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연극영화과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우울 및 불안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

        이제인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연극영화과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과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자존감이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충청도에 소재한 6개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연극영화과 전공 대학생 401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 척도, 우울 척도, 불안 척도, 자존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으로 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대인관계능력과 자존감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우울과 불안에서는 남자에 비해 여자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극영화과 대학생이 지각한 대인관계능력과 우울 및, 불안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연극영화과 대학생이 지각한 대인관계능력과 자존감은 유의한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극영화과 대학생이 지각한 대인관계능력은 우울 및 불안에 자존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극영화과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이 우울 및 불안 그리고 자존감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대인관계능력과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적 역할을 증명함으로써 연극영화과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이 건강한 삶과 연기를 위한 필요성을 밝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Development of novel metal-ceramic composites via arc plasma-induced accelerated reaction

        이제인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6 국내박사

        RANK : 1855

        New design or optimization for conventional processing of metal-ceramic composites has been intensively investigated sinc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depend on the materials' processing history. With an appropriate combination of matrix and reinforcements, the liquid-state processing has been considered relatively cheap and simple route for the synthesis of metal-ceramic composites. However, the chemical reaction between reinforcements and molten alloys results in the interfacial reaction that degrades the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This has stimulated an interest for the development of in-situ processing routes where reinforcements are spontaneously synthesized during the process. However, the in-situ routes commonly require high temperature and long processing time due to the thermodynamics and kinetics related to the reaction. Thus, it is necessary to optimize the condition of conventional process or develop novel processing routes for the metal-ceramic composites. Here, arc plasma processing is introduced to develop a novel fabrication route for the in-situ synthesis of metal-ceramic composites. The high temperature processing is advantageous for the in-situ formation of reinforcing materials, the acceleration of the in-situ reaction and the strong interfacial bonding between the matrix and reinforcemen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developing novel metal-ceramic composites, the forming mechanism of the fabricated composites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resulting composites synthesized by arc plasma-induced accelerated reaction. Arc plasma-induced volume nitridation of aluminum was observed during arc melting under argon and nitrogen mixed atmosphere. The nitridation process resulted from the instantaneous chemisorption of nitrogen, enhanced nitrogen diffusion and improved wetting of aluminum nitride (AlN) by arc plasma-induced reaction. The aluminum matrix was explosively nitrided, showing the in-situ formation of particulate composites with volume fraction of 40 vol.% which is the highest values among ever reported in-situ Al-AlN composites formed by using nitrogen gas as a reagent. Arc plasma-induced liquid phase displacement reaction was carried out by arc melting aluminum with the ceramic powders as sacrificial materials. The liquid aluminum simultaneously infiltrated and reacted with silicon nitride (Si3N4) powder preform, leaving in-situ formed AlN reinforced aluminum matrix composites. The displacement reaction between Al and Si3N4 led to the volumetric expansion of nitride phase, which enables us to fabricate aluminum matrix composites with high volume fraction of nitrides. The candidate alloy matrix using the arc plasma processing can be extended from pure metals to multi-component alloys like bulk metallic glasses (BMGs). Using Al-AlN particulate composites as a sacrificial reagent, the zirconium nitride (ZrN) reinforced BMG matrix composites were synthesized by arc melting. The in-situ formation of ZrN resulted in the improv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which is advantageous for the structural applications of BMGs. The newly developed metal-ceramic composites above showed attractive thermal or mechanical properties due to the in-situ formation, uniform dispersion of reinforcements and the strong interfacial bonding. This indicates that the arc plasma processing can be promising routes for the synthesis of novel metal-ceramic composites in various gas-liquid-solid systems.

      • 전자칠판을 활용한 영어수업에서의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분석연구 : 7세 유아를 중심으로

