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10.6㎛ CO2 레이저용 F-theta 렌즈의 설계 개발

        이제성 극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0.6 μm CO2 레이저용 F-theta 렌즈 설계 개발에 관한 것이다. 사용 레이저 빔의 직경 20mm 이내, 결상 점의 spot 직경 100μm이하, 광학 계의 두께 35 mm 이내, 작업거리 약 138.4 mm, 유효 결상 직경 약 71 mm 이내의 사용자 조건을 만족하는 F-theta렌즈를 설계하기 위해, 두 갈바노미러 구동각을 8가지 상태로 분리하고, 곡률반경 4개와 렌즈 두께 및 렌즈사이의 거리 3개와 EFL 등 8개의 변수를 F-theta 렌즈 최적화에 사용하였다. 최적화되어진 CO2 레이저용 F-theta 렌즈는 굴절력의 부호가 (-)(+)의 순서 로 구성되는 2매의 렌즈로 구성되었다. 분해 가능한 선폭은 5.0 lps/mm (@ 35% MTF)이며, 유효 초점거리는 약 125.4 mm이며, 작업거리는 약 138.4 mm 이며, 유효결상직경이 약 71 mm이며, 갈바노미러의 최대 구동각이 ±5.73인 특성을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두 갈바노미러 구동각의 조합을 8가지 상태로 나누는 방법과 곡률반경 4개와 렌즈 두께 2개 및 렌즈사이의 거리와 EFL 등 8개를 최적화 변수로 사용함으로써 레이저 마킹기 또는 3D 프린팅 장비에 사용될 수 있는 125.4mm의 EFL을 갖는 CO2 레이저용 F-theta 렌즈를 개발할 수 있 었다.

      • '학습권 보장제'에 따른 학생선수의 최저학력 및 수업참여 실태 분석

        이제성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tudent players' lowest academic abilities and class participation in accordance with 'Educational Rights Guarantee Policy', and also to suggest the correct measures to settle down 'Educational Rights Guarantee Policy' for student players. For this, total 648(320 student players, 328 general students) students of middle schools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ing. In order to examine student players' lowest academic abilities, the lowest academic ability program evaluation form developed by the education office of G province was modified/complemented suitable fo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us of class participation,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χ²)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and the conclusion is like below. Firs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owest academic ability level, 39.4% of student players did not come up to the lowest academic level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In detai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grade, region, and experience(P<.05).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owest academic ability level, 59.4% of student players did not reach to the lowest academic level in the subject of mathematics. In detai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sex, grade, and experience(P<.05).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owest academic ability level, 44.4% of student players did not come up to the lowest academic level in the subject of English. In detai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sex, grade, region, and experience(P<.05). Four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hours of participating in class, 38.8% said 'having regular class' in the ordinary case, 75.6% said 'as same as the ordinary time' before games, and 41.9% said 'having regular class' after games. Fif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necessity and attitude of class participation, for the reason why participating in classes, 38.8% said ‘to learn the basics of study' while 41.9% said 'fatigue from exercise' for the reason why not participating in classes. Regarding the instructors' interest in class participation, 53.1% said ‘it is up to students themselves'. In case of students' learning attitude during class, 43.8% said ‘no interest in classes’. In regard of the weight between training and class, 58.1% said ‘focusing on training’. Six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lass understanding and school record, regarding the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class contents, 32.5% said ‘it is interesting and understood'. For the reason why lacking in understanding of classes, 42.5% said ‘have not studied’. Regarding the usual interest in classes, 41.9% said ‘average’, and 26.3% said ‘a little bit’. In regard of students' average school record, 47.5% said ‘lower than 50 marks’. In case of changes in school record after starting exercise, 36.9% said ‘it has dropped a bit’. Regarding the