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잉육종(Ewing’s Sarcoma)에 대한 에피게닌(Apigenin)의 세포사멸 유도 효과 연구

        이제희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Ewing's Sarcoma는 젊은 층의 사람들로부터 많이 발견되고,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하는 뼈 종양 질환이다. 발생 부위는 사지 혹은 척추나 골 반과 같은 중심 골격에서 발생한다. 골격 외에서는 척추 옆쪽에 있는 부위, 하지나 흉곽을 포함한 연조직에서도 발생하고 심할 경우 전신으로 전이될 수 있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생하는 원인은 유전적인 요인으로 대부분의 환자들로부터 발견되는 EWS/FLI1와 같은 융합유전자를 원인으로 보고 있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까지 알려진 것이 없다. Ewing's Sarcoma에 대한 치료는 항암 화학요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부작용이 동반되기 때문에 천연물질을 사용해서 치료 및 예방하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Apigenin은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열량이 없는 식물성 화학물질로, 세포사멸사(apoptosis) 유도, 세포주기정지(cell cycle arrest), 자가포식 (autophagy)과 더불어 면역반응을 증가시키는 항암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wing’s sarcoma와 유사 계열의 뼈 종양으로 알려진 osteosarcoma와 chondrosarcoma에 apigenin의 효과를 보려는 연구에서는 세포 신호전달 기전을 통해 apoptosis를 일으키는 결과를 보여준 바 있다. Ewing’s sarcoma에서는 apigenin은 아니나 caspase 활성화를 통해 apoptosis를 일으키거나 PI3K/Akt 신호전달 기전을 억제하여 apoptosis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Ewing’s sarcoma에서 apigenin의 암세포 성장억제효과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 없어 본 연구에서 이를 확인해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Apigenin 처리시 Ewing’s sarcoma에서의 cell viability에 대한 연구로 WST assay와 colony formation을 진행하였으며, apigenin의 농도가 높을수록 세포의 viability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Invasion assay 결과에서도 apigenin 농도별로 세포의 침습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전자 수준에서 apigenin의 Ewing’s sarcoma 세포 성장억제효과를 보기위해 신호전달 기전에 관여하는 PI3K, Akt1, ERK2와 ERK5에 대한 유전자 발현도는 apigenin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되는 것 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apigenin은 Ewing’s sarcoma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여준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보다 진전된 연구를 통하여 정확한 억제기전을 밝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wing's Sarcoma is a bone tumor disease that is commonly found in young people and occurs more often in women than men. It occurs in the extremities or in the central skeleton such as the spine or pelvis. It is known that it can occur in soft tissues, including the areas next to the spine, the lower extremities, the chest, and in severe cases it can spread throughout the body. The reason is known to be genetic and fusion genes such as EWS/FLI1 found in most patients, but the exact reason is still unknown. Chemotherapy has been mainly used to treat Ewing's Sarcoma, but because it is accompanied by side effects,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treatment and prevention using natural substances. Apigenin is known to have an inhibitory effect on cancer cell growth. It is a calorie-free phytochemical that induces apoptosis, cell cycle arrest, and autophagy as well as increases immune response and it is known to show effectiveness. A study to determine the effect of apigenin on osteosarcoma and chondrosarcoma, which are known to be bone tumors like Ewing's sarcoma and showed that it causes apoptosis through a cell signaling mechanism. In Ewing's sarcoma it has been reported to cause apoptosis through caspase activation or to induce apoptosis by inhibiting the PI3K/Akt signaling mechanism, although it wasn’t showed by apigenin. Since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cancer cell growth inhibitory effect of apigenin in Ewing's sarcoma,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is. WST assay and colony formation were conducted to study cell viability in Ewing's sarcoma when it’s treated with apigenin,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 concentration of apigenin could lower the cell viability. Invasion assay results also showed a tendency for cell invasion to decrease depending on concentration of apigenin. To see the inhibitory effect of apigenin on Ewing’s sarcoma cell growth at the genetic level, gene expression levels of PI3K, Akt1, ERK2, and ERK5, which are involved in signal transduction mechanisms, were found to decrease as the concentration of apigenin increa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apigenin have shown an effect of inhibiting the growth of Ewing’s sarcoma cells, and it is expected that further advanced research can help to reveal the exact inhibition mechanism in the future.

