리즘에서 가지고 있던 문제점인 제한적인 다각형에서 그 대상을 확장하여 모든 단순 다각형에 적용이 가능한 형태 변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실제로 많은 물체들을 컴퓨터 내부에서 처리하기 위해서 2차원 물체인 경우는 다각형으로, 3차원 물체는 다면체, 혹은 다각형 메쉬로 근사(approximation)하는 방법을 사용한다는 현실을 고려할 때 일반적인 단순 다각형에 대한 형태 변환 알고리즘은 곧 모든 물체로 확장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의미가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이 사진 트리(quad tree)를 이용한 방법이다. 2차원 물체를 사진 트리로 구성하고 사진 트리의 연산을 사용하여 두 물체 사이의 형태 변환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사진 트리는 2차원 평면상의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 자료구조이다. 일반적으로 2차원 이미지는 픽셀의 집합으로 된 메쉬 상에 주로 표현되는 것을 고려할 때 이러한 메쉬를 재귀적으로 분할하여 얻을 수 있는 사진 트리는 2차원 물체를 처리하기에 아주 적절한 형태의 자료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이 알고리즘은 사진 트리의 삼차원 확장인 팔진 트리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3차원 물체에 모두 적용이 가능한 형태 변환 알고리즘으로 확장되었다. 두 번째로 생각해 본 접근 방법은 다각형 자체의 특성을 이용하는 삼각 분할을 이용하는 것이다. 삼각 분할이란 점 집합, 다각형, 혹은 다면체 등의 대상을 분할 후의 인접 영역이 정점이나 저차원의 면만을 공유하도록 삼각형 혹은 사면체로 분할하는 것이다. 특별히 본 논문에서는 유사 삼각 분할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여 이를 사용한 형태 변환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형 단조 다각형 분할 기법을 사용하는 형태 변환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다각형의 모양을 잘 유지하기 위해서 주어진 다각형을 일정한 성질을 갖는 부분 다각형으로 분할한 후에 그 부분 다각형들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형태 변환을 유도하는 알고리즘이다. 각 알고리즘은 실제로 구현하고 그래픽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가시화 하였다. 삼각 분할을 이용한 두 개의 알고리즘은 변환 과정에서 언제나 적합한 형태의 다각형을 생성할 수 있고, 사진 트리를 이용한 알고리즘은 2차원과 3차원의 모든 물체에 제한 없이 적용이 될 수 있다.

      • PRECEDE 모형을 이용한 중고등학교 보건교육의 요구도 진단

        이주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논문에서는 PRECEDE 모형을 이용하여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의 보건교육에 대한 요구를 총체적으로 진단하였다. 또한 중학생과 고등학생이 경험한 건강에 관련된 문제를 파악하고,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통하여 중, 고등학생들의 삶의 질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건강 증진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 이를 위하여 PRECEDE 모형의 1~4단계 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총 중학생 412명, 고등학생은 57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삶의 질 및 건강 문제를 탐색하는 사회적 진단과 정신적, 신체적 건강 문제를 탐색하는 역학적 진단, 건강행위의 실천 수준 및 건강위해행위에 대한 행위적 진단,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진단의 4가지 진단 단계를 수행하였다. 교육적 진단에서 소인성 요인은 건강 문제 예방을 위한 건강 행위 실천에 대한 자신감의 척도를 측정하고, 강화 요인은 학생이 지각한 부모님의 관심도와 부모님의 건강지식 수준 척도를 측정하고, 촉진 요인은 사회적 건강, 정신적 건강, 신체적 건강, 약물 및 성과 관련된 보건 교육 내용을 측정하였다. 결과 : 우리나라 중학생과 고등학생 사이에 삶의 만족도에 대해 평균 차이 유무를 검증해본 결과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험빈도가 높은 삶의 문제는 중학생의 경우 진로 문제 및 가까운 친구와의 불화였고, 고등학생의 경우 진로 문제와 공부가 적성에 맞지 않는 것이었다. 가정생활의 문제 경험 빈도에서 고등학생이 경험한 빈도가 대체적으로 중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교생활의 문제 경험 빈도에서 고등학생이 경험한 빈도가 대체적으로 중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친구들과의 불화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는 공부가 적성에 안 맞는다는 항목과 교사와의 갈등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친구와의 불화 항목과 진로에 대한 고민항목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정신 건강의 문제 경험 빈도에서 약물복용이나 자살충동 항목에서는 중․고등학생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성에 대한 성충동이나 외모에 대한 불만 항목에서는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는 약물복용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살충동과 외모에 대한 불만 항목에서는 여학생이 성충동 항목에서는 남학생이 각각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신체 건강의 문제 경험 빈도에서 대체적으로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는 대체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음주문제로 인한 고민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고등학생의 정신적 건강문제의 경험수준은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여학생의 정신적 건강문제 경험 수준이 남학생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중학생의 주요 신체적 건강문제는 시력약화, 허리나 등 또는 어깨의 통증, 만성 피로 및 체력저하 순이었고, 고등학생의 주요 신체적 건강문제는 허리나 등 또는 어깨의 통증, 시력약화, 피부 질환 순이었다. 고등학생의 신체적 건강 문제 지각 수준이 중학생의 지각 수준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고등학생의 건강행위 실천수준은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실천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 위해행위 경험빈도에서는 6개 항목모두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중학생의 건강행위 자기효능 수준이 고등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에 대한 부모의 관심도 및 건강지식 수준 역시 중학생이 고등학생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지각된 학교보건교육 학습수준은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교육적 진단변수군과 사회적 진단변수군의 제1정준상관관계는 0.7221이며 유의한 관계였다. 행위적 진단변수군과 사회적 진단변수군의 제1정준상관관계는 0.6861로 유의했다. 역학적 진단변수군과 사회적 진단변수군의 제1정준상관관계는 0.6005로 유의한 관계였다. 결론적으로 PRECEDE 모형의 각 진단 단계가 일방적 인과관계이기 보다는 교육적 진단변수, 행위적, 역학적 진단변수가 사회적 진단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인 것으로 규명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중, 고등학생들의 건강과 삶에 관련된 여러 요인 Objectives : This investigation conducted a comprehensive diagnosis of the health education need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using the PRECEDE model. During the course of this research, we identified health problems experienced b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conducted multidimensional analysis to assess the effects of underlying causes. As a result, we hav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wards a plan for improving the health of students by drawing attention to important factors related to improving quality of life.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1~4 stage of the PRECEDE model. A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Data on 412 middle school students and 575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Four kinds of diagnostic stages were conducted social diagnosis, epidemiological diagnosis, behavioral diagnosis, and educational diagnosis. Social diagnosis looks at the subject’s quality of life, while epidemiological diagnosis looks at their mental and physical health problems. Behavioral diagnosis focuses on executive ability of health and health hazardous behavior, while educational diagnosis is also related to health behavior. For educational diagnosis, level of self-confidence, which is a measure of the subject’s ability to avoid health problems, was measured as a causative factor. Parent’s concerns and level of health related knowledge, which were recognized by students, was measured as a strengthening factor. The school’s curriculum content related to social, mental, and physical health education, along with medication and sex was measured as promoting factor. Results : Mean satisfaction with lif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iddle school students compared to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Contributing issues were parental or societal pressure for high scholastic achievements and subsequent entrance to college, discord with close friend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pressure of tertiary academic achievement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relation to experiencing home-life problems, high school students ranked significantly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esting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within the two groups. In relation to experiencing school-life problems, high school students again ranked significantly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However, behavioral frictions between close friends was not an issue at both schools. Comparative analysis of male and female student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eing expected to achieve higher scholastic honors or disciplinary problems at school. However, for frictions with friends and the pressure to achieve higher scholastic honors, female students ranked higher than male students. In relation to experiencing psychological problem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r drug use or suicide impulsion. However, for sexual urge or dissatisfaction with appearance, high school students presented higher rate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For drug 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while suicide impulsion and dissatisfaction with appearance ranked higher with female students. For sexual urge, male students ranked higher than female students. In relation to experiencing physical health problems, high school student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exhibit symptoms.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revealed that male students presented a higher likelihood of experiencing health problems, although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relation to alcohol consumption. In relation to experiencing mental problem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ut female students presented a higher rate than female students. For middle school students, major physical health issues were eyesight weakening, back or shoulder pain,