understanding of classes after participating in games, 45.6% said ‘not able to understand at all’. Seven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bsence/supplement of classes, regarding the effort for school record, 35.0% said ‘putting effort only in the exam period'. To the question asking about the number of participating in municipal/provincial/national competitions annually, 30.6% responded ‘participating more than 5 times’. In regard of supplementary classes, 60.69% said ‘no supplementary classes at all’. In case of reviewing the contents learnt, 27.5% said ‘average’, and 24.4% said ‘a little bit’. As measures to cope with poor school record, 46.9% responded ‘concentrating more on exercise than school record’. Eigh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terest in class participation, regarding the school policies about exam, 55.6% said ‘exams should be taken no matter what’. In case of parents/instructors' interest in their school record, 60.6% said ‘usually get involved in it’. 본 연구는 ‘학습권 보장제’에 따른 학생선수의 최저학력 및 수업참여 실태를 분석하고, 학생선수를 위한 학습권 보장제의 올바른 정착 방안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G광역시와 J도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선수 및 일반학생을 모집단으로 총 648명(학생선수 320명, 일반학생 328명)을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에 의하여 선정하였다. 학생선수의 최저학력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 도구는 G도 교육청에서 개발한 최저학력 프로그램 평가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 하여 사용하였고, 수업참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freqeuncy analysis)과 카이스퀘어(χ²)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고 논의 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저학력 수준을 분석한 결과 학생선수는 국어 과목에서 39.4%가 최저학력 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년별, 지역별, 경력별에서 유의미한 차이(P<.05)를 보였다. 둘째, 최저학력 수준을 분석한 결과 학생선수는 수학 과목에서 59.4%가 최저학력 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성별, 학년별, 경력별에서 유의미한 차이(P<.05)를 보였다. 셋째, 최저학력 수준을 분석한 결과 학생선수는 영어 과목에서 44.4%가 최저학력 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성별, 학년별, 지역별, 경력별에서 유의미한 차이(P<.05)를 보였다. 넷째, 수업참여 시간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 평상시 수업참여 시간에서 38.8%가 ‘정상 수업을 한다’고 응답 하였고, 시합 전 수업참여는 ‘평상시와 같다’ 75.6%, 시합 후 수업참여는 ‘정상 수업을 한다’가 41.9%로 나타났다. 다섯째, 수업참여 필요성 및 태도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 수업에 참여하는 이유에서 38.8%가 ‘학습 기초를 다지기 위해’라고 응답 하였고,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는 41.9%가 ‘운동 피로’라고 응답 하였다. 수업참여에 대한 지도자의 관심에서는 53.1%가 ‘학생 본인에게 맡긴다’고 응답 하였고, 수업 중 학생들의 학습태도에서는 43.8%가 ‘수업에 관심이 없다’고 하였으며 훈련과 수업에 대한 비중에서는 58.1%가 ‘훈련에 치중 한다’고 하였다. 여섯째, 수업 이해도 및 성적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 수업내용의 흥미 및 이해정도에서 32.5%가 ‘흥미 있으며 이해 한다’고 하였고, 수업이해가 부족한 이유에서는 42.5%가 ‘공부를 하지 않아서’라고 답 하였다. 평소 수업에 대한 관심에서는 41.9%가 ‘보통이다’라고 답 하였고, 26.3%는 ‘조금 있다’라고 답 하였다. 학생의 평균 성적은 47.5%가 ‘50점 이하’라고 응답 하였으며 운동시작 후 본인의 성적 변화에는 36.9%가 ‘조금 떨어졌다’고 응답하였다. 대회 출전 후 수업참여시 이해도에서는 45.6%가 ‘전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일곱째, 수업 결손 및 보충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 학업성적을 위한 노력에서 35.0%가 ‘시험기간에만 노력 한다’고 하였고, 1년에 시·도 및 전국대회 출전 횟수에 대한 질문에서는 30.6%가 ‘5회 이상 출전 한다’고 응답하였다. 수업결손에 대한 보충수업에서는 60.69%가 ‘전혀 보충수업을 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수업한 내용에 대한 복습 정도는 27.5%가 ‘보통이다’, 24.4%는 ‘조금하는 편’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성적 부진에 대한 대책으로 46.9%가 ‘성적보다는 운동을 더 열심히 한다’고 응답하였다. 여덟째, 수업참여 관심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 시험에 대한 학교의 방침에서 55.6%가 ‘시험을 꼭 보게 한다’고 하였고, 본인 성적에 대한 부모님 및 지도자의 관심은 60.6%가 ‘관여를 하는 편’이라고 하였다.

      • 밀레니얼 소비자의 외모관리행동 분석 : -자아 이미지를 중심으로-