        이제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전자칠판이 가지는 상호작용적 측면을 연구하고자 전자칠판을 활용한 유아영어수업에서 학생, 교사, 전자칠판 간의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고 상호작용적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오산시에 위치한 I 어린이집, 수원의 P 어린이집과 H 어린이집의 7세 유아 47명을 대상으로 전자칠판을 이용한 수업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과 유형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관찰일지와 인터뷰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자칠판은 교사, 학생, 컨텐츠 간의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매개체로서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자칠판을 활용한 유아영어수업에서 전자칠판을 통해 학생들은 영어수업에 대한 동기와 관심, 참여도가 높아져 동료 간 협력을 발생시키며 다양한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자칠판을 활용한 영어수업에 있어 전자칠판은 상호작용 유형 간의 관계성을 촉진시켜 상호작용 범위의 확대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호작용 유형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전자칠판과 교사 간의 상호작용은 전자칠판과 학생간의 상호작용 및 학생간의 상호작용과 긍정적 관련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전자칠판을 활용한 수업은 교실 내에서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학생들에게 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자극하여 학습 동기유발에 매우 긍정적 이였으나 학생들이 전자칠판을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적어 학생들의 욕구는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전자칠판을 활용한 수업은 교실 내에서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학생들에게 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자극하여 학습 동기유발에 매우 긍정적이라는 것을 규명하였으며, 향후 전자칠판을 활용한 수업에 있어 전자칠판이 가지는 다양한 상호작용유형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이 전자칠판 활용에 대한 욕구충족에는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동시에 도출되어 전자칠판을 활용한 수업에 있어 학생들에게 전자칠판과의 상호작용 확대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teraction patterns among students, their teacher and an interactive whiteboard in early childhood English class using the interactive whiteboard and the attitude of the students toward the interactive instruction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the interactive aspects of an interactive whiteboar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comprised of 47 preschoolers from three different daycare centers. One daycare center was located in the city of Osan while the other two were in Suw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interaction and the interactive whiteboard were analyzed together with the observation journal and the interview to reach a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active whiteboard enhanced the lesson which in turn boosted the interaction among the teacher, the student and the content. The students who used the whiteboard became more motivated in studying English. They also participated more in the English class by collaborating among themselves; hence, facilitating a wide variety of interaction. Second, the interactive whiteboard that was used in English instruction was found to have boosted the relationship of interaction patterns, and thereb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nlargement of the sphere of interac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of the interaction patterns, it's ascertained that interaction between the interactive whiteboard and the teacher was positively linked to interaction between the interactive whiteboard and the students and between the students. Third, the instruction that made use of the interactive whiteboard provided strong motivation for the students by expediting classroom interaction and sparking their interest, but the needs of the students weren't satisfied since they didn't have plenty of chances to use the interactive whiteboard in pers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instruction which made use of the interactive whiteboard was very effective at providing learning motivation by facilitating classroom interaction and by igniting learning interest, and suggest that the various interaction patterns of an interactive whiteboard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it is used in class. A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tilization of the interactive whiteboard didn't contribute to the satisfaction of the needs of the students, how to dynamiz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an interactive whiteboard should carefully be considered.

      • Relative Contribution of Different Plant Functional Types to Growing Season Gross Primary Productivity Interannual Variation in Alaska

        이제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Vegetation in the high latitude ecosystem is most responsive to climate variables, leading to high year to year variability of 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 Therefore, understanding the spatiotemporal patterns of GPP and how climate variables drive its interannual variability (IAV) is important to account for their present and future statu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spatiotemporal patterns of Alaskan GPP and further investigate how their relation to climate drivers. We use GPP derived from four different approaches, a process-based approach (Breathing Earth System Simulator), a semi-empirical approach (Moderate Resolution Spectroradiometer 17A2) and the machine-learning approaches (Support Vector Regression and FLUXCOM). Model evaluation with eddy covariance data from 17 sites showed that the models explained 65% to 85% of the monthly variation with relative bias ranging from -22% to 33%. Model performance was better in the boreal forest compared to tundra and fire disturbed ecosystems.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GPP in the models displayed a consistent pattern, where the deciduous broadleaf forest showed the highest variability of GPP IAV by 14%, followed by fire and evergreen forest (13%) and then tundra (10%). Tundra accounted for the largest fraction of IAV of GPP with 55%, exceeding evergreen needleleaf forest (38%), deciduous broadleaf forest (7%) and areas that had been disturbed by fire (0.8%). GPP in tundra has the smallest variation among the PFTs. 68% of Alaska is tundra which led to the largest contribution to the IAV of GPP. The IAV of GPP from 2001 to 2011 had a similar pattern to the IAV of both air temperature and radiation, where warmer years had a larger GPP anomaly compared to the colder years. Therefore, warming and cooling as a result of climate change could significantly impact the IAV of land-atmosphere interaction of carbon dioxide.