      • 판상형 공동주택에 패시브 디자인 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 - 개포동 대청아파트 리모델링 계획안을 중심으로

        이제희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1970년대 이후 물량위주의 아파트 건설 붐이 조성된 이래 현재까지 국내 아파트 단지의 수는 계속 증가해 왔다. 그중에서 1980년대 후반이후 단기간에 대량 건설된 고층 아파트는 부동산 투기와 재산 증식의 수단화가 되면서 여러 사회 문제를 야기하였고 도시환경을 파괴하게 되었다. 이러한 무분별한 재건축을 줄이고 거주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친환경적인 도시환경을 조성하는 대안으로 리모델링이 등장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 정부는 주택법 시행령(2007년 3월) 및 건축법 시행령(2008년 10월) 개정으로 준공 20년이 경과된 공동주택의 리모델링의 가능연한을 15년으로 완화하면서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인 변화를 시도해 왔다. 국내 건설시장의 공동주택사업에서 신축 및 재건축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사회 분위기가 최근에 위와 같은 법률의 개정과 더불어 토지부족 및 지가상승, 그리고 환경문제의 대두로 인해 리모델링 시장이 급속도로 활성화 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시행되는 리모델링 사업은 경제적 측면에서의 이익을 창출하기 위하여 단순 면적증가에 그쳐 왔다. 이는 주거공간이 경제적 이익 창출의 수단이 되는 사회문제가 다시금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이익의 수단으로만 여겨지는 주거 환경의 개선을 보다 환경 친화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 새로이 시작되는 건축계획에서 사용되는 환경 친화적 디자인 기법들의 요소들을 공동주택 리모델링에 적용하는 방식을 제시하고자한다. 본 연구는 제1장 「서론」, 제2장 「리모델링을 위한 이론적 고찰」, 제3장 「친환경 건축 기법 고찰」, 제4장 「대상지 선정 및 분석」, 제5장 「복도식 공동주택 리모델링을 위한 패시브 디자인 요소의 적용 계획안」, 제6장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장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 및 방법을 기술한다. 제2장에서는 리모델링의 정의와 배경, 필요성에 기술하고 국내·외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운영현황을 파악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부여한다. 제3장에서는 환경 친화적 리모델링을 위한 기법의 개념을 정의하고 유형을 조사 및 분석하여, 공동주택 리모델링에 적용 가능한 패시브 디자인 요소를 선별한다. 제4장에서는 국내에 존재하는 복도식 아파트에 대한 조사와 대상지 선정을 위한 사전작업을 실시한 후에 리모델링을 위한 건축물을 선정하고 공간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리모델링의 필요성을 검토하며, 제5장에서는 건축계획, 건축기법, 건축재료의 범위에서의 개념과 패시브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리모델링 계획안을 제시한다. 제6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적용된 패시브 디자인 요소를 평가하고, 효과를 예측하여 향후 연구 과제와 친환경 디자인 기법을 이용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공동주택을 포함한 건축물의 친환경적 리모델링은 사용공간의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소비되는 에너지의 근본적인 절감을 꾀하면서 지구환경의 환경보전 및 자원에너지 절약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공동주택에서 사용되는 리모델링의 기법들을 살펴보면 면적증가와 구조보강 이외에 에너지 사용 측면을 고려하여 환경 친화적 패시브 디자인을 적용한 기법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환경을 조성하는 에너지의 근본적인 절감을 꾀하는 동시에 획일적이지 않은 주호단위의 조합을 형성하고, 단절되어 있었던 공동주택의 층간 소통과 다양한 방식의 주거공간의 방향 제시를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number of apartment complex has greatly increased since the 1970s when apartments were developed only to satisfy quantitative demands. Yet, this caused the ones built up after the last 1980s to become means to expand one's assets through speculation in real estates. Accordingly, various social issues have been raised, and urban environment has been destructed. In order to reduce this reckless act of reconstruction, re-modeling works were suggested to satisfy the needs of the users as well as to meet the requirement for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 Additionally, due to the recent amendment to construction law, old apartments that were built more than 15 years ago, became eligible to be remodeled. This leaded the central issues in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to move from new or re-construction to re-modeling. This phenomena of re-modeling market being vitalized was accelerated due to regulatory easing, increase in land price along with environmental issues. Until recently, re-modeling work has been limited to expansion of space only to increase financial profits. This brings out a public concern that housing is turning into means to produce wealth. Residential environment is no longer space for living, yet monetary asset. To re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approaches with more sustainable method; it also suggests application methods - mostly found in other architectural planning - to re-modeling practice in urban housing. This study proceeds as the following: ● Describe the background, purpose, limit of application and method of the study ● Clarity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re-modeling and research cases of current re-modeling work ● Define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sign elements, select applicable passive design aspects for re-modeling through case studies. ● Research on corridor types of urban housing; select and analyze the selected subject to further the study on re-modeling. ● Suggest re-modeling plan in terms of architectural planning, design methods and materials. ● In conclusion, evaluate passive design aspects applied, estimate the impact and propose the vision of re-modeling construction. Sustainable re-modeling - including the work of urban housing - creates healthy atmosphere; it reduces the energy consumption while protecting the natural environment from destruction and decreasing the resource usage. Yet current re-modeling methods are only meant to maximize economic benefits rather than the energy efficiency. To decrease the energy use, allow various unit planning, and vitalize communication among the residents in urban housing, systematic research needs to be proceeded.

