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의 대학교 기초일본어 교육과정 코스디자인에 관한 연구 : 일본의 대학교별과 랭귀지 코스와의 비교를 통하여

        이정윤 釜山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대학에 일본 관련학과가 개설된 것은 1960년대에 들어온 후의 일이었다. 1960년대에 한국외국어대학과 국제대학에 각각 일본어과가 개설된 것은 일본어 교육뿐만 아니라 일본 관련 타학문의 연구에 도화선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졸업생들이 나와서 급증하는 한국의 일본어 교육을 감당하기에는, 질적인 것은 차지하고라도, 양적으로도 거의 불가능한 일이었다. 즉 일본어교육은 아무런 사전 대책도 마련되지 못한 채 과신설만 된 것이다. 그래서 한국의 일어교육은 일본어를 국어로 배운 세대에 의지할 수밖에 없었다. 1980년대 초반 일본어 관련학과에 있어서 양적 팽창의 전기였다고 한다면 1990년대에는 커리큘럼의 개정을 포함한 교육의 내용전반에 대한 변화가 현저한 시기이다. 1991년대에 들어오면서 일본학과가 일어일문학과와 거의 동수가 신설되고 있으며 또한 학과의 명칭에서 문학을 표기하지 않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명칭만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지역학이나 회화중심으로 커리큘럼이 변화해 가는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첫째, 한국대학의 일본어 교육 실태와 한국대학의 일본어학과의 교육활동을 구체적으로 점검해 보기 위해서는 선행연구를 하고자 한다. 둘째, 교육목표와 교과과정 비교분석을 통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셋째, 한국대학 일본어학과와 일본에 있는 대학부설 langage course의 일본어 수업내용을 살펴본다. 넷째, 이러한 사전조사를 통하여 한국대학에 있어서 일본어 교육에 맞는 교과과정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 미술감상활동과 유아의 창의성과의 관계

        이정윤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에게 미술감상 활동을 실시함으로서, 그러한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신장을 가져오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로 첫째는 미술감상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창의성 향상에 차이가 있는가?를 보았으며, 둘째로는 미술감상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창의성 하위요인인 유창성, 독창성, 추상성, 정교성, 개방성 향상에 차이가 있는가?이었으며, 셋째는 창의성 증진 효과가 가장 큰 유아의 미술감상 반응은 어떠한가?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D유치원의 만 5세 유아 60명이었다. 각 집단은 남ㆍ여 평균 월령, 남ㆍ여 구성비율을 유사하게 구성하여, 실험집단 유아 30명(남 16명, 여 14명), 통제집단 유아 30명(남 16명, 여14명)으로 구성하였다. 미술감상 활동은 2002년 10월 14일에서 12월 6일까지 8주 동안 총 15회에 걸쳐 1주에 2번 그림감상을 실시하였으며, 소그룹(3~4명씩)으로 진행되었고 2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연구자는 실험집단 유아들과 둥글게 앉아서 미술작품을 감상하였으며 유아들의 수업상황 및 반응을 관찰하였고, 통제집단 유아들은 미술감상활동을 실시하지 않고 각 반 교실에서 자유선택활동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아동의 창의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Torrance의 창의적 사고력 검사(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 TTCT) 중 유아의 창의성 측정에 적합한 도형검사(Thinking Creatively with Pictures, TTCT : Figural)를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도구로 사용하였다. 미술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을 가져오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ㆍ사후 검사에 대한 점수의 차이를 SPSS/PC+ 프로그램으로 전산처리 하였고, t검증으로 통계처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미술감상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는 미술감상활동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유아보다 창의성에 있어서 의미있는 향상을 가져왔으며,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독창성, 추상성, 개방성에 있어서도 의미 있는 향상을 가져왔다. 이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미술감상활동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감상자료 구성과 감상교육의 기초 및 지도방법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art appreciation activity develops children's creativity. There are three issues in the study. The first issue is to see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development of creativity between experimental group who has done art appreciation and control group who has not. The second issue is to see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sub factors of creativity (fluency, originality, abstractness, elaboration, and openness) between the groups. The last one is to see which sub factor has an effect on creativity most. Subjects of the study were 60 of 5-year-old children in D Kindergarten located in Pa-joo Si, Kyung-gi Do. Each group was composed of similar portion in terms of monthly age and sex. Both groups consisted of 30 children. There are 16 males and 14 fema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16 males and 14 females in the control group. Art appreciation activity was done 15 times, twice a week for 8 weeks from 14th of October to 6th of December in 2002. It was done in small groups (3-4 children per group) and took about 20 minutes. Observing situation and reaction of children, the researcher did art appreciation with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Instead of doing art appreciation, the control group children did free activity in each class. In order to test creativity of children, Thinking Creatively with Pictures in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was used as the test tool of pre- and post test. Gap in the pre- and post 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was analyzed by t-test using SPSS/PC+ to find out whether art appreciation activity brought about development of children's activi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rt appreciation activity caused meaningful development of not only creativity but also its sub factors (fluency, originality, abstractness, and opennes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is significant that the study provides art appreciation material and shows the groundwork and teaching method of art appreciation to activate art appreciation in the field of childhood education.

