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담심리학의 질적 연구를 위한 현상학적 근거이론의 개발과 적용

        이종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d applying phenomenological grounded theory as a new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uitable for counseling psycholog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wo major research questions are presented. First, according to what philosophical paradigms, procedures, and techniques is phenomenological grounded theory as an integrated qualitative methodology suitable for counseling psychology developed and how is this new methodology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phenomenology and grounded theory? Second, when applying the newly developed phenomenological grounded theory to qualitative research of inferiority feeling, what is the theoretical model that enable u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college students' inferiority experience, and what is the methodological differentiation of phenomenological grounded theory? To answe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Research 1 goes through three procedures to develop phenomenological grounded theory. First, by reviewing the history of arguments surrounding the philosophical paradigm, procedures, and techniques of phenomenology and grounded theory, focusing on the main creators and successors of phenomenology and grounded theory, the methodological convergences of phenomenology and grounded theory are confirmed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theoretical sensitivity through the reflective use of researchers' prior understanding. Second, hermeneutic cycle in data collection, analysis. Third, combination between continuous comparison in coding and essential intuition in semantic analysis. Fourth, combination between derivation of critical category in selective coding for constructing theory as the goal of grounded theory and general structural description, comprehensive description, and typicality in phenomenology. Fifth, the pursuit of intersubjective validity in the evaluation of research results. Second, 32 grounded theory-based qualitative studies and 53 phenomenology-based qualitative studies published in the two leading journals of Counseling Research and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in Korea for five years from 2016 to 2020, respectively, are analyzed in ten aspects. Through this analysis, convergences are confirmed as follows. First, research themes. Second, research objectives. Second, hermeneutic cycle or a circular method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rather than an inductive method adopted in most papers. Third, the approach of axis coding of grounded theory that shows the general structure and process of experiences or behaviors of all of participants, and then categorizes structure and process of each participant through process analysis converges with that of Giorgi's each participant's situational structural description and general structural description of all of participants expect except for order. Fourth, selection of participants. Fifth, credibility adopted as common criteria for validating research results To answe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Research 2 conducts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feriority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by applying the philosophical paradigm, procedures, and techniques of the newly developed phenomenological grounded theory. To this end, five college students who are worried about inferiority a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hrough situational structural descriptions and general structural description of all participants, the developmental origin of inferiority experiences, socio-psychological context, the essential aspects of the experience, and the future outlook for overcoming inferiority are revealed. Finally, phenomenological grounded theory-based qualitative research on inferiority experience reveals problems in actual use of existing grounded theory and phenomenology, and shows the way of overcoming these problems. 