      • 茶山 丁若鏞의 敎育 思想에 관한 硏究

        이제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산은 실학의 집대성자로 조선 후기의 사회적.정치적 모순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맹자.공자의 先儒를 재해석하고 그로부터 개선.개혁안을 구상했던 대학자이다. 그의 윤리 사상은 上帝라는 靈明神妙한 인격적 主宰者에 기반을 두고 있다. 상제가 인간에게 부여한 靈明主宰한 능력은 인간을 다른 사물과 구별시키고 인간을 만물의 영장으로 만들어, 인간을 만물의 우위에 둔다. 그러한 인간이 자기 존재의 본질을 알기 위해서는 知天이 이루어져야 한다. 인간의 性은 嗜好이며, 인간이 모든 행위의 결과에 대해서 책임의식을 갖고 도덕적으로 실천해야 함이 중요함을 다산은 강조한다. 다산은 仁이 諸德의 근본이며 인은 타인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랑이라고 정의를 내리며, 이에 대한 실천 방법으로 忠恕를 제시한다. 다산은 도덕 교육이란 인간성 함양과 주체적인 자기 정체성의 실현에 목적이 있음을 들고 있다. 그 구체적인 교육의 내용으로 부모 교육으로서의 慈, 수신 교육으로서의 立志, 誠意, 正義, 良心, 勇氣, 勤儉, 恕를 제시하였다. 그 방법으로는 경서의 독서와 국사 교육, 저술 활동 등을 주장한다. 다산의 교육 사상은 인간이란 평등한 존재이며, 자주권을 가지는 주체적 인격자라는 철학에 바탕을 두고 있다. 단순한 이론적인 교육이 아닌 실생활에 바탕을 둔 교육을 중시하여, 현재 입시 위주로 흐르는 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한다고 본다. The period, in which Dasan lived, was going through an extremely unstable transition from its feudal system into a new modern one. The late Chosun Dynasty saw much of abuse of power and graft and the sufferings of the people. In this chaotic time, Dasan, who was a pioneering intellectual and master of Silhak(Practical Science), recognized that the existing science, Seongrihak, lost its power in directing the world into a better one and that reform in every aspect should be carried out immediately to save the people. This thesis focuses on his ideas of education, especially on moral education. Dasan's philosophy was based on Tian(天), or Sangje(上帝, God). Sangje is the volitional being in the heart of whole cosmos. Human should pursue the good with holding Sangje in reverence. Human has the same possibility of doing the good and the bad in morals. Moral behavior is the result of man's free will. Every human being is created equal and can develop himself through efforts in that Sangje endows him with an equal moral power. His educational philosophy presupposed the equality of human beings Furthermore his educational goals focused on becoming a well-rounded and moral being through education. Dasan stressed out the importance of In(仁), or humanity. It is an unconditional love towards others and the basis of every human relationship, To fulfill this, we need a moral conduct which reflects on what others are thinking through self-reflection, namely Ch'ungseo(忠恕). His educational philosophy contains this thought. Dasan's moral education has forgiveness by parents and strong-will, sincerity, justice, conscience, fortitude, thrift, and correct speech and act in its contents. Its specific method can be defined in terms of reading and writing. His educational philosophy suggests ideas on the establishment of equal human relations in modern society, the need to foster independent and active character, the expansion of individual ethics to social one, practical application of learning, and the need to cultivate future-bound values. Dasan stressed out the importance of In(仁), or humanity. It is an unconditional love towards others and the basis of every human relationship, To fulfill this, we need a moral conduct which reflects on what others are thinking through self-reflection, namely Ch'ungseo(忠恕). His educational philosophy contains this thought. Dasan's moral education has forgiveness by parents and strong-will, sincerity, justice, conscience, fortitude, thrift, and correct speech and act in its contents. Its specific method can be defined in terms of reading and writing. His educational philosophy suggests ideas on the establishment of equal human relations in modern society, the need to foster independent and active character, the expansion of individual ethics to social one, practical application of learning, and the need to cultivate future-bound values.