        이제성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아름다움에 대한 욕망은 과거에서부터 오랜 기간 지속되는 것으로, 현재까지도 인간은 아름다움을 위해 자신의 외모를 가꾸는 외모관리행동을 한다. 특히 현대사회는 소비자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인해 뷰티 시장의 규모가 해마다 확대되고 있으며, 보여지는 이미지의 힘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외부로 드러나는 외모를 관리하여 원하는 이상적인 모습으로 도달하고자 하며, 이로서 다양한 혜택을 얻고자 한다. 이는 소비자가 자신의 외모를 하나의 이미지로 인지하여, 외모관리행동을 이상적 모습으로 만들기 위한 도구이자 가교의 역할로 활용하는 것이다. 다양한 소비 세대 중 밀레니얼 세대는 자신의 고유한 개성과 취향을 표현하고 트렌드에 민감한 코호트적 특성으로 인해 향후 뷰티시장에서 주요한 소비계층이 될 것이라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밀레니얼 소비자를 중심으로 ‘나’라는 이미지에 대한 개념인 자아이미지를 활용하여 외모관리행동이라는 소비문화를 다각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밀레니얼 소비자의 외모관리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과 양적 연구방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는 혼합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에서는 근거 이론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밀레니얼 소비자의 이상적 자아 이미지에 대한 욕망과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전반적인 패러다임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양적 연구에서는 소비자 설문조사법을 활용하여 밀레니얼 세대의 이상적 자아 이미지에 따라 유형화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들이 실제 하고 있는 외모관리행동과 외모와 관련한 내재적 신념 등의 변인을 통해 특성 분석과 유형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출한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밀레니얼 소비자의 외모관리행동에 대하여 시행한 심층 인터뷰 내용을 근거 이론적 접근을 활용하여 총 60개의 하위범주와 22개 차원으로 도출하였다. 이상의 범주들을 축 코딩을 통해 인과적 조건, 중심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결과와 같은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하였다. 결과에 대한 내용은 투사기법을 활용하여 밀레니얼 소비자들의 이상적인 자아 이미지를 보다 실제적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밀레니얼 소비자는 외모관리행동이라는 중심현상을 도구·수단이자 일상·루틴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종의 도구로서 선택적이고 의식적으로 활용하는 동시에, 내면화되어 습관적으로 행동하는 루틴의 성격을 동시에 지닌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외모에 대한 태도, 관심, 감정을 통해 외모관리행동을 발생하게 하며, 문화적 및 시대적 특성과 미디어, 주변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레니얼 소비자들이 외모관리행동을 함에 촉진하고 완화하는 요인으로는 소비자 자원과 외부시선, 자기모니터링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셋째, 밀레니얼 소비자는 본인의 실제적 자아와 이상적 자아의 일치성을 위해 ‘패션행동, 체형관리, 스킨케어, 메이크업, 헤어관리’와 같은 외모관리행동의 전략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행동을 통해 궁극적으로 밀레니얼 소비자들은 전문적인, 행복한, 매력적인 모습을 소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이상적 자아 이미지를 형성할 때 소비자들은 스스로 만족·성취감을 느끼고, 향후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소비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라 하였다. 넷째,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상적 자아 이미지 형용사는 ‘따뜻·단정한, 전문·현대적인, 화려한·세련된, 활동적·밝은, 사랑·귀여운 이미지’로 분류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 유형화를 한 결과 ‘샤이 엘레강스, 댄디, 액티브, 모던한 이미지 추구형’의 4가지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샤이 엘레강스 이미지 추구형은 전반적으로 이상적 자아 이미지에 대한 열망이 낮으나, 유일하게 화려·세련된 이미지에 대한 열망이 소극적으로 나타나며, 댄디한 이미지 추구형은 깔끔·차분한 이미지와 현대적·전문적인 자아 이미지를 소구한다. 액티브 이미지 추구형은 타 이미지보다 활동적이고 개성적인 역동적 이미지에 대한 열망이 높으며, 모던한 이미지 추구형은 화려하면서도 전문적이고 세련된 이미지에 대한 소구가 높은 집단이다. 다섯째, 4가지 군집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는 유일하게 성별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샤이 엘레강스와 모던한 이미지 추구형은 여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 댄디 및 액티브 이미지 추구형에서는 남성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외모관리행동에서 소비자 유형 간 차이를 살펴보면 모던한·댄디한 이미지 추구형은 타 군집에 비교하여 더 높은 패션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헤어관리에서는 댄디한 이미지 추구형이 높은 행동 정도를 보였다. 또한 메이크업에서는 화려한 이미지를 추구하는 소비자 군집에서 높은 행동 정도를 보이며, 체형관리에 있어서는 군집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밀레니얼 세대의 소비자 유형에 따른 외모 관련한 내재적 신념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외모도구성의 평균이 높으며, 특히 모던한·댄디한 이미지 추구형이 높은 정도를 보인다. 또한 타인을 의식하는 개념인 공적 자기의식이나 자기 모니터링에 있어서 샤이 엘레강스 이미지 추구형이 타 군집에 비해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과변인(만족·행동 의도)에서는 댄디한 이미지 추구형이 가장 높게 나타나며, 이어 모던한·액티브·샤이 엘레강스 이미지 추구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인해 본 연구는 학문적·산업적 시사점을 지닌다. 우선 밀레니얼 세대의 외모관리행동을 질적 연구(투사기법을 활용한 심층인터뷰)와 양적 연구(소비자 설문조사법)의 보완적 접근을 통해 소비현상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는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소비자의 자아 이미지를 기반으로 외모관리행동에 대하여 새로운 해석을 이루었다. 뿐만 아니라 밀레니얼 세대의 외모관리행동을 통한 이상적 자아 이미지를 파악하고, 전체적인 패러다임 및 소비자 유형화를 활용하여 뷰티 제품·서비스 개발이나 소비자 전략 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산업적 의의를 가진다. 이와 같은 연구의 내용을 통해 외모관리행동은 소비자의 단순한 미적 행동이 아닌 자아에 기초한 목표 지향적 행동이며,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자신만의 고유한 색을 담는 행동이 되기를 기대한다.