본 연구1에서는 상담심리학의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 현상학적 근거이론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첫째, 통합적 방법론 개발을 위한 이론적 근거규명 단계로서 현상학과 근거이론이 이론적으로 상호 친화성을 갖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 근거이론과 현상학은 19세기 말 이후 논리 실증주의 방법론에 대한 철학적 비판과 경험 과학적 반성의 산물로 등장했다는 점에서 연구절차나 기법뿐만 아니라 철학적 패러다임에서 두 방법론은 많은 수렴점을 갖고 있다. 더욱이 2000년대 이후 근거이론과 현상학은 최초의 개발자들뿐만 아니라 그 계승자들 사이에서 분화가 일어나고 서로간의 생산적인 논쟁이 있어왔는데 그 논쟁의 핵심은 바로 방법론의 정체성과 관련된 철학적 패러다임에 대한 논쟁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방법론의 등장과 각 진영 내에서 분화와 변화를 둘러싼 논쟁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두 방법론의 철학적, 절차적 그리고 기법적 측면에서 수렴되고 분산되는 면을 정리함으로써 두 방법론의 통합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둘째, 통합적 방법론 개발의 실제적 근거제시 단계로서 근거이론과 현상학 각각의 등장, 분화와 변화에서 나타난 수렴점들을 평정절차로 삼아서 국내 상담분야에서 이와 같은 근거이론과 현상학의 철학적 패러다임, 절차 그리고 기법의 이해 및 활용경향에 대한 비판적 분석이 필요하다. 먼저 기존 상담분야에서 질적 연구의 동향에 대한 연구에서 활용된 평정절차 - 출처, 출판년도, 연구주제와 대상, 연구방법, 타당도 검증 등 - 는 근거이론과 현상학의 활용경향을 드러내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 왜냐하면 이와 같은 평정절차는 근거이론과 현상학뿐만 아니라 질적 연구 일반의 활용 동향에 대한 중립적 분석에 적절할 뿐, 두 방법론 고유의 전제와 절차와 기법 및 각 진영 내에서 창안자와 계승자들 간의 논쟁을 통한 방법론의 분화와 변화에 대한 연구자들의 이해와 활용에서 나타난 경향과 문제점을 밝히는 데는 불필요한 것도 있고 또한 불충분하기 때문이다. 둘째, 동향연구라면 기간을 길게 잡을 수도 있겠지만, 본 연구는 최근 방법론의 분화와 변화에 대한 연구자들의 이해 및 활용경향에 대한 비판적 분석이기에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5년 동안으로 기간을 한정했다. 셋째, 국내 상담분야에서 근거이론과 현상학을 활용한 질적 연구 논문들의 출처를 상담분야의 두 학술지인 『상담학연구』와 『상담 및 심리치료』로 한정한 까닭은 두 학술지가 국내 상담분야의 대표적인 양대 학회의 학술지로서 상담분야의 타 학술지에 비해서 심사자의 권위와 심사기준의 엄격함을 유지하고 있기에 두 학술지에 게재된 근거이론과 현상학 활용 질적 연구논문들에 대한 분석은 곧바로 상담분야의 연구자들의 두 방법론에 대한 이해와 활용경향의 가늠자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 통합적 방법론 모델 제시단계로서 현상학적 근거이론의 철학적 패러다임, 절차와 기법 및 연구과정에 대한 모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먼저 현상학적 근거이론의 철학적 패러다임으로서 Dilthey의 해석학의 원리인 체험-표현-이해의 공식을 기반으로 Husserl, Sartre, Merleau -Ponty의 현상학, Heidegger, Gadamer, Ricoeur의 해석학 그리고 Dewey, Mead의 프래그머티즘 및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의 통합 가능성을 논할 것이다. 둘째, 연구 전반에 걸쳐 판단중지와 현상학적 환원을 통한 이론적 민감성 개발을 논할 것이다. 셋째, 이론적 민감성 개발을 통해 드러나는 연구자의 선이해가 연구주제, 문제설정, 자료수집, 자료분석, 연구결과 평가의 과정에서 어떤 해석학적 순환의 단계를 밟아야 하는지에 대해 논할 것이다. 넷째, 자료분석에서 근거이론 기법으로서 개방코딩을 위한 지속적 비교분석과 현상학의 기법으로서 지향성과 행위의 합목적성 분석의 기법을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다섯째, 근거이론의 기법으로서 이론구성을 위한 축코딩과 선택코딩의 기법과 현상학의 상황 구조적 기술과 일반 구조적 기술의 통합 가능성을 설명할 것이다. 여섯째, 연구결과의 평가의 방식으로서 상황 구조적 기술을 연구 참여자와 공유하면서 소통을 통해 피드백을 받고, 일반 구조적 기술을 완성한 연후에 연구 전반에 대해서 동료 연구자나 전문가와 소통을 통해 상호 주관적 타당성 확보를 해나가는 지평융합의 원리를 제안할 것이다. 일곱 번째 연구 전반에 걸쳐 현상학적 근거이론의 수행과정에 대한 모형을 제시한다. 연구2는 상담심리학의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 현상학적 근거이론의 적용을 위해 대학생의 열등감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상담 심리학의 고유한 질적 방법론으로서 새롭게 개발된 현상학적 근거이론을 적용할 때 대학생의 열등감 경험의 구조와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이때 현상학적 근거이론의 방법론적 차별성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 북한 핵정책의 변동성 연구(1991-2016) : '제한적 편승'에서 '전면적 내부균형'으로

        이종주 북한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북한은 2009년을 기점으로 ‘제한적 편승(hedged bandwagoning)’에서 ‘전면적 내부균형(full-fledged internal balancing)’으로 핵정책을 전환하였다. 약소국가인 북한이 초강대국인 미국에 대항하여 군비증강을 통해 핵무력의 균형을 달성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 목표이다. 더욱이 북한은 국제사회에 의해 보편적 규범과 가치를 위협하는 ‘불량국가’로 낙인찍힌 국가로 핵무력 건설의 길은 더욱 험난하다. 그렇다면 북한이 “핵억제력을 백방으로 강화하겠다”고 선언(2009년)한 이래, “핵문제 전면 재검토”(2012년)를 거쳐 “경제건설과 핵무력건설의 병진로선”을 선포(2013년)하고, 핵·미사일 도발을 ‘일상화’(2016-2017년)하며 질주한 끝에 “국가 핵무력의 완성”을 선언(2017년)하는데 이른 것을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 본 연구는 이상의 질문(research question)에 대해, 북한이 2009년 이후 국제체제가 미국의 단극체제에서 미·중의 양강체제 그리고 동북아에서는 미·중의 양극체제로 이행하는데 대응하여 ‘제한적 편승’의 핵정책을 중단하고, ‘전면적 내부균형’의 핵정책을 강화해 왔다고 답한다. 