      • 양육태도와 ADHD 증상의 관계에서 지능의 매개효과

        이제희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양육태도와 ADHD 증상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양육태도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증상의 문제에서의 자녀의 지능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초등 1~2학년 담임선생님이 ADHD 가능성을 보인다고 부모에게 권유한 아동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아동은 초등용 레이븐(Raven) 지능검사를 실시하고, 아동의 어머니는 부모양육태도 검사(PAT) 및 한국판 아동정서행동 검사(K-CSI-4)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양육태도와 지능간의 상관이 있는지, 양육태도가 ADHD 증상 및 정서·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양육태도가 ADHD 증상 및 정서·행동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절차에 따라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의 지능과 양육태도 중 과잉기대 간에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즉 부모의 과잉기대 점수가 높을수록 자녀의 일반지능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태도 요인 중에 지지표현은 주의력 결핍성 및 과잉행동/충동성 점수와 부적상관을 보였다. 반면에 처벌은 과잉행동/충동성 점수와 정적상관을, 과잉기대는 주의력 결핍성 점수와 정적상관을, 비일관성은 주의력 결핍성 점수와 정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양육태도 중 몇 몇 하위요인은 반항성 장애 및 일반화된 불안장애와 다양한 상관을 보였다. 넷째, 지능의 매개효과를 보면, 양육태도 중 과잉기대 요인이 주의력 결핍성 점수를 올리지만, 아동의 지능이 높을수록 주의력 결핍성 점수가 내려감으로, 아동의 지능이 과잉기대와 주의력 결핍성 점수 간 상관관계를 약화시키는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다섯째, 지능이 과잉기대와 반항성장애 간에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과잉기대가 높을수록 반항성 장애 점수도 증가했지만, 지능이 높을 경우는 반항성장애 점수를 증가시키는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진단되지 않았지만 ADHD 증상을 나타내는 아동의 문제행동을 조기에 발견하고 부모 상담과 교육에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ADHD 증상을 중재하여 자녀의 성장과정에서 긍정적인 행동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부모교육 방안 및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아동복지시설 음악교육의 발전 방향 : 경기도 아동양육시설 중학생을 중심으로