      • 하버마스의 현대성 이론과 의식철학 패러다임 비판

        이정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하버마스가 파악하고 있는 현대(Modernita¨t)의 특징과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그가 의식철학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현대의 규범적 토대를 구축해 나가고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의식철학 패러다임은 데카르트에서 칸트에 이르기까지 사용되었던 인식 주체의 자기관계의 패러다임으로, 의식철학 패러다임의 특징은 자기자신과 세계의 대상들을 객체화시키는 인식 주체를 상정하는 데 있다. 하버마스에 따르면, 이러한 의식철학의 주-객 구도는 합리성을 일면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즉 의식철학 패러다임은 오로지 합리성의 인지적-도구적 측면만을 요구하며 정당화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하버마스는 현대 사회의 문제점들이 바로 이러한 합리성의 일면화와 편협화에서 기인한다고 본다. 따라서 그는 의식철학 패러다임의 주-객 구도에서 벗어나 합리성의 다원성을 회복시킴으로써 현대 사회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의식철학 패러다임의 한계, 그리고 의식철학과 하버마스 철학의 차이점은 헤겔, 그리고 비판이론 1세대에 대한 고찰을 통해 드러난다. 헤겔은 현대 사회가 주체성으로 인해 발전과 분열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다고 파악한다. 그러나 그는 국가라는 대(大)주체를 상정하는 방식으로 분열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으로써 하버마스에 의해 비판받는다. 또한 비판이론 1세대인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는 현대가 '도구적 이성(주관적 이성)의 우위와 확산'으로 특징지워질 수 있다고 보았다. 현대 사회에서 이성은 자연을 지배하는 기술과 관료주의의 도구로 전락함으로써 그 어떤 비판적인 힘도 지닐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은 헤겔과는 달리,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는 탈출구를 제시하지 않음으로써 비관적 결말에 이르게 된다. 하버마스에 의하면, 헤겔과 비판이론 1세대는 모두 현대를 파악하는 데 있어 주-객 구도라는 의식철학의 전제 조건에 매여있다. 그는 이들이 처한 상황이 의식철학 패러다임의 문제점과 한계를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고 판단한다. 하버마스는 헤겔처럼 초월적인 입장을 취하거나 비판이론 1세대처럼 비관적 결말에 빠지지 않고서도, 실제의 의사소통을 통해 얼마든지 현대 사회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그것은 의식철학 패러다임의 틀에서 벗어나 현대 사회의 규범적 토대를 마련해내는 일이 가능하다는 것을 뜻한다. 하버마스는 바로 상호주관성에 기반한 의사소통적 합리성이 그러한 규범적 토대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그는 의사소통적 합리성에 기초한 일상적 의사소통 과정에서 의식철학의 고립된 주체는 의사소통 참여자로 대체된다고 본다. 그럼으로써 상호주관적 관계에 입각하게 된 의사소통 참여자들은 상호이해와 합의를 거쳐, 현대 사회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규범을 도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하버마스가 파악한 현대의 특징은 체계와 생활세계의 분리, 그리고 문화의 분화와 전문화 현상이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이러한 현대의 특징적 현상들은 각각 체계에 의한 생활세계의 내적 식민화, 전문가 문화에 의한 일상생활의 문화적 빈곤화라는 문제점들을 수반한다. 따라서 하버마스는 체계의 침투에 맞설 수 있는 생활세계의 논리를 확보하고 전문가 문화와 일상생활을 유의미하게 매개시키는 것을 현대의 과제로 삼는다. 하버마스는 이러한 현대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문제점들이 공론영역의 활성화를 통해 그리고 일상인의 시각에서 전문가 문화를 수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본다. 이때 주목해야 할 것은 공론영역이나 전문가 문화의 일상적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의사소통적 합리성이라는 것이다. 현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점차 실현 가능해진 의사소통적 합리성은, 의사소통적 행위의 자유와 범위를 증대시킴으로써 공론영역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동시에, 합리성이 인식적-도구적 측면, 도덕적-실천적 측면, 심미적-표현적 측면을 모두 포괄하는 의사소통적 합리성은 문화 영역간의 균형있는 발전을 도모하고, 문화를 일상실천에 유의미하게 매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의사소통적 합리성을 통한 이러한 문제 해결 과정은, 의식철학의 주-객 구도에서 벗어나 현대 사회의 규범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Gegenstand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 ist die Theorie der Modernita"t Ju"rgen Habermas, der durch Einfu"hrung des neuen Konzepts der kommunikativen Rationalita"t die normativen Grundlage der kritischen Gesellschaftstheorie neu zu begru"nden versucht. Das Paradigma der Bewußtseinsphilosophie ist das von Descartes bis Kant eingesetzte Paradigma des Selbstbezugs des erkennenden Subjektes. Es setzt eigentlich das erkennende Subjekt voraus, das sich auf sich selbst ebenso wie auf Entita"ten in der Welt richtet und sich selbst und Entita"ten objektiviert. Nach Habermas, hat diese Subjekt-Objekt Beziehung der Bewußtseinsphilosophie zur Folge die einseitige Entwicklung der Rationalita"t. Das heißt, das Paradigma der Bewußtseinsphilosophie erfordert und rechtfertigt nur eine Seite der Rationalita"t, kognitiv-instrumentelle Rationalita"t. Habermas besteht darauf, daß die Problematik der modernen Gesellschaft aus der