본 연구는 왈츠(Kenneth N. Waltz)의 신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의 관점에 따라 북한의 핵정책을 무정부적 국제체제에서 힘의 균형이 변화하는데 대응하여 자력으로 안보를 확보하기 위한 생존전략으로 규정하고, 1991년에서 2016년까지 국제체제의 변동(독립변수)이 북한의 기회-위협인식(매개변수)을 거쳐 핵정책(종속변수)을 결정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이상의 답을 도출하였다. 북한은 국제체제의 변동에 대해 먼저 대응 또는 포기를 선택하고, 대응을 선택할 경우 편승과 균형 사이에서 두 번째 선택을 한다. 마지막으로 편승 또는 균형의 다양한 유형 가운데 안보를 최대화하는 세부유형을 선택한다. 이상의 북한의 핵정책 결정과정에 따르면, 2009년 이후 미중 양극체제의 진전은 북한에게 ‘대응’해야 하는 국제체제의 변동이자, ‘기회의 얼굴을 한 위협’으로 인식되었다. 북한에게 불리한 생존조건을 부여한 미국의 단극체제가 약화되고 북한의 동맹국인 중국이 부상(浮上)하는 우호적 세력균형의 변화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북미·북중관계가 미중관계의 하위부문이 되면서 북한이 미·중 모두에게서 방기될 우려가 커지는 위험한 변화이기 때문이다. 북한은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미중이 협력적 양극체제를 제도화하기 이전에 미중 경쟁의 틈새를 이용하여 핵무력을 최대한 증강함으로써 향후 미중관계의 변동 속에서도 자국의 전략적 가치를 유지하고자 ‘전면적 내부균형’에 전력투구한 것이다. 그러나 ‘전면적 내부균형’은 약소국가이자 ‘불량국가’인 북한에게는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전략이 아니다. 북한이 자국보다 수백 배의 종합 국력과 핵무력을 보유한 미국을 상대로 힘의 균형을 추구하는 것은 생존이 아니라 자멸을 준비하는 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북한의‘전면적 내부균형’은 국제체제가 미국의 단극체제에서 미중의 양극체제로 이행하는 전환적 시기의 잠정적 전략이 될 수밖에 없다. 2018년 현재의 국제체제에서 북한의 ‘전면적 내부균형’이 언제까지 지속가능한 전략인지는 답하기 어렵다. 그러나 북한이 2017년 11월의 ‘핵무력 완성’ 선언으로 ‘전면적 내부균형’의 핵정책을 일단락 짓고, 완성된 핵무력을 이용하여 “조선반도의 비핵화와 평화”를 보장하는 새로운 핵정책을 모색해야 하는 단계에 접어든 것은 분명하다. 이제 북한에게는 핵억제력을 이용하여 자주권을 지키면서 생존권과 발전권을 함께 실현할 수 있는 안보환경을 구축해야 하는 과제가, 우리에게는 미중관계의 미래와 북한 핵정책의 또 한 번의 전환 가능성에서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의 동력을 찾아내야 하는 과제가 기다리고 있다.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North Korea’s Nucl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y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started to make full-fledged internal efforts to deter US nuclear capabilities from 2009. Until then, North Korea pursued the buildup of its nuclear arsenal but exercised some restraint as well versus the US. The North cautiously aimed to hedge between deterrence (balancing) and negotiation(bandwagoning) with its nuclear arsenal. The notable transition of its nuclear policy from a hedged bandwagoning to a full-fledged internal balancing in 2009 is a puzzle because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sts have traditionally associated internal balancing with the policy choice of great powers. There is no way that North Korea can realistically achieve balance against the world’s strongest nuclear power- especially whe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labelled the North as a “rogue state” that undermines world order and peace, and is imposing sanctions on it accordingly. Contrary to the existing theories, Pyongyang vowed it would strengthen nuclear deterrence as the nation’s first priority in 2009, established the “Byung-jin line”—the parallel pursuit of economic development and a robust nuclear weapon program—in 2013, and finally declared that it had completed its state nuclear arsenal in 2017. Why has North Korea persisted with full-fledged internal balancing since 2009?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analyzes North Korea’s nuclear policy from 1991 to 2016 through the theoretical lens of Kenneth N. Waltz’s neorealism. This study approaches the subject by conceptualizing the two analytical frameworks: The first framework shows how the dynamics of the international system(independent variable) changed North Korea’s nuclear policy(dependent variable) in accordance with its perception of threats and opportunities(intervening variable); the second traces North Korea’s decision- making process to examine why the nation ended up choosing (a) response versus non-response, (b) balancing versus bandwagoning, (c) and full-fledged versus hedged balancing/bandwagoning in the face of changing international conditions. With such analytical frameworks, this study argued that Pyongyang transformed its nuclear policy in response to the shift in political tectonics—from a U.S.