      • 다문화 가정 학생선수의 운동부 활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제성 전남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South Korea is currently experiencing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due to international marriage, mid-career entry, and North Korean defectors. Many of these students are experiencing maladaptation in school life due to poor academic performance and prejudice, bullying, exclusion from peers, and severe bullying such as violence and abuse. People tries to live in search of an environment that is meaningful to them. In such an environment, a very meaningful environment may disappear beyond memory as time changes, and also a completely unrelated environment may come closer to the front of life. Some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may choose the athletic teams in their schools in an attempt to escape due to environmental maladaptation. Even though they are few, we must pay attention to their lives because they are also the members of our society. This study took a look at the experience proces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ngaging in athletic team activities as student athletes through narrative research. An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temporality, Place and sociality, this study was planned to deeply explore what the athletic team activity experience would mean to them. For this, six student athletes who are engaged in athletic team activities at middle schools in G City and J province a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data were collected in about four months from April to July 2020. It was conducted through methods such as in-depth interview, using mobile phone and text transmissions. With the consen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ll the contents of in-depth interview were recorded on a mobile phone and were converted into text through transcription work. "Taxonomic Analysis" and "Domain Analysis" methods presented by Spradley(198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text in the field, and the research integrity was secured through the four criteria presented by Lincoln & Cuba(1985): ‘reliability,’ ‘transferability,’ ‘dependency,’ and ‘certainty.’ Then, in order to ensure research ethics, the research was conducted after being granted an IRB number(NO. 1040198-200610-HR-062-02) by the bioethics deliberation committee of the university to which the researcher belongs. In the process of analyzing and discussing the results through such a proces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e "telling" about school life and athletic team activity experience of student athlet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as follows. First, student athlet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d ‘difference’ and ‘difficulty’ in their school life. There were many negative thoughts about the differences due to ‘differences in appearance’ and ‘differences in the family environment,’ and they also experienced maladaptations such as ‘school work,’ ‘school adaptation,’ and ‘social adaptation.’ Second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motives for selecting the athletic team of student athletes in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Maslow's "Needs Hierarchy" Theory, it was ‘the desire for safety and respect.’ Most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d severe bullying such as contempt and prejudice, bullying, exclusion, and violence and abuse due to poor academic performance. Therefore, they were found to have escaped from these environments and chose athletic team activities in search of a safer and more respected environment. Third, the experience of athletic team activities of student athlet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an be divided into "athletic team customs", "communal living (camps, etc.)", "relationships", "training", "matches", etc. Concretely, the Athletic team customs gave meaning to ‘clear division of roles’ and ‘correct manner culture’, and Communal living (camp, etc.) to ‘escape from the solitary island’, ‘learning camp beyond the training camp’ and ‘psychologically stable place (stability place)’. Relationships gave meaning to ‘that I have ally’, ‘the person who admits me’, and ‘we, not you and me’, and Training to ‘power to endure’, ‘make me forget’, ‘communicate and overcome together’. And the experience of Matches gave meaning to ‘shouting for me’, ‘sense of belonging to be together’, and a " new look at me". The 'retelling' of school life and athletic team activity experience of student athletes in multicultural families i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emporality, the narrative of school life and athletic team activity experience of student athlet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gave the temporal meaning of "adaptation in maladaptation." According to the temporal