      • 귀반사요법을 이용한 두통질환 개선에 대한 연구

        이주희 경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체의학의 한 분야인 귀반사요법을 두통환자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파악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대체요법에 대한 인식, 귀반사요법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 78명을 대상으로 귀반사요법에서 사용하는 기통석을 귀의 두통반응구역에 2-3일 간격으로 10회를 부착한 후 그 결과를 설문지법을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체요법에 대한 일반적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인지도는 88.5%, 이용 경험은 66.7%, 호의적 관심은 82.1%를 나타내었고, 귀반사요법에 대한 일반적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인지도는 83.3%, 치료나 치료보조요법에 적용가능이 79.5%를 차지함으로서 많은 사람들이 대체요법과 귀반사요법에 대해 인지도가 높았으며, 귀반사요법이 대체의학의 한 분야로서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두통질환에 대해 귀반사요법을 10회 적용한 결과, 효과가 있다고 답한 사람이 1회 적용 후에는 38.5%, 5회 적용 후에는 66.7%, 10회 적용 후에는 82.1%로 나타났다. 이는 귀반사요법이 두통질환의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횟수가 증가할수록 효과가 좋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귀반사요법을 적용 받아본 사람의 79.4%는 타인에게도 귀반사요법을 권유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와 같은 귀반사요법은 두통질환 뿐만 아니라 좀 더 체계적으로 연구 개발한다면, 누구나 일상생활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건강증진 및 예방요법으로 더욱 발전시켜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realized the effects of Ear-reflexology by applying it on headache patients, and in the process, researched the perception people have on alternative treatment and Ear-reflexology. After putting Qi-tongseoks on the areas of the ear realted to headaches of 78 adults residing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 or 3 day intervals 10 times, they executed a descriptive study of the results by using questionnaires.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n the general recognition of alternative therapy showed 88.5% recognized the therapy, 66.7% had some experience and 80,2% had favorable interest. The research result of Ear-reflexology showed that 83,3% recognized it, and 79.5% used it as remedy or remedy method. Overall, the recognition rate of alternative therapy and Ear-reflexology was very high. And we could conclude that Ear-reflexology was adaptable in one field of alternative medicine. As a cure for headaches, Ear-reflexology was applied and it was treated for 10 times repeatedly. And after first treatment, 38.5% of applicants answered that it worked. The rate rose to 66.7% after treated five times. And after treated ten times in succession, the rate was 82.1%. This shows that Ear-reflexology does work for headaches, and it is much better if we apply it several times. In addition, 72.4% of the people who have received Ear-reflexology have shown reaction to recommend others the same treatment. Not only can this Ear-reflexology be a method to relieve headaches, but also an easy remedy to improve health, and prevent diseases after in is studied more systema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