-led unipolar hegemony to a U.S.-China bipolar competition.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international politics has in large part been dominated by the de facto “G-2” of the U.S. and China. More importantly, China is starting to assert hegemonic power in the Asia region, where it enjoys the strongest presence. To North Korea, the new US-China bipolarity is a “threat disguised as an opportunity.” The new bipolar order provides Pyongyang more room to strategically maneuver between Washington and Beijing, which is akin to what Pyongyang managed to do with its equidistant diplomacy between Moscow and Beijing in the 1960s. Conversely, the new balance of power can also expose the North to a vulnerable situation in which it might be abandoned by both China and the US. The closer the U.S. and China cooperate on North Korean issues, the harder it will be for North Korea to protect its interests by driving a wedge between the two behemoths. Under such calculations, North Korea is making all-out efforts to complete its nuclear development before the US and China institutionalize their cooperation. In this context, a full-fledged internal balancing is a tentative survival strategy specifically designed to target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a US-led unipolarity to a US-China bipolarity. By declaring the completion of its nuclear arsenal in 2017, North Korea concluded the period of full-fledged internal balancing and now enters a new phase in which it must use its nuclear leverage to ensure the regime’s more sustainable survival strategy for both security and prosperity. How North Korea will adopt its nuclear policy in the future depends on how the region evolves.

      • 초음속유동장에 분사된 이차분사 홀 주변에서의 열전달 특성 연구

        이종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전투기 및 우주 발사체들에서 사용되고 있는 추력방향제어(Thrust Vector Control)는 크게 기계적 굴절(mechanical deflection)방법과 이차 유체 주입(secondary fluid injection)방법이 있다. 기계적 방법으로 사용되는 기법은 제트 흐름속에 베인(vane)과 같은 부품을 설치해서 유동을 방해하여 추력 방향을 변화시키는 방법과 추력실 전체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추력을 제어하는 짐벌(gimbal)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급격한 각도변화에 적용 할 수 있다. 그러나 주유동의 방향을 크게 바꿀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복잡한 기계적 장치를 사용해야 되며, 이에 따른 무게의 증가가 불가피하다. 또한, 베인을 사용하는 경우에 베인 주위에 생성되는 충격파 등으로 인하여 큰 압력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연소시 발생되는 산화 알루미늄 입자의 영향으로 기계적 장비의 삭마(ablation)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삭마된 베인의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차 유체 주입방법은 측면제트분사(side jet blowing)를 이용하거나, 엔진 노즐의 팽창플랩 부분에 이차유체를 분사시켜 주유동의 방향을 바꾸어 추력의 방향을 제어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유체주입방법은 기계적 방법과 달리 복잡한 기계적 장치와 무게의 증가 없이 단순한 장치만으로 추력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노즐 내부에 이차유체를 제트 분사시켜 축추력이 증가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베인교체와 같은 유지비용을 없앨 수 있으며, 배기 시스템의 출구 모양이 축대칭 단면이 아닌, 사각 단면과 같은 비축대칭 단면을 가진 형상에 쉽게 적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차분사유동을 이용한 추력벡터제어법이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본 연구에서는 초음속 유동장내에 이차분사가 수직 또는 15도 기울어진 형태로 분사 될 경우 이차분사홀 주변에서의 열전달 특성을 연구한 것이다. 주유동과 이차분사의 운동량비를 각 0.5, 1.0, 1.5으로 하였으며, 수직분사와 15도분사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주유동은 마하 3이며, 이차분사는 마하 1로 분사되었다. 이차분사홀 주변 유동장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홀의 상류부분에서 역압력구배의 증가와 유동의 점성력에 의해 1차박리가 일어났다. 1차박리에 의해 생성된 와류에 의해 2차박리가 일어났으며, 박리 후 유동은 홀 상류에 재부착이 일어났다. 그리고 홀 주변으로 말발굽 와류(Horseshoe vortex)가 일어난 것으로 파악되었다. 유막가시화 실험을 통해 수직분사 및 15도 분사의 경우, 홀 상류부분에 두 개의 박리선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제트운동량비가 증가할수록 박리선이 홀의 상류부분으로 이동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제트운동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역압력구배가 커져 박리되는 부분이 홀 상류로 이동한 것으로 사료된다. 