einseitigen Entwicklung der Rationalita"t stammt. Also, durch die Aufhebung der SubjektObjekt Beziehung des Paradigmas der Bewußtseinsphilosophie und die Wiederherstellung der Vielseitigkeit der Rationalita"t, will Habermas die Probleme der modernen Gesellschaft lo"sen. In Studien zur Philosophie Hegels und der ersten Generation der Kritischen Theorie, zeigt sich der Grenze des Paradigmas der Bewußtseinsphilosophie und zugleich der Unterschied zwischen Bewußtseinsphilosophie und Habermas' Philosophie. Hegel erfaßt, daß die moderne Gesellschaft wegen der Subjektivita"t zugleich sich entwickelt und entzweit. Er setzte Staat als Großsubjekt voraus, um die Problematik der Entzweiung aufzulo"sen. Horkheimer und Adorno, die erste Generation der Kritischen Theorie, zeichnet die Modernita"t als 'der Vorrang und die Ausdehnung der instrumentalen (subjektiven) Vernunft'. In der modernen Gesellschaft ist die Vernunft zur Technik der Naturbeherrschung und zum Werkzeug der Bu"rokratie verfallen, so daß sie ist nicht mehr kritisch. Horkheimer und Adorno gelangen zum pessimistischen Schluß, weil sie keinen Ausweg finden, wa"hrend Hegel den aus der Aporie des Zeitalters sich zu befreienden Ausweg eingesetzt hat. Hegel und die erste Generation der Kritischen Theorie, nach Habermas, begreifen die Modernita"t im Rahmen der Bewußtseinsphilosophie, der Subjekt-Objekt Beziehung. Jedes Resultat ihrer Erforschung sollte offensichtlich Probleme und Grenzen des Paradigmas der Bewußtseinsphilosophie zeigen. Habermas behauptet, daß die Probleme der modernen Gesellschaft durch das reale kommunikative Handeln u"berwunden werden ko"nnen, ohne transzendentalem Standpunkt (Hegel) oder ohne pessimistischem Schluß (die erste Generation der Kritischen Theorie). Das heißt, kann man sich u"ber das Paradigma der Bewußtseinsphilosophie erheben und die normativen Grundlagen aufbauen. Es sei sicher die auf die Intersubjektivita"t gegru"ndete kommunikative Rationalita"t, welche als dem normativen Grundlage funtioniert. In allta"glicher Kommunikation, die sich von der kommunikativen Rationalita"t herleiten la"ßt, wird das einsame Subjekt der Bewußtseinsphilosophiedie durch den Interaktionsteilnehmern ersetzt. Die Interaktionsteilnehmer in der inter- subjektiven Beziehung kann nun durch Versta"ndigung und Einversta"ndnis die die Probleme der modernen Gesellschaft u"berwindende Norm gewinnen. Habermas charaktersiert die Modernita"t als die Entkoppelung von System und Lebenswelt, die Ausdifferenzierung und die professionalisierte Bearbeitung der Kultur. Diese besondere Eigenschaft der Modernita"t ist verknu"ft mit den Probleme der durch System verursachten, inneren Kolonialisierung der Lebenswelt und der durch Expertenkultur verursachten Verarmung der Kultur des allta"glichen Lebens. Es sei also dann die Aufgabe der Modernita"t, den Mechanismus, der das Eindringen des Systems widerstehen kann, zu verlangen und die Expertenkultur auf den Alltag zu beziehen. Seiner Meinung nach, ko"nnen diese Probleme der modernen Gesellschaft und Kultur u"berhaupt aufgera"umt werden, indem die O"ffentlichkeit erregt und die Expertenkultur aus dem Blickwinkel der Lebenswelt aneigt wird. Bemerkenswert ist die kommunikative Rationalita"t, was die O"ffentlichkeit und die Aneigung der Expertenkultur ermo"glicht. Die kommunikative Rationalita"t, die sich durch den Prozeß der Modernisierung allma"hlich verwirklichen kann, vermehrt die Freiheit und den Kreis des kommunikativen Handelns und fu"hrt die O"ffentlichkeit aus. Und die kommunikative Rationalita"t auf ganzen Seiten, d. h. Kognitiv- Instrumentellen, Moralisch-Praktischen, A"sthetisch-Expressiven, entfaltet gleichma"ßig jeden kulturellen Bereich und verbindet die Kultur mit der Alltagspraxis. Aus dieser kommunikativen , Rationalita"t ergibt sich eine Mo"glichkeit, daß man u"ber das Paradigma der BewuBtseinsphilosophie u"berschreitet und die normativen Grundlagen der modernen Gesellschaft aufstellt.