flow of these athletic team activity experiences, due to ‘maladaptation in the classroom’, that is, ‘physical appearance and cultural differences’, ‘difficulty in linguistic communication and family environment’, etc., they selected athletic teams for ‘stable life’, ‘life to be recognized’ and ‘life to realize’ without prejudice and bullying from general students. Through the experience of athletic team activities, ‘equal opportunity’, ‘emotional cohesion’, ‘community lif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o on were able to be achieved. Secondly, in terms of Place, the narrative of school life and athletic team activity experience of student athlet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ut meanings to specific spaces such as ‘classroom’, ‘communal living (camp, etc.)’, ‘training ground’, ‘match field’, etc., and gave the spatial meaning of ‘a space for alone, and a space for together’. Before experiencing the activities of the athletic team, the ‘classroom’ was ‘a hotbed of prejudice and isolation,’ for student athlet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ere alienation, exclusion, bullying, and prejudice were always present. However, while experiencing the activities of the athletic team, they realized that the ‘communal living (camp, etc.)’ space like classrooms were spaces where they understand each other, consider each other, and constantly interact. In addition, the ‘training ground’ is a very painful space where high-intensity training continues, but it is an experiential space where you can learn patience and tenacity and communicate together. Last, The ‘match field’ was the only space for their own values and abilities to be fully recognized. Third, in terms of Sociality, the narrative of school life and athletic team activity experience of student athlet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gave the social meaning of "being alone" to "standing alone" and "standing together." "Being alone" is an empirical process of overcoming loneliness of living alone regardless of others, while "Standing alone" can be meant as an empirical process that gradually overcomes maladaptation and gradually awakens one's presence by interacting with others, that is, forming self-esteem. And "Standing together" means becoming one with the members through the empirical process of forming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is wa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athletic team activiti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a healthy social relationship with student athletes in multicultural families. 우리나라는 현재 국제결혼, 중도입국, 새터민 등으로 인해 다문화 가정 학생 수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들 중 많은 학생들은 학업 부진과 또래 친구들로부터의 편견, 따돌림, 배제, 그리고 폭력과 폭언 등의 심한 괴롭힘으로 학교생활에 부적응을 경험하고 있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에게 의미 있는 환경을 찾아 살아가려고 한다. 이러한 환경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매우 의미 있는 환경이 기억의 저편으로 사라지기도 하고, 전혀 상관없는 환경이 삶의 전경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다문화 가정 학생 중에도 환경적 부적응에서 벗어나고자 학교 내 운동부를 선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은 비록 소수지만, 우리 사회 일원이기에 그들의 삶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다문화 가정 학생이 학생선수로서 운동부 활동에 관한 경험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시간성(Temporality), 공간성(Place), 사회성(Sociality) 측면의 3차원적 공간 속에서 운동부 활동 경험이 그들에게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와 J도에 소재한 중등학교에서 운동부 활동을 하고 있는 6명의 학생선수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자료 수집은 2020년 4월부터 7월까지 약 4개월에 거쳐 심층면담과 휴대전화 및 문자전송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심층면담의 모든 내용은 연구 참여자의 동의에 따라 휴대전화에 녹음하였고, 전사 작업을 통해 현장 텍스트화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radley(1980)가 제시한 ‘분류 분석(Taxonomic Analysis)’과 ‘영역 분석(Domain Analysis)’을 사용하여 현장 텍스트를 분석하였고, 연구 진실성은 Lincoln & Cuba(1985)가 제시한 ‘신뢰성’, ‘전의 가능성’, ‘의존 가능성’, ‘확증성’의 4가지 기준을 통해 확보하였다. 그리고 연구 윤리 확보를 위해 연구자가 소속되어 있는 대학의 생명윤리 심의위원회로부터 IRB 번호(NO. 1040198-200610-HR-062-02)를 부여 받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한 결과 분석 및 논의 과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다문화 가정 학생선수의 학교생활 및 운동부 활동 경험에 관한 ‘이야기하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학생선수는 학교생활에서 ‘다름(Difference)’과 ‘어려움(Difficulty)’을 경험하고 있었다. 다름은 ‘외모에 대한 다름’과 ‘가정환경에 대한 다름’으로 인해 부정적 생각이 많았고, ‘학업’, ‘학교 적응’, ‘사회 적응’ 등에 대한 부적응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다문화 가정 학생선수의 운동부 선택 동기는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으로 살펴본 결과, ‘안전의 욕구’, ‘존중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로 나타났지만 대부분 ‘안전과 존중의 욕구’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업 부진으로 인한 멸시와 편견, 따돌림, 배제, 그리고 폭력과 폭언 등의 심한 괴롭힘을 경험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은 이러한 환경에서 벗어나 보다 안전하고 존중받는 환경을 찾고자 운동부 활동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가정 학생선수의 운동부 활동 경험은 ‘운동부 관습’, ‘공동생활(합숙소 등)’, ‘관계’, ‘훈련’, ‘시합’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운동부 관습은 ‘뚜렷한 역할분담’과 ‘올바른 예절 문화’로 의미를 부여 하였고, 공동생활(합숙소 등)은 ‘혼자만의 섬에서 탈출’, ‘합숙소 넘어 학습소(學習所)’, ‘심리적 안정소(安定所)’로 의미를 부여 하였다. 