        이제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아동양육시설의 효율적인 음악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 문헌연구를 통해서 아동복지와 아동복지시설의 개념, 아동복지시설의 운영 목적, 아동복지시설의 유형 및 종류, 아동양육시설의 개념 및 특징, 아동양육시설 음악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본다. 설문지는 경기도에 소재한 26개소 아동양육시설 중학생을 대상으로 배포되었다. 총 393명의 중학생을 조사하여 294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아 답변 거부시설 5곳, 답변 거부아동 24명, 불성실한 답변 아동 50명을 제외한 220명의 응답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 분석 결과, 아동양육시설에 음악실(36%), 강당(76.8%), 회의실(69.5%), 컴퓨터실(73.1%) 등이 갖추어져 있다고 답하였으나 음악실(64%), 강당(23.2%), 회의실(30.5%), 컴퓨터실(26.9%) 등 이러한 공간조차 없다고 답한 아동이 적지 않아 아동양육시설에서 음악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공간이 현실적으로 부족하였다. 아동양육시설에서 음악교육에 필요한 기자재 및 악기를 보유하고 있어도 피아노(31.4%), 리코더(21.4%), 오카리나(40.5%), 키보드(36%), 타악기세트(37.7%), 실로폰(56%), 멜로디언(50.1%), 드럼(44.1%), 핸드벨(70%), 밤벨(66.8%), 기타(74.5%) 등 없거나 불량인 것이 많아 아동양육시설에서 음악교육에 필요한 기자재의 관리를 소홀히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전문적인 음악교육에 사용할 수 있는 바이올린, 첼로, 플루트, 클라리넷, 트럼펫 등을 보유하고 있어 음악교육에 적극적인 후원과 관심을 가지고 지역사회의 음악기관 및 단체와의 정기적인 교류를 통해 아동에게 음악적 교육환경을 조성해 주는 시설도 있다. 클래식과 국악을 좋아하는 아동도 있었으나, 대중음악을 좋아 한다고 답한 아동이 많았고(80.5%), 아동의 음악적 지식수준을 묻는 질문에서 많은 아동이 보통이다, 낮다, 매우 낮다고 답해(80.5%) 아동의 음악적 지식이 낮아 음악교육을 받기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중요한 음악 이론의 관심도가 낮다는 결과를 얻었다.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체계적인 음악교육을 받기를 원하는 아동이 있는 반면 심리적 상태 및 변화가 전혀 오지 않는다고 답한 아동도 많았다(10.2%). 이 결과를 토대로 아동양육시설 아동이 음악교육의 효과로 음악에 대한 관심, 정서적 안정, 적극적 성향, 협동심등을 향상시키고 아동이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섭렵할 수 있는 프로그램 계발이 시급하다. 아동의 음악적 지식수준을 높이고 음악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노력도 절실히 필요하다. 음악에 관심이 있는 아동이라면 쉽게 접근하고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아동양육시설 아동이 더 많은 혜택을 누려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efficient methods for revitalizing music education programs in children welfare asylum. First, through researching literature on this subject, this study will say the concept of children welfare and its asylum, along with its purpose, types, special features and the necessity of music education in children welfare asylum.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393 students who are attending 26 different children welfare asylums’ middle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and received it back from 294 students. Among the answers, 220 students’ answers were analyzed to come up with the statistics except for 50 insincere answers. After analyzing the results, they said that these children welfare asylums have music hall (36.0%), auditorium (76.8%), conference room (69.5%) and computer room (73.1%). It means that these children welfare asylums haven’t music hall (64.0%), auditorium (23.2%), conference room (30.5%) and computer room (26.9%). Through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we can understand that there aren’t sufficient facilities for music education in these children welfare asylums. There are also not enough music instruments in those asylums. According to the answers, they have piano (31.4%), recorder (21.4%), ocarina (40.5%), keyboard (36%), percussion instrument sets (37.7%), xylophone (56%), melodeon (50.1%), drum (44.1%), hand bell (70%), bamboo bell (66.8%) and guitar (74.5%). We found that those asylums haven’t got sufficient music instruments for music education, and they don’t seem to care much about these instruments. There are only a few asylums with violins, cellos, flutes, clarinets, trumpets, and with good networks with local society and music-related groups, so that they can produce a good atmosphere for music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responses, there are some students that love Western classical music and Korean classical music, but most of them (80.5%) love popular music. And when this study asked them about their knowledge in music, most of them answered that it was not sufficient. (‘average’, ‘below average’ or ‘far below average’ occupied 80.5%) These show that it is difficult for them to get advanced music education. Through the research, we can see that some students want to receive systemic music educations. On the other hand, other students (10.2%) said that they could hardly feel changes psychologically when they have participated in music education programs. The results tell us that asylums have to develop music education programs that can help students to find their talents, and to improve emotional stability, positive attitudes, and co-operative manners. The society also has responsibility to raise students’ knowledge levels in music. It is necessary that all children welfare asylum improve their music education facilities and circumstances so that the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music can easily approach music and enjoy it.

      • 실리콘 전극 부시의 체결력 향상에 관한 연구

        이제희 공주대학교 테크노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취성 재료인 실리콘 암나사의 외경, 피치, 깊이에 따른 구조물의 체결 안전성을 ANSYS 2019 R3를 이용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해 평가하였으며, 인장 시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해석 모델은 2차원 축 대칭으로 생성하였으며, 실리콘 소재의 상면을 고정하고, 체결된 볼트의 축 방향으로 하중을 인가하였을 때 나사의 외경, 피치, 깊이 변화에 따른 평균 Mohr-Coulomb 안전계수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외경, 깊이가 증가하여 체결 구조물의 접촉 표면적이 커질수록 실리콘 소재의 Mohr-Coulomb 안전계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나사의 Pitch 조건에서는 나사산의 단면적이 커질수록 실리콘 소재의 Mohr-Coulomb 안전계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해석 결과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나사 체결 깊이에 따른 체결 구조물의 인장 시험 결과 체결 깊이가 4mm에서 6mm로 증가할 때 실리콘 소재가 파손되는 평균 하중이 707N에서 1972N으로 약 2.8배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유한요소해석과 동일한 결과 경향을 얻었다. 이러한 접근법은 제품의 성능 향상 및 안전한 설계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The fastening safety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outer diameter, pitch, and depth of the silicon female thread, which is a brittle material, was evaluated by performing a finite element analysis using ANSYS 2019 R3. And the validation was conduct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the tensile test. The 2D-axisymmetric model was generated. The average Mohr-Coulomb safety factor according to changes in the outer diameter, pitch, and depth of the threads was compared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silicon material is fixed, and axial load of the fastened bolt was applie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hr-Coulomb safety factor of the silicon increases as the contact surface area of the fastening structure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outer diameter and the fastening depth. In case of the pitch, it was confirmed that the Mohr-Coulomb safety factor of silicon increased 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read increased. In order to validate the simulated results, a tensile test of the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thread was conducted. Average load at which the silicon was fractured increased about 2.8 times from 707N to 1972N when the fastening depth increased from 4mm to 6mm, showing a same tendency of the finite element analysis results. This approach will be useful in building a database for product performance improvement and safe design.