음영가시화를 통하여 박리 충격파(Separation shock)와 그릇모양 충격파(Bow shock)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적외선 카메라를 통하여 이차분사가 이루어지는 표면의 온도변화를 시간에 따라 기록하였고 표면에서의 열유속을 파악한 후 대류열전달계수를 도출한 실험을 통해 열전달 특성을 파악하였다. 테스트모델의 선단에서 발달한 경계층으로 인해 대류열전달 계수가 감소되는 경향이 있으나, 1차박리선 이후 대류열전달 계수는 증가하였다. 최대 대류 열전달 계수가 존재하는 곳은 이차분사홀의 양단 부분이다. 이는 말발굽 와류가 이차분사홀의 양단에 충돌하여 생긴 결과로 사료된다. 운동량비가 증가할수록 대류열전달 촉진지역은 증가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었으며, 수직분사와 15도분사는 비슷한 형태의 대류열전달 촉진 지역을 보였다. 그러나 같은 운동량비에서 15도분사가 수직분사한 경우보다 더 높은 대류열전달 지역을 보이고 있었다. The kinds of TVC(Thrust Vector Control which is us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flights or missiles at initial start are mechanical deflection method and secondary fluid injection method. The mechanical deflection methods are the installation of jet vane which can disturb the freestream and the gimbal method which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rust chamber. Those methods can change the direction of freestream largely. But those methods have to use the complicated mechanical devices. Also it is not avoidable that the weight of flying objects are increased. Due to the shock wave which is generated around the jet vane, the large pressure loss happened. And due to the oxidized aluminum particle from propellent, the mechanical ablation phenomenon can be happenedIn the case of secondary fluid injection methods are the side jet blowing method and injection method at the nozzle. Those methods are different from the use of mechanical devices. It dose not need to the complicated mechanical devices and the increase of weight at the fly objects.This study is the heat transfer phenomenon around secondary injection hole when the secondary fluid is ejected into the supersonic flow field. The jet to freestream momentum ratios were 0.5, 1.0, 1.5 and the injection angle to freestream direction were normal and 15° inclined. The Mach number of freestream is 3 and the Mach number of secondary fluid is 1 using the choking condition.The numerical analysis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field structure around the secondary injection hole. In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the first separation is occurred in upstream of hole due to the increase of adverse pressure gradient and flow viscosity. The second separation is occurred due to the first separation. After the second separation, the reattachment is occurred between the second separation point and upstream of hole. The horseshoe vortex structure is observed around the secondary injection hole, too.In the oil and lampblack method, it is clearly observed the two separation lines. When the jet to freestream momentum ratios are increased, the separation lines are moved to upstream of hole because the adverse pressure gradient is increased with respect to the increase of jet momentum ratios. In the shadowgraph, the separation shock and bow shock is clearly observed.The heat transfer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infra-red camera which can record the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ime. The heat flux is calculated using the temperature with respect to time. And the surface temperature and heat flux are used to calculate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is decreased due to the development of boundary layer from the test leading edge. After the first separation line,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turbulent. The maximum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was appeared in the side of injection hole because of the reattachment of horseshoe vortex. When the jet momentum ratio is increased,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promotion area is large. In the case of normal injection and 15° inclined injection, both cases show the similar heat transfer promotion area. But in the case of same jet momentum ratio, 15° inclined injection shows the larger convective heat transfer distribution than normal injection.