관계는 ‘내편이 있다는 것’, ‘나를 인정해 주는 사람’, ‘너와 내가 아닌, 우리’로 의미를 부여 하였으며, 훈련은 ‘견뎌 내는 힘’, ‘나를 잊게 만들다’, ‘함께 소통하며 이겨내기’로 의미를 부여하였다. 그리고 시합 경험은 ‘나를 위한 외침’, ‘함께 라는 소속감’, ‘나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으로 의미를 부여 하였다. 다문화 가정 학생선수의 학교생활 및 운동부 활동 경험에 관한 ‘다시 이야기하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학생선수의 학교생활 및 운동부 활동 경험에 관한 시간적(Temporality) 내러티브는 ‘부적응에서 적응’이라는 시간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들은 시간적 흐름에 따라 ‘교실 속 부적응’ 즉, ‘신체적 외모와 문화적 다름’, ‘언어적 소통과 가정환경의 어려움’ 등으로 일반학생들로부터의 편견이나 따돌림 등에서 벗어나 ‘안정된 삶’, ‘인정받는 삶’ 그리고 ‘실현하는 삶’을 위해 운동부를 선택하였고, 운동부 활동 경험을 통해 ‘기회 평등’, ‘정서적 유대’, ‘공동체적 삶’, ‘심리적 안정’ 등을 꾀할 수 있었다. 둘째, 다문화 가정 학생선수의 학교생활 및 운동부 활동 경험에 관한 공간적(Place) 내러티브는 ‘교실’, ‘공동생활(합숙소 등)’, ‘훈련장’, ‘시합장’ 등과 같은 특정 공간에 의미를 두고, ‘혼자만의 공간, 그리고 함께하는 공간’이라는 공간에 의미를 부여하였다. 다문화 가정 학생선수가 운동부 활동을 경험하기 전 ‘교실’은 소외, 배제, 따돌림, 편견 등이 늘 존재하는 ‘편견과 소외의 온상’이었다. 하지만 운동부 활동을 경험하면서 학생선수에게 ‘공동생활(합숙소 등)’ 공간은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하며 끊임없는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훈련장’은 비록 강도 높은 훈련이 이어지는 힘들고 고통스러운 공간이지만, 인내와 끈기를 배우며 함께 소통하는 경험적 공간이며, ‘시합장’은 자신의 가치와 실력을 충분히 인정받는 유일한 공간이었다. 셋째, 다문화 가정 학생선수의 학교생활 및 운동부 활동 경험에 관한 사회적(Sociality) 내러티브는 ‘혼자 이기 넘어 ’홀로 서기‘, 그리고 ’함께 서기’라는 사회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혼자 이기’는 다른 이와 관계없이 혼자 살아가야 하는 외로움을 이겨내는 경험 과정이고, ‘홀로 서기’는 부적응을 서서히 이겨내고 타자와 조금씩 관계하면서 자신의 존재감을 일깨워 가는, 즉 자아 존중감을 형성하는 과정이라고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함께 서기’는 공동체 의식을 형성해 가는 경험 과정으로써, 구성원들과 하나 되어 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듯 운동부 활동 경험은 다문화 가정 학생선수들에게 원만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해 나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Fabrication of DNA/RNA particles for CRISPR/Cas9 system and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s by rolling circle replication

        이제성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Over the past decade, a variety of methods for engineering of nucleic acid, such as DNA and RNA have been developed. Among them, the rolling circle replication (RCR) approach, including rolling circle amplification (RCA) and rolling circle transcription (RCT), has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due to cost-effective production of nucleic acid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reports to apply RCR to generate the nucleic acid-based hybrid particles. In this thesis, we have developed a method for making new nucleic acid based structures, DNA-inorganic hybrid particles and RNA-Cas9 protein hybrid particles using RCR methods. For fabrication of DNA-inorganic hybrid particles, RCA with DNA polymerase and metal ions is required. Interestingly, the morphologie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DNA-inorganic hybrid particles was controlled by varying the concentration of metal ions. To fabrication of RNA-Cas9 protein hybrid particles for CRISP/Cas9 system, RCT with RNA polymerase with Cas9 protein is required. Here, we describe the method for fabricating these hybrid particles and their application such as MRI contrast agents, supercapacitor and CRISPR/Cas9 system. 지난 10년 동안 DNA 와 RNA를 포함하는 핵산을 조작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왔다. 그 중에서도 특히 회전 순환 증폭 (RCA)과 회전 순환 전사 (RCT)를 포함하는 회선 순환 복제 (RCR) 방법은, 핵산의 비용 효율적인 생산으로 인하여 많은 관심을 받았다. 그러나 RCR방법을 이용하여 핵산 기반 하이브리드 입자를 만드는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RCR 방법을 응용하여 새로운 핵산 기반 하이브리드 구조물, DNA- 무기 하이브리드 입자 및 RNA-Cas9 단백질 하이브리드 입자를 만드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DNA 무기 하이브리드 입자의 제조를 위해서는 DNA 중합효소와 금속 이온을 포함한 RCA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었다. 흥미롭게도, DNA 무기 하이브리드 입자의 형태와 기능적 특성은 금속 이온의 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절되었다. 또한, CRISP / Cas9 시스템을 위한 RNA-Cas9 단백질 하이브리드입자는 Cas9 단백질 과 RNA 중합 효소를 포함한 RCT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DNA 또는 RNA 기반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제작 방법과, 그것들의MRI 조영제, 슈퍼 커패시터 그리고 CRISPR / Cas9 시스템과 같은 잠재적 응용분야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 남녀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소비감정 연구