      • 트리즈의 시스템을 이용한 제품디자인 아이디어 발상프로그램 연구

        이제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제품디자이너들은 다양한 분야의 재능을 갖추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제품을 디자인하는 것 뿐 만 아니라 기획, 개발, 생산관리능력에 이르기까지 클라이언트와 개발사에게 다양한 능력들이 요구되어 진다. 제품의 생산 시스템이 잘 갖추어진 대기업에 비해 그렇지 못한 중소기업의 경우 디자이너 혼자 모든 일을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업무에 종종 어려움에 처하기도 하는 데, 이러한 경우 창조적 발상은 디자인 개발에 있어 좋은 해결책이 된다. 다양한 아이디어 발상법들이 현업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팀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소규모 디자인실이나 혼자 작업하는 디자이너에게는 이러한 방법론들을 적용시키기에는 환경적 제한 요소가 많은 실정이다. 트리즈는 구소련의 특허를 심사하는 업무를 맞고 있었던 겐리히 알츠슐러로부터 만들어진 문제해결 방법론이다. 전 세계 200만 건의 특허에서 발견된 문제해결책 중에서 창의적인 특허 4만 건을 추출 분석한 결과, 공통적인 중요 해결 요인을 발견하고 이를 트리즈(TRIZ)라 명명하게 된다. TRIZ는 공학 분야의 문제해결 방법론으로서 모순을 찾아내어 그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해결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이론이다. 트리즈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해결방법 중에 기능모델은 사물이 갖고 있는 속성을 단순화 하는 과정이다. 사물의 속성을 단순화하여 문제를 찾아내고 풀어나가는 일종의 사고변환 공식인 것이다.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에서 트리즈의 기능모델을 통한 사고의 단순화 과정이 창조적 아이디어 발상에 있어 어떠한 사고의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대해 확인하고 제품을 디자인함에 있어 새로운 디자인 발상 모델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문헌을 토대로 아이디어 발상법과 특징 및 한계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트리즈의 기능모델 개념을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 모델 제시하고 그 모델을 실제 제품디자인의 개발에 필요한 아이디어 발상에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손쉽게 사용이 가능한 아이디어 발상 모델인지 실험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첫째, 제품을 개발하고 새로운 컨셉을 도출하고자 하는 개인의 시간적, 지식적, 인적 한계를 극복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으며, 둘째, 간단한 기능정의 변환방법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창출 할 수 있다는 것과, 셋째, 디자인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도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 넷째, 일반적 정의와 트리즈의 기능모델을 적용한 정의를 병행하여 아이디어 발상에 사용하면 보다 다양한 아이디어를 창출 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로부터 얻어진 새로운 아이디어 도출을 위한 TRIZ의 기능모델을 적용한 제품디자인의 아이디어 발상법의 연구의 결과는 제품을 개발하고 새로운 컨셉을 추구하는 디자이너들에게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을 돕는 또 하나의 도구로서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As we entered in the 21st century, Product designers have to be talented in various fields in situations. They are required not only design abilities but, also Planning, development, production control by Clients and companies. Designers are often in trouble when the design of creative ideas on the development of these cases be a good solution. A variety of models are being used for working in the idea of ideas. but, It's also difficult environment that having small group members, working alone. TRIZ is a methodology made by Genrich Altshuller who Belongs in patent examiner on days of the Soviet Union. He has found critical resolution factors by extracting and analyzing so 40,000 case patents of the 200 million cases of problem solution in the world. So he picked the name of TRIZ. As TRIZ is solution theory in Fields of Engineering studies. also contradiction is solved by TRIZ's theory. Function model which One of the various solutions on TRIZ is a process for simplification of Things. It is a kind of Switch ideas formula which finding, solving a problem of the complexity of things. First of through the research, it is found a possibility for getting over limits of time, knowledge, and human resources. Second, it can be able to create a variety of ideas that the way through converting function definition. Third, it has easy way on usability for the general public of non-special . Fourth, it is identified that the possibility on creation of a variety of ideas, when if a user is using the general definition and function definition on TRIZ. This study have final target to purpose a new design concept model. and will confirm changes about creative idea thinking on simplification process by using a function model of TRIZ for product design. for achievement of this study's purpose, I consider idea thinking, feature and limitation on the base of existing literatures. In the final, I confirm that solving design's difficulties as looking at sth in a new way by applying to design idea thinking of TRIZ's function model.