      • 코로나19 지속가능한 거리두기 속 영아반의 신체접촉 양상과 의미

        이정윤 창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코로나19 지속가능한 거리두기 속 영아반의 신체접촉 양상과 의미를 실제 연구현장을 통해 구체적으로 들여다봄으로써 팬데믹 시대에서 교사 및 또래와의 신체접촉의 가치와 의미를 찾고 그 대안을 모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지속가능한 거리두기 속 영아반의 신체접촉이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코로나19 지속가능한 거리두기 속 영아반의 신체접촉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연구참여 어린이집을 선정하여 총 4개의 만 1세반에서 담임교사 4명과 영아 20명의 오전 실내자유놀이시간을 참여 관찰하였으며, 4명의 담임교사에 대해서는 심층면담까지 진행하였다. 촬영한 짧은 영상 자료는 담임교사와의 심층면담에 활용하였으며, 전사한 면담 녹음자료는 현장노트, 계획안, 가정통신문, 관찰일지, 연구자의 저널 등 문서자료와 함께 코딩(Coding), 범주화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지속가능한 거리두기 속 영아반의 신체접촉 양상은 접촉의 최소화가 불가능한 양상과 접촉 최소화로 달라진 신체접촉 양상이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접촉 최소화의 실현이 불가능한 신체접촉의 양상으로 영아의 생리적 욕구에 의한 영아와 교사 간 신체접촉, 영아의 컨디션 때문에 일어나는 영아와 교사 간 신체접촉, 영아의 안전을 위해 나타나는 영아와 교사 간 신체접촉, 영아가 다쳤을 때 일어나는 영아와 교사 간 신체접촉이 있었다. 한편, 접촉 최소화로 달라진 신체접촉 양상으로는 마스크로 인한 영아와 교사 간 신체접촉, 후각과 미각 그리고 신체접촉이 이루어지는 놀이가 교사의 계획에서 배제되거나 대체되는 모습으로 나타났으며, 교사가 영아와 영아 간 신체접촉을 제지하는가 하면, 교사 본인도 영아와의 접촉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접촉을 의식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코로나19 지속가능한 거리두기 속 영아반의 신체접촉의 의미는 몇 가지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였다. 교사의 영아에 대한 사랑과 위로의 의미, 칭찬 및 격려, 애정표현의 의미, 정서적 위로의 의미, 감염의 위험이 있는 위험한 행동의 의미가 담겨 있음이 드러났다. 코로나19 지속가능한 거리두기 속 영아반의 교사 및 또래와의 신체접촉의 양상과 의미를 살펴본 본 연구에서는 보육환경에서 나타나는 교사 및 또래 간 신체접촉의 중요성과 가치가 드러났다. 이후 제삼의 팬데믹 시대를 대비하여 영아반 교실에서의 교사 및 또래와의 신체접촉 관련 대안을 마련하는데 본 연구가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주제어 코로나19 지속가능한 거리두기, 영아, 신체접촉