      • 대학전공(학과) 흥미검사 안내 및 해석 활동이 인문계 고등학생의 자기 이해 및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효과

        이제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전공(학과) 흥미검사 안내 및 해석 활동이 인문계 고등학생의 자기 이해 및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대입을 직면한 수험생에게 대학의 전공과 학과를 선택하는 것은 큰 숙제이다. 고등학교에 입학 후 대다수의 학생은 여러 진로 검사를 수행하지만, 학업과 입시 준비로 바쁜 인문계 고등학생에게 그 검사 결과를 해석하고 더 나아가 진학과 연결 짓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창의적 체험활동 진로 시간을 활용하여 대학전공(학과) 흥미검사 안내 및 해석 활동을 한다면 학생들의 자기 이해 및 진로결정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이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영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대학전공(학과) 흥미검사 안내 및 해석 활동을 수행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은 자기 이해 수준에서 차이가 없을 것이다. 둘째, 대학전공(학과) 흥미검사 안내 및 해석 활동을 수행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은 진로 결정 수준에서 차이가 없을 것이다. 이 가설의 검증을 위해 대전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대학전공(학과) 흥미검사 안내 및 해석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대학전공(학과) 흥미검사 결과지를 해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진로활동지를 완성하였다. 이어서 모둠별로 ‘나의 진로선언’활동을 수행하고, 모둠원들은 발표자에게 무조건적 긍정적 지지를 보냈다. 종속변인인 자기 이해와 진로 결정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1)이 개발한 진로성숙도 검사 64개 문항 중 자기 이해 능력에 해당하는 8개 문항과 고향자(1992)가 번안한 CDS(Career Decision Scale) 척도를 재구성한 18개 문항을 검사 도구로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평균을 통한 대학전공(학과) 흥미검사 안내 및 해석 활동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전공(학과) 흥미검사 안내 및 해석 활동은 고등학생의 자기 이해에 긍정적이었다. 대학전공(학과) 흥미검사 안내 및 해석 활동을 수행한 실험집단의 자기 이해 수준 사후검사와 수행하지 않는 통제집단의 자기 이해 수준 사후검사 결과를 비교해보면 실험집단의 사후점수가 통제집단보다 높았고,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대학전공(학과) 흥미검사 안내 및 해석 활동은 고등학생의 진로 결정 수준에 긍정적이었다. 실험집단에게 대학전공(학과) 흥미검사 안내 및 해석 활동 전후로 진로 결정 수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사후검사가 사전검사보다 높은 점수가 나왔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진로 결정 수준 하위 변인 중 진로 선택 확신 수준의 사후검사 결과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이 연구는 코로나19사태와 고3 1학기라는 연구시기의 특수성으로 충분한 해석활동이 제공되지 못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대학전공(학과) 흥미검사 안내 및 해석 활동의 회기를 늘리고 더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시한다면 연구실험 처치의 객관적 효과를 좀 더 확실히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 회사의 물적분할시 주주보호에 관한 연구

        이제인 아주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최근 몇 년간 LG화학 등을 비롯한 대기업들의 물적분할과 분할 후 자회사 상장이 이루어지며, 소액주주들의 이익 침해에 대한 주주보호 문제가 20대 대선공약으로 제시될 만큼 큰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었다. 하지만 물적분할과 주주보호의 문제가 사회적 해결과제로 인식되어진지 수년이 되어도 정부적 차원에서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다가, 2022년 금융위원회를 통해 대응책 마련에 돌입하게 되었다. 현행 상법 규정 자체로는 실제 물적분할을 하며 발생할 수 있는 주주보호에 대한 사회적 문제에 대해 충분한 해결책으로 기능하지 못한다고 본다. 실제 주주들이 요구하는 것은 물적분할과 자회사 상장과정에서 일어나는 주주들의 이익침해문제를 해결해 달라는 것이다. 여기서 과연 주주의 이익침해란 무엇인지 파악할 필요성이 있었으며, 이를 위해 일련의 물적분할과 자회사 상장 과정에서 일어나는 주주의 이익침해 가능성을 물적분할을 한 기업들의 주가흐름 사례 분석으로 알아보았다. 그 동안 제기된 물적분할과 관련한 주주보호책에 관한 연구들을 보면 주로 법률상 제도에 관한 조사 및 개정안에 대한 제시이거나, 외국의 관련 입법례에 대한 비교 연구가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주주들이 제기하는 현실적인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따라서 실제 물적분할 시 어떠한 과정에서 또 어떠한 피해가 발생하는지 알아볼 수 있는 접근방법이 필요하였고, 본 논문은 그동안 법학적 관점에서만 쓰여지던 형식을 탈피하여 실증적 자료를 통해 물적분할이 유가증권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에 따른 주주들의 이익침해가 현실화 되는지 조사한 것에 의의를 가진다. 특히 이번 연구를 통해 주주보호문제란 과연 구체적으로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명확히 알아보고 싶었다. 여기서 일컬어지는 소액주주들의 이익침해 문제는 결국 물적분할과 물적분할 후 자회사 상장 시 ‘주가하락’에 따른 손해인데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물적분할 과정’에서의 주주보호문제와 ‘물적분할 후 자회사 상장과정’에서의 주주보호문제를 구분하여 접근하였다. 먼저 물적분할 과정에서 주주보호를 위해 상법상 규율되고 있는 규정적 제도를 살펴 본 뒤, 실제 분할과 자회사 상장 규제를 위한 정책적 제도에 관하여 고찰한다. 또한 정책적 제도와 관련하여 이번 금융위가 발표한 「물적분할시 자회사 상장 관련 일반주주권익 제고방안」의 내용을 검토한 후 이 외 추가적인 보완책을 제시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물적분할과 자회사 상장을 하면 대기업 입장에서는 상환 의무가 없는 대규모 투자금을 유치할 수 있는 기회가 되지만, 모기업의 투자자들 특히 소액주주들에게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물적분할에 관한 주주보호의 문제를 단순히 주식 가격의 보전으로 해결할 수는 없겠지만, 최소한 공정한 분할과정과 분할규제를 위한 정책이 뒷받침 되어야 하며 모회사 주주들의 투자 선택권과 자본 회수를 최대한 보장해줄 수 있는 추가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물적분할과 주주보호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방안개선과 관련 법체계와의 조정이 필요한 시점이며, 본 논문을 비롯한 다양한 연구와 다각적인 해결책의 모색이 이루어져 더 효과적인 분할과 주주보호제도가 안착되길 바란다.