      •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에 대한 연구

        이제희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헌법은 시장경제질서를 기초로 하는 사회적 시장경제질서를 채택하여 경제민주화, 중소기업 보호 등의 경제정책은 시장의 경쟁을 제한하거나 경쟁 유인을 제거하는 등 시장경제질서의 본질을 침해할 수 없다. 미국, 독일, 프랑스, 일본, 대만, 인도, EU의 중소기업 정책을 분석한 결과, 각국의 중소기업 정책은 대기업과 공정한 경쟁환경을 조성하는데 중점을 두는 시장주의형 모델로 변화하고 있다. 이들 국가 중, 유일하게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와 유사한 소기업 보호품목제도를 시행한 인도는 소기업의 경쟁력 약화, 소비자의 이익 저하 등을 이유로 2015년 동 제도를 폐지하였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보호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친 일본과 프랑스 또한 중소기업 정책에서 경쟁체제를 도입하여 소비자의 효용을 높이고 있다. 정부는 2011년부터 중소기업의 사업영역을 보호하는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동 제도는 1978년 시행되어 중소기업의 경쟁력 약화, 국내 대기업의 역차별 문제 등을 이유로 2006년 폐지된 ‘중소기업 고유업종제도’와 유사하며 동 제도의 문제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 중소기업 적합업종지정은 독립행정청의 성격을 갖는 동반성장위원회의 결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중소기업 적합업종지정 결정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사업조정 절차가 예정된 만큼 중소기업 적합업종지정은 국민의 구체적인 권리ㆍ의무에 직접적인 변동을 초래하는 처분적 행정행위이다.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는 기업의 자유로운 시장진입을 제한하여 시장경제질서를 침해하고, 헌법이 보장한 직업선택의 자유와 소비자 선택권을 과도하게 제한하는 위헌적 제도이다. 또한 동 제도는 정부의 조치이며 투자자의 재산권을 침해할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보상의무를 규정한 한·미 FTA, 한·EU FTA 등의 통상협정에 위반된다. 동 제도는 중소기업 적합업종에 속하는 중소기업의 경영실적 개선에 기여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대기업이 철수한 시장에 해외기업이 진출하여 중소기업 보호라는 제도 본연의 목적 또한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해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를 장기적으로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 폐지의 현실적 어려움과 중소기업의 임시적 보호를 위해 동 제도는 다음과 같이 개선되어야 한다. 동반성장위원회는 중소기업 적합업종지정 결정에 있어 시장경제질서의 본질을 침해하는 사업이양 및 사업축소 결정을 자제해야 한다. 중소기업 적합업종의 지정기간은 현행 2회 최대 6년에서 1회로 제한하고, 기간은 최대 2년으로 단축해야 한다. 중소기업 분류를 세분화하여 중소기업 적합업종의 중소기업 범위를 독일, EU의 중소기업 수준으로 축소해야 한다. 중소기업 적합업종지정은 기업의 존립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지정기준을 법제화하고, 중소기업 적합업종 미이행 등에 따른 동반성장위원회의 사업조정신청권을 폐지하여 중소기업 적합업종지정의 처분적 요소를 완화해야 한다. 중소기업 지원은 중소기업이 대기업과 대등하게 경쟁하여 중견기업·대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유로운 경쟁을 통해 기업의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가운데 중소기업이 대기업 등의 불공정한 거래행위로부터 피해받지 않도록 시장의 질서를 바로 세우는 것이 중소기업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