      • 유입식 변압기의 부분방전 진단에 관한 연구

        이정윤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deals with the radiated electromagnetic wave detection of partial discharge(PD) in oil for insulation diagnostics of oil-immersed transformers. Partial discharge by insulation deterioration of power facilities can lead to failure if not detected earlier. So far, the two main insulation diagnostic techniques of the oil-immersed transformer were the dissolved gas analysis(DGA) method in insulation oil and the acoustic method. These two methods, however, accompany some problems in installment and sensitivity. Therefore, research on the detection methods of radiated electromagnetic waves caused by partial discharges in insulation oil is now being actively conducted. From these backgrounds this thesis suggests the optimal detection method, analyzing frequency spectrum of radiated electromagnetic wave by partial discharge(PD) in oil. Electrode systems were fabricated to simulate the defects that might occur in oil-immersed transformers. Frequency spectrum of radiated electromagnetic wave in oil was analyzed by broad-band bi-conical antennas(300MHz~2GHz) and a spectrum analyzer(9kHz~3GHz). Frequency components for most defects showed high distribution at 500MHz. From the result, a narrow-band monopole antenna with the center frequency at 500MHz was made. The length of the antenna was 150mm.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 of the monopole antenna was evaluated by the network analyzer(40MHz~40GHz). It was suitable to detect the signal of partial discharge in oil. The measurement system which consists of the prototype monopole antenna, LNA(Low Noise Amplifier), oscilloscope and spectrum analyzer was evaluated from the partial discharge in insulation oil. It could detect all defects used in the experiment.

      • 일인칭 소설의 개연성과 그 일반화

        이정윤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일인칭 소설의 개연성과 그 일반화’라는 소설론과 세 편의 단편소설로 구성되어 있다. 소설론의 경우, 오늘날 ‘일인칭 소설’에서 ‘나’는 누구인가, 라는 질문을 통해 일인칭 소설의 최근 경향을 살펴봄으로서 작가가 왜 ‘나’라는 화자를 내세워 이야기를 풀어 나가는지에 주목하였다. 최근 일인칭 소설 작품들을 분석해 보면 대부분의 화자 ‘나’는 젊고, 외롭다. 대체로 무기력한 ‘나’는 변변한 직업도 없이 타인이나 세상 앞에서 늘 방어적이고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한다. 누군가와 함께 살아가는 일에 자신이 없는 ‘나’는 일회적이고 짧은 만남에서 위안을 얻으려고 하거나, 거짓말하기? 공상? 놀이 등을 통해 눈앞의 고통에서 벗어나려고 하지만 외롭고 고통스러운 상황은 여전하다. 그래도 ‘나’는 소통에의 희망을 버리지 않고 고통과의 화해를 위해 끊임없이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소설은 철저히 ‘나’의 이야기일 수밖에 없다는 전제 아래, ‘나’로 인해 이야기가 생겨나고 비로소 소설 쓰기도 가능해진다는 결론은 궁극적으로 ‘나’는 ‘왜 글을 쓰는가’ 라는 물음으로 우리를 이끈다. 또한 일인칭 소설에서의 ‘나’가 누구인지를 알아보고, 그 자취를 좇아가는 일은 소설이 어떻게 쓰여지는지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이다. This thesis is composed of the theory of novel, "Generalization and Probability of the First-Person Fiction" and three original short-stories. The theory of novel focuses on the reason an author unfolds a story through a narrator 'I' by examining the latest aspects of the first-person fiction through a question "Who is 'I' in today's first-person fiction?" The analysis of the recent first-person fiction reveals that most of the narrators 'I' tend to be young and lonely. For the most part, a languid 'I' clings on to defensive and passive attitudes towards others and the world, without a decent job. With low self-esteem and little confidence in living with others, the 'I' attempts to seek solace in an one-time, short-lived fling or escape immediate suffering through constant lies, imagination and pleasure, but the lonely and painful reality of 'I' remains unchanged. The 'I', however, does not abandon all hope for communication and constantly create new stories of its own to reconcile all the pain. On the premise that fiction is no more than a mere story of 'I', the conclusion that 'I' creates stories and makes it possible to write fiction ultimately leads to a question 'Why do 'I' write?" It also explores who "I" is in first-person fiction, and keeping track of it will offer opportunities to look into how a novel is written.