      • 지역별 첨두부하 특성을 고려한 송배수관망의 설계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

        이제인 단국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1855

        수도시설의 설계에는 많은 다양한 인자가 사용된다. 이러한 다양한 인자들 가운데에서 첨두부하는 설계용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시설용량의 결정에 있어서 첨두부하의 결정은 매우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첨두부하를 결정함에 있어서 어떠한 판단기준이나 근거가 명확하게 제시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설계의 적용방법에서도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됨으로 인해 각 설계방법에 따른 설계용량의 차이가 존재하고, 이러한 설계용량의 차이가 수도시설의 유지관리와 운영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첨두부하의 설계시 인용 가능한 합리적인 기준과 근거가 제시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기준과 근거가 없다면, 이를 연구 검토하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서 첨두부하에 대한 합리적 기준과 근거를 파악하는 시도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첨두부하 관련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첨두부하의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각종 첨두부하 영향요소를 선정하여 이의 상관성을 평가하였으며, 이를 위해 회귀분석, 주성분분석, 다중회귀분석, 비초과확률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상관성이 확인된 요소 중에서 급수지역의 규모와 관계된 요소인 급수인구와 일평균급수량에 대해서는 첨두부하에 관한 비초과확률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2개의 도시를 선정하여 일일급수량 자료를 통한 첨두부하의 확률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자료의 년수에 따른 첨두부하의 확률적 분포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자료의 년수가 작더라도 첨두부하의 산정에 대한 확률분포 특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다분기 송수관로와 격자형 송배수시스템에서 첨두부하 적용방법을 사례별로 분석하여 지역별 첨두부하를 고려하는 방법이 가장 합리적인 방법임을 증명하였다. Various kinds of factors are used for the design of the water system. Among these, peak factor is one of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design capacity. However there are no specific criteria or judgment bases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peak factor. Additionally in design application, there will be difference in design capacity according to the design method because many different methods are used for the design, and such difference will influence the maintenance and operation of the facilities. Therefore reasonable standards and bases shall be proposed that can be referred to in designing the peak factor. If there is no such thing up to now, we need to research and review various methods to identify the best possible method. This study has meaning as a trial to identify the reasonable bases and standards for the peak factor.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emand data regarding the peak factor and evaluated the reliability of the peak factor. Additionally the correlation was evaluated by selecting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peak factor, and regression analysis,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nd non-exceedance probability were performed. Through these analyses, we could propose non-exceedance probability regarding the peak factor on service population and day demand, which are related to the size of the service area among the correlated factors. We selected two cities,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peak factor utilizing the day demand data and reviewed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peak factor by year of the data. Through this process we coul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bability range of peak factor calculation even when the period that the data cover was not long enough. Finally we analyzed the peak factor application methods in Multi-Branched Water Transmission Systems and Block System by case and verified that the method considering all the Regional Peak Factor's Characteristics would be the most reasonable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