        이제성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ttention to appearance is a common concern for all. Images created by appearance play an important role in judging people in terms of social life in contemporary society. In particular, it has been increasing for university students to pay attention to caring their appearances which affect interpersonal relationship, romance, employment. In this sense, consumer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ir appearance, which makes them conduct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in various ways. This study investigated general behaviour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s of bo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nd categorised consumption emotion experienced by appearance management. In this regards, it was examined how consumers’ psychological mechanism of consumption emotions influences consumers’ satisfaction and their behavioural intentions. The survey subjects were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nationwide. Pre-interview was used to select the consumption emotion items and two preliminary surveys were conducted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ment tools in research method design. A total of 399 samples collected by questionnaire survey between 11th and 16th May 2017 was used in the empirical stud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Statistics 23.0.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sed as follows. Firstly, female students invest more time and money into appearance management compare to male students. In additio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have highly positive feedbacks on body management and fashion interest, but they have different views on the negative feedback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s. Male students have negative attitudes toward make-up, while female students have a negative view of hair-care. Secondly, female students show higher interest in the five type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s (clothing interest, body management, skin-care, make-up, hair-care) than male students. In detail, male students have the greatest interest in body management, while female students are most interested in clothing. Thirdly,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experience a variety of consumption emotions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s. Positive emotions such as ‘fulfilling, pleasant, joyful and satisfied’ are generally described, but there is a high level of negative emotions such as ‘annoying, nervous, insufficient and unsavoury’ either. According to gender, female students show a higher level of positive and negative consumption emotions than male students. In response to frequent emotional experiences, Male students often feel ‘annoying, clean, insufficient and confident’ and female students often feel ‘annoying, nervous and confident’. Fourthly, there are five emotional types (Confidence, Annoyance, Refreshment, Enjoyment, Anxiety) as the result of the consumption emotional typology in term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s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consumers’ feelings in the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s, ’Confidence’ includes a sense of self-confidence, self-esteem and pride, ‘Annoyance’ includes a sense of inconvenience, inevitability and difficulties, and ‘Refreshment’ includes a sense of breeziness and rejuvenation. Moreover, ‘Enjoyment’ is comprised of fun, excitement and happiness, while ‘Anxiety’ includes a sense of insufficiency, worries and regrets. Lastly, there are different emotional groups which influence consumers’ satisfaction or behavioural intention (continuous behaviour, good reputation and intention to recommend) according to gender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Confidence, Enjoyment, Anxiety’ has a positive impact on consumers’ satisfaction and behavioural intention, but ‘Annoyance’ negatively affects behavioural intention. Meanwhile, consumers’ satisfaction is positively influenced by ‘Confidence, Enjoyment, Anxiety’, and behavioural intention is influenced positively by ‘Confidence’ but negatively by ‘Annoyance’ for female students. In other words, ‘Confidence and Enjoyment’ in positive feelings have a positive impact on consumers’ satisfaction or behavioural intention, while ‘Annoyance’ in negative feelings has a negative impact on them. However, ‘Anxiety’ in the group of negative feelings positively influences consumers’ satisfaction or their behavioural intention exceptionally. This is called ‘Expectancy Disconfirmation Theory’ that consumers feel more satisfied with ‘positive disconfirmation’ as there are more accomplishments than what they expect.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beauty product development and consumer marketing strategy with reflecting consumption emotion, and better understanding of consumption culture of university students which plays a pivotal role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keywor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emotion, consumption emotion, university students 외모에 대한 관심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공통된 관심사로 나타난다. 