      • 수영운동이 비만여성의 혈액성분, Leptin 및 HPA axis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이정윤 원광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수영운동이 혈액성분, leptin 및 HPA axis 호르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만여성(18명)을 대상으로 수영운동을 실시하였다. I 시에 거주하는 운동경험이 없는 비만여성 18명이 본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이중 9명을 운동그룹, 나머지 9명은 통제그룹으로 무선 할당 배정하였다. 수영운동은 1주일에 5회, 1일 60분씩, HRmax 55% 강도로 시작하여 80%까지 분석항목은 신체조성 및 혈액성분(TC, TG, HDL-C, LDL-C), 호르몬(leptin, ACTH, Cortisol) 이었으며 운동전, 8주후, 12주후, 16주후에 각각 채혈 분석하위 실험을 통하여 측정변인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신체조성중 %체지방과 체지방량은 운동후 유의하게 감소한(P<.05) 반면 체중과 체질량지수는 두 그룹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둘째, TC, TG, HDL-C, LDL-C 등 모든 혈액성분은 운동그룹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인 반면 통제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leptin은 운동그룹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인 반면(P<.05) 통제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ACTH는 두 그룹에서 모두 약간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Cortisol은 운동그룹에서 유의하게 증가(P<.05) 하였으나 통제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놓고 볼 때 16주간의 수영운동은 비만여성의 혈액성분, leptin, ACTH, Cortisol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으며 특히 혈중지질과 leptin의 변화를 통하여 관상동맥질환과 비만의 예방 및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규칙적인 수영운동은 좋은 건강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며 아울러 최소한 12주 이상의 운동기간이 비만을 예방하는데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wimming exercise on blood components, leptin, HPA axis hormone in obese women. In this study, swimming exercise(HRmax 55-80%. 60min/day, 5day/week) was performed and 18 subjects were participated for study during 16 weeks, one group as experiment a group(n=9) and the other as control group(n=9). The untrained obese women in I city voluteered t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alytical items were blood components(TC, TG, HDL-C, LDL-C), hormone(leptin, ACTH, Cortisol). Blood collections were performed at pretest, 8weeks, 12weeks, and 16weeks. All data were expressed as mean±sd by using SPSS package program(win 9.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body composition, % fat and fat mas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exercise treatment(P<.05), while body weight and BMI were decreased, showed no significance in both group. 2.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and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exercise treatment in experimental group, but showed no significance in control group. 3. The concentration of leptin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exercise treatment(P<.05) in experimental group, but showed no significance in control group. 4. ACTH showed some increase ,but was not significantly reduced after exercise treatment in both group. Cortisol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5) after exercise treatment in experimental group, but showed no significance in control group. It is suggested that swimming training during 16weeks favorably effect the blood components, leptin, ACTH and cortisol in obese women. In particular, change of blood lipid and leptin are helpful to prevent and improve arteary disease and obesity. So, we concluded that regular swimming training is necessary to maintain good health, furthermore, above 12weeks exercise duration recommended to have a good effect on preventing obe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