      • 역학적 에너지와 운동량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이종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사들이면 모두가 바라는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 오개념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이론적 바탕위에 역학에너지와 운동량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을 조사하여 역학적 에너지와 운동량과 관련된 교수학습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교수학습의 밑거름이 되는 오개념 조사에 관한 연구는 구성주의 인식론이 대두 된 후에 많은 오개념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수업에 도움이 되고 있으나 아직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권재술 외(1993)의 과학 오개념 편람이나 송진웅 외(2003)의 학생의 물리 오개념 지도(地圖) 등은 물리 과목의 여러 단원의 오개념 정리하고 분석하여 많은 오개념 연구에 바탕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상대적으로 오개념 연구가 적은 에너지와 운동량 단원의 오개념을 조사하여 고등학생들이 많이 가지고 있는 오개념을 분석하고 정리하고자 하였다. 에너지와 운동량에 대한 대학생의 개념을 연구한 허금정(2008)의 연구와 비교하였고, Singh 과 Rosengrant(2003)의 25문항의 객관식 선다형 검사문항을 변형, 사용하여 오개념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소도시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물리Ⅰ 과목을 배운 남학생 4개학급과 여학생 4개학급의 31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검사 내용은 역학적에너지 보존, 운동량 보존, 일, 운동량, 충격량 등을 묻는 내용으로 검사하였다. 검사를 통한 결과를 분석하여 요약하면 역학적에너지와 운동량의 개념이 대학생들에 비교해서 쉬운 개념에서 많은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고, 남학생과 여학생의 오개념의 정도는 정답률 비교에 의하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송진웅 외(2003)의 연구에서 고등학생들이 에너지와 운동량에서 가지는 정답률과 비교해 보니 검사문항이 다른 데도 불구하고 비슷한 값을 보이고 있어, 본 연구의 결과가 대학생보다는 오개념이 많고 다른 지역의 고등학생들과는 비슷한 오개념 수준을 가지고 있는 결과를 보여, 검사가 신뢰도 있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고등학생들이 많이 가지고 있는 오개념들을 정답률이 낮은 문항과 답지 반응률이 높은 오답을 조사하여 크게 차이가 있는 10문항 정도를 분류하였는데 역학적 에너지 6문제, 운동량 2문제, 에너지와 운동량을 복합한 2문제로 나타났다. 역학적 에너지의 고등학생들의 오개념들은 ‘위 방향으로 던진 공의 속력이 크고 바닥 쪽에 가까운 각도로 던진 공은 속력이 작다’ ‘물체가 일정한 높이를 내려와 비탄성충돌을 하여 올라갈 때 역학적 에너지 보존원리로 설명이 충분하다’ ‘두 물체에 한 일이 같아도 운동에너지를 비교하려면 질량을 알아야 한다’ ‘외력을 가하여 일정한 속력으로 언덕을 오르는 것은 역학적 에너지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중력이 한일은 방향에는 관계없고 이동경로가 길면 크다’ 등으로 분석 되었다. 운동량에서 고등학생들이 가지는 가장 많은 오개념들은 ‘같은 높이에서 떨어진 물체가 하나는 탄성 충돌을 하고, 하나는 비탄성 충돌을 한다면 둘은 같은 충격력을 받는다’ ‘운동에너지의 변화량은 운동량과 시간의 곱과 같다’ 그리고 ‘높이가 다른 경사면에서 내려온 두 수레들의 경우에 운동에서 충돌 전 의 전체 운동량과 충돌 후의 전체 운동량이 같다’라고 방향을 무시하고 대수적으로 계산하는 오개념과, ‘수평운동을 하는 수레와 수직으로 운동하는 비가 합쳐지면 수레의 수평운동 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등으로 조사 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조사된 고등학생들이 많이 가지고 있는 오개념을 교수-학습지도 과정에서 해결해 줄 수 있도록 수업설계를 한다면 수업목표에 도달하는 효과적인 교수-학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바울과 산고(ὠδίνειν) -갈 4:19와 사 42:14의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이종주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상호텍스트적 반향(intertexual echo) 연구 방법론을 통해 갈라디아서 4:19을 분석함으로 갈라디아서 4:19의 의도와 목적을 분석한다. 기존의 학자들은 갈라디아서 4:19을 해석하기 위해 다양한 평행 본문들을 제시했고, 그 범주는 구약성서, 제2성전기 문헌, 그레코-로마 문헌까지 이른다. 학자들은 이 평행 본문들을 기반으로 갈라디아서 4:19을 해석 하였다. 그러나 기존 학자들이 제시한 평행 본문들 중 갈라디아서 4:19에서 표현되는 산고(ὠδίνειν)의 독특성과 평행을 이루는 본문들은 없었으며, 해석 역시 본문이 제시하는 복합적 이미지를 모순 관계로 보거나, 분리해서 해석하는 등 설득력 있는 해석을 도출하지 못했다. 이에 본 논문은 갈라디아서 4:19을 이사야 42:14의 상호텍스트적 반향 하에서 해석할 때, 갈라디아서 4:19에서 표현되는 바울의 산고가 이사야 42:14의 하나님의 산고와 평행을 이루고 있으며 이는 갈라디아 공동체와 바울 사이의 왜곡된 관계성을 회복하고 갈라디아 공동체에게 진정한 하나님 백성의 정체성을 확립시키고자 하는 바울의 전략임을 주장한다. 본 논문은 바울이 이사야 42:14에서 나타난 하나님-이스라엘의 관계성을 바울-갈라디아인의 관계성에 적용함으로 자신과 갈라디아인들의 관계가 하나님-이스라엘의 관계와 같은 관계임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또한 바울은 이사야 42:14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위해 하나님이 겪는 산고와 갈라디아서 4:19에서 갈라디아인을 위해 자신이 겪는 산고를 평행을 이루게 함으로 갈라디아인들이 할례를 받지 않아도 하나님의 창조적 고통을 통해 창조된 진정한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정체성을 각인시킨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바울이 갈라디아서 4:19의 산고 표현을 통해 이전 관계의 회복과 더불어 갈라디아인들이 진정한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정체성을 각인시킨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purpose of Galatians 4:19 through the intertextual echo research methodology.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various parallel texts to interpret Galatians 4:19. Its scope of research extends to the Old Testament, the Second Temple literature, and the Greco-Roman literature. Scholars have interpreted Galatians 4:19 based on these parallel texts. However, among the parallel texts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there were no texts parallel to the uniqueness of labor pains (ὠδίνειν) expressed in Galatians 4:19. Additionally, they didn’t derive a convincing interpretation, such as viewing the complex images presented in the text as contradictory or interpreting them separately. Accordingly, this paper suggests that Paul's labor pain, expressed