특히 현재는 외모가 주는 이미지를 통해 사람을 평가하고, 사회생활의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그 중 대학생에게 있어 외모는 대인관계나 연애, 취업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어 그 관심이 날로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외모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본인들의 외모를 가꾸는 행위인 외모관리행동을 다양한 방식으로 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일반적인 행태를 조사하고, 외모관리행동을 하며 경험한 소비감정을 도출하여 유형화 작업을 하였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소비감정이라는 심리적 기제가 소비자 만족 및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력을 지니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조사 도구 구성을 위해 사전 인터뷰를 통해 소비 감정 항목을 선별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을 위한 두 번의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본 실증 조사는 2017년 5월 11일부터 16일까지 질문지법을 통하여 총 399개의 표본을 수집해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3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정,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대학생들의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행태를 비교한 결과 여자 대학생이 남자대학생에 비해 더 많은 관리 시간과 비용을 소비한다. 또한 남녀 대학생은 공통적으로 몸매-체형관리와 의복 관심에 높은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며,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외모관리행동은 상이하다. 남자 대학생은 메이크업에, 여자 대학생은 헤어 관리에 부정적 태도를 가진다. 둘째, 다섯 가지의 외모관리행동 유형(의복 관심, 몸매-체형관리, 피부관리, 메이크업, 헤어관리)에 대해 여자 대학생이 남자 대학생에 비해 더 높은 관심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남자 대학생들은 몸매-체형관리에, 여자 대학생은 의복에 가장 큰 관심도를 지니고 있다. 셋째, 남녀 대학생은 외모관리행동을 하며 다양한 소비감정을 경험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성취감 있는, 유쾌한, 즐거운, 흡족한 등’의 긍정적 감정 항목들을 많이 경험하였으나, ‘귀찮은, 신경 쓰이는, 불충분한, 아쉬운’과 같은 부적 감정 항목들의 경험 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여자 대학생이 남자 대학생보다 긍정, 부정적인 감정 모두 높은 경험 수준을 보이고 있다. 세부적으로 남자 대학생은 ‘귀찮은, 깨끗한, 불충분한, 자신감 있는’의 감정 요소를, 여자 대학생은 ‘귀찮은, 신경 쓰이는, 자신감 있는’과 같은 감정 항목을 자주 경험한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남녀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소비 감정 유형화 작업을 거친 결과 다섯 가지 감정 군(자신감, 성가심, 상쾌함, 즐거움, 염려감)으로 분류되었다. 소비자들이 외모관리행동을 하며 흡족하고 자랑스러운 감정을 느끼는 ‘자신감’, 불편하고 어쩔 수 없으며, 힘든 부적 감정으로 이루어진 ‘성가심’, 상쾌하고 산뜻한 감정들이 포함된 ‘상쾌함’이 존재한다. 또한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재미, 들뜬, 행복한 감정의 ‘즐거움’, 마지막으로 불충분하고 소비자 걱정이나 아쉬움의 감정으로 이루어진 ‘염려감’이 있다. 다섯째,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소비자 만족이나 행동의도(지속적 행동, 긍정적 구전 및 추천의도)에 영향력을 가지는 감정 군은 성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난다. 남자 대학생의 경우에는 소비자 만족에는 ‘자신감, 즐거움, 염려감’의 요인이 긍정적 영향력을 지니며, 행동의도에는 ‘자신감, 즐거움, 염려감’이 긍정적 영향력을, ‘성가심’요인이 부정적 영향력을 가진다. 여자 대학생은 소비자 만족에 ‘자신감, 즐거움, 염려감’요인이 긍정적 영향력을 가지며, 행동 의도에 있어서는 ‘자신감’요인이 긍정적 효과를, ‘성가심’요인이 부정적 영향력을 행사한다. ‘자신감과 즐거움’과 같은 정적 감정으로 구성된 감정 군들은 소비자 만족이나 행동의도에 긍정적 영향력을 가지며, 부적 감정으로 이루어진 ‘성가심’요인은 부정적 영향력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부적 감정으로 이루어진 ‘염려감’과 같은 감정 군은 소비자 만족이나 행동의도에 긍정적 영향력을 가지기도 한다. 이는 일종의 ‘기대 불일치 이론(Expectancy Disconfirmation Theory)’로 소비자가 기존에 기대했던 것 그 이상의 성과가 나타나면서 ‘긍정적 불일치’가 형성되어 소비자는 만족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감정을 활용하여 뷰티 상품 개발 및 PR과 같은 소비자 마케팅 전략 수립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외모관리행동의 주 축이 되는 대학생의 소비문화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외모관리행동, 감정, 소비감정, 대학생

      • 기관 특이적인 Antisense를 이용한 콩과식물의 질소고정 유전자의 연구

        이제성 全北大學校 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콩과식물은 뿌리혹이라는 특수한 기관을 만들어서 공기중의 질소를 고정하여 질소원으로 사용하며 질소고정에 관여하는 식물단백질을 통털어서 nodulin이라 칭한다. 본 연구에서는 콩과식물의 일종이면서 형질전환 및 재분화가 가능한 Lotus 식물을 이용하여 antisense system의 사용가능성 여부를 확인 하였다. 우선 Lotus 식물에 chloramphenicol acetyl transferase(CAT)유전자를 도입, 발현시켰다. CAT유전자가 Lotus 식물에 돌입, 발현된 것을 CAT활성을 측정하여 확인한 후 nodulin 중에서 가장 풍부한 양으로 존재하는 leghemoglobin 유전자의 promoter와 antisense-CAT를 재도입 시킨 후 도입된 antisense-CAT가 뿌리혹이 유도된 Lotus에서 뿌리혹 특이적으로 CAT의 발현을 억제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CAT활성 측정을 통하여 확인된 결과는 오직 뿌리혹에서만 CAT의 활성이 억제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antisense system이 형질전환 및 재분화가 가능한 Lotus 식물을 이용함으로써 nodulin 유전자 각각의 기능을 이해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Nodules, special organs, are used to fix atmospheric nitrogen in Legumes and the plant proteins associated with them are called nodulins. Among the predominent nodulins, leghemoglobin(Lb) is the most abundant nodulin, In this study, leghemoglobin promoter and chloramphenicol acetyl transferase(CAT) as a reporter were used to demonstrate that antisense regulation system worked well in organ specific manner in transformed and regenerated Lotus corniculatus. Lotus corniculatus expressing CAT gene constitutively were obtained by transformation with a chimeric CAT gene driven by the cauliflower mosaic virus 19S promoter. Plants containing CAT activity were retransformed with vectors containing CAT sequence transcriptionally fused to Lb promoter in the antisense orientation. Lotus transformed with antisense-CAT construct exhibited a loss of CAT activity, whereas plants retransformed with sense-CAT construct showed no reduction in CAT activity. Moreover, CAT activity was knocked out only in nodules when Lotus corniculatus transformed with CAT gene was retransformed with antisense-CAT gene under the control of leghemoglobin promoter. This system can be used to study the functions of nodulin genes and to develop plants with new tra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