in Galatians 4:19, is parallel to God's labor pain described in Isaiah 42:14 when Galatians 4:19 is interpreted under the intertextual echo of Isaiah 42:14. This refers that the labor pains in Galatians 4:19 are Paul's strategies not only to restore the distorted relationship between the Galatian community and Paul but to establish the true identity of God's people in the Galatian community. Furthermore, this study contends that Paul applies the bond of God and Israel shown in Isaiah 42:14 to the Paul-galatians relationship. By the application, Paul asser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imself and the galatians, distorted by Teachers, is the same as the one between God and Israel. Furthermore, Paul parallels the labor pains of Isaiah 42:14 and Galatians 4:19. Even if they are not circumcised, the parallel engraves the identity of the true people of God in the galatians. Finally, this study argues that Paul solves two major problems(relationship and identity) of the galatian community through the labor pain in Galatians 4:19.

      • 초등 미술과 서예 영역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분석 연구 : 제6ㆍ7차 교육과정 시기를 중심으로

        이종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서예는 우리 조상의 창조정신으로 결실을 맺은 귀중한 민족문화 유산이며 서예가 가지고 있는 특성상 인간의 내면 세계를 문자가 가지고 있는 조형적 아름다움을 통하여 표현하는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서예는 초등학교에서 교육적인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서예가 우리의 전통 예술로 계승 발전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에서부터 서예에 관심과 이해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행 제7차 교육과정 시기의 수업 배당 시간의 축소, 교사들의 지도 능력 부족 등으로 인하여 서예 교육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서예 교육에서 가장 중심이 되어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해 봄으로써 이러한 현실에 맞는 체계와 내용 구성에 도움이 되고자 다음과 같이 제6·7차 교육과정 시기의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 고찰해 보았다. 첫째, 서예와 서예 교육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하여 서예의 개념과 본질, 서예의 교육적 가치, 한글 서예의 특징을 고찰해 보았고, 제6차와 7차 초등 미술과 서예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살펴보았다. 둘째, 초등 미술과 서예영역 교과서 분석은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제6차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편찬 체제 분석, 단원별 지도 내용 분석, 서제 분석, 감상 작품 분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 분석도 제6·7차 교육과정 시기를 비교하여 편찬 체제 분석, 편찬 내용 분석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편찬 내용은 교사용 지도서 목차 분석, 미술과 지도 분석, 지도의 실제 분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 얻은 결론을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생들로 하여금 서예에 관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참고 자료나 감상 작품을 많이 제시하여야 한다. 지금까지의 실기 위주의 내용에서 벗어나 우리 조상들의 문화 유산인 서예에 관심을 가지고 감상할 수 있는 눈을 가지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둘째, 서제를 다양하게 제시하여야 한다. 제7차 교육과정 시기의 교과서에서는 판본체와 세로 쓰기의 비중이 너무 높았으며 제시되지 않은 자·모음도 많았다. 학교 교실에서의 서예 지도 시간 내에 정확한 필법을 습득하는 것은 힘든 일일 것이다. 익히기 쉬운 판본체의 시간 비중보다는 궁체와 적절한 시간 안배가 필요하며 다양한 형식의 쓰기와 서제를 접해 볼 수 있도록 선택 서제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작품 전체를 구성하는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 시기의 교과서에서는 낱자의 필법에 대한 설명이 자세히 제시하고 있는 편이나 작품 전체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정확한 필법이 아니더라도 학생들에게 작품을 완성해 보는 기쁨을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참고 작품의 설명이 자세히 제시되어야 한다. 특히 옛 글씨를 집자해 놓은 경우 참고 작품을 보고 교사가 설명해 줄 수 있도록 모든 감상 작품에 대한 설명이 제시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사들을 위한 교수용 자료가 수록되어야 한다. 서제의 예시 자료를 복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수록한다든지, 한글 판본체나 궁체에 관련된 예화 자료 등을 수록하는 등의 교수 활동을 도울 수 있는 자료들이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되어야 한다. 여섯째, 참고 자료를 제시 할 때 설명과 그림을 함께 제시하는 방법을 늘려야 한다. 서예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교사들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과 함께 그림도 제시되어야 한다. 서예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초등학교의 서예 교육의 내용이 실기위주가 아닌 학생들의 서예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가질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도 개선되어야 하겠다. Calligraphy is one of precious cultural assets in our country encompassing ancestor's creativity which expresses human spirit though the formative beauty of constructing every single word as it's own character. Therefore calligraphy can be meaningful to elementary education. It is needed to draw student's interests and appreciation of calligraphy in elementary school to succeed and develop our traditional arts. However, the calligraphy education has not been raising much due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cutting the time allotment in class, unskilled teacher, etc. This study analyzed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 which has been used for main teaching materials finding the current structures and contents. The results of researching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 of the 7th national curricula are as follows: First, it was explored to find out the value of calligraphy in educational points and the features of Korean calligraphy by researching the reference to calligraphy and calligraphy instruction. It also looked over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calligraphy education in the 6th,7th art curricula. Second, the analysis of calligraphy section in elementary art textbooks were oriented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compared to the 6th national curriculum divided to the figures of publishing system analysis, each unit's instructional matter analysis, calligraphic prototypes analysis, appreciation art works analysis. Third, this examined the 6th, 7th national curricula teacher's manual classified to publishing system analysis, publishing contents analysis. As for publishing contents analysis, it categorized to contents analysis, art sectional analysis, practical instruction analysis. With the results above from the research, followings are suggested: First, to draw student's interest and bring their motivation to calligraphy it should be presented more references and art works to have a taste. To sublate existing calligraphy instruction which was practice-oriented, appreciative eyes should be considered to include during the proces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works. Second, various calligraphy prototypes should be presented. In the 7th curriculum textbooks, xylographic Style and vertical writing have been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and there were also found many missing consents and vowels. It would be hard to acquire correct writing skills during the calligraphy class in school. In consequence, it is reconsidered to make a balance with practising court style rather than putting more weight to easy writing, xylographic Style and give students different experience exposed to other assorted types. Third, it is also required to present comprehensive knowledge to whole portfolio. In the 6th, 7th curricular based textbooks shows how to write each word or making a stroke instead of overall explanation to construct a completed work. The students should be able to have their own satisfaction as they finished goods without showing a fancy character. Fourth, it should provide detailed explanations when it is chosen to use various references in the textbooks. Expecially, it should be convenient for teachers to provide full explanation about old characters. Fifth, it should include teaching materials for teachers in the class. For instance, copies of calligraphy prototypes or examples of xylographic style and court style could be attached to the teacher's manual to help teaching activities. Sixth, the explanation should come along with a picture to help understanding when providing references., so that a teacher who does not have full knowledge of calligraphy would be able to describe with clear acknowledgement. To encourage calligraphy education, texbooks and teacher's manuals should be improved to motivate students' interests and understanding rather than persisting to practical matters.

      • Al-Mg-Si계 주조용 합금의 주조성 및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Fe, Mn 함량의 영향

        이종주 부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Eeffects of iron and manganese contents on cast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have been studied in Al-4Mg-0.9Si casting alloys. Fraction of α compounds increased as Mn content increased and fraction of β compounds increased as Fe content increased. Crystallization temperatures of α-Al5(Fe,Mn)3Si2 and β-Al5FeSi compounds were elevated and higher than that of eutectic Mg2Si, by 20℃. Castability was affected α and β compounds. Fluidity decreased as Fe and Mn contents increased in Al-4Mg-0.9Si melts. Micro-shrinkage increased as Fe and Mn contents increased but macro-shrinkage decreased as Fe and Mn contents increased in Al-4Mg-0.9Si melts. As Fe content in Al-4Mg-0.9Si-0.3Mn melts increased from 0.1wt.% to 0.4wt.%, tensile strength decreased about 4.2% and elongation remarkably decreased by 22.5%. As Mn content in Al-4Mg-0.9Si-0.3Fe melts increased from 0.3wt.% to 0.5wt.%, however, tensile strength increased by 7%, but elongation was nearly sa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